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974B1 -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974B1
KR100594974B1 KR1020040058534A KR20040058534A KR100594974B1 KR 100594974 B1 KR100594974 B1 KR 100594974B1 KR 1020040058534 A KR1020040058534 A KR 1020040058534A KR 20040058534 A KR20040058534 A KR 20040058534A KR 100594974 B1 KR100594974 B1 KR 100594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erminal
induction heating
mold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990A (ko
Inventor
현상철
전숙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운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운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운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4005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9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전기를 발생시켜 고주파 가열을 함으로서 코일의 피복을 제거한 후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뒤에 단자를 압착시키므로, 저항이 적고 도전성이 뛰어난 인덕션 히팅 코일을 제조하게 되며, 컨트롤 패널만 조작하면 자동으로 제작공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간편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품질을 균일화시키며, 인체에 유해한 작업 공정을 개선하고 자동화함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유도가열기, 압착기, 코킹부, 금형, 권선, 가이드

Description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A METHOD FOR MAKING THE INDUCTION HEATING-COIL AND IT'S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의 코킹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의 금형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 발명의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
12: 프레임 14: 모터
16: 컨트롤 패널 18: 코일
19: 코일이송가이드 20: 고주파 유도가열기
22: 압축공기 분사장치 24: 코킹부
26: 핑거 27: 컷팅기
28: 단자 30: 피더
32: 압착기 34: 코킹 실린더
36: 로봇 38: 가이드
40: 금형부 42: 금형 실린더
44a: 상부금형 44b: 하부금형
46: 홈 48: 냉각부
50a: 상부 단자클램프 50b: 하부 단자클램프
본 발명은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전기를 발생시켜 고주파 가열을 함으로서 코일의 피복을 제거한 후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뒤에 단자를 압착시키므로, 저항이 적고 도전성이 뛰어난 인덕션 히팅 코일을 제조하게 되며, 컨트롤 패널만 조작하면 자동으로 제작공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간편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품질을 균일화시키며, 인체에 유해한 작업 공정을 개선하고 자동화함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덕션 히팅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이 도체용기를 통과할 때 와전류가 흘 러 도체용기 전체가 통째로 가열이 되도록 하는 것이 IH(Induction Heating: 유도 가열) 방식이다.
IH 방식은 주로 전기밥솥 및 IH 전기곤로에 이용되는데, 종래의 열판 가열방식은 용기의 밑바닥에서만 열이 가해지지만, IH 방식을 적용한 제품은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스테인레스 오븐에 골고루 열이 전해지기 때문에, 코일에 전기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시켜 가열하는 IH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도체로는 주로 전도율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을 사용하는데, 대형 전기기기에는 평각형의 것이 사용되며, 많이 사용되는 권선은 지름이 0.025∼3.2mm의 둥근 구리선이다. 그리고, 절연형식은 초기에는 절연 테이프 또는 실로 감은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화학공업의 발달과 더불어 에나멜선이 급속도로 증가되었다.
코일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양쪽 끝단에 단자가 결합되는 부위에 있는 핫 멜트와 에나멜과 같은 피복을 제거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코일 끝단부에 SOLDERING한 후 단자를 압착하는 방식과 코일 끝단에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킨 후 순간적으로 전기 스파크를 일으켜 발생하는 열로 스폿(spot) 용접을 하여 핫 멜트와 에나멜을 제거하였다. 하지만, 코일은 여러 가닥의 도선을 꼬아서 핫 멜트와 에나멜로 코팅하여 형성되는데, 전기 스파크를 일으켜 발생하는 열로 스폿 용접을 하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 핫 멜트와 에나멜 잔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게 된다. 따라서 전기저항이 높아지고 전류 공급이 불안전하게 되어 효율성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핫 멜트와 에나멜을 완전히 제거 한 뒤에 단자를 결합함으로서, 단자 결합부위의 전기저항을 감소시키고 도전성을 높여서 전류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전기를 발생시켜 고주파 가열을 함으로서 코일의 피복을 제거한 후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뒤에 단자를 압착시키므로, 저항이 적고 도전성이 뛰어난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트롤 패널만 조작하면 자동으로 제작공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간편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품질을 균일화시키며, 인체에 유해한 작업 공정을 개선하고 자동화함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은, 코일의 한쪽 끝을 절단하여 형성된 작업 시작점을 고주파 유도가열기에 삽입한 후, 유도전기를 발생시켜 코일의 피복을 제거하는 단계; 압축공기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피복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 코일의 작업 시작점에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단계; 로봇이 작업 시작점 단자를 하부 단자클램프에 고정시키고, 코일의 일부를 하부 금형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부 금형이 하강한 뒤 코일을 감아서 1차 및 2차 권선을 진행하는 단계; 코 일의 작업 끝점을 설정하여 고주파 유도가열기에 위치시킨 후, 유도전기를 발생시켜 코일의 피복을 제거하는 단계; 코일의 작업 끝점을 절단하여 현재 작업 코일 끝점과 다음 작업 코일 시작점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압축공기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작업 코일 끝점과 다음 작업 코일 시작점의 피복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 피복 제거부분을 핑거 사이에 위치시킨 후, 코일의 작업 끝점을 절단하여 현재 작업 코일 끝점과 다음 작업 코일 시작점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현재 작업 코일 끝점과 다음 작업 코일 시작점에 각각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단계; 코일의 끝점 단자를 상부 단자클램프에 고정시킨 후, 양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핫 멜트를 녹임으로서 코일 성형을 완료하는 단계; 및 성형이 완료된 코일을 냉각시킨 후 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처음 작업을 시작할 때 코일의 한쪽 끝을 절단하여 작업 시작점을 형성하고, 상기 시작점을 고주파 유도가열기에 삽입한다. 고주파 유도가열기에 전원을 공급하면 유도전기가 발생하여 와전류가 생성되고, 이것이 코일의 피복을 제거하게 된다. 코일의 피복으로는 핫 멜트와 에나멜이 이용되는데, 코일은 여러 가닥을 꼬아서 형성되기 때문에 고주파로 피복을 태우더라도 피복이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고 코일 내부에 일부 잔류물이 남게 된다. 피복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으면 전기저항이 커져서 제품 사용시 성능이 저하되므로, 압축공기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피복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한다. 이 때, 압축공기 분사장치 대신 컴프레셔나 공기 흡입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코일 작업 시작점의 피복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면, 작업 시작점을 핑거에 물리도록 설치한다. 이 때 코일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코일이송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며, 핑거는 코일의 시작점이 단자에 삽입되도록 이동시킨다. 그런 후, 압착기가 작동하여 코일과 단자를 결합시킨다. 상기 단자는 자동 피더에 의하여 자동으로 공급된다.
코일 시작점에 단자가 결합된 후에는 로봇이 단자를 잡아서 이송시킨다. 먼저, 작업 시작점 단자를 하부 단자클램프에 고정시키고, 코일의 일부를 하부금형에 형성된 홈에 삽입한다. 작업 시작점과 코일 일부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서 권선 작업을 진행할 때 코일이 엉키지 않고 조밀하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코일의 작업 시작부분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회전함으로서 권선 작업이 진행된다. 권선 작업을 마친 후,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작동시켜 내부에 위치한 코일의 피복을 제거한다. 그런 후 압축공기 분사장치를 작동시켜 피복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피복 제거 부분을 두 개의 핑거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절단한다. 절단된 코일의 앞부분은 권선 작업이 종료된 코일의 작업 끝점이 되고 뒷부분은 현재 작업이 종료된 뒤 다음 작업의 시작점이 된다. 절단된 양쪽을 동시에 각각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킨 후, 다음 작업의 시작점은 대기하도록 하고 현재 작업 코일의 끝점 단자를 상부 단자클램프로 로봇이 이동시킨다.
이로써 권선이 완료되고 코일의 양쪽 끝은 피복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단자와 결합되어 각각 단자클램프에 고정된다. 그런데 권선 작업은 되었으나 코일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양쪽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코일 피복의 핫 멜트를 녹임으로서 하나의 도체 형상으로 성형을 완료한다.
핫 멜트를 녹인 전기열로 인해 코일 온도가 높아져 있으므로 냉각 공기 또는 냉각수를 공급하여 코일 온도를 낮춘 후에, 상부금형을 상승시키고 제품을 취출하면 본 발명의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에 따른 코일 성형이 완료된다.
코일 성형을 지속해서 반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 작업 시작점에 단자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시작점 단자를 로봇이 하부 단자클램프로 이동시키는 공정부터 반복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는 코일(18)이 투입되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코일이송가이드(19)와; 상기 코일이송가이드(19)로부터 공급되는 코일(18) 표면에 코팅된 피복을 제거하도록, 상기 전기를 유도하여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유도가열기(20)와; 상기 코일(18)의 전기저항을 감소시키고 안정적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피복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압축공기 분사장치(22)와; 피복이 제거된 상기코일(18)의 시작점과 끝점에 단자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18)을 고정시키는 핑거(26), 단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피더(30), 단자(28)를 압착시켜 코일(18)과 결합되도록 하는 압착기(32)로 구성되는 코킹부(24)와; 상기 단자가 압착된 코일(18)을 감아서 권선시키도록 형성된 회전가능한 상부금형(44a)과 하부금형(44b), 및 시작점과 끝점의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성형을 완료하도록 단자를 고정시키는 단자클램프(50)로 구성되는 금형부(40)와; 상기의 각 장치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2)과; 작업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코일(18)을 상기의 각 장치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12)에 설치되는 가이드(38)를 따라 이동하는 로봇(36)과; 상기 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장치(22)와 코킹부(24)와 금형부(40) 및 로봇(36)이 작동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14)와;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20)와 압축공기 분사장치(22)와 코킹부(24)와 금형부(40) 및 로봇(3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컨트롤 패널(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평면상에서 볼 때, 코킹 실린더(34)가 전면에 설치되고 두 개의 핑거(26)와 핑거(26) 사이에 위치하는 컷팅기(27)가 중심에 설치되며, 단자(28)를 공급하는 자동 피더(30) 및 단자(28)를 압착하여 코일(18)과 결합시키는 압착기(32)로 구성된 코킹부(24)가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금형(44b)의 일측에는 권선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시작점 방향의 코일 일부를 고정시키는 홈(4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성형이 완료된 코일(18)을 냉각시켜서 취출하도록 상기 하부금형(44b)에 공냉식 또는 수냉식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각부(48)가 설치될 수 있다.
각 장비들은 프레임(1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모터(14)에 전원을 공급하면 각 장비들이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먼저 코일(18)의 끝을 절단하여 코일이송가이드(19)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함으로서 작업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코일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고주파 유도가열기(20)는 코일(18)을 감싸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다. 코일(18)이 삽입되면 유도전기를 발생하여 와전류를 형성함으로서 코일(18)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핫 멜트와 에나멜을 태우게 된다. 이에 따라 코일(18) 외부 피복은 대부분 제거되지만, 코일(18) 내부는 여러 가닥의 도선을 꼬아서 형성되므로 고주파 가열을 하더라도 피복 잔류물이 내부 도선에 어느 정도 존재하게 된다. 피복 잔류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제품 사용시 전기저항이 커져서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압축공기 분사장치(22)를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코일과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킨 후에 전기 스파크를 일으켜 발생하는 열로 용접하는 스폿(spot) 용접 방식으로 피복을 제거했는데, 코일의 피복 잔류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음으로서 전기저항이 크고 전류흐름이 불안정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단자 결합부위의 피복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한 뒤에 단자를 압착하여 코일과 결합시키면, 전기저항을 감소시키고 전류흐름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피복이 제거된 코일(18)은 핑거(26)로 이동되는데, 최초 작업시에는 도면의 좌측에 위치하는 핑거(26a)만 작동하고 우측 핑거(26b)는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좌측 핑거(26a)가 코일(18)의 시작점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90도 회전하면, 코킹 실린더(34)가 밀어서 압착기(32)로 이동한다. 압착기(32) 후면에 설치된 자동 피더(30)에서 단자를 공급하여 코일(18)에 물리도록 한 후, 압착기(32)가 작동하여 코일(18)과 단자를 결합시키면, 핑거(26)는 코일(18)과 함께 본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런 후 로봇(36)이 코일(18)의 시작점 단자(28)를 이동시켜 하부 단자클램프(50b)에 고정시키는데, 이 때 단자(28)에 연결된 코일(18)의 일부분은 하부금형(44b)에 형성된 홈(46)에 위치하게 된다.
시작점 단자(28)가 하부 단자클램프(50b)에 고정되면 상부금형(44a)이 하강하여 하부금형(44b)과 결합한 후 회전하여 권선 작업이 진행된다. 권선이 진행됨에 따라서 코일(18) 전체가 금형(44) 방향으로 제품 길이만큼 이동하게 된다. 권 선 작업이 끝나면, 코일(18)의 끝점에 단자(28)를 연결하기 위하여 절단 작업을 하는데, 절단을 하기 전에 고주파 유도가열기(20)와 압축공기 분사장치(22)에서 피복 제거작업을 먼저 진행한다. 상기 피복 제거작업은 코일(18) 시작점에 대하여 한 것과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것이다.
코일(18)의 피복을 완전히 제거한 후, 로봇(36)을 작동시켜 피복제거부분을 두 개의 핑거(26) 사이에 위치시키고 컷팅기(27)를 작동시켜 절단한다. 처음 작업을 시작할 때와는 달리 두 개의 핑거(26)가 모두 코일(18)을 잡고 있게 되는데, 우측 핑거(26b)는 현재 작업중인 코일(18)의 끝점을, 좌측 핑거(26a)는 다음 작업 코일의 시작점을 잡게 된다. 두 개의 핑거(26)가 동시에 코킹부(24) 방향으로 각각 90도 회전하고, 단자(28)가 결합된 후 본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런 후, 좌측 핑거(26a)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로봇(36)이 우측 핑거(26b)에 위치한 단자(28)를 상부 단자클램프(50a)로 이동시킨다. 권선이 완료된 상태에서 피복을 녹여 하나의 도체로 형성하도록 양쪽 단자(28)에 전류를 공급하여 코일(18) 피복을 형성하는 핫 멜트를 녹인다. 고주파 가열을 할 때와는 달리 핫 멜트가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열에 의하여 녹으면서 금형(44)에 감겨있던 코일(18)이 한 덩어리로 성형되어 본 발명의 인덕션 히팅 코일 제작이 완성된다.
그런데 전기열을 가하여 제품이 최종적으로 완성되므로, 금형(44)을 열어서 제품을 취출하기에 앞서 냉각을 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방식은 공냉식과 수냉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부금형(44b)의 아래쪽에 냉각부(48)를 형성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의 코킹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코킹부(24)는 단자를 공급하는 피더(feeder, 30), 및 단자(28)를 압착하여 코일(18)과 결합시키는 압착기(32)로 구성된다.
피더(30)는 단자(28)가 압착기(32)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자동으로 작동한다. 핑거(26)가 코일(18)을 압착기(32)로 삽입하면 압착기(32)가 작동하여 단자(28)와 코일(18)을 결합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의 금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로봇(36)은 x, y, z축의 3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38)를 따라 이동하므로 코일(18)의 끝단에 결합된 단자(28)를 필요한 위치로 옮길 수 있다. 또한, 금형 실린더(42)의 작동에 따라 상부금형(44a)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인덕션 히팅 코일을 제조하게 되며, 제품 취출 후 연속해서 제품을 제조하고자 한다면, 좌측 핑거(26)에 코일(18)이 단자(28)와 결합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좌측 핑거(26)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28)를 하부 단자클램프(50b)로 로봇(36)이 이동시키는 단계부터 작업을 반복하면 된다.
상기 제조과정에 있어서, 각 장치들은 컨트롤 패널(16)만 작동시키면 자동으로 작동하므로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전기를 발생시켜 고주파 가열을 함으로서 코일의 피복을 제거한 후,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뒤에 단자를 압착시키므로 저항이 적고 도전성이 뛰어난 인덕션 히팅 코일을 제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만 조작하면 자동으로 제작공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간편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품질을 균일화시키며, 인체에 유해한 작업 공정을 개선하고 자동화함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일의 한쪽 끝을 절단하여 형성된 작업 시작점을 고주파 유도가열기에 삽입한 후, 유도전기를 발생시켜 코일의 피복을 제거하는 제 1단계;
    압축공기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피복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 2단계;
    코일의 작업 시작점에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제 3단계;
    로봇이 작업 시작점 단자를 하부 단자클램프에 고정시키고, 코일의 일부를 하부 금형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설치하는 제 4단계;
    상부 금형이 하강하여 금형을 닫은 뒤 코일을 감아서 1차 및 2차 권선을 진행하는 제 5단계;
    코일의 작업 끝점을 설정하여 고주파 유도가열기에 위치시킨 후, 유도전기를 발생시켜 코일의 피복을 제거하는 제 6단계;
    압축공기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의 피복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 7단계;
    피복 제거부분을 핑거 사이에 위치시킨 후, 코일의 작업 끝점을 절단하여 현재 작업 코일 끝점과 다음 작업 코일 시작점을 동시에 형성하는 제 8단계;
    현재 작업 코일 끝점과 다음 작업 코일 시작점에 각각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제 9단계;
    코일의 끝점 단자를 상부 단자클램프에 고정시킨 후, 양 단자에 전류를 공급 하여 핫 멜트를 녹임으로서 코일 성형을 완료하는 제 10단계; 및
    성형이 완료된 코일을 냉각시킨 후 제품을 취출하는 제 11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자동으로 작업을 반복할 때, 제품 취출 후 4단계 공정부터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압축공기 분사장치 대신 컴프레셔, 또는 공기 흡입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4.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에 있어서,
    코일(18)이 투입되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코일이송가이드(19)와;
    상기 코일이송가이드(19)로부터 공급되는 코일(18) 표면에 코팅된 피복을 제거하도록, 상기 전기를 유도하여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유도가열기(20)와;
    상기 코일(18)의 전기저항을 감소시키고 안정적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피복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압축공기 분사장치(22)와;
    피복이 제거된 상기코일(18)의 시작점과 끝점에 단자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18)을 고정시키는 핑거(26), 단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피더(30), 단자(28)를 압착시켜 코일(18)과 결합되도록 하는 압착기(32)로 구성되는 코킹부(24)와;
    상기 단자가 압착된 코일(18)을 감아서 권선시키도록 형성된 회전가능한 상부금형(44a)과 하부금형(44b), 및 시작점과 끝점의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성형을 완료하도록 단자를 고정시키는 단자클램프(50)로 구성되는 금형부(40)와;
    상기의 각 장치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2)과;
    작업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코일(18)을 상기의 각 장치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12)에 설치되는 가이드(38)를 따라 이동하는 로봇(36)과;
    상기 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장치(22)와 코킹부(24)와 금형부(40) 및 로봇(36)이 작동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14)와;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20)와 압축공기 분사장치(22)와 코킹부(24)와 금형부(40) 및 로봇(3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컨트롤 패널(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44b)의 일측에는 권선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시작점 방향의 코일 일부를 고정시키는 홈(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성형이 완료된 코일(18)을 냉각시켜서 취출하도록 상기 하부금형(44b)에 냉각부(4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장치.
KR1020040058534A 2004-07-27 2004-07-27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KR100594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534A KR100594974B1 (ko) 2004-07-27 2004-07-27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534A KR100594974B1 (ko) 2004-07-27 2004-07-27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990A KR20060009990A (ko) 2006-02-02
KR100594974B1 true KR100594974B1 (ko) 2006-06-30

Family

ID=3712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534A KR100594974B1 (ko) 2004-07-27 2004-07-27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7053B (zh) * 2012-05-08 2013-09-25 广安市超颖电子科技有限公司 微型电机线圈的线头自动吹直装置
KR101601177B1 (ko) * 2014-12-15 2016-03-08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히팅코일 압착 권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850A (ko) * 1994-12-30 1996-07-20 구자홍 유도가열 밥솥의 유도코일 자동권선장치와 자동권선방법
JP2003036965A (ja) 2001-07-23 2003-02-07 Mitsubishi Heavy Ind Ltd 誘導加熱装置と塗装塗膜除去装置及び塗装塗膜除去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850A (ko) * 1994-12-30 1996-07-20 구자홍 유도가열 밥솥의 유도코일 자동권선장치와 자동권선방법
JP2003036965A (ja) 2001-07-23 2003-02-07 Mitsubishi Heavy Ind Ltd 誘導加熱装置と塗装塗膜除去装置及び塗装塗膜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990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8044B1 (en) Connecting structure and its connecting method, and rotating machinery and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using this structure and method
CN103427571A (zh) 连结马达的定子线圈的方法
KR100594974B1 (ko) 인덕션 히팅 코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JPS63235081A (ja) スポツト溶接機
US11909152B2 (en) Electrical device with terminal reg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terminal region
EP3120425B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an electrical terminal to one or more electrical conductors, whether insulated or not, and electrical terminal suitable for this purpose
CN210608734U (zh) 定子总成及电机
JP2003145274A (ja) 熱圧着端子の製造方法及び熱圧着端子
JP2006331765A (ja) 巻線の端末接続方法
CN209071614U (zh) 一种多点接线用强化电线
JP3427802B2 (ja) トランス
JPH0890218A (ja) 熱交換器用ベント管のロウ付け方法及びその装置及びそのロウ付け用加熱コイル
KR102061250B1 (ko) 인덕션 히팅코일 단자 압착 휴징 자동화시스템
CN109473788A (zh) 一种多点接线用强化电线
CN112404626B (zh) 一种利兹线焊接装置
CN216056550U (zh) 一种应用扁铜线的航空电机定子端部连接结构
CN110855097A (zh) 一种定子的生产方法、电机及空调系统
JP2005251744A (ja) 塗料絶縁された複数の電気導線の間で電気接続を成立させる方法
JP2539414Y2 (ja) アーク加工装置用電力ケーブル
KR19980022166A (ko)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KR20060013746A (ko) 고압 트랜스포머의 단자 연결구조 및 방법
CN109787069A (zh) 一种剥编织层机以及剥编织层工艺
TW202213909A (zh) 風扇定子結構製造方法
JP2009199811A (ja) 回転電機およびこれに用いる導線の接合方法
JPS5818413Y2 (ja) 銅線の絶縁被覆剥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