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707B1 - 스위칭 레귤레이터, 디씨/디씨 변환기, 및 스위칭레귤레이터를 구비한 엘에스아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위칭 레귤레이터, 디씨/디씨 변환기, 및 스위칭레귤레이터를 구비한 엘에스아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707B1
KR100588707B1 KR1020007011739A KR20007011739A KR100588707B1 KR 100588707 B1 KR100588707 B1 KR 100588707B1 KR 1020007011739 A KR1020007011739 A KR 1020007011739A KR 20007011739 A KR20007011739 A KR 20007011739A KR 100588707 B1 KR100588707 B1 KR 10058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tential
switching regulator
turned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2921A (ko
Inventor
가지와라쥰
사키야마시로
기노시타마사요시
사토미가츠지
오오타니가츠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2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comprising at least one synchronous rectifier el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Abstract

동기정류방식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전원(Vdd)과 접지(Vss)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와, 스위치(SW1, SW2)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1)와, 출력 노드 전위(Vnd)를 평활화시키는 평활회로(4)를 구비한다. 제어회로(10)는 제 1 스위치(SW1)를 온시키는 사이에, 돌입전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 1 기준전위(Vr1)를 출력 노드 전위(Vnd)가 밑돈 것을 신호(Sc1)가 나타냈을 때, 제 1 스위치(SW1)를 오프 상태로 한다. 즉 제 1 스위치(SW1)의 온 저항에 따른 전압 강하를 이용하여 돌입전류의 검지를 실시하므로, 돌입전류 검지를 위한 저항소자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스위칭 레귤레이터, 디씨/디씨 변환기, 및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비한 엘에스아이 시스템{SWITCHING REGULATOR, DC/DC CONVERTER, AND LSI SYSTEM WITH SWITCHING REGULATOR}
본 발명은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전원 투입 시, 이른바 초기동작 시의 돌입전류, 또는 출력전압 평활용 용량의 단락 고장 시 등에 생기는 과잉전류를 검지하여 억제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 전원전압을 다른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돌입전류나 과잉전류의 억제가 큰 과제의 하나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돌입전류라는 것은 전원 투입 시와 같은 초기동작 시에서, 전원에 접속된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 출력전압 평활용 용량을 충전시키기 위하여 급격히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또한 과잉전류라는 것은 출력전압 평활용 용량이 단락 고장을 일으켰을 경우 등에 있어서, 전원에 접속된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전원으로부터 부하를 향하여 지나치게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이 돌입전류 및 과잉전류를 억제하지 않으면, 평활회로 내의 인덕터로 흐르는 전류가 그 최대 정격값을 초과해 버려 성능 열화, 경우에 따라서는 파손이 생길 우려가 있다. 여기서 본원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오해가 생기지 않을 때는 돌입전류 및 과잉전류를 총칭하여 돌입전류로 칭하기로 한다.
돌입전류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회로구성이 제안되었다.
도 11은 종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돌입전류 검지회로(50)는 돌입전류 검지용 저항소자(51)를 갖고, 돌입전류 검출기(52)는 이 저항소자(51)의 양단 전압에 의하여 돌입전류의 유무를 검지한다. 돌입전류 검출기(52)는, 정상(定常)동작 시에는 온 저항이 작은 스위칭 소자(53)를 온 상태로 하는 한편, 돌입전류를 검지하였을 때는 스위칭 소자(53)를 오프 상태로 하여 돌입전류 억제용 저항 소자(54)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돌입전류 억제용 저항 소자(54)는 저항값이 큰 저항기나, 과열에 반응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온도 퓨즈 저항기 등으로 구성된다(일특개평 9-121546호 공보 참조).
도 12는 종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구성의 다른 예로서, 초기동작에서 톱니파에 의한 스위칭 펄스폭 가변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선택기(56)는 절환 제어회로(57)의 지시에 따라 초기동작 시에는 톱니파를, 통상동작 시에는 기준전위를 선택 출력한다. 이로써 초기동작 시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반은 톱니파와 출력전압(Vout)의 비교에 따라, p형 MOS 트랜지스터 스위치(SW1) 온 신호의 펄스폭이 짧아지고, 출력전압(Vout)이 상승함에 따라 서서히 그 펄스폭이 길어진다. 그 결과 초기동작 시의 돌입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4도 도 12와 마찬가지로 초기동작 시의 돌입전류를 톱니파를 이용하여 억제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구성에서는 초기동작 시는 순환경로(1)를 사용하고, 정상동작 시는 순환경로(2)를 사 용하여 스위칭 소자(61, 62)의 온 오프를 제어한다. 그리고 톱니파 발생회로(63)에 의하여 톱니파(STW)를 발생시키고 스위칭 온/오프 듀티를 서서히 바꾸면서 초기화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초기동작 시의 돌입전류를 억제한다(일특개평 5-56636호 공보 참조).
- 해결과제 -
그러나 종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도 11과 같이 돌입전류 억제회로를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전력변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도 11의 구성에서는 전원으로부터의 전류 패스에 돌입전류 검지용 저항소자(51)를 삽입시키므로, 이 저항소자(51)에 따라 저항 손실이 생기고, 그 만큼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전력변환 효율이 열화되어 버린다.
또한 도 12 및 도 14와 같이 톱니파를 이용하여 초기동작을 실행하는 구성에서는, 초기동작에서의 돌입전류는 억제할 수 있어도 정상동작에서의 과잉전류를 검지 억제할 수는 없다. 또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더욱이 회로구성 상, 초기동작과 정상동작을 구별하는 신호를 생성할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은 스위칭 레귤레이터로서 높은 전력변환 효율을 유지하면서 돌입전류 및 과잉전류를 억제하고, 초기화에 요하는 시간을 종래보다 단축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기정류방식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로서, 제 1 전위를 공급하는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위보다 낮은 제 2 전위를 공급하는 제 2 전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전원 측으로부터 순차 직렬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 사이의 출력 노드 전위를 평활화시키는 평활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 경우에서, 상기 출력 노드 전위가 돌입전류 또는 과잉전류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 1 기준전위를 밑돌 때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스위치가 온 상태의 경우에서 출력 노드 전위가 제 1 기준전위보다 밑돌 때, 돌입전류 또는 과잉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된다. 즉 돌입전류 또는 과잉전류의 발생이, 제 1 스위치의 온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를 이용하여 검지되고, 검지되었을 때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돌입전류 또는 과잉전류를 차단한다. 이 때문에 돌입전류 또는 과잉전류의 검지를, 검지용 저항소자를 별도 설치하지 않고, 즉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전력변환 효율의 열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초기동작에서 정상시와 다른 제어가 필요 없고 초기동작에서의 돌입전류도 정상동작에서의 과잉전류도 마찬가지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기준전위를 생성하는 제 1 기준전위 생성회로와, 상기 제 1 기준전위 생성회로에 의하여 생성된 제 1 기준전위와 상기 출력 노드 전위를 비교하는 제 1 전위 비교기와, 상기 제 1 전위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유효로 하는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유효 기간 설정회로를 구비하고, 또 상기 유효기간 설정회로에 의하여 설정된 유효기간에서 상기 제 1 전위 비교기에 의하여 상기 출력 노드 전위가 상기 제 1 기준전위를 밑도는 것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유효기간 설정회로는 유효기간의 개시 시기를 상기 제 1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된 후, 소정 기간을 경과한 시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한 다음에 온 상태로 하기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제 2 스위치를 소정 기간 온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는 사이에 제 2 스위치를 소정 기간 온 상태로 함으로써, 제 2 전원으로부터 평활회로를 향하여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동작에 있어서 평활회로의 출력전압을 소정의 설정 전압까지 인상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 즉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기간은, 일정 기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기간은, 상기 평활회로의 출력전압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2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출력 노드 전위가 상기 제 2 스위치의 온 기간 종료 시기를 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제 2 기준전위를 웃돌 때는, 상기 제 2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와, 상기 스위칭 레 귤레이터로부터 공급된 전압에 의하여 동작하는 LSI 코어부를 구비한 LSI 시스템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DC/DC 변환기로서, 제 1 전위를 공급하는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위보다 낮은 제 2 전위를 공급하는 제 2 전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전원 측으로부터 순차 직렬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출력 노드 전위가 돌입전류 또는 과잉전류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 1 기준전위를 밑돌 때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초기동작에서의 인덕터 전류(IL)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도면이고 (b)는 종래의 구성에 관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스위칭 레귤레이터 제어회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유효 기간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제어회로에서 온 기간 설정회로의 다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변형형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의 스위칭 레귤레이터 제어회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LSI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종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초기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종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 회로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에서 SW1은 p형 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제 1 스위치, SW2는 n형 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제 2 스위치이고,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는 제 1 전위로서의 전원전위(Vdd)를 공급하는 제 1 전원(이하'전원(Vdd)'으로 표기)과, 제 2 전위로서의 접지전위(Vss)를 공급하는 제 2 전원(이하'전원(Vss)'으로 표기) 사이에 직렬로 설치된다. 3은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가 모두 오프 상태일 때 전원(Vss)으로부터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다이오드이고, 4는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 사이의 출력 노드 전위(Vnd)를 평활화하는 평활회로이다. 평활회로(4)는 인덕터(5)와 출력전압 평활용 용량(6)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구형파(矩形波)로 된 전위(Vnd)를 일정 전압으로 평활화한다. 평활회로(4)에 의하여 평활화된 전압은 출력전압(Vout)으로서 출력 부하(7)로 공급된다.
또한 10은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의 스위칭 동작을 제 1 및 제 2 스위칭 신호(Sp, Sn)에 의하여 제어하는 제어회로, 11은 돌입전류 검지를 위한 기준이 되는 제 1 기준전위(Vr1)를 생성하는 제 1 기준전위 생성회로, 12는 제 1 기준전위 생성회로(11)에 의하여 생성된 제 1 기준전위(Vr1)와 출력 노드 전위(Vnd)를 비교하는 제 1 전위 비교기이다. 제어회로(10)와 제 1 기준전위 생성회로(11) 및 제 1 전위 비교기(12)에 의하여 스위치 제어부(1)가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와 스위치 제어부(1) 및 다이오드(3), 평활회로(4)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제 1 스위치(SW1)의 온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를 이용하여 돌입전류의 발생 유무를 검지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제어회로(10)는 출력전압(Vout)과, 참조전압 생성회로(9)에 의하여 생성된 참조전압(Vref)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신호(Sdt)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 1 전위 비교기(12)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판정신호(Sc1)에 기초하여 돌입전류 억제를 위한 제어를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초기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초기동작 전은, 출력전압 평활용 용량(6)이 충전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먼저 제어회로(10)는 제 1 스위칭 신호(Sp)를 'L'로 하여 제 1 스위치(SW1)를 온 상태로 한다(도 2의 A). 이로써 전원(Vdd)으로부터 평활회로(4)를 향하여 전류가 흘러, 용량(6)의 충전이 개시된다. 이 때 돌입전류가 발생한다(도 2의 B). 돌입전류는 전원(Vdd)으로부터 제 1 스위치(SW1)를 거쳐 흐르기 때문에, 출력 노드 전위(Vnd)는 제 1 스위치(SW1)의 온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Vdd)으로부터 출력 노드까지의 전 저항성분(Rp)에 의하여 전원전위(Vdd)부터 다음 수학식 1로 나타나는 전압(Vdrop)만큼 강하한다(도 2의 C). 여기서 I는 돌입전류의 전류값이다.
Vdrop=Rp×I
그래서 설정된 유효기간(상세는 후술) 내에,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제 1 기준전위(Vrf)를 밑돈 것을 제 1 판정신호(Sc1)가 나타낼 때, 즉 'H'로 되었을 때, 제어회로(10)는 돌입전류가 설정 제한값을 초과한 것으로 하여 제 1 스위치(SW1)를 강제적으로 오프 상태로 한다.
이 때문에 출력 노드 전위(Vnd)는 급격히 접지전위(Vss) 이하까지 강하하여(도 2의 D), 다이오드(3)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이번에는 전원(Vss)으로부터 평활회로(4)를 향하여 전류가 흐른다. 이 때 다이오드(3)에서의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제어회로(10)는 제 2 스위치(SW2)를 소정 기간 온 상태로 한다(도 2의 E). 이로써 인덕터(5)로 흐르는 전류(IL)는 감소해 간다. 그리고 제어회로(10)는 제 2 스위치(SW2)를 오프 상태로 한 후, 다시 제 1 스위치(SW1)를 온 상태로 한다(도 2의 F).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기간 내에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제 1 기준 전위(Vr1)를 밑돈 것을 제 1 판정신호(Sc1)가 나타낼 때(도 2의 G) 즉 'H'로 되었을 때, 다시 제 1 스위치(SW1)를 오프 상태로 한 후, 제 2 스위치(SW2)를 소정 기간동안 온 상태로 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돌입전류를 억제하면서 초기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정상동작 시는 다음과 같이 동작을 한다. 출력전압(Vout)과 참조전압(Vref)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신호(Sdt)가 제어회로(10)로 피드백되어, 제어회로(10)는 PWM 제어방식에 따라 제 1 스위치(SW1)와 제 2 스위치(SW2)를 번갈아 온 오프 한다. 이로써 출력전압(Vout)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에도 제어회로(10)는, 유효기간 내에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제 1 기준전위(Vr1)를 밑돈 것을 제 1 판정신호(Sc1)가 나타낼 때는, 제 1 스위치(SW1)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과잉전류를 억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저항소자를 새로 설치하는 일없이 돌입전류를 검지 억제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전력변환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여,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도 3은 초기동작에서 인덕터 전류(IL)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본 실시형태, (b)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톱니파를 이용한 종래의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덕터(5)에 거의 설정 상한값인 전류(IL)를 보내면서 초기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은, 출력전압 평활용 용량(6)을 충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하량(도 3의 사선부분의 면적에 상당)을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이므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여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은 대폭 단축된다.
도 4는 제어회로(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21은 제 1 판정신호(Sc1)를 유효로 하는 유효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유효기간 설정회로이고, 23은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온 기간 설정회로이다.
통상동작 시, 온 기간 설정회로(23)의 출력신호는 'L'인 채이며, OR 게이트(26)의 출력신호는 제어신호(Sdt)와 동일하게 된다. 즉 제어회로(10)는 돌입전류가 발생하지 않을 때, 제어신호(Sdt)에 따라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유효기간 설정회로(21)로부터 출력되는 유효기간 신호(Sv1)는 NOR 게이트(21a)의 입력이 모두 'L'일 때만 'H'로 된다. 즉 유효기간 신호(Sv1)는 제 1 스위칭 신호(Sp)가 'L'로 된 다음에 인버터(21b)의 신호 전파시간만큼 지연되어 'H'로 되고, 제 1 스위칭 신호(Sp)가 'H'로 되면 'L'로 된다. 유효기간 신호(Sv1)가 'H'인 기간이 유효기간으로 된다. 신호(Sv1)가 'H'인 사이에 제어신호(Sc1)가 'H'로 되면, AND 게이트(22)의 출력이 'H'로 된다. 온 기간 설정회로(23)는 AND 게이트(22)의 출력이 'H'로 되면, 카운터(25)에 의하여 설정된 일정 기간동안 출력을 'H'로 한다. 이로써 제어신호(Sdt)의 논리 레벨에 상관없이 OR 게이트(26)의 출력신호는 일정 기간 'H'로 되고, 이에 따라 제 2 스위치(SW2)가 일정 기간 온 상태로 된다.
(유효기간 설정)
도 5는 도 1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1 판정신호(Sc1)를 유효로 하는 유효기간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1)과 (2)는 돌입전류가 발생하였을 때의 전압과 신호의 파형이고, (3)은 돌입전류가 발생하지 않을 때의 전압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먼저 (1)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회로(10)는 제 1 스위칭 신호(Sp)를 'L'로 하여 제 1 스위치(SW1)를 온 상태로 한다(도 5의 H). 이로써 출력 노드 전위(Vnd)는 전원전위(Vdd)까지 상승하는데, 그 과정에서 제 1 기준전위(Vr1)를 초과하여(도 5의 I) 제 1 판정신호(Sc1)가 'L'로 된다. 한편 제 1 스위칭 신호(Sp)의 지연신호(Sp-delay)는, 2개 인버터(21b)의 신호 전파시간만큼 지연되어 'L'로 된다(도 5의 J). 이 때문에 유효기간 신호(Sve)는 제 1 스위칭 신호(Sp)가 'L'로 된 다음에, 2개 인버터(21b)의 신호 전파시간에 상당하는 지연시간을 두고 'H'로 된다.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제 1 기준전위(Vr1)를 초과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은, 부하 전류값이나 용량(6)의 충전상태, 즉 출력전압(Vout)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유효기간 신호(Sve)의 지연시간은, 출력 노드 전위(Vnd)가 유효기간 개시 시기까지 확실하게 제 1 기준전위(Vr1)를 초과할 정도로, 충분히 길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유효기간 신호(Sve)가 'H'인 사이(도 5의 K)에 돌입전류가 흘러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제 1 기준전위(Vr1)를 밑돌면(도 5의 L), 제 1 판정신호(Sc1)는 'H'로 되고(도 5의 M), 제어회로(10)는 제 1 스위칭 신호(Sp)를 강제적으로 'H'로 하여 제 1 스위치(SW1)를 오프 상태로 한다(도 5의 N). 유효기간 신호(Sve)는 제 1 스 위치(SW1)가 오프 상태로 됨에 따라 곧 'L'로 되어 유효기간이 종료한다.
다음으로 (2)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회로(10)는 제 1 스위칭 신호(Sp)를 'L'로 하여 제 1 스위치(SW1)를 온 상태로 한다(도 5의 O). 이로써 출력 노드 전위(Vnd)가 상승하지만, 이미 돌입전류 또는 과잉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출력 노드 전위(Vnd)는 제 1 기준전위(Vr1)까지 달하지 않는다(도 5의 P). 이 때 제어회로(10)는, 유효기간 신호(Sve)가 'H'로 되었을 때(도 5의 Q) 제 1 판정신호(Sc1)가 'H'인 채이므로(도 5의 R), 즉시 제 1 스위치(SW1)를 오프 상태로 한다. 이 경우 제 1 스위치(SW1)는 제 1 스위칭 신호(Sp)가 'L'로 된 다음에 2개 인버터(21b)의 신호 전파시간만큼 온 상태로 되므로, 이 사이에 흘러 버리는 돌입전류를 고려하여, 제 1 기준전위(Vr1)는 여유분을 주어 설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3)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2)와 마찬가지로, 제어회로(10)는 제 1 스위칭 신호(Sp)를 'L'로 하여 제 1 스위치(SW1)를 온 상태로 한다(도 5의 T). 이로써 출력 노드 전위(Vnd)는 전원전위(Vdd)까지 상승한다. 그 과정에서 출력 노드 전위(Vnd)는 제 1 기준전위(Vr1)를 초과하여 판정신호(Sc1)는 'L'로 된다. 그 후 유효기간 신호(Sve)가 'H'로 된다(도 5의 U). 그러나 돌입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통상동작 시는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제 1 기준전위(Vr1)까지 저하하지 않으므로(도 5의 V), 제 1 판정신호(Sc1)는 'L'인 채이다. 그리고 제어회로(10)는 제어신호(Sdt)에 따라 제 1 스위칭 신호(Sp)를 'H'로 하여 제 1 스위치(SW1)를 오프 상태로 한다(도 5의 W). 이에 따라 유효기간 신호(Sve)도 즉시 'L'로 된다. 그 후, 바로 제 1 판정신호(Sc1)가 'H'로 되어도(도 5의 X), 유효 기간 신호(Sve)가 'L'이므로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통상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즉 유효기간을 설치함으로써, 초기동작에서의 돌입전류와 통상동작에서의 과잉전류 양쪽을 검지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 설정)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이 지나치게 긴 경우에는 인덕터(5)로 흐르는 전류(IL)는 서서히 작아져, 나아가서는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 때문에 출력 전압(Vout)이 좀처럼 상승하지 않아,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
한편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이 지나치게 짧은 경우에는, 다음에 제 1 스위치(SW1)가 온 하였을 때 인덕터(5)로 흐르는 전류(IL)는 충분히 크므로, 도 5의 (2)와 같이 제 1 스위치(SW1)를 즉시 오프 상태로 해야 되고, 이 온 기간에 흐르는 돌입전류를 고려한 여유분을 제 1 기준전위(Vr1)에 대하여 충분히 취해야 된다. 또 다음 제 1 스위치(SW1)의 온 기간도 짧아지므로 결과적으로 스위칭 주기가 빨라져, 이에 따른 충방전 손실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은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이나 효율에 대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 설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제 2 스위치(SW2)가 온인 기간에 인덕터(5)를 흐르는 전류(IL)의 감소 정도는, 인덕터(5)의 양단 전압, 즉 출력 노드 전위(Vnd)와 출력전압(Vout)의 차이(거의 출력전압(Vout)에 상당)에 의존한다. 따라서 출력전압(Vout)이 낮은 경우에서, 인덕터(5)로 흐르는 전류(IL)가 충분히 하강하는 일정 기간을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으로 설정한다. 즉 제 1 스위치(SW1)가 다음에 온 상태로 되었을 때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제 1 기준전위(Vr1)를 초과할 수 있는 값까지, 인덕터(5)로 흐르는 전류(IL)의 양을 충분히 내리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은, 출력전압(Vout)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하여도 된다.
제 2 스위치(SW2)가 온 상태일 때 인덕터(5)로 흐르는 전류(IL)의 감소 정도는 출력전압(Vout)이 낮을 때는 작고 출력전압(Vout)이 높을 때는 크다. 이 사실을 고려하면, 초기동작에서 출력전압(Vout)이 낮을 때는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을 길게 설정해 두고, 출력전압(Vout)이 상승함에 따라 서서히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초기동작 당초의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은, 상술한 기간으로 설정하면 된다.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을 이와 같이 출력전압(Vout)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함으로써,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온 기간 설정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온 기간 설정회로(23A)에서는 4개의 카운터(25a~25d)를 설치하고, 각 카운터(25a~25d)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4, 3, 2, 1㎲와 같이 4종류의 온 기간이 설정 가능하다. 신호(A, B)의 값은 출력전압(Vout)에 따라, 예를 들어 표 1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
Figure 112000022148393-pct00001
(실시형태의 변형형태)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변형형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도 1과 마찬가지 구성요소에는 도 1과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7에서는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 종료 시기를 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 2 기준전위(Vr2)를 생성하는 제 2 기준전위 생성회로(13)와, 출력 노드 전위(Vnd)와 제 2 기준전위(Vr2)를 비교하는 제 2 전위 비교회로(14)를 구비한다. 제어회로(10A)와, 제 1 및 제 2 기준전위 생성회로(11, 13) 그리고 제 1 및 제 2 전위 비교회로(12, 14)에 의하여 스위치 제어부(2)가 구성된다.
본 변형형태의 특징은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을 미리 소정의 기간으로 설정하는 대신,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제 2 기준전위(Vr2)에 달하기까지 제 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하는 것이다. 제어회로(10A)는 기본적으로 출력전압(Vout)과, 참조전압 생성회로(9)에 의하여 생성된 참조전압(Vref)과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신호(Sdt)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 1 전위 비교기(12)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판정신호(Sc1)에 기초하여 돌입전류 억제를 위한 제어를 실시하는 동시에, 제 2 전위 비교기(14)로부 터 출력되는 제 2 판정신호(Sc2)에 기초하여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 종료 시기를 설정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동작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돌입전류 또는 과잉 전류가 흘러, 유효기간 내에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제 1 기준전위(Vr1)를 밑돌면(도 8의 A), 제어회로(10A)는 제 1 판정신호(Sc1)의 'H'를 검지하여 제 1 스위칭 신호(Sp)를 'H'로 하여 제 1 스위치(SW1)를 오프 상태로 한다(도 8의 B). 그 후 제어회로(10A)는 제 2 스위칭 신호(Sn)를 'H'로 하여 제 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하는데, 그 온 기간은 미리 설정되지는 않는다.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제 2 기준전위(Vr2)를 웃돌면(도 8의 C), 제 2 판정신호(Sc2)는 'H'로 되고 제어회로(10A)는 제 2 판정신호(Sc2)의 'H'를 검지하여 제 2 스위칭 신호(Sn)를 'L'로 하고, 제 2 스위치(SW2)를 오프 상태로 한다(도 8의 D).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초기동작을 신속히 실행하기 위해서는,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은 출력 노드 전위(Vnd)가 접지전위(Vss)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될 수 있는 대로 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변형형태와 같이 제 2 스위치(SW2)의 온 기간 종료 시기를 출력 노드 전위(Vnd)와 제 2 기준전위(Vr2)의 비교에 따라 정함으로써, 돌입전류를 억제하면서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변형형태에서도, 초기동작 시와 정상동작 시 양쪽에서 돌입전류 또는 과잉전류를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도 7의 제어회로(10A)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도 1의 제어회로(10)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도 4와 마찬가지 구성요소에는 도 4와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9에서는 도 4의 온 기간 설정회로(23) 대신, 제 2 판정신호(Sc2)와, NAND 게이트(22)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2입력 NAND 게이트(2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 또는 변형형태에서 제 1 기준전위(Vr1)의 설정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된다. 이로써 평활회로(4)의 인덕터(5) 선택폭을 넓히거나 시스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2 기준전위(Vr2)의 설정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LSI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LSI(30)는 LSI 코어부(31)와 DC/DC 변환기(32)를 구비하며, 외장부품으로서 다이오드(3) 및 평활회로(4)를 구비한다. 33a~33c는 LSI(30)의 패드이다. DC/DC 변환기(32)는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 또는 변형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와 스위치 제어부(1 또는 2)를 구비한 것으로, DC/DC 변환기(32)와 다이오드(3) 및 평활회로(4)에 의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구성된다. DC/DC 변환기(32)는 패드(33a, 33b)로 공급된 전원전위(Vdd, Vss)를, 상기 실시형태 또는 변형형태에 관한 동작에 의하여 전압(Vnd)으로 변환시켜 패드(33c)로 출력한다. 평활회로(4)는 DC/DC 변환기(32)의 출력전압(Vnd)을 평활화하여 전압(Vout)으로서 출력한다. 평활회로(4)의 출력전압(Vout)은 LSI 코어부(31)의 내부 전원전압으로서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스위치의 온 저항에 따른 전압 강하를 이용하여 돌입전류의 발생이 검지되므로, 검지용 저항소자를 별도 설치하지 않고, 즉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전력변환 효율의 열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돌입전류의 검지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초기동작에 있어서 정상시와 다른 제어가 필요 없으므로, 정상동작에서의 과잉전류도 초기동작에서의 돌입전류와 마찬가지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는 사이에 제 2 스위치를 소정 기간 온 상태로 함으로써,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9)

  1. 동기정류방식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로서,
    제 1 전위를 공급하는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위보다 낮은 제 2 전위를 공급하는 제 2 전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전원 측으로부터 순차 직렬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 사이의 출력 노드 전위를 평활화시키는 평활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 경우에서, 상기 출력 노드 전위가 돌입전류 또는 과잉전류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 1 기준전위를 밑돌 때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2. 청구항 1 기재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기준전위를 생성하는 제 1 기준전위 생성회로와,
    상기 제 1 기준전위 생성회로에 의하여 생성된 제 1 기준전위와, 상기 출력 노드 전위를 비교하는 제 1 전위 비교기와,
    상기 제 1 전위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유효로 하는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유효기간 설정회로를 구비하고, 또,
    상기 유효기간 설정회로에 의하여 설정된 유효기간에서 상기 제 1 전위 비교기에 의하여 상기 출력 노드 전위가 상기 제 1 기준전위를 밑돈 것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3. 청구항 2 기재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유효기간 설정회로는,
    유효기간의 개시 시기를 상기 제 1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된 후, 소정 기간을 경과한 시기로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4. 청구항 1 기재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한 다음에, 온 상태로 하기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제 2 스위치를 소정 기간 온 상태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5. 청구항 4 기재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기간은, 일정 기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6. 청구항 4 기재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기간은, 상기 평활회로의 출력전압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7. 청구항 4 기재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2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 경우에서, 상기 출력 노드 전위가 상기 제 2 스위치의 온 기간 종료 시기를 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 2 기준전위를 웃돌 때는 상기 제 2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8. 청구항 1 기재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와,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로부터 공급된 전압에 의하여 동작하는 LSI 코어부를 구비한 LSI 시스템.
  9. 제 1 전위를 공급하는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위보다 낮은 제 2 전위를 공급하는 제 2 전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전원 측으로부터 순차 직렬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출력 노드 전위가 돌입전류 또는 과잉전류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 1 기준전위를 밑돌 때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변환기.
KR1020007011739A 1999-02-23 2000-02-23 스위칭 레귤레이터, 디씨/디씨 변환기, 및 스위칭레귤레이터를 구비한 엘에스아이 시스템 KR100588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415999A JP3389524B2 (ja) 1999-02-23 1999-02-23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dc/dc変換器、および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を備えたlsiシステム
JP???11-44159 1999-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921A KR20010042921A (ko) 2001-05-25
KR100588707B1 true KR100588707B1 (ko) 2006-06-13

Family

ID=1268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739A KR100588707B1 (ko) 1999-02-23 2000-02-23 스위칭 레귤레이터, 디씨/디씨 변환기, 및 스위칭레귤레이터를 구비한 엘에스아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07360B1 (ko)
EP (2) EP1079507A4 (ko)
JP (1) JP3389524B2 (ko)
KR (1) KR100588707B1 (ko)
CN (1) CN1198376C (ko)
WO (1) WO2000051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1178A (en) * 1993-03-23 1996-01-02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maintaining high efficiency over broad current ranges in a switching regulator circuit
JP4286541B2 (ja) * 2001-02-06 2009-07-01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切替え型fet回路
WO2002063752A2 (en) * 2001-02-06 2002-08-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nchronous dc-dc converter
JP2002312043A (ja) * 2001-04-10 2002-10-25 Ricoh Co Ltd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6657419B2 (en) * 2001-11-19 2003-12-02 Solarmate Corporation Micro-solar insolation circuit
US6791306B2 (en) * 2002-01-29 2004-09-14 Intersil Americas Inc. Synthetic ripple regulator
EP1333562A1 (en) * 2002-02-05 2003-08-06 Magnetek S.p.A. Converter with output current reading circuit
ITMI20021539A1 (it) * 2002-07-12 2004-01-12 St Microelectronics Srl Controllore digitale per convertitori dc-dc a commutazione
US7019502B2 (en) * 2002-09-06 2006-03-28 Intersil America's Inc. Synchronization of multiphase synthetic ripple voltage regulator
DE10339025B4 (de) * 2002-09-13 2013-08-14 Fuji Electric Co., Ltd. Stromversorgungssystem
EP1647087B1 (de) * 2003-08-27 2007-02-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teuerungs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ladeschalters in einem schaltregler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ladeschalters
JP4412535B2 (ja) * 2003-11-14 2010-02-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同期整流方式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制御回路及びこれを含む半導体集積回路
US7355830B2 (en) 2003-11-21 2008-04-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JP4685009B2 (ja) * 2004-03-24 2011-05-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KR20050116450A (ko) * 2004-06-07 2005-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변환장치 및 방법
EP1608053A1 (en) 2004-06-14 2005-12-21 Dialog Semiconductor GmbH Analog current sense circuit
JP4578889B2 (ja) * 2004-08-16 2010-11-10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145315B2 (en) * 2004-09-21 2006-12-05 Broadcom Corporation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in a switch regulator
US20060132105A1 (en) * 2004-12-16 2006-06-22 Prasad Atluri R Controlling inrush current
JP4825632B2 (ja) 2006-09-29 2011-1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TWI325137B (en) * 2006-12-15 2010-05-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Output signal dr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8427113B2 (en) * 2007-08-01 2013-04-23 Intersil Americas LLC Voltage converter with combined buck converter and capacitive voltage divider
US20090033293A1 (en) * 2007-08-01 2009-02-05 Intersil Americas Inc. Voltage converter with combined capacitive voltage divider, buck converter and battery charger
US8085011B1 (en) 2007-08-24 2011-12-27 Intersil Americas Inc. Boost regulator using synthetic ripple regulation
JP5151332B2 (ja) * 2007-09-11 2013-02-27 株式会社リコー 同期整流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8148967B2 (en) * 2008-08-05 2012-04-03 Intersil Americas Inc. PWM clock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transient response of a voltage regulator
CN102160271B (zh) * 2008-09-22 2013-11-20 富士通株式会社 电源控制电路、电源装置以及电源控制装置的控制方法
CN101997437B (zh) * 2009-08-13 2014-02-19 通嘉科技股份有限公司 集成电路以及交换式电源供应器的控制方法
JP5639829B2 (ja) * 2010-09-27 2014-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ー
US8786270B2 (en) 2010-11-08 2014-07-22 Intersil Americas Inc. Synthetic ripple regulator with frequency control
TWI410642B (zh) * 2011-03-04 2013-10-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電感偵測裝置與方法
KR101877371B1 (ko) * 2011-10-14 2018-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변조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087632B2 (ja) * 2012-01-30 2017-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及び記録装置
US8717001B2 (en) * 2012-07-03 2014-05-0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RU2505913C1 (ru) * 2012-07-16 2014-01-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фи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виацио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пульсный регулятор постоя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FR2996701B1 (fr) * 2012-10-05 2017-06-09 Technoboost Convertisseur courant continu/courant continu reversible
JP6291432B2 (ja) * 2015-02-04 2018-03-14 矢崎総業株式会社 突入電流抑制回路
KR20180065271A (ko) 2016-12-07 2018-06-18 이주호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dc/dc 컨버터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4069A (ja) * 1985-04-30 1986-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保護装置
JPH07110132B2 (ja) 1991-08-22 1995-11-22 日本モトローラ株式会社 電圧変換装置
US5481178A (en) * 1993-03-23 1996-01-02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maintaining high efficiency over broad current ranges in a switching regulator circuit
JP3349781B2 (ja) 1993-08-30 2002-11-25 富士通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電源装置
US5774319A (en) 1993-10-27 1998-06-30 Square D Company Energy validation arrangement for a self-powered circuit interrupter
US5414341A (en) * 1993-12-07 1995-05-09 Benchmarq Microelectronics, Inc. DC-DC converter operable in an asyncronous or syncronous or linear mode
US5638264A (en) 1993-12-27 1997-06-10 Hitachi, Ltd. Parallelized power supply system providing uninterrupted operation
US5723974A (en) 1995-11-21 1998-03-03 Elantec Semiconductor, Inc. Monolithic power converter with a power switch as a current sensing element
US5625279A (en) * 1996-03-28 1997-04-29 Hewlett-Packard Company DC-DC converter with dynamically adjustable characteristics
JPH10174286A (ja) * 1996-12-10 1998-06-26 Nec Corp 電池電源制御装置
JP3402983B2 (ja) * 1997-01-29 2003-05-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回路
JP3691635B2 (ja) 1997-05-15 2005-09-07 富士通株式会社 電圧制御回路及びdc/dcコンバータ
US5847554A (en) 1997-06-13 1998-12-08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ynchronous switching regulator which employs switch voltage-drop for current sensing
US6160388A (en) * 1997-12-30 2000-12-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nsing of current in a synchronous-buck power stage
JP3467679B2 (ja) * 1998-05-11 2003-11-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Dc/dc変換器
US5929615A (en) 1998-09-22 1999-07-27 Impala Linear Corporation Step-up/step-down voltage regulator using an MOS synchronous rectifier
US6064187A (en) * 1999-02-12 2000-05-16 Analog Devices, Inc. Voltage regulator compensation circuit and method
US6188206B1 (en) * 1999-12-08 2001-02-13 Intel Corporation Dynamic hysteresis voltage reg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89524B2 (ja) 2003-03-24
JP2000245141A (ja) 2000-09-08
EP1079507A4 (en) 2008-07-02
EP1079507A1 (en) 2001-02-28
CN1294773A (zh) 2001-05-09
KR20010042921A (ko) 2001-05-25
EP2110935A3 (en) 2010-01-20
EP2110935B1 (en) 2019-04-03
US6307360B1 (en) 2001-10-23
CN1198376C (zh) 2005-04-20
EP2110935A2 (en) 2009-10-21
WO2000051226A1 (fr) 200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707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디씨/디씨 변환기, 및 스위칭레귤레이터를 구비한 엘에스아이 시스템
KR100994452B1 (ko)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US5745352A (en) DC-to-DC converter functioning in a pulse-skipping mode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PWM inhibit
US5814979A (en) Low drop out switching regulator
US7541788B2 (en) Switching regulator and method for switching output voltage thereof
JP5381014B2 (ja) Dc−dcコンバータ
KR100760085B1 (ko) 스위칭 전원 공급장치 및 스위칭 방법
JP2004056982A (ja) 電源回路
JP2014107989A (ja) Dc−dcコンバータ
JP5022668B2 (ja) Dc/dcコンバータ
JP5560682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5636826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1012457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半導体装置
CN101166982B (zh) 低功率电压检测电路及其方法
JP5034750B2 (ja) 電源制御回路
JP5588305B2 (ja) 電源装置
JP201811381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912300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EP3721540A1 (en) Buck-boost power converter controller
CN111953209B (zh) 开关型变换器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JP2011062041A (ja)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2007104792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4412535B2 (ja) 同期整流方式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制御回路及びこれを含む半導体集積回路
JP4325413B2 (ja) 同期整流式dc/dcコンバータ
JP6013263B2 (ja) ソフトスタート制御回路、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絶縁型スイッチング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