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975B1 - 코일 권취기 - Google Patents

코일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975B1
KR100585975B1 KR1020050084978A KR20050084978A KR100585975B1 KR 100585975 B1 KR100585975 B1 KR 100585975B1 KR 1020050084978 A KR1020050084978 A KR 1020050084978A KR 20050084978 A KR20050084978 A KR 20050084978A KR 100585975 B1 KR100585975 B1 KR 100585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rive shaft
core wire
bobbi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102005008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1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 B65H54/2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forming multiple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4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engaged with, or secured to, a driven member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6Annular guiding surfaces; Eyes, e.g. pig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Landscapes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축에 천공된 중공구멍을 통해 심선이 소정의 속도로 인출될 때, 구동축의 선단 둘레에 같은 높이에서 서로 소정의 위상각을 갖는 코일들이 동시에 심선에 권선되어 심선에 코일을 교번되게 권선하는 코일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10)의 구동축(20)에 천공된 중공구멍(21)을 통과하는 심선(30)을 드로잉 장치(40)가 잡아당기므로서, 상기 심선(30)이 소정의 속도로 이송되고, 구동축(20)의 둘레에 제 1 및 제 2 보빈(50, 55)이 구동축(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립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및 제 2 보빈(50, 55)에서 풀려지는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을 구동축(20)에 장착된 제 1 플라이어(70)의 제 1 및 제 2 권선안내부재(75, 76)를 통해 심선(30)에 권선하며, 이때 제 1 플라이어(70)가 구동축(20)의 회전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되며, 심선(30)으로 공급되는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의 높이가 제 1 및 제 2 권선안내부재(75, 76)에 의해 서로 같지만,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이 심선(30)으로 공급되는 공급지점(P1, P2)이 다르게 배치되어,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의 공급지점(P1, P2)이 소정의 위상차(a)를 가진 상태로 심선(30)에 감겨지도록 함으로서, 제 1 코일(60) 및 제 2 코일(65)을 심선(30)에 교번되게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일 권취기{Coil wind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취기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축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제 1 플라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제 2 플라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취기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취기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제 1 플라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93164호(2005년 8월 10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코일 권취기
본 발명은 전기침구용 발열선에 코일을 권취하는 코일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의 구동축에 천공된 중공구멍을 통해 심선이 소정의 속도로 인출될 때, 구동축의 선단 둘레에 같은 높이에서 서로 소정의 위상각을 갖는 코일들이 동시에 심선에 권선되어 심선에 코일을 교번되게 권선하는 코일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93164호(2005년 8월 10일 등록)에 "코일 권취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코일 권취기는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심선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바디프레임 상에서 제 1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제 1 코일보빈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심선은 제 1 코일보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제 1 코일보빈이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심선의 외주면을 따라 제 1 코일을 나선형으로 1차 권취시키는 제 1 코일권취부;상기 제 1 코일권취부의 상부에서 제 2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제 2 코일보빈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코일이 1차 권취된 심선은 제 2코일보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제 2 코일보빈이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심선의 외주면을 따라 제 2 코일을 나선형으로 2차 권취시키는 제 2 코일권취부; 상기 제 2 코일이 심선에 권취될 때, 제 1 코일의 피치 간격 사이로 제 2 코일이 권취되게 제 2 코일권취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 상기 제 1 코일 및 제 2 코일이 권취된 심선을 권선 수용하는 권선부; 및 상기 심선이 공급부에서 제 1 코일권취부와 제 2 코일권취부를 거쳐 권선부에 권선될 때 그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력조절 롤러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일 권취기는 한가닥의 코일을 심선에 먼저 권취하고 동시에 연속해서 다른 가닥의 코일을 먼저 권취한 코일의 피치 간격 사이로 권취기 때문에 제 2 코일권취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제 1 코일권취부와 제 2 코일권취부를 각각의 구동수단(벨트)으로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기계의 부피가 크고, 심선의 진행속도에 맞게 제 1 코일권취부와 제 2 코일권취부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현장에서 심선의 진행속도, 제 1 코일권취부 및 제 2 코일권취부의 회전속도를 계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구동축에 천공된 중공구멍을 통해 심선이 소정의 속도로 인출될 때, 구동축의 선단 둘레에 같은 높이에서 서로 소정의 위상차를 갖도록 제공하는 코일들이 심선에 권선되므로서, 심선에 감기는 코일들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심선의 진행속도에 따라 코일이 감기는 피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기계의 전체적인 부피가 축소되어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코일 권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일권취기는 모터(10)의 구동축(20)에 천공된 중공구멍(21)을 통과하는 심선(30)을 드로잉 장치(40 ; drawing roller)가 잡아당기므로서, 상기 심선(30)이 소정의 속도로 이송되고, 구동축(20)의 둘레에 제 1 및 제 2 보빈(50, 55)이 구동축(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립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및 제 2 보빈(50, 55)에서 풀려지는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을 구동축(20)에 장착된 제 1 플라이어(70 ; flier)의 제 1 및 제 2 권선안내부재(75, 76)를 통해 심선(30)에 권선하며, 이때 제 1 플라이어(70)가 구동축(20)의 회전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되며, 제 1 및 제 2 권선안내부재(75, 76)에 의해 심선(30)으로 공급되는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의 높이가 서로 같지만,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이 심선(30)으로 공급되는 공급지점(P1, P2)이 다르게 배치되어,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의 공급지점(P1, P2)이 소정의 위상차(a)를 가진 상태로 심선(30)에 감겨지도록 함으로서, 제 1 코일(60) 및 제 2 코일(65)을 심선(30)에 교번되게 권선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코일 권취기는 드로잉 장치(40)에 의해 심선(30)이 구동축(20)의 중공구멍(21)의 통해 소정의 속도로 화살표(85) 방향으로 진행될 때,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이 소정의 위상차(a, a=180°)를 가진 상태로 심선(30)에 같은 방향으로 감기게 되어, 제 1 코일(60) 사이에 제 2 코일(65)이 배치되는 교번 형태로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이 심선(30)에 권선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제 1 코일(60)을 검정색으로 표시한 것은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이 심선(30)에 교번되게 감기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하는 코일 권취기에서, 상기 구동축(20)은 복수의 단차부(22, 23)가 형성되어, 제 1 단차부(22)의 둘레에 제 1 보빈(50)이 배치되고, 제 1 단차부(22)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단차부(23)의 둘레에 제 2 보빈(55)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보빈(50)과 제 2 보빈(55)의 회전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코일 권취기에서, 상기 구동축(20)과 제 1 보빈(50) 사이에 베어링(92)이 배치되므로서, 제 1 보빈(50)은 베어링(92)에 의해 구동축(20)에 대해 슬립되어, 제 1 코일(60)의 장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빈(50)의 하부면에 마찰부재(94) 및 부싱(96)이 배치되도록 상기 마찰부재(94) 및 부싱(96)이 구동축(20)에 끼워짐으로서, 제 1 보빈(50)이 제 1 코일(60)의 장력에 의한 회전보다 더 많이(또는 더 빨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2 보빈(55) 또한 제 1 보빈(50)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축(20)과 제 2 보빈(55) 사이에 베어링(92)이 배치되므로서, 제 2 보빈(55)은 베어링(92)에 의해 구동축(20)의 회전에 무관하게 제 2 코일(65)이 풀어지는 장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보빈(65)의 하부면에 마찰부재(94)가 배치되도록 상기 마찰부재(94)가 구동축(20)에 끼워짐으로서, 제 2 보빈(55)이 제 2 코일(65)의 장력에 의한 회전보다 더 많이(또는 더 빨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플라이어(70)는 중공구멍(71)이 구동축(20)에 끼워져 제 1 보빈(5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구멍(71)의 둘레에 형성된 보스부(72)의 체결구멍(73)에 체결수단(74 ; 예를들어, 볼트)에 의해 구동축(20)에 고정되고, 상기 보스부(72)의 외주면에 2개의 지지바아(77, 78)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아(77, 78)에 각각 제 1 및 제 2 권선안내부재(75, 76)가 장착되고, 중공구멍(71)이 형성된 원판형 바디부(85)에서 제 1 아암(79)과 제 2 아암(8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아암(79)의 자유단에 제 3 안내롤러(80)가 장착되고, 제 2 아암(81)의 자유단에 제 4 롤러(82)가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보빈(50)의 제 1 코일(60)이 제 3 안내롤러(80) 및 제 1 권선안내부재(75)를 통해 심선(30)으로 공급되고, 제 2 보빈(55)의 제 2 코일(65)가 제 4 안내롤러(82)와 제 2 권선안내롤러(76)를 통해 심선(30)으로 공급되며, 제 1 플라이어(70)의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권선안내부재(75, 76)가 심선(30)의 둘레를 돌게 됨으로서, 제 1 및 제 2 코일(60, 65)가 심선(30)에 권선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 안내부재(75, 76)는 세라믹 소재가 도넛 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제 1 및 제 2 권선안내부재(75, 76)의 중공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이 심선(30)에 각각 권선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플라이어(100)는 제 1 보빈(50)과 제 2 보빈(55) 사이에 추가되어 구동축(20)에 고정되므로서, 제 2 코일(65)이 제 2 보빈(55)에서 풀어지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공구멍(101)이 구동축(20)에 끼워져 제 2 보빈(55)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구멍(101)의 둘레에 형성된 보스부(102)의 체결구멍(103)에 체결수단(104 ; 예를들어, 볼트)에 의해 구동축(20)에 고정되고, 중공구멍(101)이 형성된 원판형 바디부(108)에서 제 1 아암(105)과 제 2 아암(106)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및 제 2 아암(105, 106)의 자유단에 안내롤러(107)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 2 플라이어(100)는 제 2 보빈(55)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하는 제 1 실시예의 코일 권취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취기는 모터(10)의 구동축(20)이 직립하도록 모터(10)가 받침대(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20)에 중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구멍을 통해 심선(30)이 구동축(20)을 관통하고, 구동축(20)에 제 1 코일(60)이 감긴 제 1 보빈(50)이 구동축(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립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20)에 제 2 코일(65)이 감긴 제 2 보빈(55)이 구동축(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립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보빈(50)의 상부에 제 1 플라이어(70)가 배치되도록 구동축(20)에 장착되므로서,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이 제 1 및 제 2 보빈(50, 55)에서 풀어져 구동축(20)의 상단부를 통과하여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는 심선(30)에 같은 높이의 다른 공급지점에서 각각 동시에 권선되고, 상기 모터(10)의 구동축(20)의 하부 축부에 구동 베벨기어(24)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 베벨기어(24)에 종동 베벨기어(25)가 맞물리고, 상기 종동 베벨기어(25)가 제 1 전동축(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전동축(111)의 동력이 무단변속기(112)를 통해 제 2 전동축(113)으로 전달되고, 제 2 전동축(113)과 제 3 전동축(114)의 하단이 직교되도록 연결되고, 제 3 전동축(114)의 상단과 제 4 전동축(115)이 직교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4 전동축(115)에 드로잉 롤러(40 ; 도 1의 설명에서 드로잉 장치로 설명하였음)가 장착되어, 상기 드로잉 롤러(40)에 의해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이 권선된 심선(30a)이 소정의 속도로 최종 권취롤러(120)로 이송된다.
도 3에서 미설명한 도면부호 123은 코일이 권선되지 않은 심선이 감겨진 최초 권취롤러이고, 도면부호 125는 텐션롤러이고, 도면부호 100은 제 2 플라이어이 다.
상기 드로잉 롤러(40)는 무단변속기(112)에 의해 속도가 가변되며, 상기 드로잉 롤러(40)의 회전속도에 의해 구동축(20)을 통과하는 심선(30)의 이송속도가 결정된다.
상기 최종 권선롤러(120)는 회전축(121)이 벨트(122)에 의해 제 2 전동축(113)과 연결되어, 드로일 롤러(40)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므로서, 드로잉 롤러(40)를 통과한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이 권선된 심선(30a)을 감게 된다.
상기 무단변속기(112)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취기는 최초 권취롤러(123)에 감겨진 심선(30)이 드로잉 롤러(40)에 의해 모터(10)의 구동축(20)을 통과하여 최종 권취롤러(120)까지 소정의 속도로 이송되고, 상기 드로잉 롤러(40)가 전동축(111, 113, 114, 115)들을 통해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이때, 도로잉 롤러(40)의 회전속도가 무단변속기(112)에 의해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심선(30)이 구동축(20)을 통과하여 구동축(20)의 상단에서 인출될 때, 제 1 및 제 2 보빈(50, 55)의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이 제 1 플라이어(70)의 권선안내부재(75, 76)에 의해 상기 심선(30)으로 안내되어 심선(30)에 교번되게 권선된다. 이때, 심선(30)의 이송속도와 제 1 플라이어(70)의 회전속도에 따라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의 피치가 다르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취기는 모터(210)의 구동축(220)에 천공된 중공구멍(221)을 통과하는 심선(230)을 드로잉 롤러(240 ; drawing roller)가 잡아당기므로서, 상기 심선(230)이 소정의 속도로 이송되고, 구동축(220)의 둘레에 제 1, 제 2 및 제 3 보빈(251, 253, 255)이 구동축(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립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제 2 및 제 3 보빈(251, 253, 255)에서 풀려지는 제 1, 제 2 및 제 3 코일(261, 263, 265 ; 도 8 참조)이 구동축(220)에 장착된 제 1 플라이어(270 ; flier)의 제 1, 제 2 및 제 3 권선안내부재(278, 279, 280 ; 도 9 참조)를 통해 심선(230)에 권선되며, 이때 제 1 플라이어(270)가 구동축(220)의 회전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되며, 심선(230)으로 공급되는 제 1 코일(261), 제 2 코일(263) 및 제 3 코일(265)의 높이가 제 1, 제 2 및 제 3 권선안내부재(278, 279, 280)에 의해 서로 같지만, 제 1 코일(261), 제 2 코일(263) 및 제 3 코일(265)이 심선(30)으로 공급되는 공급지점(P3, P4, P5)이 다르게 배치되어, 제 1 코일(261), 제 2 코일(263), 제 3 코일(265)의 공급지점(P3, P4, P5)이 소정의 위상차(B)를 가진 상태로 심선(230)에 감겨짐으로서, 제 1 코일(261), 제 2 코일(263), 제 3 코일(265)이 심선(230)에 교번되게 권선된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코일(261, 263, 265)의 위상차(B)는 120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플라이어(270)는 중공구멍(271)이 구동축(220)에 끼워져 제 1 보빈(25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구멍(271)의 둘레에 형성된 보스부(272)의 체결구멍(273)에 체결수단(274 ; 예를들어, 볼트)에 의해 구동축(220)에 고정되고, 상기 보스부(272)의 외주면에 3개의 지지바아(275, 276, 277)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아(275, 276, 277)에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권선안내부재(278, 279, 280)가 장착되고, 중공구멍(271)이 형성된 원판형 바디부(288)에서 제 1 아암(281), 제 2 아암(282) 및 제 3 아암(283)이 연장되어, 제 1 아암(281), 제 2 아암(282) 및 제 3 아암(283)이 서로 일정 간격(120°)을 가지며, 제 1 아암(281)의 자유단에 제 4 안내롤러(284)가 장착되고, 제 2 아암(282)의 자유단에 제 5 안내롤러(285)가 장착되고, 제 3 아암(283)의 자유단에 제 6 안내롤러(286)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취기는 구동축에 제 3 보빈이 하나 더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 1 플라이어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취기와 동일하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취기는 본 발명의 사상의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코일의 수를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취기는 모터의 구동축에 천공된 중공구멍을 통해 심선이 소정의 속도로 인출될 때, 구동축의 선단 둘레에 같은 높이에서 서로 소정의 위상차를 갖도록 제공하는 코일들이 심선에 권선되므로서, 심선에 감기는 코일들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심선의 진행속도에 따라 코일이 감기는 피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기계의 전체적인 부피가 축소되어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모터(10)의 구동축(20)에 천공된 중공구멍(21)을 통과하는 심선(30)을 드로잉 장치(40)가 잡아당기므로서, 상기 심선(30)이 소정의 속도로 이송되고, 구동축(20)의 둘레에 제 1 및 제 2 보빈(50, 55)이 구동축(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립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및 제 2 보빈(50, 55)에서 풀려지는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을 구동축(20)에 장착된 제 1 플라이어(70)의 제 1 및 제 2 권선안내부재(75, 76)를 통해 심선(30)에 권선하며, 이때 제 1 플라이어(70)가 구동축(20)의 회전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되며, 심선(30)으로 공급되는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의 높이가 제 1 및 제 2 권선안내부재(75, 76)에 의해 서로 같지만,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이 심선(30)으로 공급되는 공급지점(P1, P2)이 다르게 배치되어, 제 1 코일(60)과 제 2 코일(65)의 공급지점(P1, P2)이 소정의 위상차(a)를 가진 상태로 심선(30)에 감겨지도록 함으로서, 제 1 코일(60) 및 제 2 코일(65)을 심선(30)에 교번되게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0)은 복수의 단차부(22, 23)가 형성되어, 제 1 단차부(22)의 둘레에 제 1 보빈(50)이 배치되고, 제 1 단차부(22)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단차부(23)의 둘레에 제 2 보빈(5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0)과 제 1 보빈(50) 사이에 베어링(92)이 배치되므로서, 제 1 보빈(50)은 베어링(92)에 의해 구동축(20)에 슬립되어, 제 1 코일(60)의 장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1 보빈(50)의 하부면에 마찰부재(94) 및 부싱(96)이 배치되도록 상기 마찰부재(94) 및 부싱(96)이 구동축(20)에 끼워짐으로서, 제 1 보빈(50)이 제 1 코일(60)의 장력에 의한 회전보다 더 많이(또는 더 빨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라이어(70)는 중공구멍(71)이 구동축(20)에 끼워져 제 1 보빈(5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구멍(71)의 둘레에 형성된 보스부(72)의 체결구멍(73)에 체결수단(74)에 의해 구동축(20)에 고정되고, 상기 보스부(72)의 외주면에 2개의 지지바아(77, 78)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아(77, 78)에 각각 제 1 및 제 2 권선안내부재(75, 76)가 장착되고, 중공구멍(71)이 형성된 원판형 바디부(85)에서 제 1 아암(79)과 제 2 아암(8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아암(79)의 자유단에 제 3 안내롤러(80)가 장착되고, 제 2 아암(81)의 자유단에 제 4 롤러(8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0)에 고정되어, 제 1 보빈(50)과 제 2 보빈(55)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플라이어(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라이어(100)는 중공구멍(101)이 구동축(20)에 끼워져 제 2 보빈(55)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구멍(101)의 둘레에 형성된 보스부(102)의 체결구멍(103)에 체결수단(104)에 의해 구동축(20)에 고정되고, 중공구멍(101)이 형성된 원판형 바디부(108)에서 제 1 아암(105)과 제 2 아암(106)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및 제 2 아암(105, 106)의 자유단에 안내롤러(107)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7. 모터(10)의 구동축(20)이 직립하도록 모터(10)가 받침대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20)에 중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구멍을 통해 심선(30)이 구동축(20)을 관통하고, 구동축(20)에 제 1 코일(60)이 감긴 제 1 보빈(50)이 구동축(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립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20)에 제 2 코일(65)이 감진 제 2 보빈(55)이 구동축(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립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보빈(50)의 상부에 제 1 플라이어(70)가 배치되도록 구동축(20)에 장착되므로서,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이 제 1 및 제 2 보빈(50, 55)에서 풀어져 구동축(20)의 상단부를 통과하여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는 심선(30)에 같은 높이의 다른 공급지점에서 각각 동시에 권선되고, 상기 모터(10)의 구동축(20)의 하부 축부에 구동 베벨기어(24)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 베벨기어(24)에 종동 베벨기어(25)가 맞물리고, 상기 종동 베벨기어(25)가 제 1 전동축(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전동축(111)의 동력이 무단변속기(112)를 통해 제 2 전동축(113)으로 전달되고, 제 2 전동축(113)과 제 3 전동축(114)의 하단이 직교되도록 연결되고, 제 3 전동축(114)의 상단과 제 4 전동축(115)이 직교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4 전동축(115)에 드로잉 롤러(40)가 장착되어, 상기 드로잉 롤러(40)에 의해 제 1 및 제 2 코일(60, 65)이 권선된 심선(30a)이 소정의 속도로 최종 권취롤러(120)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롤러(40)는 무단변속기(112)에 의해 속도가 가변되며, 상기 드로잉 롤러(40)의 회전속도에 의해 구동축(20)을 통과하는 심선(30)의 이송속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9. 모터(210)의 구동축(220)에 천공된 중공구멍(221)을 통과하는 심선(230)을 드로잉 롤러(240)가 잡아당기므로서, 상기 심선(230)이 소정의 속도로 이송되고, 구동축(220)의 둘레에 제 1, 제 2 및 제 3 보빈(251, 253, 255)이 구동축(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립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제 2 및 제 3 보빈(251, 253, 255)에서 풀려지는 제 1, 제 2 및 제 3 코일(261, 263, 265)이 구동축(220)에 장착된 제 1 플라이어(270)의 제 1, 제 2 및 제 3 권선안내부재(278, 279, 280)를 통해 심선(230)에 권선되며, 이때 제 1 플라이어(270)가 구동축(220)의 회전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되며, 심선(230)으로 공급되는 제 1 코일(261), 제 2 코일(263) 및 제 3 코일(265)의 높이가 제 1, 제 2 및 제 3 권선안내부재(278, 279, 280)에 의해 서로 같지만, 제 1 코일(261), 제 2 코일(263) 및 제 3 코일(265)이 심선(30)으로 공급되는 공급지점(P3, P4, P5)이 다르게 배치되어, 제 1 코일(261), 제 2 코일(263), 제 3 코일(265)의 공급지점(P3, P4, P5)이 소정의 위상차(B)를 가진 상태로 심선(230)에 감겨짐으로서, 제 1 코일(261), 제 2 코일(263), 제 3 코일(265)이 심선(230)에 교번되게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라이어(270)는 중공구멍(271)이 구동축(220)에 끼워져 제 1 보빈(25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구멍(271)의 둘레에 형성된 보스부(272)의 체결구멍(273)에 체결수단(274)에 의해 구동축(220)에 고정되고, 상기 보스부(272)의 외주면에 3개의 지지바아(275, 276, 277)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아(275, 276, 277)에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권선안내부재(278, 279, 280)가 장착되고, 중공구멍(271)이 형성된 원판형 바디부(288)에서 제 1 아암(281), 제 2 아암(282) 및 제 3 아암(283)이 연장되어, 제 1 아암(281), 제 2 아암(282) 및 제 3 아암(283)이 서로 일정 간격(120°)을 가지며, 제 1 아암(281)의 자유단에 제 4 안내롤러(284)가 장착되고, 제 2 아암(282)의 자유단에 제 5 안내롤러(285)가 장착되고, 제 3 아암(283)의 자유단에 제 6 안내롤러(286)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KR1020050084978A 2005-09-13 2005-09-13 코일 권취기 KR100585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78A KR100585975B1 (ko) 2005-09-13 2005-09-13 코일 권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78A KR100585975B1 (ko) 2005-09-13 2005-09-13 코일 권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975B1 true KR100585975B1 (ko) 2006-06-08

Family

ID=3718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978A KR100585975B1 (ko) 2005-09-13 2005-09-13 코일 권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9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49B1 (ko) 2011-03-08 2012-11-07 손남옥 코일권선장치
US9349696B2 (en) 2009-01-30 2016-05-24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ated antennas in wafer level package
CN115649981A (zh) * 2022-11-07 2023-01-31 江苏丝丝缘纤维有限公司 一种丙纶丝生产集线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9696B2 (en) 2009-01-30 2016-05-24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ated antennas in wafer level package
US10121751B2 (en) 2009-01-30 2018-11-06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ated antennas in wafer level package
US10692824B2 (en) 2009-01-30 2020-06-23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 module with wafer level package and underfill
KR101198949B1 (ko) 2011-03-08 2012-11-07 손남옥 코일권선장치
CN115649981A (zh) * 2022-11-07 2023-01-31 江苏丝丝缘纤维有限公司 一种丙纶丝生产集线装置
CN115649981B (zh) * 2022-11-07 2023-12-01 江苏丝丝缘纤维有限公司 一种丙纶丝生产集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8725B (zh) 通过在筒管上卷绕纱线来导纱的方法和设备
CA2201849A1 (en) Apparatus for making twisted wire
KR100585975B1 (ko) 코일 권취기
JP5626692B2 (ja) モーターコイル巻線機のコイル整列供給装置
US8474234B2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strands from wires
JP6016926B2 (ja) ボビン巻取り機
JP2008509064A (ja) 精紡機の綾振り装置
JP2014143311A (ja) 巻線機
JP3550372B2 (ja) 巻線製造システムおよび巻線製造方法
KR102251507B1 (ko)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릴의 전동화 그룹
KR100318186B1 (ko) 와이어 연선기의 피치 조절장치
KR101198949B1 (ko) 코일권선장치
KR101406310B1 (ko) 꼬임실 제조장치
JP4340479B2 (ja) 電機子の巻線方法と巻線装置
US7896278B2 (en) Winding apparatus
JP5987787B2 (ja) シールド電線製造装置及びシールド電線製造方法
JP5907972B2 (ja) 巻取り機および歯付きベルト
KR100317418B1 (ko) 연선기
JP3451054B2 (ja) 巻線装置
KR100267402B1 (ko) 합연기
US5104053A (en) Strand winding machine
KR200393164Y1 (ko) 코일 권취기
JP4528077B2 (ja) 巻線機と巻線方法
JP5176660B2 (ja) 巻線装置
JPH086214B2 (ja) カバリングマシン等のスピンドル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