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092B1 - 키패드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키패드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092B1
KR100584092B1 KR1020030089896A KR20030089896A KR100584092B1 KR 100584092 B1 KR100584092 B1 KR 100584092B1 KR 1020030089896 A KR1020030089896 A KR 1020030089896A KR 20030089896 A KR20030089896 A KR 20030089896A KR 100584092 B1 KR100584092 B1 KR 10058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jig
conveyor
keyp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830A (ko
Inventor
송영승
Original Assignee
(주)서원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원인텍 filed Critical (주)서원인텍
Priority to KR102003008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0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5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9Removing sc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61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 B29C65/787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using conveyor belts or convey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82Testing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29C2045/177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stack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6Knobs or handles, push-buttons, grips
    • B29L2031/466Keypads, key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다이얼키를 패드에 부착하여 다이얼키와 패드를 일체로 제조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이얼키 및 스페이서가 성형된 사출물을 레이아웃상에 설치된 커팅장치에서 커팅하여 다이얼키 및 스페이서를 낱개형태로 성형하여 지그에 수납 정렬하고, 상기 지그에는 매거진에 수납된 기능키를 함께 운반 수납하여 콘베이어장치를 통해 레이아웃구간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들 지그에 수납된 다이얼키, 기능키 및 스페이서들의 배면에 접착제를 점착시킨 후 패드를 압착시켜 제조한 후 검사를 통해 불량을 제거함으로써, 제조 전과정을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수 및 불량품을 줄이고 대량 양산체제를 갖추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키패드, 핸드폰, 짝수키, 홀수키, 기능키, 스페이서, 패드, 자동화

Description

키패드 제조시스템{ A key-pad manufactur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 제 1실시예에 따른 레이아웃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 제 1실시예에 따른 레이아웃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 제 2실시예에 따른 레이아웃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 제 2실시예에 따른 레이아웃 평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키패드 일 실시예의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장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장치 부분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장치 부분 정면도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장치의 받침판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 로딩장치 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 로딩장치 내부를 보인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 로딩장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키 정렬장치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키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팅장치 및 흡착운반장치를 주요 부분으로 한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키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팅장치 및 파지운반수단을 주요 부분으로 한 배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키 정렬장치의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키 정렬장치의 평면도
도 25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매거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짝수키 사출물 및 홀수키 사출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키 정렬장치의 승강수단의 정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키 정렬장치의 파지운반수단의 정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키 정렬장치의 짝수키 커팅기의 분해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짝수키 커팅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짝수키 커팅기의 하부금형 평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짝수키 커팅기의 상부금형 하판 저면도
도 37 내지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홀수키 커팅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홀수키 커팅기의 하부금형 평면도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홀수키 커팅기의 상부금형 하판 저면도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키 정렬장치의 흡착운반수단의 정면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정면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사출물의 정면도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의 정면도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팅장치 및 운반수단을 주요 부분으로 한 배면도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2흡착운반수단을 주요 부분으로 한 정면도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의 측면도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의 평면도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의 승강수단 정면도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의 파지운반수단 및 제 1흡착운반수단을 보인 배면도
도 53 내지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의 커팅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보관금형의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의 하부금형 평면도
도 5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의 상부금형 하판 저면도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의 제 2흡착운반수단의 정면도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점착장치의 정면도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점착장치의 평면도
도 6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점착장치의 측면도
도 63 내지 도 6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점착장치의 주사기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
도 6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점착장치의 주사기 설치상태를 확대해서 보인 측면도
도 6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부착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부착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6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부착장치의 동작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
도 69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부착장치의 매거진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0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부착장치의 매거진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부착장치에 의해 패드가 1차로 세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언로딩장치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 7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언로딩장치의 내부를 보인 측면도
도 7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언로딩장치의 평면도
도 7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언로딩장치의 취출판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6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공급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7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공급장치의 회전체가 회전하여 키패들 키패드 검사장치에 배치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79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80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검사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81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검사장치의 수납판이 회전한 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8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키 검사대의 평면도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 및 스페이서 검사대의 평면도
도 84 내지 도 8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압착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압착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7은 본 발명에 따른 키취출장치의 정면도
도 88은 본 발명에 따른 키취출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9는 본 발명에 따른 키취출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키패드제조 시스템 2 : 지그
3 : 콘베이어장치 4 : 지그 로딩장치
5 : 다이얼키 정렬장치 6 :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
7 : 접착제 점착장치 8 : 패드부착장치
9 : 지그 언로딩장치 10 : 키패드 공급장치
11 : 키패드 검사장치 12 : 다이얼키 검사대
13 : 기능키 및 스페이서 검사대 14 : 패드압착장치
15 : 키취출장치
본 발명은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다이얼키를 패드에 부착하여 다이얼키와 패드를 일체로 제조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얼키 및 스페이서가 성형된 사출물을 레이아웃상에 설치된 커팅장치에서 커팅하여 다이얼키와 스페이서를 낱개형태로 성형하여 지그에 수납 정렬하고, 이 지그를 콘베이어장치를 통해 레이아웃구간으로 이송시키면서 다이얼키, 기능키 및 스페이서들의 배면에 접착제를 점착시킨 후 패드를 압착시켜 제조한 후 검사를 통해 불량을 제거함으로써, 제조 전과정을 자동화하여 제조공수 및 불량품을 줄이고 대량 양산체제를 갖출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에는 전화를 걸기 위한 다이얼키를 비롯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키들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들 키들은 패드에 부착된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되어 핸드폰 조립시 키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키들은 통상 사출물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출물의 리브에 성형되어 프레스 방식으로 절단된 후 별도의 지그에 정렬된 후 패드에 부착되어 키패드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키패드를 제조하는 종래 방법은 절단된 키를 수작업으로 지그에 정렬하기 때문에 작업공수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키를 지그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키와 패드를 접착제로 부착할 때도 수작업으로 해야 함으로 작업자의 손에 접착제가 묻는 불편함이 있고, 접착제의 양에 따라 키 부착력이 달라지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낮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제조공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양산성 및 정확성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경험이 풍부한 숙련공에 의한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면서 그 위에 놓여진 지그 및 여러 가지 장치들을 이용하여 키패드를 제조하고 있으나 부분적으로 자동화가 이루어져 수작업에 의존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여 생산성 저하되고 제품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키패드 제조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이얼키 및 스페이서가 성형된 각각의 사출물을 레이아웃상에 설치된 커팅장치에서 커팅하여 다이얼키와 스페이서를 낱개형태로 절단하여 지그에 수납 정렬하고, 이 지그를 콘베이어장치를 통해 레이아웃구간으로 이송시키면서 다이얼키, 기능키 및 스페이서들의 배면에 접착제를 점착시킨 다음 그 위에 패드를 압착시켜 제조한 후 검사를 통해 불량을 제거함으로써, 제조 전과정을 자동화하여 제조공수 및 불량품을 줄이고 대량 양산체제를 갖출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키패드 제조시스템은, 한 쌍의 무한궤도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상,하부콘베이어가 레이아웃 구간에 설치되어 지그를 운반하고, 상기 운반되는 지그를 감지하고 정지시킬 수 있도록 무한궤도 일측 적소에 감지센서 및 그 사이에 승하강 구동되는 스톱퍼가 설치되며, 상기 스톱퍼에 의해 정지된 지그를 구동상태의 무한궤도에서 들어올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 일측에 받침판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콘베이어장치;
상기 콘베이어장치 전방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콘베이어의 무한궤도가 정,역회전 모터에 의해 왕복회전하면서 상기 하부콘베이어와 일치될 때 하부콘베이어가 운반한 지그를 전달받은 후 상부콘베이어와 일치되게 상승하여 그 상부콘베이어에 공급하는 지그 로딩장치;
상기 지그 로딩장치 후방에 위치하고 콘베이어장치 경로상에 설치되며, 짝수키 사출물과 홀수키 사출물이 적층식으로 수납된 각 매거진을 카트리지에 착탈식으로 설치하고, 이들 수납된 짝수키 사출물 및 홀수키 사출물을 승강수단이 승강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짝수키 사출물 및 홀수키 사출물을 파지운반수단이 각각의 커팅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이들 커팅기가 사출물에 형성된 키들을 낱개형태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짝수키 및 홀수키를 흡착운반수단이 흡착운반하여, 상기 지그 로딩장치에서 공급되고 상부콘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의 키홈에 배면이 노출되도록 정렬시키는 다이얼키 정렬장치;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 후방에 설치되고, 스페이서들이 성형된 스페이서 사출물과 기능키가 적층식으로 수납된 각 매거진을 카트리지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이들 수납된 스페이서 사출물 및 기능키를 승강수단이 승강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스페이서 사출물을 파지운반수단이 커팅기에 공급하여 스페이서를 낱개형태로 절단하고, 최상부에 위치한 기능키는 제 1흡착운반수단이 기능키 보관금형에 위치시킨 후 상기 기능키와 절단된 스페이서들을 제 2흡착운반수단이 흡착운반하여,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에서 키들이 정렬되고 상부콘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의 빈 키홈에 배면이 노출되도록 정렬시키는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 후방에 설치되고, 접착제가 저장된 주사기가 콘트롤 제어에 의해 X,Y,Z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를 지나 상부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의 각 키에 접착제를 점착시키는 접착제 점착장치;
상기 접착제 점착장치 후방에 설치되고, 패드들이 적층식으로 수납된 매거진을 카트리지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이들 수납된 패드를 승강수단이 승강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패드를 운반하여, 상기 접착제 점착장치에서 접착제가 점착된 후 상부콘베이어에 의해 운반되고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의 각 키의 배면에 가압시켜 키와 패드를 부착시키는 패드부착장치;
상기 패드부착장치 후방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콘베이어의 무한궤도가 정,역회전 모터에 의해 왕복회전하면서 상부콘베이어와 일치될 때 상부콘베이어가 운반한 지그를 전달받은 후 하부콘베이어와 일치되게 하강하여 그 하부콘베이어에 공급하는 지그 언로딩장치;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 상부에 설치되고, 수평왕복이동 및 상하왕복이동 그리고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흡착판이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로 이송된 지그가 하부콘베이어로 언로딩 되기 전에 그 지그에서 키패드를 흡착운반하여 검사장소에 키가 노출되게 공급하는 키패드 공급장치;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키패드를 콘베이어가 집광실로 운반하고 상기 집광실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키패드를 촬영하여 컴퓨터에 미리 입력된 키패드 형상과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키패드의 불량을 검사하는 키패드 검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제조시스템의 각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레이아웃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레이아웃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1)은, 커팅된 다이얼키 및 스페이서를 수납한 지그(2)를 왕복운반하는 콘베이어장치(3); 상기 콘베이어장치(3) 전방에 설치되고 사출물에서 커팅된 낱개의 키들을 수납하기 위해 지그(2)를 상기 콘베이어장치(3)에 로딩시키는 지그 로딩장치(4); 상기 지그 로딩장치(4) 후방에 위치되고 다이얼키가 성형된 사출물을 공급하여 다이얼키를 낱개형태로 커팅하여 콘베이어장치(3)에 의해 운반된 지그(2)의 키홈에 정렬하는 다이얼키 정렬장치(5);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 후방에 위치되고 스페이서가 성형된 사출물을 커팅하여 스페이서를 낱개형태로 만들고 상기 낱개형태의 스페이서와 기능키를 다이얼키가 정렬되어 운반된 지그(2)의 빈 키홈에 정렬하는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 후방에 위치되고 지그(2)에 정렬된 다이얼키, 기능키, 및 스페이서의 배면에 접착제를 점착시키는 접착제 점착장치(7); 상기 접착제 점착장치(7)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가 점착된 키에 패드를 부착시키는 패드부착장치(8); 상기 패드부착장치(8) 후방에 설치되고 상 기 패드가 부착되어 지그(2)에 탑재되어 운반된 키패드가 지그(2)에서 제거될 때 상기 지그(2)를 콘베이어장치(3)의 상부콘베이어에서 언로딩시켜 하부콘베이어에 공급하는 지그 언로딩장치(9);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9)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그(2)에 탑재된 키패드를 지그(2)에서 제거하여 검사장소에 공급하는 키패드 공급장치(10);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1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10)에서 공급된 키패드를 검사하여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키패드 검사장치(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1)은,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와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 사이에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에서 지그(2)에 정렬된 다이얼키의 정렬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는 다이얼키 검사대(1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1)은,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와 접착제 점착장치(7) 사이에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에서 지그(2)에 정렬된 기능키 및 스페이서의 정렬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는 기능키 및 스페이서 검사대(13)가 더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1)은, 상기 패드부착장치(8)와 지그 언로딩장치(9) 사이에 키가 접착된 키패드를 일정시간동안 압착하여 키와 패드를 견 고하게 부착하는 패드압착장치(14)가 더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1)은,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10)가 지그(2)에서 키패드를 흡착제거할 때 이 패드에서 이탈되어 지그(2)에 남아있는 키를 제거할 수 있도록 지그 언로딩장치(9) 일측 콘베이어장치(3)의 하부콘베이어상에 키취출장치(15)가 더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키패드(16)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1)이다.
상기 키패드(16)는 패드(16a)상에 다이얼키(17)와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가 접착제로 부착되는 구조로서, 핸드폰에 조립될 때 각 키(17)(18)(19)들이 노출된 상태로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19)는 다이얼키(17)들 사이에 배치되는 일종의 장식품으로 종래 키패드가 갖지 않는 새로운 것으로, 종래 키패드보다 고급화된 분위기를 자아내게 하는 요소로서, 그 형상은 패드(16a)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완만하게 곡선처리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키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콘베이어장치(3)는 레이아웃 구간에 설치되는 일련의 장치들에 도 9 내지 도 10의 지그(2)를 반복적으로 운반하여 키패드(16)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도 3 및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콘베이어(20)와 이 상부콘베이어(2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콘베이어(21)로 구성된다.
상부콘베이어(20)는 실제 키패드(16) 제조가 이루어지는 레이아웃 구간에 설치되어 각 장치들에게 도 9 내지 도 10의 지그(2)를 운반하고, 하부콘베이어(21)는 키패드(16) 제조 후 키패드(16)가 제거된 지그(2)를 다시 각 장치들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지그(2)를 역방향으로 운반하여 상부콘베이어(20)에 운반하게 된다.
이들 상,하부콘베이어(20)(21)는 레이아웃 구간에 설치되는 지지대(22)의 상,하에 설치되는데, 도 11 내지 도 15와 같이 각각의 케이스(23) 내부에 지그(2)를 운반하는 한 쌍의 무한궤도(24)가 모터(2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무한궤도(24)는 모터(2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상부에 탑재된 지그(2)를 각 장치에 운반하게 된다.
상기 상,하부콘베이어(20)(21)는 무한궤도(24)를 수용하는 케이스(23)의 필요한 위치에 도 12와 같이 운반되는 지그(2)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6)가 설치되고, 무한궤도(24) 사이에는 운반되는 지그(2)를 감지센서(26)가 감지할 때 승강하여 지그(2)를 정지시키는 스톱퍼(27)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톱퍼(27)에 의해 정지된 지그(2)를 구동상태의 무한궤도(24)에서 들어올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27) 일측에는 받침판(28)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26), 스톱퍼(27), 및 받침판(28)은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즉 지그(2)를 감지하고 정지시키고 승강시키는 방법으로 작동하여 각 장치의 상부콘베이어(20)상에 위치한 받침판(28)에 지그(2)를 탑재시켜 이 지그(2)상에서 키패드(16)가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톱퍼(27)는 감지센서(26)가 지그(2)를 감지할 때 승강하여 지그(2)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공압실린더(29)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공압실린더(29)를 무한궤도(24) 사이에 설치하여 감지센서(26)가 운반되는 지그(2)를 감지할 때 공압실린더(29)의 로드가 상승하여 지그(2)를 정지시키고, 상기 로드가 하강할 때 지그(2)가 운반되도록 함으로써 공압실린더(29) 로드를 스톱퍼(27)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28)은 도 14 내지 도 15와 같이 스톱퍼(27)에 의해 정지된 지그(2)를 구동상태의 무한궤도(24)에서 들어올려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그 안정된 지그(2)에서 키패드(16)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받침판(28)을 승하강시키는 수단은 여러 가지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일 실시예로 공압실린더(3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톱퍼(27) 일측 무한궤도(24) 사이에 공압실린더(30)를 설치하고 그 실린더(30) 로드에 받침판(28) 저면을 고정하여, 스톱퍼(27)가 지그(2)를 정지시킬 때 상기 실린더(30)가 구동하게 되면 받침판(28)이 승강하여 무한궤도(24)에서 벗어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28)은 지그(2)를 받침지지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되므로 승하강할 때 유동하지 않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도 13과 같이 실린더(30) 양측에 안내로드(31)를 설치하여 상기 받침판(28)이 이들 안내로드(31) 를 관통하여 승하강할 때 유동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콘베이어장치(3)는 감지센서(26), 스톱퍼(27) 및 받침판(28)이 적어도 레이아웃상에 설치된 각 장치들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무한궤도(24)에 의해 운반된 지그(2)를 감지하여 정지시킨 후 받침판(28)으로 들어올려 각 장치가 지그(2)에서 키패드(16)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키패드(16) 제조 후에는 키패드(16)가 제거된 빈 지그(2)를 하부콘베이어(21)가 운반하여 상부콘베이어(20)로 공급하게 됨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콘베이어장치(3)에 의해 운반되면서 키패드(16)를 제조하기 위해 각 장치에 공급되는 지그(2)를 설명한다.
상기 지그(2)는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판상이 몸체에 다이얼키(17),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를 수납하는 각 키홈(2a)들이 요입되고, 이들 각 키(17)(18)(19)들과 대응되는 하부에 취출공(2b)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몸체의 적당위치에는 상기 받침판(28)상에 탑재될 때 상기 안내로드(31)가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양측에 끼움공(2c)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다음은 지그 로딩장치(4)를 설명한다.
상기 지그 로딩장치(4)는 도 16과 같이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콘베이어(32)가 정,역회전 모터(33)에 의해 왕복회전하면서 상기 하부콘베이어(21)와 일치될 때 하부콘베이어(21)가 운반한 지그(2)를 전달받은 후 상승하여 상기 상부 콘베이어(20)에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지그 로딩장치(4)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16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34), 상기 하우징(34)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33)의 구동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정,역회전하여 하부콘베이어(21)에서 운반된 지그(2)를 상부콘베이어(20)로 이송시키는 콘베이어(32), 상기 콘베이어(32)와 연결되고 이 콘베이어(32)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5), 상기 콘베이어(32)가 승강수단(35)에 의해 승하강 할 때 상,하부콘베이어(20)(21)와 일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34) 내부 상,하에 설치되어 콘베이어(32)를 정지시키는 스톱퍼(36), 상기 콘베이어(32)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하부콘베이어(21)에서 운반된 지그(2)가 콘베이어(32)에 탑재될 때 콘베이어(32) 구동을 정지시켜 지그(2)가 탑재될 수 있도록 지그(2)의 탑재위치를 감지하는 지그 감지센서(37)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4)은 내부에 각종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이 육면체 형상으로 짜여지고 전방에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콘베이어(32)는 상기 콘베이어장치(3)의 하부콘베이어(21)에서 운반된 지그(2)를 전달받아 상부콘베이어(20)에 운반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케이스(32a)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무한궤도(32b)가 상기 승강수단(35)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33)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콘베이어(32)는 하부콘베이어(21)와 일치될 때 하부콘베이어(21)와 같은 방향으로 구동되어 하부콘베이어(21)가 운반하는 지그(2)를 그 상부 에 탑재하고, 상부콘베이어(20)와 일치될 때 상부콘베이어(20)와 같은 방향으로 구동되어 탑재된 지그(2)를 상부콘베이어(20)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콘베이어(32)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5)은 하우징(34) 내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32)와 연결되어 그 콘베이어(32)를 승하강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는 그의 로드가 상기 콘베이어(32)와 고정되어 로드가 왕복운동하여 콘베이어(32)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콘베이어(32)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피가 크기 때문에 승하강 할 때 유동하지 않도록 케이스(32a)에 설치된 브래킷(39)이 상기 공압실린더(38)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안내로드(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콘베이어(32)가 공압실린더(38)에 의해 승하강할 때 브래킷(39)이 안내로드(4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므로 콘베이어(32)는 유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콘베이어 스톱퍼(36)는 콘베이어(32)의 승하강 위치를 감지하여 상,하부콘베이어(20)(21)와 일치되게 하는 것으로, 상,하부콘베이어(20)(21)와 대응되는 하우징(34) 내부의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지그 감지센서(37)는 콘베이어 케이스(32a)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콘베이어(21)에서 콘베이어(32)로 운반된 지그(2)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지그(2)가 무한궤도(32b) 중앙 부분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콘베이어(21)에서 운반된 지그(2)는 콘베이어(32) 상부의 지정된 위치에 이르게 되면 상기 지그 감지센서(37)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33)의 구동이 정지되어 지그(2)는 콘베이어(32)에 안전하게 탑재되고 이후 상부콘베이어(20)와 일치되게 승강하여 지그(2)를 상부콘베이어(20)에 공급하게 된다.
다음은 다이얼키 정렬장치(5)를 설명한다.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는 도 19 내지 도 42에서와 같이 공급된 사출물에서 다이얼키(17)를 절단하여 지그 로딩장치에서 공급된 지그(2)에 정렬하는 것으로, 상기 지그 로딩장치(4) 후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다이얼키 정렬장치(5)는 도 27 내지 도 28의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이 적층식으로 수납된 각 매거진(43)을 카트리지(44)에 착탈식으로 설치하고, 이들 수납된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승강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각각의 커팅기(45)(46)에 연속적으로 공급한 후 커팅기(45)(46)가 각 사출물(41)(42)에 성형된 다이얼키(17)들을 낱개형태로 절단한 다음 상기 절단된 짝수키 및 홀수키를 흡착시켜 상기 지그 로딩장치(4)에서 공급된 후 상부콘베이어(20)의 받침판(28)에 탑재된 지그(2)의 키홈에 배면이 노출되도록 정렬시키는 것이다.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의 구성요소를 정리하면, 하우징(47)의 베이스판(48) 하부 양측에 설치된 카트리지(44)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은 몸체에 형성된 수납실에 짝수키 사출물(41)을 적층식으로 수납하고 타측은 홀수키 사출물(42)을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매거진(43); 상기 각 매거진(43)의 수납실에 로드가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어 그 수납실에 보관된 짝수키 사출물(41) 또는 홀수키 사출물(42)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9); 상기 승강수단(49)의 로드가 고정된 블록의 일측 상,하에 설치되어, 이 블록의 승하강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의 상사점 및 하사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감지센서(50); 상기 매거진(43)의 출입구 근처에 설치되고, 이들 매거진(43)에 수납되어 로드에 의해 승강하는 최상부의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의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를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사출물 감지센서(51); 상기 각 매거진(43)의 일측 하우징의 베이스판(48) 양측에 하부금형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설치된 상부금형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매거진(43)에서 운반되고 하부금형에 배치된 각각의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커팅하여 짝수키 및 홀수키를 낱개형태로 절단하는 커팅장치(52); 상기 커팅장치(52)가 사출물들(41)(42)을 커팅할 수 있도록 각 매거진(43) 최상부에 위치한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파지하여 커팅장치(52)의 하부금형 지정된 위치에 운반하고, 커팅 후 사물출의 잔여 스크랩을 파지하여 제거하는 파지운반수단(53); 및 지그 로딩장치(4)에서 공급되고 하부콘베이어(21)에 의해 운반되어 그 받침판(28)상에 위치한 지그(2)의 키홈(2a)에 상기 커팅장치(52)에 의해 낱개형태로 절단된 각각의 짝수키와 홀수키들을 흡착운반하여 정렬하는 흡착운반수단(5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는, 상기 매거진(43)과 커팅장치(52)의 하부금형 사이에 사출물의 스크랩을 버릴 수 있도록 도 24, 도 30과 같이 슈트(55)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슈트(55)는 양단부가 개구된 호퍼형상으로 구성되는데, 그 하부에 용기가 배치되어 버려진 스크랩을 저장하면 좋다.
상기 매거진(43)은 짝수키 사출물(41)을 저장하는 짝수용과, 홀수키 사출물(42)을 저장하는 홀수용으로 구분되고, 이들은 베이스판(48) 하부 양측에 구비된 카트리지(44)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양자 매거진(43)은 도 25 내지 도 26과 같이 사출물(41)(42)을 수납할 수 있도록 몸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수납실(43a)이 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도면에서는 4개의 수납실(43a)이 도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짝수키 사출물(41)과 홀수키 사출물(42)은 도 27 내지 도 28에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납실(43a)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상하부는 개구되는데, 개구된 상부는 사출물(41)(42)이 출입하는 출입구로 사용되고, 하부는 사출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9)의 로드가 수용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매거진(43)은 수납실(43a) 하부에 수납된 사출물(41)(42)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벽에 걸림턱(43b)이 돌출되어 있고, 몸체의 외측면에는 도 22의 카트리지(44) 벽체에 형성된 레일(44a)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수 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재(43c)가 형성되며, 카트리지(44)에 장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몸체 상부에는 손잡이(43d)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측 매거진(43)은 그 내부에 짝수키 사출물(41)과 홀수키 사출물(42)을 적층식으로 수납하여 카트리지(44)에 장착되면, 도 22의 승강수단(49)의 로드(57)가 수납실(43a) 하부를 통해 승강하면서 각각의 사출물(41)(42)을 승강시켜 그 최상부에 위치한 사출물들이 상기 커팅장치(52)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49)은 상기 양측 매거진(43)의 각 수납실(43a)에 보관된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승강시켜 커팅장치(52)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수단(49)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일 실시예는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크류(56)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로드(57)가 수납실(43a) 하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하여 사출물(41)(42)들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승강수단(49)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양측 카트리지(44)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56), 상기 스크류(56)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정,역회전 모터(58), 상기 스크류(56)와 모터(58) 사이를 연결하여 모터(58)의 동력을 스크류(56)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59), 상기 스크류(56)와 체결되어 그 스크류(56)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블록(60), 상기 블록(60) 상부 에 고정되고 매거진(43)의 각 수납실(43a)에 삽입되어 스크류(56)가 회전할 때 승하강하여 수납실(43a)에 보관된 사출물(41)(42)들을 승강시키는 로드(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56)는 카트리지(44)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블록(60)이 체결되어 있어 모터(58)에 의해 정,역회전하면서 체결된 블록(60)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모터(58)의 동력을 스크류(56)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59)은 타이밍벨트, 평벨트, 체인 등 여러 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타이밍벨트가 좋다.
상기 블록(60) 상부에 설치된 로드(57)는 각 매거진(43)의 수납실(43a) 하부를 통해 수납실(43a)에 삽입되어 스크류(56)에 의해 블록(60)이 승강할 때 승강하면서 수납된 짝수키 사출물(41)과 홀수키 사출물(42)을 직접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강수단(49)이 매거진(43)에 수납된 사출물(41)(42)들을 승강시키게 되므로, 상기 파지운반수단(53)이 매거진(43) 최상부에 위치된 사출물들(41)(42)을 파지하여 커팅장치(52)에 운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록(60)의 승하강 위치를 감지하는 블록 감지센서(50)는 로드(57)의 상사점 및 하사점을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60)의 일측 상,하에 설치되어 스크류(56)의 정,역회전에 의해 블록(60)이 승하강할 때 블록(60)의 과도한 상승 및 하강을 미연에 예방하여 매거진(43)에 수납된 사출물(41)(42)을 안정되게 공급하게 된다.
상기 사출물 감지센서(51)는 도 30과 같이 로드(57)의 승강으로 인해 매거진(43)에 수납된 최상부의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이 과도하게 높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스크류(56)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로드(57)는 블록 감지센서(50)의 범위, 즉 상사점과 하사점 범위내에서 승하강하게 되지만 수납실(43a)에 적층식으로 수납된 사출물(41)(42)들은 수납될 때마다 적층높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블록 감지센서(50)만으로는 최상부의 사출물의 위치를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사출물 감지센서(51)를 매거진(43) 출구의 적당위치에 설치하여 이 사출물 감지센서(51)가 각 사출물(41)(42)들의 최상부의 높이를 감지할 때 로드(57)는 정지되고, 이로 인하여 최상부의 사출물(41)(42)들은 지정된 높이에 안정되게 위치되어 이후 커팅장치(52)로 운반된다.
상기 커팅장치(52)는 상기 매거진(43)에서 운반된 짝수키 사출물(41)과 홀수키 사출물(42)을 커팅하여 각각의 사출물들의 각 다이얼키(17)들을 낱개형태로 커팅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팅장치(52)는 도 32 내지 도 41과 같이 상기 각 매거진(43)의 일측 하우징의 베이스판(48) 양측에 짝수키 사출물(41)과 홀수키 사출물(42)이 놓여지는 짝수키 하부금형(61) 및 홀수키 하부금형(62)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된 짝수키 상부금형(63) 및 홀수키 상부금형(64)이 액추에이터(65)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매거진(43)에서 운반되어 각 하부금형(61)(62)에 배치된 각각의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커팅하여 짝수키 및 홀수키를 낱개형태로 절단한다.
상기 커팅장치(52)의 구성은 설명한 바와 같이 짝수키 사출물(41)을 커팅하는 짝수키 커팅기(45)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커팅하는 홀수키 커팅기(46)로 구분된다.
상기 짝수키 커팅기(45)는 하부금형(61)과 상부금형(63) 및 상부금형(63)을 승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6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65)는 도 19에 도시된다.
상기 짝수키 하부금형(61)은 판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짝수키 사출물(41)을 수납하는 매거진(43) 일측 베이스판상(48)에 체결고정된다.
이러한 짝수키 하부금형(61)은, 운반된 짝수키 사출물(41)의 각 키들과 대응된 하부에 이 키들이 커팅될 때 이들을 수납하는 키홈(61a)이 요입되고, 상기 키홈(61a) 양측에는 키들을 커팅할 때 상부금형(63)의 커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61b)이 요입되며, 상기 키홈(61a) 외측 주변 사방에는 매거진(43)에서 운반된 짝수키 사출물(41)의 배치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안내핀(61c)들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짝수키 하부금형(61)은 몸체 모서리 부분에 상부금형과의 압착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안내공(61d)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짝수키 상부금형(63)은 액추에이터(65)에 의해 하강하여 그 하부에 설치된 짝수키 하부금형(61)과 협력하여 하부금형(61)에 배치된 짝수키 사출물(41)의 각 다이얼키(17)를 커팅하여 낱개형태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짝수키 상부금형(63)은 액추에이터(65)에 고정되는 고정판(63a)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63a) 저면에 상판(63b)이 체결고정되며, 상기 상판(63b)과 일정간격 이격된 하부에는 하판(63c)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상판(63b)과 하판(63c) 사이에는 탄성부재(63d)가 개재되어 하판(63c)을 유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판(63b)에는 도 36과 같이 간격유지 보울트(B)가 체결되어 하판(63c)을 일정간격 유지시키는데, 이 간격유지 보울트(B)는 그 상부의 머리가 고정판(63a)에 관통된 통로(63a-1)에 수용되어 승강할 수 있으나, 그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가 하판(63c)에 직접체결되어 하판(63c)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 보울트(B)에 의해 하판(63c)은 커팅시 상하로 유동할 수 있어 탄성부재(63d)에 의해 완충된다.
다시 말해, 상기 하판(63c)은 상판(63b) 하부의 이격된 위치에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이는 상판(63b)을 관통하고 그의 일단부에 형성된 머리가 상판(63b)에 걸림고정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가 하판(63c)에 체결된 간격유지 보울트(B)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판(63b)과 하판(63c)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63d)가 하판(63c)의 유격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63d)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상판(63b)은 짝수키 사출물(41)의 키를 커팅하는 복수 개의 커터(63e)가 하부금형(61)의 안내홈(61b)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그 모서리부분에는 하부금형(61)의 안내공(61d)에 삽입되는 샤프트(63f)가 돌출되게 고정되는데, 상기 샤프트(63f)가 안내공(61d)에 삽입되므로 상부금형(61)과 하부금형(63)은 커팅시 그 압착위치가 정확히 지정된다.
이에 따라, 짝수키 상부금형(63)의 커터(63e)가 하부금형(61)의 안내홈(61b)에 편심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어 짝수키를 커팅하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65)는 키 커팅에 큰 힘이 작용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를 사용한다.
상기 유압실린더를 고정판(63a)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의 로드를 상기 고정판(63a)에 부착하여, 로드가 왕복운동하여 짝수키 및 홀수키 상부금형(63)(64)을 승하강 시키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짝수키 상부금형(63)은 도 33과 같이 액추에이터(65)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여 그의 하판(63c)이 하부금형(61)에 압착되어 하판(63c)이 상판(63b)에 접촉될 때 커터(63e)가 하판(63c)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짝수키를 커팅하게 된다.
상기 홀수키 커팅기(46)는 도 37 내지 도 38과 같이 짝수키 커팅기(45)와 같은 구조, 즉 홀수키 하부금형(62)과 홀수키 상부금형(64) 및 상부금형(64)을 승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65)로 구성된다.
상기 홀수키 하부금형(62)은 판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홀수키 사출물(42)을 수납하는 매거진(43) 일측 베이스판상(48)에 체결고정된다.
이러한 홀수키 하부금형(62)은, 운반된 홀수키 사출물(42)의 각 키들과 대응된 하부에 이 키들이 커팅될 때 이들을 수납하는 키홈(62a)이 요입되고, 상기 키홈(62a) 양측에는 키들을 커팅할 때 홀수키 상부금형(64)의 커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62b)이 요입되며, 상기 키홈(62a) 외측 주변 사방에는 매거진(43)에서 운반된 홀수키 사출물(42)의 배치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안내핀(62c)들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수키 하부금형(62)은 몸체 모서리 부분에 상부금형(64)과의 압착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안내공(62d)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홀수키 상부금형(64)은 액추에이터(65)에 고정되는 고정판(64a)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64a) 저면에 상판(64b)이 체결고정되며, 상기 상판(64b)과 일정간격 이격된 하부에는 하판(64c)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상판(64b)과 하판(64c) 사이에는 탄성부재(64d)가 개재되어 하판(64c)을 유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판(64b)은 홀수키 사출물(42)의 키를 커팅하는 복수 개의 커터(64e)가 하부금형(62)의 안내홈(62b)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그 모서리부분에는 하부금형(62)의 안내공(62d)에 삽입되는 샤프트(64f)가 돌출되게 고정되는데, 상기 샤프트(64f)가 안내공(63d)에 삽입되므로 상부금형(64)과 하부금형(62)은 커팅시 그 압착위치가 정확히 지정된다.
상기 상판(64b)에는 도 41과 같이 간격유지 보울트(B)가 체결되어 하판(64c)을 일정간격 유지시키는데, 이 간격유지 보울트(B)는 그 상부의 머리가 고정판(64a)에 관통된 통로(64a-1)를 통해 승강할 수 있으나, 그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가 하판(64c)에 직접체결되어 하판(64c)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 보울트(B)에 의해 하판(64c)은 커팅시 상하로 유동할 수 있어 탄성부재(64d)에 의해 완충된다.
상기 액추에이터(65)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한다.
이상은 다이얼키 정렬장치(5)가 다이얼키를 커팅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며, 도 24에서는 매거진(43), 슈트(55), 짝수키 하부금형(61), 홀수키 하부금형(62), 콘베이어장치(3)에 의해 운반되는 지그(2)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상기 파지운반수단(53)는 상기 양측 매거진(43)에 수납된 최상부의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파지운반하여 그와 대응되는 커팅기(45)(46)의 각 하부금형(61)(62)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파지운반수단(53)는, 도 30과 같이 상기 양측 매거진(43) 사이 및 양측 하부금형 사이(61)(62)의 베이스판상(48)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매거진(43) 최상부에 배치된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상기 양측 하부금형(61)(62)에 운반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레일(66); 상기 구동레일(66) 상부에 탑재되고 그 내부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67); 상기 슬라이드블록(67) 양측에 설치되고 실린더(S)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는 아암(68); 상기 아암(68)을 슬라이드블록(67)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는 승강안내수단(69); 및 상기 양측 아암(68)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벌어짐과 오므림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각 매거진(43)에 수납된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각 하부금형(61)(62)에 운반하고, 커팅후 사출물 스크랩을 슈트(55)에 운반하는 핑거(7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레일(66)은 산업분야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로서, 그 내부에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이 구동수단과 연결된 상태로 그 상부에 탑재된 슬라이드블록(67)을 왕복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레일(66)의 구동수단은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스크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에 슬라이드블록(67)을 체결한 상태에서 이 스크 류를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슬라이드블록(67)은 왕복이동하게 된다.
상기 아암(68)은 슬라이드블록(67) 양측면에 수평상태로 위치되고 실린더(S)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저면에 상기 핑거(70)를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아암(68)을 슬라이드블록(67) 양측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승강안내수단(69)은 슬라이드블록(67)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71)과, 상기 아암(68)의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레일(71)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어 슬라이드이동하는 가이드블록(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핑거(70)는 도 31과 같이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벌어짐과 오므림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파지 및 해지하는데, 상기 구동레일(66), 슬라이드블록(67), 및 아암(68)에 의해 매거진(43)으로 이동한 후 벌어져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오르린 상태로 파지하고 이후 각각의 하부금형으로 이동하여 벌어짐으로써 파지한 사출물들을 하부금형(61)(62)에 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핑거(70)는 유,공압장치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핑거(70)는 커팅 후 남은 사출물의 스크랩을 같은 방법으로 파지하여 슈트(55)에 버리게 된다.
상기 흡착운반수단(54)는 상기 커팅장치(52)에서 낱개형태로 커팅된 짝수키 및 홀수키들을 흡착방식으로 운반하여 지그로딩장치(4)에서 공급되고 상부콘베이어(20)가 운반하여 받침판(28)에 탑재된 지그(2)의 키홈(2a)에 수납정렬하는 것이다.
이러한 흡착운반수단(54)는, 도 42와 같이 상기 파지운반수단(53)의 구동레일(66)과 대향되게 상기 양측 하부금형 사이의 베이스판상(48)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각 커팅기(45)(46)에서 커팅된 낱개형태의 짝수키 및 홀수키들을 지그(2)의 키홈(2a)에 운반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레일(73); 상기 구동레일(73) 상부에 탑재되고 그 내부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74); 상기 슬라이드블록(74) 양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는 아암(75); 상기 아암(75)을 슬라이드블록(74)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는 승강안내수단(76); 및 상기 양측 아암(75)의 하부에 형성된 로드(75a)에 설치되고, 상기 양측 하부금형(61)(62)에 커팅된 짝수키 및 홀수키들을 흡착할 수 있도록 몸체에 복수 개의 흡착공이 관통되는 흡착판(77);을 포함한다.
상기 아암(75)을 슬라이드블록(74) 양측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승강안내수단(76)은 슬라이드블록(74)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76a)과, 상기 아암(75)의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레일(76a)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어 슬라이드이동하는 가이드블록(7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레일(73), 슬라이드블록(74), 및 아암(75)은 파지운반수단(53)의 구동레일(66), 슬라이드블록(67), 아암(68)과 과 그 구성이 같아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흡착판(77)은 커팅장치(52)에서 커팅된 짝수키 및 홀수키를 공압에 의해 그 저면에 흡착하여 지그(2)에 운반하게 되는데, 몸체에 상기 커팅된 각 다이얼키(17)들과 대응되게 흡착공이 형성되어 이 흡착공이 공기를 빨아들일 때 다이얼키(17)들을 흡착하여 운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다이얼키 정렬장치(5)는 매거진(43)에 수납된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승강수단(49)이 승강시키고, 승강되어 매거진(43) 최상부에 위치한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을 파지운반수단(53)이 커팅장치(52)로 운반하게 되면 커팅장치(52)가 커팅하여 짝수키 및 홀수키를 낱개형태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다이얼키(17)들을 흡착운반수단(54)이 운반하여 지그(2)에 정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이얼키(17)가 정렬된 지그(2)는 받침판(28)이 하강할 때 무한궤도(24)에 탑재되어 다음 공정, 즉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로 이송된다.
다음은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를 설명한다.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는 다이얼키(17)가 정렬된 후 운반된 지그(2)에 도 43 내지 도 44와 같은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를 정렬하는 것으 로,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 후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는 스페이서 사출물(78) 및 기능키(18)가 적층식으로 수납된 각 매거진(80)을 카트리지(81)에 착탈식으로 설치하고, 이들 수납된 스페이서 사출물(78) 및 기능키(18)를 승강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스페이서 사출물(78)은 커팅장치(82)에 공급하고 최상부에 위치한 기능키(18)는 그의 보관금형(83)에 공급한 후 스페이서 사출물(78)은 커팅장치(82)가 커팅하여 스페이서(19)를 낱개형태로 절단한 다음 상기 절단된 스페이서(19)와 보관금형(83)에 배치된 기능키(18)를 흡착시켜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에서 공급된 후 상부콘베이어(20)의 받침판(28)에 탑재된 지그(2)의 빈 키홈(2a)에 배면이 노출되도록 정렬시키는 것이다.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의 구성은, 도 45 내지 도 59와 같이 하우징(84)의 베이스판(85) 하부 양측에 설치된 카트리지(81)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은 몸체에 형성된 수납실에 기능키(18)를 적층식으로 수납하고 타측은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매거진(80); 상기 각 매거진(80)의 수납실에 로드가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어 그 수납실(80a)에 보관된 기능키(18) 또는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86); 상기 승강수단(86)의 로드가 고정된 블록의 일측 상,하에 설치되어, 이 블록의 승하강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의 상사점 및 하사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감지센서(87); 상기 매거진(80)의 출입구 근처에 설치되고, 이들 매거진(80)에 수납되어 로드에 의해 승강하는 최상부의 키능키(18) 및 스페이서 사출물(78)의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를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감지센서(88); 상기 기능키(18)를 수납하는 매거진(80) 일측 하우징의 베이스판(85)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형성된 수납홈(83a)에 매거진(80)에서 운반된 기능키(18)를 임시 보관하는 기능키 보관금형(83); 상기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수납하는 매거진(80) 일측 하우징의 베이스판(85)에 하부금형(89)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설치된 상부금형(90)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하강하여, 매거진(80)에서 운반되고 하부금형(89)에 배치된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커팅하여 스페이서(19)를 낱개형태로 절단하는 커팅장치(82); 상기 매거진(80) 최상부에 위치한 기능키(18)를 흡착하여 기능키 보관금형(83)에 운반하는 제 1흡착운반수단(91); 상기 커팅장치(82)가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커팅할 수 있도록 매거진(80) 최상부에 위치한 스페이서 사출물(78)을 파지하여 상기 커팅장치(82)의 하부금형(89) 지정된 위치에 운반하고, 커팅 후 사출물의 잔여 스크랩을 파지하여 제거하는 파지운반수단(92); 및 상기 기능키 보관금형(83)에 보관된 기능키(18) 및 상기 커팅장치(82)에 의해 낱개형태로 절단된 스페이서(19)들을 각각 흡착운반하여 다이얼키(17)를 수납하고 하부콘베이어(21)에 의해 운반되어 받침판(28)상에 위치한 지그(2)의 빈 키홈(2a)에 정렬하는 제 2흡착운반수단(9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는, 상기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수납하는 매거진(80)과 커팅장치(82) 사이에 사출물의 스크랩을 버릴 수 있도록 도 50, 도 52와 같이 슈트(94)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거진(80)은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의 매거진(80)과 그 구성 및 기능이 같아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매거진(80)은 그 용도가 기능키(18) 및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저장하는 것에 있어서 다이얼키 정렬장치(5)와 다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측 매거진(80)은 그 내부에 스페이서 사출물(78) 및 기능키(18)를 적층식으로 수납하여 카트리지(81)에 장착되면, 상기 승강수단(86)의 로드가 수납실(43a) 하부를 통해 승강하면서 각각의 스페이서 사출물(78) 및 기능키(18)를 승강시켜 그 최상부에 위치한 스페이서 사출물(78)과 기능키(18)를 커팅장치(82) 및 보관금형(83)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상기 승강수단(86)은 도 51과 같이 상기 양측 매거진(80)의 각 수납실에 보관된 스페이서 사출물(78) 및 기능키(18)를 승강시켜 커팅장치(82)와 보관금형(83)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이얼키 정렬장치(5)의 승강수단(49)과 같아 그 구성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세부적인 부호도 동일하게 부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강수단(86)은 모터(58)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56)가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56)에 체결된 블록(60)이 승강함에 따라 그 상부에 고정된 로드(57)가 승강하면서 각 매거진(80)에 적층된 스페이서 사출물(78) 및 기능키(18)를 승강시킨다. 이 때 로드(57)의 상사점과 하점은 블록 감지센서(87)에 의해 결정되고, 승강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스페이서 사출물(78) 및 기능키(18)의 위치는 각 각의 감지센서(88)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기능키 보관금형(83)은 도 55와 같이 매거진(80)에 수납된 최상부의 기능키(18)를 임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후술할 커팅장치(82)가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커팅하여 스페이서(19)를 낱개형태로 절단하게 되면, 이들 스페이서(19)와 함께 기능키(18)를 동시에 제 2흡착운반수단(93)을 이용해 지그(2)에 정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키 보관금형(83)은, 상부에 기능키(18)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83a)이 형성되어 있는 단순한 구조이다.
상기 커팅장치(82)는 상기 매거진(80)에서 운반된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커팅하여 스페이서(19)를 낱개형태로 커팅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팅장치(82)는 도 53 내지 도 58과 같이 매거진(80)의 일측 하우징의 베이스판(85)에 하부금형(89)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설치된 상부금형(90)이 액추에이터(65)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매거진(80)에서 운반되어 하부금형(89)에 배치된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커팅한다.
상기 하부금형(89)은 운반된 스페이서 사출물(78)의 각 키들과 대응된 하부에 이 키들이 커팅될 때 이들을 수납하는 키홈(89a)이 요입되는데, 상기 키홈(89a)은 스페이서(19) 형상과 동일하게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곡면처리된다. 상기 키 홈(89a) 양측에는 키들을 커팅할 때 상부금형(90)의 커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89b)이 요입되며, 상기 키홈(89a) 외측 주변 사방에는 매거진(80)에서 운반된 스페이서 사출물(78)의 배치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안내핀(89c)들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89)은 몸체 모서리 부분에 상부금형(90)과의 압착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안내공(89d)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90)은 액추에이터(65)에 의해 하강하여 그 하부에 설치된 하부금형(89)과 협력하여 하부금형(89)에 배치된 스페이서 사출물(78)의 각 스페이서(19)를 커팅하여 낱개형태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금형(90)은 액추에이터(65)에 고정되는 고정판(90a)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90a) 저면에 상판(90b)이 체결고정되며, 상기 상판(90b)과 일정간격 이격된 하부에는 하판(90c)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상판(90b)과 하판(90c) 사이에는 탄성부재(90d)가 개재되어 하판(90c)을 유동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90d)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상판(90b)은 스페이서 사출물(78)의 키를 커팅하는 복수 개의 커터(90e)가 하부금형(89)의 안내홈(89b)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그 모서리부분에는 하부금형(89)의 안내공(89d)에 삽입되는 샤프트(90f)가 돌출되게 고정되는데, 상기 샤프트(90f)가 안내공(89d)에 삽입되므로 상부금형(90)과 하부금형(89)은 커팅시 그 압착위치가 정확히 지정된다.
이에 따라 상부금형(90)의 커터(90e)가 하부금형(89)의 안내홈(89b)에 편심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어 스페이서(19)를 커팅하게 된다.
상기 상판(90b)에는 간격유지 보울트(B)가 체결되어 하판(90c)을 일정간격 유지시키는데, 이 간격유지 보울트(B)는 그 상부의 머리가 고정판(90a)에 관통된 통로(90a-1)를 통해 승강할 수 있으나, 그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가 하판(90c)에 직접체결되어 하판(90c)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 보울트(B)에 의해 하판(90c)은 커팅시 상하로 유동할 수 있어 탄성부재(90d)에 의해 완충된다.
상기 액추에이터(65)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한다.
상기 유압실린더(65)를 고정판(90a)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의 로드를 상기 고정판(90a)에 부착하여, 로드가 왕복운동하여 상부금형(90)을 승하강시키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부금형(90)은 액추에이터(65)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여 그의 하판(90c)이 하부금형(89)에 압착되어 하판(90c)이 상판(90b)에 접촉될 때 커터(90e)가 하판(90c)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스페이서(19)를 커팅하게 된다.
이상은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가 스페이서(19)를 커팅하고 기능키(18)를 보관금형(83)에 배치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며, 도 50에서는 매거진(80), 슈트(94), 보관금형(83), 하부금형(89), 콘베이어장치(3)에 의해 운반되는 지그(2) 및 후술할 구동레일(95)(103)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 다.
상기 제 1흡착운반수단(91)는 상기 매거진(80)에 수납된 기능키(18)를 흡착하여 보관금형(83)에 운반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흡착운반수단(91)은, 도 52와 같이 상기 양측 매거진(80) 사이의 베이스판(85)상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매거진(80) 최상부에 배치된 기능키(18)를 기능키 보관금형(83)에 운반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레일(95); 상기 구동레일(95) 상부에 탑재되고 그 내부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96); 상기 슬라이드블록(96) 일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는 아암(97); 상기 아암(97)을 슬라이드블록(96)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는 승강안내수단(98); 및 상기 아암(97)의 하부에 형성된 로드에 설치되고, 매거진(80)에 수납된 기능키(18)를 흡착할 수 있도록 몸체에 흡착공이 관통되는 흡착판(99);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레일(95), 슬라이드블록(96), 아암(97), 승강안내수단(98) 및 흡착판(99)은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의 흡착운반수단(54)의 구성 및 기능이 같아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1흡착운반수단(91)는 흡착판(99)이 기능키(18)를 흡착하면 승강안내수단(98)의 이와 같이 상기 아암(68)을 슬라이드블록(67) 양측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승강안내수단(69)은 슬라이드블록(67)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71)과, 상기 아암(68)의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71)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어 슬라이드이동하는 가이드블록(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착판(99)을 들어올리고, 이후 구동레일(95)이 슬라이드블록(96)을 이동시켜 아암(97)을 기능키 보관금형(83)으로 운반하고 상기 아암(97)에 설치된 흡착판(99)이 흡착된 기능키(18)를 보관금형(83)의 수납홈(83a)에 배치한다.
따라서, 커팅된 스페이서(19)와 상기 기능키(18)는 후술할 제 2흡착운반수단(93)에 의해 지그(2)로 운반될 준비가 완료된다.
상기 파지운반수단(92)는 상기 스페이서 사출물(78)을 파지운반하여 커팅장치의 하부금형(89)에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파지운반수단(92)는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의 파지운반수단(92)의 구성과 같아 그 구성요소를 간단히 설명한다.
다시 말해, 상기 파지운반수단(92)는 양측 매거진(80) 사이의 베이스판상(85)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레일(95); 상기 구동레일(95) 상부에 탑재되고 그 내부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블록(96); 상기 슬라이드블록(96) 타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는 아암(100); 상기 아암(100)을 슬라이드블록(96)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는 승강안내수단(101); 상기 아암(100)의 하부에 형성된 로드에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벌어짐과 오므림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매거진(80)에 수납된 스페이서 사출물(78)을 하부금형(89)에 운반하고, 커팅후 사출물 스크랩을 슈트(94)에 운반하는 핑거(102);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파지운반수단(92)는 도 31과 같이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핑거(102)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오므려 스페이서 사출물(78)을 파지하게 되면, 승강안내수단(101)은 가이드레일(101a)의 안내에 따라 가이드블록(101b)가 승하강하여 핑거(102)를 들어올리고 이후 구동레일(95)이 슬라이드블록(96)과 아암(100)을 커팅장치(82)로 이동시켜 상기 아암(100)에 설치된 핑거(102)는 벌어지면서 파지된 스페이서 사출물(78)을 하부금형(89)에 배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핑거(102)는 커팅 후 남은 사출물의 스크랩을 같은 방법으로 파지하여 슈트(94)에 버리게 된다.
상기 제 2흡착운반수단(93)은 보관금형(83)에 배치된 기능키 및 커팅장치에서 커팅된 스페이서(19)를 흡착하여 다이얼키 정렬장치(5)에서 운반된 지그(2)에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2흡착운반수단(93)는, 도 59와 같이 상기 제 1흡착운반수단(91)의 구동레일(95)과 대향되게 상기 하부금형(89)과 기능키 보관금형(83) 사이의 베이스판상(85)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기능키 보관금형(83)에 배치된 기능키 및 커팅장치(82)에서 커팅된 낱개형태의 스페이서(19)들을 지그(2)의 키홈(2a)에 운반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레일(103); 상기 구동레일(103) 상부에 탑재되고 그 내부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104); 상기 슬라이드블록(104) 양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는 아암(105); 상기 아암(105)을 슬라이드블록(104)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는 승강안내수단(106); 및 상기 양측 아암(105)의 하부에 형성된 로드에 설치되고, 상 기 기능키(18) 보관함에 배치된 기능키 및 커팅장치(82)에서 커팅된 낱개형태의 스페이서(19)들을 흡착할 수 있도록 몸체에 복수 개의 흡착공이 관통되는 흡착판(107);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제 2흡착운반수단(93)은 다이얼키 정렬장치(5)의 의 흡착운반수단(54)와 구조와 기능이 같아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 2흡착운반수단(93)은 흡착판(107)이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를 흡착하면 승강안내수단(106)의 가이드레일(106a)의 안내에 따라 가이드블록(106b)이 승강하여 흡착판(107)을 들어올리고, 이후 구동레일(103)이 슬라이드블록(104)을 이동시켜 아암(105)을 기능키 보관금형(83)으로 운반하고 상기 아암(105)에 설치된 흡착판(107)이 흡착된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를 지그(2)의 빈 키홈(2a)에 정렬하게 된다.
다음은 접착제 점착장치(7)를 설명한다.
상기 접착제 점착장치(7)는 지그(2)에 정렬완료된 다이얼키(17),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에 패드(16a)를 부착시키기 위한 전 공정을 수행한 장치로서, 패드(16a)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이들 다이얼키(17),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에 접착제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착제 점착장치(7)는 콘트롤의 제어에 의해 주사기가 X,Y,Z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의 배면에 접착제를 점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 점착장치(7)의 구성은, 도 60 내지 도 65와 같이 접착제를 저장 하여 지그(2)에 수납된 각 키의 배면에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사기(108); 상기 주사기(108)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고정하는 디스펜서(109); 상기 주사기(108)가 그 일측 하부콘베이어(21)의 받침판(28)에 탑재된 지그(2)의 각 키(17)(18)(19)에 접착제를 접착시킬 수 있도록 디스펜서(109)를 X,Y,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펜서 구동수단(110); 및 상기 디스펜서(109)의 이동방향 제어 및 주사기(108)의 주사핀이 각 키에 위치될 때 접착제를 배출시키는 타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11);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서(109)는 복수 개의 주사기(108)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디스펜서(109)는, 주사기(108)를 정렬할 수 있도록 거치장소를 제공하는 거치대(112)와 상기 거치대(112)에 직접 주사기(108)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3)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112)는 후술할 Z방향 블록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전면에 상기 고정부재(113)를 설치하기 위한 로드(112a)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13)은 거치대(112)에 설치되어 주사기(108)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 후방에 상기 로드(112a)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113a)이 관통되고 이 수용공(113a)의 상부에는 조절레버(113b)의 보울트가 체결되어 상기 로드(112a)에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공(113c)이 관통되며, 몸체 전방 상부에는 상기 주사기(108)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113d)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수용부(113d) 외측에는 조절레버(113e)의 보울트가 체결되어 주사기(108)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공(113f)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13d) 하부에는 주사기(108)의 주사핀을 지지하는 지지대(113g)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펜서(109)는 고정부재(113)의 수용공(113a)을 거치대(112)의 로드(112a)에 끼움조립한 후 조절레버(113b)를 나사공(113c)에 체결하여 각각의 고정부재(113)를 로드(112a)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한다. 다음에는 상기 고정부재(113)의 수용부(113d)에 주사기(108)를 삽입하고 그 수용부(113d)와 관통된 나사공(113f)에 조절레버(113e)를 체결하여 주사기(108)를 설치한다. 이 때 주사기(108)의 높낮이 위치는 상기 수용부(113d)에 체결된 조절레버(113e)를 이용하여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구동수단(110)은 주사기(108)가 지그(2)의 각 키에 접착제를 접착시킬 수 있도록 디스펜서(109)를 X,Y,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디스펜서 구동수단(110)은 상부콘베이어(20)와 교차되게 상기 상부콘베이어(20) 상부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 직선왕복운동수단이 구비되는 베이스 구동레일(114); 내부에 직선왕복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구동레일(114) 상부에 탑재되어 이 베이스 구동레일(114)의 직선왕복운동수단의 동력에 의해 Y방향으로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Y축방향 구동레일(115); 내부에 직선왕복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Y축방향 구동레일(115)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Y축방향 구동레일(115)의 직선왕복운동수단 동력에 의해 X방향으로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X축 방향 구동레일(116); 및 하부에 상기 디스펜서(109)가 설치되고, 상기 X축방향 구동레일(116)의 직선왕복운동수단에 연결되어 이 직선왕복운동수단 동력에 의해 Z방향으로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Z축방향 블록(117);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구동레일(114)은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 또는 다이얼키 정렬장치(5)에 사용되는 구동레일(66)(73)(95)과 같이 그 상부에 탑재된 Y축방향 구동레일(115)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수단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하였고 또한 공지된 기술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또한, 상기 Y축방향 구동레일(115)과 상기 Y축방향레일에 탑재되는 X축방향 구동레일(116)들도 상기 베이스 구동레일(114)과 같이 그 내부에 구동수단이 구비된 통상적인 기술이다.
상기 X축방향 구동레일(116)에 고정된 Z축방향 블록(117)은 그 하부에 상기 디스펜서(109)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펜서(109)가 설치된 Z축방향 블록(117)은 콘트롤러(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Z축방향 블록(117)에 의해 승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Y축방향 구동레일(115)이 X축방향 구동레일(116)을 X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므로 X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베이스 구동레일(114)이 Y축방향 구동레일(115)을 Y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결국 X,Y,Z방향으로 동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디스펜서(109)에 설치된 주사기(108)는 상기 디스펜서 구동수단(110)의 안내에 따라 X,Y,Z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그(2)의 정렬된 각 키(17)(18)(19)의 배면에 접착제를 접착시키게 된다.
다음은 패드부착장치(8)를 설명한다.
상기 패드부착장치(8)는 접착제 점착장치(7)에 의해 접착제가 점착된 키에 패드(16a)를 공급하여 부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패드부착장치(8)는 상기 접착제 점착장치(7) 후방에 설치되고, 패드(16a)들이 적층식으로 수납된 매거진(118)을 카트리지(119)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이들 수납된 패드(16a)를 승강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패드(16a)를 흡착하여 운반하여 키(17)(18)(19)에 가압시켜 키와 패드(16a)를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 패드부착장치(8)의 구성은, 도 66 내지 도 71과 같이 상부콘베이어(20) 일측에 형성된 카트리지(119)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몸체에 형성된 수납실에 패드(16a)를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매거진(118); 상기 매거진(118)의 수납실(118a)에 로드가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어 그 수납실(118a)에 보관된 패드(16a)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20); 상기 승강수단(120)의 로드가 형성된 블록의 일측 상,하에 설치되어, 이 블록의 승하강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의 상사점 및 하사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감지센서(121); 상기 매거진(118)의 출입구 근처에 설치되고, 이들 매거진(118)에 수납되어 로드에 의해 승강하는 최상부의 패드(16a)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를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패드 감지센서(122); 상기 매거진(118)과 상부콘베이어(20)의 받침판(28) 사이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매거진(118)에서 운반된 패드(16a)의 위치를 지정된 위치에 세팅시키는 세팅판(123); 상기 매거진(118) 최상부에 위치한 패드(16a)를 흡착하여 상기 세팅판(123)에 운반하는 운반부재(124); 상기 세팅판(123)에 운반된 패드(16a)를 흡착하여 받침판(28)에 탑재된 지그(2)의 각 키에 일정시간동안 가압하여 키에 점착된 접착제에 의해 키와 패드(16a)를 부착시키는 부착부재(125); 및 상기 운반부재(124) 및 부착부재(125)가 패드(16a)를 운반하여 키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운반부재(124) 및 부착부재(125)를 왕복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126);를 포함한다.
상기 매거진(118)은 접착제가 점착된 키에 패드(16a)를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패드(16a)를 적층식으로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매거진(118)은 이미 설명한 여타의 매거진과 같아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그 용도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실에 패드(16a)를 적층식으로 보관하는 것이 다르다.
상기 승강수단(120) 상기 매거진(118)에 적층된 패드(16a)를 승강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패드(16a)를 키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역시 설명한 여타의 승강장치의 구성과 유사하고 기능은 같다.
다시 말해, 상기 승강수단(120)은 도 69와 같이 모터(127)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128)가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128)에 체결된 블록(129)은 스크류(128)가 정,역회전할 때 승하강하게 되고, 상기 블록(129) 상부에 형성된 로드(130)는 매거진(118)의 수납실(118a)에 삽입되어 블록(129)이 승강할 때 그 상부에 탑재된 패드(16a)를 승강시켜 최상부의 패드를 세팅판(123)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로드(130)의 상사점과 하점은 블록 감지센서(121)에 의해 결정되고, 승강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패드(16a)의 위치는 패드 감지센서(122)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세팅판(123)은 매거진(118)에 수납된 패드(16a)를 접착제가 점착된 키에 운반하기 전 단계에서, 패드(16a)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팅판(123)은 상기 매거진(118)과 상부콘베이어(20)의 받침판(28) 사이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 패드(16a)의 테두리에 형성된 안내공(16a-1)에 삽입되어 세팅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세팅핀(123a)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운반부재(124)는 상기 액추에이터(126)의 고정판(126-3) 외측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매거진(118) 최상부에 위치한 패드(16a)를 흡착하여 상기 세팅판(123)에 운반하는 것으로, 판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액추에이터(126)의 작동유체인 공압과 연통되게 복수 개의 흡착공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착공으로 흡입된 공기에 의해 패드(16a)를 흡착하여 세팅판(123)에 세팅시키게 된다.
상기 부착부재(125)는 상기 운반부재(124)의 일측, 즉 상기 액추에이터(126)의 고정판(126-3) 내측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세팅판(123)에 준비된 패드(16a)를 흡착하여 상기 접착제 점착장치(7)에서 운반되고 받침판(28)에 탑재된 지그(2)의 키에 가압하여 패드(16a)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착부재(125)는 운반부재(124)와 같은 구조, 즉 판상의 몸체에 액추에이터(126)의 작동유체인 공압과 연통되게 복수 개의 흡착공이 관통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착부재(125)는 상기 흡착공으로 흡입된 공기에 의해 패드(16a)를 접착제가 점착된 (17)(18)(19)키에 운반하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126)는 상기 운반부재(124) 및 부착부재(125)의 각 흡착공에 공기를 통과시켜 패드(16a)를 부착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액추에이터(126)는 상기 매거진(118)과 대향되는 상부콘베이어(20) 타측에 수직으로 브래킷(126a)이 세워지고, 이 브래킷(126a)에 설치되어 운반부재(124) 및 부착부재(125)를 왕복수평이동시키는 수평방향 실린더(126-1); 상기 수평방향 실리더(126-1)의 로드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운반부재(124) 및 부착부재(125)를 왕복수직이동시키는 수직방향 실린더(126-2); 상기 수직방향 실린더(126-2) 로드 하부에 고정되고 그 저면에 상기 운반부재(124) 및 부착부재(125)를 고정하는 고정판(126-3);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운반부재(124) 및 부착부재(125)는 상기 수평방향 실린더(126-1) 및 수직방향 실린더(126-2)의 구동에 의해 수평 및 수직이동하게 된다.
다음은 지그 언로딩장치(9)를 설명한다.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9)는 패드부착장치(8)에서 운반된 지그(2)에서 제조된 키패드(16)가 제거될 때 빈 지그(2)를 콘베이어장치(3)의 하부콘베이어(21)에 언로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지그 언로딩장치(9)는, 도 72 내지 도 75b와 같이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콘베이어(131)가 정,역회전 모터(132)에 의해 왕복회전하면서 상부콘베이어(20)와 일치될 때 상부콘베이어(20)가 운반한 지그(2)를 전달받은 후 하강하여 하부콘베이어(21)에 공급하게 되고, 이는 상기 지그 로딩장치(4)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유사하다.
즉, 지그 언로딩장치(9)는 하우징(133); 상기 하우징(133)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무한궤도(131a)가 정,역회전하여 상부콘베이어(20)에서 운반된 지그(2)를 하부콘베이어(21)로 이송시키는 콘베이어(131); 상기 콘베이어(131)와 연결되고 이 콘베이어(131)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134); 상기 콘베이어(131)가 승강수단(134)에 의해 승하강 할 때 상,하부콘베이어(20)(21)와 일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133) 내부 상,하에 설치되어 콘베이어(131)를 정지시키는 스톱퍼(135); 상기 콘베이어(131)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콘베이어(20)에서 운반된 지그(2)가 콘베이어(131)에 탑재될 때 콘베이어(131) 구동을 정지시켜 지그(2)의 탑재위치를 감지하는 지그 감지센서(136); 및 상기 콘베이어(131)의 무한궤도(131a) 사이에 판상의 몸체가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상기 지그(2)에 형성된 취출공(2b)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취출핀(137a)이 돌출되어, 제조된 후 지그(2)에 배치된 키패드(16)를 검사장소로 공급하는 키패드 공급장치(10)가 키패드(16)를 흡착하여 지그(2)에서 들어올릴 때 상승하여 그 취출핀(137a)이 지그(2)의 취출공(2b)에 삽입되어 키패드(16)의 취출을 돕는 키패드 취출판(137);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지그 언로딩장치(9)는 지그 로딩장치(4)와 유사하기 때문에 각 구성요소들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취출판(137)은 로딩장치에 없는 것이기에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취출판(137)은 지그(2)를 언로딩시키기 위해 지그(2)에 탑재된 키패드(16)를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10)가 지그(2)에서 키패드(16)를 제거할 때 키패드(16) 제거를 도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취출판(137)은 콘베이어(131)의 무한궤도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132a) 로드에 고정되어, 이 실린더(132a)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상승할 때 그 상부에 돌출된 복수 개의 취출핀(137a)이 지그(2)에 형성된 취출공(2b)에 삽입되어 키패드(16)를 지그(2)에서 들어올려 키패드(16)의 제거를 돕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지그 언로딩장치(9)는 상기와 같이 키패드 공급장치(10)가 키패드(16)를 지그(2)에서 제거하게 되면, 키패드(16)가 제거된 빈 지그(2)를 탑재한 콘베이어(131)가 승강수단(134)에 의해 하강하여 하부콘베이어(21) 높이와 일치된 후 모터(132)가 콘베이어(131)를 구동시켜 지그(2)를 하부콘베이어(21)에 공급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패드부착장치(8)에서 운반된 지그(2)가 콘베이어(131)에 탑재되는 위치는 지그 감지센서(136)가 결정하게 되고, 이 콘베이어(131)의 승하강 높이는 스톱퍼(135)가 결정하게 된다.
다음은 키패드 공급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10)는 패드부착장치(8)에서 제조되어 운반된 키패드(16)를 지그(2)에서 제거하여 키패드 검사장치(11)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키패드 공급장치(10)는 수평왕복이동 및 상하왕복이동 그리고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흡착판이 지그(2)에서 키패드(16)를 흡착하여 키패드 검사장치(11)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10)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76a 내지 도 77과 같이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9)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138)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키패드 검사장치(11)까지 연장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직선왕복운동수단이 지그(2)에 수납된 키패드(16)를 상기 키패드 검사장치(11)에 운반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레일(139); 상기 구동레일(139)의 직선왕복운동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그 로드가 왕복승하강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레일(139)에 의해 수평왕복운동하는 승하강 실린더(140); 상기 승하강 실린더(140) 하부에 설치되어 그의 하부에 연장된 회전체(141a)가 회전운동하는 회전 실린더(141); 및 상기 회전 실린더(141)의 회전체(141a)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9)에서 언로딩된 지그(2)에 수납된 키패드(16)를 흡착할 수 있도록 몸체에 복수개의 흡착공이 관통되는 흡착판(142);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패드부착장치(8)에서 키와 패드(16a)가 부착된 후 하부콘베이어(21)의 운반에 의해 지그 언로딩장치(9)로 이송된 지그(2)가 언로딩되기 전에 상기 승하강 실린더(140)가 하강하고 회전 실린더(141) 하부에 설치된 흡착판(142)이 상기 지그(2)에 수납된 키패드(16)를 흡착하게 되면 승하강 실린더(140)의 로드가 일정 높이 상승하고 구동레일(139)의 직선왕복운동수단이 승하강 실린더(140)를 키패드 검사장치(11)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 실린더(141)의 회전체(141a)가 흡착판(142)에 흡착된 키패드(16)를 키패드 검사장치(11)에 공급한다.
상기 구동레일(139)은 흡착판(142)에 부착된 키패드(16)를 키패드 검사장치(11)에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직선왕복운동수단이 상기 흡착판(142)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레일(139)은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된 공지의 기술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140)는 구동레일(139)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구동레일(139)에 의해 수평이동하면서 자신의 로드는 승하강운동하여 그 하부에 설치된 회전 실린더(141)를 수평,수직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회전 실린더(141)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140) 하부에 설치되고, 그의 회전체(141a)가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10)와 교차되게 설치된 키패드 검사장치(11)에 키패드(16)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실린더(141)도 공지된 기술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흡착판(142)은 상기 회전 실린더(141)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일(139), 승하강 실린더(140) 및 회전 실린더(141)에 의해 이동하면서 지그 언로딩장치(9)에 이송된 지그(2)에서 제조된 키패드(16)를 흡착한 후 키패드 검사장치(11)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키패드 검사장치(11)의 콘베이어가 회전체(141a) 진행방향과 교차되어 있기 때문에 도 77과 같이 상기 회전 실린더(141)에 의해 90도 회전한 다음 하강하여 키패드 검사장치(11)의 콘베이어에 키패드(16)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흡착판(142)은 판상의 몸체에 키패드(16)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공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다음은 키패드 검사장치(11)를 설명한다.
상기 키패드 검사장치(11)는 도 78 내지 도 81과 같이 키패드 공급장치(10)에서 운반된 키패드(16)를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공급된 키패드(16)를 콘베이어(143)가 집광실(144)로 운반하고 상기 집광실(144)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145)가 상기 키패드(16)를 촬영하여 컴퓨터(146)에 미리 입력된 키패드(16) 형상과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키패드(16)의 불량을 검사하여 불량여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키패드 검사장치(11)는,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10) 근처의 콘베이어(143)상에 정,역회전 모터(147)를 설치하고, 이 모터(147)의 샤프트에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10)의 흡착판(142)에 공급하는 키패드(16)를 수납하는 수납판(148)을 설치하여, 상기 수납판(148)에 키패드(16)가 공급되면, 상기 모터(147)가 구동하여 수납판(148)을 180도 회전시켜 키패드(16)를 콘베이어(143)에 정렬시키게 된다.
키패드 검사장치(11)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제조된 양품의 키패드(16)를 샘플로 채취하여, 그 키패드(16)의 이미지를 미리 컴퓨터(146)에 입력하여, 이후 제조되어 공급된 각 키패드(16)를 상기 카메라(145)가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145)와 연결된 컴퓨터(146)가 촬영된 키패드(16)을 검사하여 검사 대상의 키패드(16)가 입력된 이미지와 일치되면 양품의 키패드로 판정하고, 불일치되면 불량 키패드로 판정하게 되는데, 불량 키패드로 판정되면 콘베이어(143)상에 설치된 실린더(149)가 그 불량 키패드를 콘베이어(143)에서 밀어내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양품의 키패드만 출하되도록 한다.
이러한 일련의 키패드 검사장치(11)는 공지의 기술이기에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다이얼키 검사대(12)를 설명한다.
상기 다이얼키 검사대(12)는 도 82와 같이 다이얼키 정렬장치(5)가 지그(2) 에 정렬한 다이얼키(17)를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이얼키 정렬장치(5)와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다이얼키 검사대(12)는 다이얼키 정렬장치(5) 후방에 콘베이어장치(3)의 일정구간을 확보하고, 이 구간의 상부콘베이어(20)상에 운반되는 지그(2)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6)가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26) 일측 무한궤도(24) 사이에 스톱퍼(27) 및 받침판(28)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추고, 상기 감지센서(26)에 신호를 인가시키는 버튼(150)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이얼키 검사대(12)는 상부콘베이어(20)에 의해 운반된 지그(2)에 정렬된 각 다이얼키(17)의 정렬상태를 검사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정렬상태가 바르지 않을 때는 상기 버튼(150)을 누름조작한다.
이와 같이 버튼(150)을 조작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감지센서(26)에 의해 스톱퍼(27)가 승강시켜 지그(2)를 정지시키고, 이후 받침판(28)이 상승하여 구동 중인 콘베이어의 무한궤도(24)에서 지그(2)를 들어올려 지그(2)를 안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검사자는 상기 지그(2)에 정렬된 다이얼키(17)들을 수정하여 바르게 정렬하거나 또는 정렬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지그(2)를 상부콘베이어(20)에서 제거하여 더 이상 키패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음은 기능키 및 스페이서 검사대(13)를 설명한다.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검사대(13)는 도 83과 같이 기능키 및 스페이서 검사대(13)를 지나 다음 제조공정으로 운반되는 지그(2)의 키(17),(18) 및 스페이서(19)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키 및 스페이서 검사대(13)는 기능키(18)와 스페이서(19)는 물론이고 그 전에 이미 정렬된 다이얼키(17)들의 정렬상태로 함께 검사하게 된다.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검사대(13)의 구성은,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의 후방에 콘베이어장치(3)의 일정구간을 확보하고, 이 구간의 상부콘베이어(20)상에 운반되는 지그(2)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6)가 설치하며, 상기 감지센서(26) 일측 무한궤도(24) 사이에 스톱퍼(27) 및 받침판(28)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추고, 상기 감지센서(26)에 신호를 인가시키는 버튼(151)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기능키 및 다이얼키 검사대(13)의 구성은 상기 다이얼키 검사대(12)의 구성과 같다.
따라서, 운반된 지그(2)에 정렬된 다이얼키(17),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의 정렬상태를 검사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정렬상태가 바르지 않을 때는 상기 버튼(151)을 누름조작하여 지그(2)가 무한궤도에서 상승하여 안정되면 검사자는 바르게 정렬되지 않는 키들을 바르게 정렬하거나 또는 정렬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지그(2)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패드압착장치(14)를 설명한다.
상기 패드압착장치(14)는 패드부착장치(8)에서 접착제에 의해 키(17)(18)(19)와 패드(16a)가 부착되어 제조된 키패드(16)가 키패드 검사장치(11) 로 이송되기 전에 키패드(16)를 가압하여 키(17)(18)(19)를 견고하게 부착하여 불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패드압착장치(14)는, 도 84 내지 도 86b와 같이 상부콘베이어(20) 일측에 설치된 프레임(152)에 실린더(153)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실린더(153)의 로드 단부에 가압판(154)이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가압판(154)이 받침판(28)에 탑재된 지그(2)에 수납되고 접착제에 의해 키와 패드(16a)가 부착된 키패드(16)를 일정시간동안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패드압착장치(14)가 키패드(16) 제조 후 즉시 일정시간 가압하게 되면 키가 패드(16a)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이후 공정에서 키가 이탈하지 않아 불량품을 줄이게 된다.
다음은 키취출장치(15)를 설명한다.
상기 키취출장치(15)는 지그 언로딩장치(9)에 의해 하부콘베이어(21)에 언로딩된 지그(2)에 키가 잔존할 경우에 상기 잔존하는 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키취출장치(15)는, 도 87 내지 도 89와 같이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9) 일측 하부콘베이어(21)의 무한궤도 사이에 설치되고, 판상의 몸체 상면에 복수 개의 취출핀(155a)이 돌출되어, 언로딩된 후 하부콘베이어(21)가 운반하는 지그(2)를 감지센서(26)가 감지하고 스톱퍼(27)가 상승하여 지그(2)를 정지시킬 때 몸체가 상승하여 그의 취출핀(155a)이 지그(2)의 취출공(2b)에 삽입하여 키 홈(2a)에 남아있는 키를 제거하는 취출판(155); 및 상기 취출판(155)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취출판(155)이 상승하여 취출핀(155a)이 지그(2)의 키홈(2a)에 남아 있는 키를 들어올릴 때 공기를 분사하여 지그(2)에서 키를 제거토록 하는 분사노즐(156);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156)은 하부콘베이어의 프레임 일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분사노즐(156)은 길이방향으로 메인관(156a)이 형성되고, 이 메인관(156a)과 교차되게 복수 개의 지관(156b)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관(156b)이 지그(2)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이 지관(156b)에서 분사된 공기가 지그(2)에 잔존하는 키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키취출장치는 콤프레셔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콤프레셔를 설치할 경우 구조의 복잡성과 소음을 감안하여 공압수단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분사노즐(156)로 분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키취출장치(15)는 언로딩된 지그(2)를 하부콘베이어 (21)가 지그 로딩장치(4)에 운반하는 과정에서 그 지그(2)에 잔존하는 키를 제거하여 다이얼 정렬장치(5)에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조장치인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1)이 키패드를 제조하는 일련의 자동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을 공급하여 각 장치들을 구동시킨다.
다이얼키 정렬장치(5)의 각 매거진(43)에 짝수키 사출물(41)과 홀수키 사출물(42)은 적층식으로 수납하여 각각의 카트리지(44)에 장착하고, 또한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의 각 매거진(80)에 기능키(18)와 스페이서 사출물(78)을 각각 수납하여 카트리지(81)에 장착시킨다.
뿐만 아니라, 패드부착장치(8)의 매거진(118)에도 패드(16a)를 적층시켜 카트리지(119)에 장착시켜 키패드(16)를 제조하기 위한 준비를 완료한다.
여기서, 매거진(43)(80)(118)에 수납된 각 사출물(41)(42)과 기능키(18) 및 패드(16a)는 배면이 노출되도록 수납하여 키(17)(18)(19)의 배면에 접착제를 점착하여 패드(16a)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키패드(16)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지그 로딩장치(4)의 콘베이어(32) 또는 하부콘베이어(21)에 지그(2)를 탑재시키게 되면 상기 지그 로딩장치(4)가 지그(2)를 다이얼키 정렬장치(5)에 공급한다.
다이얼키 정렬장치(5)에 공급된 지그(2)는 콘베이어장치(3)의 감지센서(26) 및 스톱퍼(27)에 의해 정지되고 승강한 받침판(28)에 놓여져 다이얼키(17)를 수납할 준비를 한다.
이 때, 준비된 지그(2)는 최초로 공급되므로 짝수키 커팅기(45)의 일측 받침대에 위치하게 되므로 홀수키 커팅기(46)의 받침대에는 지그(2)가 놓이지 않게 된다.
물론, 이후의 공정에서는 상기 짝수키 커팅기(45)에 위치한 지그(2)가 홀수키 커팅기(46)의 일측 받침대로 이동하게 되므로 양측 커팅기(45)(46)의 일측 받침판(28)에는 지그(2)가 순차적으로 공급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지그(2)가 수납준비를 하는 동안에 다이얼키 정렬장치(5)의 승강수단(49)이 각 매거진(43)에 수납된 짝수키 사출물(41)과 홀수키 사출물(42)을 승강시키고, 그 최상부에 수납된 짝수키 사출물(41)과 홀수키 사출물(42)을 파지운반수단(53)이 파지하여 커팅장치(52)로 운반하여 하부금형(61)(62)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시킨다.
이 과정에서 승강수단(49)의 로드는 블록 감지센서(50)에 의해 그 상,하점이 결정되어 이 영역의 범위내에서 승하강하게 되고, 승강된 최상부의 짝수키 사출물(41) 및 홀수키 사출물(42)은 사출물 감지센서(51)가 결정하게 되므로 자동으로 사출물을 안정되게 승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파지운반수단(92)에 의해 각 하부금형(61)(62)에 배치된 사출물(41)(42)들은 안내핀(61c)(62c)에 의해 그 배치위치가 지정되어 사출물(41)(42)의 리브에 성형된 키들은 키홈(2a)의 상부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사출물(41)(42)들이 배치되면, 커팅장치(52)의 각 상부금형 (63) (64)이 하강하여 리브에서 키들을 커팅한 다음 다시 상승하고, 흡착운반수단(54)의 흡착판(77)이 커팅된 다일키(17)들을 흡착하여 짝수키 일측에 준비된 지그(2)의 키 홈(2a)에 정렬하게 된다.
이 때, 지그(2)는 짝수키 일측에만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된 홀수키는 별도로 제거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공정에서 홀수키 사출물(42)을 금형에 공급하지 않는다.
물론, 이후에는 짝수키가 정렬된 지그(2)가 홀수측으로 이동하여 위치되기 때문에 지그(2)에 연속적으로 키들을 정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그(2)에 커팅된 키(17)가 정렬되는 동안에 파지운반수단(92)의 핑거(104)는 스크랩을 파지하여 슈트(55)에 버리게 되므로 하부금형(89)은 다시 사출물들을 배치할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이상의 다이얼키 정렬장치(5)는 연속적으로 공급된 각 지그(2)에 짝수키 및 홀수키를 순차적으로 정렬하게 된다.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5)에서 정렬된 다이얼키(17)는 콘베이어장치(3)를 통해 다음 제조공정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로 이송되는데, 이송과정에서 다이얼키 검사대(12)를 지나면서 키들의 정렬상태가 검사된다.
만약, 다이얼키(17)가 바르게 정렬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검사자가 버튼(150)을 누름조작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센서(26)에 의해 스톱퍼(27)가 상승하여 지그(2)를 정지시키고 이후 받침판(28)이 상승하여 구동상태의 무한궤도(24)에서 지그(2)를 안정시키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검사자는 다이얼키(17)를 바르게 정렬하거나 또는 정렬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그 지그(2)를 상부콘베이어(20)에서 제거한 다.
이와 같은 검사과정을 마친 다이얼키(17)는 다음 제조공정인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로 이송되고, 상기 이송된 지그(2)는 기능키 보관금형(83) 일측의 받침판(28)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그(2)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승강수단(86)의 로드(57)가 상승하여 매거진(80)에 수납된 기능키(18) 및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승강시키게 되고, 승강된 기능키(18)는 제 1흡착운반수단(91)가 흡착운반하여 기능키 보관금형(83)의 수납홈(83a)에 정렬시키고, 이와 동시에 스페이서 사출물(78)은 파지운반수단(92)이 커팅장치(82)의 하부금형(89)에 운반시키게 된다.
이후 커팅장치(82)의 상부금형(90)이 하강하여 스페이서 사출물(78)의 각 스페이서(19)를 커팅하여 낱개형태로 절단하고 상승하면, 제 2흡착운반수단(93)의 각 흡착판(107)이 기능키(18) 및 커팅된 스페이서(19)들을 흡착운반하여 그 일측 상부콘베이어(20)에 준비된 지그(2)의 빈 키홈(2a)에 정렬하게 된다.
이 때, 지그(2)는 기능키(18) 일측에만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된 스페이서(19)는 별도로 제거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공정에서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커팅기에 공급하지 않으면 된다.
물론, 이후에는 기능키(18)가 정렬된 지그(2)가 스페이서(19)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다이얼키(17)가 정렬된 지그(2)에 연속적으로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를 정렬할 수 있다.
상기의 제조 공정에서, 승강수단(86)의 로드(57)는 블록 감지센서(87)에 의해 그 상,하점이 결정되어 이 영역의 범위내에서 승하강하게 되고, 승강된 최상부의 기능키(18) 및 스페이서 사출물(78)은 각각의 감지센서(88)가 결정하게 되므로 자동으로 기능키(18) 및 스페이서 사출물(78)을 안정되게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6)에서 정렬된 기능키(18)와 스페이서(19)는 콘베이어장치(3)를 통해 다음 제조공정인 접착제 점착장치(7)로 이송되는데, 이송과정에서 기능키 및 스페이서 검사대(13)를 지나면서 각 키(17),(18) 및 스페이서(19)의 정렬상태가 검사된다.
만약,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가 바르게 정렬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검사자가 버튼(151)을 누름조작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센서(26)에 의해 스톱퍼(27)가 상승하여 지그(2)를 정지시키고 이후 받침판(28)이 상승하여 구동상태의 무한궤도(24)에서 지그(2)를 안정시키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검사자는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를 바르게 정렬하거나 또는 정렬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그 지그(2)를 상부콘베이어(20)에서 제거한다.
이와 같은 검사과정을 마친 기능키(18) 및 스페이서(19)는 다음 제조공정인 접착제 점착장치(7)로 이송되는데, 접착제 점착장치(7)의 일측 받침판(28)상에 탑재된다.
이와 같이 지그(2)가 받침판(28)상에 위치하게 되면, 접착제 점착장치(7)는 콘트롤러(111)의 제어에 의해 디스펜서 구동수단(110)에 의해 디스펜서(109)는, 즉 베이스 구동레일(114)에 탑재된 Y축방향 구동레일(115)이 Y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Y축방향 구동레일(115)에 설치된 X축방향 구동레일(116)이 X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X축방향 구동레일(116)에 설치된 Z축방향 블록(117)은 Z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주사기(108)가 설치된 디스펜서(109)는 X,Y,Z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109)에 설치된 각각의 주사기(108)는 콘트롤러(111)에 입력된 순서에 따라 각 키의 노출면(배면)에 접착제를 점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접착제가 점착된 키(17)(18)및 스페이서(19)는 지그(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콘베이어(20)의 구동에 의해 다음 제조공정인 패드부착장치(8)로 이송되어, 그 일측 받침판(28)상에 놓여진다.
패드부착장치(8)는 매거진(118)에 수납된 패드(16a)를 승강수단(120)의 로드(57)가 승강시키고, 그 최상부에 수납된 패드(16a)는 액추에이터(126)에 의해 하강하는 운반부재(124)가 흡착하여 세팅판(123)에 패드(16a)의 위치를 세팅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패드(16a)의 세팅은 세팅판(123)에 돌출된 세팅핀(123a)에 패드(16a)의 안내공(16b)을 끼워 세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드(16a)의 위치가 세팅되면 엑추에이터(126)의 수직 및 수평방향 실린더(126-1)(126-2)는 부착부재(125)를 패드(16a)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부착부재(125) 일측에 설치된 운반부재(124)는 다시 매거진(118)으로 이동하여 패드(16a) 상부에 위치하여 다시 패드(16a)를 운반할 준비를 한다.
이후, 부착부재(125)와 운반부재(124)는 수직 및 수평방향 실린더(126-1)(126-2)에 의해 하강하여 각각 세팅판(123)과 매거진(118)의 패드(16a)를 흡착하여 세팅판(123)의 패드(16a)를 접착제가 점착된 키에 가압하여 부착시키고 매거진(118)의 패드(16a)를 다시 세팅판(123)에 세팅하게 됨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드부착장치(8)가 키에 패드(16a)를 부착하게 되면 비로소 키패드(16)를 제조하게 되는데, 이후 상기 제조된 키패드(16)를 지그(2)에서 제거한 후 검사하여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패드부착장치(8)에서 키(17)(18)와 스페이서(19) 및 패드(16a)를 부착하여 일단의 키패드(16)가 제조되면, 상기 키패드(16)가 수납된 지그(2)는 상부콘베이어(20)에 의해 지그 언로딩장치(9)로 이송된다. 이 때 지그 언로딩장치(9)의 콘베이어(131)는 상승하여 상부콘베이어(20)와 일치된다.
지그 언로딩장치(9)에 지그(2)가 이송되면, 불량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키패드 공급장치(10)의 흡착판(142)이 하강하여 키패드(16)를 흡착하여 키패드 검사장치(11)에 공급한다. 이 때 지그 언로딩장치(9)의 취출판(137)이 상승하여 그의 취출핀(137a)이 지그(2)에 형성된 취출공(2b)에 삽입하여 흡착판(142)이 키패드(16)를 흡착하는 것을 도운다.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10)가 지그(2)에서 키패드(16)를 제거하면, 지그 언로딩장치(9)는 빈 지그(2)를 하부콘베이어(21)에 언로딩시키게 되는데, 빈 지그(2)를 탑재한 콘베이어(131)가 하강하여 스톱퍼(135)에 의해 하부콘베이어(21)와 일치되면 그 콘베이어(131)는 하부콘베이어(21)와 같은 방향으로 구동하여 탑재된 지그(2)를 하부콘베이어(21)에 공급하는 방법으로 지그(2)를 언로딩시킨다.
이와 같이 하부콘베이어(21)에 언로딩된 지그(2)는 다시 키패드(16)를 제조하기 위해 지그 로딩장치(4)로 이송되는데, 키패드 공급장치(10)가 키패드(16)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패드(16a)에 부착된 키가 이탈되거나 또는 접착제 부족에 의해 패드(16a)에 접착되지 않는 키 등이 잔존하게 되면 다음 키패드 제조공정에서 불량의 원인이 되므로 언로딩된 지그(2)에 잔존하는 키를 하부콘베이어(21)상에 설치된 상기 키취출장치(15)가 제거한다.
키취출장치(15)는 하부콘베이어(21)에 의해 이송된 지그(2)를 감지센서(26)가 감지하고 스톱퍼(27)가 상승하여 지그(2)를 정지시킬 때 취출판(155)이 상승하여 취출핀(155a)이 지그(2)의 취출공(2b)에 삽입하여 키홈(2a)에 잔존하는 키를 들어올리게 되면 분사노즐(156)이 공기를 분사하여 잔존하는 키를 지그(2)에서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그(2)가 언로딩됨과 동시에 키패드 공급장치(10)는 키패드(16)를 키패드 검사장치(11)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는 회전 실린더(141) 하부에 설치된 흡착판(142)이 지그(2)에 수납된 키패드(16)를 흡착하게 되면 구동레일(139)이 흡착판(142)을 키패드 검사장치(11)로 운반하여 공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회전 실린더(141)가 흡착판(142)을 90도 회전시키고 이후 하강하는 흡착판(142)은 그 저면에 흡착된 키패드(16)를 키패드 검사장치(11)의 수납판(148)에 공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키패드 검사장치(11)는 모터(147)의 구동에 의해 수납판(148)이 평면상태를 유지하여 키패드(16)를 수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키패드(16)가 검사장치(11)의 수납판(148)에 공급되면, 모터(147)가 구동하여 수납판(148)을 180도 역회전시켜 키패드(16)를 콘베이어(143)상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180도 역회전시키는 이유는 상기 수납판(148)에 공급는 키패드(16)는 패드(16a)가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패드(16a)를 반대로 뒤집어 키(17)(18)를 노출시켜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키(17)(18)가 노출된 상태로 콘베이어(143)에 공급된 키패드(16)를 콘베이어(143)가 집광실(144)로 운반하게 되면 집광실(144)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145)가 상기 키패드(16)를 촬영하고 컴퓨터(146)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컴퓨터(146)에 미리 입력된 키패드 이미지 정보와 동일하면 양품으로 판정하고, 입력된 이미지 정보와 다르면 불량품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컴퓨터(146)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불량키패드는 노즐이 공기를 분 사하여 불량 키패드를 콘베이어에서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1)에서 제조된 키패드는 검사장치에서 불량품이 자동 제거되기 때문에 양품만을 출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시스템은, 다이얼키 및 스페이서가 성형된 사출물을 레이아웃상에 설치된 커팅장치에서 커팅하여 다이얼키와 스페이서를 낱개형태로 성형하여 지그에 수납하고, 상기 지그에는 매거진에 수납된 기능키를 함께 수납하여 콘베이어장치를 통해 레이아웃구간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들 지그에 수납된 다이얼키, 기능키 및 스페이서 배면에 접착제를 점착시킨 후 패드를 압착시켜 제조한 후 검사를 통해 불량을 제거함으로써, 제조 전과정을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수 및 불량품을 줄이고 대량 양산체제를 갖추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33)

  1. 한 쌍의 무한궤도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상,하부콘베이어가 레이아웃 구간에 설치되어 지그를 운반하고, 상기 운반되는 지그를 감지하고 정지시킬 수 있도록 무한궤도 일측 적소에 감지센서 및 그 사이에 승하강 구동되는 스톱퍼가 설치되며, 상기 스톱퍼에 의해 정지된 지그를 구동상태의 무한궤도에서 들어올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 일측에 받침판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콘베이어장치;
    상기 콘베이어장치 전방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콘베이어의 무한궤도가 정,역회전 모터에 의해 왕복회전하면서 상기 하부콘베이어와 일치될 때 하부콘베이어가 운반한 지그를 전달받은 후 상부콘베이어와 일치되게 상승하여 그 상부콘베이어에 공급하는 지그 로딩장치;
    상기 지그 로딩장치 후방에 위치하고 콘베이어장치 경로상에 설치되며, 짝수키 사출물과 홀수키 사출물이 적층식으로 수납된 각 매거진을 카트리지에 착탈식으로 설치하고, 이들 수납된 짝수키 사출물 및 홀수키 사출물을 승강수단이 승강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짝수키 사출물 및 홀수키 사출물을 파지운반수단이 각각의 커팅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이들 커팅기가 사출물에 형성된 키들을 낱개형태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짝수키 및 홀수키를 흡착운반수단이 흡착운반하여, 상기 지그 로딩장치에서 공급되고 상부콘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의 키홈에 배면이 노출되도록 정렬시키는 다이얼키 정렬장치;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 후방에 설치되고, 스페이서들이 성형된 스페이서 사출물과 기능키가 적층식으로 수납된 각 매거진을 카트리지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이들 수납된 스페이서 사출물 및 기능키를 승강수단이 승강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스페이서 사출물을 파지운반수단이 커팅기에 공급하여 스페이서를 낱개형태로 절단하고, 최상부에 위치한 기능키는 제 1흡착운반수단이 기능키 보관금형에 위치시킨 후 상기 기능키와 절단된 스페이서들을 제 2흡착운반수단이 흡착운반하여,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에서 키들이 정렬되고 상부콘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의 빈 키홈에 배면이 노출되도록 정렬시키는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 후방에 설치되고, 접착제가 저장된 주사기가 콘트롤 제어에 의해 X,Y,Z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를 지나 상부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의 각 키에 접착제를 점착시키는 접착제 점착장치;
    상기 접착제 점착장치 후방에 설치되고, 패드들이 적층식으로 수납된 매거진을 카트리지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이들 수납된 패드를 승강수단이 승강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패드를 흡착식으로 운반하여, 상기 접착제 점착장치에서 접착제가 점착된 후 상부콘베이어에 의해 운반되고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의 각 키의 배면에 가압시켜 키와 패드를 부착시키는 패드부착장치;
    상기 패드부착장치 후방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콘베이어의 무한궤도가 정,역회전 모터에 의해 왕복회전하면서 상부콘베이어와 일치 될 때 상부콘베이어가 운반한 지그를 전달받은 후 하부콘베이어와 일치되게 하강하여 그 하부콘베이어에 공급하는 지그 언로딩장치;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 상부에 설치되고, 수평왕복이동 및 상하왕복이동 그리고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흡착판이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로 이송된 지그가 하부콘베이어로 언로딩 되기 전에 그 지그에서 키패드를 흡착운반하여 검사장소에 키가 노출되게 공급하는 키패드 공급장치;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키패드를 콘베이어가 집광실로 운반하고 상기 집광실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키패드를 촬영하여 컴퓨터에 미리 입력된 키패드 형상과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키패드의 불량을 검사하는 키패드 검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와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 사이에 일정구간을 확보하고 이 구간의 상부콘베이어에 상기 감지센서, 스톱퍼 및 받침판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추고, 상기 감지센서에 신호를 인가시키는 버튼을 설치한 다이얼키 검사대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다이얼키 검사대를 지나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지그의 키 정렬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그 정렬상태가 바르지 않을 때 상기 버튼을 누름조작하여 감지센서에 신호를 보내 승강하는 스톱퍼가 지그를 정지시키고 받침판이 상승 하여 그 상부에 지그를 탑재하여, 키를 바르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와 접착제 점착장치 사이에 일정구간을 확보하고 이 구간의 상부콘베이어에 상기 감지센서, 스톱퍼 및 받침판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추고, 상기 감지센서에 신호를 인가시키는 버튼을 설치한 기능키 및 스페이서 검사대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를 지나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지그의 키 및 스페이서 정렬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그 정렬상태가 바르지 않을 때 상기 버튼을 누름조작하여 감지센서에 신호를 보내 승강하는 스톱퍼가 지그를 정지시키고 받침판이 상승하여 그 상부에 지그를 탑재하여, 키 및 스페이서를 바르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착장치와 지그 언로딩장치 사이에 키가 접착된 키패드를 일정시간동안 압착하여 키와 패드를 견고하게 부착하는 패드압착장치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가 키패드 검사장치에 키패드를 공급하기 위해 지그에서 키패드를 흡착제거할 때 지그에 남아있는 잔존 키를 제거할 수 있도록 지그 언로딩장치 일측 하부콘베이어상에 키취출장치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로딩장치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무한궤도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하부콘베이어에서 이송된 지그를 탑재하여 상부콘베이어에 운반하는 콘베이어;
    상기 콘베이어와 연결되고 이 콘베이어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콘베이어가 승강수단에 의해 승하강 할 때 상,하부콘베이어와 일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 상,하에 설치되어 콘베이어를 정시키는 스톱퍼서;
    상기 콘베이어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콘베이어에서 이송된 지그가 콘베이어에 탑재될 때 콘베이어 구동을 정지시켜 지그가 탑재될 수 있도록 지그의 탑재위치를 감지하는 지그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키 정렬장치는
    하우징의 베이스판 하부 양측에 설치된 카트리지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은 몸체에 형성된 수납실에 짝수키 사출물을 적층식으로 수납하고 타측은 홀수키 사출물을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매거진;
    상기 각 매거진의 수납실에 로드가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어 그 수납실에 보관된 짝수키 사출물과 홀수키 사출물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로드가 고정된 블록의 일측 상,하에 설치되어, 이 블록의 승하강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의 상사점 및 하사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감지센서;
    상기 매거진의 출입구 근처에 설치되고, 이들 매거진에 수납되어 로드에 의해 승강하는 최상부의 짝수키 사출물과 홀수키 사출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를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사출물 감지센서;
    상기 각 매거진의 일측 하우징의 베이스판 양측에 하부금형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설치된 상부금형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매거진에서 운반되고 하부금형에 배치된 각각의 짝수키 사출물 및 홀수키 사출물을 커팅하여 짝수키 및 홀수키를 낱개형태로 절단하는 커팅장치;
    상기 커팅장치가 사출물들을 커팅할 수 있도록 각 매거진 최상부에 위치한 짝수키 사출물 및 홀수키 사출물을 핑거가 파지하여 커팅장치의 하부금형 지정된 위치에 운반하고, 커팅 후 사물출의 잔여 스크랩을 핑거가 파지하여 제거하는 파지운반수단;
    로딩장치에서 공급되어 하부콘베이어에 의해 운반되고 그 받침판상에 위치한 지그의 키홈에 상기 커팅장치에 의해 절단된 각각의 짝수키와 홀수키들을 흡착판이 흡착운반하여 정렬하는 흡착운반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 및 스페이서 정렬장치는
    하우징의 베이스판 하부 양측에 설치된 카트리지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은 몸체에 형성된 수납실에 기능키를 적층식으로 수납하고 타측은 스페이서 사출물을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매거진;
    상기 각 매거진의 수납실에 로드가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어 그 수납실에 보관된 기능키와 스페이서 사출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로드가 고정된 블록의 일측 상,하에 설치되어, 이 블록의 승하강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의 상사점 및 하사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감지센서;
    상기 매거진의 출입구 근처에 설치되고, 이들 매거진에 수납되어 로드에 의해 승강하는 최상부의 키능키 및 스페이서 사출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를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감지센서;
    상기 기능키를 수납하는 매거진 일측 하우징의 베이스판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형성된 수납홈에 매거진에서 운반된 기능키를 임시 보관하는 기능키 보관금형;
    상기 스페이서 사출물을 수납하는 매거진 일측 하우징의 베이스판에 하부금형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설치된 상부금형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하강하여, 매거진에서 운반되고 하부금형에 배치된 스페이서 사출물을 커팅하여 스페이서를 낱개형태로 절단하는 커팅기;
    상기 매거진 최상부에 위치한 기능키를 흡착하여 기능키 보관금형에 운반하는 제 1흡착운반수단;
    상기 커팅기가 스페이서 사출물을 커팅할 수 있도록 매거진 최상부에 위치한 스페이서 사출물을 핑거가 파지하여 상기 커팅장치의 하부금형 지정된 위치에 운반하고, 커팅 후 사출물의 잔여 스크랩을 핑거가 파지하여 제거하는 파지운반수단;
    상기 기능키 보관금형에 보관된 기능키 및 상기 커팅기에 의해 낱개형태로 절단된 스페이서들을 각각 흡착운반하여 다이얼키가 정렬되고 하부콘베이어에 의해 운반되어 받침판상에 위치한 지그의 빈 키홈에 정렬하는 제 2흡착운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점착장치는
    접착제를 저장하고 지그에 수납된 각 키의 배면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사기;
    상기 주사기를 배치고정하는 디스펜서;
    상기 주사기가 하부콘베이어의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의 각 키에 접착제를 접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디스펜서를 X,Y,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펜서 구동수단; 및
    상기 디스펜서의 이동방향 제어 및 주사기의 주사핀이 각 키에 위치될 때 접착제를 배출시키는 타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착장치는
    상부콘베이어 일측에 형성된 카드리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몸체에 형성된 수납실에 패드를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매거진;
    상기 매거진의 수납실에 로드가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어 그 수납실에 보관된 패드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로드가 형성된 블록의 일측 상,하에 설치되어, 이 블록의 승하강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의 상사점 및 하사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감지센서;
    상기 매거진의 출입구 근처에 설치되고, 이들 매거진에 수납되어 로드에 의해 승강하는 최상부의 패드 위치를 감지하여 로드를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패드 감지센서;
    판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세팅핀이 돌출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매거진과 상 부콘베이어의 받침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매거진에서 운반된 패드를 상기 세팅핀에 고정시켜 세팅시키는 세팅판;
    판상의 몸체에 흡착공이 관통되고, 상기 매거진 최상부에 위치한 패드를 상기 흡착공으로 유입된 공기로 흡착하여 상기 세팅판에 운반하는 운반부재;
    판상의 몸체에 흡착공이 관통되고, 상기 세팅판에 운반된 패드를 상기 흡착공으로 유입된 공기로 흡착하여 상부콘베이어의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의 각 키에 일정시간동안 가압하여 키에 점착된 접착제에 의해 키와 패드를 부착시키는 부착부재; 및
    상기 운반부재 및 부착부재를 운반하여 키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운반부재 및 부착부재를 왕복구동시키고, 이들 운반부재 및 부착부재에 흡착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무한궤도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부콘베이어에서 이송된 지그를 탑재하여 하부콘베이어로 운반하는 콘베이어;
    상기 콘베이어와 연결되고 이 콘베이어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콘베이어가 승강수단에 의해 승하강 할 때 상,하부콘베이어와 일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 상,하에 설치되어 콘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스톱퍼;
    상기 콘베이어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콘베이어에서 운반된 지그가 콘베이어에 탑재될 때 콘베이어 구동을 정지시켜 지그가 탑재될 수 있도록 지그의 탑재위치를 감지하는 지그 감지센서; 및
    상기 콘베이어의 무한궤도 사이에 판상의 몸체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상기 지그에 형성된 취출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취출핀이 돌출되어, 지그에 배치된 키패드를 키패드 공급장치의 흡착판이 흡착하여 지그에서 들어올릴 때 취출핀이 지그의 취출공에 삽입하여 키패드의 취출을 돕는 키패드 취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는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키패드 검사장치까지 연장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직선왕복운동수단이 지그에서 흡착한 키패드를 상기 키패드 검사장치에 운반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레일;
    상기 구동레일의 직선왕복운동수단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그의 로드가 왕복승하강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레일에 의해 수평왕복운동하는 승하강 실린더;
    상기 승하강 실린더 하부에 설치되어 그의 하부에 연장된 회전체가 회전운동 하는 회전 실린더; 및
    상기 회전 실린더의 회전체 하부에 설치되고, 몸체에 관통된 복수 개의 흡착공이 언로딩장치에 공급된 지그에서 키패드를 흡착하는 흡착판;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언로딩장치로 이송된 지그가 언로딩되기 전에 상기 승하강 실린더가 하강하고 회전 실린더 하부에 설치된 흡착판이 상기 지그에 수납된 키패드를 흡착하게 되면 승하강 실린더의 로드가 일정 높이 상승하고 구동레일의 직선왕복운동수단이 승하강 실린더를 키패드 검사장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 실린더의 회전체가 흡착판에 흡착된 키패드를 키패드 검사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검사장치는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 근처의 콘베이어상에 정,역회전 모터를 설치하고, 이 모터의 샤프트에 상기 키패드 공급장치의 흡착판에 공급하는 키패드를 수납하는 수납판을 설치하여,
    상기 수납판에 키패드가 공급되면, 상기 모터가 구동하여 수납판을 180도 회전시켜 키패드를 콘베이어에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14. 제 4항에 있어서, 패드압착장치는
    상부콘베이어 일측에 설치된 프레임에 실린더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판상의 가압판이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가압판이 받침판에 탑재된 지그에 수납되고 접착제에 의해 키와 패드가 부착된 키패드를 일정시간동안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취출장치는
    상기 지그 언로딩장치 일측 하부콘베이어의 무한궤도 사이에 설치되고, 판상의 몸체 상면에 복수 개의 취출핀이 돌출되어, 언로딩된 후 하부콘베이어가 운반하는 지그를 감지센서가 감지하고 스톱퍼가 상승하여 지그를 정지시킬 때 몸체가 상승하여 그의 취출핀이 지그의 취출공에 삽입하여 키홈에 남아있는 키를 제거하는 취출판;
    상기 취출판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취출판이 상승하여 취출핀이 지그의 키홈에 남아 있는 키를 들어올릴 때 공기를 분사하여 지그에서 키를 제거토록 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1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1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매거진과 커팅장치의 하부금형들 사이에 사출물의 스크랩을 버릴 수 있도록 슈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1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은
    상하부가 개구되고 그 상부에 출입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실을 갖는 몸체;
    상기 수납실에 수납된 사출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수납실 하부 내측벽에 돌출되는 걸림턱;
    상기 카트리지 벽체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몸체 외측면에 수용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1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양측 카트리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정,역회전 모터;
    상기 스크류와 모터 사이를 연결하여 모터의 동력을 스크류에 전달시키는 동 력전달수단;
    상기 스크류와 체결되어 그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블록;
    상기 블록 상부에 고정되고 매거진의 각 수납실에 삽입되어 스크류가 회전할 때 승하강하여 수납실에 보관된 사출물들을 승강시키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는
    판상의 몸체 상면 중앙부분에 짝수키 사출물의 각 키들과 대응되게 키홈이 요입되고, 상기 키홈의 양측에는 커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요입되며, 상기 키홈의 외측 주변에는 운반된 짝수키 사출물의 배치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안내핀들이 돌출되고, 몸체 모서리 부분에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짝수키 하부금형;
    고정판 저면에 상판이 체결고정되고, 이 상판에 체결된 간격유지 보울트에 하판이 유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판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커팅시 완충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상판의 하부에는 사출물의 키를 커팅하는 커터 및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는 샤프트가 각각 하판을 관통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짝수키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상부에 설치되고 그 하부가 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커터가 하부금형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하부금형에 운반된 짝수키 사출물의 키를 커팅할 수 있도록 상판을 승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짝수키 커팅기, 및
    판상의 몸체 상면 중앙부분에 홀수키 사출물의 각 키들과 대응되게 키홈이 요입되고, 상기 키홈의 양측에는 커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요입되며, 상기 키홈의 외측 주변에는 운반된 홀수키 사출물의 배치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안내핀들이 돌출되고, 몸체 모서리 부분에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홀수키 하부금형;
    고정판 저면에 상판이 체결고정되고, 이 상판에 체결된 간격유지 보울트에 하판이 유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판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커팅시 완충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상판의 하부에는 사출물의 키를 커팅하는 커터 및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는 샤프트가 각각 하판을 관통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홀수키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상부에 설치되고 그 하부가 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커터가 하부금형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하부금형에 운반된 홀수키 사출물의 키를 커팅할 수 있도록 상판을 승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홀수키 커팅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운반수단은
    상기 양측 매거진 사이 및 양측 하부금형 사이의 베이스판상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매거진 최상부에 배치된 짝수키 사출물 및 홀수키 사출물을 상기 양측 하부금형에 운반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레일;
    상기 구동레일 상부에 탑재되고 그 내부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 양측에 설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아암;
    상기 아암을 슬라이드블록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블록 양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아암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과 끼워맞춤 조립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수단;
    상기 양측 아암의 하부에 형성된 로드에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벌어짐과 오므림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각 매거진에 수납된 짝수키 사출물 및 홀수키 사출물을 각 하부금형에 운반하고, 커팅후 사출물 스크랩을 슈트에 운반하는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운반수단은
    상기 파지운반수단의 구동레일과 대향되게 상기 양측 하부금형 사이의 베이스판상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각 커팅기에서 커팅된 낱개형태의 짝수키 및 홀수키들을 지그의 키홈에 운반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레일;
    상기 구동레일 상부에 탑재되고 그 내부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 양측에 설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아암;
    상기 아암을 슬라이드블록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블록 양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아암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과 끼워맞춤 조립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수단; 및
    상기 양측 아암의 하부에 형성된 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양측 하부금형에 커팅된 짝수키 및 홀수키들을 흡입된 공기로 흡착할 수 있도록 몸체에 복수 개의 흡착공이 관통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사출물을 수납하는 매거진과 커팅장치의 하부금형 사이에 스페이서 사출물의 스크랩을 버릴 수 있도록 슈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은
    상하부가 개구되고 그 상부에 출입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실을 갖는 몸체;
    상기 수납실에 수납된 기능키 또는 스페이서 사출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수납실 하부 내측벽에 돌출되는 걸림턱;
    상기 카트리지 벽체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몸체 외측면에 수용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양측 카트리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정,역회전 모터;
    상기 스크류와 모터 사이를 연결하여 모터의 동력을 스크류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스크류와 체결되어 그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블록;
    상기 블록 상부에 고정되고 매거진의 각 수납실에 삽입되어 스크류가 회전할 때 승하강하여 수납실에 보관된 사출물들을 승강시키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6. 제 8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를 낱개형태로 절단하는 상기 커팅기는
    판상의 몸체 상면 중앙부분에 스페이서 사출물의 각 키들과 대응되게 키홈이 요입되고, 상기 키홈의 양측에는 커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요입되며, 상기 키홈의 외측 주변에는 운반된 스페이서 사출물의 배치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안내핀들이 돌출되고, 몸체 모서리 부분에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스페이서 하부금형;
    고정판 저면에 상판이 체결고정되고, 이 상판에 체결된 간격유지 보울트에 하판이 유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판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커팅시 완충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상판의 하부에는 사출물의 키를 커팅하는 커터 및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는 샤프트가 각각 하판을 관통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스페이서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상부에 설치되고 그 하부가 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커터가 하부금형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하부금형에 운반된 스페이서 사출물의 키를 커팅할 수 있도록 상판을 승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흡착운반수단은
    상기 양측 매거진 사이의 베이스판상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매거진 최상부에 배치된 기능키를 기능키 보관금형에 운반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레일;
    상기 구동레일 상부에 탑재되고 그 내부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 일측에 설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아암;
    상기 아암을 슬라이드블록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블록 양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아암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과 끼워맞춤 조립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수단;
    상기 아암의 하부에 형성된 로드에 설치되고, 매거진에 수납된 기능키를 흡입된 공기로 흡착할 수 있도록 몸체에 흡착공이 관통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운반수단은
    양측 매거진 사이의 베이스판상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레일;
    상기 구동레일 상부에 탑재되고 그 내부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 타측에 설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아암
    상기 아암을 슬라이드블록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블록 양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아암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과 끼워맞춤 조립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블록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수단;
    상기 아암의 하부에 형성된 로드에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벌어짐과 오므림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매거진에 수납된 스페이서 사출물을 하부금형에 운반하고, 커팅후 사출물 스크랩을 슈트에 운반하는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2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흡착운반수단은
    상기 제 1흡착운반수단의 구동레일과 대향되게 상기 하부금형과 기능 보관금형 사이의 베이스판상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기능키 보관금형에 배치된 기능키 및 커팅장치에서 커팅된 낱개형태의 스페이서들을 지그의 키홈에 운반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레일;
    상기 구동레일 상부에 탑재되고 그 내부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 양측에 설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아암;
    상기 아암을 슬라이드블록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블록 양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아암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과 끼워맞춤 조립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수단; 및
    상기 양측 아암의 하부에 형성된 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기능키 보관함에 배치된 기능키 및 커팅장치에서 커팅된 낱개형태의 스페이서들을 흡착할 수 있도록 몸체에 복수 개의 흡착공이 관통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3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구동수단은
    상부콘베이어와 교차되게 상기 상부콘베이어 상부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 직선왕복운동수단이 구비되는 베이스 구동레일;
    내부에 직선왕복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구동레일 상부에 탑재되어 이 베이스 구동레일의 직선왕복운동수단의 동력에 의해 Y방향으로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Y축방향 구동레일;
    내부에 직선왕복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Y축방향 구동레일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Y축방향 구동레일의 직선왕복운동수단 동력에 의해 X방향으로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X축방향 구동레일;
    하부에 상기 디스펜서가 설치되고, 상기 X축방향 구동레일의 직선왕복운동수단에 연결되어 이 직선왕복운동수단 동력에 의해 Z방향으로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는 Z축방향 블록;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Z축방향 블록에 설치된 디스펜서는 베이스 구동레일, Y축방향 구동레일, X축방향 구동레일, 및 Z축방향 블록의 구동에 의해 X,Y,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3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Z방향 블록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로드가 형성되는 거치대;
    몸체 후방에 상기 로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이 관통되고 이 수용공의 상부에는 조절레버의 보울트가 체결되어 상기 로드에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공이 관통되며, 몸체 전방 상부에는 상기 주사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수용부 외측에는 조절레버의 보울트가 체결되어 주사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공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 하부에는 주사기의 주사핀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주사기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3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매거진과 대향되는 상부콘베이어 타측에 수직으로 브래킷이 세워지고, 이 브래킷에 설치되어 운반부재 및 부착부재를 왕복수평이동시키는 수평방향 실린더;
    상기 수평방향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운반부재 및 부착부재를 왕복수직이동시키는 수직방향 실린더;
    상기 수직방향 실린더 로드 하부에 고정되고 그 저면에 상기 운반부재 및 부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운반부재 및 부착부재는 상기 수평방향 실린더 및 수직방향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수평 및 수직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3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시스템.
KR1020030089896A 2003-12-10 2003-12-10 키패드 제조시스템 KR100584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896A KR100584092B1 (ko) 2003-12-10 2003-12-10 키패드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896A KR100584092B1 (ko) 2003-12-10 2003-12-10 키패드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30A KR20050056830A (ko) 2005-06-16
KR100584092B1 true KR100584092B1 (ko) 2006-05-30

Family

ID=3725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896A KR100584092B1 (ko) 2003-12-10 2003-12-10 키패드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0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05B1 (ko) 2006-08-17 2008-03-07 (주)서원인텍 조작버튼 취출 및 배열장치
KR100811509B1 (ko) 2006-08-17 2008-03-07 (주)서원인텍 키패드 제조장치
KR100811504B1 (ko) 2006-08-17 2008-03-07 (주)서원인텍 조작버튼 취출 및 배열장치
KR100811506B1 (ko) 2006-08-17 2008-03-07 (주)서원인텍 조작버튼 취출 및 배열용 로더
KR100975942B1 (ko) * 2008-01-28 2010-08-13 주식회사 에스엘 키패드용 돔시트의 도광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
KR101623893B1 (ko) 2014-03-14 2016-05-24 (주)피스코엔지니어링 세라믹도포성형기용 지그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986B1 (ko) * 2006-01-05 2006-07-06 백서재 마그네트 스위치용 케이스 조립장치
KR100804675B1 (ko) * 2006-07-19 2008-02-20 미래산업 주식회사 키패드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KR100808423B1 (ko) * 2006-07-28 2008-03-03 미래산업 주식회사 키패드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KR100699581B1 (ko) * 2006-12-01 2007-03-23 이영배 키버튼 자동삽입기
KR100970267B1 (ko) * 2008-01-28 2010-07-16 주식회사 에스엘 키패드용 돔시트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278164B1 (ko) * 2011-07-01 2013-06-27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임피던스 매칭 장치, 선형 운동 모듈, 및 라디오 주파수 전력 공급 장치
KR101844185B1 (ko) * 2017-08-22 2018-03-30 오동환 건축부재 고정용 합성수지재 와셔의 연속사출장치
CN110316421A (zh) * 2019-07-09 2019-10-11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涂油包装设备
US20220176687A1 (en) * 2020-12-09 2022-06-09 Zagg Inc Autonomous Application of Screen Protec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05B1 (ko) 2006-08-17 2008-03-07 (주)서원인텍 조작버튼 취출 및 배열장치
KR100811509B1 (ko) 2006-08-17 2008-03-07 (주)서원인텍 키패드 제조장치
KR100811504B1 (ko) 2006-08-17 2008-03-07 (주)서원인텍 조작버튼 취출 및 배열장치
KR100811506B1 (ko) 2006-08-17 2008-03-07 (주)서원인텍 조작버튼 취출 및 배열용 로더
KR100975942B1 (ko) * 2008-01-28 2010-08-13 주식회사 에스엘 키패드용 돔시트의 도광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
KR101623893B1 (ko) 2014-03-14 2016-05-24 (주)피스코엔지니어링 세라믹도포성형기용 지그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30A (ko)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092B1 (ko) 키패드 제조시스템
CN110444366B (zh) 磁性材料自动充磁及检测装管一体机
JP4388640B2 (ja) Csp基板保持部材及び該csp基板保持部材が載置されるcsp基板用テーブル
CN105773144B (zh) 一种手机自动化生产线及其运行方法
KR101631279B1 (ko) 도어 락 자동 조립 시스템
CN112520413A (zh) 全自动老化测试上下料系统及方法
CN111889385A (zh) 一种胰岛素自动测试设备
JP4339452B2 (ja) Csp基板分割装置
JPH06274943A (ja) 情報記録媒体の自動検査装置
TWI712807B (zh) 電子零件搬送裝置及電子零件檢查裝置
JPH0964148A (ja) ウェーハリングの供給・返送装置
CN115676344A (zh) 一种磁铁组装机
CN114799865A (zh) 一种led模组的自动化生产线及实现方法
CN115284534A (zh) Molding上下料机
CN212733074U (zh) 一种胰岛素自动测试设备
CN108983013A (zh) 一种老化测试方法
JPH06127507A (ja) 被挿入物挿入装置
CN110449368B (zh) 在线电动牙刷成品装配测试设备
CN109844369B (zh) 驱动带轮的制造方法及其制造系统、辊组装装置、部件安装装置及轴毂贯插装置
JP3823979B2 (ja) マイクロプレート処理装置およびマイクロプレート搬送方法
CN211056157U (zh) 电子组件入料保持装置
CN212291907U (zh) 嵌件上料输送装置
KR100699581B1 (ko) 키버튼 자동삽입기
JPH11103849A (ja) 自動ディスク配列装置
CN217146520U (zh) 一种吸塑自动检测分合盘包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