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342B1 -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342B1
KR100688342B1 KR1020060118181A KR20060118181A KR100688342B1 KR 100688342 B1 KR100688342 B1 KR 100688342B1 KR 1020060118181 A KR1020060118181 A KR 1020060118181A KR 20060118181 A KR20060118181 A KR 20060118181A KR 100688342 B1 KR100688342 B1 KR 10068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ascon
pressure pump
plat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06011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콘 접합부를 전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E) 및 조향장치(56)에 의해 주행하는 크롤러(54)가 장착된 차체프레임(52) 및, 상기 차체프레임(52)에 설치되고, 연료탱크(FT) 및 유제탱크(OT)가 설치되는 적재판(58)으로 이루어진 궤도차량(50);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적재판(58)에 측방으로 돌출고정되는 수평장착대(61)와, 상기 수평장착대(61)에 수직으로 관통체결되어 승강하는 핸들(63a)이 장착된 승강스크류(63)와, 상기 승강스크류(63)의 하단에 경사고정되는 승강판(65) 및, 상기 승강판(65)에 경사상태로 관통고정되고, 상기 연료 및 유제탱크(FT, OT)에 연결된 연료 및 유제라인(L1, L2)이 연결되어 아스콘 접합부에 화염 및 유제를 제각기 분사하는 토치(67) 및 노즐(69)로 이루어진 분사기(60); 상기 분사기(60)의 상기 노즐(69)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펌프(70); 상기 압력펌프(70)에 상기 엔진(E)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재 및; 상기 압력펌프(70)를 이동시키는 펌프이동구(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펌프이동구(120)에 의해 압력펌프(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아스콘, 접합부, 전처리, 가열, 유제

Description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 PRETREATMENT APPARATUS FOR ASCON JOINNING PART }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의 일측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의 타측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토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노즐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압력펌프를 이동시키는 펌프이동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적재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운적석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궤도차량에 차폐커버가 설치된 것을 도시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궤도차량 52 : 차체프레임
54 : 크롤러 56 : 조향장치
58 : 적재판 60 : 분사기
61 : 수평장착대 63 : 승강스크류
65 : 승강판 67 : 토치
69 : 노즐 70 : 압력펌프
80 : 보일러 82 : 지지벽
82a : 통기공 84 : 가열토치
86 : 열기차단판 86a : 경사부
90 : 운전석 92 : 시트프레임
94 : 안장 96 : 케스터
98 : 높이조절부재 110 : 전동부재
120 : 펌프이동구 122 : 회전판
124 : 고정볼트 126 : 수평관
128 : 고정브래킷 130 : 경사제공부재
132 : 돌기브래킷 134 : 힌지축
BT : 벨트 E : 엔진
FT : 연료탱크 HB : 힌지볼트
HG : 힌지 L1 : 연료라인
L2 : 유제라인 OT : 유제탱크
P : 풀리 PV : 피벗부재
본 발명은 아스팔트 도로의 재포장에 사용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층이 제거된 아스팔트 도로의 기층에 아스콘이 재포장됨에 따라 형성되는 아스콘의 접합부를 전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도로를 재포장하기 위해서는 표층을 제거하여 기층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노출된 기층의 1개 차로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1개 차로만을 우선적으로 재포장한 후 순차적으로 옆의 차로를 재포장한다.
그러나, 이렇게 1개 차로씩 재포장을 할 경우, 먼저 포장된 아스콘은 냉각되는 반면, 옆차로에 재포장되는 아스콘은 고온의 상태로 재포장됨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아스콘의 접합면(아스콘층의 측면)은 온도차에 의해 접합력이 매우 약화된다.
이와 같이 아스콘 접합면의 접합력이 매우 약화됨에 따라 접합된 경계면은 단기간에 균열되거나 박리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 등록(등록 제 594877호, 등록일 2006.06.22)된 종래기술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1)는, 연료탱크(FT) 및 유제탱크(OT)가 적재된 손수레식 주행카트(10)가 견인차량(20)의 동력에 의해 도로를 주행하면서 승강판(12)에 고정된 토치(14) 및 노즐(16)을 통해 아스콘의 접합면에 화염 및 유제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토치(14) 및 상기 노즐(16)은 상기 연료탱크(FT) 및 상기 유제탱크(OT)에 제각기 연결된 연료 및 유제공급라인(L1, L2)을 통해 연료 및 유제가 공급됨에 따라 화염 및 유제를 아스콘의 접합면에 분사한다. 즉, 상기 토치(14)는 상기 연료탱크(FT)의 연료를 점화시켜서 화염을 분사하고, 상기 노즐(16)은 상기 유제탱크(OT)에 저장된 피치나 타르와 같은 접착성 역청질의 유제를 고압으로 분사한다.
한편, 상기 연료탱크(FT)는 자체압력을 갖는 액화가스가 저장된 도시된 바와 같은 가스통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탱크(FT)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자체압력에 의해 상기 연료공급라인(L1)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공급라인(L1)은 공급되는 연료를 상기 토치(14)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유제공급라인(L2)은 상기 견인차량(20)의 미도시된 압력펌프로부터 압력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유제공급라인(L2)은 상기 압력펌프의 압력에 의해 유제를 상기 노즐(16)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콘이 비포장된 기층(B)을 서행으로 주행하는 아스팔트 피니셔(AF)의 전방에서 상기 아스팔트 피니셔(AF)와 동일한 속도로 서행한다. 즉,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1)는 비포장된 기층(B)을 주행한다. 이때, 아스팔트 피니셔(AF)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포장된 기층(B)에 새로운 아스콘을 포장하면서 서행하고,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층(B)상에 우선적으로 포장되어 있는 아스콘(A)의 접합면(AS)을 따라 서행하면서 냉각된 아스콘(A)의 접합면(AS)을 전처리한다.
이러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1)는 서행으로 주행하면서 상기 승강판(12)에 설치된 상기 토치(14)를 통해 화염을 분사하고, 상기 주행카트(10)의 상기 승강판(12)에 설치된 상기 노즐(16)을 통해 유제를 분사하면서 아스콘(A)의 접합면(AS)을 전처리한다. 이때,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1)는 분사된 유제가 상기 토치(14)의 화염에 의해 연소되지 않도록, 상기 토치(14)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노즐(16)을 통해서만 유제를 분사한다. 즉,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는 도면상 상기 승강판(12)의 최후방에 설치된 상기 노즐(16)로만 유제를 분사한다.
이렇게, 상기 토치(14) 및 상기 노즐(16)에서 화염 및 유제가 분사됨에 따라 재포장 상태로 냉각되었던 아스콘(A)의 접합면(AS)은 가열되면서 곧바로 유제가 도포된다. 이에 따라, 냉각되었던 아스콘(A)의 접합면(AS)은 상기 아스팔트 피니셔(AF)를 통해 기층(B)상에 새로 재포장되는 아스콘의 온도와 거의 유사한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새로 재포장되는 아스콘의 접합면 및 재포장되어있던 아스콘(A)의 접합면(AS)은 온도차가 거의 없음에 따라 용이하게 접합된다. 특히, 새로 재포장되는 아스콘의 접합면은 재포장되어있던 아스콘(A)의 접합면(AS)에 역청질의 접착성 유제가 도포됨에 따라 아주 견고하게 접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카트(10) 및 상기 견인차량(20)의 차륜(10a, 20a)이 사실상 지면과 선접촉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돌맹이와 같은 돌출된 장애물에 의해 상기 차륜(10a, 20a)이 회전되면서 주행방향이 자주 변경될 뿐만 아니라 경사진 도로상의 주차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 상기 견인차량(20)이 미도시된 커플러에 의해 필요에 따라 상기 주행카트(10)에 연결되므로, 상기 주행카트(10)를 상기 견인차량(20)의 동력으로 주행시키기 위해서는 커플러를 이용하여 매번 상기 주행카트(10)에 상기 견인차량(20)을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또한, 날씨가 추울 경우 상기 주행카트(10)의 상기 유제탱크(OT)에 충전된 역청질의 유제가 외부 온도에 의해 응고되는 문제도 있다.
또, 상기 견인차량(20)에 설치된 미도시된 상기 압력펌프가 미도시된 풀리 및 벨트에 의해 상기 견인차량(20)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구동하므로, 필요에 따라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벨트를 필요에 따라 새것으로 교환하여야 하지만,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벨트를 풀리에서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주행카트(10)에 설치된 상기 유제탱크(OT)를 비워야 할 경우, 즉 상기 유제탱크(OT)에서 유제를 완전히 드레인시켜야 할 경우, 상기 유제탱크(OT)를 경사지게 할 수 없으므로, 상기 유제탱크(OT)에 저장된 유제를 완전하게 비울 수 없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상기 견인차량(20)이나 상기 주행카트(20)에 운전석이 없으므로 운전자가 앉아서 운전을 할 수 없다는 불편함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지면과 면접촉하면서 돌맹이와 같은 돌출된 소형 장애물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는 구 조의 차륜이 장착되어 장애물에 의한 주행방향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륜이 지면과 면접촉하면서 넓은 접지변적을 확보하므로 경사로에도 주차할 수 있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지면과 면접촉하는 전술한 차륜이 차체프레임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내연기관식 구동장치에 의해 자가 주행되고, 전술한 차체프레임의 상부에 연료 및 유제탱크가 적재되어, 연료 및 유제탱크가 차륜과 일체식 구조를 이루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유제탱크에 화기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이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유제탱크를 가열해서 유제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 압력펌프를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이 마련되어, 압력펌프의 이동시켜서 압력펌프에 와인딩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유제탱크에 경사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이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유제탱크를 기울일 수 있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 일측에 착탈식 운전석이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운적석을 부착시킬 수 있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 치는, 아스콘 접합부를 따라서 일직선으로 주행하도록, 차체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된 크롤러에 의해 주행하고, 상기 크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이 상기 크롤러의 후방측 상기 차체프레임상에 조향장치와 함께 설치되며, 상기 크롤러상의 상기 차체프레임상에 수평설치되어 상부면에 연료탱크 및 유제탱크가 설치되는 적재판으로 이루어진 궤도차량; 상기 궤도차량의 측방에서 아스콘 접합부로 화염 및 유제가 분사되도록, 상기 궤도차량의 상기 적재판에 외측으로 돌출고정되는 수평장착대와, 상기 수평장착대의 단부에 수직으로 관통체결되는 핸들이 장착된 승강스크류와, 상기 승강스크류의 하단을 파지하여 피벗고정시키는 피벗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스크류의 하단부에 경사고정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판 및, 상기 승강판과 실질적으로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승강판에 관통고정되고, 상기 적재판상의 상기 연료 및 유제탱크에 연결된 연료 및 유제라인이 연결되어 아스콘 접합부에 화염 및 유제를 제각기 분사하는 토치 및 노즐로 이루어진 분사기; 상기 분사기의 상기 노즐에 상기 유제탱크의 유제가 공급되도록, 상기 유제라인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펌프 및; 상기 압력펌프가 상기 궤도차량의 상기 엔진에 의해 작동하도록, 상기 엔진의 출력축 및 상기 압력펌프의 구동축에 제각기 설치된 풀리 및, 상기 풀리에 와인딩되는 벨트로 이루어진 전동부재 및; 상기 전동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벨트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압력펌프의 하부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궤도차량의 상기 적재판에 일측이 힌지고정되어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압력펌프를 이동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타측을 상기 적재판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일단부가 체결 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양측에 밀착되고 상기 적재판상에 수직으로 돌출고정되는 고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관에 체결되는 힌지볼트로 이루어진 펌프이동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궤도차량이 접지면적이 넓은 크롤러에 의해 주행하므로 측방(좌·우)으로 유동됨 없이 일직선으로 주행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주차시 구름운동하지 않는 크롤러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언제든지 경사로에 주차시킬 수 있다.
또, 궤도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연료탱크 및 유제탱크를 적재하는 적재판이 설치됨에 따라 적재판 및 궤도차량이 동일체로 구성되어, 적재판 및 견인차량을 종래와 같이 연결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가주행하면서 아스콘의 접합면을 전처리할 수 있다.
또한, 궤도차량의 적재판상에 설치된 펌프이동구의 회전판이 필요에 따라 편축회전하면서 압력펌프를 이동시키므로, 압력펌프의 풀리에 와인딩된 벨트의 장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벨트를 경우에 따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의 일측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의 타측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토 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노즐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압력펌프를 이동시키는 펌프이동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적재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운적석을 도시한 사시도이이며,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궤도차량에 차폐커버가 설치된 것을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차량(50); 분사기(60) 및; 후술되는 미도시된 압력펌프(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궤도차량(50)은 차체프레임(52)의 양측에 장착된 크롤러(54)에 의해 주행한다. 상기 크롤러(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54a) 및 상기 롤러(54a)에 와인딩된 고무재 궤도벨트(54b)로 구성되며, 상기 차체프레임(52)의 후방에 설치된 엔진(E)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따라서, 상기 크롤러(54)는 상기 엔진(E)에 의해 상기 롤러(54a) 및 상기 궤도벨트(54b)가 회전됨에 따라 주행한다.
이러한 상기 궤도차량(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E)과 함께 상기 차체프레임(52)의 후방에 설치된 조향장치(56)에 의해 조향된다. 상기 조향장치(5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식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궤도차량(50)은 상기 크롤러(54)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재판(58)이 수평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적재판(5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58)상에 수평설치되며, 액화가스가 저장된 연료탱크(FT) 및 역청질의 유제가 저장된 유제탱크(OT)가 적재된다. 이때, 상기 유제탱크(OT)는 유제가 투입되는 도어(D)가 상부에 설치되며, 테두리의 하부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판(58)상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수직고정된 지지벽(82)에 용접되어 지지된다. 즉, 상기 지지벽(82)은 상기 유제탱크(OT)를 지지하면서 상기 유제탱크(OT)를 상기 적재판(58)상에 고정한다.
또 한편, 상기 궤도차량(50)은 상기 차체프레임(52)의 후방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전석(9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운전석(90)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52)의 후방에 볼팅고정되는 시트프레임(92); 상기 시트프레임(92)의 상부 및 하부에 제각기 설치되는 안장(94) 및 케스터(9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운전석(90)은 상기 궤도차량(50)의 주행시 구름운동하는 상기 케스터(96)로 인하여 상기 궤도차량(50)과 함께 주행한다.
계속해서, 상기 분사기(6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장착대(61); 승강스크류(63); 승강판(65); 복수개의 토치(67) 및; 적어도 하나의 노즐(6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장착대(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적재판(58)에 측방으로 돌출고정된다.
또, 상기 승강스크류(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핸들(63a)이 장착되어 상기 수평장착대(61)의 단부에 수직으로 관통체결된다. 이때, 상기 수평장착대(61)는 상기 승강스크류(63)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단부에 링너트(61a)가 볼팅이나 용접으로 고정된다. 즉, 상기 승강스크류(63)는 상기 링너트(61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평장착대(61)의 단부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6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스크류(63)의 하단부에 경사고정된다. 이러한 승강판(65)은 상기 승강스크류(63)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에 도면의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피벗부재(PV)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피벗부재(PV)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스크류(63)의 하단부에 돌출되는 칼라(65a) 및, 이 칼라(65a)를 감싸면서 파지하는 유니언너트식 브래킷(65b)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스크류(63)는 하단의 상기 칼라(65a)가 상기 브래킷(65b)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상기 핸들(63a)의 회전시 상기 칼라(65a)를 중심으로 피벗회전한다.
이때, 상기 승강스크류(63)는 상기 수평장착대(61)의 상기 링너트(61a)에 체결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판(65)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승강판(65)은 상기 승강스크류(63)의 회전에 의해 승강한다. 물론, 상기 승강판(65)은 상기 핸들(63a)의 회전에 의해 승강한다.
한편,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65)과 실질적으로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승강판(65)에 관통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은 도시된 바와 같은 연료 및 유제라인(L1, L2)에 제각기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료 및 유제라인(L1, L2)은 상기 궤도차량(50)에 설치된 상기 적재판(58)상의 상기 연료 및 유제탱크(FT, OT)에 제각기 연결되어, 상기 연료 및 유제탱크(FT, OT)에 저장된 액화가스 연료 및 역청질 유제를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에 제각기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토치(67)는 연료를 점화시켜서 화 염을 분사하고, 상기 노즐(69)은 상기 유제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라인(L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FT)에 연결되는 메인라인(La) 및, 상기 메인라인(La)에서 상기 토치(67)로 분기되는 분기라인(Lb)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토치(67)는 상기 분기라인(Lb)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라인(La)을 통해 상기 연료탱크(FT)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유제라인(L2)은 상기 유제탱크(OT)에 연결되는 후술되는 메인라인(Lc) 및, 상기 메인라인(Lc)에서 상기 노즐(69)로 분기되는 분기라인(Ld)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노즐(69)은 상기 분기라인(Ld)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라인(Lc)을 통해 상기 유제탱크(OT)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이 관통되는 상기 승강판(65)은 도면의 우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링(R)이 용접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링(R)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이 관통되고,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을 측방에서 가압하는 정지나사(B)가 측방으로 관통체결된다. 즉,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은 상기 고정링(R)을 통해 상기 승강판(65)을 관통하며, 상기 정지나사(B)에 의해 상기 고정링(R)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토치(67) 및 노즐(69)은 상기 고정링(R) 및 상기 정지나사(B)에 의해 상기 승강판(65)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유제탱크(OT)를 필요에 따라 가열시키는 보일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일러(8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제탱크(OT)의 하부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전술한 상기 지지벽(82) 및; 이 지 지벽(82)에 관통고정되는 가열토치(8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벽(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제탱크(OT)의 하부면 테두리를 상기 적재판(58)에서 이격시켜서 지지한다. 즉, 상기 유제탱크(OT)는 바닥면이 상기 적재판(58)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적재판(58)은 상기 유체탱크(OT) 및 상기 적재판(58) 사이에 상기 가열토치(84)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토치(84)는 전술한 상기 연료라인(L1)의 상기 분기라인(Lb)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라인(Lb)을 통해 상기 연료탱크(FT)의 연료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상기 가열토치(84)는 필요에 따라 상기 유체탱크(OT)의 하부에 화염을 분사하여 상기 유제탱크(OT)를 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벽(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소통되는 복수개의 통기공(82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통기공(82a)은 상기 가열토치(84)에 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가열토치(84)에서 분사되는 화염에 산소를 공급한다. 따라서, 화염은 상기 통기공(82a)을 통해 풍부하게 유입되는 공기중의 산소에 의해 원활하게 연소된다.
이와 같은 상기 통기공(82a)은 도면상 상기 연료탱크(FT)와 인접하는 미도시된 상기 지지벽(82)에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기공(82a)은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유제탱크(OT)의 하부에 대향설치된 각각의 상기 지지벽(82)에 모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궤도차량(50)은 상기 적재판(5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펌프(70)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압력펌프(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 제라인(L2)의 상기 메인 및 분기라인(Lc, Ld)에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펌프(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 및 상기 엔진(E)의 출력축에 제각기 설치된 풀리(P)와, 상기 풀리(P)들에 와인딩되는 벨트(BT)로 이루어진 전동부재(110)에 의해 상기 엔진(E)과 연결되므로, 상기 엔진(E)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한다. 즉, 상기 압력펌프(70)는 상기 엔진(E)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유제라인(L2)의 상기 메인 및 분기라인(Lc, Ld)에 압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유제탱크(OT)의 유제는 상기 압력펌프(70)의 압력에 의해 상기 메인 및 분기라인(Lc, Ld)을 통해 상기 노즐(69)로 공급된다.
이러한 상기 압력펌프(70)는 일측에 설치된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버식 클러치(CL)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즉, 상기 클러치(CL)는 벨트를 통해 상기 압력펌프(70)에 전달되는 상기 풀리(P)의 회전력을 단속한다. 따라서, 상기 압력펌프(70)는 상기 클러치(CL)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유압라인(L2)에 압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연료라인(L1) 및 상기 유제라인(L2)은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V1, V2)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 및 유제라인(L1, L2)은 상기 밸브(V1, V2)에 의해 유량이 조절된다. 이러한 상기 밸브(V1, V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 및 유제라인(L1, L2)의 상기 메인 및 분기라인(La, Lb, Lc, Ld)에 제각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 및 분기라인(La, Lb, Lc, Ld)은 제각기 유량이 조절된다.
또 한편, 상기 연료탱크(FT) 및 상기 유제탱크(OT)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 은 열기차단판(86)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열기차단판(8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적재판(58)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료탱크(FT)의 하부 및 상기 유제탱크(OT)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지지벽(82)을 차폐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열기차단판(86)은 상기 유제탱크(OT)를 가열하는 상기 가열토치(84)에 의한 열기가 상기 연료탱크(FT)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열기차단판(86)은 상기 지지벽(82)의 상기 통기공(82a)으로 유출되는 열기를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연료탱크(FT)는 상기 가열토치(84)의 열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러한 상기 열기차단판(86)은 상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벽(82)의 방향으로 경사절곡된 경사부(86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기공(82a)을 통해 유출되는 열기는 상기 지지벽(82)으로 다시 역류된다. 따라서, 상기 유제탱크(OT)는 상기 가열토치(84)에 의해 가열될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부(86a)를 통해 역류되는 열기에 의해서도 가열된다. 즉, 상기 경사부(86a)는 상기 가열토치(84)의 열기를 회수하는데 이용된다.
다른 한편,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조향장치(5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및 좌우조향을 위한 방향레버(DL); 정지를 위한 브레이크레버(BL) 및; 속도조절을 위한 변속레버(TL)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판(65)에 설치된 상기 토치(6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65)의 승강에 의해 기층(B)에 재포장된 아스콘(A)의 접합면(AS)에 대한 분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토치(67)는 분사높이가 조절되 면, 상기 연료라인(L1)의 상기 분기라인(Lb)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형성된 접합면(AS)에 화염을 분사한다. 따라서, 아스콘(A)의 접합면(AS)은 상기 토치(67)의 화염에 의해 가열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판(65)에 설치된 상기 노즐(6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65)의 승강에 의해 기층(B)에 재포장된 아스콘(A)의 접합면(AS)에 대한 분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노즐(69)은 분사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유제라인(L2)의 상기 분기라인(Ld)으로 공급되는 유제를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형성된 접합면(AS)에 분사한다. 따라서, 아스콘(A)의 접합면(AS)은 상기 노즐(69)의 유제에 의해 코팅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펌프(70)는 도시된 바와 같은 펌프이동구(120)에 의해 필요에 따라 상기 엔진(E)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이동구(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22); 고정볼트(124); 수평관(126); 고정브래킷(128) 및; 힌지볼트(HB);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러한 펌프이동구(120)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판(122)은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펌프(70)가 볼팅(B)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22)은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적재판(58)에 일측이 힌지(HG)고정되어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편축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펌프(70)는 상기 엔진(E)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122)의 일측을 상기 적재판(58)에 힌지고정하는 상기 힌지(HG)는,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22)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는 모션브래킷(122a)과, 상기 적재판(58)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모션브래킷(122a)과 마주하는 고정브래킷(58a) 및, 이 모션 및 고정브래킷(122a, 58a)을 관통하여 너트(N)에 체결되는 힌지볼트(H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122)은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HG)의 상기 힌지볼트(HB)를 중심으로 편축회전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122)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단의 중앙에 절개부(12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절개부(122b)에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상기 고정볼트(124)가 관통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절개부(122b)는 내경이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124)의 축보다는 크고, 상기 고정볼트(124)에 체결되는 후술되는 너트(N)의 외경 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122)은 상기 고정볼트(124)에 체결되는 상기 너트(N)가 타측의 상부 및 하부를 가압하면서 파지하므로, 상기 너트(N)에 의해 타측이 상기 고정볼트(124)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판(122)의 타측이 상기 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 상기 회전판(122)의 상기 절개부(122b)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볼트(1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두식(無頭式) 스터드볼트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볼트(124)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22)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너트(N)가 각각 1개씩의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124)는 상기 너트(N)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모이는 상태로 조여질 경우 상기 너트(N)를 통해 상기 회전판(122)의 타측단을 고정한다. 즉, 상기 회전 판(122)은 타측단의 상·하부가 상기 너트(N)에 의해 제각기 가압됨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124)의 축상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회전판(122)은 상기 너트(N)가 풀어질 경우 타측단이 자유로워진다. 결론적으로, 상기 회전판(122)은 타측단이 상기 너트(N)를 통해 상기 고정볼트(12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볼트(124)는 도면의 우측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용접에 의해 후술되는 상기 수평관(126)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124)는 상기 너트(N)가 체결되는 반대편의 일단부가 상기 수평관(126)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12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관(126)과 직교상태를 이룬다.
그 다음, 상기 수평관(126)은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판(58)상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관(126)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후술되는 상기 고정브래킷(128)에 밀착된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브래킷(128)은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판(58)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평관(126)의 양측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브래킷(128)은 후술되는 상기 힌지볼트(HB)에 의하여 상기 수평관(126)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어서, 상기 힌지볼트(HB)는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128) 및 상기 수평관(126)을 관통한 후 너트(N)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관(126)은 상기 힌지볼트(HB)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고정볼트(124)는 상기 수평관(126)의 회전시 상기 수평관(126)을 중심으로 편축 회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적재판(58)은 하부 일측이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제공부재(130)에 의해 힌지고정된다. 이러한 경사제공부재(13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판(58)의 하부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차체프레임(52)에 밀착되는 돌기브래킷(132) 및, 상기 돌기브래킷(132)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프레임(52)에 체결되는 힌지축(1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힌지축(134)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52)을 관통하여 너트(N)에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힌지축(134)이 상기 돌기브래킷(132)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프레임(52)에 체결되므로, 상기 적재판(58)은 필요에 따라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편축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재판(58)에 설치된 상기 유제탱크(OT)는 상기 적재판(58)의 편축회전에 의해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를 형성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운전석(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프레임(92)이 "L"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장(94)은 수직을 형성하는 상기 시트프레임(92)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또, 상기 케스터(9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형성하는 상기 시트프레임(92)의 하부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케스터(96)는 원활한 조향을 위해 회전자재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케스터(96)는 상기 시트프레임(92)의 하부에서 회전자재한다.
한편, 상기 시트프레임(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형성하는 하부의 단부가 상기 차체프레임(52)에 볼팅(B, N)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프레임(92)은 필요에 따라 상기 차체프레임(5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프레임(92)은 상기 차체프레임(52)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수평을 형성하는 상기 시트프레임(92)의 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판(92a)을 용접으로 부착하고, 상기 차체프레임(5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날개(52b)를 용접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수평판(9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날개(52b)에 적층된 후 볼팅(B, N)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프레임(92)은 상기 수평판(92a) 및 상기 수평날개(52b)에 의해 상기 차체프레임(52)에 연결된다.
또 한편, 상기 운전석(9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조절부재(98)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재(98)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봉(98-1) 및 체결핀(98-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재(98)의 상기 인출봉(98-1)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공(H)이 이격형성되며, 상기 안장(94)의 하부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봉(98-1)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프레임(92)에 삽입된다.
또, 상기 높이조절부재(98)의 상기 체결핀(98-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프레임(92)의 측방을 관통하여 상기 인출봉(98-1)의 상기 체결공(H)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안장(94)은 상기 인출봉(98-1)에 상기 체결핀(98-2)이 체결됨에 따라 상기 시트프레임(92)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핀(98-2)이 삽입되는 상기 체결공(H)의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유제탱크(OT)는 도시된 바와 같은 차폐커버(10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커버(1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제탱크(OT)의 상부를 감싸면서 차폐하는 상부커버(103) 및; 상기 상부커버(103)의 측방에 고정되는 측방커버(10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차폐커버(1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궤도차량(50)에 설치된 상기 적재판(58)의 테두리측 상부를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궤도차량(50)은 상기 차폐커버(101)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차폐커버(101)의 상기 상부커버(103)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제탱크(OT)의 상부에 씌워진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103)는 상기 유제탱크(OT)의 상기 도어(D)가 노출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제탱크(OT)의 상기 도어(D)는 유제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103)의 상부에 노출된다.
또, 상기 차폐커버(101)의 상기 측방커버(10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101a)이 형성된 다공판으로 제조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경첩(105a)에 의해 상기 상부커버(103)의 측방에 고정된다. 즉, 상기 경첩(105a)은 상기 측방커버(105)를 상기 상부커버(103)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이다. 이에 따라, 상기 측방커버(105)는 상기 궤도차량(50)에 설치된 상기 적재판(58)의 테두리측 상부를 차폐한다. 이러한, 상기 측방커버(105)는 상기 다공(101a)을 통해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방열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경첩(105a)을 중심으로 개폐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측방커버(105)를 개방한 후 상기 측방커버(105)의 내부를 점검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커버(10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에 걸고리식 로킹장치(105b)가 설치된다. 이러한 로킹장치(105b)는 일단부의 상기 경첩(105a)을 중심으로 상기 측방커버(105)가 폐쇄될 경우 상기 측방커버(105)의 타단부를 로킹시킨다. 따라서, 상기 측방커버(105)는 폐쇄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킹장치(105b)는 도면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RN)가 장착되어 상기 측방커버(105)의 타단부에 힌지고정되는 힌지편(105b-1)) 및, 상기 측방커버(105)와 마주하는 반대편의 상기 측방커버(105)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편(105b-1)의 상기 걸고리(RN)가 걸려서 로킹되는 걸림편(105b-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로킹장치(105b)는 상기 힌지편(105b-1)의 상기 걸고리(RN)가 상기 걸림편(105b-2)에 걸림에 따라 상기 측방커버(105)의 타단부를 로킹한다.
한편, 상기 유제탱크(OT) 및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적재부(58)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후크걸이(107)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후크걸이(107)는 미도시된 수송차량의 윈치용 후크가 걸린다. 따라서, 상기 후크걸이(107)에 미도시된 윈치의 후크가 걸릴경우, 상기 궤도차량(50)은 윈치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수송차량에 용이하게 적재된다. 즉, 상기 후크걸이(107)는 상기 궤도차량(50)을 미도시된 수송차량에 용이하게 적재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상기 후크걸이(107)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제탱크(OT)의 상부 및, 상기 적재부(58)에 돌출장착된 전술한 상기 분사기(60)의 상기 수평장착대(61)상에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제탱크(OT)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후크걸이(10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커 버(10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물론, 상기 차폐커버(101)에는 상기 후크걸이(107)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는 날씨가 추울 경우 상기 연료라인(L1)에 설치된 상기 밸브(V1)를 조절하여, 상기 분기라인(Lb)를 통해 상기 보일러(80)의 상기 가열토치(84)에 액화가스를 공급한다.
그리고, 막대형으로 형성된 미도시된 휴대용 점화플러그와 같은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토치(84)를 점화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토치(84)는 상기 지지벽(82)의 내부에서 상기 유제탱크(OT)의 하부를 향해 화염을 분사한다. 이때, 상기 지지벽(82)의 상기 통기공(82a)은 상기 가열토치(84)에서 분사되는 화염에 공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유제탱크(OT)에 저장된 유제는 상기 가열토치(84)의 화염에 의해 응고된 상태에서 분사가 용이한 상태로 용융된다.
여기서, 상기 유제탱크(OT)를 가열시키는 상기 가열토치(84)는 상기 밸브(V1)의 조작에 의해 화염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오프(OFF)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유제탱크(OT)가 상기 가열토치(84)에 의해 가열되는 동안 상기 분사기(60)를 구성하는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의 분사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승강스크류(63)의 상기 핸들(63a)을 조작하여 상기 승강판(65)을 승강시 킨다.
그리고,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의 분사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연료라인(L1)에 설치된 상기 밸브(V1)를 조절하여, 상기 궤도차량(50)에 적재된 상기 연료탱크(FT)의 액화가스를 상기 토치(67)로 공급한다. 이어서, 막대형으로 형성된 미도시된 휴대용 점화플러그와 같은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토치(67)를 점화시킨다.
이서서,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엔진(E)을 온(ON)한 다음, 상기 조향장치(56)를 조작하여 상기 궤도차량(50)을 미도시된 아스콘의 접합면을 따라 서행으로 주행시킨다. 이때, 상기 궤도차량(50)은 상기 엔진(E)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롤러(54a)에 의해 상기 궤도벨트(54b)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궤도차량(50)은 아스콘의 접합면을 따라 주행한다.
한편, 운전자는 상기 궤도차량(50)이 아스콘 접합면을 따라 일직선으로 주행하도록, 상기 궤도차량(50)이 아스콘 접합면의 측방에 위치하면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조향장치(56)를 일직선모드로 조작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궤도차량(50)이 미도시된 아스콘의 접합면을 따라 서행하면, 운전자는 상기 노즐(69)에서 유제가 분사되도록 상기 유제라인(L2))의 상기 밸브(V2)를 개방상태로 조절하고, 상기 압력펌프(70)의 상기 클러치(CL)를 조작하여, 상기 유제라인(L2)을 통해 상기 유제탱크(OT)의 유제를 상기 노즐(69)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화염이 분사되는 상기 토치(67)는 상기 궤도차량(50)의 주행시 아스콘의 접합면을 가열하고, 상기 노즐(69)은 상기 토치(67)에 의해 가열된 아스 콘의 접합면에 유제를 도포한다. 따라서, 재포장된 아스콘의 접합면은 새로운 아스콘이 옆차로에 재포장되기 전에 전처리된다.
이렇게, 아스콘의 접합면을 전처리하는 도중에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의 분사량을 조절하여야할 경우, 운전자는 상기 연료 및 유제라인(L1, L2)에 설치된 밸브( V1, V2)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69)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운전자는 상기 유제라인(L2)의 상기 밸브(V2) 및 상기 압력펌프(70)의 상기 클러치(CL)를 조작하여, 상기 압력펌프(70)에 전달되는 상기 엔진(E)의 동력을 차단한다.
한편, 미도시된 아스팔트 피니셔에 의해 전처리된 아스콘 접합면의 측방으로 재포장되는 새로운 아스콘의 접합면은, 상기 토치(67) 및 상기 노즐(69)에 의해 전처리된 아스콘 접합면과 마주하면서 접합된다. 이때, 새로이 재포장된 고온의 아스콘 접합면은 전처리된 아스콘의 접합면이 가열되었을 뿐만 아니라 피치나 타르와 같은 역청질의 접착성 유제가 도포됨에 따라 아주 용이하게 접합된다. 특히, 새로이 재포장되는 고온의 아스콘의 접합면은 전처리된 아스콘의 접합면이 상기 토치(67)의 화염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더욱 견고하게 접합된다. 즉, 새로이 포장되는 아스콘의 접합면 및 전처리된 아스콘의 접합면은, 서로의 온도차가 거의 없음에 따라 매우 서로 원활하게 융화되면서 유제의 접착력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된다.
다른 한편, 상기 조향장치(56)에 의해 일직선으로 주행하는 상기 궤도차량(50)은 상기 크롤러(54)의 형상적 특성에 의해 주행방향이 변경되지 않고 미도시 된 아스콘의 접합면을 따라 일직선으로 서행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운전석(90)에 앉아서 아스콘 접합면의 전처리과정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적재판(58)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제탱크(OT)의 하부 및 상기 연료탱크(FT)의 하부를 차폐하는 상기 열기차단판(86)은, 상기 보일러(80)의 상기 지지벽(82)에 형성된 상기 통기공(82a)을 통해 전술한 상기 가열토치(84)의 열기가 상기 연료탱크(FT)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액화가스가 저장된 상기 연료탱크(FT)는 열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그리고, 상기 열기차단판(86)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벽(82)의 방향으로 경사절곡된 상기 경사부(86a)는, 상기 통기공(82a)으로 유출되는 전술한 상기 가열토치(84)의 열기를 상기 지지벽(82)으로 역류시킨다. 따라서, 상기 유제탱크(OT)는 상기 경사부(86a)를 통해 역류되는 열기에 의해 보다 잘 가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사기(60)의 상기 토치(67)는 상기 승강판(65)의 승강에 의해 분사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콘 접합면(AS)에 전체적으로 화염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아스콘(A)의 접합면(AS)은 매우 효율적으로 골고루 가열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기(60)의 상기 노즐(69)은 상기 승강판(65)의 승강에 의해 분사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콘 접합면(AS)에 전체적으로 유제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아스콘(A)의 접합면(AS)에는 유제가 매우 효율적으로 골고루 도포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압력펌프(70)를 이동시키는 상기 펌프이동구(120)는 상기 전동부재(110)를 구성하는 상기 벨트(BT)의 장력을 조절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상기 벨트(BT)가 너무 이완되었을 경우, 상기 고정볼트(124)의 상부에 체결된 한쌍의 상기 너트(N)들을 상기 고정볼트(124)의 축을 따라 하부로 약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이동구(120)의 상기 회전판(122)은 상기 힌지(HG)의 상기 힌지볼트(HB)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볼트(124)와 인접한 타측이 하강한다. 이때, 상기 압력펌프(70)는 상기 회전판(122)의 타측과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엔진(E)과 멀어진다. 따라서, 상기 벨트(BT)는 팽팽하게 긴장된다.
이와 달리, 상기 벨트(BT)가 너무 긴장되었을 경우, 상기 고정볼트(124)의 상부에 체결된 한쌍의 상기 너트(N)들을 상기 고정볼트(124)의 축을 따라 상부로 약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이동구(120)의 상기 회전판(122)은 상기 힌지(HG)의 상기 힌지볼트(HB)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볼트(124)와 인접한 타측이 상승한다. 이때, 상기 압력펌프(70)는 상기 회전판(122)의 타측과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엔진(E)과 가까워진다. 따라서, 상기 벨트(BT)는 느슨하게 이완된다.
한편, 상기 벨트(BT)를 완전히 이완시켜서 교환하여야 할 경우, 상기 고정볼트(124)의 하부에 체결된 상기 너트(N)는 그대로 놔두고, 상부에 체결된 상기 너트(N)를 상기 고정볼트(124)의 축을 따라 상부로 약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N)들은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N)들은 상기 회전판(122)의 타 측단을 파지하지 못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124)는 상기 너트(N)들이 이격되면서 벌어짐에 따라 상기 회전판(122)의 타측단에 고정되지 못하고, 도면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볼트(HB)가 끼워진 상기 수평관(126)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122)은 타측단이 완전한 자유단으로 변한다.
이렇게, 상기 회전판(122)의 타측단이 자유로워지면, 상기 회전판(122)을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HG)의 상기 힌지볼트(HB)를 중심으로 완전하게 편축회전시킨다. 즉, 상기 회전판(122)을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운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펌프(70)는 상기 엔진(E)과 매우 가까워진다. 이때, 상기 벨트(BT)는 굴절되면서 완전하게 이완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BT)는 상기 풀리(P)에서 용이하게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벨트(BT)를 상기 풀리(P)에 다시 고정하려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역순으로 실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적재판(58)은 상기 유제탱크(OT)에서 유제를 제거할 경우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다. 이러한 상기 적재판(58)은 상기 경사제공부재(130)의 상기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기울어진다. 이때, 상기 적재판(58)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유제탱크(OT)는 상기 적재판(58)과 함께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유제탱크(OT)에 저장된 유제는 상기 유제탱크(OT)의 하부에 장착된 드레인관(DP)으로 집유된다. 이렇게, 상기 드레인관(DP)으로 유제가 집유되면 상기 드레인관(DP)을 개방시킨다. 따 라서, 상기 유제탱크(OT)의 유제는 상기 드레인관(DP)을 통해 완전히 배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운전석(9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핀(98-2)을 풀고, 상기 안장(94)의 상기 인출봉(98-1)을 승강시켜서 상기 안장(94)을 알맞은 높이로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안장(94)이 알맞은 높이로 조절되면, 상기 체결핀(98-2)을 상기 인출봉(98-1)의 상기 체결공(H)에 다시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안장(94)은 상기 시트프레임(92)의 상부에 알맞은 높이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시트프레임(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볼팅(B, N)이 해제될 경우 상기 차체프레임(52)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운전석(90)은 따로 보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시 상기 차체프레임(52)에 볼팅(B, N)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궤도차량(50)에 전술한 상기 차폐커버(101)가 설치될 경우, 상기 궤도차량(50)의 상부는 상기 차폐커버(101)에 의해 미려하게 차폐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이때, 상기 차폐커버(101)는 상기 다공(101a)을 통해 공기를 소통시킨다. 따라서,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적재부(58)에 설치된 상기 유제탱크(OT)는 상기 차폐커버(101)의 상기 다공(101a)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차폐커버(101)는 상기 로킹장치(105b)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개방된다. 이때, 상기 차폐커버(101)는 상기 측방커버(105)가 상기 경첩(105a)을 중심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차폐커버(101)를 개방시켜서 내부(상기 적재판의 차폐된 상부에 설치된 부품들)를 점검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궤도차량(50)을 장거리 이동을 위해 미도시된 수송차량에 적재할 경우, 상기 유제탱크(OT) 및 상기 적재판(58)의 상기 수평장착대(61)상에 설치된 상기 후크걸이(107)에는 미도시된 수송차량에 설치된 윈치의 후크가 걸린다. 따라서, 상기 궤도차량(50)은 미도시된 윈치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미도시된 수송차량의 적재부에 용이하게 적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는, 궤도차량이 접지면적이 넓은 크롤러에 의해 주행하므로 측방(좌·우)으로 유동됨 없이 일직선으로 주행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주차시 구름운동하지 않는 크롤러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언제든지 경사로에 주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궤도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연료탱크 및 유제탱크를 적재하는 적재판이 설치됨에 따라 적재판 및 궤도차량이 동일체로 구성되어, 적재판 및 견인차량을 종래와 같이 연결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가주행하면서 아스콘의 접합면을 전처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보일러의 가열토치가 지지벽에 의해 형성된 유제탱크 하부의 공간을 통해 유제탱크를 필요에 따라 가열하므로, 유제탱크에 저장된 유제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용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벽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가열토치에서 분사되는 화염에 산소를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궤도차량의 적재판상에 설치된 열기차단판이 보일러의 가열토치로부터 연료탱크로 전달되는 열기를 차단하므로, 연료탱크를 열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열기차단판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부가 연료탱크로 전달되는 가열토치의 열기를 유제탱크로 역류시키므로, 가열토치의 열기를 회수하여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궤도차량의 적재판상에 설치된 펌프이동구의 회전판이 필요에 따라 편축회전하면서 압력펌프를 이동시키므로, 압력펌프의 풀리에 와인딩된 벨트의 장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벨트를 경우에 따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궤도차량의 적재판이 경사제공부재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편축회전되면서 유제탱크에 경사를 제공하므로, 유제탱크에 저장된 유제를 드레인관을 통해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운전석의 시트프레임이 궤도차량의 차체프레임에 볼팅고정되므로, 운전석을 필요에 따라 궤도차량에 연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더 나아가 운전석의 안장에 설치된 인출봉이 시트프레임에 삽입되어 체결핀에 의해 고정되므로, 안장의 높낮이를 운전자의 키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궤도차량의 상부에 차폐커버가 설치될 경우, 궤도차량의 상부가 차폐커버에 의해 미려하게 차폐될 뿐만 아니라, 차폐커버의 다공을 통해 궤도차량의 상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열교환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더 나아가, 차폐커버가 로킹장치에 의해 개폐되므로, 필요에 따라 차폐커버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유제탱크 및 적재판에 수송차량의 윈치용 후크가 걸리는 후크걸이가 장착되므로, 궤도차량을 수송차량의 윈치를 이용하여 수송차량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아스콘 접합부를 따라서 일직선으로 주행하도록, 차체프레임(52)의 양측에 장착된 크롤러(54)에 의해 주행하고, 상기 크롤러(54)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E)이 상기 크롤러(54)의 후방측 상기 차체프레임(52)상에 조향장치(56)와 함께 설치되며, 상기 크롤러(54)상의 상기 차체프레임(52)상에 수평설치되어 상부면에 연료탱크(FT) 및 유제탱크(OT)가 설치되는 적재판(58)으로 이루어진 궤도차량(50);
    상기 궤도차량(50)의 측방에서 아스콘 접합부로 화염 및 유제가 분사되도록,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적재판(58)에 측방으로 돌출고정되는 수평장착대(61)와, 상기 수평장착대(61)에 수직으로 관통체결되는 핸들(63a)이 장착된 승강스크류(63)와, 상기 승강스크류(63)의 하단을 파지하여 피벗고정시키는 피벗부재(PV)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스크류(63)의 하단부에 경사고정되고, 상기 핸들(63a)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판(65) 및, 상기 승강판(65)과 실질적으로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승강판(65)에 관통고정되고, 상기 적재판(58)상의 상기 연료 및 유제탱크(FT, OT)에 연결된 연료 및 유제라인(L1, L2)이 연결되어 아스콘 접합부에 화염 및 유제를 제각기 분사하는 토치(67) 및 노즐(69)로 이루어진 분사기(60);
    상기 분사기(60)의 상기 노즐(69)에 상기 유제탱크(OT)의 유제가 공급되도록, 상기 유제라인(L2)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펌프(70); 및
    상기 압력펌프(70)가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엔진(E)에 의해 작동하도록, 상기 엔진(E)의 출력축 및 상기 압력펌프(70)의 구동축에 제각기 설치된 풀리(P) 및, 상기 풀리(P)에 와인딩되는 벨트(BT)로 이루어진 전동부재(110); 및
    상기 전동부재(110)를 구성하는 상기 벨트(BT)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압력펌프(70)의 하부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적재판(58)에 일측이 힌지(HG)고정되어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압력펌프(70)를 이동시키는 회전판(122)과, 상기 회전판(122)의 타측을 상기 적재판(58)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24)와, 상기 고정볼트(124)의 일단부가 체결되는 수평관(126))과, 상기 수평관(126)의 양측에 밀착되고 상기 적재판(58)상에 수직으로 돌출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8) 및, 상기 고정브래킷(128)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관(126)에 체결되는 힌지볼트(HB)로 이루어진 펌프이동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적재판(58)이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적재판(58)에 적재된 상기 유제탱크(OT)가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적재판(58)의 하부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차체프레임(52)에 밀착되는 돌기브래킷(132) 및, 상기 돌기브래킷(132)에 관통고정되는 힌지축(134)으로 이루어진 경사제공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차량(50)에 운전자가 탑승하도록, 상기 궤도차량(50)의 상기 차체프레임(52)에 착탈가능하게 볼팅으로 연결되는 시트프레임(92)과, 상기 시트프레임(92)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안장(94) 및, 상기 안장(94)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시트프레임(92)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자재하는 케스터(96)로 이루어진 운전석(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90)은,
    상기 안장(94)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안장(94)의 하부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상기 시트프레임(92)에 삽입되는 인출봉(98-1) 및, 상기 시트프레임(92)의 측방을 관통하여 상기 인출봉(98-1)에 체결되는 체결핀(98-2)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재(9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1020060118181A 2006-11-28 2006-11-28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10068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181A KR100688342B1 (ko) 2006-11-28 2006-11-28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181A KR100688342B1 (ko) 2006-11-28 2006-11-28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8342B1 true KR100688342B1 (ko) 2007-03-02

Family

ID=3810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181A KR100688342B1 (ko) 2006-11-28 2006-11-28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3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3411A (zh) * 2013-04-27 2013-08-07 广东易山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沥青碎石同步封层车的喷洒升降装置
KR101632722B1 (ko) * 2015-04-07 2016-06-22 (주)하이에코트래픽 차선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주식 스프레이 방식의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CN112391923A (zh) * 2021-01-13 2021-02-23 上海篇宸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塑胶跑道局部损伤修复车
CN115369730A (zh) * 2022-08-09 2022-11-22 广州通辉工程有限公司 一种公路建设用沥青残渣清洁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931A (ko) * 1995-09-04 1997-04-28 최훈 아스콘 접합부 가열장치
JP2000154505A (ja) 1998-11-20 2000-06-06 Nichireki Co Ltd 舗装体接合部加熱装置
KR100594877B1 (ko) 2006-03-17 2006-06-30 주식회사 누리플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KR100594875B1 (ko) 2006-03-17 2006-06-30 주식회사 누리플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931A (ko) * 1995-09-04 1997-04-28 최훈 아스콘 접합부 가열장치
JP2000154505A (ja) 1998-11-20 2000-06-06 Nichireki Co Ltd 舗装体接合部加熱装置
KR100594877B1 (ko) 2006-03-17 2006-06-30 주식회사 누리플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KR100594875B1 (ko) 2006-03-17 2006-06-30 주식회사 누리플랜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3411A (zh) * 2013-04-27 2013-08-07 广东易山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沥青碎石同步封层车的喷洒升降装置
KR101632722B1 (ko) * 2015-04-07 2016-06-22 (주)하이에코트래픽 차선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주식 스프레이 방식의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공법
CN112391923A (zh) * 2021-01-13 2021-02-23 上海篇宸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塑胶跑道局部损伤修复车
CN112391923B (zh) * 2021-01-13 2021-11-19 江苏四达重工有限公司 一种塑胶跑道局部损伤修复车
CN115369730A (zh) * 2022-08-09 2022-11-22 广州通辉工程有限公司 一种公路建设用沥青残渣清洁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342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US9856698B2 (en) Self-propelled, towable coring apparatus
US10000893B2 (en) Machine for preparing and laying a bituminous carpet for closing micro-trenches
KR100688341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US6050744A (en) Path paver machine
CN108860343B (zh) 水旱兼用型履带拖拉机
KR100688343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장치
KR100723374B1 (ko) 방수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0594875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JPH09242122A (ja) 建設機械の手すり
KR100594877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EP1752581B1 (en) Device for pre-cracking in the fresh state and filling of cracks in cement road bases
FR2530694A1 (fr) Installation mobile de pontage de fissures de revetements routiers
JP4555274B2 (ja) 建設機械
US5934833A (en) Vibratory pipe and cable laying plow
JPH0754306A (ja) 路面仕上げ機
KR20070019444A (ko) 아스콘 접합부 가열 및 유제 살포 장치
JP4402639B2 (ja) タイヤ加熱装置
JP5389682B2 (ja) 建設機械
KR100594874B1 (ko) 아스콘 접합부용 전처리 장치
KR0135641B1 (ko) 아스콘 접합부 가열장치
KR200420328Y1 (ko) 방수시공장치
KR100622628B1 (ko) 아스팔트 기층 재포장 방법
FR2730177A1 (fr) Dispositif d&#39;abattage de poussieres embarque sur vehicules de travaux publics ou de chantiers
JP2001172908A (ja) アスファルト敷き均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