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875B1 -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875B1
KR100594875B1 KR1020060024940A KR20060024940A KR100594875B1 KR 100594875 B1 KR100594875 B1 KR 100594875B1 KR 1020060024940 A KR1020060024940 A KR 1020060024940A KR 20060024940 A KR20060024940 A KR 20060024940A KR 100594875 B1 KR100594875 B1 KR 100594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n
sleeve
traveling cart
fastener
driv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06002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 E01C23/097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materials, e.g. crack sea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 E01C19/17Application by spraying or thro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4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for heating or drying foundation, paving, or materials thereon, e.g. pa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형 운전손잡이(51)가 돌출상태로 장착된 주행카트(50)상의 연료 및 유제탱크(T1, T2)에 각각 연결되면서, 압력펌프(P)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L1, L2)들의 단부에 설치되어, 밸브(V1, V2)의 작동상태에 따라 화염 및 접착유제를 분사하는 토치(52) 및 노즐(54)들과; 상기 토치(52) 및 노즐(54)들을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경사고정시키는 분사구 고정유닛(60)과;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를 승강 및 수평이동시키는 승강 및 수평이동유닛(70, 80) 및; 상기 주행카트(50)를 견인하는 견인차량(92)으로 이루어진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손잡이(51)의 돌출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주행카트(50)의 양측방에 장착되어 상기 운전손잡이(51)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슬리브(112) 및, 상기 슬리브(112)를 관통하여 삽입된 상기 운전손잡이(51) 단부의 체결공(51a)에 체결되면서 상기 운전손잡이(51)를 상기 슬리브(112)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체결구(114)로 이루어진 길이조절유닛(1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을 통해 아스콘 접합면에 화염 및 접착유제를 도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길이조절유닛(110)을 통해 상기 운전손잡이(5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스콘, 접합부, 전처리, 가열, 접착

Description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 PRETREATMENT APPARATUS FOR ASCON JOINNING PART }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로용 가열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도로용 접착유제 분사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견인차량의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승강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토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노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경사안내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턴버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주행카트에 설치된 운전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연료탱크를 고정시키는 연료탱크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전처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주행카트 52 : 토치
54 : 노즐 60 : 고정유닛
62 : 수평장착대 64 : 수직장착대
66 : 고정부재 68 : 경사안내판
70 : 승강유닛 72 : 돌출부
74 : 피벗부재 76 : 핸들
80 : 수평이동유닛 82 : 수평관
84 : 체결부재 92 : 견인차량
94 : 커플러 110 : 길이조절유닛
112 : 슬리브 114 : 체결구
120 : 체결보조부재 122 : 단부경사관
124 : 체결봉 126 : 탄성체
128 : 레버 130 : 경사각도 조절유닛
132 : 힌지부재 134 : 가이드부재
142 : 고정고리 144 : 스트랩
146 : 파지고리 PH : 펌프호스
SO : 솔레노이드 SW : 스위치
본 발명은 아스팔트 도로의 재포장에 사용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층이 제거된 아스팔트 도로의 기층에 아스콘이 재포장됨에 따라 형성되는 아스콘의 접합부를 전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도로를 재포장하기 위해서는 표층을 제거하여 기층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노출된 기층의 1개 차로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1개 차로만을 우선적으로 재포장한 후 순차적으로 옆의 차로를 재포장한다.
그러나, 이렇게 1개 차로씩 재포장을 할 경우, 먼저 포장된 아스콘은 냉각되면서 경화되고, 다음에 재포장되는 차로의 아스콘은 고온을 유지함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아스콘의 접합면은 온도차에 의해 접합력이 매우 약화된다.
이와 같이 아스콘 접합면의 접합력이 매우 약화됨에 따라 접합된 경계면이 단기간에 균열되거나 박리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된 등록 제20-0396561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도로용 가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가열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손잡이(1)가 장착된 카트(2)상의 연료탱크(3) 및 연료공급라인(4)을 통해 연료가 공급되면, 카트(2)의 하부에 장착된 토치(5)가 화염을 분사하여 도로의 노면을 가열한다.
또, 첨부된 도 2는 일본국의 특허공개 제2001-262510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도로용 접착유제 분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접착유제 분사장치는 차량(10)에 설치된 노즐(11)이 유제탱크(12) 및 유제공급라인(13)을 통해 공급되는 접착유제를 도로에 도포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로용 가열장치 및 접착유제 분사장치는 아스콘이 도포될 도로를 가열하여 전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전에 접착유제를 도포하여 전처리 할 수 있는 잇점은 있으나, 따로 따로 운용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화염 및 접착유제가 도로의 평활한 노면상에만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수직상태의 아스콘 접합면에는 화염 및 접착유제를 분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개 차로씩 재포장되면서 접합되는 아스콘 접합면의 접합력 약화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도로용 가열장치는 상기 운전손잡이(1)가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운전자가 용이하게 상기 카트(2)를 운전할 수 없는 문제도 있으며, 상기 연료탱크(3)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장치가 없다는 안전상의 문제도 있다.
한편, 수직상태의 아스콘 접합면에 화염 및 접착유제를 분사하는 장치는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표층이 제거된 아스팔트 도로의 기층상에 우선적으로 재포장되는 1개 차로의 아스콘 접합면과, 순차적으로 재포장되면서 이 아스콘 접합면과 접합되는 측방 차로의 아스콘 접합면이 서로 친화되면서 강력하게 접착되도록, 우선적으로 재포장된 수직상태의 아스콘 접합면을 가열할 뿐만 아니라 접착유제도 도포하여 전처리하는 주행이 가능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주행을 통제하는 운전손잡이의 길이 및 높이가 조절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탱크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파지하여 연료탱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는, 운전손잡이가 돌출상태로 장착된 주행카트상의 연료 및 유제탱크에 각각 연결되면서, 압력펌프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들의 단부에 설치되어 밸브의 작동에 따라 화염 및 접착유제를 분사하는 토치 및 노즐들과; 상기 토치 및 노즐들을 상기 주행카트의 측방에 일렬로 경사고정시키는 분사구 고정유닛과;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을 승강 및 수평이동시키는 승강유닛과 수평이동유닛 및; 상기 주행카트를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견인하는 견인차량으로 이루어진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손잡이의 돌출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주행카트의 양측방에 장착되어 상기 운전손잡이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를 직교상태로 관통하여 삽입된 상기 운전손잡이 단부의 체결공에 체결되면서 상기 운전손잡이를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핀이나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이루어진 길이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행카트에 의해 이동하는 토치 및 노즐이 우선적으로 재포장된 아스콘 접합부에 화염 및 접착유제를 분사하므로 우선적으로 포장된 아스콘 접합부를 용이하게 전처리할 수 있다.
또, 우선적으로 재포장된 아스콘 접합부가 토치 및 노즐에 의해 전처리되므로 전처리된 아스콘 접합부 및 이 아스콘 접합부의 측방 차로에 재포장되는 아스콘 접합부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유닛에 의해 토치 및 노즐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화염 및 접착유제를 아스콘 접합부에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이동유닛에 의해 토치 및 노즐의 돌출폭이 조절되므로 화염 및 접착유제를 아스콘 접합부에 보다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다.
또, 길이조절유닛 및 경사각도 조절유닛에 의해 주행카트에 장착된 운전손잡이의 길이 및 각도가 조절되므로 운전자가 주행카트를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보조부재를 이용하여 운전손잡이를 주행카트의 슬리브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견인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 된 전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승강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토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노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경사안내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턴버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주행카트에 설치된 운전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연료탱크를 고정시키는 연료탱크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전처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카트(50)와 분사구 고정유닛(60) 및 승강유닛(70)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주행카트(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파이프형태의 돌출된 운전손잡이(51)와 중앙륜(50a) 및 양측륜(50b)가 상부 및 하부에 장착되고,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L1, L2)들과 연결된 연료 및 유제탱크(T1, T2)가 탑재되며, 측방에는 상기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L1, L2)들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장착된 토치(52) 및 노즐(54)들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유제탱크(T2)는 접착유제가 충전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편축회전하는 개폐도어식 유제주입구(T2')가 설치된다.
즉, 상기 유제주입구(T2')는 편축회전하면서 개폐되며, 접착유제는 상기 유제주입구(T2)의 개방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L1, L2)은 상기 연료 및 유제탱크(T1, T2)의 연료 및 접착유제가 분산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관(M1, M2) 및 분배관(S1, S2)으로 구성되며, 이에 더하여 연료 및 접착유제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V1, V1', V2, V2')로 구성된다.
즉, 제어밸브(V1, V1', V2, V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관(M1, M2) 및 상기 분배관(S1, S2)에 제각기 장착되어 연료 및 접착유제를 이중으로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밸브(V1, V2)는 상기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L1, L2)의 유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V1, V2)를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SO) 및; 상기 솔레노이드(SO)의 작동을 제어하는 후술되는 견인차량(92)의 조향핸들(HA)에 장착된 스위치(SW);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밸브(V1, V2)는 상기 스위치(SW)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솔레노이드(SO)에 의해 상기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L1, L2)을 개폐한다.
한편, 상기 유제공급라인(L2)은 상기 유제탱크(T2)의 접착유제가 압력에 의해 상기 노즐(54)에 공급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펌프(P)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압력펌프(P)는 후술되는 견인차량(92)에 의해 작동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차량(9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자체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주행카트(50)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견인차량(92)의 상기 조향핸들(HA)에 장착된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조향핸들(HA)의 내부에 배선된 전선 및 상기 전선에 연결된 후술되는 커넥터 (C, C')를 통해 상기 토치(52)에 장착된 점화플러그(IP)와 연결된다.
즉, 상기 토치(52)에는 상기 스위치(SW)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점화플러그(IP)가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조향핸들(HA)에 내장된 전선 및 상기 커넥터(C, C')를 통해 상기 점화플러그(IP)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 상기 스위치(SW)는 후술되는 복수개의 버튼(B)을 통해 상기 점화플러그(IP)의 작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상기 솔레노이드(SO)의 작동도 제어한다.
다음,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구에 해당하는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들이 아스콘 접합부를 향하도록,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수평설치되는 관통구(62a)가 단부에 형성된 수평장착대(62)와, 상기 관통구(62a)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수직장착대(64) 및, 상기 수직장착대(64)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토치(52) 및 노즐(54)들을 아스콘 접합부를 향해 정렬시키면서 관통상태로 경사고정시키는 관통공(66a) 및 지그(66b, 66b')가 형성 및 장착된 경사판과 같은 고정부재(6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평장착대(62)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막대로 형성되며,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장착되거나 후술되는 상기 수평이동유닛(80)의 수평관(82) 및 체결부재(84)에 의해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장착된다.
또, 상기 수직장착대(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봉으로 형성되며,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66)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거나 후술 되는 상기 승강유닛(70)의 피벗부재(74)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66)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계속해서, 상기 승강유닛(70)은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이 승강하도록,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장착대(64)의 하단부에 일체로 장착(용접이나 정지나사에 의해 볼팅고정됨)되는 칼라와 같은 돌출부(72)와, 상기 돌출부(72)의 상부를 감싸서 상기 수직장착대(64)를 공회전이 가능하게 파지하는 동시에 일부분이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고정부재(66)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유니언너트와 같은 피벗부재(74)와, 상기 수직장착대(64)의 상단에 장착되는 핸들(76) 및, 상기 수직장착대(64)의 외주면 및 상기 수평장착대(62)의 상기 관통구(62a)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나사결합하는 수나사 및 암나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장착대(64)는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상기 수나사가 형성됨에 따라 리드스크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장착대(62)의 상기 관통구(62a)는 내주면에 상기 암나사가 형성됨에 따라 너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고정부재(66) 상부에는, 상기 토치(52) 및 노즐(54)에서 분사되는 화염 및 유제가 아스콘 접합부에 집중되도록, 아스콘 접합부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면서 화염 및 유제의 분사를 아스콘 접합부로 안내하는 경사안내판(68)이 힌지(H)에 의해 경사지게 장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안내판(68)을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는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수평장착대(62)가 수평이동하도록, 상기 주행카트(50)에 수평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수평장착대(62)가 끼워지는 수평관(82)과, 상기 수평관(82)을 직교상태로 관통하여 상기 수평장착대(62)에 체결되는 핀이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4)로 이루어진 수평이동유닛(80);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는 상기 주행카트(50)의 주행이 용이하도록, 상기 주행카트(5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견인차량(92)을 더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고정부재(66)에 장착된 상기 지그(66b, 66b')는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들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66)상의 상기 관통공(66a) 테두리에 용접으로 부착되어 상기 관통공(66a)을 관통하는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링(66b) 및; 상기 지지링(66b)을 관통하여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에 체결되는 볼트와 같은 지지구(66b');를 포함한다.
즉,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은 상기 지지링(66b)에 삽입된 후 상기 지지구(66b')에 의해 상기 지지링(66b)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볼트와 같은 상기 지지구(66b')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보수나 교체시에는 상기 지지링(66b)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된다.
한편,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수직장착대(62)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벗부재(74)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직장착대(62)는 상기 피벗부재(74)가 용접에 의해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고정부재(66)에 일측이 부착됨에 따라, 상기 피벗부재(74)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66)에 연결된다.
또,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수평장착대(62)는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동유닛(80)의 상기 수평관(82)에 끼워진 후, 상기 수평관(82)을 관통하는 상기 체결부재(84)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견인차량(92)은 상기 주행카트(50)의 견인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핸들(HA)과 구동륜(92a)과 상기 구동륜(92a)을 구동시키는 엔진(92b) 및, 상기 엔진(92b)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통(92c)을 포함한다.
또, 상기 견인차량(92)은 주행속도의 변속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핸들(HA)에 변속기(9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견인차량(92)은 전술한 상기 압력펌프(P)를 작동시키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92b)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92-1)와, 상기 구동풀리(92-1)에 벨트(92-2)로 연결되고, 상기 압력펌프(P)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종동풀리(92-3)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압력펌프(P)는 상기 엔진(92b)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견인차량(92)에 장착된 상기 압력펌프(P)는 상기 종동풀리(92-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펌핑압력이 전술한 상기 유제공급라인(L2)에 전달되록 압력호스(PH)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압력호스(PH)는 펌핑압력을 분산시켜서 전달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견인차량(92)에는 전술한 상기 솔레노이드(SO) 및 상기 점화플러그(IP)가 작동되도록, 상기 조향핸들(HA) 내부의 배선을 통해 상기 스위치(SW)와 연결된 도시된 바와 같은 암형커넥터(C)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암형커넥터(C)는 후술되는 수형커넥터(C')와 접속이 용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차량(92)의 전방측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솔레노이드(SO) 및 상기 점화플러그(IP)를 한꺼번에 제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버튼(B)이 장착된다.
즉, 상기 버튼(B)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솔레노이드(SO)의 작동을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점화플러그(IP)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호스(PH)들 중 하나는 상기 압력펌프(P)의 펌핑압력이 상기 유제공급라인(L2)에 전달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제공급라인(L2)의 상기 메인관(M2)에 연결되면, 다른 하나는 상기 유제탱크(T2)의 압력이 상승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제탱크(T2)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유제탱크(T2)에 연결되는 상기 압력호스(PH)는 상기 유제탱크(T2)의 압력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유제탱크(T2)에 저장된 접착유제가 순환하도록 유제탱크(T2)의 하부측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견인차량(92)이 상기 주행카트(50)에 연결되도록 상기 견인차량(92) 및 상기 주행카트(50)에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커플러(94)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커플러(9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차량(92) 및 상기 주행카트(50)에 각각 장착되는 암형 및 수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수형부재의 결합에 의해 상기 견인차량(92) 및 상기 주행카트(50)를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커플러(94)는 상기 견인차량(92)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견인차량(92)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고 킹핀(94a')이 하부에 형성된 수형의 킹핀브래킷(94a) 및, 상기 주행카트(5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핀공(94b')이 형성된 암형의 핀공브래킷(94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커플러(94)는 상기 킹핀(94a')이 상기 핀공(94b')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견인차량(92) 및 상기 주행카트(50)를 용이하게 연결한다.
한편, 상기 주행카트(50)의 후방에는 상기 견인차량(92)에 설치된 상기 암형커넥터(C)가 상기 솔레노이드(SO) 및 상기 점화플러그(IP)에 연결되도록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수형커넥터(C')가 배치된다.
즉, 상기 암형 및 수형커넥터(C, C')는 상기 조향핸들(HA)에 장착된 상기 스위치(SW)가 상기 점화플러그(IP)를 작동시키도록 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암형 및 수형커넥터(C, C')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94)와 인접하므로, 상기 커플러(94)를 결합한 후 곧바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암형 및 수형커넥터(C, C')는 상기 커플러(94)와 인접하므로 상기 견인차량(92) 및 상기 주행카트(50)의 결합과 함께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수직장착대(64)는 상기 고정부재(66)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70)의 상기 핸 들(76)에 의해 회전하면서 승강한다.
즉, 상기 핸들(76)을 돌리면, 상기 수직장착대(64)는 상기 피벗부재(74)를 중심으로 공회전하면서 상기 수평장착대(62)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62a)의 암나사산을 따라 승강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66) 및 상기 고정부재(66)의 상부에 장착된 경사안내판(6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66)와 동시에 승강하므로 상기 고정부재(66)와 함께 높이가 조절된다.
또,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수평장착대(62)는 상기 수직장착대(64)의 돌출폭이 조절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동유닛(80)의 상기 수평관(82) 및 상기 체결부재(84)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다.
즉, 상기 수평장착대(62)는 상기 수평관(82) 및 상기 체결부재(84)를 통해 상기 수직장착대(64)의 돌출폭을 조절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토치(52)는상기 고정부재(66)가 승강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면서 기층(B)상에 도포된 아스콘 접합면(AS)과 적당한 거리로 이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66)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노즐(54)은 높이가 조절되면서 기층(B)상에 도포된 아스콘 접합면(AS)과 적당한 거리로 이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는 상기 경사안내판(68)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경사안내판(68) 및 상기 승강유닛(70)의 피벗부재(74) 사이에 턴버클(68a)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턴버클(68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L) 및 너트(NT)에 의해 상기 경사안내판(68)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승강유닛(70)의 상기 피벗부재(74)에 타측이 고정되며,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경사안내판(68)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경사안내판(68)은 상기 턴버클(68a)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경사각도가 조절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주행카트(50)에는 상기 운전손잡이(51)의 돌출길이가 가변되도록 길이조절유닛(11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길이조절유닛(110)은 상기 운전손잡이(51)가 길이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주행카트(50)에 고정되도록, 상기 주행카트(50)의 양측방에 장착되어 상기 운전손잡이(51)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슬리브(112) 및, 상기 슬리브(112)를 직교상태로 관통하여 삽입된 상기 운전손잡이(51) 단부의 체결공(51a)에 체결되면서 상기 운전손잡이(51)를 상기 슬리브(112)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핀이나 볼트와 같은 체결구(114)로 이루어진 길이조절유닛(1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구(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핀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12)를 통해 상기 운전손잡이(51)의 상기 체결공(51a)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길이조절유닛(110)은 상기 체결구(114)가 상기 슬리브(112)의 내부에서 상기 운전손잡이(51)의 체결공(51a)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체결보조부재(12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체결보조부재(120)는 분해 도시된 바와 같은 단부경사관(122)과; 체결봉(124)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26) 및; 레버(12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부경사관(122)은 도면의 상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114)가 상기 슬리브(11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슬리브(112)와 연통되면서 상기 슬리브(112)에 직교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체결구(114)가 삽입되는 경사진 일단부(122a)를 가지며, 상기 일단부(122a)측 내주면에 단턱(122b)이 형성된다.
또, 상기 체결봉(124)은 도면의 상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경사관(122)에 삽입된 체결구(11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구(114)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114)의 일단부에 동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126)는 상기 체결봉(124)이 상기 단부경사관(122)의 내부에서 탄력지지되도록, 도면의 상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봉(124) 및 상기 단부경사관(122)의 상기 단턱(122b) 사이에 개재된다.
또, 상기 레버(128)는 상기 탄성체(126)에 의해 탄력지지되면서 상기 체결봉(124)이 연결된 상기 체결구(114)가 승강하도록, 상기 체결구(114)의 타단부에 볼팅이나 용접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단부경사관(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슬리브(112)에 용접으로 고정된 너트(NT)에 나사결합되며,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외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또, 상기 체결봉(124)은 도면의 상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26)에 탄력지지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112)에 삽입된 상기 운전손잡이(51)의 상기 체결공(51a)에 삽입되면서 체결된다.
또한, 상기 레버(128)는 도면의 상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경 사관(122)의 외측에서 상기 단부경사관(122)의 경사진 상기 일단부(122a)를 따라 경사회전하면서 상기 체결구(114)를 승강시킨다.
즉, 상기 체결구(114)는 상기 레버(128)가 상기 단부경사관(122)의 경사진 상기 일단부(122a)에서 경사회전함에 따라 승강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126)는 상기 체결구(114)의 승강에 의해 신축하면서 상기 체결구(114)의 승강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승한 상기 체결구(114)가 용이하게 복귀하도록 상기 체결구(114)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체결보조부재(120)는 상기 체결구(114)가 상기 운전손잡이(51)의 상기 체결공(51a)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협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구(114)를 상기 슬리브(112)상에 보관시킨다.
즉, 상기 체결보조부재(120)는 상기 체결구(114)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구(114)의 분실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슬리브(112) 및 상기 주행카트(50)에는 상기 운전손잡이(51)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도면의 하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각도 조절유닛(1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경사각도 조절유닛(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112)의 일단부 및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체결되는 핀이나 볼트와 같은 힌지부재(132)와; 상기 힌지부재(132)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슬리브(112)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원호형 장공(134a)이 형성된 판상의 가이드부재(134) 및; 상기 장공(134a)을 관통하여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고정되는 볼트와 같은 축부재 (13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112)는 상기 힌지부재(132)가 관통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판상의 힌지고정부(112a)가 일단부에 형성되며, 도면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고정부(112a)에 고정된 상기 힌지부재(13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운전손잡이(51)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
또, 상기 가이드부재(134)는 상기 슬리브(112)가 회전할 경우 도면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36)를 따라 회전한다.
이때, 상기 축부재(136)는 상기 가이드부재(134)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느슨하게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4)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가이드부재(134)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견고하게 체결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134)를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운전손잡이(51)는 도면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재(13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슬리브(112)에 의해 경사각도가 조절되며, 경사각도가 조절된 후에는 상기 축부재(136)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부재(134)에 의해 조절된 경사각도를 유지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는 상기 주행카트(50)상에 탑재된 상기 연료탱크(T1)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연료탱크 고정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연료탱크 고정부재(140)는 상기 연료탱크(T1)가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T1)의 일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주 행카트(50)에 부착되는 고정고리(142)와; 상기 고정고리(142)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트랩(144) 및; 상기 스트랩(144)의 타단부를 파지하여 고정하고, 상기 연료탱크(T1)의 타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주행카트(5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파지고리(14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고리(142) 및 상기 파지고리(146)는 용접에 의해 상기 주행카느(50)에 부착되며, 상기 스트랩(144)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T1)의 상단부를 감싸는 상태에서 자유단 형태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상기 파지고리(146)에 지그재그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스트랩(144)은 상기 연료탱크(T1)를 상기 주행카트(50)에 용이하게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연료탱크(T1)는 상기 주행카트(50)에 마련된 박스형태의 탑재부(L)상에 탑재됨에 따라 하단부가 고정된다.
즉, 상기 연료탱크(T1)는 상기 탑재부(L)에 의해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연료탱크 고정부재(140)에 의해 상단부가 고정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주행카트(50)는 아스콘을 타설하는 아스팔트 피니셔(Asphalt finisher)와 같은 재포장 장비의 전방에서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을 따라가면서 전처리를 실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상기 연료탱크 고정부재(140)를 조작하여 상기 연료탱크(T1)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T1)가 견고히 고정되면,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커플러(94)를 이용하여 상기 견인차량(92) 및 상기 주행카트(50)를 연결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76)을 돌려서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수직장착대(64)를 승강시킨 다음, 상기 수평이동유닛(80)의 상기 수평관(82) 및 상기 체결부재(84)를 조작하여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의 상기 수평장착대(64)를 수평이동시켜서 상기 수평장착대(64)의 돌출폭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들은 상기 수평 및 수직장착대(62, 64)가 승강 및 이동함에 따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팔트의 기층(B)에 우선적으로 재포장된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에 용이하게 접근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의 두께에 적당한 높이로 이격된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60)의 상기 고정부재(66)에 경사고정된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이 노후되거나 보수를 위해 교체해야 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형태의 상기 지지구(66b')를 상기 지지링(66b)에서 제거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 하면된다.
즉,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은 상기 지지링(66b) 및 상기 지지구(66b)에 의해 용이하게 교환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이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에 접근하면, 도 11에 도시된 상기 길이조절유닛(110) 및 경사각도 조절유닛(130)을 조작하여 상기 주행카트(50)의 상기 운전손잡이(51) 각도 및 경사를 운전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운전손잡이(51)의 각도 및 경사가 조절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라인(L1)의 상기 제어밸브(V1, V1')를 개방한 후 상기 견인차량(92)에 장착된 상기 스위치(SW)의 상기 버튼(B)를 조작하여 상기 점화플러그(IP)가 장착된 상기 토치(52)를 통해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에 화염을 분사한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카트(50)와 연결된 상기 견인차량(92)을 구동시켜서, 상기 주행카트(50)를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을 따라 주행시킨다.
이때, 상기 토치(52)는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을 따라가면서 화염을 분사하여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을 가열한다.
한편, 상기 주행카트(50)가 주행을 시작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노즐(54)을 통해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에 접착유제가 분사되도록, 상기 유제공급라인(L2)의 상기 제어밸브(V2, V2')를 개방시키는 상기 스위치(SW)의 상기 버튼(B)를 조작한다.
이때, 상기 노즐(54)은 상기 펌프호스(PH)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압력펌프(P)의 펌핑압력에 의해 상기 토치(52)가 지나간 부분을 따라 접착유제를 분사하여 도포한다.
즉,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은 상기 토치(52)에 의해 가열된 후 곧바로 접착유제가 도포되면서 전처리가 완료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66)의 상부에 장착된 상기 경사안내판(68)은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에서 상부로 분사되는 화염 및 접착유제를 단속하여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으로 유도한다.
이때, 상기 토치(52) 및 상기 노즐(54)에서 분사되는 화염 및 접착유제를 보다 확실하게 단속하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턴버클(68a)을 조작하여 상기 경사안내판(68)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주행카트(50)의 후방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스팔트 피니셔(AF: Asphalt finisher)와 같은 재포장 장비가 따라오면서 전처리된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의 측방 차로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재포장한다.
이때, 측방 차로에 재포장되는 아스콘의 접합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된 상기 아스콘 접합면(AS)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접착된다.
이와 같이 접착되는 상기 아스콘 접합면(AS)들은 서로의 온도차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노즐(54)에 의해 도포된 접착유제로 인하여 강력하게 접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 전처리 장치는, 주행카트에 의해 이동하는 토치 및 노즐이 우선적으로 재포장된 아스콘 접합부에 화염 및 접착유제를 분사하므로 우선적으로 포장된 아스콘 접합부를 용이하게 전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우선적으로 재포장된 아스콘 접합부가 토치 및 노즐에 의해 전처리되므로 전처리된 아스콘 접합부 및 이 아스콘 접합부의 측방 차로에 재포장되는 아스콘 접합부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승강유닛에 의해 토치 및 노즐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화염 및 접착유제를 아스콘 접합부에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이동유닛에 의해 토치 및 노즐의 돌출폭이 조절되므로 화염 및 접착유제를 아스콘 접합부에 보다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경사안내판이 화염 및 접착유제를 단속하므로 화염 및 접착유제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턴버클에 의해 경사안내판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므로 화염 및 접착유제의 분사효율을 보다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견인차량을 이용하여 주행카트를 주행시키므로 주행카트를 용이하게 주행시킬 수 있으며, 킹핀 및 핀공으로 구성된 암수결합식 커플러를 이용하여 견인차량을 주행카트에 연결하므로 견인차량 및 주행카트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길이조절유닛 및 경사각도 조절유닛에 의해 주행카트에 장착된 운전손잡이의 길이 및 각도가 조절되므로 운전자가 주행카트를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보조부재를 이용하여 운전손잡이를 주행카트의 슬리브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연료탱크가 연료탱크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므로 연료탱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탱크의 도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을 단속하는 밸브가 솔레노이드 및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므로 밸브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압력펌프의 펌핑압력이 펌프호스를 통해 유제탱크 및 유제공급라인에 전달되므로 접착유제의 분사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파이프형 운전손잡이(51)가 돌출상태로 장착된 주행카트(50)상의 연료 및 유제탱크(T1, T2)에 각각 연결되면서, 압력펌프(P)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L1, L2)들의 단부에 설치되어 밸브(V1, V2)의 작동에 따라 화염 및 접착유제를 분사하는 토치(52) 및 노즐(54)들과; 상기 토치(52) 및 노즐(54)들을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일렬로 경사고정시키는 분사구 고정유닛(60)과; 상기 분사구 고정유닛(60)을 승강 및 수평이동시키는 승강유닛(70)과 수평이동유닛(80) 및; 상기 주행카트(50)를 엔진(92b)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견인하는 견인차량(92)으로 이루어진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손잡이(51)의 돌출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주행카트(50)의 양측방에 장착되어 상기 운전손잡이(51)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슬리브(112) 및, 상기 슬리브(112)를 직교상태로 관통하여 삽입된 상기 운전손잡이(51) 단부의 체결공(51a)에 체결되면서 상기 운전손잡이(51)를 상기 슬리브(112)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핀이나 볼트와 같은 체결구(114)로 이루어진 길이조절유닛(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접합부 전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유닛(110)은,
    상기 체결구(114)가 상기 슬리브(112)의 내부에서 상기 운전손잡이(51)의 체결공(51a)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체결보조부재(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보조부재(120)는,
    상기 체결구(114)가 상기 슬리브(11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슬리브(112)와 연통되면서 상기 슬리브(112)에 직교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체결구(114)가 삽입되는 경사진 일단부(122a)를 가지며, 상기 일단부(122a)측 내주면에 단턱(122b)을 갖는 단부경사관(122);
    상기 단부경사관(122)에 삽입된 체결구(11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구(114)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114)의 일단부에 동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슬리브(112)에 삽입된 상기 운전손잡이(51)의 상기 체결공(51a)에 체결되는 체결봉(124);
    상기 체결봉(124)이 상기 단부경사관(122)의 내부에서 탄력지지되도록, 상기 체결봉(124) 및 상기 단부경사관(122)의 상기 단턱(122b)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26); 및
    상기 탄성체(126)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상기 체결봉(124)이 연결된 상기 체결구(114)가 승강하도록, 상기 체결구(114)의 타단부에 볼팅이나 용접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부경사관(122)의 외측에서 상기 단부경사관(122)의 경사진 일단부(122a)를 따라 경사회전하면서 상기 체결구(114)를 승강시키는 레버(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유닛(110)에 의해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상기 운전손잡이(51)가 경사각도도 함께 조절하도록, 상기 슬리브(112)의 일단부 및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체결되는 핀이나 볼트와 같은 힌지부재(132)와, 상기 힌지부재(132)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슬리브(112)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원호형 장공(134a)이 형성된 판상의 가이드부재(134) 및, 상기 장공(134a)을 관통하여 상기 주행카트(50)의 측방에 고정되는 볼트와 같은 축부재(136)로 이루어진 경사각도 조절유닛(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카트(50)상에 탑재된 상기 연료탱크(T1)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연료탱크(T1)의 일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주행카트(50)에 부착되는 고정고리(142)와; 상기 고정고리(142)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트랩(144) 및; 상기 스트랩(144)의 타단부를 파지하여 고정하고, 상기 연료탱크(T1)의 타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주행카트(5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파지고리(146);로 이루어진 연료탱크 고정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V1, V2)는,
    상기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L1, L2)의 유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밸브(V1, V2)를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SO) 및; 상기 솔레노이드(SO)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SW);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차량(92)은,
    상기 주행카트(50)상의 상기 압력펌프(P)가 상기 엔진(92b)에 의해 작동하도록, 상기 엔진(92b)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92-1)와, 상기 구동풀리(92-1)에 벨트(92-2)로 연결되고, 상기 압력펌프(P)의 구동축과 연결된 종동풀리(92-3) 및, 상기 종동풀리(92-3)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압력펌프(P)의 토출구 및 상기 유제탱크(T2)를 연결하여 펌핑압을 전달하는 펌프호스(P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KR1020060024940A 2006-03-17 2006-03-17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KR100594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940A KR100594875B1 (ko) 2006-03-17 2006-03-17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940A KR100594875B1 (ko) 2006-03-17 2006-03-17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875B1 true KR100594875B1 (ko) 2006-06-30

Family

ID=3718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940A KR100594875B1 (ko) 2006-03-17 2006-03-17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8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342B1 (ko) 2006-11-28 2007-03-02 주식회사 누리플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100688343B1 (ko) 2006-11-28 2007-03-02 주식회사 누리플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100688341B1 (ko) 2006-11-28 2007-03-02 주식회사 누리플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101554451B1 (ko) * 2015-03-04 2015-09-18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소형차선도색차량
CN111074729A (zh) * 2019-12-25 2020-04-28 重庆市智翔铺道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双组分等体积比路面材料的一体化智能施工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134A (ko) * 1986-11-02 1989-05-13 하인리히 벡커, 베른하르트 벡크 2-클로로에탄포스포닐 디클로라이드의 제조방법
KR0133167Y1 (ko) * 1996-04-10 1999-03-30 김성규 수동운반장치
JP2004143826A (ja) 2002-10-25 2004-05-20 Ozawa Kogyo Kk アスファルト合材の敷き均し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134A (ko) * 1986-11-02 1989-05-13 하인리히 벡커, 베른하르트 벡크 2-클로로에탄포스포닐 디클로라이드의 제조방법
KR0133167Y1 (ko) * 1996-04-10 1999-03-30 김성규 수동운반장치
JP2004143826A (ja) 2002-10-25 2004-05-20 Ozawa Kogyo Kk アスファルト合材の敷き均し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342B1 (ko) 2006-11-28 2007-03-02 주식회사 누리플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100688343B1 (ko) 2006-11-28 2007-03-02 주식회사 누리플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100688341B1 (ko) 2006-11-28 2007-03-02 주식회사 누리플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101554451B1 (ko) * 2015-03-04 2015-09-18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소형차선도색차량
CN111074729A (zh) * 2019-12-25 2020-04-28 重庆市智翔铺道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双组分等体积比路面材料的一体化智能施工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875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KR100594877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EP2847385B1 (en) Electro-hydraulic actuated spray guns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US20070104537A1 (en) Residential sealcoating machine having cleanable manifold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KR100622628B1 (ko) 아스팔트 기층 재포장 방법
KR100688342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100594874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CN108837978A (zh) 涂料喷涂及卷材展铺设备
KR20000017917A (ko) Cir상하수도 비굴착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0688341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CN101899809A (zh) 用于压实机的延伸板和方法
KR100688343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20070019444A (ko) 아스콘 접합부 가열 및 유제 살포 장치
KR101721428B1 (ko) 사이드미러 에어와이퍼
JP2002037068A (ja) 自動レール塗油装置
KR20210130791A (ko) 윤활 슬리브
KR20060032989A (ko) 수직 벽 방수시공장치
CN108457162A (zh) 一种沥青路面裂缝热修补装置及方法
WO2008100357A1 (en) Boom sprayer apparatus
US20100090453A1 (en) Trailer for carrying a welding unit for butt-welding pipe portions
KR200176128Y1 (ko) 매립관 이음부의 합성수지 용접기
KR200420328Y1 (ko) 방수시공장치
KR200317724Y1 (ko) 살수차량용 분사노즐의 구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