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215B1 - 파이프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215B1
KR100593215B1 KR1020000003359A KR20000003359A KR100593215B1 KR 100593215 B1 KR100593215 B1 KR 100593215B1 KR 1020000003359 A KR1020000003359 A KR 1020000003359A KR 20000003359 A KR20000003359 A KR 20000003359A KR 100593215 B1 KR100593215 B1 KR 100593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pe
metal pipe
guid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599A (ko
Inventor
바바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긴 금속제파이프(35)를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에 한쪽측으로부터 이송하는 이송장치(33, 38)와,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에 가이드핀(80)을 다른 한쪽측으로부터 삽입한 후에 가이드핀(80)을 축선방향으로 자유로운 주행이 가능하게 하고, 관통구멍(20)의 한쪽측으로부터 이송된 금속제파이프(35)에 의하여 관통구멍(20)내로부터 압출된 가이드핀(80)의 후퇴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금속제파이프(35)의 삽입길이를 측정하여, 가이드핀(80)의 후퇴거리가 소정길이가 되면 금속제파이프(35)를 커터(74)에 의해 절단하는 가이드장치(34, 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제파이프, 집적휜, 관통구멍, 이송장치, 가이드장치, 발취장치, 브래킷

Description

파이프 삽입장치{TUBE INSERTING DEVICE}
도 1은 집적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파이프 삽입장치 전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삽입장치 전체의 측면도,
도 4는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5는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6은 가이드장치의 평면도,
도 7은 가이드장치의 측면도,
도 8은 가이드장치의 브래킷부근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측면도,
도 9는 가이드장치의 브래킷부근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평면도,
도 10은 발취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발취장치의 정면도,
도 12는 가이드핀을 집적휜에 삽입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
도 13은 긴 금속제파이프에 의해서 집적휜에 삽입된 가이드핀을 가압하여 이동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
도 14는 집적휜 내에 삽입한 긴 금속제파이프를 소정길이로 절단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집적휜으로의 금속제파이프의 삽입이 종료한 것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집적휜을 형성하는 열교환기용 휜을 도시하는 설명도, 그리고
도 17은 집적휜에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하여 관을 확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
본 발명은, 열교환기용 휜(fin)이 복수매 집적되어 형성되는 집적휜의 관통구멍내에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하는 파이프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쿨러 등의 열교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용 휜(10)(이하, 단순히 휜이라고 함)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판형상체(11)에 뚫어 설치된 관통구멍(12)의 둘레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칼라(14)가 판형상체(11)의 한쪽측에 돌출하여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칼라가 부착된 관통구멍(15)이, 판형상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휜(10)이 사용된 열교환기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휜(l0)이 복수매 겹쳐져서 집적된 집적휜(30)이 연통한 관통구멍내에 구리 등의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파이프(35)가 삽입되어 형성된다.
또한, 연통된 관통구멍(20)내에 삽입된 금속제파이프(35)와, 관통구멍(20)의 내벽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금속제파이프(35)내에 확대관빌릿(19)을 삽입하여 금속제파이프(35)의 관을 확대하고, 관통구멍(20)과 금속제파 이프(35)를 일체화하여 열교환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집적휜(10)이 연통한 관통구멍(20)내로의 금속제파이프(35)의 삽입은 일손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있고, 삽입되는 금속제파이프(35)도 미리 열교환기의 크기에 맞추어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두지 않으면 안되었다.
종래는, 집적휜(30)으로의 금속제파이프(35)의 삽입이 일손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있었기 때문에, 삽입작업에 품이들며, 열교환기 전체의 제조원가가 많아진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금속제파이프(35)는, 미리 열교환기의 크기에 맞추어서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두지 않으면 안되었으므로 절단공정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으면 안되어 열교환기의 제조효율이 나쁘다는 과제가 있음과 동시에, 절단된 소정길이의 금속제파이프를 저장하여둘 스페이스도 필요하게 된다는 과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리 금속제파이프를 절단하고 있지 않아도, 긴 금속제파이프를 집적휜이 연통한 관통구멍내에 일손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삽입할 수가 있고, 더구나 삽입 후에 금속제파이프를 소정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파이프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파이프 삽입장치에 의하면, 판형상체에 뚫어 설치된 복수의 관통구멍의 각각의 둘레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칼라가 세워 설치되어 있는 복수 매의 열교환기용 휜이, 상기 관통구멍이 연통하도록 집적되어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집적휜에, 이 관통구멍의 각각에 소정길이의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하는 파이프 삽입장치로서, 긴 금속제파이프를 상기 집적휜의 각각의 관통구멍의 한쪽으로부터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이송된 금속제파이프가 소정길이에 도달했을 때, 이 금속제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를 갖는 이송장치와, 상기 관통구멍내로의 삽입방향으로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가이드핀 홀더에 부착되고, 대응하는 상기 관통구멍의 다른 한쪽으로부터 삽입되는 가이드핀과, 이 가이드핀의 각각을 대응하는 상기 집적휜의 관통구멍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핀 홀더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의 각각의 소정길이가 대응하는 집적휜의 관통구멍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핀 홀더가 가이드핀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자유로운 주행이 되도록, 상기 가이드핀 홀더와 상기 구동수단을 분리시키는 접속 절단수단과, 상기 관통구멍의 각각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구멍의 한쪽으로부터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는 상기 금속제파이프의 선단부에 맞닿고, 이 금속제파이프에 의하여 가압이동되어 관통구멍으로부터 압출된 가이드핀의 후퇴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가지며, 이 측정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상기 가이드핀의 후퇴거리에 의해 상기 금속제파이프의 관통구멍내로의 삽입길이를 측정하고, 이 금속제파이프의 관통구멍내로의 삽입길이가 소정길이에 도달했을 때,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조작을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커터에 의해 상기 금속제파이프를 절단하는 가이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집적휜에 긴 금속제파이프를 일손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삽입할 수가 있고, 게다가 금속제파이프는 긴 채로 삽입하여 삽입 후에 소정길이로 절단하므로, 미리 금속제파이프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둘 필요가 없고, 절단공정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전체로서 제조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절단된 소정길이의 금속제파이프를 저장하여 둘 스페이스도 필요 없게 되어, 열교환기 전체의 제조원가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판형상체로 뚫어 설치된 복수의 관통구멍의 각각의 둘레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칼라가 세워 설치되어 있는 복수매의 열교환기용 휜이, 상기 관통구멍이 연통하도록 집적됨과 동시에 이 복수의 관통구멍 중 일부의 관통구멍내에 집적휜을 묶기 위한 임시압입핀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집적휜에, 그 관통구멍의 각각에 소정길이의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하는 파이프 삽입장치로서, 상기 임시압입핀이 삽입된 관통구멍을 제외한 관통구멍의 각각에, 긴 금속제파이프를 이송하여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청구항 1의 파이프 삽입장치를 사용한 제 1의 파이프 삽입장치와, 상기 임시압입핀을 발취하는 발취(拔取)장치와, 상기 임시압입핀이 발취된 관통구멍 및 상기 제 l의 파이프 삽입장치에 의해서 금속제파이프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관통구멍의 각각에, 긴 금속제파이프를 이송하여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청구항 1의 파이프삽입장치를 사용한 제 2의 파이프 삽입장치를 구비하도록 한 파이프삽입장치 이기도 하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열교환기용 휜을 집적하여 집적휜을 형성하는 경우에, 집적휜이 붕괴되어 뿔뿔이 흩어지지 않도록 임시압입핀에 의해서 서로의 열교환기용 휜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 집적휜이라도, 양호하게 금속제파이프를 일손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삽입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가능한 직경을 가지는 상기 가이드핀보다도 직경이 크고, 또한 상기 관통구멍내에 삽입가능한 직경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임시압입핀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빈 관통구멍내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구멍내에 삽입될 때에 집적휜의 정렬을 행하는 정렬핀을 상기 제 1의 파이프 삽입장치에 설치하였으므로, 깨끗이 정렬된 집적휜내에 가이드핀을 삽입할 수가 있고, 집적휜이 비뚤어지거나 비틀리는 것을 제거하여 깨끗이 정렬한 열교환기를 제조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열교환기용 휜를 겹쳐 쌓아 집적한 집적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집적휜(30)은 열교환기용 휜(10)이 복수매로 겹쳐 쌓아져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겹쳐 쌓아진 열교환기용 휜(10)은, 연통한 관통구멍(20)내에 임시압입핀(32)이 삽입되어 하나로 정돈된 집적휜(30)으로 형성된다. 임시압입핀(32)은, 관통구멍(20)의 직경을 확장시키지 않고 빼내고 압입 가능해지는 정도로 관통구멍(20)의 내경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주형상의 부재이다.
임시압입핀(32)은, 열교환기용 휜(1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20)중 적어도 2개소에 삽입된다. 혹시 임시압입핀(32)이 열교환기용 휜(1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20)중의 1개소에만 삽입된다고 하면, 열교환기용 휜(10)이 1개의 임시압입핀(32)을 축선으로하여 복수의 열교환기용 휜(10)의 일부가 회동하거나 하여 열교환기용 휜(10)이 깨끗이 정렬하지 않기 때문이다.
계속하여, 상술한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에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하는 파이프삽입장치(31)의 전체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파이프삽입장치 전체의 평면도를, 도 3에 파이프삽입장치 전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3에는 각각의 이송장치, 각각의 가이드장치를 생략하여 도시하고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파이프삽입장치(31)는, 집적휜(30)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20)의 각각에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할 때에, 한번에 모든 관통구멍(20)내에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하는 것은 아니고, 2회에 나누어 복수의 관통구멍(20)내 완전히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하는 것이다.
즉, 금속제파이프는, 2대의 이송장치(33, 38)에 의해서 긴 채로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에 이송된다. 또한, 2대의 이송장치(33, 38)에 대하여 집적휜(30)을 끼워 대향하는 위치에는, 금속제파이프의 이송을 각각 가이드 함과 동시에 관통구멍(20)내에 이송된 금속제파이프의 길이를 측정할 수가 있는 2대의 가이드장치(34, 40)가 설치되어있다.
파이프삽입장치(31)에는, 롤러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송장치(42)가 설치되고, 집적휜(30)을 화살표(A)방향으로 이송한다.
2대의 이송장치 중 이송장치(33)는 다른 하나의 이송장치(38)보다도 이송방 향 상류측에 설치되고, 집적휜(30)의 복수의 관통구멍(20) 중의 일부에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한다. 이송장치(33)보다도 이송방향 하류측의 이송장치(38)는, 이송장치(33)에 의해서 금속제파이프가 삽입되지 않은 관통구멍(20)내에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한다.
금속제파이프는, 긴 상태로 각각의 이송장치(33, 38)의 후방측에 롤형상으로 감겨서 파이프 릴(44)로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이송장치(33, 38)는, 긴 금속제파이프를, 각각의 후방에 복수개씩 설치되어있는 파이프 릴(44)로부터 끌어내어, 집적휜(30)에 삽입하는 것이다.
2대의 가이드장치(34, 40)중 가이드장치(34)는, 집적휜(30)을 끼워서 이송장치(33)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있다. 또한, 가이드장치(34)보다도 이송방향 하류측에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장치(40)는, 집적휜(30)을 끼워서 이송장치(38)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송장치(33)와 이송장치(38)의 사이에는, 임시압입핀(32)을 집적휜(30)으로부터 발취하는 발취장치(3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장치(34)와 가이드장치(40) 사이, 즉, 발취장치(36)의 이송장치(42)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는, 발취장치(36)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발취장치(37)가 설치되어있다.
이송장치(42)는, 화살표(A)방향으로 향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41)와, 롤러(41)상에 설치되어 롤러(41)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는 팰릿(46)을 가지고 있다. 팰릿(46)에는 집적휜(30)이 얹어 놓여있다. 즉, 집적휜(30)은, 팰릿(46)에 의해서 금속제파이프 이송장치(31)내를 상류측 단부(端 部)(52)로부터 하류측단부(50)까지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장치(4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2단에 걸쳐 설치되어있다. 이러한 2단의 이송장치(42)중 상단(42a)은, 집적휜(30)을 하류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설치되고, 이것에 대하여 하단(42b)은, 하류측 단부(50)까지 이송된 팰릿(46)을 재차 상류측으로 회송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상단(42a)과 하단(42b)은, 하류측 단부(50)및 상류측 단부(52)에 있어서 승강장치(54, 55)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하류측 단부(50)에 있는 승강장치(54)는, 상단(42a)의 하류측 단부(50)에 팰릿(46)이 도착하였을 때에 팰릿(46)을 실은 채로 하강하여 팰릿(46)을 하단(42b)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하단(42b)에 의해서 하류에서 상류로 운반된 팰릿(46)은, 상류측 단부(52)에 위치하는 승강장치(55)에 의해서 상단(42a)으로 상승한다. 이렇게 하여, 팰릿(46)은 이송장치(42)에 의해서 파이프삽입장치(31)내를 순환할 수가 있다.
또한, 금속제파이프가 삽입된 집적휜(30)은, 열교환기를 제조할 때의 다음공정인 관확대공정으로 반송(搬送)된다. 관확대공정은, 관통구멍(20)내에 삽입된 금속제파이프내에 관확대빌릿을 삽입하여 관을 확대하는 공정이다.
모든 관통구멍(20)내에 금속제파이프가 삽입된 집적휜(30)의 도시하지 않은 관확대공정으로의 반송은, 반송기(56)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반송기(56)는, 이송장치(38) 및 가이드장치(40)보다도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고, 팰릿(46)으로부터 집적휜(30)을 들어 올리어 다음 공정측으로 이동시키는 척 장치(58)를 갖고 있다.
이하, 파이프삽입장치(31)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장치 마다의 구조를 상세 히 설명한다.
도 4는, 이송장치(33)의 평면도, 도 5는 이송장치(33)의 측면도이다. 또한, 하류측의 이송장치(38)는, 이송장치(33)와 동일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장치(33)는, 집적휜(30)의 이송방향(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긴 금속제파이프(35)를 이송하는 장치이다. 도 4 및 도 5에는, 집적휜(30)이 있는 이송장치(42)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측, 릴(44)이 배치되어 있는 방향을 후방측으로 하고, 금속제파이프(35)는,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한다.
이송장치(33)의 후방측에는, 이송장치(33)에 있어서 집적휜(30)의 복수의 관통구멍(20)내에 삽입해야 할 갯수만큼의, 파이프 릴(44)이 설치되어 있다.
금속제파이프(35)는, 파이프 릴(44)로부터 끌어내어져서 이송장치(33)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60)에 진입한다. 가이드(60)내에는, 복수의 롤러(62)가 설치되어 있다. 금속제파이프(35)는, 각각의 롤러(62)사이에 끼어져서, 이송장치(33)내로 가이드 되어 진입된다.
가이드(60)의 전방측에는, 금속제파이프(35)의 수평방향의 구부러짐을 교정하는 정직(整直)장치(64)가 설치되어 있다. 정직장치(64)내에는, 상하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전하는 롤러(63)가 폭방향으로 복수개 정렬되어 이루어지는 롤러열(65)이, 전후방향으로 복수 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롤러(63)에는, 인접하는 롤러(63)와의 사이에 금속제파이프(35)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롤러(63) 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오목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제파이프(35)는,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롤러의 오목부(63a)사이에 진입하므로, 정직장치(64)를 통과함므로써 폭방향의 구부러짐이 교정된다.
정직장치(64)의 전방측에는, 금속제파이프(35)의 상하방향의 구부러짐을 교정하는 정직장치(66)가 배치되어 있다. 정직장치(66)내에는, 폭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전하는 롤러(68)가 폭방향으로 금속제파이프(35)의 수량만큼 배치된 롤러축(69)이, 2개를 1조로하여 금속제파이프(35)를 끼워서 상하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2개 1조로한 롤러축(69)은 전후방향으로 3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롤러(68)에는 롤러(68)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오목부(68a)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제파이프(35)는, 상하에 인접하는 롤러의 오목부(68a)사이에 진입하므로, 정직장치(64)를 통과시키므로써 상하방향의 구부러짐이 교정된다.
정직장치(66)의 전방측에는, 금속제파이프(35)를 클램핑 하는 클램프장치(71)가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71)는, 후술하는 이송장치(70)에 의해 금속제파이프(35)가 집적휜(30)내에 삽입되어 있을 때는 클램핑을 해제하고, 삽입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금속제파이프(35)를 클램핑하고 있다.
이송장치(70)내에는, 각각의 금속제파이프(35)를 상하간에 끼워서 회전하는 이송밸트(72)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장치(70)가 구동함으로써, 금속제파이프(35)가 각각의 릴로부터 끌어내어지고,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송장치(33)의 전방방향의 단부에는, 커터(74)가 설치되어 있다. 커터(74)는, 회전식 날(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고 모터(76)가 날을 회전시키므로써 금 속제파이프(35)를 절단한다.
다음에, 가이드장치(34)의 구조에 관해서, 도 6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류측의 가이드장치(40)는, 가이드장치(34)로부터 정렬핀(82)(도 8)을 제거한 곳 이외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가이드장치(34)의 평면도, 도 7은 가이드장치(34)의 측면도이고, 도 8과 도 9는, 도 6과 도 7의 범위(a)에 도시한 부위의 확대도이다.
가이드장치(34)는, 집적휜(30)의 이송방향(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핀(80)을 돌출입 시키는 장치이다. 여기서는, 집적휜(30)이 있는 이송장치(42)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측으로 하고, 가이드핀(80)을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송한 곳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핀(80)은 이송장치(33)에 의해서 이송되는 복수개의 금속제파이프(35)에 각각 대응하도록 가로방향(도 6 내지 도 9의 전후방향에 대하여)에 걸쳐서 복수개 설치되고, 이송장치(33)에 의하여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에 삽입된 금속제파이프(35)의 선단에 맞닿아서, 금속제파이프(35)의 이송을 가이드 하면서, 그 관통구멍내에 삽입된 금속제파이프(35)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장치(34)에는, 가이드핀(80) 이외에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에 삽입되는 핀으로서 정렬핀(82)이 설치되어 있다. 정렬핀(82)은, 임시압입핀(32)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빈 관통구멍(20)으로서 또한 이송장치(33)에 의하여 금속제파이프(35)가 이송되지 않는 관통구멍(20)내에 삽입된다. 정렬핀(82)은, 가이드핀(80)보다도 직경이 크고, 또한 관통구멍(20)내에 빠듯하게 삽입가능한 직경을 갖고 있다. 이것 때문에, 정렬핀(82)을 설치함으로써 가이드핀(80)의 관통구멍(20)으로의 삽입시에 복수매로 겹쳐진 열교환기용 휜의 각각의 관통구멍이 곧게 연통하도록 할 수가 있어 가이드핀(80)의 삽입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집적휜을 정확히 정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렬핀(82)은, 서로 인접하는 가이드핀(80)끼리의 사이에 설치된다.
가이드핀(80)은,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의 내경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관통구멍(20)내를 자유롭게 왕복운동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장치(33)에 의하여 이송되는 금속제파이프(35)의 수량과 동일 수량인 5개의 가이드핀(80)을 삽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핀(80)은 후부에서 가이드핀 홀더(83)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핀(80)을 유지하고 있는 가이드핀 홀더(83)는, 볼나사(86)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진퇴 운동가능한 브래킷(88)에, 마그넷(90)에 의해서 흡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88)에는, 볼나사(86)에 나사 맞춤하는 너트부(94)가 설치되어 있고, 볼나사(86)의 축선을 중심으로한 회전에 의해서 볼나사(86)의 축선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그넷(90)이, 가이드핀 홀더(83)와 볼나사(86)에 의하여 구동하는 브래킷(88)과의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한 접속절단수단이다. 또한, 접속 절단수단으로서는 마그넷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 실린더 등을 사용한 것이라도 좋다.
브래킷(88)의 전방측에는, 센서(89)가 부착되어 있다. 센서(89)의 예로서는 근접스위치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센서(89)는 마그넷(90)에 의해서 분리된 가이드핀 홀더(83)가 재차 접근 했을 때에, 이 가이드핀 홀더(83)의 접근을 검출한다.
또한, 볼나사(86)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전후방향의 양단부가 베어링(92, 92)에 의해서 프레임(78)위에 부착되어 있다. 볼나사(86)는, 전방측의 단부가 서보모터(76)에 접속되어 있고, 서보모터(76)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이와 같이, 볼나사(86)와 서보모터(76)가 가이드핀 홀더(83)를 전방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다.
가이드핀 홀더(83)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프레임(78)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뻗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96)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핀 홀더(83)의 하면측은, 이 가이드 레일(96)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된 전후방향을 따른 오목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가이드핀 홀더(83)는 가이드 레일(96)에 가이드 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가이드핀 홀더(83)로부터 전방에는, 가이드 레일(96)위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가이드핀(80)의 아래쪽을 지지하는 가이드핀 받이(9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핀 받이(98)에는 가이드핀(80)의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복수의 가이드롤러(99)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 롤러(99)위에 가이드핀(80)이 얹혀 놓이게 된다. 또한, 가이드핀받이(98)도 가이드 레일(96)위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핀받이(98)를 설치함으로써, 긴 가이드핀(80)이라도 도중 에서 꺽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이드핀(80)의 전후방향으로의 진퇴이동의 가이드를 할 수가 있다.
정렬핀(82)을 유지하고 있는 정렬핀 홀더(84)는, 가이드핀 홀더(83)보다도 전방측의 가이드 레일(96)위에 설치되어 있다. 정렬핀 홀더(84)는, 가이드릴(96)을 따라서, 에어 실린더(100)를 구동원으로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볼나사(86)에 의해서 구동되는 가이드핀 홀더(83)의 전후이동과는 무관하게 동작할 수가 있다.
또한, 정렬핀 홀더(84)보다 전방의 가이드 릴(96)위에는, 정렬핀(82)의 아래쪽을 지지하는 정렬핀받이(102)가 설치되어 있다. 정렬핀받이(102)에는, 정렬핀(82)의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가이드 롤러(103)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롤러(103)위에 정렬핀이 얹혀 놓이게된다. 이와 같이 정렬핀받이(102)를 설치함으로써 긴 정렬핀(82)이라도 도중에서 꺽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가 있다.
계속하여, 도 10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발취장치(37)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발취장치(37)의 측면도, 도 11은 발취장치(37)의 정면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집적휜(30)이 있는 이송장치(42)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있다.
104는, 임시압입핀(32)의 단부를 파지함으로써 관통구멍(20)내로부터 발취하는 클램프장치이다. 클램프장치(104)에는, 발취하는 임시압입핀(32)의 수량에 맞추어서, 임시압입핀(32)을 파지 할 수 있도록 2개의 암으로 이루어지는 파지부(106) 가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장치(104)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레일(108)로부터 아래쪽으로 매달려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클램프장치(104)는, 레일(108)상을 전방으로 이동하여 위치(y1)에 도달했을 때 임시압입핀(32)을 붙잡을 수 있어, 레일(108)위를 후퇴하여 위치(y2)에 도달했을 때, 집적휜(30)으로부터 임시압입핀(32)을 완전히 빼낸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장치(104)의 아래쪽에는, 집적휜(30)으로부터 빼낸 임시압입핀(32)을 클램프장치(104)로부터 수취하는 임시 놓기대(107)가 설치되어 있다.
임시 놓기대(107)는,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는 에어 실린더의 로드(110)의 상단(上端)에 부착되어 있고, 상면에 임시압입핀(32)이 얹혀 놓이게 되더라도 좌우로 굴러가지 않도록 요철(107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임시 놓기대(107)는, 위치(y1)에서 위치(y2)의 사이에 걸치어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설치되어 있고, 클램프장치(104)에 의해서 집적휜(30)으로부터 빼내어진 임시압입핀(32)을 클램프장치(104)로부터 수취할 수 있다.
클램프장치(104)의 아래쪽에는, 폭방향의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112)이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112)이 기울은 쪽의 아래쪽에는, 집적휜(30)으로부터 빼낸 임시압입핀(32)을 모으는 집적장치(1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112)은 전후방향으로 걸쳐 2개소로 분단되어 있고, 분단된 간극사이내에도 상술한 임시 놓기대(107)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상술하여온 이송장치, 가이드장치및 발취장치를 사용한 금속제파이프 의 집적휜의 삽입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2 내지 도 15에 따라서, 상술하여온 이송장치(33)및 가이드장치(34)에 의한 금속제파이프(35)의 삽입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가이드핀 받이 (98)및 정렬핀 받이(102)는 생략하여 도시한다.
최초에, 집적휜(30)이 이송장치(42)상의 팰릿(46)에 얹혀 놓이게되어, 이송장치(33)와 가이드장치(34)에 끼어진 제 l의 삽입위치(b)(도 2)에 도착하면, 팰릿(46) 및 집적휜(30)이 도시하지 않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보모터(76)의 구동에 의해 볼나사(86)가 회전하여 원위치(x3)(도 7)에 위치하여 있는 브래킷(88)이 집적휜(30)방향(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한다. 브래킷(88)의 화살표(B)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브래킷(88)에 흡착되어 있는 가이드핀 홀더(83)도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핀(80)이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로 다른쪽으로부터 삽입된다.
또한, 가이드장치(34)의 정렬핀(82)을 작동시키는 에어 실린더(100)(도 12에서는 생략)는, 가이드핀(80)을 작동시키는 서보모터(76)의 구동과 대략 동시에 구동하여 정렬핀 홀더(84)를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정렬핀 홀더(84)는 가이드 레일(96)을 따라서 정렬핀(82)을 압출하고,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로 다른쪽으로부터 삽입한다. 정렬핀(82)을, 가이드핀(80)이 삽입되지 않는 관통구멍(20)내로 삽입함으로써, 집적휜(30)의 집적을 정확히 정돈 할 수가 있다.
가이드핀(80)의 선단이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을 관통하여, 이송장치(33)측으로 돌출하면, 서보모터(76)를 정지시켜 가이드핀(80)의 삽입을 종료한다. 이와 동시에, 브래킷(88)은, 마그넷(90)에 의한 가이드핀 홀더(83)와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하여, 가이드핀 홀더(83)는, 가이드 레일(96)상을 자유롭게 주행할 수가 있다.
또한, 가이드핀 홀더(83)를 분리시킨 브래킷(88)은, 서보모터(73)가 역회전함으로써 제 1의 소정위치(x1)까지 후퇴한다. 이 소정위치(xl)는 미리 설정하여 놓는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서는 정렬핀(82), 정렬핀 홀더(84)는 생략되어 있다.
계속하여, 가이드장치(34)에서의 가이드핀(80)의 삽입이 종료하면, 이송장치(33)에서는 이송장치(70)가 작동한다. 이송장치(70)가 작동함으로써, 긴 금속제파이프(35)가 가이드핀(80)이 돌출하여 있는 관통구멍(20)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금속제파이프(35)의 선단부(35a)는 가이드핀(80)의 선단부(80a)에 접한다.
이 때, 가이드핀 홀더(83)는 브래킷(88)으로부터 분리되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금속제파이프(35)의 선단부(35a)가 맞닿은 가이드핀(80)은 금속제파이프(35)에 가압이동 되어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핀(80)이 관통구멍(20)내에 삽입된 시점에서 정렬핀(82)은 필요없기 때문에, 가이드장치(34)에서의 가이드핀(80)의 삽입이 종료하면 에어 실린더(100)를 작동시켜서 정렬핀 홀더(84)를 화살표(C)방향으로 후퇴시키고, 정렬핀(82)을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로부터 빼낸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파이프(35)에 의하여 가압이동되어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가이드핀 홀더(83)가 제 1의 소정위치(x1)에 도달하면, 브래킷(88)의 센서(89)가 가이드핀 홀더(83)를 검출한다. 그러면 센서(89)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하여 이송장치(33)의 커터(74)에 절단신호를 출력한다. 이 절단신호를 받아 커터(74)는 금속제파이프(35)를 절단하는 것이다. 즉, 가이드핀(80)의 후퇴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이란, 자유주행하는 가이드핀 홀더(83)와, 가이드핀 홀더(83)의 소정위치(x1)로의 도착을 검출하는 센서(89)와, 소정위치(xl)에 센서(89)를 배치시켜 놓기 위한 브래킷(88)과, 브래킷(88)을 소정위치(x1)로 이동시키는 서보모터(76)를 포함시킨 개념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핀(80)이 후퇴한 거리에 의해 금속제파이프(35)의 삽입길이를 설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금속제파이프(35)를 소정길이(L)로 절단하고 싶은 경우에는, 가이드핀 홀더(83)의 후퇴거리(요컨대, 가이드핀(80)의 정지위치로부터 소정위치(xl)까지의 거리)를, 소정길이(L)로부터 가이드핀(80)을 관통구멍(20)에 삽입하였을 때의 선단부(80a)의 정지위치(본 예에서는 집적휜(30)의 일단쪽 단부)로부터 커터(74)내의 절단위치까지의 거리(11)를 뺀 길이인 L-(11)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핀(80)이 후퇴한 거리로부터 삽입된 금속제파이프(35)의 소정길이를 설정하므로, 집적휜(30)내로 이송되는 긴 금속제파이프(35)의 길이를 직접 측정하는 것보다도, 정확히 계측할 수가 있다.
삽입된 금속제파이프(35)가 소정길이(L)로 절단된 후, 브래킷(88)은 가이드 핀홀더(83)를 분리한 채로 제 2의 소정위치(x2)까지 후퇴한다.
그리고, 더 긴 금속제파이프(35)의 선단(35c)이, 소정길이(L)로 절단된 금속제파이프(35)의 후단(35b)을 가압하여 삽입하고, 다시 절단된 금속제파이프(35)의 삽입을 계속한다. 이것은, 삽입된 금속제파이프(35)의 집적휜(30)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단부의 길이를 정돈하기 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가이드핀 홀더(83)가, 브래킷(88)이 정지하고 있는 제 2의 소정위치(x2)에 도달하면, 브래킷(88)의 센서(89)가 가이드핀 홀더(83)를 검출한다. 센서(89)는 가이드핀 홀더(83)를 검출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하여 이송장치(33)내의 이송장치(70)에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이송장치(70)는 정지하여 이송장치(33)에 의한 금속제파이프(35)의 삽입이 종료된다.
이 제 2의 소정위치(x2)는, 집적휜(30)내에 삽입된 금속제파이프(35)의 양단부(35a, 35b)의 집적휜(30)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금속제파이프(35)의 삽입이 종료되면, 이송장치(33)측에서는, 이송장치(70)는 긴 부분의 선단부(35c)를 화살표(B)방향으로 끌어넣기 위해서 역회전한다.
한편, 가이드장치(34)측에서는, 제 2의 소정위치(x2)에 있어서 가이드핀 홀더(83)에 브래킷(88)이 맞닿으면, 마그넷(90)이 ON으로되며, 브래킷(88)과 가이드핀 홀더(83)가 연결된다. 이 다음, 가이드핀(80)은 브래킷(88)과 함께, 볼나사(86)의 구동에 의해 화살표(C)방향의 원위치(x3)(도 7)까지 후퇴하는 것이다.
계속하여, 발취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이송장치(33) 및 가이드장치(34)에 의해 일부의 관통구멍(20)내에 금속제파이프(35)가 삽입된 집적휜(30)은, 이송장치(42)위의 팰릿(46)에 얹어 놓이게 되고, 발취위치(c)(도 2)에 도착하면, 팰릿(46)및 집적휜(30)이 도시하지 않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면, 클램프장치(104)가 레일(108)을 따라서 전방(도 10)으로 이동한다.
클램프장치(104)는, 위치(y1)에 도달하면 파지부(106)에 의해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임시압입핀(32)의 단부를 파지 한다. 그리고, 임시압입핀(32)의 단부를 파지한 클램프장치(104)는, 레일(108)을 따라서 후방(도 10)으로 이동함으로써 임시압입핀(32)을 집적휜(30)으로부터 발취하는 것이다.
클램프장치(104)가 위치(y2)에까지 후퇴하면, 클램프장치(104)의 아래쪽으로부터 임시 놓기대(107)가 임시압입핀(32)에 접하는 정도의 위치(z) (도 10, 도 11)까지 상승한다.
임시 놓기대(107)가 위치(z)까지 상승하면, 클램프장치(104)의 파지부(106)가 임시압입핀(32)의 파지를 해제하여, 임시압입핀(32)을 임시 놓기대(107)위에 얹어 놓는다.
임시압입핀(32)이 임시 놓기대(107)위에 얹어 놓이면, 에어 실린더가 작동하여 임시 놓기대(107)를 하강시킨다. 임시 놓기대(107)가 하강을 계속하면, 임시 놓기대(107)가 경사면(112)을 통과하여 더 하강할 때에, 전후방향의 임시 놓기대(107)에 걸치어 얹어놓여 있는 임시압입핀(32)은 경사면(112)을 통과할 수 없어 경사면(112)위에 남겨지고, 임시 놓기대(107)만이 하강한다.
이렇게 하여 경사면(ll2)위에 남겨진 임시압입핀(32)은, 경사면(112)의 경사를 따라 굴러 떨어져가고, 집적장치(113)내로 낙하한다.
이렇게 하여 집적휜(30)으로부터 발취된 임시압입핀(32)은, 집적부(113)에 집적된다.
임시압입핀(32)이 발취된 집적휜(30)은, 이송장치(42)상의 팰릿(46)에 얹어놓여서 이송되고, 제 2의 삽입위치(d)(도 2)에 도착한다. 이러면, 팰릿(46)및 집적휜(30)이 도시하지 않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는, 이송장치(38)및 가이드장치(40)에 의해서, 집적휜(30)의 복수의 관통구멍(20)중, 임시압입핀(32)이 삽입되어 있던 관통구멍(20)및 상류측의 이송장치(33) 및 가이드장치(34)에 의해서 금속제파이프(35)가 삽입되지 않았던 관통구멍(20)내로 금속제파이프(35)를 삽입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금속제파이프(35)의 삽입동작에 관하여는, 도 12 내지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 동작과 같으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지, 이 이송장치(38) 및 가이드장치(40)에 의해서, 집적휜(30)의 모든 관통구멍(20)내에 금속제파이프(35)가 삽입되므로, 정렬핀을 삽입 시킬 수 있는 여지는 없고, 또한 이미 복수개의 금속제파이프가 관통구멍내에 삽입되어 있고 집적휜은 정확히 정렬하고 있으므로, 이 가이드장치(40)에는 정렬핀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송장치(38) 및 가이드장치(40)에 의해, 금속제파이프(35)의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로의 삽입이 종료된다.
그리고, 이송장치(38)및 가이드장치(40)에 의해서 모든 관통구멍(20)내에 금속제파이프(35)가 삽입된 집적휜(30)은, 반송기(56)(도 3)에 의하여 다음공정인 관확대공정으로 반송된다.
또한, 상술하여온 실시형태에서는, 집적휜은 관통구멍내에 삽입되어 있는 임시압입핀에 의해서 하나로 정돈되어 있는 것이 있어서, 금속제파이프의 삽입은, 2단계로 나누어서 행하여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집적휜은, 임시압입핀이 삽입되므로서 정돈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이러한 집적휜에 금속제파이프를 삽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금속제파이프의 삽입을 2단계로 나눌 필요가 없고, 또한 임시압입핀의 발취장치도 필요 없으며, 이송장치및 가이드장치는 각 1대씩 설치되어 있으면 되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여러 가지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많은 개조와 변형을 실시하여 얻는 것은 물론 이다.
본 발명에 관한 파이프 삽입장치에 의하면, 집적휜에 긴 금속제 파이프를 일손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삽입할 수가 있어, 일손에 의한 품을 생략하여 열교환기의 제조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고, 열교환기 전체의 제조원가를 삭감할 수 있다.
더욱이 금속제파이프는 긴 채로 삽입하여 삽입 후에 소정길이로 절단하므로, 미리 금속제파이프를 소정길이로 잘단하여 둘 필요가 없고, 절단공정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전체로써 제조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절단된 소정길이의 금속파이프를 저장하여 둘 스페이스도 필요 없게 되는 현저한 효과를 이룬다.















Claims (3)

  1. 판형상체(11)에 뚫어 설치된 복수의 관통구멍(12)의 각각의 둘레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칼라(14)가 세워 설치되어 있는 복수매의 열교환기용 휜(10)이, 상기 관통구멍(12)이 연통하도록 집적되어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집적휜(30)에, 이 관통구멍(20)의 각각에 소정길이의 금속제파이프(35)를 삽입하는 파이프 삽입장치로서,
    긴 금속제파이프(35)를 상기 집적휜(30)의 각각의 관통구멍(20)의 한쪽으로부터 이송하는 이송수단(70)과, 이송된 금속제파이프(35)가 소정길이에 도달했을 때, 이 금속제파이프(35)를 절단하는 커터(74)를 갖는 이송장치(33)와,
    상기 관통구멍(20)내로의 삽입방향으로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가이드핀 홀더(83)에 부착되고, 대응하는 상기 관통구멍(20)의 다른 쪽으로부터 삽입되는가이드핀(80)과, 이 가이드핀(80)의 각각을 대응하는 상기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핀 홀더(83)를 구동하는 구동수단(86, 76)과, 이 구동수단(86, 76)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80)의 각각의 소정길이가 대응하는 집적휜(30)의 관통구멍(20)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핀 홀더(83)가 가이드핀(80)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자유로운 주행이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가이드핀 홀더(83)와 상기 구동수단(86, 76)을 분리시키는 접속절단수단(90)과, 상기 관통구멍(20)의 각각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핀(80)이, 관통구멍(20)의 한쪽으로부터 상기 이송장치(33)에 의해서 이송되는 상기 금속제파이프(35)의 선단부에 맞닿고, 이 금속제파이프(35)에 의하여 가압이동되어 관통구멍(20)내로부터 압출된 가이드핀(80)의 후퇴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수단(89)을 가지며, 이 측정수단(89)에 의해서 측정된 상기 가이드핀(80)의 후퇴거리에 의해 상기 금속제파이프(35)의 관통구멍(20)내로의 삽입길이를 측정하고, 이 금속제파이프(35)의 관통구멍(20)내로의 삽입길이가 소정길이에 도달했을 때, 상기 이송장치(33)의 이송조작을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커터(74)에 의해 상기 금속제파이프(35)를 절단하는 가이드장치(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삽입장치.
  2. 판형상체(11)에 뚫어설치된 복수의 관통구멍(12)의 각각의 둘레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칼라(14)가 세워설치되어 있는 복수매의 열교환기용 휜(10)이, 상기 관통구멍(12)이 연통하도록 집적됨과 동시에 이 복수의 관통구멍(12) 중 일부의 관통구멍(20)내에 집적휜(30)을 묶기위한 임시압입핀(32)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집적휜(30)에, 이 관통구멍(20)의 각각에 소정길이의 금속제파이프(35)를 삽입하는 파이프 삽입장치로서,
    상기 임시압입핀(32)이 삽입된 관통구멍(20)을 제외한 관통구멍(20)의 각각에, 긴 금속제파이프(35)를 이송하여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청구항1 의 파이프 삽입장치를 사용한 제1의 파이프 삽입장치(33, 34)와,
    상기 임시압입핀(32)을 발취하는 발취장치(36, 37)와,
    상기 임시압입핀이 발취된 관통구멍(20) 및 상기 제 l의 파이프삽입장치(33, 34)에 의해서 금속제파이프(35)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관통구멍(20)의 각각에, 긴 금속제파이프(35)를 이송하여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청구항l의 파이프 삽입장치를 사용한 제 2의 파이프 삽입장치(38, 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삽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20)에 삽입가능한 직경을 갖는 상기 가이드핀(80)보다도 큰 직경이며, 또한 상기 관통구멍(20)내에 삽입가능한 직경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임시압입핀(32)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빈 관통구멍(20)내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핀(80)이 관통구멍(20)내에 삽입될 때에 집적휜(30)의 정렬을 행하는 정렬핀(82)을 상기 제 1의 파이프 삽입장치(33, 34)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삽입장치.
KR1020000003359A 1999-01-26 2000-01-25 파이프 삽입장치 KR100593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6714 1999-01-26
JP01671499A JP3993712B2 (ja) 1999-01-26 1999-01-26 パイプ挿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599A KR20000053599A (ko) 2000-08-25
KR100593215B1 true KR100593215B1 (ko) 2006-06-28

Family

ID=1192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359A KR100593215B1 (ko) 1999-01-26 2000-01-25 파이프 삽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93712B2 (ko)
KR (1) KR100593215B1 (ko)
CN (1) CN11948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5494B (zh) * 2012-03-30 2014-09-17 臻越自动化技术(上海)有限公司 套管设备及其套管方法
CN102794370B (zh) * 2012-08-17 2014-10-22 中山市奥美森工业有限公司 一种铜管导向机构
CN104117840B (zh) * 2013-04-27 2017-03-15 珠海启世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两器自动穿管机
CN114918673B (zh) * 2022-05-07 2023-08-01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 一种灾害现场伤情信息标识生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4829C (zh) 2005-03-30
JP3993712B2 (ja) 2007-10-17
CN1263803A (zh) 2000-08-23
KR20000053599A (ko) 2000-08-25
JP2000210742A (ja) 200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5151B2 (ja) 熱交換器組立装置のパイプ挿入装置
CN109326489B (zh) 熔断器熔片加工设备
CN109066249B (zh) Usb线自动成型机
CN110814739A (zh) 一种文具夹自动组装设备
KR100593215B1 (ko) 파이프 삽입장치
CN112811149A (zh) 一种自动安放转子轴和铁芯的上料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865424A (zh) 一种插座开关自动装配生产线及其装配方法
CN107414956B (zh) 冲切成型设备
CN112504037A (zh) 一种焊接设备以及装配生产线
CN108860777B (zh) 圆柱电芯套膜机及其加工方法
CN213125011U (zh) 一种连接器用单芯线材全自动加工组装流水线
CN112202029B (zh) 一种连接器用单芯线材全自动加工组装流水线
CN115339867A (zh) 一种治具插装设备
CN114210885A (zh) 热导管加工机
JP4262998B2 (ja) ビード・セパレータ分離方法及び装置
CN108574111B (zh) 圆柱电芯快速套膜机及其加工方法
CN112846764A (zh) 一种断路器自动拼装设备
CN109130071B (zh) Usb线自动成型机
CN111496048A (zh) 一种铜管加工设备
KR101479563B1 (ko) 파이프 자동 공급장치
CN111934060A (zh) 一种动力电池单体异构兼容的拆解方法及装备
CN218123943U (zh) 一种垂直插针机
CN216989690U (zh) 热导管加工机
CN114560286B (zh) 管件加塞设备
CN218692659U (zh) 一种铜管与内芯杆的插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