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348B1 - 자주포 - Google Patents

자주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348B1
KR100591348B1 KR1020017004503A KR20017004503A KR100591348B1 KR 100591348 B1 KR100591348 B1 KR 100591348B1 KR 1020017004503 A KR1020017004503 A KR 1020017004503A KR 20017004503 A KR20017004503 A KR 20017004503A KR 100591348 B1 KR100591348 B1 KR 10059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rrel
cannon assembly
self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860A (ko
Inventor
빈머빈레슬리
허버트프레드릭
이글스톤데이비드앤드류
Original Assignee
배 시스템즈 피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 시스템즈 피엘시 filed Critical 배 시스템즈 피엘시
Publication of KR2001008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34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on wheeled or endless-track vehicles

Abstract

자주포(2)는 주동력원(6)을 갖는 차량(4)과 상기 차량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대포 조립체(8)를 포함한다. 대포 조립체(8)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크레이들(14)과, 상기 크레이들(14)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 포신(16)을 포함하여 발사에 따라 포신(16)이 반동되는 결과로서 제1 의 튀어나온 위치로부터 제2 의 반동된 위치로 이동된다. 대포 조립체(8)는 상기 차량(4)에 바람직하게는 회전 장치(24, 26)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의 "기동" 모드에서, 상기 대포 조립체(8)는 직접 지면(42)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포신(16)은 상기 차량(4)이 구동될 수 있게 하는 제1 방향을 가리키며, 제2 의 "발사" 모드에서, 대포 조립체(8)는 발사자세로 배치되며, 상기 발사자세에서 상기 베이스(10)는 지면(421)을 향하여 이동하여 지면(42)에 접촉한다. 상기 대포 조립체(8)의 배치동안에, 상기 포신(16)은 상기 제1 방향과 적어도 90도 이상 다른 상승 각도로 배치 가능하다.
자주포, 차량, 대포 조립체, 크레이들, 포신, 기동성

Description

자주포 {SELF PROPELLED GUN}
본 발명은 자주포(self propelled gun)에 관한 것이다.
현대전에 있어서는 기동성이 중요한 요소이고, 전장에서 어떠한 포(artillery)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투지역에 신속하게 도착할 수 있어야, 즉, 신속하게 전술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야만 한다. 탱크, 자주 곡사포 및 대포(self propelled howitzers and guns), 토우 필드 곡사포 및 대포(towed field howitzers and guns) 및 자주 박격포(self propelled mortars)와 같은 넓은 범위의 야전 대포가 있지만, 각각은 신속한 배치 계획에서 그만의 약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탱크는 무거운(50 - 60톤), 포탑에 설치된 중간 구경(口徑)의 대포(105 - 140mm)를 갖는 잘 장갑(裝甲)된 궤도 차량으로서, 일반적으로 단거리 교전에서 조준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단일의 탱크는 거대중량체 수송기에 의해 운송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송기는 적절한 착륙지점의 확보라는 점에 의해 제한되고, 따라서, 탱크는 전략적으로만 공수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착륙지점으로부터 수천 킬로미터 떨어질 수도 있는 전투지역까지, 배, 철도, 혹은 자신의 동력 하에서 이동되어야만 한다. 또한, 일단 전장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지만, 많은 양의 탄약을 휴대할 수 없다.
자주 곡사포는 무거운(30 - 60톤), 종종 포탑에 설치되는 중간 구경(口徑)의 대포(전형적으로 155mm)를 갖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장갑(裝甲)된 궤도 차량이다. 일반적으로 이 병기는 포신 조준각이 -5° 및 70°사이인 간접 발사무기로서 최전방 후방에 잘 배치되고, 약 40 킬로미터의 사정거리를 갖는다. 탱크의 운송과 함께, 이러한 유형의 병기를 공수하는 것은 실용성이 없으며 전투지역으로의 배치는 배, 기차, 혹은 자신의 기동성에 의존하여야만 한다.
자주포는 그 후미에 설치되는 중간 구경의 대포를 갖는 중간 정도의 무게의 다수의 바퀴를 갖는 혹은 궤도 차량이다. 대포가 발사될 때 그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는 것을 돕기위해, 이 대포들은 그 차량 후미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배치 가능한 스페이드(spade)를 구비하는데, 이 것은 발사 전에 하강되어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야전 곡사포 및 대포는 중량이 10톤에 이르며, 그 구경이 155mm에 이르며, 사정거리가 30km에 달하는 장갑되지 않은 간접 발사무기이다. 비록, 일부 모델들은 전장에서 매우 제한된 기동성을 부여하는 보조 동력유닛(APU)을 가질수도 있지만, 보통은 트럭에 의해 전장으로 및 전장 주변으로 견인된다. 고정익 항공기 혹은 헬리콥터에 의해 공수 가능하지만, 이 곡사포 및 대포는 트럭에 의존하며, 이 트럭들은 또한 포들에 탄약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장으로 이송되어야만 한다.
자주 박격포는 상대적으로 무거운(25 - 30톤), 대구경(240mm) 박격포를 갖는 약하게 장갑된 궤도 차량이다. 일반적으로 박격포들은 높은 조준각(45°내지 80 °)용의 간접 발사무기이며, 로켓 지원하에 10km 혹은 18.0km의 사정거리를 갖는다. 상술한 다른 유형의 포와 비교하여, 포신이 매끄러운 보어(강선이 없는)를 가지며, 포이(砲耳)에 설치되지 않는다. 탱크와 자주 곡사포와 함께, 이 유형의 병기는 공수하여 배치하기에 실용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발명자는 공수 가능하고, 기동성이 크고, 중구경의 자기 수용 무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함을 인식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공지의 대포의 단점을 극복하는 그러한 무기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에서 도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주포는 주동력원을 갖는 차량과 대포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대포 조립체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크레이들과, 상기 크레이들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 포신을 포함하여 발사에 따라 포신이 반동되는 결과로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자주포로서, 상기 대포 조립체는 상기 차량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의 "기동" 모드에서, 상기 대포 조립체는 직접 지면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포신은 상기 차량이 구동될 수 있게 하는 제1 방향을 가리키며, 제2 의 "발사" 모드에서, 대포 조립체는 발사자세로 배치되며, 상기 발사자세에서 상기 베이스는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지면에 접촉하고, 여기에서 상기 포신은 상기 제1 방향과 적어도 90도 이상 다른 상승 각도로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주포의 특별한 장점은 베이스가 발사 동안 지면에 접촉해 있기 때문에, 크레이들 및 포신이 설치된 피봇의 유효 높이, 즉,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최소화되어 전복력의 효과를 줄여 대포가 동작시 보다 안정화되게 한다는 것이다. 공지의 자주포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차량은 발사 동안 전체 충격 부하를 전달하지 않아서, 이 것은 표준 현가 장치를 갖는 비교적 경량의 차량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평 전방 방향에 위치하여, 대포 조립체가 "발사" 모드로 배치되었을 때, 포신은 수직 혹은 실질적으로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된다. 이 것이 또 다른 이하의 장점을 제공한다:
(i) 차량이 대포 조립체의 질량 관성을 증가시키고, 특히 포신 조준각이 낮은 경우의 발사시 반동력의 전복 모멘트를 줄이는 것을 도와서, 배치 가능한 스페이드 혹은 트레일 레그(trail leg)에 대한 필요성을 없앤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트레일 레그로서 차량이 작용한다는 점; 및
(ii) 포신이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대포 조립체를 방해하는 경우가 없이 하향되는 작은 각도로부터 상승의 큰 각도까지 포신이 큰 상승 범위에서 동작 가능하다는 점.
제1 방향은 부가적으로 실질적으로 차량의 축선에 일치하고 포신은 배치 동안 수직 상측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것은 차량 데크의 측면이 많은 양의 셀 및 차지, 승무원 수용 및 보조장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어 자주포가 자기 수용 유닛(self contained unit)으로 동작 가능하게 한다.
대포 조립체는 회전 장치에 의해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베이스에 의해 차량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장치에서, 베이스가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에 의해 회전 장치에 인접한 챠량의 일부가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도록 회전 장치가 구성된다. 이 것은 특히, 대포가 위치되어 발사될 때, 차량 중량의 비가 회전 장치를 통해 베이스에 전달되어 대포 조립체가 지면에 굳게 접촉한채 유지되는 것을 돕는다.
포신은 정상 혹은 신장된 길이(긴 사정거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신은 "기동" 모드 동안에 완전히 반동된 위치즉, 제2 위치에 유지되어 자주포의 전체 길이 및 차량을 넘어 연장된 포신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이 것은 특히 확실한 운전자 시야를 제공하는 것을 돕고, 대포가 공간이 부족한 항공기에 의해 수송될 때 부가적인 장점을 갖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제에서도, 마지막 포탄이 발사된 후에, 포신은 완전히 반동된 위치에 유지된다. 대포 조립체의 "기동" 모드로부터 "발사" 모드로의 배치 및 그 역의 배치시에 포신은 제2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것은 포신의 무게중심이 포이 베어링을 향해 이동되어 배치 및/혹은 적재 동안에 대포 조립체의 비균형을 줄이고, 대포 조립체를 배치시키기 위한 수단들의 부담을 줄인다는 또 다른 장점을 갖는다. 이 것은 대포 조립체를 차량위로 배치하여 경사면에 횡방향으로 거치시킬 때 특히 그렇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크레이들을 포신의 최대 반동점을 넘는 위치에 있는 베어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포신이 높은 상승 각도로 상승 가능하게 하면서 베어링 높이가 최소화된다.
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드를 포함하며, 스페이드는 하나 이상의 후방으 로 경사진 블레이드를 몸체의 하부에 포함하며, 블레이드는 반동 동안에 지면에 깊히 박혀 반동력의 지면으로의 전달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주포가 다음과 같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오직 예시적 목적으로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기동" 모드의 본 발명에 따른 자주포의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자주포의 정면도.
도 3은 "발사" 모드의 도 1의 자주포의 측면도.
도 4는 "기동" 모드에서의 대포 조립체와 차량의 연결의 개략도.
도 5는 "기동" 모드와 "발사" 모드 사이의 도 4의 연결의 개략도.
도 6은 "발사" 모드 에서의 도 4의 연결의 개략도.
도 7은 항공기에 수용된 본 발명의 자주포의 개략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발사점으로부터 및 발사점으로 이동하는 모드인 "기동"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주(SP) 대포 혹은 곡사포가 도시되어 있다. 자기추진(SP) 대포(2)는 주동력원(6)과 차량의 후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포 조립체(8)를 갖는 복수의 바퀴를 갖는 차량(4)을 포함한다. 차량(4)은 10 x 10과 같은 전체바퀴가 모두 구동되는 차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새시 구성 혹은 궤도 차량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대포 조립체(8)는 베이스(10), 새들(혹은 포이 지지 구조체;12), 크레이들(14), 및 포신(16)을 포함한다. 구경 155mm의 강선이 있는 보어를 갖는 포신인 것이 바람직한 포신(16)은 크레이들(14)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밀어진(run out) 혹은 발사의 제1 위치로부터, 발사에 따라 포신(16)이 반동된 결과로서의 반동된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하이드로 뉴매틱 반동 버퍼(hydro-pneumatic recoil buffer) 및 복좌장치(recuperator)(도시되지 않음)가 발사동안 포신(16)이 반동될 때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도록 제공된다. 다른 유형의 에너지 흡수 시스템 예를 들면 유압 스프링, 기계 스프링, 전자기 브레이크 혹은 전기 유동장치(electro-rheological device)가 사용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수단에서, 크레이들(14)은 바람직하게는 4개의 경량 튜브(14a 내지 14d;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의 형태의 중공 부재로 구성되고, 그 내용이 본 명세서의 일부로 원용되는 출원인의 영국 특허 GB 2313180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튜브내의 체적은 하이드로 뉴매틱 복좌장치/버퍼를 위해 압축 가스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압축 가스를 저장하는데 중공 크레이들 부재를 사용하는 것의 특별한 장점은, 이 것이 대포 조립체(8)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별도의 가스 저장 어큐물레이터를 사용할 필요성을 없앤다는 것이다.
크레이들(14)은 새들(12)에 각각의 포이 베이링(1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동축으로 돌출한 한 쌍의 저널을 구비하여, 포신(16)은 하향된 낮은 각도 예를 들면 -5°로부터 높은 조준각 예를 들면 +70°까지 조준할 수 있다. 포신(16)은 크레이들(14) 내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이 베어링의 축선은 그 내용이 본 명세서의 일부로 원용되는 출원인의 영국 특허 GB 2313178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포신(16)의 최대 반동점에서, 혹은 최대 반동점을 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신(16)은 크레이들(14) 내의 전방위치에 설치되어, 포신(16)의 포미(16A)가 대포 조립체(8)의 발사시의 반동의 결과로서 포이 베어링의 축선을 통과하지 않는다. 이 것이 완전히 반동된 위치에 고정된 포신을 보여주는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이 것은 포신(16)이 높은 조준각도로 상승하는 동안 포이 베어링(18)의 높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여 발사 동안 새들(12) 상의 전복 모멘트를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포신이 포이 베어링의 축선을 통해 반동되지 않기 때문에, 크레이들은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의 포이 설치점이 아닌 강성 액슬(solid axle)에 의해 새들(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포신(16)을 원하는 조준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한 쌍의 유압 상승 서보 액츄에이터(20)가 크레이들(14)의 대향 측들에 제공된다. 각각의 유압 상승 액츄에이터(20)는 피스톤(20A) 및 실린더(20B)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피스톤(20A)은 크레이들(1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실린더(20B)는 새들(12)의 각각의 부품(2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승 액츄에이터(20)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원은 차량의 주동력원(6)으로부터 나오며, 이 것은 버퍼/복좌장치로부터의 소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보충될 수 있다. 유압 상승 액츄에이터(20)의 기동은 그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켜 포신(16)을 상승시킨다. 유압 상승 서보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기 로터리(electric rotary) 혹은 선형 서보 모터(linear servo motor)와 같은 다른 형태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대략 ±30°의 원호에 대한 대포 조립체(8)의 훈련을 위해 새들(12)은 훈련용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대포 조립체(8)를 베어링(26)을 중심으로 차량(4)의 후미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 부재(24)가 베이스(10)로부터 연장되어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26)은 차량의 변속기 높이에 가까이 위치된다. 대포 조립체(8)는 피스톤(28A)과, 실린더장치(28B)를 포함하는 유압 액츄에이터(28)에 의해 베어링(26)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다. 피스톤(28A)은 부재(24)에 견고히 고정된 각각의 레버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실린더(28B)는 차량(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레버부재(30) 및 연결부재(24)는 액츄에이터(28)의 길이의 신장 혹은 수축이 베이스(10)가 베어링(2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주동력은 팩(6)으로부터 제공되어 대포 조립체(8)를 배치하고 조작하고 차량(4)을 구동한다. 차량(4)은 승무원을 위한 캡(32, 34)을 가지며, 이 것은 차량의 데크의 측면을 따라 위치된 각각의 셀(shell;36) 및 차지 메거진(charge magazine;38)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메거진(36, 38)은 능동형(자동 로딩)(36A, 36B)과, 수동형 고정 컨테이너(36B, 38B)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능동형 메거진(36A, 36B)은 전형적으로 45개의 셀 및 차지를 수용할 수 있고, 2개의 수동형 메거진은 각각 15개를 더 수용할 수 있다. 탄약(셀 및 차지)의 총량 및 능동형 수동형 저장소의 비율은 주어진 응용물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거진(36, 38)은 차량의 길이를 따라 차량의 새시 벽 내에 위치하고, 중앙 접근 통로(50)에 의해 분리된다. 차지 메거진(38)의 측벽은 셀 및 차지의 물리적인 차단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최소 분당 8발의 비율로 차지 및 셀을 자동으로 장전하기 위하여 자동 탄약 조작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탄약 조작 시스템은 셀 및 차지를 메거진 내에서 차량(4)의 후미로 이동하기 위하여 각각의 능동형 메거진을 위한 이동식 빔 장치와, 자동으로 탄약을 재기 위하여 셀 및 차지를 장전 트레이 위로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계 아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주포(2)는 따라서 전체적으로 자기 수용 유닛이다.
도 3은 대포 조립체(8)가 배치되고 베이스(10)가 지면(42)에 접촉하는 "발사" 모드에서의 자주포(2)를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1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페이드(44)가 지면(42)에 박힌 채 도시되어 있다. 스페이드(44)는 지면(42)에 박혀, 발사 동안에 힘을 전달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후방으로 경사진 셰브론 블레이드(chevron blade)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사" 모드에서, 대포 조립체(8)에 인접한 차량(4)의 부분은 상승되어, 차량(4)의 하중의 일부가 베어링(26)을 통해 베이스(10)에 전달되어 대포 조립체(8)가 지면(42)에 굳게 접촉한 채로 유지되는 것을 돕는다. 도 3에 도시된 상승각 및 높은 조준각, 즉 +30°내지 +70°에서, 반동력의 대부분은 수직으로 지향되어 베이스(10)를 통해 지면(42)으로 전달된다. 낮은 상승각도 및 하향각, 즉, +30°내지 -5°에서, 반동력의 대부분은 스페이드 주위에서 전복 모멘트를 유발하는데, 이 것은 실질적인 트레일 레그(trail leg)로서 작용하는 차량(4)의 질량에 의해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흡수된다. 최대 반동 한계를 넘는 포이 베어링(18)의 위치는 대포 조립체(8)에 높은 양의 비균형 상태를 제공하며, 이 것은 비균형 전복 모멘트가 스페이드(44)를 지면으로 몰도록 작용하게되는 낮은 상승각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그 결과로서, 발사되었을 때, 경사진 블레이드(44)가 반동력의 실질적인 부분을 흡수하는 정지 쟁기형 부재(static plough)로서 작용하여 적은 양만이 차량(4)으로 전달된다.
도 4, 도 5 및 도 6은 "기동" 및 "발사" 모드 사이에서 대포 조립체(8)의 배치원칙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대포 조립체(8)가 지면(42)과 어떠한 직접 접촉도 하지 않고, 포신(16)이 실질적으로 수평 전방을 가리키는 방향에 놓여진 "기동" 모드에 있는 대포 조립체(8)를 도시하고 있다. "기동" 모드에서, 베이스(10)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된다. 도어(46)가 셀 및 차지 메거진(36, 38) 사이에서 통로(50)의 단부 상에 제공된다.
대포 조립체(8)를 배치하기 위하여, 유압 액츄에이터(24)가 활성화되어 베이스(10)는 베어링(26)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지점에서 베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42)에 접촉한다. 지면 위의 베어링(26) 및 연결 부재(24)의 위치는 대포 조립체(8)의 배치가 스페이드(44)를 지면(42) 위로 몰고 차량(4)의 후미을 지면(42)으로부터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지점에서의 배치에서, 포신(16)은 실질적으로 수직 상승 상태에 있다. 그 후 유압 액츄에이터(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발사 조준각으로 포신(16)을 배치하도록 활성화된다.
"발사" 모드에서, 포신(16)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혹은 차량(4)으로부터 멀 어지도록 지향된다. 대포 조립체(8)의 배치 동안에, 포신(16)은 적어도 90°의 각으로 가로질러, 차량(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지향된다. 이 것은 차량이 대포 조립체(8)를 방해함이 없이, 대포 조립체(8)가 포신(16)의 하향 조준각으로 조작될 수 있게 한다. "발사" 모드에서 자주포(2)는, 즉 베이스(10) 및 차량(4)의 정면 가까이의 바퀴 세트의 3개의 점 지지부를 효과적으로 갖는다.
"발사" 모드로부터 "기동" 모드로 대포 조립체(8)를 배치하기 위하여, 상술한 절차가 역으로 사용되는데, 즉, 포신(16)이 액츄에이터(20)의 기동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직 상승되고, 액츄에이터(24)의 기동에 의해 전체 대포 조립체(8)가 지면(42)으로부터 떨어져 회전 상승하여 차량(4)의 적재 위치에 온다. 액츄에이터(20, 24)에 의해 필요한 전복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포신(16)이 완전히 반동된 위치에서 대포 조립체(8)가 적재되어 포신(16)의 무게중심이 포이 베어링(18)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포신(16)을 위치시키는 것은 자주포(2)의 전체 길이 및 차량을 넘어 돌출한 포신의 길이를 감소시켜, 확실한 운전자 시야를 제공하는 것을 돕고, 대포가 공수될 때에 유리하기 때문에 또한 바람직하다. 포신(16)은 "기동" 모드에서는 제자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유압 액츄에이터(20, 24)는 상술한 순서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변형장치에서, 액츄에이터(20, 24)는 동시에 동작될 수 있는데, 이 것은 "기동" 모드와 "발사" 모드 사이에서 대포 조립체(8)를 배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게 된다. 그러나, 대포 조립체(8)를 2 단계로 배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먼저, 대포 조립체(8)를 수직 위치(도 5)로 이동시킴으로써, 상승되는 부분의 무게중심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이 베어링(18)의 오른쪽이 아니라 포이 베어링(18)에 근접하여 효과적으로 이동된다. 이 것은 유압 액츄에이터(24)에 의해 생성될 필요가 있는 전복 모멘트를 크게 감소시킨다. 두 번째로, 몇 발을 쏜 후에, 스페이드(44)는 지면(42)에 박히고, 진흙 조건에서는, 블레이드(46) 및 베이스(10)의 하부(10A)는 흡인력에 의해 유지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스페이드(44) 및 지면(42) 사이에서 흡인력을 차단하기 위해 큰 전복 모멘트가 액츄에이터(24)에 의해 생성될 필요가 있다. 흡인력은 대포 조립체(8)의 무게와 비교하여 크기가 클 수 있을 상당한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포신(16)이 유압 액츄에이터(24)를 동작시키기 전에 수직 위치(도 5)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24)의 상승 기능을 돕기 위하여, 차량(4)은 약간 전방으로 이동되고/혹은 흡인력을 차단하는 것을 돕기 위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장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긴급사태, 예를 들면, 긴급 탈출을 위해 수직선 상으로 크레이들(14) 및 포신(16)을 위치시키는 동작을 완전히 완료하도록 액츄에이터(20)를 동작시키기 전의 액츄에이터(24)의 긴급 작동과 같은 긴급사태를 대비하기 위한 필요한 보유 마진을 포함한 매우 중요한 임무를 위해 설계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자주포(2)는 공수용으로 설계되고, 따라서, 중량의 최소화는 당면 과제이다. 155mm 대포의 반동은 격렬한 과정이므로, 이 힘들을 소산시키기 위한 모든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력 릴리프밸브가 유압 상승 액츄에이터(20)에 병합되어 발사동안 베이스(10)가 베어링(26)을 중심으로 제한적인 회전 운동을 하게 한다. 편리하게, 이 밸브는 유압 스위치의 형태로 되어 있고, 발사 동안 경험 하게 되는 높은 충격력을 받았을 때 개방되고 정상 작동력에서 폐쇄되도록 조절 가능하다. 이 제한된 자유 이동은 스페이드(44)가 보다 깊이 땅에 박히게하고, 액츄에이터(20) 및 설치부재를 손상으로부터 방지한다. 따라서, 유압 액츄에이터(20)는 최악의 반동력을 완충하기 위하여 선택적 댐핑 요소를 제공한다. 반동 및 반발의 마지막의 효과로서, 자동 유압 시스템은 액츄에이터(20)에 다시 에너지를 부여하여 발사 자세, 즉, 베이스(10)를 굳게 지면(42)에 접촉하도록 가압하고, 차량(4)의 후미를 상승시키는 발사 자세를 다시 확립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및 차지 메거진(36, 38)은 차량(4)의 후미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그 중량은 추가적으로 베이스(10)를 하향 가압하여 지면(42)에 접촉시켜, 발사동안 대포 조립체(8)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돕는다. 또한, 셀 및 차지(36, 38)는 한 번의 발사시 매번 자동적으로 차량(4)의 후미를 향해 자동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이 것은 최대 가능한 중량이 대포 조립체(8)를 안정화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자주포는 선상에 탄약이 없이도 안정된 작동을 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탄약의 효과는 대포 조립체를 안정화하는데 또한 일조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 모드에서, 포신(16)은 통로(50)의 지붕에 놓여진다.
자주포(2)의 동작에서, 타겟의 위치가 주어지고, 발사 위치의 좌표가 사정거리 및 타겟의 거동을 계산하는 탑재된 포격 컴퓨터로 보내진다. 탑재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사용하여, 차량(4)은 발사 위치까지 구동되어지고, 타겟으로부터 떨어져 직접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향된다. 대포 조립체(8)는 타겟을 향하고, 다수의 포탄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타겟에 도착하도록 급속하게 연속으로 서로 다른 궤적으로 발사되도록 "발사" 모드로 배치된다. 대포 조립체(8)는 즉시, "기동" 모드로 회전되고, 차량은 임의의 반격을 줄이기 위해 다른 지점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동력화된 배치 시스템은 차량(4)이 정지한 순간 대포 조립체가 자동적으로 배치를 시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포신(16)이 통로(50)의 지붕위에 내려앉자마자, 차량(4)이 떠날 수 있게 한다. 이 것은 본 발명의 자주포(2)에 탱크 혹은 자주 곡사포와 유사한 수준의 기동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완전히 로딩되었을 때 전형적으로 20톤보다 작은 그 무게는 탱크보다 실질적으로 작으면서,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큘리스 C-130과 같은 근거리 이착륙 항공기를 이용하여 공수에 의해 전술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뛰어난 기동성은 차량의 측면을 따라 경량의 덧댄 장갑이외의 중후한 보호 장갑에 대한 필요성을 없앤다. 이 것이 또한 중량이 감소되는 또 다른 이유이다.
포신(16)이 "기동" 모드에서의 차량의 축선을 따라 위치되고, "발사" 모드로 배치될 때 수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이 것에 의해 차량의 측면은 탄약을 나르는데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변형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주동력원(6)을 갖는 차량(4)과 대포 조립체(8)를 포함하며, 상기 대포 조립체(8)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크레이들(14)과, 상기 크레이들(14)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 포신(16)을 포함하여 발사에 따라 포신(16)이 반동되는 결과로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자주포(2)로서,
    상기 대포 조립체(8)는 상기 차량(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의 "기동" 모드에서, 상기 대포 조립체(8)는 직접 지면(42)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포신(16)은 상기 차량(4)이 구동될 수 있게 하는 제1 방향으로 향하며, 제2 의 "발사" 모드에서, 대포 조립체(8)는 발사자세로 배치되며, 상기 발사자세에서 상기 베이스(10)는 지면(42)을 향하여 이동하여 지면(42)에 접촉하고, 여기에서 상기 포신(16)은 상기 제1 방향과 적어도 90도 이상 다른 상승 각도로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평 전방 방향에 있는 자주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실질적으로 상기 차량의 축선에 일치하는 자주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포 조립체(8)는 회전 장치(24, 26)에 의해 상기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상기 베이스(10)에 의해 상기 차량(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주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24, 26)는 상기 지면(42)에 접촉하게되는 상기 베이스(10)의 배치동작이 상기 회전 장치(26)에 인접한 차량의 일부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는 자주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신(16)은 상기 "기동" 모드 동안에 상기 제2 위치에 유지되는 자주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신(16)은 상기 대포 조립체(8)가 상기 "기동" 모드로부터 상기 "발사" 모드로 및 그 반대로 배치되는 동안 상기 제2 위치에 유지되는 자주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14)은 상기 포신의 최대 반동을 넘은 일 지점에 위치된 베어링(1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자주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스페이드(44)를 포함하는 자주포.
KR1020017004503A 1998-10-08 1999-09-29 자주포 KR100591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822010.6 1998-10-08
GBGB9822010.6A GB9822010D0 (en) 1998-10-08 1998-10-08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lf-propelled gu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860A KR20010088860A (ko) 2001-09-28
KR100591348B1 true KR100591348B1 (ko) 2006-06-19

Family

ID=1084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503A KR100591348B1 (ko) 1998-10-08 1999-09-29 자주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457396B1 (ko)
EP (1) EP1117971B1 (ko)
JP (1) JP3908461B2 (ko)
KR (1) KR100591348B1 (ko)
AT (1) ATE243835T1 (ko)
AU (1) AU752726B2 (ko)
BR (1) BR9914322A (ko)
CA (1) CA2346685C (ko)
DE (1) DE69909110T2 (ko)
ES (1) ES2196867T3 (ko)
GB (2) GB9822010D0 (ko)
IL (2) IL142448A0 (ko)
WO (1) WO2000022369A1 (ko)
YU (1) YU49489B (ko)
ZA (1) ZA2001028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2435B2 (en) * 2000-10-27 2004-06-01 United Defense, L.P. High-mobility artillery cannon system
JP4536774B2 (ja) * 2004-04-29 2010-09-01 ビーエーイー システムズ ランド アンド アーマメンツ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迫撃砲用展開及び格納システム
FR2880109B1 (fr) * 2004-12-28 2007-03-23 Giat Ind Sa Systeme d'arme transportable par camion
US7909112B2 (en) * 2007-05-03 2011-03-22 Decker Gordon Michael Compact mobile fire attack vehicle mountable to an emergency vehicle
DE102008052074A1 (de) * 2008-10-17 2010-04-22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Waffensystem mit einem Trägerfahrzeug und einem fahrzeuggebundenen Mörser
DE102008056112A1 (de) 2008-11-06 2010-05-12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Mörser
DE102008056108A1 (de) 2008-11-06 2010-05-12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Waffe mit Rücklauf und einer diesen dämpfenden Bremseinrichtung
DE102011050537B3 (de) 2011-05-20 2012-10-25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Geschütz und militärisches Fahrzeug
KR101592292B1 (ko) * 2014-06-12 2016-02-05 국방과학연구소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방법
RU173642U1 (ru) * 2016-12-27 2017-09-0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Ульяновский 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Самоходная огневая установка
GB2612117A (en) * 2021-10-22 2023-04-26 Bae Systems Plc Recoi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25501A (de) * 1954-11-26 1957-11-15 Ruf Walter Minenwerfer
SE372817B (ko) * 1971-10-26 1975-01-13 Bofors Ab
DE2232567A1 (de) * 1972-07-03 1974-01-24 Doornes Aanhangwagenfab Vorrichtung an einem panzerfahrzeug
US4945813A (en) * 1976-03-29 1990-08-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apid fire howitzer
EP0006491B1 (de) * 1978-07-05 1982-03-17 Contraves Ag Einrichtung zum Abstützen einer Waffenanlage auf einem Kampffahrzeug
DE3266499D1 (en) * 1981-06-03 1985-10-31 Rheinmetall Gmbh Weapon system with a vehicle-mounted mortar
SE8306990L (sv) * 1983-12-16 1985-06-17 Hegglund & Soner Ab Eldvapenberande fordon
DE3688584D1 (de) * 1985-10-14 1993-07-22 Lohr Ind Fahrzeug mit moerseraufbau.
NL8615012A (nl) * 1985-11-21 1988-07-01 Kanonstelsels.
GB2313178B (en) * 1988-12-14 1998-02-18 Vickers Shipbuilding & E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eld howitzers
FR2663727B1 (fr) * 1990-06-22 1992-10-02 Lohr Ind Structure composite pour le tir au mortier a partir d'un engin motorise.
SE501401C2 (sv) * 1993-12-17 1995-02-06 Bofors Ab Ammunitionshanteringssystem för artilleripjäser
DE19510213A1 (de) * 1995-03-21 1996-09-26 Mauser Werke Oberndorf Waffensysteme Gmbh Mörser an einem Trägerfahrzeug
AT408690B (de) * 1996-06-20 2002-02-25 Dynamit Nobel Graz Gmbh Steilfeuergeschütz, insbesondere granatwer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08461B2 (ja) 2007-04-25
GB9923011D0 (en) 1999-12-01
JP2002527712A (ja) 2002-08-27
YU29701A (sh) 2003-12-31
AU752726B2 (en) 2002-09-26
WO2000022369A1 (en) 2000-04-20
IL142448A (en) 2007-10-31
BR9914322A (pt) 2001-10-16
ES2196867T3 (es) 2003-12-16
EP1117971A1 (en) 2001-07-25
EP1117971B1 (en) 2003-06-25
ATE243835T1 (de) 2003-07-15
GB2342428A (en) 2000-04-12
YU49489B (sh) 2006-08-17
CA2346685A1 (en) 2000-04-20
DE69909110T2 (de) 2004-01-15
ZA200102826B (en) 2002-05-06
US6457396B1 (en) 2002-10-01
GB9822010D0 (en) 1999-10-20
KR20010088860A (ko) 2001-09-28
CA2346685C (en) 2005-11-15
DE69909110D1 (de) 2003-07-31
GB2342428B (en) 2001-01-10
AU6214499A (en) 2000-05-01
IL142448A0 (en) 200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4881B1 (en) Multi-purpose missile launcher system for a military land vehicle
US6024007A (en) Field howitzers
KR100591348B1 (ko) 자주포
US9649903B2 (en) Weapons platform, military vehicle comprising a weapons platform and method for operating a weapons platform
US4326446A (en) Linkage of actuating system for elevating gun mount
US4391179A (en) Combat vehicle
CN216592973U (zh) 跨介质高速入水实验平台
US8726784B2 (en) Field gun aim
RU2363908C2 (ru) Артиллерийское орудие с выкатом "тьмака"
US5945625A (en) Tank turret
SE468610B (sv) Laddningsanordning
JP2006507178A (ja) 艦船への大口径の大砲の組込み
RU2355977C1 (ru) Объект бронетехники на колесном шасси
RU2169337C2 (ru) Самоходная артиллерийская установка
JP4133903B2 (ja) りゅう弾砲の車両搭載装置
EP2906898B1 (en) Field gun
GB2313180A (en) Field howitzers
EP2730881A1 (en) Field gun
GB2313178A (en) Field howitzers
Wiśniewski et al. Chosen development problems of wheeled armoured transporters
CN113945121A (zh) 一种具有双发射装置的自行式火箭炮
JP2004036949A (ja) 火砲搭載車
Ogorkiewicz Future combat vehicles: The technological possi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