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221B1 - 디지털 피엘엘 - Google Patents

디지털 피엘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221B1
KR100588221B1 KR1020050017903A KR20050017903A KR100588221B1 KR 100588221 B1 KR100588221 B1 KR 100588221B1 KR 1020050017903 A KR1020050017903 A KR 1020050017903A KR 20050017903 A KR20050017903 A KR 20050017903A KR 100588221 B1 KR100588221 B1 KR 10058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digital
phase difference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6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 H03K5/1565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the output pulses having a constant duty cyc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generating up-down puls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and to synchronisation
    • H03L2207/50All digital phase-locked lo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의 위상차에 대응되는 정수값을 출력하는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와 이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의 출력 정수값에 오프셋을 주는 지연오프셋 가산기와 오프셋이 가산된 정수값을 소정의 정수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루프필터와 그 정수값에 따라 주파수를 조절하여 최종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와 이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의 출력신호를 분주시키는 분주기로 이루어진 디지털 PLL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히 원하는 만큼의 시간지연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지터가 보다 줄어든 최종출력클럭을 얻을 수 있다.
디지털, PLL, 지연, 오프셋, 가산기, 정수

Description

디지털 피엘엘{Digital Phase-Locked Loop}
도 1a는 종래의 디지털 PLL을 도시한 블록도,
도 1b는 도 1a의 디지털PLL에 연결된 지연제너레이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PLL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위상차검출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PLL의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디지털 위상차 검출기 210 : 지연오프셋 가산기
220 : 디지털 루프 필터 230 :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
240 : 분주기(N)
본 발명은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에서 출력하는 정수값(k)에 오프셋을 주어 최종출력클럭신호가 k△T만큼 시간지연된 신호가 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원하는 만큼 시간지연된 최종출력신호를 얻도록 하는 디지털 PL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PLL은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의 위상차에 대응되 는 소정의 디지털 정수값을 이용해 출력주파수를 록킹시키는 것으로서,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PLL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PLL(10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상차검출 클럭신호(PFD 클럭신호)에 따라 클럭킹하여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의 위상차에 대응되는 정수값을 출력하는 디지털 위상차검출기(110)와, 상기 디지털 위상차검출기(110)의 출력정수값을 소정의 신호조절용 정수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루프필터(120)와, 상기 디지털 루프필터(120)의 변환 정수값에 대응되는 레벨의 아날로그 전압을 출력하는 D/A변환기(130)와, D/A변환기(130)에서 출력하는 전압레벨에 따라 주파수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발진기(VCXO)(140)와, 전압제어발진기(14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분주시켜 디지털 위상차검출기(110)로 입력하는 분주기(150)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진 디지털 PLL(100)은 디지털 위상차검출기(110)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상차클럭신호에 따라 클럭킹하여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의 위상차에 대응되는 정수값을 출력하고, 디지털 루프필터(120)가 그 정수값을 소정의 신호조절용 정수값으로 변환하며, D/A변환기(130)가 이 디지털 루프필터에서 변환한 정수값에 대응되는 레벨을 가진 아날로그 전압을 출력하면, 전압제어발진기(140)는 D/A변환기(130)에서 출력하는 전압레벨에 따라 주파수를 가변하여 최종클럭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이러한 디지털 PLL은 때때로 최종출력 클럭신호를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디지털 PLL은 최종출력단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제너 레이터(160)를 추가하여 최종출력 클럭신호에 원하는 만큼의 시간지연을 준다.
이러한 지연 제너레이터는 단순히 지연신호라인을 이용하거나 DLL(Delayed Locked Loop)로 구현되며, 단순히 지연신호라인을 이용할 경우에는 구조는 간단하지만 지연의 양이 공정변화에 민감하게 달라지며, DLL을 사용할 경우에는 지연의 양은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디지털 PLL의 최종출력단에 지연 제너레이터를 추가하기 때문에, 최종출력의 지터는 디지털 PLL의 지터와 지연 제너레이터의 합산이 되어 최종출력클럭의 지터가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지연 제너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최종출력클럭에 시간지연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PLL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디지털 PLL은 디지털 위상차 검출기의 결과가 위상차검출 클럭주기를 단위로 가진다는 점을 이용하여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에서 출력하는 정수값(k)에 오프셋을 주어 최종출력클럭신호가 k△T만큼 시간지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예컨대, 위상차검출 클럭신호에 따라 클럭킹하여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의 위상차에 대응되는 정수값을 출력하는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와 이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의 출력 정수값에 오프셋을 주는 지연오프셋 가산기와 오프셋이 가산된 정수값을 소정의 정수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루프필터와 그 정수값에 따라 주파수를 조절하여 최종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와 이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의 출력신호를 분주시키는 분주기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상이 상이한 두 개의 위상차검출 클럭신호를 사용하여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를 샘플링시켜 △T를 분수배정도로 예컨대, a/b ×△T정도로 더 미세한 단위로 시간지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a와 b의 값은 다위상 클럭 발생기와 위상 보간기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 미세한 단위로 시간지연시키기 위해 디지털 위상차 검출기를, 입력 위상차검출 클럭의 피드백신호와 위상차검출 클럭신호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각기 계수하는 제1계수부; 상기 위상차검출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카운터를 가지고, 상기 제1계수부에서 계수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상기 카운터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계수하는 제2계수부; 및 상기 제2계수부에서 계수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감산시켜 지연오프셋 가산기로 출력하는 감산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PLL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PLL은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의 결과가 위상차검출 클럭주기를 단위로 가진다는 점을 이용하여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에서 출력하는 정수값(k)에 오프셋을 주어 최종출력클럭신호가 k△T만큼 시간지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PLL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상차검출 클럭신호(PFD클럭신호)에 따라 클럭킹하여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의 위상차에 대응되는 정수값을 출력하는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00)와, 상기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00)에서 출력하는 정수값에 오프셋을 더하는 지연오프셋 가산기(210)와, 디지털 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펌웨어를 가지고, 상기 지연오프셋 가산기(210)에서 출력하는 정수값을 소정의 신호조절용 정수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루프필터(220)와, 상기 디지털 루프필터(220)에서 변환한 신호조절용 정수값에 따라 주파수를 조절하여 최종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230)와, 상기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23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분주시켜 궤환클럭신호로 상기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00)로 출력하는 분주기(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디지털 PLL에서,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00)는 기준클럭신호와 분주기(240)에서 분주된 클럭신호의 위상 차이를 검출하여 16비트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를 PDF클럭신호로 클럭킹하여 기준클럭신호의 상승 에지와 궤환클럭신호의 상승 에지를 검출하고 두 상승 에지의 차이를 카운팅하여 16비트로 이루어져 소정의 정수값(k)을 가진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한다.
지연오프셋 가산기(210)는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00)에서 출력하는 정수값 (k)에 오프셋을 주어 최종클럭신호를 k△T만큼 시간지연시키도록 하는데, k의 사인(+, -)을 조절함에 따라 최종클럭신호를 앞으로 끌어당기는 것과 뒤로 미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디지털 루프필터(2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펌웨어(firmware)로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10)에서 일정시간만큼 지연되어 출력된 16비트 데이터를 읽어 소정의 대역폭으로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된 결과인 신호조절용 정수값을 16비트 디지털 데이터 비트로 출력한다.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230)는 상기 디지털 루프필터(220)에서 변환한 신호조절용 정수값에 따라 주파수를 조절하여 최종클럭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렇게 출력되는 최종클럭신호는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00)의 출력 정수값(k)에 오프셋을 주어 k△T만큼 시간지연된 신호가 된다.
한편, 분주기(240)는 상기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230)와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00) 사이에 연결되어,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23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분주(N)시켜 궤환클럭신호로 상기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00)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PLL은 아날로그적인 지연회로의 추가없이 간단한 가산기만으로도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에서 출력하는 정수값(k)에 오프셋을 주어 최종출력클럭신호가 k△T만큼 시간지연된 신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00)를 예로 들어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상차검출기(200)는 서로 위상이 상이한 두 개의 위상차검출 클럭신호를 사용하여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를 샘플링시켜 △T를 분수배정도로 예컨대, a/b ×△T정도로 더 미세하게 시간지연을 조절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a와 b의 값은 도시되지 않은 다위상 클럭 발생기와 위상 보간기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T보다 작은 양의 미세 시간 지연 또한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상차 검출기(20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입력 위상차검출 클럭의 피드백신호(PFD클럭 피드백신호)와 위상차검출 클럭신호(PFD클럭신호)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각기 계수하는 제1계수부(201); 상기 위상차검출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카운터를 가지고, 상기 제1계수부(201)에서 계수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상기 카운터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계수하는 제2계수부(202); 및 상기 제2계수부(202)에서 계수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감산시켜 지연오프셋 가산기로 출력하는 감산기(203)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디지털 위상차 검출기에서 제1계수부(201)는 입력 위상차검출 클럭의 피드백신호와 위상차검출 클럭신호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각기 계수하는 구조를 갖는데, 예컨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D플립플롭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때 제1D플립플롭에는 입력단자 및 CP단자에 기준클럭신호와 위상차검출 클럭신호를 입력받고 출력단자를 통해 위상차검출 클럭신호에 따라 기준클럭신호를 계수한 신호가 출력되며, 제2D플립플롭에는 입력단자 및 CP단자에 궤환클럭신호 및 위상차검출 클럭의 피드백신호를 각기 입력받고 출력단자를 통해 위상차검출 클럭의 피드백신호에 따라 궤환클럭신호를 계수한 신호가 출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계수부(202)는 상기 위상차검출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카운터를 가지고, 상기 제1계수부(201)에서 계수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상기 카운터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계수하는데, 예컨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D플립플롭에는 입력단자 및 CP단자에 제1D플립플롭에서 기준클럭신호를 계수하여 출력한 신호와 카운터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각기 입력받고 출력단자를 통해 기준클럭신호를 카운터에서 출력하는 신호로 계수한 신호를 출력하고, 제4D플립플롭에는 입력단자 및 CP단자에 제2D플립플롭에서 궤환클럭신호를 계수하여 출력한 신호와 카운터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각기 입력받고 출력단자를 통해 궤환클럭신호를 카운터에서 출력하는 신호로 계수한 신호를 출력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감산기(203)는 상기 제2계수부(202)에서 계수한 궤환클럭신호(A)와 기준클럭신호(B)를 감산시켜 감산결과(A-B)에 대응되는 정수값의 디지털 데이터 비트를 지연오프셋 가산기로 출력한다.
도 4a는 k=0인 경우의 디지털 PLL의 타이밍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연오프셋 가산기는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에서 출력하는 정수값이 0이상일 때 1을 가산시켜 주는데, 이는 디지털 루프필터의 입력이 0이 되는 데드존(dead zone)을 없애기 위함이며, 이 때 궤환클럭신호는 기준클럭신호와 -0.5△T만큼 시차를 두고 록킹(locking)이 이루어진다.
도 4b는 k=5인 경우의 디지털 PLL의 타이밍도로서, k=5인 경우에는 디지털 위상차검출기의 출력이 -5 또는 -6일 때, 지연오프셋 가산기에서 5를 더하고 데드 존(dead zone)을 제거한 후의 디지털 루프필터 입력이 1, 또는 -1이 되므로 디지털 PLL이 록킹(locking)되어지며, 따라서 궤환클럭신호는 기준클럭신호와 -5.5△T 만큼 시차를 두고 록킹되어진다. 즉 k의 값에 따라 궤환클럭신호가 k△T만큼의 시간지연을 갖게 된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다위상클럭을 이용하여 △T보다 더 미세하게 시간지연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타이밍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차검출 클럭신호가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를 서로 위상이 상이한 클럭으로 샘플링하도록 만들어 주되, 궤환클럭신호를 샘플링하는 클럭이 기준클럭신호를 샘플링하는 신호보다 a/b×△T만큼 늦도록 함으로써(a,b는 자연수) 상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록킹(locking)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a와b의 값은 다위상 클럭발생기와 위상 보간기를 이용해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PLL은 아날로그적인 시간지연회로의 추가없이 간단한 디지털 가산기만으로 원하는 만큼의 시간지연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지연 제너레이터에서 추가되는 지터가 사라지므로 특성이 우수한 최종출력클럭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상차검출 클럭신호에 따라 클럭킹하여 기준클럭신호와 궤환클럭신호의 위상차에 대응되는 정수값을 출력하는 디지털 위상차 검출기;
    상기 디지털 위상차 검출기에서 출력하는 정수값에 오프셋을 주어 최종클럭신호를 시간지연시키도록 하는 지연오프셋 가산기;
    디지털 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펌웨어를 가지고, 상기 지연오프셋 가산기에서 출력하는 정수값을 소정의 신호조절용 정수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루프필터;
    상기 디지털 루프필터에서 변환한 신호조절용 정수값에 따라 주파수를 조절하여 최종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
    상기 디지털 클럭신호 출력부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분주시켜 궤환클럭신호로 상기 디지털 위상차 검출기로 출력하는 분주기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PLL.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위상차검출기는;
    입력 위상차검출 클럭의 피드백신호와 위상차검출 클럭신호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각기 계수하는 제1계수부;
    카운터를 가지고, 상기 제1계수부에서 계수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상기 카운터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계수하는 제2계수부; 및
    상기 제2계수부에서 계수한 궤환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를 감산시켜 지연 오프셋 가산기로 출력하는 감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PLL.
KR1020050017903A 2005-03-03 2005-03-03 디지털 피엘엘 KR10058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903A KR100588221B1 (ko) 2005-03-03 2005-03-03 디지털 피엘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903A KR100588221B1 (ko) 2005-03-03 2005-03-03 디지털 피엘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221B1 true KR100588221B1 (ko) 2006-06-08

Family

ID=3718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903A KR100588221B1 (ko) 2005-03-03 2005-03-03 디지털 피엘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853B1 (ko) 2007-03-14 2008-10-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정화 시간이 짧은 pll 및 안정화 시간이 짧은 주파수및 위상 안정화방법과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pll
KR101449855B1 (ko) * 2013-06-11 2014-10-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고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5051A (ja) * 1993-09-20 1995-04-07 Fujitsu General Ltd ディジタルpll回路
JPH09162729A (ja) * 1995-12-06 1997-06-20 Yamaha Corp デジタルpll回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5051A (ja) * 1993-09-20 1995-04-07 Fujitsu General Ltd ディジタルpll回路
JPH09162729A (ja) * 1995-12-06 1997-06-20 Yamaha Corp デジタルpll回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853B1 (ko) 2007-03-14 2008-10-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정화 시간이 짧은 pll 및 안정화 시간이 짧은 주파수및 위상 안정화방법과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pll
KR101449855B1 (ko) * 2013-06-11 2014-10-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9344B2 (en) PLL circuit with improved phase difference detection
JP5673808B2 (ja) クロック生成回路
Kim et al. A 0.3–1.4 GHz all-digital fractional-N PLL with adaptive loop gain controller
KR100884170B1 (ko) 위상동기루프용 디지털 위상 검출기
US9007108B1 (en) Frequency multiplier jitter correction
US7256656B2 (en) All-digital phase-locked loop
TWI389459B (zh) 延遲閉鎖迴路之電路及方法
US7847643B2 (en) Circuit with multiphase oscillator
TWI394376B (zh) 鎖相迴路電路、鎖相方法及電容性電路
US5638010A (en) Digitally controlled oscillator for a phase-locked loop providing a residue signal for use in continuously variable interpolation and decimation filters
US9543970B2 (en) Circuit for digitizing phase differences, PLL circuit and method for the same
TW201318349A (zh) 時脈資料回復電路
US8598929B1 (en) Bitwidth reduction in loop filters used for digital PLLS
KR100588221B1 (ko) 디지털 피엘엘
JP3866959B2 (ja) 周波数差検知装置および周波数差検知方法
KR101866241B1 (ko) 직접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를 이용한 위상 고정루프
US20230119518A1 (en) Phase-locked loop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0012557A1 (ja) 位相同期回路
KR101722860B1 (ko) 신호의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를 이용하여 높은 대역폭을 가지는 디지털 위상 동기 루프
KR20060093929A (ko) 가변 디지털 루프필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 고정 루프
WO2020246092A1 (ja) 位相同期回路、電子装置、および、位相同期回路の制御方法
KR101716411B1 (ko) 발진 회로와 pll 회로와 신호 처리 장치
JP2010273185A (ja) デジタルフェーズロックドループ回路
JP2018074312A (ja) 周波数検出器及びクロックデータリカバリ装置
JP2882385B2 (ja) クロック位相同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