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164Y1 - 코일 권취기 - Google Patents

코일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164Y1
KR200393164Y1 KR20-2005-0013842U KR20050013842U KR200393164Y1 KR 200393164 Y1 KR200393164 Y1 KR 200393164Y1 KR 20050013842 U KR20050013842 U KR 20050013842U KR 200393164 Y1 KR200393164 Y1 KR 200393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re wire
winding
pulley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한성
Original Assignee
유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성 filed Critical 유한성
Priority to KR20-2005-0013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026Doubling winders, i.e. for winding two or more parallel yarns on a bobbin, e.g. in preparation for twisting or we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5/00Wound packages of filamentary material
    • B65H55/005Wound packages of filamentary material with two or more filaments wound in parallel on the bobb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2Translation screw-thread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구류용 발열선을 제조할 때 심선에 코일을 권취시키는 코일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코일권취부와 제 2코일권취부를 구비하여 두 가닥의 코일을 심선에 한 번에 권취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것과 아울러 제 2코일권취부의 상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권취되는 코일간의 피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코일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심선에 두 가닥의 코일을 함께 권취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을 권취하는 작업 속도가 매우 빨라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서로 권취되는 두 가닥의 코일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을 갖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일 권취기{COIL WINDING MACHINE}
본 고안은 코일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구류용 발열선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심선에 코일을 권취할 때 두 가닥의 코일을 함께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아울러 그 피치 간격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코일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 전기요, 찜질매트 등과 같은 침구류에는 열을 발생하기 위한 발열체로 발열선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발열선은 통상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저항열에 의해 열선 코일이 가열되면서 발열을 하는 원리를 갖는다.
첨부된 도 1에는 종래 방법에 의해 코일이 심선에 권취된 일례가 예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한 가닥의 코일(C)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심선(W)에 권취된 후, 이 코일(C)의 양단이 각각 전원의 (+극)과 (-극)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코일을 심선에 한 가닥으로 권취하다 보면 그 작업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코일의 양단을 전원에 각각 연결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그 작업 방식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코일을 전원에 연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련의 권취 과정을 거쳐 한 가닥의 코일을 먼저 권취한 후에, 다시 동일한 권취 과정을 거쳐 먼저 권취된 코일의 피치 간격 사이로 다른 가닥의 코일을 권취한 다음, 두 가닥의 일단을 서로 접속시켜 전류가 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두 가닥의 타단을 전원에 연결하여 전원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킨 발열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각의 코일을 두 번 권취하다보면 그 작업 시간이 매우 지연될 뿐만 아니라, 그 피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하지 못하게 되면 먼저 권취된 코일과 나중에 권취된 코일이 서로 간섭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물론, 그 피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은 작업자의 기술에 따라 결정되는데, 그러다 보니 오차가 빈번하고 불량률이 자주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67603호에는 심선에 두 가닥의 코일을 한 번에 권취하는 코일 권취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종래의 코일 권취기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스핀들과, 스핀들에 끼워져 스핀들과 함께 회전하며 두 가닥의 코일이 권취되어 있는 보빈과, 스핀들의 단부에 장착되는 플라이 캡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라이 캡의 양 단부에는 각각 코일의 진행을 안내하는 제1유도구멍과 제2유도구멍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소경 간격을 두고 이격된 제1권취구멍과 제2권취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빈이 회전하게 되면, 두 가닥중 한 가닥의 코일은 각각 제1유도구멍을 통해 제1권취구멍으로 안내되어 심선에 권취되고, 다른 한 가닥의 코일은 제2유도구멍을 통해 제2권취구멍으로 안내되어 심선에 권취된다. 따라서, 두 가닥의 코일을 심선에 동시에 권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코일 권취기는 두 가닥의 코일이 심선에 동시에 권취되어 코일을 신속하게 권취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서로 권취되는 두 가닥의 코일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셋팅되어 있기 때문에 심선에 권취되는 코일간의 피치 간격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코일간의 피치 간격을 좀더 세밀하게 또는 좀더 이격되게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코일 권취기는 이와 같은 조절 기능이 없는 단점이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권취구멍간의 이격 간격이 다른 플라이 캡을 계속 교환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겠지만, 그 교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코일 권취기는 심선의 진행 속도와 보빈의 회전 속도가 항상 정해진 속도를 유지해야 되는데, 그 진행 속도가 여러 주위 환경에 의해 변하게 되면 코일간의 피치 간격이 변형되며, 이를 수정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코일 권취기는 한 개의 보빈에 두 가닥의 코일이 권취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에 권취되는 각각의 코일의 양이 적으며, 따라서 보빈을 자주 교환해 주어야 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보빈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작동을 자주 정지시킬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심선에 두 가닥의 코일을 함께 권취하되, 어느 한 가닥의 코일을 먼저 권취하는 것과 동시에 연속해서 다른 한 가닥의 코일을 먼저 권취된 코일의 피치 간격 사이로 권취할 수 있게 마련된 코일 권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먼저 권취된 코일의 피치 간격 사이로 다른 한 가닥의 코일이 권취될 때 그 권취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한 코일 권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코일 권취기는 바디프레임; 바디프레임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심선을 공급하는 공급부; 바디프레임 상에서 제 1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제 1코일보빈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심선은 제 1코일보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제 1코일보빈이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심선의 외주면을 따라 제 1코일을 나선형으로 1차 권취시키는 제 1코일권취부; 제 1코일권취부의 상부에서 제 2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제 2코일보빈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코일이 1차 권취된 심선은 제 2코일보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제 2코일보빈이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심선의 외주면을 따라 제 2코일을 나선형으로 2차 권취시키는 제 2코일권취부; 제 2코일이 심선에 권취될 때, 제 1코일의 피치 간격 사이로 제 2코일이 권취되게 제 2코일권취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 제 1코일 및 제 2코일이 권취된 심선을 권선 수용하는 권선부; 및 심선이 공급부에서 제 1코일권취부와 제 2코일권취부를 거쳐 권선부에 권선될 때 그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력조절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바디프레임의 일부분에 설치된 구동모터; 바디프레임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 회전봉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동풀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중계풀리; 구동풀리의 동력을 중계풀리로 전달하는 제 1벨트; 회전봉의 중간부분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1연계풀리; 제 1연계풀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종동풀리; 제 1연계풀리의 동력을 제 1종동풀리로 전달하는 제 2벨트; 제 1종동풀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코일보빈을 회전시키며, 내부는 심선이 관통되게 중공으로 형성된 제 1회전축; 제 1연계풀리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회전봉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2연계풀리; 제 2연계풀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종동풀리; 제 2연계풀리의 동력을 제 2종동풀리로 전달하는 제 3벨트; 및 제 2종동풀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코일보빈을 회전시키며, 내부는 심선이 관통되게 중공으로 형성된 제 2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위치조절수단은 바디프레임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 일부분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봉; 가이드봉의 수나사부에 결합되어 나사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부; 및 일단은 상기 제 2코일권취부에 결합되되, 제 2코일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너트부에 연결되어, 너트부와 함께 이동하면서 제 2코일권취부의 위치를 상하 조절하는 연결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코일이 심선에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일 권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분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심선에 두 가닥의 코일을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한 번에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코일 권취기로써, 모든 구성 부품들이 작동될 때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바디프레임(100)을 갖는다.
바디프레임(100)의 일부분에는 심선(W)을 공급하는 공급부가 구비되는데, 이 공급부는 바디프레임(100)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심선(W)이 권선되어 있는 공급롤(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공급롤(200)은 심선(W)이 일정하게 풀릴 수 있도록 일정한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롤(200)에서 공급되는 심선(W)은 제 1 및 제 2코일권취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외주면에 코일(C1)(C2)이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제 1코일권취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제 1회전축(300)과, 제 1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1코일보빈(310)과, 제 1코일보빈(310)에 권선되어 있는 제 1코일(C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회전축(300)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심선(W)이 제 1회전축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제 1코일보빈(310)이 제 1회전축(300)과 함께 회전하면서 내부를 관통하여 전진하는 심선(W)의 외주면을 따라 제 1코일(C1)이 연결되어 나선형으로 1차 권취되게 구성된다.
제 2코일권취부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제 2회전축(400)과, 제 2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2코일보빈(410)과, 제 2코일보빈(410)에 권선되어 있는 제 2코일(C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2회전축(400)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제 1코일권취부를 통해 제 1코일(C1)이 1차 권취된 심선(W)이 제 2회전축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제 2코일보빈(410)이 제 2회전축(400)과 함께 회전하면서 내부를 관통하여 전진하는 심선(W)의 외주면을 따라 제 2코일(C2)이 연결되어 나선형으로 2차 권취되게 구성된다.
제 1 및 제 2코일권취부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좀더 설명하면, 구동수단은 바디프레임(100)의 일부분에 설치된 구동모터(500)와, 바디프레임(1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5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봉(510)을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모터(500)의 동력이 회전봉(510)으로 전달되도록 구동모터(500)의 모터축에는 구동풀리(502)가 결합되고, 회전봉(510)의 하부에는 중계풀리(504)가 결합되며, 구동풀리(502)와 중계풀리(504)는 제 1벨트(506)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풀리(502)의 동력이 중계풀리(504)로 전달되어 회전봉(51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전봉(510)이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봉(5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 1코일권취부의 제 1회전축(300)과, 제 2코일권취부의 제 2회전축(40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봉(510)의 중간부분에는 제 1연계풀리(520)가 회전봉(510)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제 1회전축(300)의 하부에는 제 1종동풀리(522)가 결합되며, 제 1연계풀리(520)와 제 1종동풀리(522)는 제 2벨트(524)를 통해 연결되어 제 1연계풀리(520)의 동력이 제 1종동풀리(522)로 전달되어 제 1회전축(300)을 회전시키게 되고, 제 1회전축(300)이 회전하면서 제 1코일보빈(31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 1연계풀리(520)보다 상부에는 회전봉(510)과 함께 회전되도록 제 2연계풀리(530)가 결합되고, 제 2회전축(400)의 하부에는 제 2종동풀리(532)가 결합되며, 제 2연계풀리(530)와 제 2종동풀리(532)는 제 3벨트(534)를 통해 연결되어 제 2연계풀리(530)의 동력이 제 2종동풀리(532)로 전달되어 제 2회전축(400)을 회전시키게 되고, 제 2회전축(400)이 회전하면서 제 2코일보빈(41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연계풀리들은 회전봉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며,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코일(C1)(C2)이 권취되는 원리는 도 2에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0)(400)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캡(320)(420)이 설치되고, 이 고정캡(320)(420)의 내부로 심선(W)이 안내되되, 이 심선(W)은 고정캡의 상부에 마련된 심내안내공을 통해 관통되며, 일측면에는 코일(C1)(C2)이 인입되는 코일안내공이 형성되어, 코일보빈이 회전하면 코일이 심선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권취되는 원리를 갖는다.
따라서, 심선(W)은 제 1코일권취부를 통과할 때 제 1코일보빈(310)이 회전하면서 제 1코일(C1)이 1차 권취되는 것과 동시에, 제 2코일권취부를 통과할 때 제 1코일(C1)이 권취된 피치 간격 사이로 제 2코일(C2)이 연속적으로 2차 권취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 2코일(C2)이 심선(W)에 권취될 때 제 1코일(C1)의 피치 간격 사이로 정확하게 권취되는 것과 아울러 그 피치 간격 사이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수단이 마련된다.
위치조절수단은 바디프레임(100)의 상면에서 좌우 대향되게 두 개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 일부분에는 수나사부(602)가 형성된 가이드봉(600)과, 가이드봉(600)의 수나사부(602)에 결합되어 나사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부(610)와, 일단은 제 2코일권취부의 제 2회전축(400)에 결합되어 제 2회전축을 지지하되, 제 2회전축(4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너트부(610)에 연결되어, 너트부와 함께 이동하면서 제 2코일보빈(410)의 위치를 상하 조절하는 연결아암(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코일권취부를 통해 제 1코일(C1) 및 제 2코일(C2)이 권취된 심선(W)을 권선 수용하는 권선부가 마련되는데, 이 권선부는 공급부와 대향되게 바디프레임(100)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심선(W)이 권선되는 권선롤(800)로 이루어진다. 이때, 권선롤(800)은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일정하게 회전되도록 하여 심선(W)이 일정하게 권선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심선(W)이 제 1회전축(300)과 제 2회전축(400) 내로 수직으로 안내될 수 있게 다수의 가이드롤러(710)가 설치되며, 상기 심선이 공급부에서 제 1코일권취부와 제 2코일권취부를 거쳐 권선부에 권선될 때 그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 장력조절롤러부(7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장력조절롤러부(700)는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공급부에서 공급된 심선(W)이 다수의 가이드롤러(710)를 통해 안내되어 제 1 및 제 2코일권취부를 거쳐 코일이 권취되고, 장력조절롤러부(700)를 통해 장력이 조절된 상태로 권선부에 권선된다.
특히, 본 고안은 두 가닥의 코일이 심선에 한 번에 권취되어 코일을 권취하는 작업 속도가 현저하게 개선될 뿐만 아니라, 심선(W)이 제 1코일권취부를 통과할 때 1차적으로 한 가닥의 코일(C1)이 권취되는 것과 동시에, 제 2코일권취부를 통과할 때 1차 권취된 코일의 피치 간격 사이로 다른 한 가닥의 코일(C2)이 2차적으로 권취되며, 권취된 1차 코일의 피치 간격 사이에서 2차 코일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두 가닥이 코일이 권취되는 방법을 좀더 설명하면, 심선(W)이 제 1회전축(300)의 내부를 관통하여 권선롤(800)의 회전에 의해 상방향으로 전진하는 것과 아울러, 제 1회전축(300)에 결합되어 있는 제 1코일보빈(310)이 구동수단에 의해 제 1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 1코일보빈(310)에 권선되어 있는 제 1코일(C1)을 심선(W)에 연결시키게 되면, 제 1코일(C1)은 심선(W)의 외주면을 따라 1차 권취된다.
이와 같이 제 1코일(C1)이 1차 권취된 심선(W)은 제 2회전축(4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계속 전진하게 되고, 아울러 제 2회전축(400)에 결합되어 있는 제 2코일보빈(410)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제 2코일보빈(410)에 권선되어 있는 제 2코일(C2)을 심선(W)에 연결시키게 되면, 제 2코일(C2)은 심선(W)의 외주면을 따라 2차 권취된다.
이때, 제 2코일(C2)은 제 1코일(C1)의 피치 간격 사이로 권취되게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그 조절은 제 2코일보빈(41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조절하면 된다.
즉, 너트부(610)를 풀고 조이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아암(620)을 상하로 조절하면, 제 2코일권취부도 함께 상하로 위치 이동되고, 제 1코일(C1)의 피치 간격 사이에 권취되는 제 2코일(C2)의 간격도 조절된다. 따라서 코일이 두 가닥으로 동시에 권취된다하더라도 일정한 피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코일을 세 가닥으로 권취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제 2코일권취부의 상부에 제 3코일권취부를 설치하면 된다. 이때, 제 3코일권취부는 제 3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제 3코일보빈이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상하 위치 조절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코일권취부를 더 설치하면 세 가닥 이상의 코일을 권취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본 고안은 심선에 두 가닥의 코일을 함께 권취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을 권취하는 작업 속도가 매우 빠르며, 따라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심선에 두 가닥의 코일을 함께 권취하되, 한 가닥의 코일을 먼저 권취하는 것과 동시에 연속해서 다른 한 가닥의 코일이 먼저 권취된 코일의 피치 간격 사이로 권취될 때, 그 권취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권취되는 두 가닥의 코일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한 개의 보빈에 한 가닥의 코일만 권선되어 있기 때문에 한 개의 보빈에 두 가닥이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종래의 권취기보다 1회 작업속도가 두 배로 연장되고, 따라서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보빈을 교환하는 횟수가 줄어들며, 따라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의해 코일이 심선에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코일이 심선에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일 권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분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바디프레임 200: 공급롤
300: 제 1회전축 310: 제 1코일보빈
320: 고정캡 400: 제 2회전축
410: 제 2코일보빈 420: 고정캡
500: 구동모터 502: 구동풀리
504: 중계풀리 506: 제 1벨트
510: 회전봉 520: 제 1연계풀리
522: 제 1종동풀리 524: 제 2벨트
530: 제 2연계풀리 532: 제 2종동풀리
534: 제 3벨트 600: 가이드봉
602: 수나사부 610: 너트부
620: 연결아암 700: 장력조절롤러부
710: 가이드롤러 800: 권선롤
C1: 제 1코일 C2: 제 2코일
W: 심선

Claims (4)

  1.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심선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바디프레임 상에서 제 1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제 1코일보빈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심선은 제 1코일보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제 1코일보빈이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심선의 외주면을 따라 제 1코일을 나선형으로 1차 권취시키는 제 1코일권취부;
    상기 제 1코일권취부의 상부에서 제 2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제 2코일보빈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코일이 1차 권취된 심선은 제 2코일보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제 2코일보빈이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심선의 외주면을 따라 제 2코일을 나선형으로 2차 권취시키는 제 2코일권취부;
    상기 제 2코일이 심선에 권취될 때, 제 1코일의 피치 간격 사이로 제 2코일이 권취되게 제 2코일권취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
    상기 제 1코일 및 제 2코일이 권취된 심선을 권선 수용하는 권선부; 및
    상기 심선이 공급부에서 제 1코일권취부와 제 2코일권취부를 거쳐 권선부에 권선될 때 그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력조절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부분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
    상기 회전봉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동풀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중계풀리;
    상기 구동풀리의 동력을 중계풀리로 전달하는 제 1벨트;
    상기 회전봉의 중간부분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1연계풀리;
    상기 제 1연계풀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종동풀리;
    상기 제 1연계풀리의 동력을 제 1종동풀리로 전달하는 제 2벨트;
    상기 제 1종동풀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코일보빈을 회전시키며, 내부는 심선이 관통되게 중공으로 형성된 제 1회전축;
    상기 제 1연계풀리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회전봉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2연계풀리;
    상기 제 2연계풀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종동풀리;
    상기 제 2연계풀리의 동력을 제 2종동풀리로 전달하는 제 3벨트; 및
    상기 제 2종동풀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코일보빈을 회전시키며, 내부는 심선이 관통되게 중공으로 형성된 제 2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 일부분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의 수나사부에 결합되어 나사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부; 및
    일단은 상기 제 2코일권취부에 결합되되, 제 2코일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너트부에 연결되어, 너트부와 함께 이동하면서 제 2코일권취부의 위치를 상하 조절하는 연결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에 코일을 세 가닥으로 감을 수 있게 제 2코일권취부의 상부에는 제 3코일권취부가 설치되되, 이 제 3코일권취부는 제 3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제 3코일보빈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상하 위치 조절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코일 권취기.
KR20-2005-0013842U 2005-05-17 2005-05-17 코일 권취기 KR200393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842U KR200393164Y1 (ko) 2005-05-17 2005-05-17 코일 권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842U KR200393164Y1 (ko) 2005-05-17 2005-05-17 코일 권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164Y1 true KR200393164Y1 (ko) 2005-08-19

Family

ID=4369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842U KR200393164Y1 (ko) 2005-05-17 2005-05-17 코일 권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1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49B1 (ko) 2011-03-08 2012-11-07 손남옥 코일권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49B1 (ko) 2011-03-08 2012-11-07 손남옥 코일권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333B1 (ko) 트로이드의 트로이덜 코일 권선장치
WO2017022418A1 (ja) 線材撚り装置及び撚り線の製造方法
CN201703910U (zh) 线材卷绕装置
KR101511113B1 (ko) 장력조정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스트링 와인딩 머신
JP7083705B2 (ja) 巻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巻線方法
KR200393164Y1 (ko) 코일 권취기
KR101446440B1 (ko) 고무줄끈 제조장치
KR20070081808A (ko) 와인더의 트래버스 권취장치
JP2014143311A (ja) 巻線機
EP0168918A2 (en) Manufacture of fabric, especially for tyre reinforcement
KR101406310B1 (ko) 꼬임실 제조장치
KR101875108B1 (ko) 연사기에서 제조된 원사의 와인딩장치
KR100585975B1 (ko) 코일 권취기
JP5987787B2 (ja) シールド電線製造装置及びシールド電線製造方法
JP6076826B2 (ja) フライヤー式巻線装置
KR101463902B1 (ko) 저강도 금속선 와인딩 장치
US4089479A (en) Package winding machine
JP3365145B2 (ja) 巻線装置
CN105984749B (zh) 连续输送纱线并在锥形卷绕纱筒上卷绕纱线的纺织机器
JP5923476B2 (ja) 柄経糸用部分整経機
JP2015232950A (ja) ツイスト線製造装置
WO2020119906A1 (en) Warping and rope manufacturing machine for a rope and corresponding use
JP2012069678A (ja)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EP3003938B1 (en) A module for a machine for producing bobbins of yarn
JP2005247562A (ja) コイル巻線方法及びコイル巻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