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921B1 -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921B1
KR100593921B1 KR1020040056715A KR20040056715A KR100593921B1 KR 100593921 B1 KR100593921 B1 KR 100593921B1 KR 1020040056715 A KR1020040056715 A KR 1020040056715A KR 20040056715 A KR20040056715 A KR 20040056715A KR 100593921 B1 KR100593921 B1 KR 10059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ircumferential surface
core
inner circumferential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202A (ko
Inventor
장호경
임태형
양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9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29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liquid cushion, e.g. oil cush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 F16C2380/26Dynamo-electric machines or combinations therewith, e.g. electro-motors and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핀들모터에 채용되는 유체동압베어링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원통형의 슬리브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을 성형가공하여 유체동압베어링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직축을 따라 승하강되는 상부펀치; 상기 상부펀치의 하부단에 상단이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슬리브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을 음각하도록 외주면에 성형돌기가 양각된 코어; 상기 코어에 내주면이 삽입된 슬리브가 상기 상부펀치와 더불어 강제압입되는 성형공을 몸체중앙에 관통형성한 다이;및 상기 성형공의 하부단으로 상부단이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와 더불어 성형공내로 압입된 코어가 삽입되는 코어공을 관통형성한 하부펀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원통형 슬리브에 대한 소재의 제한없이 동압발생용 홈을 내주면에 용이하게 성형하고, 홈깊이를 일정이상 깊게 성형할 수 있으며, 금형구조및 성형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유체동압베어링, 슬리브, 홈, 헤링본, 스파이럴, 다이, 펀치, 코어, 성형공

Description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fluid dynamic pressure bearing}
도 1은 일반적인 유체동압베어링를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의 다이에 압입되는 슬리브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의 다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를 이용한 공정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에서 복수의 슬리브에 동압발생용 홈을 형성하는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상부펀치 120 : 코어
120a : 원통부 120b : 테이퍼부
125 : 성형돌기 130 : 다이
135 : 성형공 140 : 하부펀치
S,S' : 슬리브 G : 동압발생용 홈
본 발명은 스핀들모터에 구비되는 유체동압베어링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중공원통형 슬리브에 대한 소재의 제한없이 동압발생용 홈을 내주면에 용이하게 성형하고, 홈깊이를 일정이상 깊게 성형할 수 있으며, 금형구조및 성형공정이 간단한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베어링이 채용된 모터는 샤프트와 마찰이 존재하고, 이로 인하여 소음과 진동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되는 진동을 NRRO(Non Repeatable Run Out)이라고 하며, 이는 하드디스크의 트랙밀도를 높이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반면에, 원심력에 의한 윤활유의 가동압만으로 샤프트의 축강성을 유지시키는 유체동압베어링이 구비된 스핀들모터는 윈심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금속마찰이 없고 고속회전일수록 안정감이 상승하여 소음과 진동의 발생이 적으며, 회전물의 고속회전이 볼베어링을 갖는 모터보다 순조롭기 때문에, 하이엔드용 광디스크장치, 자기디스크장치에 주로 적용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스핀들모터에 구비되는 유체동압베어링은 회전중심인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조립되어 습동면을 형성하는 금속제 슬리브로 구성되며, 이들중 어느 한쪽면에 헤링본(herringbone) 또는 스파이럴(spiral)상의 동압발생용 홈(groove)을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와 슬리브사이의 습동면에 미세하게 형성되는 간극에 윤활용 오일인 유체를 채움으로써, 습동면의 홈에서 발생되는 동압에 의해서 마찰부재가 서로 비접촉상태가 되도록 하여 회전구동시 마찰부하를 저감시키고, 회전부재인 로터를 지지하는 구조의 베어링부재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유체동압베어링을 스핀들모터에 적용하게 되면, 유체를 이용하여 로터를 지지하기 때문에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량이 적고, 소비전력도 적게 소요됨과 동시에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유체동압베어링은 소결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중공원통형 슬리브의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을 성형하여 제조되며, 홈을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전해가공, 전조가공및 프레스방법이 있지만, 제조비용의 저렴화의 관점에서 근래들어 프레스가공이 관심을 받고 있다.
한편, 중공원통상의 슬리브의 내부면에 동압발생용 홈을 프레스방식으로 성형하는 방법중 소재자체의 스프링백 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이(2), 코어로드(3), 상부펀치(4), 하부펀치(5)및 램(6)으로 이루어진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일본공개공보 특개평11-190344호(1999.7.13)에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다이(2)는 하부펀치(5)의 연장부를 따라 습동하면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상기 하부펀치(5)의 상부단은 다이(2)의 성형공의 상단 입구부에서 대기하하면서 슬리브(1)의 하부단면과 맞닿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펀치(4)의 중심에 상기 코어로드(3)가 자유롭게 습동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램(6)을 하강시키면, 상기 램(6)과 더불어 하강되는 코어로드(3)의 하부단은 상기 슬리브(1)의 내주면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1)의 내주면과 상기 코어로드(3)의 성형틀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또한, 상기 램(6)와 상부펀치(4)를 상기 코어로드(3)와 더불어 동시에 하강시킴으로써, 도 1(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슬리브(1)를 다이(2)의 성형공내로 삽입하고, 삽입된 슬리브(1)는 상,하부펀치(4)(5)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구속된다.
연속하여, 도 1(d)(f)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다이(2)의 성형공내의 슬리브(1)가 상하 방향으로 구속된 상태를 지지하면서 상기 다이(2)를 상승시키고, 상기 슬리브(1)의 다이(2)의 성형공내에서 압입하면, 상기 슬리브(1)는 다이(2)와 상, 하부 펀치(4)(5)로부터 압박력을 받아 변형을 일으키면서 그 내주면이 코어 로드(3)의 성형틀에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성형틀의 형상이 상기 슬리브(1)내주면에 전사되어 동압발생용 홈(1a)이 성형이 된다.
상기 홈(1a)의 성형이 완료된 슬리브(1')에 대한 상하방향의 구속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 1(f)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다이(2)를 하부로 하강시키고, 상기 슬리브(1')를 다이(2)의 성형공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도 1(g)(h)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램(6)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코어 로드(3)및 상부펀치(4)도 상승시키면서 상기 코어로드(3)를 소결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슬리브(1')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리브(1)을 다이(2)의 성형공으로부터 빼내면, 상기 슬리브(1)는 스프링백(spring back)이 생기면서 내경치구가 확대되기 때문에, 성형홈을 무너뜨리는 일없이 슬리브(1)의 내주면으로부터 코어로드(3)의 성형틀을 빼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백 현상으로 이용하여 슬리브에 동압발생용 홈을 성형가공하는 종래의 프레스방법은 가공상 동압발생용 홈을 슬리브의 내주면에 일정깊이 이상으로 성형하기 곤란하고, 스프링백(spring back)현상이 많이 발생되는 소결금속재질에 국한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스프링백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자체가 매번 형성시 스프링백현상이 일정하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성형후 홈깊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제조해야한다는 양산치수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구성부품수가 많아 금형구조가 복잡하고, 슬리브의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을 성형가공하는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이로 인해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스프링백현상이 없이도 동압발생용 홈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고, 슬리브소재의 제한없이 항상 일정하게 홈깊이를 깊게 성형할 수 있는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동압발생용 홈을 성형하는 금형구조및 공정이 단순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중공원통형의 슬리브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을 성형가공하여 유체동압베어링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직축을 따라 상승하강되는 상부펀치;
상기 상부펀치의 하부단에 상단이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슬리브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을 음각하도록 외주면에 성형돌기가 양각된 코어;
상기 코어에 내주면이 삽입된 슬리브가 상기 상부펀치와 더불어 강제압입되는 성형공을 몸체중앙에 관통형성한 다이;및
상기 성형공의 하부단으로 상부단이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와 더불어 성형공내로 압입된 코어가 삽입되는 코어공을 관통형성한 하부펀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펀치,코어, 슬리브,다이및 및 하부펀치는 동일한 수직축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펀치의 상단은 수직축을 따라 상하이동시키고,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외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수단에 연결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는 상기 성형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통부와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테이퍼부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슬리브의 내주면이 압입되는 길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돌기는 스파이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공은 상단에 슬리브를 수축하면서 삽입안내하도록 테이퍼안내면을 경사지게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 회전방지홈과 일치하는 회전방지돌기를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이상 돌출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의 다이에 압입되는 슬리브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의 다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를 이용한 공정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00)는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부구조물인 스 테이터와 회전구조물인 로터사이에서 상기 로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개재되는 슬리브(S)의 내주면에 상대회전시 동압을 발생시키는 홈(G)을 스프링백현상없이 간단한 공정으로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상부펀치(110), 코어(120), 다이(130)및 하부펀치(1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펀치(110)는 수직축(Y)을 따라 상하승하강되면서 이동되는 이동구조물이다.
이러한 상부펀치(110)의 상단(115)에는 성형시 수직축(Y)을 따라 상기 상부펀치(110)를 상하이동시키는 외력을 발생시키고, 성형후 슬리브분리시 상기 수직축(Y)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부펀치(1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외력을 발생시키는 복합작동수단(미도시)에 연결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펀치(110)와 더불어 이동되는 코어(120)는 상기 상부펀치(110)의 하부면에 상단이 일체로 조립되고, 외부면에는 성형가공대상물인 금속소재의 슬리브(S)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G)을 음각하도록 외주면에 성형돌기(125)가 양각되어 있다.
이러한 코어(120)는 상기 성형돌기(125)가 외주면에 양각형성되는 원통부(120a)와,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좁아지는 테이퍼부(120b)로 구성되는데, 상기 원통부(120a)의 형성길이는 동압발생용 홈(G)을 성형가공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슬리브(S)가 압입될 정도로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코어(120)의 성형돌기(125)는 동압발생용 홈(G)이 내주면에 형 성된 슬리브로부터 상기 코어(120)를 풀림방향(R)으로 회전시켜 분리하도록 스파이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120)의 삽입단인 하부단이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테이퍼부(120b)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슬리브(S)의 내경부, 다이(130)의 성형공(135)및 상기 하부펀치(140)의 코어공(145)으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상기 다이(130)는 몸체중앙에 일정크기의 성형공(135)을 관통형성한 고정구조물이며, 상기 성형공(135)의 상단에는 동압발생용 홈(G)을 가공하고자 하는 금속소재의 중공원통형 슬리브(S)의 하부면이 접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S)가 올려지는 성형공(135)의 상단에는 상기 성형공(135)내로 슬리브(S)의 외경을 수축하면서 원활하게 삽입안내하도록 테이퍼안내면(135a)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성형공(135)은 상기 슬리브(S)의 외경을 수축하면서 내부로 압입하는 반면에 상기 상부펀치(110)는 수축없이 삽입되도록 상기 슬리브(S)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상부펀치(11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20)의 성형돌기(125)와 대응하도록 삽입된 슬리브(S)는 상기 상부펀치(110)와 더불어 상기 다이(140)의 성형공(145)으로 압입되면서 성형가공된다.
그리고, 도 3(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슬리브(S)의 외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회전방지홈(131)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성형공(135)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홈(131)과 일치되어 이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132)를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이상 돌출형성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132)는 상기 수직축(Y)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홈(131)과 회전방지돌기(132)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이들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되는 회전방지홈(131)은 주입된 오일을 순환시키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펀치(140)는 상기 성형공(135)내로 상부펀치(110)와 더불어 삽입된 슬리브(S)가 성형공(135)하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역활을 하도록 상기 성형공(145)의 하부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물이다.
상기 하부펀치(140)는 몸체중앙에 일정크기의 코어공(145)을 관통형성하며, 동압발생용 홈의 성형가공시 상기 코어공(145)으로는 상기 슬리브(S)를 관통하여 성형공(145)내로 진입된 코어(120)가 삽입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장치(100)를 이용하여 스핀들모터에 채용되는 유체동압베어링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코어(120)를 하부면에 일체로 장착한 상부펀치(110),다이(130), 하부펀치(140)를 동일한 수직축(Y)상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S)의 외부면에 형성된 회전방지홈(131)과 상기 다이(130)의 성형공(135)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132)는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성형 공(135)의 상단부에 슬리브(S)를 올려놓아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G)을 성형하고자 하는 금속소재의 슬리브(S)를 상기 다이(130)의 성형공(135)상단에 형성된 테이퍼안내면(135a)에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성형공(135)의 내경은 상기 슬리브(S)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S)는 성형공(135)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성형공(135)의 상단입구에 압입대기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펀치(110)에 관련된 작동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직방향의 외력에 의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상기 상부펀치(110)가 직하방으로 하강되면, 이와 더불어 코어(120)도 직하방으로 하강되면서 테이퍼부(120b)의 선단이 상기 슬리브(S)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다이(130)의 성형공(135)내로 삽입된다.
연속하여, 도 4(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부펀치(110)의 하강작동에 의해서 상기 코어(120)의 원통부(120a)에 상기 슬리브(S)의 내주면이 삽입되고, 상기 원통부(120a)와 상부펀치(110)의 경계부에 슬리브(S)가 걸리게 되면, 상기 원통부(120a)에 형성된 성형돌기(125)와 상기 슬리브(S)의 내주면은 서로 대응하여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펀치(110)의 계속적인 하강작동에 의해서 도 4(d)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부펀치(110), 코어(120)와 더불어 슬리브(S)는 상기 다이(130)의 성형공(135)내로 억지로 삽입되기 시작하고, 상기 슬리브(S)의 하부단이 상기 성형공(135)의 하단에 삽입되어 고정된 하부펀치(140)에 접해지면서 상기 상부펀치(110), 코어(120)및 슬리브(S)의 하강작동은 중단된다.
이때, 상기 다이(130)의 성형공(135)내로 삽입된 슬리브(S)는 그 상,하부단면과 접하는 상,하부펀치(110)(140)와, 내경으로 삽입된 코어(120)및 다이(130)에 의해서 압력을 받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S)의 내주면에는 상기 코어(120)의 성형돌기(125)가 전사되어 동압발생용 홈(G)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S)의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G)을 형성한 다음, 상기 슬리브(S)로부터 코어(120)를 분리하는 작업은, 도 4(e)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코어(120)와 일체로 연결된 상부펀치(110)를 미도시된 작동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풀림방향(R)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슬리브(S)의 동압발생홈(G)을 형성하도록 상기 슬리브(S)의 내주면에 압입된 코어(120)의 성형돌기(125)가 나사식으로 풀려져 상기 슬리브(S)와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다이(130)내에 잔류하는 슬리브(S)를 성형공(135)으로부터 인출하여 홈성형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S)는 상기 성형공(135)의 회전방지돌기(132)에 회전방지홈(131)이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코어(120)의 풀림회전에 대하여 슬리브(S)가 성형공(135)내에 위치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S)와 코어(120)의 분리작업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에서 복수의 슬리브에 동압발생용 홈을 형성하는 상태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이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슬리브(S)(S')를 상기 다이(130)의 성형공(135)상에 다수개 올려놓고, 상기한 공정에 의해 상기 슬리브(S)(S)')의 각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G)을 동시에 형성한 다음, 상기 코어(120)를 나사식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상부펀치(110)의 1회 승하강작동에 의해 다수개 슬리브(S)(S')의 내주면에 홈(G)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성형공정에 의해서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G)을 형성한 중공원통형의 슬리브(S)(S')는 상부측 슬리브(S)에 형성되는 홈(G)과 하부측 슬리브(S')에 형성되는 홈(G)이 서로 대칭구조를 갖도록 상하한쌍으로 배치되어 스테이터와 로터사이에 개재되는 유체동압베어링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펀치의 하강력에 의해서 다이의 성형공내에 슬리브를 강제압입하고, 코어의 외부면에 형성된 성형돌기를 전사하여 슬리브의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종래 절삭이나 볼성형에 비하여 간단한 금형구조에 의해서 홈성형공정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링백현상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일정한 홈깊이로 깊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브소재에 대한 선택의 넓어지고, 깊어진 홈깊이에 비례하여 동압도 크게 발생되어 스핀들모터의 축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진동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이내로 삽입되는 상부펀치와 코어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슬리브 이 직각도를 수직축과 일치시킴과 동시에 코어와 슬리브간의 분리시 성형완료된 동압발생용 홈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8)

  1. 중공원통형의 슬리브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을 성형가공하여 유체동압베어링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직축을 따라 상승하강되는 상부펀치;
    상기 상부펀치의 하부단에 상단이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슬리브 내주면에 동압발생용 홈을 음각하도록 외주면에 성형돌기가 양각된 코어;
    상기 코어에 내주면이 삽입된 슬리브가 상기 상부펀치와 더불어 강제압입되는 성형공을 몸체중앙에 관통형성한 다이;및
    상기 성형공의 하부단으로 상부단이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와 더불어 성형공내로 압입된 코어가 삽입되는 코어공을 관통형성한 하부펀치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 회전방지홈과 일치하는 회전방지돌기를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이상 돌출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펀치,코어, 슬리브,다이및 및 하부펀치는 동일한 수직축상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펀치의 상단은 수직축을 따라 상하이동시키고,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외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수단에 연결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성형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통부와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테이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슬리브의 내주면이 압입되는 길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돌기는 스파이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은 상단에 슬리브를 수축하면서 삽입안내하도록 테이퍼안내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8. 삭제
KR1020040056715A 2004-07-21 2004-07-21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KR100593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715A KR100593921B1 (ko) 2004-07-21 2004-07-21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715A KR100593921B1 (ko) 2004-07-21 2004-07-21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202A KR20060009202A (ko) 2006-01-31
KR100593921B1 true KR100593921B1 (ko) 2006-06-30

Family

ID=3711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715A KR100593921B1 (ko) 2004-07-21 2004-07-21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881B1 (ko) * 2020-04-01 2021-11-04 주식회사 링크라인 샤프트-크랭크 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146A (ko) * 1994-05-02 1995-12-22 모리시타 요이찌 유체베어링의 제조 장치
JPH10314853A (ja) 1997-05-15 1998-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圧流体軸受けの溝形成装置
JP2002097504A (ja) 2000-07-17 2002-04-02 Hitachi Powdered Metals Co Ltd 焼結軸受の動圧溝形成用コアロッド
KR20030087839A (ko) * 2002-05-10 200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압 베어링의 동압생성홈 성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146A (ko) * 1994-05-02 1995-12-22 모리시타 요이찌 유체베어링의 제조 장치
JPH10314853A (ja) 1997-05-15 1998-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圧流体軸受けの溝形成装置
JP2002097504A (ja) 2000-07-17 2002-04-02 Hitachi Powdered Metals Co Ltd 焼結軸受の動圧溝形成用コアロッド
KR20030087839A (ko) * 2002-05-10 200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압 베어링의 동압생성홈 성형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202A (ko)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860B1 (ko) 동압베어링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954695B2 (ja) 動圧型多孔質含油軸受の製造方法
JP3607492B2 (ja) 動圧型多孔質含油軸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93921B1 (ko) 유체동압베어링 제조장치
JP4573349B2 (ja) 動圧軸受の製造方法
JP2006071062A (ja) 動圧軸受
JP2011047005A (ja) 軸受スリーブの製造方法及び流体軸受装置
US5471862A (en) Bearing having arch-shaped recess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602320B2 (ja) 動圧型焼結含油軸受の製造方法
JPH10113832A (ja) 動圧流体軸受の製造方法
JP4420339B2 (ja) 動圧軸受の製造方法
JP4327038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
JP4052730B2 (ja) 軸受装置の製造方法と軸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モータ
JP3625637B2 (ja) 動圧型軸受の製造方法
US3593399A (en) Method of making a rod end bearing
CN211588150U (zh) 一种轴承座的生产模具
CN102562803B (zh) 含油轴承制造方法
JP2001059105A (ja) 軸受の製造方法
JP3856363B2 (ja) 軸受の製造方法
JP3734130B2 (ja) 焼結含油軸受の製造方法
JP2001059106A (ja) 軸受の製造方法
JP4738831B2 (ja) 流体軸受装置
JP2004340385A (ja) 動圧型軸受ユニット
JP2004360863A (ja) 動圧軸受の製造方法
JP3602319B2 (ja) 動圧型多孔質含油軸受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