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994B1 -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994B1
KR100591994B1 KR1020040078708A KR20040078708A KR100591994B1 KR 100591994 B1 KR100591994 B1 KR 100591994B1 KR 1020040078708 A KR1020040078708 A KR 1020040078708A KR 20040078708 A KR20040078708 A KR 20040078708A KR 100591994 B1 KR100591994 B1 KR 100591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resin
bisphenol
resin composition
tp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855A (ko
Inventor
박종수
임충렬
최재호
최봉구
이은용
신태규
Original Assignee
국도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도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도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994B1/ko
Priority to CN2005101054847A priority patent/CN1757671B/zh
Priority to TW094134574A priority patent/TWI325878B/zh
Publication of KR2006002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26Mixtures of di-ep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4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 C08G59/245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08K5/03Halogenated hydrocarbons aromatic, e.g. C6H5-CH2-C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난연성과 자외선 차폐성능이 함께 부여된 에폭시수지 화합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에폭시수지는 우수한 전기적, 열적 특성과 함께 자외선 차폐기능과 난연효과를 동시에 가진 에폭시수지로서 인쇄회로기판(PCB)제작에 사용 될 수 있다.
자외선 차폐, 난연성, 에폭시수지, 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Flame-Retardent and UV-Blocking Epoxy Resin Compound Modified with TPE and TBBA}
본 발명은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폭시수지에 브롬이 함유된 화합물인 2,2′, 6,6′-Tetrabromobisphenol A (이하 TBBA로 칭한다.)과 자외선(UV)차폐 효과를 가지는 Tetraphenylethane(이하 TPE로 칭한다.)를 변성시킨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산업을 포함한 여러 산업분야에서는 난연성 플라스틱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난연성을 나타내는 재료로는 크게 할로겐, 인, 질소가 함유된 화합물 및 무기화합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할로겐 화합물로는 지방족, 방향족, 지환족에 브롬 혹은 염소가 치환된 화합물로서 난연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질소가 함유된 난연재료로는 멜라민과 멜라민유도체, 무기화합물로는 알미늄하이드록사이드(aluminium hydroxide), 마그네슘하이드록사이드(magnesium hydroxide) 등이 효과적인 난연제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난연성 에폭시수지는 위에서 서술한 난연재료를 이용하여 난연효과를 부여하여 인쇄회로기판(PCB)에 사용하고 있지만 최근 인쇄회로기판이 다층화 및 고성능화 되면서 자외선 차폐기능까지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난연효과가 있는 에폭시화합물에 자외선 차폐효과가 있는 에폭시화합물을 사용시 단순히 혼합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사용상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전기적, 열적 특성을 가지면서도 자외선 차폐기능과 난연성을 동시에 가진 에폭시수지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른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과,
하기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함께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1)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1)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 바람직하게는 3.0 wt% ~ 4.0 wt%이고,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4044941910-pat00001
(화학식 1)
Figure 112004044941910-pat00002
(화학식 2)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른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에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AC)에,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을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2)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2)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 바람직하게는 3.0 wt% ~ 4.0 wt%이고,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따른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에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반응시켜서 에폭시수지 조성물(AC)에,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와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을 함께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3)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3)은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 바람직하게는 3.0 wt% ~ 4.0 wt%이고,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따른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 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과,
하기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함께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1)에 하기 화학식 (6)의 구조식을 갖는 브롬화에폭시수지(E)를 후첨한 에폭시수지 조성물(F1E)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1E)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 바람직하게는 3.0 wt% ~ 4.0 wt%이고,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1E) 중의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4044941910-pat00003
(화학식 1)
Figure 112004044941910-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04044941910-pat00005
(n = 0 ~ 10 사이의 정수이다.)
(화학식 6)
본 발명의 제 5관점에 따른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에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AC)에,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을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2)에 화학식 (6)의 구조식을 갖는 브롬화에폭시수지(E)를 후첨한 에폭시수지 조성물(F2E)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2E)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 바람직하게는 3.0 wt% ~ 4.0 wt%이고, 에폭시수지 화합물(F2E) 중의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에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AC)에,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와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을 함께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3)에 화학식 (6)의 구조식을 갖는 브롬화에폭시수지(E)를 후첨한 에폭시수지 조성물(F3E)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3E)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 바람직하게는 3.0 wt% ~ 4.0 wt%이고, 에폭시수지 혼합물(F3E) 중의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7)의 구조식을 갖는 에폭시수지 화합물(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생성된 조성물의 TPE 변성율이 2.5 ~ 5.0 wt%, 바람직하게는 3.0 wt% ~ 4.0 wt%이고,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4044941910-pat00006
(화학식 7)
여기서,
Figure 112004044941910-pat00007
Figure 112004044941910-pat00008
Figure 112004044941910-pat00009
(상기 X, Z에서 n은 독립적으로 0 ~ 5의 정수이다.)
이고,
Figure 112004044941910-pat00010
이며,
n은 독립적으로 0 ~ 3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외에 반응하지 않은 에폭시수지 화합물(A), 즉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 또는 이들의 반응물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근본적으로 본 발명은 에폭시수지를 TBBA 및 TPE로 변성시켜 한 개의 분자에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동시에 부여된 에폭시수지 화합물을 제조하여 이를 기본으로 난연성 및 자외선차폐성이 있는 최종의 에폭시수지 조성물(혼합물)을 얻는 것이다.
먼저 본발명에서 사용하는 브롬함유 화합물인 TBBA는 하기 화학식(1)로 표현되는 화합물(B)로 효과적인 난연제로 알려져 있다.
Figure 112004044941910-pat00011
(화학식 1)
화학식 (1)의 TBBA의 -OH기와 반응하는 에폭시수지(A)는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에이 또는 비스페놀에프계 에폭시수지이다. 화학식 (1)의 TBBA로 변성된 에폭시수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의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4044941910-pat00012
(화학식 3)
여기서,
Figure 112004044941910-pat00013
(n = 0 ~ 5 의 정수이다)
이고,
Figure 112004044941910-pat00014
이다.
에폭시수지(A)와 반응하는 TBBA의 양은 반응하여 생성될 최종 에폭시수지 조성물(F1, F2, F3, F1E, F2E, F3E) 중에서 브롬함량이 18 ~ 20 wt%가 함유되게 하는 양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브롬 함량이 18 wt% 이상이여야 난연성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만일 브롬함량이 18 wt% 이하일 경우에는 난연효과가 떨어지고, 브롬함량이 20 wt% 이상일 경우에는 난연효과가 뛰어나지만 점도가 상승하고 색이 변하는 결점이 있다. 이는 많은 양의 TBBA가 반응하면서 생성물의 분자량을 높여 결과적으로 점도가 상승하고 색상이 변하기 때문이다. 상업적으로 구득가능한 TBBA는 이스라엘의 데드시(DEAD SEA)사, 미국의 알버머(Albemer)사, 일본의 토쇼(TOSOH) 사, 인디아의 솔라리스(solaris)사 등에서 생산 판매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TPE는 하기 화학식(2)로 표현되는 화합물(C)이며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에이 또는 비스페놀에프계 에폭시수지(A)와 반응하여 하기 화학식 (4) 의 TPE로 변성된 에폭시수지 화합물을 형성한다.
Figure 112004044941910-pat00015
(화학식 2)
Figure 112004044941910-pat00016
(화학식 4)
여기서,
Figure 112004044941910-pat00017
(n = 0 ~ 5 의 정수이다)
이고,
Figure 112004044941910-pat00018
이다.
본 발명에서 에폭시수지(A)와 반응하는 TPE의 양은 생성될 에폭시수지 조성물(F1, F2, F3, F1E, F2E, F3E)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 바람직하게는 3.0 wt% ~ 4.0 wt%인 범위이다. 여기서 TPE 변성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TPE변성율(%) = TPE중량 / (반응물 및 후첨되는 물질의 전체중량) X 100
본 발명에서 만일 TPE 변성율이 2.5 wt% 미만일 경우에는 자외선 차폐효과가 떨어지고, 5.0 wt%를 초과할 경우에는 자외선 차폐효과는 뛰어나지만 생성된 에폭시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4개의 하드록시기(-OH)를 가지는 TPE가 에폭시화 되어 4개의 관능기를 가지게 되는데 반응에 참여하는 TPE의 양이 많을수록 (5wt%이상) 분자구조가 복잡해지고 에폭시의 분자량이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에폭시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게 되고 적층판에 사용시 수지의 유동성(rheology)을 조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업적으로 구득가능한 TPE는 미국의 보든케미칼(Borden Chemical)사, 한국의 코오롱유화(주) 등에서 생산된다.
본 발명에서 에폭시수지(A)와 TBBA 및/또는 TPE와의 반응은 140 ~ 190 ℃에서 인, 이미다졸 또는 3급 아민들을 촉매로 하여 3 ~ 5시간 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화학식 (4)의 말단에 있는 에폭시기와 화학식 (1)의 말단에 있는 -OH와 반응하고 또 화학식 (1)의 또 다른 -OH기에 에폭시수지(A)가 반응하여 상기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에폭시수지 화합물이 제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에폭시수지 조성물에는 내열도 향상을 위해 하기 화학식 (5)와 같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수지를 후첨하여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4044941910-pat00019
(화학식 5)
여기서, n = 0 ~ 5 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소위 1단법 또는 2단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1. 1단법
이 방법은 반응물질을 반응기에 동시에 투입하여 촉매하에서 함께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즉,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와,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과,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혼합하여 140 ~ 190 ℃에서 인, 이미다졸 또는 3급 아민들을 촉매로 하여 3 ~ 5시간 반응시켜 에폭시수지 조성물(F1)을 얻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1)은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이고,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이다.
2. 2단법
2단법은 1) TPE로 변성된 에폭시수지에 TBBA를 추가로 반응시켜 얻는 경우와 2) TPE로 변성된 에폭시수지를 베이스로 TBBA 및 에폭시수지를 동시에 반응시키는 경우이다. 이 둘의 방법은 반응온도나 촉매가 동일하다. 2단법에서 사용되는 반응물질 즉, TPE, TBBA 및 에폭시수지는 위 1단법에서 사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2단법에 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F2)은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에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AC)에(여기에는 화학식 (4)의 구조단위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을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2)(여기에는 화학식 (7)의 구조단위를 갖는 에폭시수지 화합물을 포함한다)이다. 이때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2)은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이고,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이다.
또한 다른 2단법에 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F3)은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에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반응시켜서 얻은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AC)에(여기에는 화학식 (4)의 구조단위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와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을 함께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3)(여기에는 화학식 (7)의 구조단위를 갖는 에폭시수지 화합물을 포함한다)이다. 이때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3)은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이고,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이다.
한편, 1단법과 2단법 어느 경우에나 생성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브롬화에폭시수지(E)를 후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종 에폭시수지 조성물(F1E, F2E, F3E)은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이고, 최종 에폭시수지 조성물(F1E, F2E, F3E) 중의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이어야 한다. 수치의 상하한에 대한 한정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Figure 112004044941910-pat00020
( n = 0 ~ 10 사이의 정수)
화학식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1.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875g에 TPE(보든 케미칼사, 이하같다.) 91.5g과 TBBA(데드시사, 이하같다.) 885g을 시노켐사(SINOCHEM, 이하같다.)의 촉매 ETPPI (Ethyltriphenylphosphonium Iodide)를 사용하여 165±5℃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 482g/eq).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3.20 wt%, 브롬함유량은 18.00 wt% 이었다.
실시예 1-2.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500g에 TPE 75.6g과 TBBA 720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 501g/eq).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3.29 wt%, 브롬함유량은 18.19 wt% 이었다.
실시예 1-3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500g에 TPE 56.92g과 TBBA 720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 480g/eq).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2.50 wt%, 브롬함유량은 18.34 wt% 이었다.
실시예 1-4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800g에 TPE 142.1g과 TBBA 900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 576g/eq).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5.00 wt%, 브롬함유량은 18.36 wt% 이었다
실시예 1-5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800g에 TPE 75.6g과 TBBA 987.15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 543g/eq).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2.64 wt%, 브롬함유량은 20.00 wt% 이었다
실시예 1-6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612.5g에 TPE 80.75g과 TBBA 815.5g을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3시간 벌크중합한 후, 크레졸노볼락계 에폭시수지 YDCN-500-10P 55g(국도화학주식회사제품, E.E.W : 206g/eq)을 후첨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507g/eq).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3.15 wt%, 브롬함유량 18.48 wt% 이었다.
실시예 2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875g에 TPE 91.5g를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에서 1시간 벌크중합하여 TPE로 변성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TBBA 885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 487g/eq).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3.20 wt%, 브롬함유량은 18.00 wt% 이었다.
실시예 3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500g에 TPE 70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2시간 벌크 중합하여 TPE로 변성된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다시 YD-128 850g과 TBBA 650g을 투입하고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3시간 벌크 중합하여 TPE 및 TBBA로 변성된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 3.38 wt%, 전체생성물 중의 브롬함유량 18.21wt%인 에폭시수지 조성물(E.E.W: 497g/eq)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1,875g에 TPE 88.43g과 TBBA 800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TPE 및 TBBA로 변성된 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었다(브롬함유량 16.79 wt%)하였다. 여기에 브롬화에폭시수지 YDB-400(국도화학주식회사 제품, E.E.W : 400 g/eq) 120g을 후첨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폭시수지(E.E.W: 422g/eq)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3.07 wt%, 전체 생성물 중의 브롬함유량 18.13 wt%이었다.
실시예 5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875g에 TPE 91.5g를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에서 1시간 벌크중합하여 TPE로 변성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TBBA 850 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 에폭시수지(브롬함유량: 17.50 wt%)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브롬화에폭시수지 YDB-400(국도화학주식회사 제품, E.E.W : 400 g/eq) 60g을 후첨하여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 465g/eq).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3.18 wt%, 브롬함유량은 18.16 wt% 이었다.
실시예 6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500g에 TPE 70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1시간 벌크 중합하여 TPE로 변성된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다시 YD-128 850g과 TBBA 600g을 투입하고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3시간 벌크 중합하여 TPE 및 TBBA로 변성된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었다.(브롬함유량 17.22 wt%) 이에 브롬화에폭시수지 YDB-400(국도화학주식회사 제품, E.E.W : 400 g/eq) 80g을 후첨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폭시수지(E.E.W: 462g/eq)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3.33 wt%, 전체 생성물 중의 브롬함유량 18.43 wt%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1 비교실험/자외선 차폐)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1,875g에 TPE 85.36g과 TBBA 885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였다. 생성된 에폭시수지 조성물 (E.E.W : 477g/eq)의 TPE 변성률은 2.00 wt%, 브롬함유량은 18.22 wt%%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1 비교실험/난연성)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1,875g에 TPE 88.43g과 TBBA 800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였다. 생성된 에폭시수지 조성물(E.E.W : 440g/eq)의 TPE 변성률은 3.20 wt%, 브롬함유량은 16.79 wt%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2 비교실험)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500g에 TPE 70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 ℃에서 2시간 벌크 중합하여 TPE로 변성된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다시 YD-128 500g과 TBBA 600g을 투입하고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3시간 벌크 중합하여 TPE 및 TBBA로 변성된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에 YD-128 350g을 후첨하여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 3.47 wt%, 전체 생성물 중의 브롬함유량 17.23wt%인 에폭시수지 조성물(E.E.W: 432g/eq)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875g에 TPE 68g과 TBBA 885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 461g/eq).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2.40 wt%, 브롬함유량은 18.15 wt% 이었다.
비교예 5.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875g에 TPE 155g과 TBBA 1000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 626g/eq). 전 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5.11 wt%, 브롬함유량은 19.14 wt% 이었다.
비교예 6.
국도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범용 비스페놀에이계 에폭시수지인 YD-128( E.E.W : 186 g/eq) 1,875g에 TPE 80g과 TBBA 1150g을 촉매 ETPPI를 사용하여 165±5℃에서 3시간 벌크중합하여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E.W : 616g/eq). 전체 생성물의 TPE 변성률은 2.57 wt%, 브롬함유량은 21.48 wt% 이었다.
에폭시수지의 경화 및 인쇄회로기판 제작
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변성 에폭시수지의 물성평가를 위해 디시안디아미드 83.1g, 경화촉진제로 2-methyl-Imidazole 2.77g, 용제로 메틸셀로솔브를 914.13g 혼합하여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경화제를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과 7.22:25의 무게 비율로 경화반응 시켰다. 프리프레그(Prepreg)는 175 ℃에서 3분간 진행하여 반경화상태로 한 후 8겹의 시편을 175℃에서 25 kgf/㎠ 압력으로 30분간 프레싱 한 후 다시 30분간 50 kgf/㎠ 압력을 가하고 15분간 냉매로 냉각시켰다.
위 방법에 의해 제작된 프리프레그의 물성을 평가하여 표 2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Solder Break(S/B)는 기판을 260℃ 납조에 담기고 동박과 적층판이 분리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상적으로 600초 이상이여야 한다. 난연 시험은 UL - 94 규격에 의해 실시되는 분석방법으로 이상적으로 50초 이하이여야 한다. 흡수율 테스트는 100℃ 끓는 물에 24시간 방치후 기판의 수분 흡수율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상적으로 0.5%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어야 한다.
표 1 및 2의 분석결과에서 알수 있듯이 TPE 변성률이 2.5wt% 이상일 경우(실시예)에는 우수한 자외선 차폐기능을 보이나 2.5 wt%미만(비교예)일 때는 자외선 차폐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TPE 변성률이 5.0 wt% 이상일 경우(비교예 5)는 효과적인 자외선 차폐기능을 보이나 생성된 에폭시의 당량이 높아져 점도가 상승하고 적층판에 사용시 수지의 유동성(rheology)을 조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실시예 1-6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크레졸노블락형 에폭시를 후첨한 결과, 내열성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난연성은 생성되는 에폭시수지 조성물(후첨된 물질도 포함)의 전체중량에 대해, 브롬함량이 18wt% 이상일 때 우수한 난연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생성된 변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서 브롬함량이 20 wt% 이상인 경우(비교예 6)에는 뛰어난 난연효과가 나타났으나 생성된 에폭시수지의 당량이 높아져 점도가 상승하고 수지의 유동성(rheology)을 조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브롬함량이 18wt% 이하일 경우(비교예 2, 3)에는 난연 효과가 떨어짐을 알 수 있으나 브롬화에폭시수지를 후첨하여 브롬함유량을 높인 경우(실시예 4,5,6)에는 난연효과가 부여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1.
구분 E.E.W [g/eq] Softning point [℃] TPE 변성률 [wt%] 브롬함유량 [wt%] UL-94 자외선차폐
실시예 1-1 482 77.2 3.20 18.00 V-O Y
실시예 1-2 501 80.3 3.29 18.19 V-O Y
실시예 1-3 480 80.1 2.50 18.34 V-O Y
실시예 1-4 576 89.8 5.00 18.36 V-O Y
실시예 1-5 543 85.9 2.64 20.00 V-O Y
실시예 1-6 507 78.0 3.15 18.48 V-O Y
실시예 2 487 77.8 3.20 18.00 V-O Y
실시예 3 497 79.9 3.38 18.21 V-O Y
실시예 4 422 75.8 3.07 18.13 V-O Y
실시예 5 465 78.5 3.18 18.16 V-O Y
실시예 6 462 79.1 3.33 18.43 V-O Y
비교예 1 477 76.2 2.00 18.22 V-O N
비교예 2 440 74.0 3.20 16.79 × Y
비교예 3 432 75.7 3.47 17.23 × Y
비교예 4 461 79.1 2.40 18.15 V-O Y
비교예 5 626 92.4 5.11 19.14 V-O Y
비교예 6 616 90.7 2.57 21.48 V-O Y
표2.
구분 S/B Tg[℃] 난연성 [sec] 흡수율 [%]
260 ℃ 288 ℃ 1st 2nd △T
실시예 1-1 600sec↑ 190,194,189 135.66 135.27 -0.39 15 0.15
실시예 1-2 600sec↑ 199,203,204 138.52 138.33 -0.19 13 0.17
실시예 1-3 600sec↑ 203,201,202 137.12 136.94 -0.18 13 0.18
실시예 1-4 600sec↑ 215,213,211 145.34 145.13 -0.21 12 0.20
실시예 1-5 600sec↑ 207,208,206 142.97 143.14 0.17 7 0.19
실시예 1-6 600sec↑ 210,209,207 141.33 142.13 0.80 10 0.17
실시예 2 600sec↑ 185,189,190 134.98 135.47 0.49 10 0.16
실시예 3 600sec↑ 197,199,200 138.15 138.48 0.35 12 0.17
실시예 4 600sec↑ 181,183,184 133.12 133.51 0.39 16 0.18
실시예 5 600sec↑ 185,184,181 135.87 135.17 -0.70 13 0.17
실시예 6 600sec↑ 189,190,191 137.81 137.82 0.01 10 0.18
비교예 1 600sec↑ 191,195,196 135.74 135.91 0.17 16 0.13
비교예 2 600sec↑ 180,187,183 132.14 131.98 -0.16 54 0.17
비교예 3 600sec↑ 178,180,177 131.74 132.61 0.87 51 0.19
비교예 4 600sec↑ 189,190,191 137.80 137.81 0.01 10 0.18
비교예 5 600sec↑ 230,232,233 150.23 150.39 0.16 5 0.17
비교예 6 600sec↑ 228,230,231 148.17 148.53 0.36 5 0.17
표 1 및 2의 분석결과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범위에 드는 에폭시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적층된 시트는 자외선 차폐, 난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흡수율이 낮아 높은 품질의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폐형 난연성 에폭시수지는 우수한 전기적, 열적 특성과 함께 자외선 차폐기능과 난연효과를 동시에 가진 에폭시수지로서 인쇄회로기판(PCB)제작에 사용 될 수 있다.

Claims (6)

  1.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과,
    하기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함께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1)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1)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이고, 브롬함량이 18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
    Figure 112006010263406-pat00021
    (화학식 1)
    Figure 112006010263406-pat00022
    (화학식 2)
  2.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에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AC)에,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을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2)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2)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이고, 브롬함량이 18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
  3.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에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AC)에,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와,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을,
    함께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3)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3)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이고,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
  4.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과,
    하기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함께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1)에 하기 화학식 (6)의 구조식을 갖는 브롬화에폭시수지(E)를 후첨한 에폭시수지 조성물(F1E)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1E)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이고,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1E) 중의 브롬함량이 18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
    Figure 112006010263406-pat00023
    (화학식 1)
    Figure 112006010263406-pat00024
    (화학식 2)
    Figure 112006010263406-pat00025
    ( n = 0 ~ 10 사이의 정수)
    (화학식 6)
  5.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에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AC)에,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을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2)에 화학식 (6)의 구조식을 갖는 브롬화에폭시수지(E)를 후첨한 에폭시수지 조성물(F2E)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2E)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이고,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2E) 중의 브롬함량이 18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
  6.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에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C)을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AC)에,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프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에스 에폭시수지, 비스페놀엠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에이디 에폭시수지에서 선택된 1이상의 에폭시수지(A)와,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B)을,
    함께 혼합하여 반응시켜서 얻은 에폭시수지 조성물(F3)에 화학식 (6)의 구조식을 갖는 브롬화에폭시수지(E)를 후첨한 에폭시수지 조성물(F3E)로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F3E)의 TPE 변성율이 2.5 wt% ~ 5.0 wt%이고, 에폭시수지 조성물(F3E) 중의 브롬함량이 18 wt% ~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조성물.
KR1020040078708A 2004-10-04 2004-10-04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조성물 KR100591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708A KR100591994B1 (ko) 2004-10-04 2004-10-04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조성물
CN2005101054847A CN1757671B (zh) 2004-10-04 2005-09-28 具有高度阻燃性和紫外阻隔性的改性环氧树脂
TW094134574A TWI325878B (en) 2004-10-04 2005-10-04 Highly flame-retardant and uv-blocking modified epoxy resin comp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708A KR100591994B1 (ko) 2004-10-04 2004-10-04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855A KR20060029855A (ko) 2006-04-07
KR100591994B1 true KR100591994B1 (ko) 2006-06-20

Family

ID=3670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708A KR100591994B1 (ko) 2004-10-04 2004-10-04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91994B1 (ko)
CN (1) CN1757671B (ko)
TW (1) TWI32587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848B1 (ko) 2020-03-30 2020-06-03 주식회사 광림티엔아이 난연성 접착수지가 함침된 섬유복합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2206736B1 (ko) 2020-09-07 2021-01-26 한국내진시스템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바잘트섬유 복합 난연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80B1 (ko) * 2009-06-18 2009-12-02 주식회사 신아티앤씨 난연성 폴리에폭시 화합물의 제조방법
CN106189084A (zh) * 2016-07-12 2016-12-07 江苏扬农锦湖化工有限公司 一种制备溴化环氧树脂的方法
CN115612063A (zh) * 2022-09-27 2023-01-17 江苏扬农锦湖化工有限公司 一种复合环氧树脂及其制备方法、浇筑材料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538A (ko) * 1997-12-26 1999-07-26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70624U (de) * 1956-01-23 1958-07-24 Decotric Ag Schneidvorrichtung zum ablaengen von fussbodenbelaegen od. dgl. von stehender und liegender rol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538A (ko) * 1997-12-26 1999-07-26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848B1 (ko) 2020-03-30 2020-06-03 주식회사 광림티엔아이 난연성 접착수지가 함침된 섬유복합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2206736B1 (ko) 2020-09-07 2021-01-26 한국내진시스템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바잘트섬유 복합 난연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7671B (zh) 2012-07-18
TWI325878B (en) 2010-06-11
KR20060029855A (ko) 2006-04-07
TW200613437A (en) 2006-05-01
CN1757671A (zh)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0025B1 (en) Halogen-free low-dielectric resin composition, and prepreg and copper foil laminate made by using same
KR100563939B1 (ko) 폴리페닐렌 산화물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적층판,인쇄 배선판 및 다층 인쇄 배선판
US8581107B2 (en) Halogen-free flame-retardant epoxy resin composition, and prepreg and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US20080097014A1 (en) Non-Halogen Flame Retardant and Highly Heat Resistant Phosphorous-Modified Epoxy Resin Compositions
US20120024580A1 (en) Epoxy resin composition, and prepreg and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WO2008041453A1 (fr) Composition de résine thermodurcissable, pré-imprégné et stratifié obtenus avec celle-ci
KR101730283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CN109293881B (zh) 含磷的环氧树脂和以该环氧树脂作为必须成分的组合物、固化物
EP2752449A1 (en) Halogen-fre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copper clad laminate with same
EP2578613A1 (en) Epoxy resin composition and pre-preg, support-provided resin film, metallic foil clad laminate plate an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utilizing said composition
US20160255718A1 (en) An epoxy resin composition, and prepreg and copper-clad laminate made by using same
JP2014122339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及び実装基板、並びに熱硬化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4915549B2 (ja) 印刷配線板用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積層板
JP4244975B2 (ja) プリプレグ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多層プリント配線板
KR100591994B1 (ko) 난연성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변성 에폭시수지조성물
CN113121981B (zh) 一种树脂组合物以及使用其的预浸片和绝缘板
KR20160108721A (ko) 인계 에폭시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조성물
JP2011099019A (ja) リン含有エポキシ樹脂、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難燃性硬化物
JPH068388A (ja) エポキシ樹脂積層板
JP3252291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4410619B2 (ja) 電気用積層板とプリント配線板
JP3440365B2 (ja) 積層板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100765898B1 (ko) 인쇄배선판용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및 이를 이용한적층판
JP3218436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4224820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