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326B1 - 증기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326B1
KR100583326B1 KR1020050050408A KR20050050408A KR100583326B1 KR 100583326 B1 KR100583326 B1 KR 100583326B1 KR 1020050050408 A KR1020050050408 A KR 1020050050408A KR 20050050408 A KR20050050408 A KR 20050050408A KR 100583326 B1 KR100583326 B1 KR 100583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ver
steam generator
coupled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195A (ko
Inventor
신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2Steam baths for the face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개선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증기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증기 발생 장치에서는,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이 히터에 의하여 끓을 때까지 가열되어 쳄버 내에 증기를 발생시킨 다음, 상기 증기가 증기 채널을 통해 분무된다. 과다한 양의 물이 물 유입구로부터 물 탱크 내로 공급될 때에도 적당한 수위가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물 탱크 내에는 오버플로 포트가 형성된다. 증기 발생 장치는, 오버플로 포트를 통해 물 탱크로부터 배출된 물을 위하여 배출 채널 내에 배치된 셔터 및 상기 셔터를 물 유입구 커버의 개폐 동작에 응답하여 개폐시키는 연동 기구를 갖는다. 이로써 증기 발생 장치의 양호한 유용성이 달성된다.
증기 발생 장치, 히터, 증기 채널, 오버플로 포트, 셔터, 연동 기구

Description

증기 발생 장치 {STEAM GENERATOR}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증기 발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증기식 미용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미용기의 연동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미용기의 힌지 커버의 스탠딩 자세를 도시한, 도 2b의 확대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미용기의 커버 로킹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미용기의 필터가 구비된 증기실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미용기의 누수 방지 방법을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미용기의 이동가능한 노즐을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미용기의 물 공급조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증기식 미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페이셜 스티머(facial steamer)와 같은 피부 관리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는 증기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증기 발생 장치는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humidifier),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세포 대사를 촉진시키며 죽은 피부 세포를 제거하고 피부면을 청결하게 하기 위하여 모공을 개방시키는, 페이셜 스티머와 같은 피부 관리 장치(skin care apparatus), 및 따뜻한 습윤 공기를 코와 목에 제공하고 건초열(hay fever) 및 감기 증상을 해소 또는 최소화시키는 증기 흡입기(steam inhaler)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서는, 증기를 얻기 위하여 물을 가열시켜야 하기 때문에, 안전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조기 공개공보 제2001-190632호에는 안전성이 개선된 증기식 미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미용기(1M)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탱크(3M),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물 탱크의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4M), 증기를 안정적으로 흐르게 하는 노즐(80M)로 형성된다. 노즐의 후측 말단부에 응결물 안내 부재(condensate guide member)(82M)가 배치되기 때문에, 노즐 외주에 발생된 응결물이 물 탱크 내로 효율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뜨거운 액적이 노즐로부터 실수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성을 개선시키는 외에, 증기 발생 장치의 유용성을 개선시키고, 물때 제거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증기 발생 장치가 실수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넘어졌을 때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용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증기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증기 발생 장치는:
증기 배출구 및 액체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액체 유입구용 커버,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오버플로 포트를 갖는 액체 탱크,
상기 액체 유입구와 상기 액체 탱크 사이에 연장되는 액체 공급 채널,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쳄버에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액체 탱크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쳄버로부터 상기 증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증기 채널,
상기 액체 탱크로부터 상기 오버플로 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의 배출 채널,
상기 배출 채널 내에 배치된 셔터, 및
상기 셔터를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에 응답하여 개폐시키는 연동 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오버플로 포트는 연동 수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과다한 양의 액체가 액체 탱크 내로 공급되는 경우에도, 액체 탱크 내에는 적당한 액체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오버플로 포트는 연동 수단에 의하여 커버의 개폐 동작에 응답하여 폐쇄되기 때문에, 액체 탱크 내로의 액체 공급이 원활하게 마무리될 수 있어 증기 발생 장치의 유용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는 힌지 커버이며, 연동 수단은 힌지 커버 상에 형성된 리브(rib), 및 상기 리브에 일단이 결합되고 셔터에 타단이 결합되는 시소 부재(seesaw member)를 포함한다. 이 경우, 리브는 제1 이동가능 부재를 통해 시소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힌지 커버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스탠딩 자세를 취하도록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상부와 접촉하는 편평한 말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셔터는 탄성 소재로 제조된 플로 플러그(flow plug)이며, 일단에는 제2 이동가능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의 대향하는 말단은 시소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커버가 분실될 염려는 없다. 또한, 힌지 커버의 스탠딩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액체는 힌지 커버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 않고 액체 탱크 내로 보다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리브는 제1 이동가능 부재를 통해 시소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셔터는 제2 이동가능 부재를 통해 시소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며, 시소 부재는 제2 이동가능 부재의 이동 거리가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이동 거리보다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소 부재는 자신의 일단이 제1 이동가능 부재에 결합된 파도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증기 발생 장치의 치수를 용이하게 소형화시킬 수 있는 한편, 셔터 동작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발생 장치는 탄성 소재로 제조되며 커버에 부착된 시일 부재(seal member),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된 버튼(button), 버튼 부재에 스프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스프 링 부재, 및 커버에 형성된 그루브와 결합되는 훅(hook)을 포함한다. 이 경우, 시일 부재는 훅과 그루브가 결합됨으로써 액체 유입구가 방수식으로 밀봉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한편, 버튼 부재가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향하여 동작함으로써 결합이 해제되었을 때, 커버는 시일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팝-업식으로 액체 유입구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커버가 그루브에 인접하여 형성된 경사면을 갖고, 이로써 훅과 그부르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 후 훅이 커브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커버의 개방 정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커버를 미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증기 발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증기식 미용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즉,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미용기(1)는 주로, 증기 배출구(11) 및 물 유입구(2)를 갖는 하우징(10), 상기 물 유입구용 힌지 커버(13), 상기 하우징(10) 내에 수용되며 오버플로 포트(31)를 갖는 물 탱크(3), 상기 물 유입구(2)와 상기 물 탱크(3) 사이에 연장되는 물 공급 채널(20),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증기 쳄버(40)에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4), 상기 증기 쳄버(40)로부터 상기 증기 배출구(11)로 연장되는 증기 채널(42), 상기 증기 채널(42) 내에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부(5), 상기 물 탱크(3)로부터 상기 오버플로 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 채널(6), 상기 배출 채널(6) 내에 셔터로서 배치된 플로 플러그(62), 및 상기 플로 플러그(62)를 상기 힌지 커브(13)의 개폐 동작에 응답하여 개폐시키는 연동 기구(7)를 포함한다. 도 1a에서, 도면 부호(9)는 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 공급 채널로서 또한 사용되는 증기 노즐(80)용 보호 커버를 나타낸다.
상기 증기식 미용기(1)에 따르면,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이 히터(4)에 의하여 끓을 때까지 가열되어 증기 쳄버(40) 내에 증기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증기가 증기 채널(42) 내에 공급되고 방전부(5)에 의하여 발생된 방전에 노출되어, 미세한 증기 입자가 증기 배출구(11)로부터 분무된다. 증기 발생은 하우징의 상단 전면에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18)를 조작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18), 히터(4) 및 방전부(5)는 하우징에 내장된 제어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에는 전력 케이블(92)을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힌지 커버(13)는 하우징(10)에 힌지 축(Z)을 중심으로 피벗식으로 지지된다. 물 유입구(2) 및 물 탱크(3)는 수평 투상도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오버플로 포트(31)는 물 탱크(3)의 측벽에 형성된다. 과다한 양의 물이 물 탱크(3) 내에 공급될 때, 상기 물은 오버플로 포트(31)를 통해 물 탱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오버플로 포트(31)를 통해 물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배출 채널(6) 내로 공급된다. 배출 채널(6)은 오버플로 제어실(61)을 가지며, 상기 제어실 내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채널(6)을 개폐시키도록 플로 플러그(62)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플로 플러그(62)의 개폐 동작은 후술하는 연동 기구(7)에 의하여 힌지 커버 (13)의 개폐 동작에 응답하여 제어된다.
연동 기구(7)는,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커버(13) 상에 형성된 리브(70), 및 상기 리브에 제1 이동가능 부재인 이동가능 핀(74)을 통해 결합된 일단과 제2 이동가능 부재인 슬라이드 부재(76)를 통해 플로 플러그(62)에 결합된 타단을 갖는 시소 부재(72)를 포함한다. 이동가능 핀(74)은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식으로 지지된, 편평한 상면을 갖는 로드형 부재이다. 슬라이드 부재(76)는 시소 부재(72)의 타단과 플로 플러그(62)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이동가능 핀(74)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 로드형 부재이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76)는 오버플로 제어실의 천정에 형성된 애퍼춰(64)를 통해 오버플로 제어실(61)에 삽입되어,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식으로 지지된다. 애퍼춰(64)와 슬라이드 부재(76) 사이의 간극은 개스켓(gasket)에 의하여 방수식으로 밀봉된다. 슬라이드 부재(76)는 SUS 304-WS와 같은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76)의 저면 말단에 고정된 플로 플러그(62)는 40도의 경도를 가진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제조된다.
시소 부재(72)의 실질적으로 중앙부는 돌기(projection)(12) 상에 지렛대로서 지지되어 시소 부재의 회전 동작 또는 시소 동작을 제공한다. 힌지 커버(13)의 리브(70)는 이동가능 핀(74)의 편평한 상면에 가압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커버(13)가 개방 상태를 얻기 위하여 힌지 축(Z)을 중심으로 피벗식으로 이동할 때, 리브(70)가 이동가능 핀(74)을 하측 방향으로 민다. 이렇게 이동가능 핀(74)이 하측 방향 이동함으로써 시소 부재(72)의 시소 동작으로 인해 슬라이드 부재(76)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 부재(76)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플로 플러그(62)가 개방된다.
힌지 커브(13)의 리브(70)에 큰 힘을 인가하지 않고 이동가능 핀(74)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브의 길이를 단축시키고 이동가능 핀의 이동 거리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로 플러그(62)의 개폐 동작을 고도의 신뢰성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부재(76)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제2 이동가능 부재(즉, 슬라이드 부재(76))의 이동 거리가 제1 이동가능 부재(즉, 이동가능 핀(74))의 이동 거리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시소 부재(72)는 자신의 일단이 이동가능 핀(74)에 결합된 파도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이동가능 핀(74)이 거리 1.8mm만큼 하측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슬라이드 부재(76)는 거리 3.0mm만큼 상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도면 부호(75)는 슬라이드 부재(76)에 상측방향으로 스프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코일 스프링을 나타낸다. 시소 부재(72)를 지지하는 돌기(12)가 물 탱크(3)와 일체로 형성되어 시소 부재(72)의 지렛대의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힌지 커버(13)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70)의 편평한 말단부(71)는 이동가능 핀(74)의 편평한 상면과 안정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이동가능 핀(74)이 코일 스프링(75)의 스프링 바이어스를 상측방향으로 수용하기 때문에, 편평한 말단부(71)와 이동가능 핀(74) 사이에 접촉 압력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접촉 압력은 힌지 커버(13)의 스탠딩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데 유용하 다. 힌지 커버(13)의 스탠딩 자세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리브(70) 및 이동가능 핀(74)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적절한 스프링 상수를 갖는 다른 스프링 부재를 코일 스프링(75)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증기식 미용기(1)는 탄성 소재로 제조되며 물 탱크(2)와 대면하는 힌지 커버(13)의 후면에 부착된 시일 부재(15),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가능하도록 하우징(10)의 표면에 노출된 버튼 부재(17), 버튼 부재(17)에 스프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코일 스프링(50), 및 힌지 커버(13) 내에 형성된 그루브(14)와 결합되는 훅(52)을 갖는다.
상기 버튼 부재(17)는 하우징(10)에 고정된 베이스(54)에 코일 스프링(50)을 통해 부착된다. 코일 스프링(50)은 버튼 부재의 초기 위치를 복구시키는 상측방향으로 버튼 부재(17)에 스프링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초기 위치에서, 훅(52)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커버(13)를 폐쇄된 상태로 로크하기 위하여 그루브 내로 돌출한다. 버튼 부재(17)를 코일 스프링(50)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맞대어 밀 때, 훅(52)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커버(13)를 개방된 상태로 배치하기 위하여 그루브(14)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훅(52)은, 버튼 부재(17)의 상하 이동에 응답하여, 훅(52)이 그부브(14) 내에 결합된 돌출된 상태와 훅이 그루브로부터 제거된 정지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베이스에 지지된다.
힌지 커버(13)가 폐쇄된 상태에서, 시일 부재(15)는 물 유입구(2)를 방수식으로 밀봉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버튼 부재(17)를 밀어 결합을 해제시켰을 때, 힌지 커버(13)는 시일 부재(15)의 탄성력에 의하여 물 유입구(2)로부터 팝-업식으로 제거된다. 또한, 힌지 커버(13)는 그루브(14)에 인접하여 형성된 경사면(16)을 갖는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부재(17)를 밀어 훅(52)과 그루브(14)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 다음, 미는 힘을 버튼 부재로부터 제거했을 때, 버튼 부재의 초기 위치가 코일 스프링(50)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하여 복구되어 훅(52)이 힌지 커버(13)의 경사면(16)과 접촉하도록 다시 돌출되고 힌지 커버의 개방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방향으로 힌지 커버를 민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면(16)과 훅(52) 사이의 접촉각은 약 6도이다.
힌지 커버(13)를 폐쇄하는 경우, 힌지 버커를 물 유입구(2) 쪽으로 피벗식으로 이동시켰을 때, 힌지 커버의 경사면(16)은 훅(52)과 돌출된 상태로 접촉된 다음, 코일 스프링(50)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정지 상태를 향하여 훅을 민다. 힌지 커버(13)를 물 유입구(2) 쪽으로 더 이동시켰을 때, 훅(52)은 힌지 커버를 로크하도록 그루브(14) 내에 결합된다.
따라서, 전술한 로킹 기구에 따르면, 힌지 커버(13)의 폐쇄 상태가 훅(52)과 그루브(14)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로크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더 개선된다. 또한, 힌지 커버(13)가 시일 부재(15)의 탄성력 및 힌지 커버의 경사면(16)과 훅(52)의 접촉으로 인하여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증기식 미용기의 유용성이 또한 개선된다.
증기 쳄버(40) 내에 증기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물이 물 탱크(3)로부터 증기 쳄버 내로 빠르게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서, 축 길이가 비교적 길고 단면이 좁은 연통 채널(35)이 물 탱크(3)와 증기 쳄버(40) 사이에 형성된다. 연통 채널(35)이 원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때, 연통 채널의 직경은 축 길이보다 충분하게 작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통 채널(35)의 직경 및 축 길이는 각각 2.5mm 및 18.0mm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45)가 증기 쳄버(40)와 연통 채널(35) 및 증기 쳄버와 증기 채널(42) 사이의 결합부에 배치되어 증기 쳄버 내 물의 휘발에 의하여 퇴적된 탄산칼슘과 같은 물때(S)를 제거한다. 연통 채널(35)이 막히거나 또는 물 탱크(3)가 물때로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증기 쳄버(40) 내에 커다란 뜨거운 액적(예를 들면, 수십 미크론)이 발생되어 증기 채널(42) 내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또한 효율적이다. 필터(45)는 연통 채널(35)의 직경의 약 50% 또는 50%보다 더 작은 그물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통 채널(35)의 직경은 2.5mm이고, 필터의 그물 치수는 연통 채널의 직경의 40%에 대응하는 1.0mm이다. 도 5a에 있어서, 도면 부호(47)는 증기 쳄버(40)의 결합부 하측에 형성된 물때를 수용하는 디치(ditch)를 나타낸다. 상기 디치(47)는 필터(45)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증기식 미용기(1)의 유지관리 사이클을 연장시키는데 유용하다.
증기 쳄버(40)는 물 탱크(3)의 외측면과 히터(4) 사이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간극에 의하여 제공된다. 복수개의 보스(boss)(34)가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증기 쳄버(40) 내 물 탱크(3)의 외측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기 쳄버(40) 내에 발생된 증기는 증기 쳄버(4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 구를 통하여 증기 채널(42)에 공급된 다음, 방전부(5)에 의하여 발생된 방전에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전부(5)에는 증기 채널 내 물 탱크의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 및 방전을 일으키도록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가 형성된다. 증기를 방전에 노출시킴으로써, 미세한 증기 입자가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미세한 증기 입자는 증기 배출구(11)로부터 분무된다. 증기 쳄버(40)와 방전부(5) 사이의 증기 채널(42)에는, 비교적 커다란 뜨거운 액적을 트랩하도록 원하는 패턴의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증기 응결에 의하여 격벽 또는 증기 채널(42)의 내면에 트랩된 뜨거운 액적은 순환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물 탱크(3)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서, 증기 채널(42)은 방전부(5)로부터 증기 배출구(11)로 연장되며 수평 투상도에서 물 탱크(3)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 수직부를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기(1)를 점진적으로 기울일 때 증기 배출구(11)로부터 물이 누수되기 시작하는 소정의 각도(θ)를 최대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증기 채널(42)의 수직부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길이가 증가시키게 되면, 미용기(1)가 업사이징된다. 따라서, 증기 채널(42)의 수직부 길이를 적절하게 결정함으로써, 누출 방지가 개선된 소형의 증기식 미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서, 문자(W)는 경사진 미용기 내의 수위를 나타낸다. 미용기를 실수로 넘어뜨렸을 때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폰지와 같은 물 흡수 수단을 증기 배출구(11)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증기 노즐(80)이 증기 배출구(11)에 연결되며, 하우징(10)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돔형 셸(83)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증기 채널(42)의 수직부의 상부는 아코디언 호스(accordion hose)(48)에 의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증기 분무 방향을 광범위한 각도에 걸쳐 안전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반면, 증기 채널(42)을 돔형 셸(83)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증기 응결에 의하여 형성된 뜨거운 액적이 아코디언 호스(48)의 울퉁불퉁한 내면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캡처되기 때문에, 뜨거운 액적이 증기 노즐(80)로부터 실수로 분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증기식 미용기(1)의 안전성이 더 개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기 노즐(80)의 보호 커버(9)는 오목한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보호 커버는 물 유입구(2)를 통해 물 탱크(3) 내로 물을 공급하는 워터 포트와 같은 물 공급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커버(9)는 많은 양의 물이 물 유입구(2) 내로 빠르게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벽(93)을 갖는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95)는 물이 물 유입구(2) 내로 완만하게 흐르도록 스토퍼 벽(93)의 하단부에 형성된 붓는 주둥이(pour spout)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붓는 주둥이는 측면이 10mm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 유입구용 커버와 오버플로 포트용 셔터 사이에 연동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안전성 및 유용성이 개선되고 증기식 미용기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증기 발생 장치 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증기 배출구 및 액체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액체 유입구용 커버,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오버플로 포트를 갖는 액체 탱크,
    상기 액체 유입구와 상기 액체 탱크 사이에 연장되는 액체 공급 채널,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쳄버에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액체 탱크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쳄버로부터 상기 증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증기 채널,
    상기 오버플로 포트를 통해 상기 액체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의 배출 채널,
    상기 배출 채널 내에 배치된 셔터, 및
    상기 셔터를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에 응답하여 개폐시키는 연동 수단
    을 포함하는 증기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힌지 커버이며,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힌지 커버 상에 형성된 리브(rib), 및 일단은 상기 리브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셔터에 결합된 시소 부재(seesaw memb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제1 이동가능 부재를 통해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커버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스탠딩 자세를 취하도록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상부와 접촉되는 편평한 말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탄성 소재로 제조되며 제2 이동가능 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플로 플러그(flow plug)이고,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의 대향하는 말단은 상기 시소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제1 이동가능 부재를 통해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셔터는 제2 이동가능 부재를 통해 상기 시소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시소 부재는,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이동 거리보다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부재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결합된 일단이 파도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커버에 부착된 시일 부재(seal member),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된 버튼 부재,
    상기 버튼 부재에 스프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커버에 형성된 그루브와 결합되는 훅(hook)
    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훅과 상기 그루브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액체 유입구를 방수식으로 밀봉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상기 결합은 상기 버튼 부재를 상기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조작함으로써 릴리스되고, 이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시일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팝-업식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그루브에 인접하여 형성된 경사면을 갖고, 이로써 상기 훅 이 상기 훅과 상기 그루브 사이의 결합이 릴리스된 후 상기 커버의 상기 경사면과 접촉되어 상기 커버의 개방 정도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장치.
KR1020050050408A 2004-06-14 2005-06-13 증기 발생 장치 KR100583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76168 2004-06-14
JP2004176168A JP4211690B2 (ja) 2004-06-14 2004-06-14 スチーム式美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195A KR20060049195A (ko) 2006-05-18
KR100583326B1 true KR100583326B1 (ko) 2006-05-25

Family

ID=3493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408A KR100583326B1 (ko) 2004-06-14 2005-06-13 증기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67771B2 (ko)
EP (1) EP1607079B1 (ko)
JP (1) JP4211690B2 (ko)
KR (1) KR100583326B1 (ko)
CN (2) CN100352412C (ko)
DE (1) DE602005003400T2 (ko)
HK (1) HK10821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43B1 (ko) 2009-05-28 2011-05-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오버 플로 커버
KR20170001446U (ko) 2015-10-14 2017-04-24 비에이이인텔리전스주식회사 스티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1690B2 (ja) * 2004-06-14 2009-01-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スチーム式美容器
US20070176306A1 (en) * 2006-02-01 2007-08-02 Ping Huang Safety device for a humidifier
JP4631773B2 (ja) * 2006-03-28 2011-02-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スチーム式美容器
JP4872810B2 (ja) * 2007-05-31 2012-0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美容器
US20090084776A1 (en) * 2007-10-02 2009-04-02 Chuan-Pan Huang Induction device for a humidifier
JP5330367B2 (ja) * 2010-12-22 2013-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ミスト発生装置
JP5579646B2 (ja) * 2011-03-29 2014-08-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ミスト発生装置及び美容装置
JP2013000400A (ja) * 2011-06-17 2013-01-07 Panasonic Corp ミスト発生装置及び美容装置
US9964299B2 (en) * 2011-09-02 2018-05-08 Sharkninja Operating Llc Steam generator
JP6010764B2 (ja) * 2013-03-13 2016-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
JP5793677B2 (ja) * 2013-07-24 2015-10-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ミスト発生装置
CN103479509A (zh) * 2013-09-18 2014-01-01 中山市比森塑料电子制品有限公司 加湿蒸脸器
CN103655158A (zh) * 2013-12-21 2014-03-26 中山市比森塑料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蒸脸器
CN103655160B (zh) * 2013-12-21 2016-05-04 中山市比森塑料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集成有脸刷的蒸脸器
CN103655161A (zh) * 2013-12-21 2014-03-26 中山市比森塑料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药熏蒸脸器
TWI566795B (zh) * 2014-07-24 2017-01-21 心誠鎂行動醫電股份有限公司 可攜式超音波霧化器及其保護結構
US10137259B2 (en) * 2014-07-24 2018-11-27 Hcmed Innovations Co., Ltd. Portable ultrasonic nebulizer and nebulization structure thereof
CN109045425A (zh) * 2014-08-01 2018-12-21 心诚镁行动医电股份有限公司 便携式超声波雾化器及其保护结构
JP2018503052A (ja) * 2015-01-23 2018-02-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取り外し可能なカバーを備えた蒸気発生システム
CN105708682B (zh) * 2016-02-02 2017-03-15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水箱组件和具有其的蒸汽设备
USD848629S1 (en) * 2017-07-29 2019-05-14 Zhongshan Kingdom Electrical Appliance Co., Ltd Facial steamer
CN209958115U (zh) * 2019-01-17 2020-01-17 佛山市顺德区盛熙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便捷式衣物熨烫机
USD894371S1 (en) 2019-03-01 2020-08-25 Guardian Technologies Llc Mist inhaler
CN111955494B (zh) * 2020-08-20 2021-12-24 江门台麦烘焙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焙烤设备
CN115770401B (zh) * 2022-12-05 2023-08-18 徐州龙兴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甲醇生产的提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3722A (en) * 1968-01-02 1970-02-03 Popeil Brothers Hair curler steamer and facial sauna device
US3654428A (en) * 1970-05-25 1972-04-04 Songrand Corp The Apparatus for heating and conditioning hair curling rollers
JPS5266567U (ko) * 1975-11-10 1977-05-17
US4190052A (en) * 1978-12-18 1980-02-26 The Gillette Company Steam facial apparatus
US4496826A (en) * 1983-02-14 1985-01-29 Leonard Osrow Hand-held shock-resistant electrolytically heated steam producing apparatus
JP2570245B2 (ja) * 1991-02-01 1997-01-08 松下電工株式会社 吸入器
DE4241616C2 (de) * 1992-12-10 1995-06-22 Streicher Emide Metall Kaffeemaschine
JPH0771708A (ja) * 1993-09-02 199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チーム発生用ボイラー
JPH0826314A (ja) * 1994-07-15 1996-01-30 Japan Crown Cork Co Ltd 密閉容器
JP3036507U (ja) * 1996-08-12 1997-04-22 株式会社マルイチ藤井 プラスチック容器
JP3690166B2 (ja) * 1998-06-18 2005-08-31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チーム式美容器
JP3893851B2 (ja) * 1999-10-28 2007-03-14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チーム式美容器
JP2001298282A (ja) * 2000-04-17 2001-10-26 Seiko Instruments Inc 小型電子機器
JP4077188B2 (ja) * 2001-11-21 2008-04-16 株式会社ジャパンエステティック協会 スチーム発生装置
JP4211690B2 (ja) * 2004-06-14 2009-01-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スチーム式美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43B1 (ko) 2009-05-28 2011-05-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오버 플로 커버
KR20170001446U (ko) 2015-10-14 2017-04-24 비에이이인텔리전스주식회사 스티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82179A1 (en) 2006-06-02
EP1607079B1 (en) 2007-11-21
DE602005003400T2 (de) 2008-09-25
CN100352412C (zh) 2007-12-05
EP1607079A1 (en) 2005-12-21
US20050274330A1 (en) 2005-12-15
JP2005349132A (ja) 2005-12-22
US7067771B2 (en) 2006-06-27
CN1714775A (zh) 2006-01-04
JP4211690B2 (ja) 2009-01-21
DE602005003400D1 (de) 2008-01-03
CN2803368Y (zh) 2006-08-09
KR20060049195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326B1 (ko) 증기 발생 장치
JP4631773B2 (ja) スチーム式美容器
CN113818224B (zh) 蒸汽式除皱设备
KR100636305B1 (ko) 증기 발생 장치
US5138778A (en) Steam iron having valved demineralizing cartridge and secondary demineralized reservoir
US4366367A (en) Electric fabric steaming appliance with prevention of water refill through the steam discharge outlet
US3727322A (en) Hair setting-drying device
KR19980083624A (ko) 초음파.히터 겸용 가습기
JP5313953B2 (ja) ミスト発生装置、及び美容装置
JPS6123329B2 (ko)
KR100946298B1 (ko) 스킨 보습기
KR100507444B1 (ko) 스팀청소기
KR100906039B1 (ko) 상향 배출식 스팀발생장치
JP5103498B2 (ja) ミスト発生装置、及び美容装置
JP3780163B2 (ja) 温水洗浄器
KR200363509Y1 (ko) 비데 훈증발생장치용 히터
KR100946296B1 (ko) 스킨 보습기
KR20240008175A (ko) 가습기
KR20240000886A (ko) 가습기용 밸브 유닛
KR200317931Y1 (ko) 스팀청소기
JPH06257804A (ja) 加湿器
KR20060032128A (ko)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한 스팀 청소기
KR20230044710A (ko) 팬모터 없는 가열식 가습기
JPS6358599B2 (ko)
JPH0492661A (ja) スチーム式美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