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598B1 -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598B1
KR100585598B1 KR1020040020992A KR20040020992A KR100585598B1 KR 100585598 B1 KR100585598 B1 KR 100585598B1 KR 1020040020992 A KR1020040020992 A KR 1020040020992A KR 20040020992 A KR20040020992 A KR 20040020992A KR 100585598 B1 KR100585598 B1 KR 100585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image data
standard
stor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720A (ko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598B1/ko
Priority to US11/005,105 priority patent/US20050216435A1/en
Publication of KR2005009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12Mechanical dr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speed ratio
    • B23Q5/14Mechanical dr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speed ratio step-by-step
    • B23Q5/142Mechanical dr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speed ratio step-by-step mechanically-oper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3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two dimensiona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6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marking or otherwise tagging one or more displayed image, e.g. for selective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표준 폴더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화상으로부터 이동되어 저장되는 패이보리트 폴더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폴더에 저장된 상기 화상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특정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와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간에 이동시키고,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페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Digital camera and method of managing folder of digital camera}
도 1은 카메라의 주요 모듈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메모리 카드(50)내 표준 폴더(100)와 패이보리트 폴더(200)의 기본 구조이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측의 개략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핫키가 눌린 경우에 표준 폴더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로의 파일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를 참조하면서, 핫키 또는 메뉴 키 등을 통해 표준 폴더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화상을 선택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b는, 화상 데이터의 섬네일을 참조하면서, 핫키 또는 메뉴 키 등을 통해 표준 폴더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화상을 선택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핫키가 눌린 경우에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표준 폴더로의 파일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는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를 참조하면서, 핫키 또는 메뉴 키 등을 통해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킬 화상을 선택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7b는, 화상 데이터의 섬네일을 참조하면서, 핫키 또는 메뉴 키 등을 통해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킬 화상을 선택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의 포괄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중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표준 폴더의 파일을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중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표준 폴더의 파일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중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패이보리트 폴더의 파일을 표준 폴더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중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패이보리트 폴더의 파일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표준 폴더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10: 제어부,
20: 조작부,
21, 22: 핫키.
30: 화상처리부,
40: DRAM,
50: 메모리 카드,
60: 표시부,
70: 전원블록,
80: 발광부,
90: 인터페이스,
100: 표준 폴더(Standard folder),
200: 패이보리트 폴더(Favorite folder),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용이한 검색을 위한 패이보리트 폴더(favorite folder)를 가진 디지털 카메라와, 패이보리트 폴더를 가진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한 화상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컴팩트 플레시, 메모리 스틱 등의 착탈식 메모리 장치 또는 내장형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며, 이러한 착탈식 메모리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의 화상의 고정밀 정세화 추세 및 집적기술의 발달로 그 기억용량이 더욱 비약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리고, 기억용량의 대형화로 인해,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는 촬영한 사진을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기 보다는, 디지털 카메라에 포함된 메모리 장치에 그대로 보관해 두면서 재생하는 경향이 많아졌다.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사진의 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자는 많은 사진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사진을 찾아내기가 곤란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속히 원하는 사진을 검색할 수 있도록,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thumbnail) 화상을 나열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메모리 용량의 대형화 또는 저장되는 이미지의 해상력 변경 등에 의해 사진의 수가 무수히 많을 경우에는 이러한 리스트 또는 섬네일 화상의 나열만으로는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재생을 원하는 사진을 찾아내기 어렵다.
사용자가 화상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274341호에는 원래의 본화상을 축소한 화상을 기록하는 패이보리트 폴더를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는 파일은 본화상보다 작은 사이즈의 파일(예컨대 섬네일 파일)이며, 본화상이 삭제되어도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파일은 삭제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패이보리트 폴더는 본화상과는 별도로 축소된 화상 및 그 이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공간으로서, 본화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색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섬네일 파일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 및 기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여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폴더를 관리할 필요 없이, 디지털 카메라 내에, 촬영된 화상 데이터와 동일한 포맷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별도의 패이보리트 폴더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사진을 검색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및 폴더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표준 폴더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화상으로부터 이동되어 저장되는 패이보리트 폴더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폴더에 저장된 상기 화상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특정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와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간에 이동시키고,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페이보리트 폴더 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메모리는 촬영된 화상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표준 폴더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화상의 데이터가 이동되어 저장되는 패이보리트 폴더를 가진다. 사용자는 표준 폴더와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을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으며, 자신이 특별히 소중하게 간직하고자 하는 화상을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해 둠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한 검색 및 다운 로드가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통해,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작부는,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으로는 예컨대,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재생 모드에서(또는 촬영 모드중 사용자가 촬영한 직후 일시적으로 LCD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몇초간의 일시 재생 모드에서) LCD 표시부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보던 도중,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누르면, 제어부는 현재 표준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킨다.
컴팩트형 카메라에 부착된 한정된 개수의 키(버튼)를 이용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를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콘솔 입력 방식으로서는, 핫 키를 누르는 순간 해당 화상 데이터가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되거나, 또는, 메뉴 키를 조작에 의하여, 복수의 버튼을 동시에 느르는 조합에 의하여, 하나의 버튼이 더블 클릭되는 등의 콘솔 입력 방식에 의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가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킨 후,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한다. 즉, 선입후출(FILO)의 순차에 따라서, LCD 표시부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통해 표준 폴더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되면, LCD 표시부는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그 다음의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된 화상의 최신의 순서에 따라(즉, 촬영되어 저장된 순서에 대해 역순으로) LCD 표시부로 출력된 화상을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통해,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일부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 후, 그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상기 표준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키기는 명령 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상기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준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보면서, 메뉴 키를 눌러서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특정 화상 데이터들을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는 선택된 파일만을 표준 폴더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화상 데이터가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것임을 편리하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화상의 일부분에 소정의 표시(예컨대, 'ⓕ' 표시)를 할 수 있는 데이터를 부가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는,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의 출력시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따른 표시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들을 LCD 표시부를 통해 보면서, 예컨대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눌러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표준 폴더로 되돌려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이포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상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킨 후,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한다. 즉, 선입후 출(FILO)의 순차에 따라서, LCD 표시부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통해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표준 폴더로 이동되면, LCD 표시부는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그 다음의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의 최신의 순서에 따라(즉, 표준 폴더로부터 이동되어 저장된 순서에 대해 역순으로) LCD 표시부로 출력된 화상을 표준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는,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 데이터가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화상 데이터가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것임을 편리하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화상의 일부분에는 소정의 표시(예컨대, 'ⓕ' 표시)를 할 수 있는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통해,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일부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 후, 그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상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화상 데이터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키기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상기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보면서, 메뉴 키를 눌러서 표준 폴더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특정 화상 데이터들을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는 선택된 파일만을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킨다.
화상의 일부분에 소정의 표시(예컨대, 'ⓕ' 표시)를 할 수 있는 데이터가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던 화상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선택된 파일들을 표준 폴더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소정의 표시(예컨대, 'ⓕ' 표시)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은,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에 있어서, 표준 폴더에 저장되는 파일과 동일한 포맷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패이보리트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와;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와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간에 이동시키는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폴더 관리 방법은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계는 현재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준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LCD 표시부를 통해 지켜보면서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키를 통해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이동단계에서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현재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준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킨 후,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한다. 즉, 선입후출(FILO)의 순차에 따라서, LCD 표시부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통해 표준 폴더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되면, LCD 표시부는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그 다음의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된 화상의 최신의 순서에 따라(즉, 촬영되어 저장된 순서에 대해 역순으로) LCD 표시부로 출력된 화상을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통해,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일부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 후, 그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상기 표준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표준 폴더와 패이보리트 폴더간의 파일 이동단계는,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또는 섬네일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 또는 섬네일의 리스트를 상기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화상 데이터 또는 섬네일의 리스트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들을 LCD 표시부를 통해 보면서, 예컨대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눌러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표준 폴더로 되돌려 놓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폴더 관리 방법은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계는 현재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상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이동단계에서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현재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상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킨 후,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선입후출(FILO)의 순차에 따라서, LCD 표시부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통해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표준 폴더로 이동되면, LCD 표시부는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그 다음의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의 최신의 순서에 따라(즉, 표준 폴더로부터 이동되어 저장된 순서에 대해 역순으로) LCD 표시부로 출력된 화상을 표준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소정의 핫키 또는 메뉴 키를 통해,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일부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 후, 그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상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폴더 관리 방법에서,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상기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부는 선택된 파일만을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화상 데이터가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것임을 편리하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는, 화상의 일부분에 소정의 표시(예컨대, 'ⓕ' 표시)를 할 수 있는 데이터를 부가될 수 있다. 그리고,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표준 폴더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소정의 표시(예컨대, 'ⓕ' 표시)는 해당 화상 데이터에서 삭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및 폴더 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카메라의 주요 모듈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내부 블록도이다.
제어부(10)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본 카메라를 통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시스템 콘트롤러로 이루어지며, 조작부(20)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기초 하여 카메라(1)내의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등이 임시 저장되어 있는 내부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20)는 사용자가 카메라(1)에 대해서 각종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카메라(1)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스위치, 메뉴 화면의 표시를 지시하는 메뉴 키, 메뉴 항목의 선택 조작 및 커서 이동 조작이나 재생 화상의 이송,복귀의 지시 등을 입력하는 키, 선택 항목의 확정이나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실행 키, 선택 항목 등 소망하는 대상의 소거나 지시 내용의 취소를 실행하기 위한 취소 키 등의 키 스위치, 전원 스위치, 줌 스위치, 릴리즈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의 전원블록(70)에서, 전원은 DC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다. 배터리로는 2차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DC 입력 단자(71) 또는 배터리(7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DC/DC 변환기 및 레귤레이터 등을 포함하는 전원 회로에 의해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된 후, 카메라 내부의 각 회로부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블록(70)은 배터리의 잔량 컴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전압 검출 회로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회로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0) 전압 제어부에 대하여 명령을 보내어, 충전 동작의 제어 등 전원블록(7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전원블록(70)으로부터 사용되는 전원의 종류나 배터리 전압 등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전원블록(70) 및 내부 회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조작부로부터의 입력 신호 등에 기초하여, 카메라(1)의 상태를 판단하고, 그 상태에 따라 발광부(80)의 발광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카메라(1)는 퍼스널 컴퓨터 및 기타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90)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90)에는 예컨대, USB, IEEE1394, Bluetooth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카메라(1)의 촬영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촬영렌즈(31)를 통과한 광은 CCD 고체촬상소자(32;이하, CCD라고 호칭한다)에 입사된다. CCD(32)의 수광면은 다수의 포토센서가 평면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베이어 배열 이외의 소정의 컬러 필터 배열 구조를 구비하고있다. 또한, CCD(32) 대신에 CMOS 이미지 센서 이외의 촬상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도 있다. 촬영렌즈를 통하여 CCD의 수광면에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은 각 포토센서에 의해서 입사 광량에 따른 양의 신호 전하로 변환된다. 각 포토 센서에 축적된 신호전하는 CCD 드라이버(33)로부터 더해지는 리드 게이트 펄스에 의해서 시프트 레지스터로 판독되어, 레지스터 전송펄스에 의해서 신호전하에 따른 전압신호로서 순차 판독된다. CCD(32)는 셔터 게이트 펄스의 타이밍에 의해서 각 포토센서의 전하 축적시간(셔터 스피드)을 제어하는, 소위 전자셔터 기능을 가지고 있다.
CCD(3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아날로그 처리부(34)로 보내어져서, 상관 이중 샘플링(Correlation Double Sampling) 처리, 색분리, 이득 조정 등의 처리가 행해진 후, A/D 변환기(35)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화상 처리부로 보내진다. 타이밍 제네레이터(36;TG)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지령에 따라서 CCD 드라이버(33), 아날로그 처리부(34) 및 A/D 변환기(35)에 대해서 동기 구동용의 타이밍 신호를 주고 있고, 이 타이밍 신호에 의해서 각 회로의 동기가 취해진다.
화상 처리부(30)는 휘도 및 색차 신호 생성회로, 감마보정회로, 윤곽보정회로, 화이트 밸런스 보정회로 등을 포함하는 화상신호 처리수단으로서, 시스템 콘트롤러로부터 주어지는 명령에 따라 화상신호를 처리한다. 화상 처리부(30)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휘도신호(Y 신호) 및 색차신호(Cr, Cb 신호)로 변환됨과 동시에, 감마보정 등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후, DRAM(40)에 기억된다.
촬영 화상을 LCD 패널(60)에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DRAM(40)으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어, 버스를 통해 제어부(10)로 전송된다. 또한, DRAM(40)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및 DRAM(40)으로의 데이터 전송은 제어부(10)의 메모리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DRAM(40)으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는 표시용의 소정 방식의 신호(예컨대, NTSC 방식의 컬러 복합 영상 신호)로 변환됨과 동시에, D/A 변환기(64)에 의해서 아날로그 형식의 신호로 변환된다.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환, 생성된 표시용 신호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드라이버(62)로 보내어져서, 필요한 신호변환을 거쳐 LCD 패널로 출력됨으로써 LCD 패널에 화상 내용이 표시된다. 카메라에 실장되는 표시 수단은 LCD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 및 기타 컬러 표시가 가능한 다른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환, 생성된 표시용 신호는 비디오 앰프를 통하여 영상출력단자(VIDEO OUT)로 출력된다. 영상출력단자에 텔레비젼 모니터 장치 등의 외부 화상표시장치를 접속함으로써, 화상 신호의 외부 출력이 가능해진다.
조작부(20)의 릴리즈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촬영모드에서 릴리즈 스위치가 눌려지면, 자동 초정 기능 및 촬영 개시 기능이 실행된다. 릴리즈 스위치는 절반 가압시에 눌리는 제1 스위치(S1)와 전체 가압시 눌리는 제2 스위치(S2)를 포함하는 2단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는 릴리즈 스위치의 절반 가압을 감지하면 자동 초점 조절(Auto Focus) 및 자동 노출(Auto Exposure)제어를 행하고, 릴리즈 스위치의 전체 가압을 감지하면 기록용의 화상을 취입하기 위한 CCD 노광 및 판독 제어를 개시한다.
화상 처리부(30)는 자동 초점(AF) 조절 제어 및 자동 노출(AE) 제어에 필요한 연산을 행하는 오토 연산부로서 기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입력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초점 평가값 연산이나 자동 노출 연산 등을 수행한 후, 그 연산 결과를 제어부(10)로 전달한다. 제어부(10)는 오토 연산부로부터 받아들이는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경통부의 각종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촬영 광학계의 포커스 조정용 렌즈를 초점 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조리개를 적정 조리개값으로 설정하고, 기계적 셔터 및 CCD의 전하 축적 시간(전자 셔터)을 제어한다. 또한, 시스템 콘트롤러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지령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 발광수단(스트로브)의 발광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릴리즈 스위치(10)의 전체 가압시(S2=ON)에 따라 취입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부(30)에서 휘도 및 색상 처리가 된 후 필요에 따라 압축된 다음에 DRAM(40)에 저장된다. DRAM(40)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어부(10)를 통해 메모리 카드(50)에 기록된다. 데이터의 압축 형식은 JPEG 방식을 포함한 MPEG 및 기타 방식으로 압축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를 재생모드로 설명하면, 메모리 카드(50)에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파일이 제어부(10)를 통하여 판독된다. 재생 대상인 파일은 표시용의 신호로 변환된 후, LCD 콘트롤러를 통하여 LCD 패널로 출력된다. 또한, 영상 출력단자에 텔레비젼 모니터 장치 그 외의 외부 표시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외부 표시장치에 재생 화상이 표시된다. 이러한 재생 중에, 화살표키를 조작함으로써 재생 대생인 파일을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에서, 메모리 카드(50)는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표준 폴더 이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화상으로부터 이동되어 저장되는 패이보리트 폴더를 추가로 포함하며, 메모리 카드(50)내의 패이보리트 폴더는 제어부(10)가 생성시킨다.
도 2는 메모리 카드(50)내 표준 폴더(100)와 패이보리트 폴더(200)의 기본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디지털 카메라용 파일(DCF)을 위한 폴더 구조는 기본 폴더(DCIM) 및 일반 파일이 저장되는 폴더(100; 이하, 표준 폴더라 한다)를 가지고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1)에서는 표준 폴더(100) 이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표준 폴더(100)로부터 이동시켜 저장하는 패이보리트 폴더(2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60)는 일반적인 재생 모드에서는 상기 표준 폴더(100)에 저장된 화상을 출력하며, 검색을 위한 경우에는 패이보리트 폴더(200)에 저장된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20)는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특정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핫키 또는 메뉴키, 화살표 키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0)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하여, 촬영된 피사체의 화 상 데이터를 표준 폴더(100)와 패이보리트 폴더(200)간에 이동시키고, 표준 폴더(100) 또는 페이보리트 폴더(20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60)로 출력시킨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측의 개략도이다. 조작부(20) 중에서 핫키(21), 화살표 키 또는 메뉴 키(22), 릴리즈 스위치(23)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표시부(60)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측에 LCD 표시창으로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핫키(21) 또는 화살표 키(22)를 이용하여 표준 폴더(100)와 패이보리트 폴더(200) 중 어느 한 폴더를 검색할 수 있고, 표준 폴더(100)와 패이보리트 폴더(200) 사이에서 현재 표시되는 한 파일이나 선택한 복수의 파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a, 도 4b,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핫키가 눌린 경우에 표준 폴더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로의 파일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의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면, 표시부(60)에는 일시적으로(예를 들어 3 ~ 5 초) 최근에 찍힌 사진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사진의 화상 데이터 SV4003.JPG는 촬영된 직후 표준 폴더(100)에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50)내의 폴더구조에서는 예전에 저장되어 있던 화상 데이터 SV4001.JPG, SV4002.JPG에 더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 SV4003.JPG가 추가된다. 디지털 카메라(1)의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표시부(60)에 일시적으로(예를 들어 3 ~ 5 초) 최근에 찍힌 사진이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가 핫키(21)를 누르면, 제어부(10)는 표시부(60)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의 데이터를 표준 폴더(100)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4a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의 재생 모드에서, 표시부(60)에는 최근에 찍힌 사진이 표시된다. 메모리 카드(50)내의 폴더구조에서는 화상 데이터 SV4001.JPG, SV4002.JPG, SV4003.JPG가 저장되어 있다.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화상들을 보던 중, 사용자가 핫키(21)를 누르면, 제어부(10)는 표시부(60)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의 데이터를 표준 폴더(100)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시킨다. 도 4b는 도 4a에서 핫키(21)가 눌려져 화상 데이터 SV4003.JPG가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다. 실제 메모리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SV4003.JPG가 저장되어 있는 시작 어드레스가 표준 폴더(100)의 파일 할당 정보에서 삭제되고 패이보리트 폴더(200)의 파일 할당 정보에 추가되는 것으로 파일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재생 모드에서는, 화상 데이터 SV4003.JPG가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하면, 표시부(60)에는 표준 폴더(100)에서 그 다음의 최신 화상인 SV4002.JPG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핫키(21)를 누르면, 제어부(10)는 도 4c와 같이 표준 폴더(100)의 SV4002.JPG를 표준 폴더(100)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시킨다. 재생 모드에서는, 화상 데이터 SV4002.JPG가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한 후, 표시부(60)에는 표준 폴더에서(100) 그 다음의 최신 화상인 SV4001.JPG가 표시된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조작부(60)를 통하여 사용자가 표준 폴더(10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표시부(60)에 출력하도록 하면, 조작부(60)로부터 표시 명령이 제어부(10)로 송신되고, 사용자는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 중 어느 것을 표시부(60)에 표시된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참조하면서, 핫키(21) 또는 메뉴 키(23) 등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표준 폴더(100)의 리스트를 보던 중에 화상 데이터 SV4002.JPG, SV4003.JPG에, 조작부(20)를 통해, 체크를 하면 표준 폴더(100)내의 화상 데이터 SV4002.JPG, SV4003.JPG가 선택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조작부(20)를 통해, 이동 명령을 하면 화상 데이터 SV4002.JPG, SV4003.JPG는 표준 폴더(100)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된다. 도 5b는 같은 동작이, 리스트가 아니라 섬네일로 표시되고, 섬네일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고 이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점 외에는 도 5a의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핫키가 눌린 경우에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표준 폴더로의 파일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디지털 카메라(1)의 재생 모드 중 사용자가 패이보리트 폴더를 보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표시부(60)에는 패이보리트 폴더(200)내에서 최근에 저장된 사진이 표시된다. 메모리 카드(50)내의 폴더구조에서는 표준 폴더(100)에 화상 데이터 SV4001.JPG가 저장되어 있고, 패이보리트 폴더(200)에 화상 데이터 SV4002.JPG, SV4003.JPG가 저장되어 있다.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화상들을 보던 중, 사용자가 핫키(22)를 누르면, 제어부(10)는 표시부(60)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의 데이터를 패이보리트 폴더(200)로부터 표준 폴더(100)로 이동시킨다. 도 6b는 도 6a에서 핫키(22)가 눌려서 화상 데이터 SV4002.JPG가 표준 폴더(100)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다. 실제 메모리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SV4003.JPG가 저장되어 있는 시작 어드레스가 패이보리트 폴더(100)의 파일 할당 정보에서 삭제되고 표준 폴더(100)의 파일 할당 정보에 추가되는 것으로 파일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재생 모드에서는, 화상 데이터 SV4002.JPG가 표준 폴더(100)로 이동하면, 표시부(60)에는 패이보리트 폴더(100)에서 그 다음의 최신 화상인 SV4003.JPG가 표시된다.
도 7a와 도 7b는, 각각 조작부(60)를 통하여 사용자가 패이보리트 폴더(10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표시부(60)에 출력하도록 하면, 조작부(60)로부터 표시 명령이 제어부(10)로 송신되고, 사용자는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 중 어느 것을 표시부(60)에 표시된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참조하면서, 핫키(22) 또는 메뉴 키(23) 등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패이보리트 폴더(200)의 리스트를 보던 중에 화상 데이터 SV4001.JPG, SV4002.JPG에, 조작부(20)를 통해, 체크를 하면 패이보리트 폴더(200)내의 화상 데이터 SV4001.JPG, SV4002.JPG가 선택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조작부(20)를 통해, 이동 명령을 하면 화상 데이터 SV4001.JPG, SV4002.JPG는 패이보리트 폴더(200)로부터 표준 폴더(100)로 이동된다. 도 7b는 같은 동작이, 리스트가 아니라 섬네일로 표시되고, 섬네일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고 이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점 외에는 도 7a의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의 포괄적인 실시예 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의 순서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 관리 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10)가 메모리 카드(50)의 폴더 구조를 확인하고 메모리 카드(50) 내에 패이보리트 폴더(2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 제어부(10)는 패이보리트 폴더(200)가 부존재하다고 판단되면, 매모리 카드(50)에 패이보리트 폴더(200)를 생성한다(S20).
촬영모드에서, 사용자가 피사체를 향해 릴리즈 스위치를 살짝 눌러서 절반 가압하여 S1 스위치가 온되면, 제어부(10)는 자동 초점 조절 및 자동 노출 조절을 한다. 사용자가 릴리즈 스위치를 완전히 눌러서 전체 가압하여 S2 스위치까지 온되면, 제어부(10)는 셔터를 소정 시간동안 개폐하여 CCD(32)의 촬상 소자에 촬상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한다. CCD(3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아날로그 처리부(34)로 보내어져서, 상관 이중 샘플링(Correlation Double Sampling) 처리, 색분리, 이득 조정 등의 처리가 행해진 후, A/D 변환기(35)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화상 처리부로 보내진다. 화상 처리부(30)는 휘도 및 색차 신호 생성회로, 감마보정회로, 윤곽보정회로, 화이트 밸런스 보정회로 등을 포함하는 화상신호 처리수단으로서, 제어부(10)로부터 주어지는 명령에 따라 화상신호를 처리한다. 화상 처리부(30)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휘도신호(Y 신호) 및 색차신호(Cr, Cb 신호)로 변환됨과 동시에, 감마보정 등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후, DRAM(40)에 기억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DRAM(40)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50)의 표준 폴더(100)에 기록하고,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LCD 패널(60)을 향해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S30).
그리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표준 폴더(100)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시키거나, 패이보리트 폴더(200)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표준 폴더(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S40). 이 단계(S40)에서, 폴더간의 이동에 대해서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보다 자세히 다룬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중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표준 폴더의 파일을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릴리즈 스위치를 눌러 피사체를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면, 제어부(10)는 화상 데이터를 표준 폴더(100)에 저장한다(S30). 이어서, 디지털 카메라(1)의 현재 모드가 촬영 모드(Record Mode)인 경우에는, 방금 촬영된 화상을 표시부(60)를 통해 대략 3 ~ 5초 정도 표시한다. 디지털 카메라(1)의 현재 모드가 재생 모드(Playback Mode)인 경우에는, 최근에 촬영된 순서대로 화상을 표시부(60)를 통해 표시한다(S31). 다음에, 사용자가 현재 표시부(6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화상을 핫키(22) 또는 메뉴키(22)를 누르면, 제어부(10)는 해당 화상의 데이터를 표준 폴더(100)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시킨다. 실제로는 메모리 카드(50)내의 메모리 구조에서, 예를 들어, SV4003.JPG가 저장되어 있는 시작 어드레스를 표준 폴더(100)의 파일 할당 정보에서 삭제시키고 패이보리트 폴더(200)의 파일 할당 정보에 추가시키는 것으로 파일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이어서, 디지털 카메라(1)가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계속해서 촬영 대기 상태 로 돌아가고,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표준 폴더에서 삭제된 화상을 제외한 최신의 화상을 표시한다(S51).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중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표준 폴더의 파일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릴리즈 스위치를 눌러 피사체를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면, 제어부(10)는 화상 데이터를 표준 폴더(100)에 저장한다(S30). 이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최근에 촬영된 순서대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나 섬네일을 표시부(60)를 통해 표시한다(S32). 다음에, 사용자가 현재 표시부(6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나 섬네일에 대해 핫키(22) 또는 화살표 키나 메뉴키(23)를 눌러 선택하면(S42), 제어부(10)는 선택된 화상들의 데이터를 표준 폴더(100)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시킨다(S43). 그 밖의 사항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중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패이보리트 폴더의 파일을 표준 폴더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예전에 표준 폴더(100)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시켜 두었던 화상을 표시하도록 핫키(22) 또는 메뉴키(23)를 누르면, 디지털 카메라(1)는 패이보리트 폴더의 재생 모드로 되고(S25), 표시부(60)를 통해 패이보리트 폴더의 최신 화상이 표시된다(S35).
이어서, 사용자가 현재 표시부(6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화상을 보고 핫키(21) 또는 메뉴키(22)를 누르면, 제어부(10)는 해당 화상의 데이터를 표준 폴더(100)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시킨다(S45).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중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패이보리트 폴더의 파일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표준 폴더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예전에 표준 폴더(100)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200)로 이동시켜 두었던 화상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표시하도록 핫키(22) 또는 메뉴키(23)를 누르면, 디지털 카메라(1)는 패이보리트 폴더의 재생 모드로 되고(S25), 표시부(60)를 통해 패이보리트 폴더의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나 섬네일을 표시한다(S36).
사용자가 표시부(60)에 표시된 패이보리트 폴더의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나 섬네일에 대해 핫키(22) 또는 화살표 키나 메뉴키(22)를 눌러 선택하면(S46), 제어부(10)는 선택된 화상들의 데이터를 패이보리트 폴더(200)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100)로 이동시킨다(S47).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단계 S36으로 회귀하여 계속해서 이동시킬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 밖의 사항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상기 화상 데이터가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것임을 편리하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는, 화상의 일부분에 소정의 표시(예컨대, 'ⓕ' 표시)를 할 수 있는 데이터를 부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부는 화상의 출력시에 표시 데이터에 따른 표시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예를 들어, 화상을 출력할 때 화면의 우측 상단에 'ⓕ' 표시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표준 폴더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소정의 표시(예컨대, 'ⓕ' 표시)는 해당 화상 데이터에서 삭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일부 구성요소의 부가, 삭감, 변경, 수정 등이 있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및 폴더 관리 방법에 의하면, 촬영된 화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반적인 표준 폴더 뿐 아니라, 촬영된 화상 데이터와 동일한 포맷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별도의 패이보리트 폴더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호하는 화상을 표준 폴더로부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및 폴더 관리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촬영 모드에서는 방금 찍은 사진이 일시적으로 표시되고 있는 도중에 즉시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재생 모드에서는 최근의 사진이 표시되고 있는 도중에 즉시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재생 모드에서 표준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의 리스트 또 는 섬네일을 보면서, 선호하는 화상을 선택한 후 일괄적으로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자신이 패이보리트 폴더를 검색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화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시 표준 폴더로 복귀시킬 수 있다.

Claims (24)

  1.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표준 폴더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된 화상으로부터 이동되어 저장되는 패이보리트 폴더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폴더에 저장된 상기 화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폴더에 저장된 화상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특정 화상을 선택하거나, 상기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출력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와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간에 이동시키고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폴더간 이동후에 상기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조작부에 의해 조작된 상기 폴더의 화상 데이터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때,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부가시켜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준 폴더 또는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또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상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또는 화상 데이터 리스트의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 또는 화상 데이터 리스트를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 또는 표준 폴더로 이동시키기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섬네일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섬네일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화상의 출력 시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따른 표시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3.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으로서,
    표준 폴더에 저장되는 파일과 동일한 포맷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패이보리트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와;
    피사체의 촬영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표준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다라 상기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와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간에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준 폴더 또는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폴더간 이동 후에 상기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상기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을 표시하거나,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준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 이동시킬 때,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부가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이동단계에서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현재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로부터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 또는 상기 표준 폴더로 이동시킨 후,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이동된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최신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 또는 표준 폴더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표준 폴더 또는 상기 패이보리트 폴더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또는 섬네일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40020992A 2004-03-27 2004-03-27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KR100585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992A KR100585598B1 (ko) 2004-03-27 2004-03-27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US11/005,105 US20050216435A1 (en) 2004-03-27 2004-12-06 Digital camera and method of managing folder of digital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992A KR100585598B1 (ko) 2004-03-27 2004-03-27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720A KR20050095720A (ko) 2005-09-30
KR100585598B1 true KR100585598B1 (ko) 2006-06-07

Family

ID=3499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992A KR100585598B1 (ko) 2004-03-27 2004-03-27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216435A1 (ko)
KR (1) KR100585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458A (ko) * 2006-06-22 2007-1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편리한 파일 분류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414A (ja) * 2003-06-30 2005-02-10 Fuji Photo Film Co Ltd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装置、撮像装置及び記録媒体
US7822917B2 (en) * 2005-06-10 2010-10-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ss storage system with user interface
JP2008097537A (ja) * 2006-10-16 2008-04-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478892B2 (ja) * 2007-07-11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送信プログラム
KR102166331B1 (ko) * 2013-08-30 202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후 빠른 재생을 구현하는 단말기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918A (en) * 1997-01-08 1999-01-19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removable memory in a digital camera
JP2002278996A (ja) * 2001-03-22 2002-09-27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7053936B2 (en) * 2001-04-23 2006-05-30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and photographic information data file management method
JP4032780B2 (ja) * 2002-03-13 2008-0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記録装置
TW200508858A (en) * 2003-08-20 2005-03-01 Primax Electronics Ltd File management method for a digita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458A (ko) * 2006-06-22 2007-1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편리한 파일 분류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720A (ko) 2005-09-30
US20050216435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1629B2 (en) Digital camera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4045525B2 (ja) 画質選択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US755847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orting method
JP4158304B2 (ja) 画像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カメラ
JP4168268B2 (ja) 電子機器
JP2001211421A (ja) 画像管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カメラ
JP4189820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KR100585598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의 폴더 관리 방법
JP3807007B2 (ja) デジタルカメラ用アクセサリー
JP2005117369A (ja) 動画記録装置および動画再生装置並びにデジタルカメラ
JPH11313279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システム
JP4434449B2 (ja) 電子カメラ
JP4253396B2 (ja) 電子カメラ装置
JP391822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5033454A (ja) 撮影装置
JP4565276B2 (ja) カメラ及びそのモード切換方法
JP4433297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JP2002223403A (ja) 電子カメラ
JP2005275978A (ja) 撮影装置
JP4653939B2 (ja) 画像再生装置
JP3913046B2 (ja) 撮像装置
JP4505857B2 (ja) 電子カメラ
JP442368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5117114A (ja) 電子カメラ及び動画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5229538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