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827B1 -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력 완화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력 완화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827B1
KR100589827B1 KR1020047007115A KR20047007115A KR100589827B1 KR 100589827 B1 KR100589827 B1 KR 100589827B1 KR 1020047007115 A KR1020047007115 A KR 1020047007115A KR 20047007115 A KR20047007115 A KR 20047007115A KR 100589827 B1 KR100589827 B1 KR 10058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bracket
vehicle body
gear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628A (ko
Inventor
호리타고우사쿠
Original Assignee
다이하쓰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하쓰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하쓰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incorporating devices for preventing ingress of the steering column into the passengers space in case of accid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력 완화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1)가 1차충돌하여 브래킷(27)이 변형될 때, 상기 브래킷(27)의 전부 프레임(36)은 세로방향 자세가 되도록 후부 프레임(38)에 대해 굴곡된다. 이와 같이 굴곡되면, 상기 전부 프레임(36)에 따라 연동 기어장치(28)가 하강(C)되고, 이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23)는 스티어링 휠(24)과 함께 내려가며, 이 결과, 이 스티어링 휠(24)과 운전자와의 사이의 공간 치수가 더 커져 스티어링 휠(24)로의 운전자의 2차 충돌시 충격력이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력 완화구조체{IMPACT FORCE RELIEVING STRUCTURE IN STEERING DEVIC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가 그 전방의 어떤 물체와 1차충돌하고, 이에 계속해서 운전자가 스티어링 칼럼에 2차충돌하여 이 스티어링 칼럼으로부터 운전자에게 충격력이 전해질 때, 이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력 완화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로는 종래, 일본 공개실용신안 공보소57-171964호의 제 3 도에 도시된 것이 있다.
상기 공보에 의하면 스티어링 장치는 차실의 앞 부분에 배치되어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축심 둘레에 회동 자유로워지도록 차체에 지지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단부 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에 지지되어 좌우 조향용 바퀴와 연동 연결되는 스티어링 기어장치와,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에 브래킷을 통해 지지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단부에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를 연동 연결시키는 연동 기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동 기어장치는 그 외각을 구성하여 상기 브래킷에 지지되는 기어 케 이스와, 상기 기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단부에 연동 연결되는 입력 기어와, 상기 기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입력 기어와 서로 끼워 맞추는 출력 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출력 기어에는 자재(自在) 이음매축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후방에 위치하는 운전자가 이 스티어링 휠을 조향 조작하면 그 조작력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연동 기어장치의 입력기어, 출력기어, 자재 이음매축 및 스티어링 기어장치를 차례로 통해 좌우 조향용 바퀴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자동차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자동차의 1차충돌에 의해 상기 차체의 앞부분이 그 전단부측에서 뒤쪽을 향해 순차 소성 변형하면서 차체의 후부에 대해 후방 이동할 때에는 이 후방 이동하는 차체의 앞부분으로 눌려져 상기 연동 기어장치가 뒤쪽으로 이동하고, 또 이 연동 기어장치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후방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에게 접근할 우려를 생기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에게 접근하면 1차충돌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에 대해 그 후방 위쪽으로부터 운전자가 2차충돌하기 쉬워지고, 이 2차충돌시에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충격력이 쓸데없이 커질 우려가 있다.
또,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자재 이음매축이 후방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1차 충돌시에 차체의 앞부분으로 눌려져 상기 연동 기어장치와 상기 자재 이음매축이 순차 후방 이동할 때에는 상기 자재 이음매축의 후단부와 스티어링 기어장치와의 연결부를 거의 중심으로 하여 상 기 자재 이음매축의 앞부분측이 후방 위쪽을 향해 회동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후방 위쪽을 향해 자재 이음매축이 회동하면 상기 자재 이음매축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연동 기어장치도 후방 위쪽을 향해 회동한다. 그러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 연동 기어장치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후방 위쪽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에게 접근하여 2차충돌시에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충격력이 쓸데없이 커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동차의 1차충돌시 스티어링 휠에 대해 그 후방 위쪽으로부터 운전자가 2차충돌하고, 이 스티어링 휠로부터 운전자에게 충격력이 전해질 때, 이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차실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축심 둘레에 회동 자유로워지도록 차체에 지지되어 그 상단부에 스티어링 휠을 지지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단부보다도 뒤쪽에 배치되고 상기 차체에 지지되어 좌우 조향용 바퀴와 연동 연결되는 스티어링 기어장치와,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에 브래킷을 통해 지지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단부에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를 연동 연결시키는 연동 기어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이 이 브래킷의 앞부분을 구성하고 그 전단부가 상기 차체에 지지되어 후부측이 후방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전부 프레임과, 상기 브래킷의 후부 를 구성하여 상기 전부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그 후단부가 상기 차체에 지지되는 후부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후부 프레임에 상기 연동 기어장치를 지지시킨 것이다.
또, 다른 발명은 상기 연동 기어장치가 그 외각을 구성하여 상기 후부 프레임에 지지되는 기어 케이스와, 상기 기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단부에 연동 연결되는 입력 기어와, 상기 기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입력 기어와 서로 끼워 맞추는 출력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기어에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를 연동 연결시키는 자재 이음매축을 구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차체의 측면에서 봐서 상기 출력 기어와 자재 이음매축(universal joint shaft)의 각 축심을 골 형상으로 교차시키고, 또, 상기 자재 이음매축을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한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상기 브래킷에 그 전방에서 소정값 이상의 외력이 전해졌을 때, 이 브래킷의 후단부를 상기 차체에서 탈락시키도록 촉진하는 탈락촉진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앞부분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에서 본 도면,
도 4는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의 부분 확대에 상당하는 도면, 및
도 5는 다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의 부분 확대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면부호 “1”은 웨건(wagon)타입의 자동차이고, 화살표 “Fr”은 이 자동차(1)의 전방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자동차(1)의 차체(2)는 판금제이고, 이 차체(2)는 그 하부를 구성하여 큰 강도와 강성을 갖는 차체 프레임(3)과,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3)에 지지되어 그 내부 공간이 차실(4)이 되는 차체 본체(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차체 본체(5)의 전단부의 상부에 전방 윈도(6, front window)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3)은 자동차(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9)과,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9)의 각 전단부끼리 서로 결합시키는 크로스부재(10)와, 상기 크로스부재(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9)의 앞부분의 상기 자동차(1)의 길이방향의 각 중도부끼리 서로 결합시키는 다른 크로스부재(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3)의 앞부분에 좌우 한쌍의 조향용 앞바퀴가 달려 있고, 또 차체 프레임(3)의 후단에 좌우 한쌍의 뒷바퀴가 달려 있고, 상기 바퀴에 의해 차체(2)가 노면상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차체(2)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차체 본체(5)의 앞부분은 상기 차체 본체(5)의 전단부의 하부를 구성하는 전면판(14)과, 상기 전면판(14)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결합되어 이 전면판(14)을 보강하는 프론트 카울(15, front cowl)과, 상기 전면판(14)의 상하 방향의 중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14)을 보강하는 보강패널(16)과, 상기 차체 본체(5)의 하부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플로어 패널과, 상기 차실(4)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3), 프론트 카울(15) 및 보강패널(16)에 걸쳐져 설치되도록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액셀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지지하는 페달 브래킷(1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실(4)의 앞부분에 스티어링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티어링 장치(20)는 상기 차실(4)의 앞부분에 배치되고 축심(21)이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페달 브래킷(17)에 지지되는 스티어링 칼럼(22)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22)에 안쪽으로 끼워져 상기 축심(21) 둘레에 회동 자유로워지도록 상기 스티어링 칼럼(22)에 지지되는 스티어링 샤프트(23)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의 상단부에 고착되어 지지되는 스티어링 휠(24)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스티어링 장치(20)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의 하단부 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2)의 차체 프레임(3)에 강고하게 지지되어 상기 좌우 조향용 앞바퀴와 연동 연결되는 랙기어 장치인 스티어링 기어장치(26)와,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26)의 앞쪽, 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의 하단부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2)의 차체 프레임(3)에 브래킷(27)에 의해 지지되는 연동 기어장치(28)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의 하단부에 상기 연동 기어장치(28)를 연동 연결시키는 자재 이음매축(31)과, 상기 연동 기어장치(28)에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26)를 연동 연결시키는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브래킷(27)은 판금제이다. 이 브래킷(27)은 상기 브래킷(27)의 앞부분을 구성하여 그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부재(10)에 체결구(35)에 의한 체결로 지지되어 후부측이 후부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전부 프레임(36)과, 상기 브래킷(27)의 후부를 구성하여 상기 전부 프레임(36)의 후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그 후단부가 상기 다른 크로스부재(11)에 체결구(37)에 의한 체결로 지지되는 후부 프레임(38)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후부 프레임(38)은 상기 후부 프레임(38)의 앞부분을 구성하여 상기 전부 프레임(36)의 후단부에서 거의 수평으로 후방을 향해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수평 프레임(40)과, 상기 후부 프레임(38)의 후부를 구성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40)의 후단부에서 후방 위쪽을 향해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그 연장 단부가 상기 다른 크로스부재(11)에 상기 체결구(37)에 의해 체결되는 세로 방향 프레임(4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부 프레임(36)의 후방 근방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40)에 상기 연동 기어장치(28)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연동 기어장치(28)는 베벨 기어장치이다. 상기 연동 기어장치(28)는 그 외각을 구성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40)에 지지되는 기어 케이스(43)와, 상기 기어 케이스(4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의 하단부에 상기 자재 이음매축(31)을 통해 연동 연결되는 입력기어(44)와, 상기 기어 케이스(4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입력 기어(44)와 서로 끼워 맞춰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26)와 상기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을 통해 연동 연결되는 출력 기어(4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력기어(44)와 출력기어(45)는 베벨기어이다. 상기 입력기어(44)의 축심(46)은 거의 연직방향, 또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출력 기어(45)의 축심(47)은 상기 입력기어(44)의 축심(46)과 거의 직교하도록 거의 수평방향, 또 후방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차체(2)를 측면으로 봐서(도 1), 상기 출력 기어(45)의 축심(47)과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의 축심(48)이 골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상기 출력 기어(45)와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의 전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의 축심(48)이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7)에 그 전방에서 소정값 이상의 외력이 전해졌을 때, 상기 브래킷(27)의 후단부를 상기 다른 크로스부재(11) 아래쪽으로 탈락시키도록 촉진하는 탈락촉진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락촉진수단(50)은 상기 브래킷(27)의 후단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좌우 한쌍)의 절개부(51)와, 상기 각 절개부(51)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다른 크로스부재(11)에 체결시키는 체결볼트(52)를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27)에 상기 외력이 전해지면 상기 체결볼트(52)로부터 상기 브래킷(27)의 후단부가 탈락(A)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2, 도 3중 일점쇄선).
상기 구성에 의하면 브래킷(27)은 상기 브래킷(27)의 앞부분을 구성하여 그 전단부가 상기 차체(2)에 지지되어 후부측이 후방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프레임(36)과, 상기 브래킷(27)의 후부를 구성하여 상기 전부 프레임(36)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쪽을 향해 연장되어 그 후단부가 상기 차체(2)에 지지되는 후부 프레임(38)을 구비하고, 상기 후부 프레임(38)에 상기 연동 기어장치(28)가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1)가 1차충돌하여 차체(2)의 앞부분이 차체(2)의 후부에 대해 후방 이동(B)하도록 변형할 때에는 이에 따라 상기 브래킷(27)도 그 전부측에서 후부측을 향해 순차 후방 이동(B)하도록 변형한다. 이 때, 상기 브래킷(27)의 앞부분의 전부 프레임(36)은 후방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브래킷(27)이 그 전부측에서 순차 후방 이동(B)하도록 변형할 때에는 이 브래킷(27)의 전부 프레임(36)은 이것이 보다 연직방향에 가까워지는 아래로 내려가는 세로 방향 자세가 되도록 상기 후부 프레임(38)에 대해 굴곡된다.
여기서, 상기 전부 프레임(36)의 전단부는 상기 크로스부재(10)에 지지되어 있고, 그 높이 위치는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 상기 전부 프레임(36)이 보다 세로 방향 자세가 될수록 상기 전부 프레임(36)의 후방 근방의 상기 수평 프레임(40) 부분은 보다 확실히 하강(C)되고, 이와 함께 상기 수평 프레임(40) 부분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연동 기어장치(28)도 하강(C)된다.
그러면, 도 1 중 일점쇄선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동 기어장치(28)와 상기 자재 이음매축(31)을 통해 연동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는 상기 스티어링 휠(24)과 함께 내려가 상기 스티어링 휠(24)과 상기 스티어링 휠(24)의 후방에 위치하는 운전자와의 사이의 공간 치수가 보다 커진다.
따라서, 상기 공간 치수가 커지는 만큼 상기 스티어링 휠(24)로의 운전자의 2차 충돌시, 상기 스티어링 휠(24)로부터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충격력은 완화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차체(2)의 측면으로 봐서(도 1), 상기 출력 기어(45)와 자재 이음매축(32)의 각 축심(47, 48)을 골 형상으로 교차시키고, 또 상기 자재 이음매축(32)을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이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생긴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1)의 1차충돌이 더 진행되어 차체(2)의 앞부분이 더 후방 이동(B)하도록 변형될 때에는, 이에 따라 상기 브래킷(27)은 전체적으로 후방 이동(B)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동 기어장치(28)와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이 순차 후방 이동(B)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차체(2)의 측면으로 봐서(도 1), 상기 출력 기어(45)와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의 각 축심(47, 48)을 골 형상으로 교차시키고, 또 상기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을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하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후방 이동(B)하는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의 앞부분 측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자재 이음매축(32)의 후단부와 스티어링 기어장치(26)와의 연결부(53)를 거의 중심으로 하여 후방 아래쪽을 향해 회동(D)한다.
따라서, 상기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연동 기어장치(28)도 상기 다른 자재 이음매축(32)의 앞부분측과 함께 상기 연결부(53)를 거의 중심으로 하여 후방 아래쪽을 향해 회동(D)한다. 그러면, 상기 연동 기어장치(28)와 연동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는 상기 스티어링 휠(24)과 함께 내려가 상기 스티어링 휠(24)과, 상기 스티어링 휠(24)의 후방에 위치하는 운전자와의 사이의 공간 치수가 커진다.
따라서, 상기 공간 치수가 커지는 만큼 상기 스티어링 휠(24)로의 운전자의 2차충돌시, 상기 스티어링 휠(24)로부터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충격력은 완화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브래킷(27)에 그 전방에서 소정값 이상의 외력이 전해졌을 때, 상기 브래킷(27)의 후단부를 상기 차체(2)에서 탈락시키도록 촉진하는 탈락촉진수단(50)을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자동차(1)의 1차충돌이 더 진행되어, 차체(2)의 앞부분이 더 후방 이동(B)하도록 변형될 때에는 도 2, 도 3중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탈락촉진수단(50)에 의해 상기 차체(2)의 차체 프레임(3)의 다른 크로스부재(11)로부터 상기 브래킷(27)의 후단부가 아래쪽을 향해 탈락되고, 상기 후부 프레임(38)의 수평 프레임(40)은 신속히 하강되고, 또 이와 함께 이 후부 프레임(38)의 수평 프레임(40)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연동 기어장치(28)도 신속히 하강된다.
그러면, 상기 연동 기어장치(28)와 연동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는 상기 스티어링 휠(24)과 함께 내려가(도 2, 도 3 중 일점쇄선), 상기 스티어링 휠(24)과 상기 스티어링 휠(24)의 후방에 위치하는 운전자와의 사이의 공간 치수가 더 커진다.
따라서, 상기 공간 치수가 더 커지는 만큼 상기 스티어링 휠(24)로의 운전자의 2차 충돌시, 상기 스티어링 휠(24)로부터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충격력은 보다 확실히 완화된다.
또, 이상은 도시한 예에 의한 것이지만, 상기 탈락촉진수단(50)은 상기 브래킷(27)의 후단부의 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이 후단부를 용이하게 파단시키도록 작용하는 절개부라도 좋다.

Claims (3)

  1. 차실(4)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축심(21) 둘레에 회동 자유로워지도록 차체(2)에 지지되어 그 상단부에 스티어링 휠(24)을 지지하는 스티어링 샤프트(23)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의 하단부 보다도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차체(2)에 지지되어 좌우 조향용 바퀴와 연동 연결되는 스티어링 기어장치(26)와,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26)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2)에 브래킷(27)을 통해 지지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의 하단부에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26)를 연동 연결시키는 연동 기어장치(28)를 구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7)이 이 브래킷(27)의 앞 부분을 구성하고 그 전단부가 상기 차체(2)에 지지되어 후부측이 후방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전부 프레임(36)과, 상기 브래킷(27)의 뒷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전부 프레임(36)의 후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그 후단부가 상기 차체(2)에 지지되는 후부 프레임(38)을 구비하고, 상기 후부 프레임(38)에 상기 연동 기어장치(28)를 지지시키고,
    상기 연동 기어장치(28)가 그 외각을 구성하고 상기 후부 프레임(38)에 지지되는 기어 케이스(43)와, 상기 기어 케이스(4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3)의 하단부에 연동 연결되는 입력 기어(44)와, 상기 기어 케이스(4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입력 기어(44)와 서로 끼워 맞추는 출력 기어(45)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기어(45)에 상기 스티어링 기어장치(26)를 연동 연결시키는 자재 이음매축(32)을 구비하고,
    차체(2)의 측면으로 봐서 상기 출력 기어(45)와 자재 이음매축(32)의 각 축심(47, 48)을 골 형상으로 교차시키고, 또 상기 자재 이음매축(32)을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력 완화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7)에 그 전방으로부터 소정값 이상의 외력이 전해졌을 때, 상기 브래킷(27)의 후단부를 상기 차체(2)에서 탈락시키도록 촉진하는 탈락촉진수단(5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력 완화구조체.
KR1020047007115A 2002-02-07 2003-01-30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력 완화구조체 KR100589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31447A JP3992507B2 (ja) 2002-02-07 2002-02-07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衝撃力緩和構造
JPJP-P-2002-00031447 2002-02-07
PCT/JP2003/000942 WO2003066412A1 (fr) 2002-02-07 2003-01-30 Structure pour reduire la force de l'impact dans un dispositif de direction d'un vehic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628A KR20040072628A (ko) 2004-08-18
KR100589827B1 true KR100589827B1 (ko) 2006-06-14

Family

ID=2767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115A KR100589827B1 (ko) 2002-02-07 2003-01-30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력 완화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66492B2 (ko)
JP (1) JP3992507B2 (ko)
KR (1) KR100589827B1 (ko)
CN (1) CN1299942C (ko)
AU (1) AU2003244458A1 (ko)
WO (1) WO2003066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7930A1 (de) * 2003-12-11 2005-07-14 Daimlerchrysler Ag Fahrerhaus-Tragstruktur für ein Nutzfahrzeug mit einer Sicherheitszelle
JP4621458B2 (ja) * 2004-09-02 2011-01-26 日産ライトトラック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JP4231473B2 (ja) * 2004-10-19 2009-0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取付構造
JP4779471B2 (ja) * 2004-10-27 2011-09-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CN100453381C (zh) * 2004-10-27 2009-01-21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前部结构
JP4893239B2 (ja) * 2006-03-07 2012-03-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JP4971810B2 (ja) * 2007-01-24 2012-07-1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支持部構造
JP2009096288A (ja) * 2007-10-16 2009-05-07 Mazda Motor Corp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5578418B2 (ja) * 2010-06-09 2014-08-2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構造
KR20120006163A (ko) * 2010-07-12 2012-01-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컬럼의 틸트 힌지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DE102011050683A1 (de) * 2011-05-27 2012-11-29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ellschaft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JP5776627B2 (ja) * 2011-08-23 2015-09-09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及び支持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JP5970356B2 (ja) * 2012-11-30 2016-08-1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取付け構造
FR3039490B1 (fr) * 2015-07-31 2018-12-07 Jtekt Europe Joint de tablier pour l'accouplement d'un dispositif de direction assistee au tablier d'un vehicule
GB201604976D0 (en) * 2016-03-23 2016-05-04 Trw Das A S A steering column assembly
DE102020200805A1 (de) * 2020-01-23 2021-07-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Cockpit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9451A (ko) 1972-04-04 1973-12-15
JPS5047132U (ko) * 1973-08-27 1975-05-10
JPS57171964A (en) 1981-04-15 1982-10-22 Teijin Ltd 7-oxoprostaglandin e1 compound and blood platelet coagulation inhibiting agent containing said compound as active component
JPH0234938A (ja) 1988-07-25 1990-02-05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
JPH03124983U (ko) * 1990-03-30 1991-12-18
JPH0446866A (ja) 1990-06-13 1992-02-17 Mazd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装置
JPH06263041A (ja) 1993-03-15 1994-09-20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構造
GB2282433A (en) * 1993-10-04 1995-04-05 Torrington Co Shaft coupling for a vehicle steering column
JP3188946B2 (ja) 1994-12-02 2001-07-1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ギヤ支持構造
JP3526004B2 (ja) 1998-02-02 2004-05-1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引込み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6896290B2 (en) * 2002-03-14 2005-05-24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sellschaft Steering gear shaft for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9942C (zh) 2007-02-14
WO2003066412A1 (fr) 2003-08-14
US20040262904A1 (en) 2004-12-30
AU2003244458A1 (en) 2003-09-02
JP3992507B2 (ja) 2007-10-17
US7066492B2 (en) 2006-06-27
KR20040072628A (ko) 2004-08-18
JP2003231473A (ja) 2003-08-19
CN1592694A (zh)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827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력 완화구조체
US9150252B2 (en) Front-end structure for vehicle
CN101722993B (zh) 车身前部结构
JP5329575B2 (ja) 車両の車体前部
WO2013094190A1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US8196696B2 (en) Vehicle frame structure and vehicle incorporating same
EP1183177B1 (en) Symmetrical dash reinforcement
JPH09286354A (ja) 小型車両の車体フレーム装置
JP4346313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466572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の支持構造
EP1767420B1 (en) Anti-intrusion pedal system
JP5460684B2 (ja) 車体前部
JP4556320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3031642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725352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3363954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2010167818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5321081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2003118640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5557867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7191061A (ja) 車体前部構造
JP2522798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JP7395875B2 (ja) 車両の前部構造
US11142258B2 (en) Cabin front wall structure of vehicle
JPS6036523Y2 (ja) 自動車の運転室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