KR100597938B1 - 악성 종양의 치료용 약제 - Google Patents

악성 종양의 치료용 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938B1
KR100597938B1 KR1020027005077A KR20027005077A KR100597938B1 KR 100597938 B1 KR100597938 B1 KR 100597938B1 KR 1020027005077 A KR1020027005077 A KR 1020027005077A KR 20027005077 A KR20027005077 A KR 20027005077A KR 100597938 B1 KR100597938 B1 KR 10059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phenyl
quinoline
oxo
dihyd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646A (ko
Inventor
구나르 헤들룬드
칼 얀슨
스티그 몬슨
안더스 브외르크
Original Assignee
액티브 바이오테크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903838A external-priority patent/SE9903838D0/xx
Application filed by 액티브 바이오테크 에이비 filed Critical 액티브 바이오테크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2004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42-Quinolinones, e.g. carbosty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07D215/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 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토토머, 광학 이성체 또는 라세미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2011814214-pct00017
.
본 발명은 또한 새로운 화합물, 제약학적 조성물 및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퀴놀린 유도체, 종양, 전립선암, 토토머, 광학 이성체, 라세미체, 로퀴니멕스

Description

악성 종양의 치료용 약제 {DRUGS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T TUMOURS}
본 발명은 다양한 악성 종양, 특히 고형 악성 종양의 임상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퀴놀린 유도체를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새로운 퀴놀린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퀴놀린 유도체에 의해 특히 억제되는 암의 유형으로는 예를 들면 유방암, 결장암,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폐암, 난소암, 전립선암 및 피부암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립선암의 치료 및 발생을 예방하는 데 적합하며, 전립선암의 전이를 예방 및 치료하는 데 적합한 퀴놀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원발성 또는 전이성 고형 종양은 종양 세포가 중추 세포 유형 및 구동력인 여러 유형의 세포로 이루어진다. 미세 종양이 특정 크기에 도달하는 경우, 영양 요구치는 단순 확산(plain diffusion)에 의해 만족될 수 없다. 새로운 혈관이 종양에 침투해 추가 증식 및 성장을 위하여 종양에 최적의 영양을 공급하는 미세환경을 확립해 준다. 이러한 종양에 의해 유도되는 혈관형성은 인근의 작은 혈관으로부터 정상 내피 세포의 증식, 이동 및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고형 종양의 성장을 위한 필요 조건이다. 따라서, 혈관형성을 억제하면 고형 종양의 성장이 효과 적으로 억제된다.
조직 침투에 의해 확산되는 고형 종양은 딸세포 콜로니 또는 전이체에 인접해 이들을 발생시킨다. 단일 종양 세포 또는 작은 세포 응집체는 혈액 또는 림프계에 의해 먼 자리로 확산된다. 이 과정에서, 종양 세포는 상이한 유형의 세포독성 림프구인 천연 킬러(NK) 세포에 의해 공격받기 쉬우며, 이들에 의해 소멸될 수 있다. 향상된 활성 또는 증가된 다수의 NK 세포는 고형 종양 질환에서 전이 과정을 감소 또는 억제한다.
전립선암은 종양 전이체로서 먼 자리로 확산되고 신혈관 형성에 크게 의존하는 종양을 포함하는 악성 종양 질환이다. 전립선암은 오랫동안 남성의 주된 고통 중 하나였으며, 전체 연령으로 보편화되고 있으며 더욱 위험해지고 있다. 이것은 사망률에 있어 폐암 다음에 오는 선암이다. 전립선암은 최근 미국에서 매년 약 35,000명을 사망에 이르게 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전립선암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이 없다. 암이 호르몬-의존 단계인 초기 단계인 경우에는 고환 절제술(orchietomy) 또는 화학적 거세술을 통해 치료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전립선암의 후기 단계에, 질환은 호르몬-비의존성이되어 가고, 보편적으로는 우선적으로 골격으로 광범위하게 전이된다. 진전된 질환의 치료에는 초기에는 호르몬 조작 및 완화 방사선치료 또는 세포증식 억제제를 이용한 치료가 수반된다. 이러한 방법들은 증상의 경감 측면에서 상당히 임상적으로 이로운 것으로 입증되었으나, 그 단계에서 전립선암을 진정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 호르몬-저항성의 진전된 전립선암의 처치에 있어 세포독성 제제의 용도는 미비하게 규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당시대 기준에 의해 약효의 검증이 부족하긴 하지만, 소수의 단일 제제는 "표준 치료법"으로 인정 받고 있다. 따라서, 전립선암은 일단 호르몬-비의존성 단계로 접어들게 되면 비교적 보편적일뿐 아니라 난치성이다.
미국특허 4,547,511 및 EP 59,698에서는 N-아릴-1,2-디하이드로-4-아미노-1-알킬-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및 N-아릴-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1-알킬-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의 몇몇 유도체들를 세포-매개의 면역성 강화인자로서 청구하고 있다. Roquinimex(Merck Index 12판, No. 8418; Linomid(R),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는 Dunning R-3327 래트 전립선암에 대해 항종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WO 99/55678, PCT/SE99/01270 및 PCT/SE99/01271로부터 자가면역성 및 병리학적 염증으로부터 기인되는 질병의 치료에 효과적인 몇몇 5-치환 N-아릴-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1-알킬-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가 알려졌다.
항-혈관형성 활성 및 프로 NK 림프구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인 Roquinimex는 인간 내에서 전구 염증성 부작용(pro-inflammatory side effect)을 유발하며, 이는 특히 신장 세포 암종을 가지는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에 강조되었다(2). 이 연구에서 로퀴니멕스(Roquinimex)는 약한 내성이었으며, 환자의 40%는 대부분 근육통, 관절통 및 피로의 인플루엔자-유사 증상인 부작용으로 인해 금단현상을 나타내거나 선량 감소(dose reduction)를 나타냈다. 심막염 및 신경병증의 사례도 여러 차례 관찰되었다.
로퀴니멕스에 의해 유발되는 전구-염증 작용은 비글개에서 효과적으로 관찰된다. 로퀴니멕스는 열, 근육통, 관절통 및 동맥염을 특징으로 하는 비글 통증 증상을 유발한다(3,4).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다양한 악성 종양, 특히 고형 악성 종양의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퀴놀린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험 모델에서 높은 효능 및 낮은 수준의 부작용을 특징으로 나타내는 약학적 프로필을 가지는 구조적으로 새로운 퀴놀린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퀴놀린 유도체에 의해 특히 억제되는 종양의 유형으로는 예를 들면, 유방암, 결장암, 카포시 육종, 폐암, 난소암, 전립선암 및 피부암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악성 종양, 특히 전립선암의 발생을 예방하는 데 적합하고 악성 종양, 특히 전립선암의 전이를 예방 및 치료하는 데 적합한 퀴놀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전이성의 악성 종양, 특히 전립선암의 치유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이성 악성 종양 세포, 특히 안드로겐-비의존성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이 선택한 접근법은 종양에 의해 유발되는 혈관형성을 억제하고, 항종양 반응을 유도/강화하는 숙주 면역계를 자극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안드로겐-비의존성 Dunning R-3327 AT-1 래트 전립선암에 대한 항종양 효과를 유도하는 퀴놀린 화합물의 능력을 테스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일반식(I)의 화합물이 진행성 암을 가지는 개체의 치료에 있 어 기대 이상으로 특히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Figure 112002011814214-pct00001
상기 식에서,
A는 OR41 및 NR42R4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41은 수소, 그리고 나트륨, 칼륨 및 칼슘과 같은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기 양이온, 그리고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모르폴린 등과 같은 유기 양이온; 및 C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A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tert-부틸, neo-펜틸, 페닐, 벤질, 펜에틸 등과 같은 알킬 및 아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42 및 R43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서,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2는 메틸, iso-프로필, 메톡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디메틸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니트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단일 또는 이중 치환된 벤질 및 펜에틸 중에서 선택되고 R43은 수소이거나; 또 는
R42 및 R43은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42는 CORB이며,
여기서 RB는 Cl-C4-알킬, 페닐 및 벤질 등과 같은 알킬 및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거나, -CH2N(CH3)2 및 -CH2CH2COOH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CORB는 하기 일반식의 2-아실옥시메틸벤조일기이고:
Figure 112002011814214-pct00002
여기서 RC는 메틸, 에틸, 페닐 및 벤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2는 COORD이고,
여기서 RD는 Cl-C4-알킬, 페닐 및 벤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2는 -CH2OCO-tert-부틸이거나; 또는
R42는 CONRFRG이고,
여기서 RF 및 RG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서 Cl-C4-알킬이거나; 또는
R42는 CXNHRE이고,
여기서 X는 O 또는 S 중에서 선택되고, RE는 Cl-C4-알킬, 3급 아미노기로 작용화된 C2-C4-알킬, 및 p-클로로기로 선택적으로 작용화된 페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2는 CH2NRHRI이고,
여기서 RH 및 RI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서 C1-C4-알킬이거나, RH 및 RI는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모르폴린 고리를 형성하고;
R43은 수소, 메틸, 에틸 및 사이클로프로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iso-부틸, sec-부틸 및 알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데, 이때 A가 OR41인 경우 R은 수소가 아닌 것을 전제로 하고;
R'는 수소, 메틸, 메톡시, 페닐,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시아노, 니트로, 아지도,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OCHxFy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x = 0 - 2, y = 1 - 3인데, 이때 x+y = 3을 전제로 하며,
R이 메틸이고 A가 OR41인 경우 R'는 수소가 아닌 것을 전제로 하며;
R"는 수소, 플루오로 및 클로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데, 이때 R'가 플루오로 및 클로로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에만 R"는 플루오로 및 클로로 중에 서 선택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R5는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티오메틸, 티오에틸, 티오-n-프로필, 티오-iso-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트리플루오로메틸, 니트로, 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및 OCHxFy 및 OCH2CHxF y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x = 0 - 2, y = 1 - 3인데, 이때 x+y = 3을 전제로 하며,
A가 OR41인 경우 R5는 플루오로 또는 아미노가 아니고, A가 NR42R43 이고 R'가 트리플루오로메틸인 경우에만 R5는 수소인 것을 전제로 하며;
R6은 수소이거나; 또는
R5 및 R6은 함께 메틸렌디옥시이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상이한 토토머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가 존재하는 이런 모든 형태가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그러한 형태가 존재하는 일반식(I)의 광학 이성체 및 라세미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5는 메틸, 에틸, 메톡시, 에톡시, 티오메틸, 티오에틸, 클로로 및 브로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메틸렌디옥시이고, A는 OR41 및 NR42R43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R41은 수소 및 나트륨 중에서 선택되고, R42 및 R43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서 수소,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수소, 메틸, 에틸 및 n-프로필, 특히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는 R"가 수소인 경우 수소, 파라-메틸, -페틸, -메톡시, -클로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아지도, 특히 메톡시, 클로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는 R'가 오르토-플루오로인 경우 메타'-플루오로 및 파라-플루오로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반식(I')의 새로운 화합물 또는 이들의 토토머, 광학 이성체 또는 라세미체을 제시한다:
Figure 112002011814214-pct00003
상기 식에서,
R42 및 R43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서,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2는 메틸, iso-프로필, 메톡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디메틸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니트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단일 또는 이중 치환된 벤질 및 펜에틸 중에서 선택되고 R43은 수소이거나; 또는
R42 및 R43은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42는 CORB이며,
여기서 RB는 Cl-C4-알킬, 페닐 및 벤질 등과 같은 알킬 및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거나, CH2N(CH3)2 및 CH2CH2COOH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CORB는 하기 일반식의 2-아실옥시메틸벤조일기이고:
Figure 112002011814214-pct00004
여기서 RC는 메틸, 에틸, 페닐 및 벤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2는 COORD이고,
여기서 RD는 Cl-C4-알킬, 페닐 및 벤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2는 -CH2OCO-tert-부틸이거나; 또는
R42는 CONRFRG이고,
여기서 RF 및 RG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서 Cl-C4-알킬이거나; 또는
R42는 CXNHRE이고,
여기서 X는 O 또는 S 중에서 선택되고, RE는 Cl-C4-알킬, 3급 아미노기로 작용화된 C2-C4-알킬, 및 p-클로로기로 선택적으로 작용화된 페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2는 CH2NRHRI이고,
여기서 RH 및 RI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서 C1-C4-알킬이거나, RH 및 RI는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모르폴린 고리를 형성하고;
R43은 수소, 메틸, 에틸 및 사이클로프로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iso-부틸, sec-부틸 및 알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는 수소, 메틸, 메톡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시아노, 니트로, 아지도,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OCHxFy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x = 0 - 2, y = 1 - 3인데, 이때 x+y = 3을 전제로 하며,
R"는 수소, 플루오로 및 클로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데, 이때 R'가 플루오로 및 클로로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에만 R"는 플루오로 및 클로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R5는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티오메틸, 티오에틸, 티오-n-프로필, 티오-iso-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트리플루오로메틸, 니트로, 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및 OCHxFy 및 OCH2CHxF y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x = 0 - 2, y = 1 - 3인데, 이때 x+y = 3을 전제로 하고,
R'가 트리플루오로메틸인 경우에만 R5가 수소인 것을 전제로 하며;
R6은 수소이거나; 또는
R5 및 R6은 함께 메틸렌디옥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식(I")의 새로운 화합물 또는 이들의 토토머, 광학 이성체 또는 라세미체을 제시한다:
Figure 112002011814214-pct00005
상기 식에서,
R은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iso-부틸, sec-부틸 및 알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1은 수소, 그리고 나트륨, 칼륨 및 칼슘과 같은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기 양이온, 그리고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모르폴린 등과 같은 유기 양이온; 및 C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A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tert-부틸, neo-펜틸, 페닐, 벤질, 펜에틸 등과 같은 알킬 및 아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는 수소 및 페닐 중에서 선택되고;
R"는 수소이고;
R5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티오메틸, 티오에틸, 티오-n-프로필, 티오-iso-프로필, 클로로, 브로모, 트리플루오로메틸, 디메틸아미노, OCHxFy 및 OCH2CHxFy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x = 0 - 2, y = 1 - 3인데, 이때 x+y = 3을 전제로 하며,
R5가 디메틸아미노이고 R이 메틸이 아닌 경우에만 R'가 수소인 것을 전제로 한다.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에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나트륨염,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브로모-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6-메틸렌디옥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디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3-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4-클로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4-메틸-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4-페닐-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2,4-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2,5-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3-메톡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에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2,4-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2,5-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2,4-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6-메틸렌디옥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4-클로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2,4-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에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n-프로필-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티오메틸-1-메틸-2-옥소-퀴놀린 -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4-클로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티오메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티오메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2,4-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티오메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2,5-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티오메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4-메톡시-페닐)-1,2-디하이드로-5-디메틸아미노-4-하이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4-아미노-1,2-디하이드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4-아미노-1,2-디하이드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5-클로로-1,2-디하이드로-4-(N-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1,5-디메틸-4-(N-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5-메톡시-4-(N-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아미노-1,2-디하이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고형 화합물의 고도 결정 격자는 예를 들면, 물에 대한 용해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한가지 접근 방법은 수용해성을 개선시키는 것일 것이다. 전구약물에 대한 기본적인 요건은 생체내에서 전구약물을 모약물(parent drug)로 재전환시키는 것이다. 전구약물-약물 전환은 흡수 전후 또는 흡수 중에 발생할 수 있다. 체내에서 전구약물의 모약물 분자로의 필요한 전환 은 다양한 반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전구약물은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 매개되는 가수분해 절단을 필요로 하는 것들이다. 다른 경우, 약물 분자는 생화학적 환원 또는 산화 과정에 의해 그들의 전구약물로부터 재생된다.
하이드록시 작용기를 함유하는 에스테르는 본래 유기체가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할 수 있는 효소에 풍부하다는 사실로부터 전구약물 유형으로 고려되어 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우세한 작용기로서 에놀화 카보닐기를 함유한다. 적합한 조건 하에서, 에놀 형태는 에놀기의 아실화에 의해 포착될 수 있다. 아실기 내의 입체적 및 전기적 효과는 수계 및 효소적 가수분해의 속도 모두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준다. 그 밖에도 이러한 수용성, 친지성 및 분해 속도와 같은 물리화학적 특성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해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4-아미노 작용기를 함유한다. 활성화된 아미드를 제공하는 아민의 N-아실화는 전구약물 형태를 얻는 유망한 수단일 수 있다. 2-하이드록시-메틸벤즈아미드는 수용액 중에서 고리화(락톤화)를 수행하여 프탈라이드 및 유리 아민을 제공한다. 2-하이드록시메틸벤즈아미드의 2개의 메틸렌 수소 원자를 예를 들면 메틸 및 페닐기로 치환하는 것은 락톤화 속도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2-하이드록시메틸-벤즈아미드의 아실화에 의해 락톤화를 차단하여 2-아실옥시메틸벤즈아미드를 제공하는 것은 에스테르기의 가수분해에 의해 진행되어야 하는 락톤화에 영향을 준다. 또한, 아실화는 아실기의 적합한 선별에 의해 전구약물의 친지성/친수성을 조절한다. 다양한 카바메이트 유도체 및 N-마니히 염기의 사용도 전구약물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을 래트의 전립선암인 Dunning R-3327 AT-1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능력에 대해 평가하였다. 로퀴니멕스를 양성치료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4 mg/kg 용량에서 30%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A가 NR42R43인 경우의 일반식(I)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방법 A:
Figure 112002011814214-pct00006
일반식(I')의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적합한 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과 같은 알콜 중에서 미국특허 4,547,511로부터 공지된 4-클로로-1,2-디하이드로-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X = Cl; Ⅱ)와 아미노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NMR 스펙트럼은 E 및 Z 아미드 이성체의 존재로 인해 복잡해지기는 했지만, 모든 화합물은 만족스러운 1H NMR 및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주된 이성체만을 NMR-쉬프트에 의해 기재하였다.
방법 B:
Figure 112002011814214-pct00007
일반식(I")의 화합물은 미국특허 6,077,851호로부터 공지된 방법,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에 제시한 바와 같이 톨루엔 및 자일렌 등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퀴놀린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유도체와 아닐린의 반응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Ⅲ_)의 퀴놀린 카르복시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은 미국특허 4,547,511에 제시되어 있다. 일반식(Ⅳ)의 N-알킬화 아닐린은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Johnstone et al, J. Chem. Soc. 1969, 2223-2224와 같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식(Ⅳ)의 범주 내에 속하는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상기 문헌의 방법들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N-메틸-N-페닐-4-클로로-1,2-디하이드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4-히드록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3.5 g)를 100℃의 포스포러스 옥시트리클로라이드(7 ㎖) 중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시키고(Na2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적정하고, 여과시켜 표제의 화합물(2.3 g)을 얻었다.
1H NMR(CDCl3): δ 7.50-7.00(8H, 방향족 양자), 3.60(N-Me, s), 3.48(N-Me, s). 2.80(PhMe, s).
질량(ESI, m/z)[M+H]+: 341.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해당 출발 물질로부터 하기의 화합물들을 얻었다:
N-메틸-N-페닐-4,5-디클로로-1,2-디하이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H NMR(CDCl3 + TFA): δ 7.55-7.15(8H, 방향족 양자), 3.60(N-Me, s), 3.47(N-Me, s).
질량(ESI, m/z)[M+H]+: 361.
N-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클로로-1,2-디하이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H NMR(CDCl3): δ 8.10-7.22(8H, 방향족 양자), 3.60(N-Me, s), 3.47(N-Me, s).
질량(ESI, m/z)[M+H]+: 395.
실시예 2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4-(N,N-디메틸아미노)-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디메틸아민 및 에탄올 중의 N-메틸-N-페닐-4-클로로-1,2-디하이드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0.52 g)를 스크류 캡에 의해 정지되는 두꺼운 벽의 유리 플라스크 내에서 가열하였다. TLC(용리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의 혼합물이 사용됨)를 통해 반응을 관찰하였다. 8시간 동안 가열한 후, 플라스크를 냉각하고 개봉하여 물로 희석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표제의 화합물을 얻었다(0.39 g).
1H NMR(CDCl3 + TFA): δ 7.50-6.70(8H, 방향족 양자), 3.70(N-Me, s), 3.58(N-Me, s), 3.50(N-Me, s), 3.43(N-Me, s).
질량(ESI, m/z)[M+H]+: 측정값 350, 기대값 350.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해당 출발 물질로부터 하기의 화합물들을 얻었다: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1,5-디메틸-4-(N-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 3-카르복스아미드
1H NMR(CDCl3 + TFA): δ 7.80-6.80(8H, 방향족 양자), 3.82(N-Me, s), 3.59(N-Me, s), 3.10(N-Me, s), 1.85(PhMe, s).
질량(ESI, m/z)[M+H]+: 336.
N-메틸-N-페닐-4-아미노-1,2-디하이드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H NMR(CDCl3 + TFA): δ 7.80-6.40(8H, 방향족 양자), 3.80(N-Me, s), 3.57(N-Me, s), 2.28(PhMe, s).
질량(ESI, m/z)[M+H]+: 322.
N-메틸-N-페닐-5-클로로-1,2-디하이드로-4-(N,N-디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H NMR(CDCl3 + TFA): δ 7.70-7.00(8H, 방향족 양자), 3.68(N-Me, s), 3.50(N-Me, s), 3.18(N-Me2, s).
질량(ESI, m/z)[M+H]+: 370.
N-메틸-N-페닐-5-클로로-1,2-디하이드로-4-(N-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H NMR(CDCl3 + TFA): δ 7.60-7.00(8H, 방향족 양자), 3.73(N-Me, s), 3.57(N-Me, s), 3.15(N-Me, s).
질량(ESI, m/z)[M+H]+: 356.
N-메틸-N-페닐-4-아미노-5-클로로-1,2-디하이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H NMR(CDCl3 + TFA): δ 7.62-7.23(8H, 방향족 양자), 3.63(N-Me, s), 3.50(N-Me, s).
질량(ESI, m/z)[M+H]+: 342.
N-에틸-N-페닐-5-브로모-1,2-디하이드로-4-(N-에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페닐-5-클로로-4-(N-사이클로펜틸아미노)-1,2-디하이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페닐-5-클로로-1,2-디하이드로-4-(N-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5-에틸-4-(N-에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N,N-디메틸아미노)-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에틸-N-페닐-4-(N,N-디에틸아미노)-1,2-디하이드로-1-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5-플루오로-1-메틸-4-(1-피롤리디닐)-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5-에틸-1-메틸-4-(1-피페리디닐)-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1,5-디메틸-4-(N-에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4-(N,N-디메틸아미노)-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4-(N-벤질아미노)-1,2-디하이드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5-메톡시-1-메틸-4-(N-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4-(N,N-디메틸아미노)-1-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페닐-4-[(4-클로로페닐)아미노]-1,2-디하이드로-1-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n-프로필)-N-페닐-5-클로로-1,2-디하이드로-4-(N-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iso-프로필-N-페닐-1,2-디하이드로-5-에틸-4-(N-에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하기 2개의 4-아미노 유도체는 상기에 기재된 방법을 약간 변형시킨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유기상을 물로 추출하고 건조 및 농축시켜 산물을 얻었다.
N-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디하이드로-1-메틸-4-(N-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H NMR(CDCl3 + TFA): δ 7.82-7.24(8H, 방향족 양자), 3.85(N-Me, s), 3.52(N-Me, s), 3.18(N-Me, s).
질량(ESI, m/z)[M+H]+: 390.
N-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디하이드로-4-(N,N-디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H NMR(CDCl3 + TFA): δ 7.80-6.87(8H, 방향족 양자), 3.78(N-Me, s), 3.58(N-Me, s), 3.25(N-Me2, s).
질량(ESI, m/z)[M+H]+: 404.
실시예 3
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디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 르복시산 에틸 에스테르
100 ㎖의 무수 이소프로판올 중의 2,6-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35.7 g, 0.26 mol) 및 디메틸아민(17.5 g, 0.39 mol) 용액을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18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 및 디에틸 에테르로 처리하여 2-4%의 2,6-디(디메틸아미노)벤조니트릴로 오염된 2-디메틸아미노-6-플루오로벤조니트릴(41 g)의 노란색 오일을 얻었다. 이 조제 혼합물을 40% 수계 메틸아민(130 ㎖, 1.5 mol) 및 에탄올(100 ㎖)에 용해시키고, 오토크레이브 내에서 18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상기와 같이 산물을 처리하여 44 g의 2-디메틸아미노-6-메틸아미노벤조니트릴(>95% 순도)을 얻었다. 이것을 120℃의 진한 황산(170 ㎖) 및 물(34 ㎖)에서 3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켰다. 갈색 용액을 냉각하고 5M NaOH로 중화시켰다. 얻어진 탁한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30 ㎖의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3x50 ㎖)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증발시켜 6-디메틸아미노-N-메틸-안트라닐산을 얻었다. 안트라닐산(21.5 g, 0.11 mol)을 250 ㎖의 1,4-디옥산에 용해시켰다. 포스겐(25 ㎖, 0.45 mol)을 얼음 중탕으로 냉각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15℃로 냉각한 뒤, 여과를 통해 산물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수계 중탄산나트륨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처리하고, 유기상을 조심스럽게 건조 및 증발시켜 순수한 5-디메틸아미노-N-메틸-이사토산 무수물을 얻었다. 무수물(22 g, 0.10 mol)을 무수 메탄올(150 ㎖)에 용해시키고, 소듐 메톡사이드(5.4 g, 0.10 mol)를 첨가하였다.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 및 에테르로 처리하여 노란색 오일(15 g)을 얻었다. 상기 오일 6-디메틸아미노-N-메틸-안트라닐산 메틸 에스테르(10.4 g, 0.05 mol)를 디클로로메탄(100 ㎖)에 용해시키고, 얼음 중탕으로 냉각하였다. 에틸 말로닐 클로라이드(10 g, 0.07 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탁한 혼합물을 수계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진공 하에서 조심스럽게 건조 및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무수 에탄올(100 ㎖)에 용해시키고, 소듐 메톡사이드(9 g, 0.16 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염산으로 중화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처리하였다.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여 순수한 회색 결정으로서 표제의 화합물(11 g)을 얻었다.
1H NMR(CDCl3): δ 1.36(3H, t), 2.78(6H, s), 3.59(3H, s), 4.39(2H, q), 7.17(1H, d), 7.21(1H, d), 7.54(1H, t), 17.1(1H, s).
실시예 4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5-디메틸아미노-4-하이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방법 B)
N-에틸아닐린(4.4 g, 0.036 mol)을 80 ㎖의 톨루엔에 용해시켰다. 약 30 ㎖의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 용액을 얻었다. 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디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시산 에틸 에스테르(3.5 g, 0.012 mol)를 끓는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중에 형성된 에탄올을 약 10시간 동안 톨루엔과 함께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차가운 톨루엔 및 헥산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표제의 화합물(3.1 g, 수율 71%)을 얻었다.
1H NMR(CDCl3): δ 1.25(3H, t), 2.63(3H, s), 2.78(3H, s), 3.51(3H, s), 3.87-4.07 (2H, m), 7.07-7.19 (5H, m), 7.39-7.48 (3H, m).
13C NMR(CDCl3): δ 13.2 (CH3), 29.4(CH3), 43.7(CH2), 45.2(CH3), 46.5(CH3), 109.6(C), 110.4(C), 113.O(CH), 114.0(CH), 127.3(CH), 127.5 + 127.5(CH), 128.3 + 128.3(CH), 130.8(CH), 140.1(C), 142.3(C), 150.6(C), 159.7(C), 160.6 (C=O), 165.0(C=O).
질량 (ESI m/z)[M+H]+: 366, 단편 245.
실시예 5
N-메틸-4-아미노디페닐
디클로로메탄(50 ㎖) 중의 4-브로모아닐린(3.4 g, 0.02 mol) 및 트리에틸아민(5.5 ㎖, 0.04 mol)의 차가운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3.4 ㎖, 0.024 m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수계 염산(0.5 M) 및 수계 중탄산나트륨으로 처리하였다. 유기상을 건조 및 증발시켜 건조시켰다. 형성된 결정(5.2 g)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40 ㎖)에 용해시키고, 냉각시켜 포타슘 tert-부톡사이드(3.4 g, 0.03 mol)로 처리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메틸 요오다이드(3.8 ㎖, 0.06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수계 염산(0.5 m), 수계 중탄산나트륨을 이용해 통상의 방식으로 처리하고 건조 및 증발시켜 중간산물인 N-(4-브로모페닐)-2,2,-트리플루오로-N-메틸아세트아미드 4.6 g을 얻었다. 스즈끼 교차-커플링 반응에서, 이 물질(4.6 g, 0.016 mol)을 톨루엔(40 ㎖), 중탄산나트륨(5.4 g, 0.064 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0.6 g, 0.048 mol) 및 물(15 ㎖)과 함께 주의 깊게 질소 일소된 반응기에 충전하였다. 에탄올(8 ㎖)에 용해된 벤젠보론산(2.2 g, 0.017 mol)을 반응기에 첨가하고 검은색 혼합물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대류시켰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유기상을 증발시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베이지색의 결정(2.4 g, 수율 54%)을 얻었다. 결정을 가열하면서(1시간 동안) 메탄올/암모니아 1:1 혼합물(50 ㎖) 내에서 가수분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25 ㎖)에 용해시키고, 건조물로 건조 및 증발시켜 1.3 g의 시럽으로서 표제의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CDCl3): δ 2.88(3H, s), 6.70(2H, d), 7.27(1H, t), 7.41(2H, t), 7.48(2H, d), 7.57(2H, d).
실시예 6
N-(4-페닐-페닐)-N-메틸-5-클로로-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메틸렌 클로라이드(25 ㎖) 중의 5-클로로-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시산(1.6 g, 6.5 mmol), 트리에틸아민(3 ㎖, 22.7 mmol), N-메틸-4-아미노디페닐(1.3 g, 7 mmol)의 차가운 용액에 메틸렌 클로라이드(10 ㎖) 중의 티오닐 클로라이드(1.0 g, 8.4 mmol)의 용액을 10분 동안 점적하여 첨가하였다. 4℃에서 4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용액을 메틸렌 클로라이드(10 ㎖)로 희석하고, 차가운 1M 황산으로 세척한 뒤, 1M 수산화나트륨으로 추출하였다. 수상의 pH를 8-8.5로 조절하고 여과를 통해 정화한 뒤, 염산 용액을 이용해 pH 4로 더욱 산성화하였다. 방치한 후, 형성된 결정 침전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표제의 화합물(1.9 g)을 얻었다.
1H NMR(CDCl3): δ 3.33(3H, s), 3.52(3H, s), 7.13(1H, d), 7.20-7.35(4H, m), 7.36-7.56(7H, m).
청구의 범위에 청구된 본 발명의 모든 구현예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제약학적 방법
1차 선별
R-3327 AT-1
남자의 전립선암은 혈관형성 유형의 고형 종양의 하나이다. Dunning R-3327 AT-1은 래트의 전립선암으로서, 이 질병의 실험용 동물 모델로서 적합하다. AT-1 종양을 코펜하겐 계통의 유전적 동계의 래트 상에 연속적으로 피하내(sc) 이식하였다. 작은 종양 덩어리들을 수령체 래트에게 sc 이식하고, 종양이 용이하게 측정 가능한 때인 이식 후 대략 10일 뒤에 종양을 가지는 래트의 치료를 시작하였다. 화합물의 단위 용량을 4주 동안 1주일에 5일씩 경구 또는 비경구를 통해 수여하였 다. 실험 기간 동안 종양 성장 및 체중 증가를 관찰하였다.
전구-염증 활성(pro-inflammatory activity)의 평가를 위한 분석
비글 통증 증후군
비글 통증 증후군(BPS)은 예를 들면 고열, 적혈구의 침강속도(ESR) 증가, 알칼리성 인산염(AP), 급성의 상 단백질 유발 및 맥관염과 같은 임상적 및 실험적 징후에 의해 반영되며, BPS는 남자에서 로퀴니멕스에 의해 유발되는 인플루엔자-유사 증상에 대한 모델로서 적당하다. BPS는 급성의 염증성 질환이다. 조직학 및 임상 화학적으로 여러 가지 교체가 발생한다. 화합물들을 정맥내 경로를 통해 비글개에게 투여하였다. 투여는 연속 5일 동안 이루어졌다. 전구-염증 반응, 즉 ESR 및 AP 증가에 대해 개를 평가하였다. 8일 뒤의 실험값과 바탕값 사이의 증가율(%)을 결정하였다.
호중구 염증
호중구 염증(NI)은 카라게닌 또는 자이모산의 피부내 주사에 의해 유발된다. 호중구의 축적은 재투여된 피부로부터 호중구 효소인 마이엘로퍼옥시다아제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한다.
부종 형성
부종 형성은 카라게닌의 피부내 주사에 의해 유발된다. 부종의 크기는 재투여 피부 내에서 정맥내 주사된 Evans 블루의 혈장 일출(extravasation)을 통해 평가한다.
지연된 유형의 과민성
지연된 유형의 과민성(DTH) 반응은 면역학적 및 염증 현상의 조절에 대한 연구용으로 유용한 T-세포 매개 및 항원-특이성의 염증 반응이다. 피부 투여를 통해 마우스를 옥살론에 감작시켰다. 재투여는 귀에 국부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귀의 두께를 측정하여 염증 반응을 정량하였다.
하기의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4-클로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N-메틸-N-(2,4-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티오메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및 N-메틸-N-페닐-4-아미노-1,2-디하이드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가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들 각각을 화합물 A, B, C 및 D라 칭한다. 로퀴니멕스는 이하에서 화합물 E라 칭해진 비교용 화합물로서 포함된다. 또한, 항종양제인 빈블라스틴(Merck Index 12판, No. 10119) 및 독소루비신(Merck Index 12판, No. 3495)도 비교용 화합물로서 포함된다.
종양 성장 억제
화합물 용량(mg/kg) 종양 중량 감소율(%)
A(본 발명) 2(sc) 37
B(본 발명) 2(po) 28
C(본 발명) 2(po) 39
D(본 발명) 2(sc) 38
E(비교용) 4(sc) 30
빈블라스틴(비교용) 1(iv)a) 0
빈블라스틴(비교용) 4(iv)a) 독성
독소루비신(비교용) 4(ip)a) 0
독소루비신(비교용) 8(ip)a) 31b)
a)는 11일 뒤에 실시된 처리
b) 8 mg/kg의 독소루비신은 중량 감소를 초래함
비글 통증 증후군 - 변화율(%)(8일 - 바탕값)
용량 mg/kg p.o. 화합물 A (본 발명) 화합물 E (비교용)
ESR AP ESR AP
1 177 25 700 103
10 515 109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의 투여는 이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선택된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수행된다. 개개 화합물의 유효량은 의사에 의해 결정되며, 치료하고자 하는 정확한 질환, 질환의 경중 및 환자가 겪고 있는 기타 질환 또는 증상과 같은 인자, 그리고 의사의 판단에 따른 기타 인자들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화합물은 낮은 용량 수준에서 활성이며, 그로 인하여 부작용 또는 다른 치료 또는 약제와의 교차 반응의 가능성이 경미한 조건에서 효과적인 치료 또는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질병 치료에 사용하기 적합한 1일 용량은 치료하고자 하는 특정 증상, 예를 들면 전립선암, 특정 환자의 연령 및 체중, 그리고 약물 처리에 대한 특정 환자의 반응에 따라 체중의 단위 kg당 0.002 mg 내지 약 100 mg, 바람직하게는 0.02 mg 내지 10 mg사이에서 가변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1일 용량뿐 아니라 정확한 단위 용량은 의사의 지시 하에서 표준 의료원칙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일반식(I)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통상의 투여 경로에 따라 그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고, 유효량의 활성 성분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적합한 담체를 포함하는 통상의 제약학적 조성물로 제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가 조성물의 기타 성분들과 혼화성이 있어야 하고 그들의 수령자에게 유해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에멀젼, 정제, 캡슐 및 경구 투여용으로 조제되는 분말, 비경구 투여용 살균용액, 직장 투여용 좌약 또는 적절한 국부용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 활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담체와 혼합되거나, 담체에 의해 희석되거나, 또는 캡슐, 샤셋(sachet), 종이 또는 기타 용기의 형태일 수 있는 담체 내에서 포함될 것이다. 담체가 희석제로서 제공되는 경우, 이것은 활성 성분에 대한 비히클, 부형제 또는 매질로서 작용하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일 수 있다. 약물 투여의 안정성 또는 용이함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첨가제들이 고려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환약, 분말, 로젠지, 샤셋, 카셋(cachet), 일릭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고체 또는 액체 매질과 같은) 에어로졸, 연질 및 경질 젤라틴 캡슐, 좌약, 살 균 주사액, 살균 포장 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제형을 선택 및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예를 들면 "Phamaceuticals - The Science of Dosage Form Design", M.B. Aulton, Churchill Livingstone, 1988에 기재되어 있다. 제약학적 조성물은 일반식(I)의 화합물 이외에도 치료에 유용한 부가의 물질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참고 문헌
1. Ichikawa, T. et al., The antitumor effects of the quinoline-3-carboxamide Linomide on Dunning R-3327 rat prostatic cancers. Cancer Research 52:3022-3028, 1992.
2. de Wit, R,. et al., EORTC phase II study of daily oral linomide in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patients with good prognostic factors. Eur. J. Cancer 33:493-495, 1997.
3. Kelly, D.F., Grimsell, C.S.G. and Kenyon, C.J., Polyarteritis in the dog: A case report. Vet Record 92: 363-366, 1973.
4. Harcourt, R.A., Polyarterites in a colony of beagles. Vet Record 102: 519-522, 1978.

Claims (72)

  1.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토토머를 포함하는 악성 종양 치료용 약제:
    Figure 112005074545161-pct00028
    상기 식에서,
    A는 OR41 및 NR42R43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R41은 수소, 그리고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기 양이온, 그리고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또는 모르폴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양이온; 및 C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A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tert-부틸, neo-펜틸, 페닐, 벤질, 및 펜에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2 및 R43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서,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및 사이클로프로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2는 CORB이고,
    여기서 RB는 Cl-C4-알킬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CORB는 하기 식의 2-아실옥시메틸벤조일기이고:
    Figure 112005074545161-pct00029
    여기서 RC는 메틸, 에틸, 페닐, 및 벤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iso-부틸, sec-부틸, 및 알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A가 OR41인 경우 R은 수소가 아닌 것을 조건으로 하며;
    R'는 수소, 메틸, 메톡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OCHxFy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x = 0 - 2, y = 1 - 3이고, 이때 x+y = 3인 것을 조건으로 하며,
    단, R이 메틸이고 A가 OR41인 경우 R'는 수소가 아닌 것을 조건으로 하며;
    R"는 수소, 플루오로, 및 클로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R'가 플루오로 및 클로로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에만 R"가 플루오로 및 클로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R5는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트리플루오로메틸, 디메틸아미노, 및 OCHxFy 및 OCH2CHxFy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x = 0 - 2, y = 1 - 3이고, 이때 x+y = 3인 것을 조건으로 하며,
    A가 OR41인 경우 R5는 플루오로가 아니고, A가 NR42R43이고 R'가 트리플루오로메틸인 경우에만 R5는 수소인 것을 조건으로 하며;
    R6은 수소이거나; 또는
    R5 및 R6은 함께 메틸렌디옥시임.
  2. 제1항에있어서,
    A가 OR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 제1항에 있어서,
    A가 NR42R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5가 메틸, 에틸, 메톡시, 클로로 및 브로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거나, R5 및 R6이 함께 메틸렌디옥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이 메틸 및 에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은 에틸이고, R'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가 파라-메틸, 파라-메톡시, 파라-클로로 및 파라-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가 오르토-플루오로인 경우, R"가 메타'-플루오로 및 파라-플루오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9. 제2항에 있어서,
    R41이 수소 및 나트륨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에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나트륨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브로모-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6-메틸렌디옥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에틸-N-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디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에틸-N-(3-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 -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4-클로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4-메틸-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2,4-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2,5-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에틸-N-(3-메톡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에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에틸-N-(4-클로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2,4-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에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2,4-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2,5-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2,4-디플루오로-페닐)-1,2-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5,6-메틸렌디옥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4-메톡시-페닐)-1,2-디하이드로-5-디메틸아미노 -4-하이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R5가 메틸, 에틸, 메톡시, 에톡시, 클로로 및 브로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5 및 R6이 함께 메틸렌디옥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R이 메틸, 에틸 및 n-프로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R이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R은 메틸이고 R'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R42 및 R43이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R'가 수소, 파라-메틸, 파라-메톡시, 파라-클로로 및 파라-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R'가 오르토-플루오로인 경우, R"가 메타'-플루오로 및 파라-플루오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페닐-4-아미노-1,2-디하이드로-1,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페닐-4-아미노-1,2-디하이드로-5-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3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1,5-디메틸-4-(N-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4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페닐-1.2-디하이드로-5-메톡시-4-(N-메틸아미노) -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4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아미노-1,2-디하이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활성 성분으로서 일반식(I)을 가지는 화합물과 함께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악성 종양 치료용 제약학적 조성물:
    Figure 112005074545161-pct00037
    상기 식에서,
    A는 OR41 및 NR42R43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R41은 수소, 그리고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기 양이온, 그리고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또는 모르폴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양이온; 및 COR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A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tert-부틸, neo-펜틸, 페닐, 벤질, 및 펜에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2 및 R43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서,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및 사이클로프로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2는 CORB이고,
    여기서 RB는 Cl-C4-알킬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CORB는 하기 식의 2-아실옥시메틸벤조일기이고:
    Figure 112005074545161-pct00038
    여기서 RC는 메틸, 에틸, 페닐, 및 벤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iso-부틸, sec-부틸, 및 알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A가 OR41인 경우 R은 수소가 아닌 것을 조건으로 하며;
    R'는 수소, 메틸, 메톡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OCHxFy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x = 0 - 2, y = 1 - 3이고, 이때 x+y = 3인 것을 조건으로 하며,
    단, R이 메틸이고 A가 OR41인 경우 R'는 수소가 아닌 것을 조건으로 하며;
    R"는 수소, 플루오로, 및 클로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R'가 플루오로 및 클로로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에만 R"가 플루오로 및 클로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R5는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트리플루오로메틸, 디메틸아미노, 및 OCHxFy 및 OCH2CHxFy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x = 0 - 2, y = 1 - 3이고, 이때 x+y = 3인 것을 조건으로 하며,
    A가 OR41인 경우 R5는 플루오로가 아니고, A가 NR42R43이고 R'가 트리플루오로메틸인 경우에만 R5는 수소인 것을 조건으로 하며;
    R6은 수소이거나; 또는
    R5 및 R6은 함께 메틸렌디옥시임.
  60. 제59항에 있어서,
    단위 체중 kg당 0.002 mg 내지 100 mg의 활성 성분을 하루 용량으로 제공하는 투약 형태의 제약학적 조성물.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KR1020027005077A 1999-10-25 2000-10-24 악성 종양의 치료용 약제 KR100597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40799P 1999-10-25 1999-10-25
US60/161,407 1999-10-25
SE9903838A SE9903838D0 (sv) 1999-10-25 1999-10-25 Novel compounds
SE9903838-2 1999-10-25
US21281600P 2000-06-21 2000-06-21
US60/212.816 2000-06-21
SE0002320-0 2000-06-21
SE0002320A SE0002320D0 (sv) 1999-10-25 2000-06-21 Malignant tumor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739A Division KR100674160B1 (ko) 1999-10-25 2000-10-24 악성 종양의 치료용 약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646A KR20020043646A (ko) 2002-06-10
KR100597938B1 true KR100597938B1 (ko) 2006-07-06

Family

ID=274845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739A KR100674160B1 (ko) 1999-10-25 2000-10-24 악성 종양의 치료용 약제
KR1020027005077A KR100597938B1 (ko) 1999-10-25 2000-10-24 악성 종양의 치료용 약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739A KR100674160B1 (ko) 1999-10-25 2000-10-24 악성 종양의 치료용 약제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EP (1) EP1224172B1 (ko)
JP (1) JP3950337B2 (ko)
KR (2) KR100674160B1 (ko)
AT (1) ATE358668T1 (ko)
AU (1) AU775057B2 (ko)
CA (1) CA2386775C (ko)
CZ (1) CZ298534B6 (ko)
DE (1) DE60034240T2 (ko)
DK (1) DK1224172T3 (ko)
EE (1) EE200200207A (ko)
ES (1) ES2280258T3 (ko)
HK (1) HK1049830A1 (ko)
HR (1) HRP20020353A2 (ko)
HU (1) HU229072B1 (ko)
IL (2) IL148782A0 (ko)
IS (1) IS2750B (ko)
NO (1) NO323320B1 (ko)
NZ (1) NZ518296A (ko)
SE (1) SE0002320D0 (ko)
UA (1) UA73748C2 (ko)
WO (1) WO2001030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4949A1 (en) 2008-08-13 2010-03-25 William Row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dministration thereof
US8314124B2 (en) 2004-02-06 2012-11-20 Active Biotech Ab Crystalline salts of quinoline compound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m
SE0400235D0 (sv) 2004-02-06 2004-02-06 Active Biotech Ab New composition containing quinoline compounds
SE0401578D0 (sv) * 2004-06-18 2004-06-18 Active Biotech Ab Novel compounds
US8354427B2 (en) 2004-06-24 2013-01-15 Vertex Pharmaceutical Incorporated Modulators of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ers
CA2810655C (en) 2004-06-24 2013-12-10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Modulators of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ers
BRPI0617477A2 (pt) 2005-10-19 2011-07-26 Teva Pharma mistura de partÍculas cristalinas de laquinimod sàdica, composiÇço, processo de cristalizaÇço de laquinimod sàdica, laquinimod sàdica, e, processo para produzir uma composiÇço farmacÊutica
EP3708564A1 (en) 2005-12-28 2020-09-16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A solid form of n-[2,4-bis(1,1-dimethylethyl)-5-hydroxyphenyl]-1,4-dihydro-4-oxoquinoline-3-carboxamide
EP2035001B1 (en) 2006-06-12 2011-11-09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Stable laquinimod preparations
KR100916160B1 (ko) * 2007-02-21 2009-09-08 (주)바이오버드 약제학적 항암 조성물
EP2065380A1 (en) * 2007-08-22 2009-06-03 F.Hoffmann-La Roche Ag Pyridoneamide derivatives as focal adhesion kinase (FAK) inhibitor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PL2682120T3 (pl) 2007-12-20 2017-02-28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Stabilne preparaty lakwinimodu
BRPI0913518A2 (pt) 2008-09-03 2016-07-26 Teva Pharma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método de tratamento de um distúrbio mediado por função imune
KR101852173B1 (ko) 2009-03-20 2018-04-27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낭성 섬유증 막횡단 전도도 조절자의 조정자의 제조 방법
AU2011314411B2 (en) * 2010-10-14 2014-06-12 Immunahr Ab 1,2-dihydro-4-hydroxy-2-oxo-quinoline-3-carboxanilides as AhR activators.
US8802700B2 (en) 2010-12-10 2014-08-12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Modulators of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ers
EP2537517A1 (en) 2011-06-22 2012-12-26 Active Biotech AB Deuterium-enriched 4-hydroxy-5-methoxy-n,1-dimethyl-2-oxo-n-[(4-trifluoro-methyl)phenyl]-1,2-dihydroquinoline-3-carboxamide
CN104470518A (zh) 2012-02-27 2015-03-25 沃泰克斯药物股份有限公司 药物组合物及其施用
BR112015010193A2 (pt) * 2012-11-07 2017-07-11 Teva Pharma sais de amina de laquinimod
KR20150143499A (ko) 2013-03-14 2015-12-23 테바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라퀴니모드 나트륨의 결정 및 이의 개선된 제조방법
AU2015316824B2 (en) 2014-09-23 2020-10-29 Active Biotech Ab Quinoline carboxamide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ultiple myeloma
JP6746569B2 (ja) 2014-10-07 2020-08-26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嚢胞性線維症膜貫通コンダクタンス制御因子のモジュレーターの共結晶
KR102525805B1 (ko) * 2014-11-19 2023-04-25 액티브 바이오테크 에이비 백혈병 치료용 퀴놀린 카르복사미드
WO2019074116A1 (ja) 2017-10-13 2019-04-18 小野薬品工業株式会社 Axl阻害剤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固形がん治療剤
EP4114368A1 (en) 2020-03-03 2023-01-11 Active Biotech AB Tasquinimo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use in combination therapy
US20240091215A1 (en) 2021-01-18 2024-03-21 Active Biotech Ab Tasquinimo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yelodysplastic syndrome
IL308542A (en) 2021-05-25 2024-01-01 Active Biotech Ab Multiparticles of tesquinimod and their use
WO2023275248A1 (en) 2021-07-02 2023-01-05 Active Biotech Ab A pharmaceutical product containing tasquinimod and a method for assessing the purity of said product
WO2023039275A1 (en) * 2021-09-13 2023-03-16 Eli Lilly And Company Ahr agonist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52670B1 (en) * 1981-03-03 1988-01-20 Leo Ab Heterocyclic carboxamides,compositions containing such compounds,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GB9108547D0 (en) * 1991-04-22 1991-06-05 Fujisawa Pharmaceutical Co Quinoline derivatives
GB9404378D0 (en) * 1994-03-07 1994-04-20 Fujisawa Pharmaceutical Co Quinoline derivatives
GB2290786A (en) * 1994-06-30 1996-01-10 Fujisawa Pharmaceutical Co Quinoline derivatives
SE9801474D0 (sv) * 1998-04-27 1998-04-27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SE9802549D0 (sv) * 1998-07-15 1998-07-15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SE9802550D0 (sv) * 1998-07-15 1998-07-15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US6121287A (en) * 1998-07-15 2000-09-19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48782A (en) 2007-05-15
IL148782A0 (en) 2002-09-12
EE200200207A (et) 2003-06-16
IS6329A (is) 2002-04-02
CZ298534B6 (cs) 2007-10-31
CA2386775A1 (en) 2001-05-03
DE60034240T2 (de) 2007-12-20
EP1224172B1 (en) 2007-04-04
AU775057B2 (en) 2004-07-15
HRP20020353A2 (en) 2005-10-31
HU229072B1 (en) 2013-07-29
JP2003512454A (ja) 2003-04-02
WO2001030758A1 (en) 2001-05-03
IS2750B (is) 2011-08-15
HUP0203238A2 (hu) 2003-01-28
NO323320B1 (no) 2007-03-12
KR100674160B1 (ko) 2007-01-24
HUP0203238A3 (en) 2003-05-28
DK1224172T3 (da) 2007-08-13
HK1049830A1 (zh) 2003-05-30
ES2280258T3 (es) 2007-09-16
EP1224172A1 (en) 2002-07-24
CA2386775C (en) 2004-07-13
UA73748C2 (en) 2005-09-15
DE60034240D1 (de) 2007-05-16
SE0002320D0 (sv) 2000-06-21
ATE358668T1 (de) 2007-04-15
CZ20021293A3 (cs) 2002-07-17
NZ518296A (en) 2003-06-30
NO20021932L (no) 2002-06-21
KR20060054496A (ko) 2006-05-22
JP3950337B2 (ja) 2007-08-01
NO20021932D0 (no) 2002-04-24
KR20020043646A (ko) 2002-06-10
AU1185101A (en) 2001-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938B1 (ko) 악성 종양의 치료용 약제
US6395750B1 (en) Drugs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t tumors
US20210017163A1 (en) Hydrochloride salt form for ezh2 inhibition
US5137918A (en) N-(2'-aminophenyl)-benzamide derivativ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2016155545A1 (zh) 含氨磺酰基的1,2,5-噁二唑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WO2018157842A1 (zh) 2-(取代苯氨基)苯甲酸类fto抑制剂治疗白血病的用途
EP0887345A1 (en) 4'-trifluoromethylbiphenyl-2-carboxylic acid-[2-(2-acetylaminoethyl)-1,2,3,4-tetrahydroisoquinolin-6-yl]amide hydrochloride as apo B-secretion/MTP inhibitors
JP7205830B2 (ja) 新規アントラニル酸系化合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Pin1阻害剤、炎症性疾患の治療剤及び癌の治療剤
CN111943906B (zh) 脒类衍生物、及其制法和药物组合物与用途
US11504379B2 (en) Amide compound, and Pin1 inhibitor, therapeutic agent for inflammatory diseases and therapeutic agent for cancer that use the same
CN111233820B (zh) 含有冠醚和二(2-甲氧基乙氧基)结构的芬戈莫德衍生物
JPH01250316A (ja) 抗脂血剤
RU2240313C2 (ru) Лекарственные средства для лечения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опухолей
RU2075477C1 (ru) 1-//2-(динизший алкиламино)алкил/амино/-4-замещенные тиоксантен-9-оны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й активностью
CN107151241B (zh) 新的胺类化合物及其治疗抑郁症的用途
US20200140433A1 (en)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TWI744288B (zh) 4,9-二側氧基-4,9-二氫萘并[2,3-b]呋喃-3-羧醯胺衍生物及其用於治療增生性疾病與感染性疾病之用途
WO2022122042A1 (zh) 阿比特龙衍生物及其制备方法
JP2018168083A (ja) 新規キノリンカルボン酸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医薬
KR820001234B1 (ko) 니트로소 우레아 화합물의 제조방법
CN111548286A (zh) 一种具有hdac3抑制活性的psa衍生物及其应用
NZ199887A (en) Phenanthrol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