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779B1 - 메달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메달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779B1
KR100593779B1 KR1020000034063A KR20000034063A KR100593779B1 KR 100593779 B1 KR100593779 B1 KR 100593779B1 KR 1020000034063 A KR1020000034063 A KR 1020000034063A KR 20000034063 A KR20000034063 A KR 20000034063A KR 100593779 B1 KR100593779 B1 KR 10059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al
passage
sorting
protrusio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583A (ko
Inventor
오가와아끼히사
우메노마꼬또
Original Assignee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2Coin slo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메달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는 메달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입된 메달의 평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메달의 자중을 이용하여 상기 메달을 활주시키는 메달 통로(31)와, 상기 메달 통로(31)의 하면에 형성되어 정규 메달은 통과시키지 않고, 또한 소형 메달(50)은 자중에 의해 낙하 투입되는 선별 구멍(34)과, 상기 메달 통로(31)의 상면으로부터 해당 메달 통로(31) 내로 돌출하여 상기 소형 메달(50)을 상기 선별 구멍(34)을 향해서 밀어붙이는 돌출부(41)를 구비한다. 돌출부(41)는 상기 메달 통로(31)의 중심(C)으로부터 어긋나게 하고, 해당 메달 통로(31) 내로 돌출시킨다. 이로써, 돌출부(41)는 소형 메달을 메달 통로(31)의 메달 활주면(31a) 내에서 경사지게 할 수 있으며, 선별 구멍(34)으로부터 소형 메달(50)을 낙하시킬 수 있다.
메달 통로, 선별 구멍, 돌기부, 돌출부, 메달 선별 장치

Description

메달 선별 장치 {Medal Sorter}
도1은 제1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를 구비한 메달 게임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의 메달 게임기의 A-A 종단면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의 상방 사시도.
도4는 제1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의 측면도.
도5는 제1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의 하면도.
도6은 제1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의 상면도.
도7은 도6의 돌기부 부근의 확대도.
도8은 도6의 메달 선별 장치의 B-B 단면도.
도9는 도8의 D부분의 확대도.
도10은 직경이 작은 메달의 선별 동작을 도시한 메달 통로의 횡단면도.
도11은 제2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의 상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메달 통로
34 : 선별 구멍
40 : 돌기부
41 : 돌출부
50 : 직경이 작은 메달
본 발명은 게임기 등에 사용하는 메달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기 등에 부정하게 투입되는 직경이 작은 메달을 배제하기 위한 메달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메달 게임기에 투입되는 직경이 작은 메달을 배제하는 메달 선별 장치로서는, 메달 투입구로부터 횡방향으로 투입된 메달을 게임기의 유희부까지 안내하는 메달 통로를 마련하고, 메달 통로의 도중에 선별 구멍을 형성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선별 구멍은 정규 메달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규 메달은 선별 구멍으로 낙하 투입되지 않고 메달 통로를 미끄러져 내려 유희부에 도달할 수 있다.
한편, 정규 메달보다도 직경이 작은 경화가 투입된 경우에는 그 메달은 선별 구멍으로부터 낙하하여 유희부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달 투입구를 정규 메달의 단면 형상에 들어맞는 것으로 함으로써, 정규 메달보다 큰 메달의 투입이 방지되어 있다.
그러나, 메달 투입구로부터 직경이 작은 경화를 힘있게 투입한 경우에는 직 경이 작은 경화의 이동 속도가 빨라져서 한층 더 이 직경이 작은 경화가 메달 통로의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경화가 메달 통로의 하면에 형성한 선별 구멍으로부터 낙하하기 전에 이 선별 구멍을 통과해 버리고, 그대로 메달 통로를 거쳐서 유희부에 도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힘있게 투입된 소형 경화나 메달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는 메달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달 선별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투입된 메달의 평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메달의 자중을 이용하여 상기 메달을 활주시키는 메달 통로(31)와, 상기 메달 통로(31)의 하면에 형성되어 정규 메달은 통과시키지 않고, 또한 소형 메달(50)은 자중에 의해 낙하 투입되는 선별 구멍(34)과, 상기 메달 통로(31)의 상면으로부터 해당 메달 통로(31) 내로 돌출하여 상기 소형 메달(50)을 상기 선별 구멍(34)을 향해서 밀어붙이는 돌기부(40)를 구비한 메달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소형 메달을 상기 메달 통로 내에서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선별 구멍(34)으로부터 상기 소형 메달(50)을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선별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메달 통로(31)의 중심(C)으로부터 어긋나게 하고, 해당 메달 통로(31) 내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메달 선별 장치이다(도7 참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메달 통로(31) 내로 삼각 형상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메달 선별 장치이다(도11 참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기부(40)의 하단부와 상기 메달 통로(31)의 하면(31a) 사이는 상기 정규 메달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메달 선별 장치이다(도9 참조).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메달 통로(31)의 상면(31b)을 잘라 일으켜 세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달 선별 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메달 통로(31)의 상면(31b)을 굴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달 선별 장치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메달 통로(31)의 상면에 형성하는 개구(35)와, 상기 개구(35)의 엣지로부터 해당 개구(35)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41)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돌출부(41)의 선단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달 선별 장치이다.
이하, 도1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달 선별 장치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각 실시 형태의 공통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 구조>
본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는 예를 들어 도1 및 도2에 도시한 메달 게임기 내에 설치되며, 정규 메달보다도 작은 메달 등이 반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배제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메달 게임기는 게임자가 게임을 진행시키는 장소인 대략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반면(10)을 구비하고, 게임자는 메달 투입구(20)로부터 반면(10)을 향해서 횡방향으로 메달을 투입하여 게임을 즐긴다.
게임자가 메달 투입구(20)로부터 하나씩 메달을 투입하면, 요동하는 가동 블레이드(11)에 의해 낙하 방향이 무질서하게 변경된 메달은 반면(10)의 내부를 낙하한다. 이를 위해, 반면(10)에는 메달이 종방향이 된 상태로 낙하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소정의 숫자 점등 포켓(12)에 이 메달이 들어간 경우, 숫자 점등 포켓(12)에 표시된 숫자를 이용하여 액정 표시부(13)에서 소정의 게임, 예를 들어 슬롯 머신 게임이나 빙고 게임 등이 행해진다. 또한, 숫자 점등 포켓(12)에 표시되는 숫자는 예를 들어 LED 등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면(10)에는 예를 들어 슬롯 머신의 반면에 있는 것 같은 다수의 못(14)이 박혀 있어, 메달의 낙하 방향에 불일치성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메달 게임기 가동중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되고 있는 가동부(15)를 메달이 통과한 경우, 입상으로 판정되어 액정 표시부(13)에 있어서의 게임 진행에 좋은 영향을 미치게 한다.
그리고, 액정 표시부(13)로 표시되어 있는 게임에서 소정의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소정 갯수의 메달 불출이 가능해지며, 게임자가 컬렉트 버튼(16)을 누르면 그 때까지 지불 가능한 갯수의 메달이 불출구(17)로부터 불출된다. 또한, 메달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18a)로부터 에스컬레이터(18b) 및 슈터(18c)를 거쳐서 불출구(17)로 불출된다. 또, 반면(10)으로부터 낙하한 메달은 슈터(18d)를 거쳐서 호퍼(18a)에 모아진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30)를 도3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달 선별 장치(30)는 하면 판(31a)과 상면 판(31b)으로 구성되는 메달 통로(31)를 구비하고 있고, 메달 통로(31)는 직사각형 단면의 공간이다(도10 참조). 메달 통로(31)의 일단부에는 메달 투입구(20)가 형성되고(도8 참조), 메달 투입구(20)의 주위에는 플랜지(32)가 형성된다. 하면 판(31a)은 메달 통로(31)의 메달의 활주면을 구성하고, 상면 판(31b)은 메달 통로(31)의 양측면 및 상면을 구성한다. 또한, 메달 선별 장치(30)는 도시하지 않은 앤빌에 의해서 메달 게임기 본체에 고정된다.
또, 도4 및 도8에서는 메달 통로(31)가 수평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체에의 메달 선별 장치(30)의 부착시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배치된다. 이에 의해, 메달 투입구(20)로부터 반면(10)을 향해서 정규 메달을 활주시킬 수 있다.
메달은 그 평면을 메달 통로(31)의 하면 판(31a)(메달 활주면)에 접촉시키면서 미끄러져 내린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달 통로(31)의 종단부(33a)는 반면(10)의 상단부가 면한 위치까지 연장하여 형성되고, 메달 통로(31)를 활주한 메달은 반면(10)의 상술한 간극 내로 미끄러져 내려서 반면(10) 내부를 낙하한다.
도5는 메달 선별 장치(30)를 하방으로부터 본 것으로, 메달 통로(31)의 하면 판(31a)에는 정규 메달보다도 작은 메달을 자중에 의해 낙하시키는 선별 구멍(34)이 개구되어 있다. 선별 구멍(34)은 메달 이동 방향에 대하여 길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서 메달을 낙하시키는 시간을 확보하고 있다. 이 선별 구멍(34)은 정규 메 달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폭으로 되어 있어, 정규 메달은 선별 구멍(34)으로 낙하 투입되지 않고 메달 통로(31)를 미끄러져 내리는데, 정규 메달보다도 직경이 작은 경화 등, 예를 들어 1엔짜리 경화는 선별 구멍(34)을 거쳐서 메달 통로(31)로부터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달 통로(31)의 상면 판(31b)에는 슬릿(36a)이 개구되고, 그리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달 통로(31)의 하면 판(31a)에는 이 슬릿(36a)과 대향하는 슬릿(36b)이 각각 개구되어 있다.
슬릿(36a 및 36b)은 선별 구멍(34)으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메달 통로(31)를 미끄러져 내려온 메달을 계산하는 광 센서(도시 생략)의 광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메달 통로(31)를 미끄러져 내리는 메달이 슬릿(36a 및 36b)의 위치를 통과할 때 이 광로를 차단하고, 광 센서는 빛이 차단된 횟수에 기초하여 메달의 통과 갯수를 계산한다. 또한, 광 센서는 도시하지 않은 앤빌을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3의 메달 선별 장치(30)의 상방 사시도, 및 도6의 메달 선별 장치(30)의 상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달 통로(31)의 상면 판(31b)에는 전술한 선별 구멍(34)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3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5)의 투입구(20)측(상류측) 엣지에는 개구(35) 내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1)는 상면 판(31b)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개구(35) 내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41)의 선단부를 메달 통로(31) 내로 돌출하도록 굴곡하여 돌기부(40)가 형성된다. 환언하면, 돌기부(40)는 돌출부(41)를 메달 통로(31) 내측 을 향해서 잘라 일으켜 세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 판(31b)은 금속판이고, 돌출부(41) 및 돌기부(40)는 상면 판(31b)을 이루는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41)의 선단부에 돌기부(40)를 형성했으므로, 돌기부(40)는 충분한 탄성을 가지며, 메달의 충돌에 의해서 변형되어 메달에 흠집을 낼 우려가 저하된다.
도7의 돌기부(40) 주위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35)는 상면 판(31b)을 절제한 개구 엣지부(35a, 35b)를 갖고 있고, 개구 엣지부(35a)와 개구 엣지부(35b)는 메달 통로(31)의 중심선(C)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40) 및 돌출부(41)는 개구 엣지부(35a)보다 개구 엣지부(35b)쪽에 형성되어 있고, 돌기부(40) 및 돌출부(41)의 중심은 메달 통로(31)의 중심선(C)과는 어긋난 위치에 있다. 즉, 돌기부(40) 및 돌출부(41)는 한 쪽 개구 엣지부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도10에 돌기부(40) 부근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또한, 도7 및 도10에 있어서, 돌기부(40) 및 돌출부(41)와 개구 엣지부(35a)의 거리를 a라 하고, 돌기부(40) 및 돌출부(41)와 개구 엣지부(35b)의 거리를 b라고 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a>b로 하고 있지만, a=b 아니면 a<b로 해도 좋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40)의 선단부(하단부)와 하면 판(31a)의 거리(c)는 정규 메달이 통과할 수 있는 치수로 되어 있고, 상면 판(31b)과 하면 판(31a)의 거리(d)는 정규 메달의 단면(두께)의 약 2배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에 정규 메달을 투입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규 메달을 그 평면이 대략 수평해지는 방향으로 메달 투입 구(20)로부터 투입하면, 메달은 투입시의 힘에 의해서 메달 통로(31)를 미끄러져 내려 돌기부(40)에 충돌한다.
돌기부(40)에 충돌하면 메달 통로(31)의 하면측으로 이동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선별 구멍(34)의 폭은 정규 메달의 직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므로, 정규 메달은 선별 구멍(34)으로 낙하 투입되지 않고 그대로 메달 통로(31)를 미끄러져 내려서 반면(10)에 도달한다.
한편, 정규 메달보다도 작은 메달 등 예를 들어 1엔짜리 경화를 투입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1엔짜리 경화(50)를 메달 투입구(20)로부터 투입하면, 1엔짜리 경화는 메달 통로(31)를 활주하여 돌기부(40)에 충돌하며, 돌기부(40)와의 충돌에 의해서 1엔짜리 경화의 힘은 극단적으로 약해진다.
이 충돌 순간, 돌기부(40)는 메달 통로(31)의 중심선(C)으로부터 어긋나 있으므로, 돌기부(40)에 접촉한 1엔짜리 경화(50)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달 통로(31)의 단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되며, 메달 통로(31)를 미끄러져 내리려는 1엔짜리 경화(50)에는 선별 구멍(34)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하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1엔짜리 경화는 메달 통로 단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선별 구멍(34) 방향으로 유도되게 된다. 1엔짜리 경화는 선별 구멍(34)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유도되므로, 선별 구멍(34)으로부터 용이하게 낙하한다.
이와 같이, 1엔짜리 경화는 돌기부(40)에 의해서 그 힘이 약해지는 데다가 선별 구멍(34)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유도되게 되므로, 가령 힘있게 1엔짜리 경화를 투입했다고 해도 선별 구멍(34)으로 낙하 투입되지 않고 메달 통로(31)를 미 끄러져 내려서 그 종단부(33a)에 이르는 일은 없다.
또한, 메달 투입구(20)는 정규 메달의 단면보다도 아주 약간 크게 개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대형 경화 등의 투입이 방지된다.
<제2 실시 형태>
메달 선별 장치(30')의 제2 실시 형태를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는 돌출부 및 돌기부의 구조만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므로, 이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메달 통로(31)의 상면 판(31b)에는 개구(35)가 형성되고, 개구(35)의 투입구(20)측(상류측) 엣지에는 개구(35) 내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1')는 상면 판(31b)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개구(35)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돌출부(41')의 중심은 메달 통로(31)의 중심선(C)과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돌출부(41')의 선단부를 메달 통로(31) 내로 돌출하도록 삼각 형상으로 굴곡하여 돌기부(40')가 형성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돌기부(40')의 선단부(하단부)와 하면 판(31a)의 거리는 정규 메달이 통과할 수 있는 치수로 되어 있고, 상면 판(31b)과 하면 판(31a)의 거리는 정규 메달의 단면(두께)의 약 2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메달 통로(31)를 활주하는 1엔짜리 경화 등의 직경이 작은 메달은 메달 통로(31) 내로 삼각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기부(40')에 접촉하여 메달 통로(31)의 단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되며, 메달 통로(31)를 미끄러져 내리 려는 1엔짜리 경화에는 선별 구멍(34)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하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1엔짜리 경화는 메달 통로 단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선별 구멍(34) 방향으로 유도되게 된다. 1엔짜리 경화는 선별 구멍(34)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유도되므로, 선별 구멍(34)으로부터 용이하게 낙하한다.
그리고, 돌출부(41')의 선단부를 삼각 형상으로 절곡하고 있을 뿐이므로, 절곡하는 삼각형의 면적을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메달에 부여하는 힘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선별하는 메달에 따라서 적절한 돌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각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에서는 돌기부(40, 40')를 이용함으로써 메달 선별 장치를 복잡화 혹은 대형화하지 않고 소형 메달 등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이로써, 공간을 절약하고 또한 비용을 저감하는 메달 선별의 요망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메달 선별 장치에 따르면, 돌기부(40, 40')는 상면 판(31b)을 잘라 일으켜 세우는 것만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장이 발생하기 어렵고 비용이 저렴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메달 선별 장치는 메달 게임기에의 적용에 한정되지 않고, 메달을 투입하여 게임을 행하는 각종 게임기나, 메달의 투입에 따라서 각종 상품을 불출하는 판매기의 메달 선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청구항의「메달」은 경화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달 선별 장치는 구성되어 있으며,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소형 메달은 돌기부에 충돌함으로써 감속하면서 메달이 경 사져서 선별 구멍으로 낙하 투입되기 쉬운 상태로 되므로, 소형 메달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에 충돌하는 메달을 확실하게 경사지게 하여 선별 구멍으로부터 낙하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를 메달 통로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하지 않고 메달을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정규 메달은 돌기부에 충돌한 후, 돌기부의 하단부와 메달 통로의 하면 사이로 유도되고 있으므로, 돌기부를 확실하게 통과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의 형성이 용이하여 선별해야 하는 메달이 변경된 경우도 돌기부의 형상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선별해야 하는 메달이 변경된 경우도 메달 통로에 대한 돌기부의 돌출량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의 탄성 변형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어서 충돌시에 메달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Claims (7)

  1. 투입된 메달의 평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메달의 자중을 이용하여 해당 메달을 활주시키는 메달 통로와, 상기 메달 통로의 하면에 형성되어 정규 메달은 통과시키지 않고, 또한 소형 메달은 자중에 의해 낙하 투입되는 선별 구멍과, 상기 메달 통로의 상면으로부터 해당 메달 통로 내로 돌출하여 상기 소형 메달을 상기 선별 구멍을 향해서 밀어붙이는 돌기부를 구비한 메달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형 메달을 상기 메달 통로 내에서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선별 구멍으로부터 상기 소형 메달을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메달 통로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하고, 해당 메달 통로 내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선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메달 통로 내로 삼각 형상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선별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하단부와 상기 메달 통로의 하면 사이는 상기 정규 메달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선별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메달 통로의 상면을 잘라 일으켜 세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선별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메달 통로의 상면을 굴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선별 장치.
  7. 상기 메달 통로의 상면에 형성하는 개구와, 상기 개구의 엣지로부터 해당 개구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달 선별 장치.
KR1020000034063A 1999-06-22 2000-06-21 메달 선별 장치 KR100593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75286A JP3062533B1 (ja) 1999-06-22 1999-06-22 メダル選別装置
JP99-175286 1999-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583A KR20010049583A (ko) 2001-06-15
KR100593779B1 true KR100593779B1 (ko) 2006-06-30

Family

ID=1599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063A KR100593779B1 (ko) 1999-06-22 2000-06-21 메달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62533B1 (ko)
KR (1) KR100593779B1 (ko)
TW (1) TW54041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3999B2 (ja) * 2001-05-10 2011-04-20 有限会社ティーケーエス 硬貨識別装置
KR101508201B1 (ko) * 2012-11-23 2015-04-06 김재창 메달투출기를 구비한 메달게임기
KR101508203B1 (ko) * 2012-11-23 2015-04-06 김재창 배당표시창을 구비한 메달게임기
KR101498911B1 (ko) * 2012-11-23 2015-03-05 김재창 확률조절대를 구비한 메달게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1704A (ko) * 1987-03-19 1988-10-31 이께베 이와오 동전 처리장치
KR940006249Y1 (ko) * 1988-07-28 1994-09-15 주식회사 금성사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업, 다운회로
KR970045741U (ko) * 1995-12-26 1997-07-31 동전처리장치의 자동 동전분류구조
KR970076370A (ko) * 1996-05-30 1997-12-12 아베 히로시 동전선별장치를 위한 커버장치 유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1704A (ko) * 1987-03-19 1988-10-31 이께베 이와오 동전 처리장치
KR940006249Y1 (ko) * 1988-07-28 1994-09-15 주식회사 금성사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업, 다운회로
KR970045741U (ko) * 1995-12-26 1997-07-31 동전처리장치의 자동 동전분류구조
KR970076370A (ko) * 1996-05-30 1997-12-12 아베 히로시 동전선별장치를 위한 커버장치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583A (ko) 2001-06-15
JP3062533B1 (ja) 2000-07-10
JP2001006011A (ja) 2001-01-12
TW540410U (en) 200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0087B2 (ja) 遊技機
JP3527722B2 (ja) メダルプッシャーゲーム装置
JP2007260086A (ja) 遊技機
JP2004024549A (ja) 遊技機
JP4554052B2 (ja) 遊技部材及び遊技機
JP2003144741A5 (ko)
KR100593779B1 (ko) 메달 선별 장치
JP4878942B2 (ja) メダル選別装置
WO2007119660A1 (ja) メダルゲーム装置
JP4722984B2 (ja) ゲーム機
JP5296628B2 (ja) 遊技機
JP4692449B2 (ja) プッシャゲーム装置
JP2007143714A (ja) 遊技機
JP2008194200A (ja) ゲーム機
JP2019088363A (ja) 遊技機
JPH0819645A (ja) 弾球遊技機
JP4597722B2 (ja) 遊技機
JP2012249703A (ja) 遊技機
JP5624946B2 (ja) 遊技機
JP2006015010A (ja) 遊技機
JP2009226032A (ja) ステージ構造
JP3844481B2 (ja) メダルゲーム装置
JP2962416B1 (ja) メダルゲーム機
JP3844483B2 (ja) メダルプッシャーゲーム装置
JP2002000826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