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890B1 -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기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기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890B1
KR100590890B1 KR1020040048563A KR20040048563A KR100590890B1 KR 100590890 B1 KR100590890 B1 KR 100590890B1 KR 1020040048563 A KR1020040048563 A KR 1020040048563A KR 20040048563 A KR20040048563 A KR 20040048563A KR 100590890 B1 KR100590890 B1 KR 100590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temperature
moisture
image senso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096A (ko
Inventor
최경철
주영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110,895 priority Critical patent/US7804080B2/en
Priority to CN2005100778748A priority patent/CN1712870B/zh
Publication of KR2005010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76Arrangements for regulating environment, e.g.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H04N1/00978Temperature control
    • H04N1/00986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76Arrangements for regulating environment, e.g.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H04N1/00992Humidity control, e.g. removing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Abstract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기 제거 방법이 개시된다. 상부에 독취 될 원고가 얹혀지는 원고글라스가 마련되고 그 내부에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독취하는 독취부가 마련된 접촉 이미지센서와, 원고 글라스의 상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고를 원고 글라스 상에 가압함과 아울러 반송시키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독취 장치에 있어서, 원고 글라스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발열체와, 발열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발열체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감지 유닛 및 감지 유닛을 통한 데이터를 기초로 발열체의 발열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장치를 통하여 원고 글라스 표면에 서린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기 제거방법{MOISTURE REMOVAL APPARATUS OF IMAGE READ-OUT APPARATUS AND MOISTURE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기 제거 장치가 적용된 화상 독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선Ⅰ-Ⅰ′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발열체가 투명면상발열체로 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발열체가 가압롤러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습기 제거 장치의 습도 감지기를 통해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습기 제거 장치의 상온 감지를 통해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습기 제거 장치의 온도 감지기를 통해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고 10 : 접촉이미지센서
11 : 메인프레임 13 : 원고글라스
15 : 독취부 17 : 원고 감지기
30 : 가압롤러 50 : 습기제거유닛
51,51′ : 발열체 53 : 전원
55 : 제어기 57 : 감지 유닛
57a : 온도 감지기 57b : 습도감지기
57c : 상온 감지기
본 발명은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기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 독취 장치를 이루는 접촉 이미지 센서(CIS : Contact Image Sensor)의 상면에 습기가 차는 것을 해소시켜 용지 반송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해소시키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및 이을 이용한 습기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무용 기기인 팩시밀리(Facsimile), 프린터(Printer), 복사기(Copier) 및 스캐너(Scanner)등 독자적으로 사용되던 단말기들이 복합기(MFP:Multi Function Peripheral)라는 다기능 단말기로 통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복합기에서 원고를 복사하려면 원고를 독취 해야한다. 원고의 독취 방법은 독취 소자의 배열상태에 따라 CIS (Contact Image Sensor)방식과 CCD(Charged Couple Device)방식이 있다. CCD방식은 1라인 분의 광원(형광등 또는 LED)에 의해 독취된 픽셀(Pixel)을 거울, 렌즈를 통해 집약시켜 1라인 분의 수천 개의 독취 소자를 CCD라는 디바이스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주는 방식이고, CIS 방식은 광원(보통 LED)과 독취 센서를 일체화하고 이를 원고에 접촉시켜 원고를 독취하는 방식으로 최근에는 주로 CIS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촉 이미 센서(CIS)에 관한 것으로 미국특허번호 5,214,273, 특허일 : 1993년 5월 25일)가 개시되어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메인프레임이 있고, 그 메인프레임의 상측에는 글라스커버가 덮여 있으며, 메인프레임(Main Frame)의 내부에는 상기 글라스 커버(Glass Cover)측으로 소정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Light Source)이 설치되어 있고, 광원의 측부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글라스커버의 소정위치에 부딪혀 반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렌즈어레이(Rod Lens Array)가 설치되어 있고 그 렌즈어레이의 하부에는 집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Photo Converter Element)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접촉이미지센서를 채용하여 구성된 독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본공개특허공보(특개평 9-55828호, 공개일 : 1997년 2월 25일)가 개시되어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접촉이미지센서와, 접촉 이미지 센서(CIS)의 원고 글라스 상에 접촉 설치되어 용지를 원고글라스 상에 접촉시켜 이송하는 CIS롤러와 CIS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원고 독취 장치는 주변의 온도 차등에 의해 원고 글라스 상에 습 기가 서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런데 그와 같이 원고 글라스 상에 습기가 서리게 될 경우 원고용지가 접촉되어 반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진 인쇄 혹은 포토 이미지와 같은 화상도가 높은 것을 인쇄할 경우 용지의 거칠기가 미세한 포토 용지를 사용하게 되는 데, 이때에는 포토 용지가 더욱더 쉽게 원고 글라스 상에 접촉되어 반송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이미지 센서를 이루는 원고글라스 상에 생기는 습기를 해소시켜 용지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를 통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의하면, 상부에 독취 될 원고가 얹혀지는 원고 글라스가 마련되고 그 내부에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독취하는 독취부가 마련된 접촉 이미지센서와, 상기 원고 글라스의 상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고를 반송시키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독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 글라스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상기 발열체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감지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을 통한 데 이터를 기초로 상기 발열체의 발열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원고 글라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원고 글라스의 내부 표면에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상기 가압 롤러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유닛은 화상 독취 장치가 설치된 상온을 감지하여 상기 발열체의 가열조건을 결정하도록 하는 상온 감지기, 상기 원고 글라스의 표면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체의 가열조건을 결정하도록 하는 습도 감지기, 상기 원고 글라스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체의 가열 조건을 결정하도록 하는 온도 감지기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 감지기는 접촉 이미지 센서의 구동 온도를 오버하는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원고 글라스의 표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원고가 공급되는 원고 공급부에는 상기 원고가 입력된 상태를 감지하는 원고 감지기가 추가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하면, 원고 공급부에 원고가 입력된 상태를 감지하고; 접촉 이미지 센서를 이루는 원고 글라스 상면의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습도에 대응하여 상기 원고 글라스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발열체가 가열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발열체 구동 조건은 상기 습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습도 값에 대응하여 상기 발열체를 가열시키기 위한 목표 온도 값을 테이블 화 한 것이며, 상기 발열체가 상기 목표 온도 값에 도달 한 후 소정 시간동안 상기 목표 온도 값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습기를 제거 단계 이후 상기 원고 글라스의 상면의 습도를 재차 체크한 후 기준 습도 값을 오버 할 경우 상기 재차 감지된 습도에 대응하는 원고 글라스를 가열하는 발열체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발열체가 가열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반복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기를 제거 단계 이후 접촉 이미지 센서의 온도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된 온도 값이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가 구동하기 위한 온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하면, 원고 공급부에 원고가 입력된 상태를 감지하고; 화상 독취 장치가 설치된 상온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온에 대응하여 접촉 이미지 센서의 원고 글라스를 가열하는 발열체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발열체가 구동되어 상기 원고 글라스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발열체의 구동 조건은 상기 감지된 상온에 대응하여 습도를 제거하기 위한 목표 온도 값을 테이블 화하며, 상기 발열체의 구동 조건은 상기 발열체가 목 표 온도 값에 도달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목표 온도 값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기 제거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 2 실시 예와 마찬 가지로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의 온도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된 온도 값이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가 구동하기 위한 온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의하면, 원고 공급부에 원고가 입력된 상태를 감지하고; 온도 감지기를 통하여 접촉 이미지 센서를 이루는 원고 글라스 표면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온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소정의 목표 온도 값에 도달할 때까지 발열체를 가열하여 상기 원고 글라스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발열체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발열체의 구동 조건은 상기 발열체가 상기 목표 온도 값에 도달한 후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목표 온도 값을 유지시키는 것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기 제거 단계 이후 상기 제 2,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촉 이미지 센서의 온도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된 온도 값이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가 구동하기 위한 온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습기 제거 장치가 적용된 화상 독취 장치의 구체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습기 제거 장치가 적용된 화상 독취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독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선Ⅰ-Ⅰ′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고(1)의 이미지를 독취하는 접촉 이미지 센서(10)가 있고,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상면에는 원고(1)를 반송시키도록 가압 롤러(30)가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상면과 접촉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변의 온도 차이에 의해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상면에 서리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 제거 유닛(50)이 설치된다. 이에 더하여 원고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원고의 입력 상태를 감지하는 원고 감지기(17)가 설치된다. 원고 감지기(17)는 접촉 이미지 센서(10)위치에서의 원고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원고가 원고 공급부(미도시)에 대기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이는 원고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습기 제거 유닛(50)이 불필요하게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촉 이미지 센서(10)는 메인 프레임(11)과, 상기 메인 프레임(11)의 상측에 덮여 있는 원고 글라스(13)와, 상기 원고 글라스(13)의 상면에 얹혀진 원고(1)의 이미지를 독취하는 독취부(15)로 구성된다.
독취부(15)는 원고 글라스(13)측으로 소정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15a : Light Source)과, 광원(15a)의 일측에 설치되어 광원(15a)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원고(1)의 소정위치(P)에 부딪혀 반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렌즈어레이(15b: Lens Array)와, 렌즈어레이(15b)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어레이(15b)를 통해 집광된 광이 결상되는 수광 센서(15c : Photo Converter Element)로 구성된다. 원고(1) 의 정보는 수광 센서(15c)에 검출되어 아날로그 신호로서의 이미지 신호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원고(1)의 정보가 판독된다.
습기 제거 유닛(50)은 상기 원고 글라스(13)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원고글라스(13) 표면에 생기는 습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원고 글라스(13)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 글라스(13)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발열체(51)와, 발열체(51)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53)과, 원고 글라스(13)에 서린 습기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발열체(51)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건 선택에 기초가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감지 유닛(57) 및 감지 유닛(57)을 통해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체(51)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그 구동 신호를 발열체(51)로 출력하는 제어기(55)를 포함한다.
감지 유닛(57)은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원고 글라스(13)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기(57a),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원고 글라스(13) 표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기(57b), 및 접촉 이미지 센서(10)가 내장된 화상 독취 장치(미도시)가 설치된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온 감지기(57c)가 있다.
상기 온도 감지기(57a), 습도 감지기(57b), 상온 감지기(57c)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발열체(51)의 구동 조건이 결정되고, 발열체(51)가 구동되어 습기가 제거되는 구체적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발열체(51)가 발열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동안 접촉 이미지 센서(10)가 구동 온도를 초과하는 상태에 있을 경우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구동이 곤란하다. 따라서,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구동 온도를 체크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때, 상 기 온도 감지기(57a)는 접촉 이미지 센서(10)가 구동 가능한 온도를 유지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구동 온도를 오버 할 경우 접촉 이미지 센서(10)는 구동 가능한 온도에 도달 할 때까지 냉각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참고로, 접촉 이미지 센서(10)가 구동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온도는 15℃~35℃가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온도 감지기(57a)는 원고 글라스(13)의 온도를 체크하여 발열체(51)의 발열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접촉 이미지 센서(10)가 구동 가능한 온도를 유지하는 지 여부를 체크하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온도 감지기(57a)는 원고 글라스(13)의 표면 온도를 체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 발열체(51)의 구성 예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발열체(51)는 원고 글라스(13)의 내부 표면에 코팅된 불투명 발열체(51a)로 되며, 이때 불투명 발열체(51a)는 예를 들면 원고 글라스(13)의 가장 자리 측에 설치하여 독취부(15)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발열체(51)를 투명 발열체(51b)로 적용시킨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발열체(51)가 투명 발열체(51b)로 됨에 따라 독취부(15)와 간섭되는 것이 해소될 수 있으므로, 그 위치 제한을 두지 않고 원고 글라스(13)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코팅 가능하다. 투명 발열체(51b)로는 인듐 옥사이드(Indium Oxide),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틴 옥사이드(Tin oxide)등과 같이 전도성이 좋고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된다. 여기서, 투명 발열체(51b)의 투명도는 독취부(15)에 간섭되지 않는 정도가 유지되어야 함은 물론 이다.
상술한 발열체(51)는 저항(R)이 있는 도체로서 전류를 흘리면 발열하는 것이다. 발열체(51)의 저항(R)은 예컨대, 100Ω이상으로 한다.
상기의 내용에 있어서, 발열체(51)가 원고 글라스(13)에 설치되어 원고 글라스(13)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발열체(51)의 위치를 달리 하여 원고 글라스(13)를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
도 4는 발열체(51)가 가압 롤러(30)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선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도 1,2의 원고 글라스(13)에 발열체(51)가 설치되어 원고 글라스(13)를 직접적으로 가열한 것과는 달리 가압 롤러(30)측에 발열체(51′)를 설치하여 원고 글라스(13)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도록 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명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발열체(51′)역시 도 1,2의 발열체(51)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동작된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를 통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화상 독취를 위한 지시를 내리면, 접촉 이미지 센서(10)를 통하여 화상 독취 작업을 실시하기 이전에 원고 글라스(13)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원고 글라스(13) 표면에 생긴 습기를 제거하는 동작이 실시된다.
[습도 감지기의 감지를 통한 습기 제거 방법]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습기 제거 장치의 습도 감지기를 통해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 독취 과정은 크게 원고 입력 상태 감지 단계(S10), 습기 제거 단계(S100), 화상 독취 동작 단계(S50)로 나누어진다.
원고 입력 상태 감지 단계(S30)에서는 원고 공급부로부터 원고를 올려놓으면 자동 급지 장치의 동작에 의해 원고를 낱장씩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때, 원고 감지기(17)가 원고를 감지하고, 원고가 감지되면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대기 상태를 이루는 이유는 사용자가 팩스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팩스 번호를 누르거나, 복사 또는 스캔 동작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조건 등에 대한 지시를 받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원고 감지기(17)의 신호는 후술하는 습기 제거 단계(S100)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원고 감지기(17)를 통하여 원고 감지가 되지 않았을 경우 습기 제거 단계(S100)가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습기 제거 단계(S100)가 원고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불필요하게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습기 제거 단계(S100)는 원고가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상태로 머무는 시간 동안에 이루어지며, 그 구체적 과정은 다음과 같다.
습기 제거 단계(S100)의 구체적 과정은 접촉 이미지 센서(10)를 이루는 원고 글라스(13) 표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단계(S110)와, 습도 감지 단계(S110)에서 측정된 습도 값이 기준 습도 값을 넘을 경우 발열체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S120)와, 발열체 구동 조건이 결정 된 후 발열체(51)를 구동시켜 발열체 구동 목표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열체(51) 구동 조건 결정은 습도 감지 단계(S110)에 감지되는 습도 값에 대응하여 상기 발열체(51)를 가열시키기 위한 목표 온도 값을 테이블 화하여 해당되는 구동 조건을 적용시키도록 한다.
결정 테이블 A B C D E F ...
온도T[℃] 25 30 35 40 45 50 ...
습도H[%] 35 40 45 50 55 60 ...
유지시간 0.1 0.2 0.3 0.4 0.5 0.5 ...
[표 1]은 상기 구동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만일, 습도 감지 단계(S110)에서 감지된 습도 값이 35%이라면 제어기(55)에서는 결정 테이블의 구동 모드 "A"를 취하여 발열체(51)로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발열체(51)가 습기 제거를 위한 목표 온도 값 25℃로 가열된다. 이때, 발열체(51)가 목표 온도 값인 25℃에 도달한 상태에서 그 온도를 0.1초 간 유지시켜 습기 제거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유지 시간을 두는 이유는 발열체(51)가 목표 온도 값인 25℃에 도달하더라도 주변과의 온도차로 인해 또다시 원고 글라스(13)면에 습기가 서리게 될 가능성을 배제시키기 위함이다.
Figure 112004027888315-pat00001
상기 결정 테이블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지된 습도 대비 목표 온도 값을 다양한 온도로 변환시켜 적용시킬 수 있음을 물론이다. [표 1]에서 감지된 습도 값이 35%일 때 발열체(51)의 목표 온도 값을 25℃로 한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 온도 값이 30℃, 40℃ 등등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습기를 제거한 후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원고 글라스(13) 표면의 습도를 재차 체크하는 단계(S60)가 추가로 포함되어 측정된 습도 값이 기준 습도 값을 넘을 경우 상술한 과정(S120,S130)을 반복 수행하여 습기 제거를 완전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발열체(51)가 발열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동안 접촉 이미지 센서(10)가 구동하기 위한 온도를 초과할 수 있다. 이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온도를 온도감지기(57a)를 통하여 감지(S71)하고, 접촉 이미지 센서(10)가 구동하기 위한 온도를 넘을 경우 접촉 이미지 센서(10)를 냉각시키는 단계(S72)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접촉 이미지 센서(10)가 구동 가능한 온도로 냉각되면, 대기 상태에서 머물고 있던 원고가 접촉 이미지 센서(10)측으로 공급되어 화상 독취 동작(S50)이 진행된다.
[상온 감지기의 감지를 통한 습기 제거 방법]
다음은 원고 글라스(13)의 습기 상태를 상온 감지기(57c)를 적용하여 감지하고, 그에 따른 발열체(51) 구동조건을 결정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습기 제거 장치의 상온 감지기를 통해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상 독취 과정은 크게, 원고 입력 상태 감지 단계(S30), 화상 독취 동작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은 도 6의 과정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6과 동일한 과정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명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6과 구별되는 습기 제거 단계(20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습기 제거 단계(200)는 화상 독취 장치가 비치된 상온 상태를 상온 감지기(57c)를 통하여 감지하는 상온 감지 단계(S210)와, 상기 상온 감지 단계(S210)에서 감지된 상온을 기초로 발열체(51)를 구동시키기 위한 발열체 구동 조건 결정 단계(S220)와, 상기 발열체 구동 조건 결정 단계(S220)에서 결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발열체(51)를 구동하고 구동 목표 값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발열체 구동 조건 결정 단계(S220)에서는 감지된 상온 대비 습도를 제거하기 위한 목표 온도 값을 테이블 화하여 해당되는 구동 조건을 적용시키도록 한다.
상온[℃] 가열동작 목표온도[℃]
테이블 접근속도 유지시간
10 A 1500ms 5초 65
15 B 1200ms 3초 60
20 C 1000ms 1초 55
25 D 700ms 1초 50
30 E 500ms - 45
35 F 300ms 0.5초 45
40 G 100ms - 45
[표 3]은 상기 구동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상온 대비 목표 온도 값을 테이블화 한 일 예를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온 감지기(57c)를 통하여 감지된 상온이 10℃라면 습기 제거를 위한 목표 온도는 65℃이고, 이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위한 접근속도 1500ms(millisecond)로 설정한다. 발열체(51)가 목표 온도 값인 65℃에 도달한 상태에서 5초간의 유지 시간을 두어 습기 제거를 확실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지 시간을 두는 이유는 도 6의 설명 부분과 동일한 이유에서이며 따라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온 감지기(57c)를 통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단계에서도 역시 발열체(51)가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가열되어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온도를 증대시키게 되므로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온도를 온도 감지기(57a)를 통하여 측정(S71)하고, 구동 온도 보다 높을 경우 접촉 이미지 센서(10)를 냉각시키는 과 정(S72)을 추가함이 바람직하다.
[온도 감지기의 감지를 통한 습기 제거 방법]
다음은 원고 글라스(13)의 습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온도 감지기(57a)를 적용하여 감지하고 그에 따른 발열체(51) 구동조건을 결정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습기 제거 장치의 온도 감지기를 통해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상 독취 과정이 크게 원고 입력 상태 감지 단계(S30), 화상 독취 동작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은 도 6의 과정과 역시 동일하다. 따라서, 도 6과 동일한 과정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명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6과 구별되는 습기 제거 단계(30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습기 제거 단계(300)는 온도 감지기(57a)를 통하여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원고 글라스(13)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단계(S310)와, 상기 온도 감지 단계(S310)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발열체(51)를 소정의 목표 온도 값에 도달할 때까지 발열체(51)를 가열하는 단계(S320)와, 발열체(51)가 습기 제거를 위한 목표 온도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체(51) 가열 단계(S320)에 의해 원고 글라스(13) 표면이 습기 제거를 위한 목표 온도 값에 도달하면, 발열체(51)는 소정의 시간동안 그 목표 온도 값 을 유지시켜 원고 글라스(13)가 일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습기가 완벽하게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감지기(57a)를 통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단계에서도 역시 발열체(51)가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가열되어 접촉 이미지 센서(10)는 구동 가능한 온도를 넘을 수 있다. 이때, 접촉 이미지 센서(10)의 온도를 온도 감지기(57a)를 통하여 측정(S71)하고, 구동 온도 보다 높을 경우 접촉 이미지 센서(10)를 냉각시키는 과정(S72)을 추가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감지 유닛(57a,57b,57c)을 통해 실시되는 습기제거 동작들은 화상 독취 과정을 실시하기 전 단계에서 실시되거나 그 외에도 화상 독취 과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고 글라스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그 표면에 서리게 되는 습기를 제거하여 원고가 원고 글라스 표면에 달라붙지 않고 원활하게 반송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상부에 독취 될 원고가 얹혀지는 원고 글라스가 마련되고 그 내부에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독취하는 독취부가 마련된 접촉 이미지센서와, 상기 원고 글라스의 상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고를 반송시키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독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 글라스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상기 발열체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감지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을 통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발열체의 발열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원고 글라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원고 글라스의 내부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가압 롤러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화상 독취 장치가 설치된 상온을 감지하여 상기 발열체의 가열조건을 결정하도록 하는 상온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원고 글라스의 표면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체의 가열조건을 결정하도록 하는 습도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원고 글라스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체의 가열 조건을 결정하도록 하는 온도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기는 접촉 이미지 센서의 구동 온도를 오버하는 상태를 체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기는 상기 원고 글라스의 표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가 공급되는 원고 공급부에는 상기 원고가 입력된 상태를 감지하는 원고 감지기가 추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11. 원고 공급부에 원고가 입력된 상태를 감지하고;
    접촉 이미지 센서를 이루는 원고 글라스 상면의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습도에 대응하여 상기 원고 글라스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발열체가 가열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구동 조건은 상기 습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습도 값에 대응하여 상기 발열체를 가열시키기 위한 목표 온도 값을 테이블 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구동 조건은 상기 발열체가 상기 목표 온도 값에 도달 한 후 상기 원고 글라스의 습기가 제거될 때까지 목표 온도 값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를 제거 단계 이후 상기 원고 글라스의 상면의 습도를 재차 체크한 후 기준 습도 값을 오버 할 경우 상기 재차 감지된 습도에 대응하는 원고 글라스를 가열하는 발열체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발열체가 가열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를 제거 단계 이후 접촉 이미지 센서의 온도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된 온도 값이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가 구동하기 위한 온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16. 원고 공급부에 원고가 입력된 상태를 감지하고;
    화상 독취 장치가 설치된 상온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온에 대응하여 접촉 이미지 센서의 원고 글라스를 가열하는 발열체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발열체가 구동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의 구동 조건은 상기 감지된 상온에 대응하여 습도를 제거하기 위한 목표 온도 값을 테이블 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의 구동 조건은 상기 발열체가 목표 온도 값에 도달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목표 온도 값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제거 단계 이후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의 온도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된 온도 값이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가 구동하기 위한 온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20. 원고 공급부에 원고가 입력된 상태를 감지하고;
    온도 감지기를 통하여 접촉 이미지 센서를 이루는 원고 글라스 표면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온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소정의 목표 온도 값에 도달할 때까지 발열체를 가열하여 상기 원고 글라스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발열체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의 구동 조건은 상기 발열체가 상기 목표 온도 값에 도달한 후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목표 온도 값을 유지시키는 것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제거 단계 이후 접촉 이미지 센서의 온도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된 온도 값이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가 구동하기 위한 온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접촉 이미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방법.
KR1020040048563A 2004-04-14 2004-06-25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기제거방법 KR100590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10,895 US7804080B2 (en) 2004-06-25 2005-04-21 Moisture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read out apparatus
CN2005100778748A CN1712870B (zh) 2004-06-25 2005-06-13 图像读出装置的湿气去除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908 2004-04-14
KR20040025908 2004-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096A KR20050101096A (ko) 2005-10-20
KR100590890B1 true KR100590890B1 (ko) 2006-06-19

Family

ID=3727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563A KR100590890B1 (ko) 2004-04-14 2004-06-25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기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32B1 (ko) * 2009-03-17 2010-10-26 한국과학기술원 김서림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340A (ja) 2001-07-05 2003-01-17 Canon Inc 結露防止構成を持った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340A (ja) 2001-07-05 2003-01-17 Canon Inc 結露防止構成を持った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096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4080B2 (en) Moisture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read out apparatus
JP2010219667A (ja) 画像読取装置
CN103685840B (zh) 图像读取装置
US20080273228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791616A (zh) 图像读取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2010035130A (ja) 画像読取装置、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782653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590890B1 (ko) 화상 독취 장치의 습기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기제거방법
US7548351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8572522A (zh) 图像形成装置及其图像形成方法
US8988746B2 (en) Image scanning device with improved dew condensation detection and correction
JPH11150634A (ja) 原稿サイズ検知方法
US10440209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JP2001313781A (ja) 画像読取装置
US6643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age in an image scanner
JP2008028624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196266A (ja) 画像読取装置
RU21549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сканирования данных изображения в системе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я
JP2005065033A (ja) 画像読み取り装置、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画像読み取り装置の検査方法
JPH06350925A (ja) 画像読取装置
JPH0514616A (ja) 画像読取装置
JP2518643Y2 (ja) 原稿押え装置
JPH08152589A (ja) 露光済検査装置
JP2001201804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8042322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