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872B1 -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872B1
KR100597872B1 KR1020040016596A KR20040016596A KR100597872B1 KR 100597872 B1 KR100597872 B1 KR 100597872B1 KR 1020040016596 A KR1020040016596 A KR 1020040016596A KR 20040016596 A KR20040016596 A KR 20040016596A KR 100597872 B1 KR100597872 B1 KR 100597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jig
frame
tip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252A (ko
Inventor
마사키 시게야마
Original Assignee
엠에스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아시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스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8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을 돌출가설공법(FCM공법 등)으로 시공할 때 주형 제작용 철근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한 기초설비를 구비하고, 제작된 철근조립체를 이동식작업차까지 운반시킬 수 있으며, 주형의 경사에 따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하부이동수단이 구비된 범용성 및 전용성을 가진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돌출가설공법, FCM, 이동식작업차, 지그대

Description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using a jig apparatus}
도 1a는 기존의 이동식작업차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 및 도 1c 는 종래의 이동식작업차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을 도시한 것이고, 도 1d 및 도 1e는 종래의 지그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지그대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지그대의 상하높이 조절작용 상태도이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지그대를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공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지그대 200:철근조립체
300:본 발명의 하부이동수단 310:하부 수평빔
320:높이조절빔 321:하부 높이조절봉
322:상부 높이조절봉 333:나사봉
330:상부 수평빔 340:경사지지부재
본 발명은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돌출가설공법에 있어서 주형 제작용 철근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한 기초설비를 구비하고, 제작된 철근조립체를 이동식작업차까지 운반시킬 수 있으며, 주형의 경사에 따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하부이동수단이 구비된 범용성 및 전용성을 가진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시공공법의 하나로서 돌출가설공법이란, 적당한 길이로 구분된 주형을 기 제작된 주형의 선단으로부터 단계별로 연장시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때 주형의 최 선단으로부터 주형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거푸집설치작업,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작업, 강재설치작업 등을 포함한 일체의 교량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이동식작업차이다.
상기 이동식작업차는 돌출된 작업대 등 주형의 최 선단 주형 시공에 필요한 제반 설비 및 장치가 구비된 상태에서 주형 선단 위에 캔틸레버 상태로 설치되고 그 상태에서 최 선단 주형을 위한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된 주형이 소정의 강도를 발현될 때까지 주형 및 작업대 등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이동식작업차(10)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11)은 도 1a와 같이 소요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빔 또는 형강을 다수 연결시켜 제작한 구조물로서 주형 선단에 상당한 크기 및 부피를 차지하면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제작된 메인프레임(11)이 포함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기 제작된 선단 주형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작업차의 메인프레임은 주형 등의 중량에 큰 반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주형을 구성하는 웨브(Web) 바로 위 상부지점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치되는 이동식작업차를 이용한 돌출가설공법에서 상기 이동작업차는 돌출가설공법에서 수행되는 여러 작업에 있어(예컨대 주형을 구성하는 철근조립체의 운반, 작업자 이동 및 장비의 운반 등)에 있어 장해가 될 뿐만 아니라 다른 교량에 전용하기에 매우 어려운 설치방식에 의하여 이동식작업차의 전용성 및 범용성에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즉, 도 1a와 같이 메인프레임이 주형(G1) 선단에 설치되는 종래의 이동식작업차(10)의 경우, 최 선단에 시공되어야 할 주형(G2)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주형 선단이외의 장소에서 제작된 철근조립체(20)가 주형 최 선단 하부(A)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해야 하는데 상기 철근조립체(20)를 외부에서 주형의 최 선단에 위치시키는 작업은 공사의 일괄적인 시공을 위해서 이동식작업차의 후방의 기 제작된 주형(G1) 위에서 제작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하지만 이렇게 제작된 철근조립체(20)를 주형의 최 선단에 운반하는 경로에 이동식작업차(10)의 메인프레임(11)이 위치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프레임(11)은 주형의 폭(W2)은 웨브의 폭(W1)과 동일한 폭으로서 주형의 선단 상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미리 제작한 철근조립체(20)를 주형의 최 선단 하부에 운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크레인과 같은 인양수단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1)위로 철근조립체(20)를 인 양시킨 후, 주형의 최 선단쪽으로 운반시켜야 하는 등 주형 시공에 필요한 철근조립체 운반작업이 직선적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시공성이 매우 떨어질 뿐 만 아니라 이는 결국 교량시공공기의 지연 및 공사비의 과다 소요로 이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b 및 도 1c와 같이 4 기둥빔(31)을 상부빔(32) 및 하부빔(33)으로 연결시킨 메인프레임(30)으로 형성되고, 하부빔 저면에는 기 제작된 주형의 상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메인프레임이 이동할 수 할 수 있도록 차륜을 포함하는 이동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기둥빔의 횡폭(W1)은 주형의 웨브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 이동식작업차(FT)가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2-227132호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30)의 기술적 특징은 기둥빔(31)의 횡폭(W1)을 주형의 웨브 폭(W1)보다 크게 설치함으로서 철근조립체(20) 등이 메인프레임(3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공간(S)을 형성시키되 이동식장업차가 위치하는 주형(G1)의 웨브(Web)가 위치하는 상부지점에 잭(40)에 의하여 메인프레임(30)이 지지되어 이동식작업차(FT)가 지지해야 하는 하중이 주형(G)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서 주형의 후방에서 제작된 철근조립체(20)를 주형의 최 선단으로의 직선적인 운반이 가능해져 철근조립체(20)를 제작하는 공정 및 주형의 최 선단에서 새로운 주형을 제작하는 공정이 서로 간섭됨이 없이 일괄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효과가 지대할 뿐만 아니라 메인프레임의 하부공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시공에 필요한 작업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는 등 시공성 측면에서도 매우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었다.
주형의 후방에서 제작된 철근조립체(20)를 주형의 최 선단으로의 직선적인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운반체가 상부지그대(110) 및 하부지그대(120)로 이루어진 지그대(100)이다. 상기 지그대는 일본 공개특허 2003-105719호에 소개되어 있으며 도 1d 및 도 1e는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하부지그대(120)는 주형(G1) 위로 이동하는 차륜바퀴(121)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지그대 틀(122); 하부지그대 틀(122) 상부 양 단부에 좌,우로 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 상기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 상부면에 설치된 지지틀 고정힌지슈(124); 상기 지지틀 고정힌지슈(124)에 의하여 설치된 지지틀을 지지하도록 저부 바닥판크기조정빔 상부면에 설치된 예비고정판(125);을 포함하며 제작된 철근조립체를 이동식작업차로 운반하는 운반체의 기능을 가진다.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은 하부지그대 틀(122) 양 단부에 설치되어 그 위에 제작되는 철근조립체(20)의 횡폭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즉,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을 더 벌리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철근조립체(20)의 횡폭을 더 크게 할 수 있어 다른 형식 또는 크기를 가지는 철근조립체의 제작이 필요한 경우 그 변경에 대한 전용성 및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철근조립체(20)는 크게 웨브철근 및 저부 바닥판철근으로 크게 구성될 수 있는데 특히 웨브철근을 용이하게 배근시키기 위하여 지지틀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틀이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 위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상기 지지틀 고정힌지슈(124)이다. 나아가 상기 지지틀의 높이에 따라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을 경사져 지지할 수 있는 경사부재(126)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경사부재를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 위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상기 예비고정판(125)이다. 지지틀의 높이가 낮은 경우라면 예비고정판을 굳이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지그대(110)는 하부지그대 틀(122) 상부를 이동하는 차륜바퀴(111)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지그대 틀(112); 및 상기 상부지그대 틀(112) 상부에 저부 바닥판 배근형틀(113)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은 상부지그대 틀(112) 양 단부에 설치된 고정힌지(114) 및 저부 바닥판배근형틀의 경사를 조정하는 각도조정힌지(115);에 이루어진다.
상부지그대 틀(112)은 하부에 차륜바퀴(111)가 설치되어 있어 상부지그대(110)가 하부지그대(120) 상부에 설치된 레일받침에 지지되어 이동식작업차(FT)에 설치된 상부지그대용 레일(R)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저부 바닥판배근형틀(113)은 주형의 하부 단면이 수평이 아니라 경사져 형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양 단부는 상부지그대 틀(112)에 고정힌지(114)로 회전이 구속되지 않도록 연결되고, 중앙에는 저부 바닥판배근형틀(113)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회전이 구속되지 않도록 연결된 각도조정힌지(115)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때 하부지그대 틀(122) 저면에 설치되는 차륜바퀴(121)의 경우 지지구에 의하여 그 높이가 결정될 뿐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면 그 만큼 지그대의 전용성 및 범용성에 한계를 짓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이동식작업차(FT)에 설치된 상부지그대용 레일(R)의 설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 그 높이에 따라서는 하부 및 상부 지그대(110,120)의 전체높이도 조절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주형의 상부면은 일정한 횡 경사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횡경사에 의하여 하부 및 상부 지그대(110,120) 전체가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우 자칫 철근조립체의 운반작업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조절 또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돌출가설공법에 사용되는 지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그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범용성 및 전용성을 가진 지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돌출가설공법에 의하여 주형 최 선단에 조립된 철근조립체를 운반하는 장치로서, 하부이동수단(300)을 포함하는 하부지그대(120) 및 상기 하부지그대로 위로 역시 이동가능한 상부지그대(110)로 구성되어 철근조립체(200)를 제작 및 운반할 수 있는 지그대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하부이동수단(300)은
주형(400) 위에 설치된 차륜바퀴(311) 상부에 주형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륜바퀴(311)를 연결시키는 하부 수평빔(310); 상기 하부 수평빔(310)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 길이조정봉(321) 및 하부 길이조정봉(322); 상기 상부 및 하부 길이조정봉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회전되면서 상부 및 하부 길이조정봉의 간격을 조정하는 나사봉(323);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빔(320); 상기 높이조절빔(320) 상부에 주형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높이조절빔을 연결시키는 상부 수평빔(330); 상기 상부 수평빔(330)으로부터 돌출된 정착구로부터 하부지그대 저면 단부에 형성된 정착구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경사져 연결된 경사지지부재(340);를 포함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지그대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은 (a) 이동식작업차(FT)의 후방의 기 제작된 주형(400) 위에서 신설 주형(500) 설치작업과 함께 철근조립체(200)를 제작하는 단계; (b) 기 제작된 주형(400) 선단에 고정된 이동식작업차의 메인프레임(30) 초입에 주형(400) 선단으로 본 발명의 지그대(100)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조립체(200)를 직선적으로 운반하는 단계; (c) 상기 운반된 철근조립체(200)를 메인프레임(30)의 상부레일(34)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인양수단(35)을 이용하여 메인프레임(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주형(400)의 최 선단으로 이동시킨 후, 하강시켜 기 설치된 신설 주형 세그먼트용 거푸집(M)에 안착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최 선단 주형(500)을 완성시키는 단계; (d) 최 선단 주형(500) 완성작업과 더불어 이동식작업차의 후방에서 새로운 철근조립체(200)를 반복적으로 제작하는 단계; 및 (e) 주형에 설치된 레일(600)을 새로이 완성된 주형의 상부면에 연장시킨 후 본 발명의 이동식작업차를 주형의 선단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부이동수단(300)이 하부에 설치되는 지그대(10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상부지그대(110)가 하부지그대(120) 위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지그대(110)는 철근조립체(200)가 제작되는 지그대가고, 하부지그대(120)는 상부지그대(110)에 설치된 철근조립체(200)를 함께 이동식작업차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지그대의 저면에서는 본 발명의 하부이동수단(300)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이동수단(300)에 의하여 상부지그대(110) 및 하부지그대(120)는 주형(400)의 경사에 따라 경사를 조정하거나 상부 및 하부지그대(110,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식작업차로 운반된 상부지그대(110)는 이동식작업차의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상부지그대용 레일(R) 위로 이동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상부레일(34)을 따라 철근조립체(200)가 주형 최 선단으로 이동된다.
하부지그대(120)는 본 발명의 하부이동수단(300)에 의하여 주형(400) 위에 지지되면서 이동할 수 있는 하부지그대 틀(122); 하부지그대 틀(122) 상부 양 단부 에 좌,우로 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 상기 저부 바닥판크기조정빔 상부면에 설치된 지지틀 고정힌지슈(124); 상기 지지틀 고정힌지슈(124)에 의하여 설치된 지지틀을 지지하도록 저부 바닥판크기조정빔 상부면에 설치된 예비고정판(125);을 포함하며 제작된 철근조립체를 이동식작업차로 운반하는 운반체의 기능을 가진다.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은 하부지그대 틀(122) 양 단부에 설치되어 그 위에 제작되는 철근조립체(200)의 횡폭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즉,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을 더 벌리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철근조립체(200)의 횡폭을 더 크게 할 수 있어 다른 형식 또는 크기를 가지는 철근조립체의 제작이 필요한 경우 그 변경에 대한 전용성 및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철근조립체(200)는 크게 웨브철근 및 저부 바닥판철근으로 크게 구성될 수 있는데 특히 웨브철근을 용이하게 배근시키기 위하여 지지틀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틀이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 위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상기 지지틀 고정힌지슈(124)이다. 나아가 상기 지지틀의 높이에 따라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을 경사져 지지할 수 있는 경사부재(126)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경사부재를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 위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상기 예비고정판(125)이다. 지지틀의 높이가 낮은 경우라면 예비고정판을 굳이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하부이동수단(3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주형(400) 위에 설치된 차륜바퀴(311) 상부에 주형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륜바퀴를 연결시키는 하부 수평빔(310); 상기 하부 수평빔(310)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 길이조정봉(321) 및 하부 길이조정봉(322); 상기 상부 및 하부 길이조정봉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회전되면서 상부 및 하부 길이조정봉의 간격을 조정하는 나사봉(323);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빔(320); 상기 높이조절빔(320) 상부에 주형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높이조절빔을 연결시키는 상부 수평빔(330); 상기 상부 수평빔(330)으로부터 돌출된 정착구로부터 하부지그대 저면 단부에 형성된 정착구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경사져 연결된 경사지지부재(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부이동수단(300)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4개의 기둥체가 수평빔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기둥체는 상,하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상,하 길이 조정에 의하여 상부에 설치된 하부지그대(1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이로서 하부지그대 위에 설치된 상부지그대(110) 및 철근조립체(200)의 높이도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이동수단(300)이 이동하는 주형 상부면이 경사져 형성된 경우에는 기둥체의 길이조정을 통해 기둥체의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형성된 경사에 의한 높이차를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기둥체의 역할을 하는 구성이 본 발명의 상부 및 하부길이조정봉(321,322); 상기 상부 및 하부 길이조정봉(321,322)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회전되면서 상부 및 하부 길이조정봉의 간격을 조정하는 나사봉(323);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빔(320)이다.
상기 높이조절빔(320)은 하부에 하부 수평빔(310)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지지되며 상기 하부수평빔 하부에는 지지빔을 매개로 차륜바퀴(311)가 설치된다.
상부 및 하부길이조정봉(321,322) 상부에는 하부 수평빔(310)과 마찬가지로 상부 수평빔(330)이 횡방향으로 지지되며 상부수평빔(330)은 하부지그대(120)의 저면에 지지빔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길이조정봉(321)과 하부길이조정봉(322)은 중공관 형태로 수직으로 상부 및 하부 수평빔(310,3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중공관은 나사체결부가 내면에 형성되어 나사봉(323)에 의하여 상부 길이조정봉 과 하부 길이조정봉이 서로 체결되어 연결되어 있다. 나사봉(323)에는 스크류잭이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잭을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봉(323)이 상부 및 하부 길이조정봉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부 및 하부 길이조정봉(321,322)의 간격이 커지게 되면 하부지그대(120)는 위로 상승하게 되고, 간격이 작아지게 되면 하부지그대(120)는 아래로 하강하게 되어 하부지그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수평빔(330)에는 정착구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서 한쪽 단부가 상기 정착구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 단부는 상방 경사져 하부지그대에 설치된 정착구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경사지지부재(340)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지지부재는 하부지그대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상부 수평빔(330), 길이조정봉(320) 및 하부수평빔(310)을 통하여 차륜바퀴를 통해 주형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하부이동수단(300)에 의하여 수평, 우측 으로 하방경사 및 상방경사진 주형(400)에 따라 하부이동수단(300)이 상기 경사진 주형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와 같이 주형(400)의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높이조절빔(320)의 전체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조절됨으로서 수평상태인 주형에 따라 높이조절빔 각각의 높이가 조절되고,
도 2d와 같이 우측으로 하방경사진 주형의 경우에는 좌측의 높이조절빔보다 우측의 높이조절빔의 높이가 크게 형성되도록 나사봉(323)을 회전시켜 전체적으로 하부지그대(1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도 2e와 같이 우측으로 상방경사진 주형의 경우에는 좌측의 높이조절빔보다 우측의 높이조절빔의 높이가 작게 형성되도록 나사봉(323)을 회전시켜 전체적으로 하부지그대(1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로서 하부지그대(120)를 지지하는 주형 상부면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하부이동수단(300)에 의하여 하부지그대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지그대(11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하부지그대 틀(122) 상부를 이동하는 차륜바퀴(111)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지그대 틀(112); 및 상기 상부지그대 틀(112) 상부에 저부 바닥판배근형틀(113)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은 상부지그대 틀(112) 양 단부에 설치된 고정힌지(114) 및 저부 바닥판배근형틀의 경사를 조정하는 각도조정힌지(115);에 이루어진다.
상부지그대 틀(112)은 하부에 차륜바퀴(111)가 설치되어 있어 상부지그대(110)가 하부지그대(120) 상부에 설치된 레일받침에 지지되어 이동식작업차(FT)에 설치된 상부지그대용 레일(R)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저부 바닥판배근형틀(113)은 주형의 하부 단면이 수평이 아니라 경사져 형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양 단부는 상부지그대 틀(112)에 고정힌지(114)로 회전이 구속되지 않도록 연결되고, 중앙에는 저부 바닥판배근형틀(113)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회전이 구속되지 않도록 연결된 각도조정힌지(115)에 의하여 연결된다.
본 발명의 지그대가 철근조립체를 운반하는 이동식작업차는 도 1b 및 도 1c와 같이 주형 제작을 위한 철근조립체가 메인프레임(30) 내부를 관통하여 주형(400) 최 선단에 설치되도록 4 기둥빔(31)을 상부빔(32) 및 하부빔(33)으로 연결시킨 메인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하부빔(33) 저면에는 기 제작된 주형(400)의 상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메인프레임이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바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기둥빔의 횡폭(W1)은 주형의 웨브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서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로 선단 주형의 후방에서 기 제작된 철근조립체가 관통하여 주형의 최 선단으로 운반될 수 있게 된다.
철근조립체가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으로 철근조립체를 운반시키는 역할을 본 발명의 지그대가 담당한다. 상기 지그대는 이동식작업차(FT)가 설치되는 후방의 주형 위에서 제작되는데 본 발명의 지그대를 구성하는 상부지그대(110)에는 철근조립체(200)를 제작할 수 있는 기초설비가 갖추어져 있어 지그대만으로 철근조립체를 제작,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그대를 구성하는 철근조립체가 제작되어 설치된 상부지그대가 옮겨 이동식작업차의 메인프레임에 이동될 수 있도록 개략 중앙부위에 상부지그대용 레일(R)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은 (a) 이동식작업차(FT)의 후방의 기 제작된 주형(400) 위에서 신설 주형(500) 설치작업과 함께 철근조립체(200)를 제작하는 단계; (b) 기 제작된 주형(400) 선단에 고정된 본 발명의 이동식작업차의 메인프레임(30) 초입에 주형(400) 위로 지그대(100)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조립체(200)를 직선적으로 운반하는 단계; (c) 상기 운반된 철근조립체(200)를 메인프레임(30)의 상부레일(34)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인양수단(35)을 이용하여 메인프레임(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주형(400)의 최 선단으로 이동시킨 후, 하강시켜 기 설치된 신설 주형 세그먼트용 거푸집(M)에 안착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최 선단 주형(500)을 완성시키는 단계; (d) 최 선단 주형(500) 완성작업과 더불어 이동식작업차의 후방에서 새로운 철근조립체(200)를 반복적으로 제작하는 단계; 및 (e) 주형에 설치된 레일(600)을 새로이 완성된 주형의 상부면에 연장시킨 후 본 발명의 이동식작업차를 주형의 선단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주형(400) 최 선단에 새로운 주형(500)을 설치하는 작업과 이동식작업차의 후방에 위치한 기 제작된 주형으로부터 지그대(1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운반되는 철근조립체(20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지그대(100)를 구성하는 상부지그대(110)에 상기 철근조립체(200)가 제작되는데 상부지그대(110)에는 배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치구와 같은 배근설비가 설치됨으로서 철근조립체(200)의 배근작업의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에서는 철근조립체(200)의 제작 작업과 최 선단 주형의 시공작업을 서로 일괄적인 공정에 의하여 직선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며 공기단축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b)단계는 도 3a와 같이 (a)단계에서 제작한 철근조립체(200)를 본 발명의 하부이동수단(300)이 하부에 설치된 지그대(100)를 이용하여 지지시킨 상태에서 이동식작업차의 메인프레임(3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초입까지 이동시키되 철근조립체(200) 제작 위치에서 메인프레임까지 직선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에 철근조립체의 제작 및 운반작업이 종래와 같이 메인프레임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상기 (c)단계는 도 3b 내지 도 3d와 같이 (b)단계에 의하여 메인프레임 초입까지 운반된 철근조립체(200)를 주형 최 선단에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수평이동작업이 된다. 이는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상부레일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인양수단(35)을 이용하게 된다. 상부지그대에 의하여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상부지그대 레일까지 상부지그대가 이동되면 철근조립체(200)는 상기 인양수단(35)에 의하여 인양된 상태에서 상부레일(34) 선단까지 이동된다. 주형 최 선단에 위치한 철근조립체(200)는 인양수단(35)에 의하여 하강되어 선단 주형의 하부면에 설치된 거푸집지지대(M)에 지지되어 설치된 거푸집 내부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새로운 주형을 완성시키게 된다.
상기 (d)단계는 (c)단계와는 별도로 다시 메인프레임의 후방에서 철근조립체(200)를 다시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로서 본 발명에서는 철근조립체(200)의 제작이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형이 완성될 때까지의 소요시간동안 철근조립체(200)를 제작하는 경우 곧 바로 새로운 주형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e)단계는 (d)단계와 함께 또는 별도로 주형에 설치된 레일(600)을 새로이 완성된 주형 위에 설치하고, 메인프레임(30)을 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d) 및 (e)의 단계 이후로는 (a)단계가 반복되어 새로운 주형이 계속적으로 제작될 수 있게 된다.
돌출가설공법으로 시공되는 주형 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지그대를 이용하는 경우 철근조립체의 제작 및 운반작업이 일괄적으로 진행될 수 있어 교량시공작업의 시스템화가 가능해 대폭적인 공기단축이 가능하며, 복수 주형을 포함한 주형의 구조형식의 차이에 의한 이동식작업차에 관한 제반의 제한조건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범용성 및 전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돌출가설공법의 시스템화가 가능하여 공정관리가 용이해지며, 돌출가설공법에 의한 교량시공공정에 있어 각각의 공정이 서로 간섭되지 않아 공정의 병행작업이 가능해지게 되어 공사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Claims (5)

  1. 돌출가설공법에 의하여 주형 최 선단에 조립된 철근조립체를 운반하는 장치로서, 하부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하부지그대(120) 및 상기 하부지그대로 위로 역시 이동가능한 상부지그대(110)로 구성되어 철근조립체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철근조립체를 제작 및 운반할 수 있는 지그대(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이동수단(300)은
    주형 위에 설치된 차륜바퀴 상부에 주형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륜바퀴를 연결시키는 하부 수평빔(310);
    상기 수평빔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길이조정봉; 상기 상부 및 하부 길이조정봉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회전되면서 상부 및 하부 길이조정봉의 간격을 조정하는 나사봉;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빔(320);
    상기 높이조절빔 상부에 주형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높이조절빔을 연결시키는 상부 수평빔(330); 및
    상기 상부 수평빔으로부터 돌출된 정착구로부터 하부지그대 저면 단부에 형성된 정착구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경사져 연결된 경사지지부재(3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그대(120)는
    주형(400) 위로 이동하는 차륜바퀴(121)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지그대 틀(122);
    하부지그대 틀(122) 상부 양 단부에 좌,우로 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저부 바닥판 크기조정빔(123); 및
    상기 저부 바닥판크기조정빔 상부면에 설치된 지지틀 고정힌지슈(124);
    상기 지지틀 고정힌지슈(124)에 의하여 설치된 지지틀을 지지하도록 저부 바닥판크기조정빔 상부면에 설치된 예비고정판(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그대(110)는 하부지그대 틀(122) 상부를 이동하는 차륜바퀴(111)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지그대 틀(112); 및 상기 상부지그대 틀(112) 상부에 저부 바닥판배근형틀(113)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은 상부지그대 틀(112) 양 단부에 설치된 고정힌지(114) 및 저부 바닥판배근형틀의 경사를 조정하는 각도조정힌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대.
  4. 돌출가설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동식작업차(FT)의 후방의 기 제작된 주형(400) 위에서 신설 주형(500) 설치작업과 함께 철근조립체(200)를 제작하는 단계; (b) 기 제작된 주형(400) 선단에 고정된 이동식작업차의 메인프레임(30) 초입에 주형(400) 선단으로 제 1항의 지그대(100)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조립체(200)를 직선적으로 운반하는 단계; (c) 상기 운반된 철근조립체(200)를 메인프레임(30)의 상부레일(34)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인양수단(35)을 이용하여 메인프레임(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주형(400)의 최 선단으로 이동시킨 후, 하강시켜 기 설치된 신설 주형 세그먼트용 거푸집(M)에 안착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최 선단 주형(500)을 완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d) 최 선단 주형(500) 완성작업과 더불어 이동식작업차의 후방에서 새로운 철근조립체(200)를 반복적으로 제작하는 단계; 및
    (e) 주형에 설치된 레일(600)을 새로이 완성된 주형의 상부면에 연장시킨 후 본 발명의 이동식작업차를 주형의 선단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단계;
    를 제 4항의 (c)단계 이후로 반복시켜 전체 교량을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공방법.
KR1020040016596A 2004-03-11 2004-03-11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597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596A KR100597872B1 (ko) 2004-03-11 2004-03-11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596A KR100597872B1 (ko) 2004-03-11 2004-03-11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017U Division KR200352052Y1 (ko) 2004-03-15 2004-03-15 돌출가설공법용 지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252A KR20050091252A (ko) 2005-09-15
KR100597872B1 true KR100597872B1 (ko) 2006-07-07

Family

ID=3727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596A KR100597872B1 (ko) 2004-03-11 2004-03-11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8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35B1 (ko) * 2013-10-16 2014-11-0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하로식 폼 트래블러와 선조립된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462202B1 (ko) * 2013-10-16 2014-12-24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하로식 폼 트레블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426B1 (ko) * 2011-12-27 2013-07-24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시공된 캔틸레버 구조물
CN102587295B (zh) * 2012-03-30 2014-06-11 中铁四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下承式挂篮模板微调系统及调整方法
CN108660933A (zh) * 2018-05-22 2018-10-16 湖州南浔亿康机械有限公司 一种桥梁模板拆装台车
CN110424749B (zh) * 2019-08-05 2024-03-15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用于墩身钢筋接高施工的轨道式接高架装置及其接高方法
CN114703767A (zh) * 2022-04-19 2022-07-05 中交二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挂篮施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35B1 (ko) * 2013-10-16 2014-11-0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하로식 폼 트래블러와 선조립된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462202B1 (ko) * 2013-10-16 2014-12-24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하로식 폼 트레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252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742B1 (ko)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657994B1 (ko)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CN103485530B (zh) 一种专用于高层建筑的组合式楼梯的钢模板及其组装方法
JP4403051B2 (ja) 波形鋼板ウエブ橋の架設方法
CN208533372U (zh) 一种通用钢筋笼绑扎胎架
JP2008274586A (ja) 柱頭部の施工方法
KR100597872B1 (ko)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N112647436A (zh) 多孔现浇箱涵底板及施工方法
KR20160099410A (ko)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캐스트 격벽을 이용한 터널 격벽의 시공방법
CN110847048B (zh) 一种波形钢腹板定位施工方法
KR101396434B1 (ko)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KR20000017883A (ko) 아이엘엠용 피씨박스거더 교량제작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세그멘트 제작방법
JP5221474B2 (ja) 押し出し桁の後方支持装置及び押し出し架設方法
JP4329535B2 (ja) 張出し床版用移動作業車
KR20100034097A (ko) 유형 채널 브리지 제작용 대차 시스템
JP3458176B2 (ja) トンネルにおける床版の構築方法
CN210880205U (zh) 可移动的预制t梁与小箱梁共用钢筋定位装置
KR200352052Y1 (ko) 돌출가설공법용 지그대
CN103114572A (zh) 一种地下连续墙导墙移动模架
CN216787957U (zh) 柱式检查坑现浇混凝土轨道立柱
CN214238780U (zh) 一种可伸缩的制梁台座
KR101037581B1 (ko) 이동 거푸집을 구비한 유형 채널 브리지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형 채널브리지 제작방법
KR100568430B1 (ko) 이동식작업차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N109403674B (zh) 用于桥梁施工的装配式预制厂及其施工方法
KR200352053Y1 (ko) 이동식작업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