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132B1 -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132B1
KR100584132B1 KR1020050056648A KR20050056648A KR100584132B1 KR 100584132 B1 KR100584132 B1 KR 100584132B1 KR 1020050056648 A KR1020050056648 A KR 1020050056648A KR 20050056648 A KR20050056648 A KR 20050056648A KR 100584132 B1 KR100584132 B1 KR 100584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vehicle
vertical
horizontal
car 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원
Original Assignee
윤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원 filed Critical 윤형원
Priority to KR102005005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horizo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는, 수평브러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위치검출부와; 상기 위치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차량 측면 높이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높이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압력 최적값으로 수직브러시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의 수평브러시 위치 검출을 통한 제어는, 세차기의 수평 이동거리를 검출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수평브러시의 인상거리를 검출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차량 측면의 높이를 계산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차량 측면 높이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압력 최적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압력 최적값으로 수직브러시의 압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차프로그램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브러시, 수직브러시, 위치검출부, 이동거리검출부, 인상거리검출부

Description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CONTROL DEVICE FOR AUTOMATED CAR WASHING MACHINE}
도 1 은 통상의 자동 세차기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 세차기의 주요 구성부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장치의 개략도,
도 5 는 수평브러시의 이동 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차량의 측면을 그 높이에 따라 세분한 구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차량의 측면 구간에 따른 압력 최적값을 나타낸 도면,
도 8 은 차량의 측면 구간에 따른 압력 최적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9 는 건조노즐의 이동 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 발명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6 : 본체구동장치 7 : 인상구동장치
8 : 압력조절장치 8a : 실린더
8b : 수평로드 8c : 솔레노이드밸브
9 : 건조노즐 10 : 위치검출부
10a : 이동거리검출부 10b : 인상거리검출부
20 : 제어부 30 : 기준값 DB
40 : 구동부 50 : 전류검출부
52 : A/D 컨버터
본 발명은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브러시의 위치 검출에 의해 수직 브러시의 압력을 제어하여 차량의 측면 높이에 따른 압력 최적값을 제공하고, 건조노즐을 수평브러시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세차기는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세차기 본체가 이동하는 문형 세차기와, 세차기 본체는 정지되어 있고 차량이 이동하면서 세차기 이루어지는 터널형 세차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는 문형 세차기 및 터널형 세차기 모두에 적용가능하나,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문형 세차기에 적용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종래의 자동 세차기(문형)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세차기는, 차량이 통과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가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는 레일(2), 그리고, 상기 본체(1)에 연결되어 세척작용을 수행하는 수평브러시(4)와 수직브러시(5)를 구비하며, 각종 약품이 나 샴푸등을 분사하는 노즐들이 본체(1)에 설치되고, 차량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노즐과, 고압공기에 의해 차량의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장치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문형 세차기의 분사기와 세척용 브러시 그리고 건조공정을 위한 노즐들의 각 구조와 배치 및 동작에 관하여는 특허공보 공고번호 1993-0004782 호, 1993-0004786 호 및 1995-001051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0150430 호와 제 0157939 호,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999-0069042 등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기존의 세차 방식은 공압을 이용한 에어 실린더 방식과,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한 브러시 각도에 의한 검출 방식, 그리고 전류검출기를 이용한 방식들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차의 면적을 무시한 세차 방식으로 차종 또는 차체의 측면 면적에 무관하게 동일한 압력으로 세차를 수행하기 때문에, 면적이 작은 범퍼 또는 본네트 구간이나 차량의 후방측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여 차체 표면에 스크래치등의 손상을 가져오고, 사람이 탑승하는 구역의 측면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세차 압력으로 인하여 세척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 세차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차량의 측면 높이에 따라 최적의 세차 압력을 제공하여 차량의 손상 및 세척력 저하를 막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노즐이 수평브러시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건조력을 증대시키고 건조노즐이 차체 또는 각종 차량 부착물들과의 충돌 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는, 수평브러시(4)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위치검출부(10)와; 상기 위치검출부(1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차량 측면 높이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높이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압력 최적값으로 수직브러시(5)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명령에 따라 수직브러시(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력조절장치(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의 제어는, 세차기의 수평 이동거리를 검출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수평브러시(4)의 인상거리를 검출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차량 측면의 높이를 계산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차량 측면 높이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압력 최적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압력 최적값으로 수직브러시(5)의 압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차프로그램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 및 작동관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는, 위치검출부(10), 제어부(20), 기준값 DB(30), 구동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검출부(10)는 수평브러시(4)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한다. 상기 위치검출부(10)는 이동거리검출부(10a)와, 인상거리검출부(10b)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거리검출부(10a)는 수평브러시(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부분으로, 세차기 본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본체구동장치(6)에 설치되는 거리 측정 센서이다. 상기 이동거리검출부(10a)로서 사용되는 센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컨대, 엔코더,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상거리검출부(10b)는 수평브러시(4)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부분으로, 차량의 굴곡에 따라 수평브러시(4)가 상하 이동할때 인상축에 장착되는 거리 측정 센서이다. 상기 인상거리검출부(10b)로서 사용되는 센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컨대, 엔코더, 근접센서, 와이어 센서, 또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0)는 마이크로컴퓨터와 메모리부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다양한 처리기구를 이용하여, 선택된 세차 코스에 따라 정해진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자동 세차기의 전체 구동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검출부(10)로부터 수평브러시(4)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측면 높이를 계산하고, 수직브러시(5)를 상기 계산된 차량 측면에 상응하는 압력 최적값으로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에는 정해진 프로그램 데이터나 상기 위치검출부(10)에 의해 감지되어 전달된 위치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기준값 DB(30)에는 차량 측면의 높이에 따른 수직브러시(5)의 압력 최적값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다. 여기에 저장되는 압력 최적값은 수직브러시(5)의 회전시 회전모터에 걸리는 부하전류로 표현된다. 위치검출부(10)로부터 위치정보가 제어부(20)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차량 측면의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 높이에 상응하는 압력 최적값을 상기 기준값 DB(30)로부터 선택/추출하고 후술하는 구동부(40)에 제어 신호를 보내 수직브러시(5)의 압력을 최적값으로 제어한다.
상기 구동부(40)는 세차기 본체의 주행모터나 분사기 펌프, 송풍기 모터, 그리고 브러시 및 노즐등을 구동하는 모터와, 수직브러시(5)의 압력조절장치(8)를 제어부(20)의 명령에 따라 선택구동하는 부분으로 통상 릴레이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브러시(5)의 압력을 최적값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 장치는 전류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류검출부(50)는 수직브러시(5)의 회전모터에 장착되어 수직브러시(5)의 부하전류를 측정한다. 측정된 부하전류값은 제어부(20)에 전달되고, 제어부(20)는 상기 전달된 부하전류값과 기준값 DB(30)에 미리 저장된 차량 측면 높이에 따른 수직브러시(5)의 압력 최적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의거 수직브러시(5)의 압력을 조절한다.
도 3 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어 장치가 구현된 자동 세차기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세차기에는, 세차기 본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본체구동장치(6)와, 수평브러시(4)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인상구동장치(7)와, 수직브러시(5)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장치(8)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구동장치(6)와 인상구동장치(7)는 통상적인 자동 세차기에 적용되는 구성요소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구동장치(6)에는 본체의 수평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이동거리검출부(10a; 엔코더,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가 구비되고, 인상구동장치(7)에는 인상거리검출부(10b; 엔코더, 근접센서, 와이어센서 또는 광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조절장치(8)는 제어부(20)의 명령에 따라 상기 수직브러시(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차량의 측면에 작용하는 수직브러시(5)의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도 4에는 상기 압력조절장치(8)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조절장치(8)는 실린더(8a)와 수평로드(8b)로 구성된 공압엑츄에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8a)에는 공기펌프가 연결되고, 솔레노이드밸브(8c)에 의해 실린더(8a) 내의 압력이 조절된다. 제어부(20)에서 차량 측면의 높이에 맞는 압력 최적값을 선택하여 제어명령을 내리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c)에서 실린더(8a)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수평로드(8b)가 왕복운동되면서 수평브러시(4)를 차량 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표면을 향하여 이동시키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수직브러시(5)의 압력이 조절된다. 이러한 압력조절장치(8)는 공압엑츄에이터 이외에도, 수직브러시(5)의 수평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감속기로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는 수평브러시(4)의 이동 궤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차 작업이 시작되면, 세차기 본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수평브러시(4)가 차체 전면 범퍼부위에 접근하게 되고 차체의 굴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된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수평브러시(4)의 승하강 운동은 수평브러시(4)가 차량의 표면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세차기 본체가 수평으로 이동하면 수평브러시(4)도 그와 상응하게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본체구동장치(6)에 장착된 이동거리검출부(10a)가 본체의 수평 이동거리를 검출하면, 이 이동거리는 수평브러시(4)의 이동거리에 상응하게 된다. 따라서, 이 이동거리 정보로부터 차량의 길이를 알 수 있다.
수평브러시(4)가 차체의 굴곡면을 지나는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데, 이때, 인상거리검출부(10b)에서 수직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이 수직 이동거리 정보로부터 차체의 높이를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평 이동거리와 수직 이동거리로부터, 차량의 측면 높이를 알 수가 있다. 이 높이는 제어부(20)에서 계산되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측면 높이가 결정되면, 제어부(20)는 기준값 DB(30)로부터 상기 측정된 측면 높이에 상응하는 압력 최적값을 선택/추출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 에는 상기 기준값 DB(30)에 저장되는 미리 설정된 압력 최적값의 설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도 6 에는 수직브러시(5)가 접촉되는 차량의 측면부를 높이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표시한 도면이 도시된다. 예로서, 차의 높이는 1500mm, 길이는 5000mm, 그리고 폭은 2000mm 로 가정한다. 차량의 측면부를 나누는 구간의 간격은 편의상 100mm 단위로 한다(상황에 따라 단위를 세부적으로 나눌 수도 있다). 무부하로 브러시를 회전하는 경우, 회전모터의 전류가 1 암페어 소모되며, 브러시의 C 위치에서 T 위치까지(2000mm) 압력이 발생하였을때 2 암페어가 된다면, 각 구간들 사이에는 0.05(100mm 당) 암페어의 전류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범퍼 부위는 D 내지 H 구간으로 1.2 암페어가 압력 최적값이 되고, 본네트 부위는 D 내지 J 구간으로 1.35 암페어, 본네트 상부는 C 내지 L 구간으로 1.45 암페어, 차의 지붕 부위는 C 내지 P 구간으로 1.65 암페어가 압력 최적값으로서 상기 기준값 DB(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7 은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직브러시(5)의 압력 최적값을 수직브러시(5)의 위치, 즉, 차량의 구간별로 도시하며, 도 8 에는 차량의 높이와 최적 압력값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높이별로 구간을 나누어 상기 높이에 상응하는 기준값을 설정한뒤, 상기 인상거리검출부(10b)와 상기 이동거리검출부(10a)로부터 측정된 위치정보로부터 차량의 높이가 변화되는 지점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미리 설정된 차량의 높이에 따른 최적 압력을 그 수평 이동거리만큼 지속적으로 가해주고, 높이가 변화되는 지점에 도달하면, 변화된 높이에 해당하는 최적 압력을 그 수평 이동거리만큼 가해준다. 이러한 동작은 차체의 길이 및 폭에 걸쳐 수직브러시(5)가 진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압력 최적값의 유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브러시(5)의 회전 모터에 장착된 전류검출부(50)에 의해 수행된다. 전류검출부(50)에서는 실제 수직브러시(5) 회전모터의 부하전류를 측정하고 이를 A/D 컨버터(52)에서 디지털값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디지털값은 제어부(20)로 전송된다. 변환된 디지털값이 압력 최적값보다 작으면, 제어부(20)는 수직브러시(5)의 압력 상승 신호를 구동부(40)에 출력하고, 구동부(40)는 상기 수직브러시(5) 압력조절장치(8)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솔레노이드밸브(8c)에 의해 실린더(8a) 내의 압력이 상승되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공기펌프로부터 고압 공기가 실린더(8a) 내로 유입되어 수평로드(8b)가 전진하며, 이에 따라, 수직브러시(5)가 차체 표면 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직브러시(5)가 차체 표면에 작용하는 면압이 증가하게 된다. 변환된 디지털값이 압력 최적값보다 크면, 제어부(20)는 수직브러시(5)의 압력 하강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실린더(8a) 내의 압력을 낮춰 수평로드(8b)가 후진하여 수직브러시(5)가 차체 표면에 작용하는 면압은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수직브러시(5)의 압력은 각 구간에 상응하는 압력 최적값으로 항상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브러시에 의한 세척공정이 완료되면, 건조노즐(9)이 구동되면서 차량의 건조공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수평브러시(4)의 위치검출을 통하여 상기 건조노즐(9)의 이동 궤적을 또한 제어한다. 종래에도 건조노즐(9)을 차체 표면에 접근시켜 차량의 형상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어 방법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상기 건조노즐(9)을 제어하기 위해 차체의 형상을 감지하는 포토센서나, 차량의 높이와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소닉센서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독립적인 장치들을 구비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수직브러시(5)의 압력 제어를 위해 측정된 수평브러시(4)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건조노즐(9)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 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노즐(9)의 이동 궤적이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브러시(4)의 위치정보는 제어부(20)에 저장되기 때문에, 수평브러시(4)의 이동 궤적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에서는 건조노즐(9)을 구동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수평브러시(4)의 이동 궤적을 따라 상기 건조노즐(9)을 이동시킬 것을 구동부(40)에 명령하고, 구동부(40)는 상기 명령을 받아 건조노즐(9)을 이동시킨다. 건조노즐(9)이 차체의 물기를 제거할때 수평브러시(4)의 위치를 추적하여 차의 높이와 거리를 미리 인지하고 작동함에 따라 건조력이 증대되고 건조노즐(9)과 차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측면 높이에 따라 수직브러시의 압력을 최적값으로 제어할 수 있어, 차량의 손상 및 세척력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또한, 건조노즐이 수평브러시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됨에 따라, 건조노즐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건조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건조노즐이 차체 또는 각종 차량 부착물들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Claims (13)

  1. 본체, 한 쌍의 수평 및 수직 브러시들, 본체 구동 장치, 브러시 구동 장치, 전류 검출부, 제어부, 상기 본체 구동 장치, 상기 브러시 구동 장치, 상기 압력 조절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건조노즐 등을 포함하는 자동 세차기에 있어서,
    세차할 차량에 대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상기 수평 브러시의 수평 및 수직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
    세차할 차량의 측면부의 높이에 따라 구간 분할하여 그 분할된 구간마다 세차할 차량에 대하여 상기 수직 브러시의 미리 설정된 최적의 접촉 압력의 값들을 상기 수직 브러시의 구동모터의 부하전류값으로 저장하고 있는 기준 값 DB; 및
    상기 수직 브러시를 최적의 접촉 압력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의 상기 수평브러시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내장 자동 세차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수평브러시의 수직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높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높이에 의해 상기 기준 값 DB로부터 상기 차량의 높이에서 최적의 압력의 값에 해당하는 상기 수직 브러시의 구동모터의 부하전류값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최적의 부하 전류값과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수직브러시의 구동모터의 부하 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수직 브러시를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부의 상기 압력조절장치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수평 브러시의 수평 이동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이동 거리 검출부와, 상기 수평 브러시의 수직 이동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인상 거리 검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에 디지탈 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부하 전류 값을 디지털 신호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A/D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 브러시의 위치 정보로부터의 이동 거리에 따른 이동 궤적을 저장하고 그 이동 궤적에 의하여 건조 노즐의 이동 궤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측면부의 높이와 미리 설정된 최적의 접촉 압력은 상호 비례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동 세차 프로그램은 세차할 차량의 측면의 높이를 계산하기 위하여 인상거리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수평브러시의 수직이동거리를 계속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계산된 차량의 측면 높이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최적의 압력 값에 해당하는 상기 수직 브러시의 구동모터의 부하 전류값을 상기 기준값 DB에서 선택하여 그 선택된 부하 전류값과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수직브러시의 구동모터의 부하 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수직 브러시를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며,
    상기 저장된 정보에 의하여 건조 노즐의 이동궤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KR1020050056648A 2005-06-29 2005-06-29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KR100584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648A KR100584132B1 (ko) 2005-06-29 2005-06-29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648A KR100584132B1 (ko) 2005-06-29 2005-06-29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4132B1 true KR100584132B1 (ko) 2006-05-26

Family

ID=3718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648A KR100584132B1 (ko) 2005-06-29 2005-06-29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1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1931A (zh) * 2016-12-08 2017-03-29 东莞市赛力自动化设备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洗车机智能控制中心及智能控制方法
CN109927681A (zh) * 2019-03-27 2019-06-25 四川中匠科技有限公司 一种双重闭环的功率跟踪接触式洗车机控制装置及方法
CN112758057A (zh) * 2021-02-24 2021-05-07 千潮互联网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洗车机
CN113682268A (zh) * 2021-09-26 2021-11-23 深圳市雅宝智能装备系统有限公司 自动洗车系统及洗车方法
CN114435315A (zh) * 2022-03-22 2022-05-06 陕西蜗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机横刷升降过程控制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1931A (zh) * 2016-12-08 2017-03-29 东莞市赛力自动化设备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洗车机智能控制中心及智能控制方法
CN109927681A (zh) * 2019-03-27 2019-06-25 四川中匠科技有限公司 一种双重闭环的功率跟踪接触式洗车机控制装置及方法
CN112758057A (zh) * 2021-02-24 2021-05-07 千潮互联网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洗车机
CN113682268A (zh) * 2021-09-26 2021-11-23 深圳市雅宝智能装备系统有限公司 自动洗车系统及洗车方法
CN113682268B (zh) * 2021-09-26 2023-06-13 深圳市雅宝智能装备系统有限公司 自动洗车系统及洗车方法
CN114435315A (zh) * 2022-03-22 2022-05-06 陕西蜗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机横刷升降过程控制方法
CN114435315B (zh) * 2022-03-22 2023-12-19 陕西蜗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机横刷升降过程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132B1 (ko) 자동 세차기의 제어 장치
CN104290718A (zh) 全自动洗车装置
JP5974707B2 (ja) 洗車機およびサイド送風ノズル駆動方法
CN104118400A (zh) 洗车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803946B1 (ko) 건물 외벽면 유리창 청소 장치
JP2016074262A (ja) 洗車機
JPH09104327A (ja) 洗車機における下回り洗浄装置
JP2008074178A (ja) 洗車機の洗浄方法
KR100343440B1 (ko) 가변되는 고압살수노즐이 구비된 문형식 세차기 및 그세차방법
CN113370943B (zh) 仿形洗车方法
JP7171133B2 (ja) 洗車機
JP6188213B2 (ja) 洗車機
JP6280774B2 (ja) 洗車機
JP3584081B2 (ja) 洗車装置
JPH03258638A (ja) 自動スプレー式洗車機
JP3876754B2 (ja) 洗車機
CN108860074A (zh) 一种洗车机器人绕车行走的方法
JP2843229B2 (ja) 自動洗車装置
JP3891089B2 (ja) 洗車機
JP2011020572A (ja) 洗車機
JP4136225B2 (ja) 洗車機
JP4281645B2 (ja) 洗車機
JP2575588B2 (ja) 自動洗車方法
JP2552531B2 (ja) 洗車機
JP2013095172A (ja) 洗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