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057B1 -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057B1
KR100596057B1 KR1020020053438A KR20020053438A KR100596057B1 KR 100596057 B1 KR100596057 B1 KR 100596057B1 KR 1020020053438 A KR1020020053438 A KR 1020020053438A KR 20020053438 A KR20020053438 A KR 20020053438A KR 100596057 B1 KR100596057 B1 KR 100596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film
cyclone
outlet
glass substrat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856A (ko
Inventor
이창하
조기성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057B1/ko
Priority to JP2003200663A priority patent/JP3970813B2/ja
Priority to CNB031545599A priority patent/CN1296264C/zh
Priority to TW92123589A priority patent/TWI228437B/zh
Publication of KR2004002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9/00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 C03B29/04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in a continuous way
    • C03B29/06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in a continuous way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products
    • C03B29/08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기판으로부터 제거한 폐필름을 처리하기 위한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유리기판으로부터 박리되어 배출되는 폐필름을 흡입하는 입구와 폐필름을 배출하는 출구를 갖는 사이클론과, 사이클론의 입구를 통하여 폐필름을 흡입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1 공기흡입수단과, 사이클론의 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폐필름을 출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2 공기흡입수단과; 사이클론의 출구에 장착되어 폐필름을 배출하는 로터리게이트와, 사이클론의 출구와 연결되어 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되는 폐필름을 덩어리로 압축한 후 그것을 바인딩하여 배출하는 자동압축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기판으로부터 제거한 폐필름의 포집, 감량 등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리기판으로부터 박리되어 배출되는 폐필름을 즉시 포집하여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폐필름의 부피를 간편하게 감량하여 적은 인력과 노력으로 폐필름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FILM OF GLASS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필름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의 출구에 장착되는 로터리게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흡입후드 20: 제1 필름이송라인
22: 제2 필름이송라인 30: 사이클론
40: 로터리게이트 42: 모터
44: 제1 로우터 46: 제2 로우터
48: 벨트전동기구 50: 기어열
60: 제1 공기흡입장치 62: 제1 터보블로워
66: 제2 터보블로워 70: 제2 공기흡입장치
72: 블로워 80: 자동압축기
본 발명은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기판으로부터 제거한 폐필름을 처리하기 위한 포집, 감량 등 일련의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 luminescent) 등 평판디스플레이(Flat display)의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는 유리기판은 유리용해로(Glass melting furnace)에서 용해된 유리물을 용해성형기에 공급하여 유리기판으로 제조한 후, 일차 규격에 맞도록 절단하고, 이것의 표면에 보호용 필름을 코팅하여 유리기판의 가공라인으로 운반한다. 유리기판의 가공라인에서는 유리기판으로부터 필름을 박리한 후, 유리기판을 평판디스플레이의 규격에 맞는 크기로 재차 절단한다. 그리고 후속하는 코팅공정에서 유리기판의 표면에 예를 들어 절연막으로 실리카(SiO2)막과 도전막으로 ITO(Indium tin oxide)막을 코팅하고 있다.
일반적인 유리기판의 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는 롤러컨베이어에 의하여 유리기판을 이송시키면서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롤러(Urethane roller)의 표면에 이송되는 유리기판의 필름을 점착하여 박리하고 있다. 그런데 우레탄롤러에 의하여 유리기판으로부터 박리한 폐필름은 작업자가 별도로 수집하여 폐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폐필름의 부피를 감량시켜 폐기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 생산비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폐필름의 효율적인 수거를 위하여 1시간에 1회 정도의 수거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바, 작업자가 폐필름 을 수거하지 않고 가공라인에 그대로 방치할 경우, 가공라인의 주위로 폐필름이 흩어져 작업환경을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가공라인의 장치들에 유입되어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수반되고 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평4-189260호에는 프레서롤(Presser roll)의 외면을 따라 점착테이프가 감겨지도록 공급하고, 프레서롤에 의하여 유리기판의 필름을 압착하면서 점착테이프에 필름을 점착시킨 후, 프레서롤을 이동시키면서 프레서롤과 연동하는 페이퍼파이프(Paper pipe)에 의하여 유리기판으로부터 필름을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폐필름의 폐기를 위한 수거와 감량에 따르는 작업의 곤란성으로 생산성의 저하와 생산비의 증가를 내포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리기판으로부터 제거한 폐필름을 효율적으로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처리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나, 폐필름의 처리를 자동화시킬 수 있는 처리장치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기판으로부터 제거한 폐필름의 포집, 감량 등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리기판으로부터 박리되어 배출되는 폐필름을 즉시 포집하여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필름의 부피를 간편하게 감량하여 적은 인력과 노력으로 폐필름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유리기판으로부터 박리되어 배출되는 폐필름을 흡입하는 입구와 폐필름을 배출하는 출구를 갖는 사이클론과; 사이클론의 입구를 통하여 폐필름을 흡입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1 공기흡입수단과; 사이클론의 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폐필름을 출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2 공기흡입수단과; 사이클론의 출구에 장착되어 폐필름을 배출하는 로터리게이트와; 사이클론의 출구와 연결되어 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되는 폐필름을 덩어리로 압축한 후 그것을 바인딩하여 배출하는 자동압축기로 이루어지는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필름 처리장치는 예를 들어 세로(mm)×가로(mm)의 크기가 370×470∼1,500×1,800 정도이고 두께가 0.4∼1.1mm 정도인 유리기판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필름을 제거하는 잘 알려진 필름 제거장치에 의하여 유리기판 가공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폐필름(1)을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설비되며, 필름 제거장치는 이송수단, 예를 들어 롤러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하여 이송되는 유리기판의 필름을 진공흡착방식에 의하여 유리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배출 한다.
본 발명의 폐필름 처리장치는 필름 제거장치에 의하여 유리기판(1)으로부터 박리되어 배출되는 폐필름(1)을 수용하는 흡입후드(Suction hood: 10)와, 이 흡입후드(10)와 제1 필름이송라인(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폐필름(1)을 흡입하는 입구(32)와 폐필름(1)을 배출하는 출구(34)가 상하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클론 (Cyclone: 30)을 구비한다. 흡입후드(1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출구(14)에는 제1 필름이송라인(20)이 연결되어 있다. 흡입후드(10)의 입구(12)는 필름 제거장치에 의하여 배출되는 폐필름(1)을 직접 수용할 수 있도록 필름 제거장치의 하부에 근접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이클론(30)의 입구(32)와 출구(34)는 수직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사이클론(30)의 입구(32)는 제1 필름이송라인(20)에 의하여 흡입후드(10)의 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흡입후드(10)가 도시되어 있으나, 흡입후드(10)는 복수의 유리기판 가공라인에 구성되는 필름 제거장치에 대응하는 숫자로 마련하여 제1 필름이송라인(20)에 의하여 사이클론(30)의 입구(32)에 연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후드(10)와 제1 필름이송라인(20)을 삭제하고 사이클론(30)의 입구(32)를 통하여 폐필름(1)을 직접 흡입하여 포집하거나 작업자가 폐필름(1)을 사이클론(30)에 투입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사이클론(30)의 출구(34)에는 사이클론(30)으로부터 폐필름(1)을 배출하는 로터리게이트(Rotary gate: 40)가 장착되어 있다. 로터리게이트(4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2)와, 사이클론(30)의 출구(34)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근접되어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1 로우터(Rotor: 44) 및 제2 로우터(46)와, 모터(42)의 구동력을 제1 및 제2 로우터(44, 46)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로우터(44)에 전달하는 벨트전동기구(48)와, 제1 로우터(44)의 회전력을 제2 로우터(46)에 전달하는 기어열(5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로우터(44, 46) 각각은 원통형 드럼(Drum: 44a, 46a)을 가지며, 드럼(44a, 46a)의 외면에 서로 협동하여 폐필름(1)을 송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날개(44b, 46b)가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드럼(44a, 46a)의 양측단에는 사이클론(30)의 양측벽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축(44c, 46c)이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로우터(44, 46) 각각은 축(44c, 46c)은 잘 알려진 베어링에 의하여 사이클론(30)의 양측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벨트전동기구 (48)는 모터(42)의 구동축(42a)에 장착되어 있는 원동풀리(48a)와, 제1 로우터(44)의 축(44c)에 장착되어 있는 종동풀리(48b)와, 원동풀리(48a)와 종동풀리(48b)에 감아걸리는 벨트(48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열(50)은 원동풀리(48a)와 반대되는 위치의 제1 로우터(44)의 축(44c)에 장착되는 원동기어(50a)와, 이 원동기어(50a)와, 제2 로우터(46)의 축 (46c)에 원동기어(50a)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종동기어(50b)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42)의 구동력을 벨트전동기구(48)에 의하여 전달받는 제1 로우터(44)가 회전되면, 제1 로우터(44)의 회전력은 기어열(50)에 의하여 제2 로우터(46)에 전달되고, 제2 로우터(46)는 제1 로우터(4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및 제2 로우터(46, 46)의 날개(44b, 46b)들은 사이클론(30)의 출구(34)를 통하여 폐필름(1) 을 송출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사이클론(30)의 입구(32)와 근접하는 위치에는 사이클론(30)을 통하여 제1 공기흡입장치(60)로 제1 터보블로워(Turbo blower: 62)가 에어라인(6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제1 공기흡입장치(60)의 에어라인(54a)에는 제1 터보블로워(6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터보블로워(66)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터보블로워(62, 66) 각각의 풍량은 14m3/min, 풍압은 250mmAg로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폐필름 처리장치를 가동할 경우, 제1 공기흡입장치(60)의 제1 및 제2 터보블로워(62, 66)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터보블로워(62)만 작동되고, 제2 터보블로워(66)는 제1 터보블로워(62)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폐필름(1)의 포집을 중단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작동시키기 위하여 예비되어 있게 된다. 사이클론(30)의 출구(34)와 근접하는 위치에 제2 공기흡입장치(70)로 블로워(72)가 에어라인(7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워(72)의 풍량은 23m3/min, 풍압은 190mmAg로 설계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터보블로워(62, 66)와 블로워(72) 각각은 진공펌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이클론(30)의 출구(34)에는 사이클론(30)을 통하여 공급되는 폐필름 (1)을 압축(Compression), 바인딩(Binding)하여 배출(Ejection)하는 자동압축기 (80)가 제2 필름이송라인(2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자동압축기(80)는 독일 안코베사(Ancove enterprise limited)에서 제품명 벨거(Welger) SB2000 시리즈로 시 판하고 있는 자동압축기로 구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필름이송라인(20, 22) 각각은 덕트(Duct)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공기흡입장치(60)의 제1 및 제2 터보블로워(62, 66)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터보블로워(62)와 제2 공기흡입장치(70)의 블로워 (62)를 작동시킨다. 유리기판의 가공라인에 설비되어 있는 필름 제거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유리기판으로부터 박리되어 배출되는 폐필름(1)은 흡입후드(10)에 수용된다. 이때, 흡입후드(10)의 입구(12)에는 제1 터보블로워(62)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의 흡입력이 사이클론(30)과 제1 필름이송라인(20)을 경유하여 작용되므로, 진공흡착롤링장치(30)의 서브롤러(37)들로부터 떨어지는 폐필름(1)은 흡입후드 (10)의 입구(12)에 곧 바로 수용된다. 그리고 폐필름(1)은 흡입후드(10)의 출구 (14), 제1 필름이송라인(20)과 사이클론(30)의 입구(32)를 통하여 사이클론(30)의 내측으로 흡입되어 포집된다.
한편, 블로워(64)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2차 공기의 흡입력은 사이클론 (30)의 입구(32)를 통하여 흡입되는 폐필름(1)이 출구(34)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사이클론(30)의 입구(32)와 출구(34)에 작용하는 내압을 제어한다. 즉, 제1 및 제2 터보블로워(62, 66) 각각의 출력이 블로워(64)의 출력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사이클론(30)의 입구(32)측에서 발생하는 내압보다 출구(34)측에서 발생하는 내압이 작게 된다. 따라서, 사이클론(30)의 입구(32)측에 대하여 출구 (32)측에는 낮은 내압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이클론(30)의 입구(32)를 통하여 흡입되는 폐필름(1)을 출구(34)로 원활하게 이동시켜 배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이클론(30)의 출구(34)로 이동되는 폐필름(1)은 모터(42)의 구동력을 벨트전동기구(48)에 의하여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로우터(44, 50)의 날개(44a, 46a)들은 폐필름(1)을 사이클론(30)의 출구 (34)를 통하여 배출하고, 사이클론(30)의 출구(34)로부터 배출되는 폐필름(1)은 제2 필름이송라인(22)을 통하여 자동압축기(80)에 공급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압축기(80)는 폐필름(1)을 덩어리로 압축한 후, 압축되는 폐필름덩어리(2a)는 결속수단, 예를 들어 철사로 바인딩하여 배출한다. 이때, 자동압축기(80)는 공급되는 폐필름(1)이 소정의 양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압축을 실시하며, 자동압축기(80)의 작동에 의하여 결속되는 폐필름덩어리(2a)의 무게는 40∼60kg 정도, 부피(cm3)는 500×400×600∼1200 정도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동압축기(80)로부터 배출되는 폐필름덩어리(2a)를 간편하게 폐기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에 의하면, 유리기판으로부터 제거한 폐필름의 포집, 감량 등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리기판으로부터 박리되어 배출되는 폐필름을 즉시 포집하여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폐필름의 부피를 간편하게 감량하여 적은 인력과 노력으로 폐필름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유리기판으로부터 박리되어 배출되는 폐필름을 흡입하는 입구와 상기 폐필름을 배출하는 출구를 갖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입구를 통하여 상기 폐필름을 흡입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1 공기흡입수단과;
    상기 사이클론의 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상기 폐필름을 상기 출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2 공기흡입수단과;
    상기 사이클론의 출구에 장착되어 상기 폐필름을 배출하는 로터리게이트와;
    상기 사이클론의 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폐필름을 덩어리로 압축한 후 그것을 바인딩하여 배출하는 자동압축기로 이루어지는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의 입구에 상기 유리기판으로부터 박리되는 폐필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흡입후드를 더 구비하는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흡입수단은 상기 사이클론의 입구에 근접하도록 연결되는 제1 터보블로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공기흡입수단은 상기 사이클론의 출구에 근접하도록 연결되는 블로워로 이루어지는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의 입구측 보다 출구측에 낮은 내압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터보블로워의 출력은 상기 블로워의 출력보다 크게 되어 있는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흡입수단은 상기 제1 터보블로워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터보블로워를 예비적으로 더 구비하는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게이트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사이클론의 출구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근접되어 평행하게 장착되며, 상기 사이클론의 출구를 통하여 상기 폐필름을 송출할 수 있도록 외면에 다수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로우터와;
    상기 제1 및 제2 로우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전동기구와;
    상기 벨트전동기구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제1 및 제2 로우터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기어열로 구성되는 유기리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KR1020020053438A 2002-09-05 2002-09-05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KR100596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438A KR100596057B1 (ko) 2002-09-05 2002-09-05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JP2003200663A JP3970813B2 (ja) 2002-09-05 2003-07-23 フィルム除去装置及びフィルム除去方法
CNB031545599A CN1296264C (zh) 2002-09-05 2003-08-15 薄膜去除装置及薄膜去除方法
TW92123589A TWI228437B (en) 2002-09-05 2003-08-27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ilm of glass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438A KR100596057B1 (ko) 2002-09-05 2002-09-05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56A KR20040021856A (ko) 2004-03-11
KR100596057B1 true KR100596057B1 (ko) 2006-07-03

Family

ID=3732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438A KR100596057B1 (ko) 2002-09-05 2002-09-05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91B1 (ko) * 2002-09-05 2006-06-19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필름 제거장치
KR101005221B1 (ko) * 2008-07-23 2011-01-21 엄재욱 도난방지기구를 가진 교량난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605U (ja) * 1990-12-13 1995-09-05 道明 藤林 有害廃棄物の回収、固化装置
KR100233891B1 (ko) * 1996-11-12 1999-12-15 곤도 도시유키 사이클론 집진기
JP2000176889A (ja) * 1998-12-16 2000-06-27 Hitachi Shonan Denshi Co Ltd 電子部品の切断搬送装置
KR200200236Y1 (ko) * 1997-11-04 2000-10-16 주식회사케이엠티 인쇄회로기판 절단장치
JP2002051950A (ja) * 2000-08-10 2002-02-19 Sharp Corp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605U (ja) * 1990-12-13 1995-09-05 道明 藤林 有害廃棄物の回収、固化装置
KR100233891B1 (ko) * 1996-11-12 1999-12-15 곤도 도시유키 사이클론 집진기
KR200200236Y1 (ko) * 1997-11-04 2000-10-16 주식회사케이엠티 인쇄회로기판 절단장치
JP2000176889A (ja) * 1998-12-16 2000-06-27 Hitachi Shonan Denshi Co Ltd 電子部品の切断搬送装置
JP2002051950A (ja) * 2000-08-10 2002-02-19 Sharp Corp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56A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0813B2 (ja) フィルム除去装置及びフィルム除去方法
CN100574990C (zh) 发泡聚苯乙烯板材表面打毛及去皮机
JP2003334499A (ja) ダスト除去装置及びダスト除去方法
KR100596057B1 (ko) 유리기판의 폐필름 처리장치
CN115364971B (zh) 一种在线边料粉碎回收装置
CN105437344B (zh) 一种破板砂光生产线
CN209792157U (zh) 一种全自动静电除尘机
KR100596046B1 (ko) 유리기판의 필름 제거방법
KR100591391B1 (ko) 유리기판의 필름 제거장치
JP2010099550A (ja) 基板洗浄装置
WO2005049238A1 (ja) ダスト除去装置及びダスト除去方法
CN201151077Y (zh) 发泡聚苯乙烯板材表面打毛及去皮机
CN214976331U (zh) 一种输送式除尘机
CN112452701B (zh) 一种工业材料分拣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228226A (zh) 一种环保型石化尾气的分离处理设备
CN2630207Y (zh) 剥膜装置
JP2018143972A (ja) 断熱材の選別装置及び選別方法
CN102815074A (zh) Oca全自动贴合压铸机
CN217888105U (zh) 一种自动加料的增粘剂生产用三辊研磨机
CN212916856U (zh) 一种适用于太阳能面板的清洁装置
CN220072649U (zh) 一种新型平板输送机
CN109693186A (zh) 一种利用抛丸技术的高效节能的具备罩壳的去毛刺系统
CN116728572B (zh) 一种岩棉板精准修边设备及其方法
CN112775063B (zh) 一种防护网自动清洗设备
CN2629911Y (zh) 砂光抛光吸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