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175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175A
KR20240008175A KR1020220085232A KR20220085232A KR20240008175A KR 20240008175 A KR20240008175 A KR 20240008175A KR 1020220085232 A KR1020220085232 A KR 1020220085232A KR 20220085232 A KR20220085232 A KR 20220085232A KR 20240008175 A KR20240008175 A KR 20240008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humidifier
tank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문성일
조경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5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175A/ko
Publication of KR2024000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물을 수용하고, 하측에 물토출구가 형성된 물수용부, 및 상기 물이 상기 물수용부로부터 토출되도록 상기 물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물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물통으로부터 토출된 상기 물을 수용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기화시켜 수증기를 형성하는 기화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개폐부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폐부를 압박하여 상기 물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수조가 물토출구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개폐부에 대한 상기 접촉부의 압박이 해제되어 상기 물토출구가 폐쇄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가습기는 습기의 생성 방법에 따라 수조의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가열식 가습기와, 수조의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초음파식 가습기 와, 가열식 가습방식과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기로 나뉜다. 이러한 가습기는 물통, 물통에서 토출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 및 물통의 물을 수조로 토출하기 위해 물통을 개폐하기 위한 토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습기의 토출장치는 물통을 개폐하기 위해 수조 내측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토출장치가 청결하게 유지되지 않을 경우, 수조에 수용된 물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수조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토출장치를 별도로 분리하여 추가적으로 세척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84723 "가습기"(특허문헌 1)에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 물을 수조에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물통 및 수조로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개폐밸브를 개폐시키는 급수조절부재, 수조의 물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물 수위에 따라 급수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가습기의 급수조절부재는 물통의 개폐밸브를 개폐하기 위해 수조 내측에 구비되어 동작되므로, 급수조절부재가 청결하지 않을 경우, 수조의 물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가습기의 사용자는 수조의 물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수조와 함께 급수조절부재를 추가적으로 분리하여 세척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특허문헌 1의 가습기의 급수조절부재는 수조 내측에 구비되어 동작되므로, 급수조절부재가 동작될 때 마다 수조의 물이 수위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수위센서가 물의 수위를 잘못 감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가습기의 급수조절부재가 수위센서에 의해 오작동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물통은 물을 보충과 세척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물통은 상부가 개방되지 않은 폐쇄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물을 보충하거나 세척을 할 경우, 개폐밸브를 분리시켜야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84723 (2020.07.13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조가 회전에 의해 물통의 물토출구가 개폐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수조가 회전되더라도 수증기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물의 공급과 세척이 용이한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물을 수용하고, 하측에 물토출구가 형성된 물수용부, 및 상기 물이 상기 물수용부로부터 토출되도록 상기 물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물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물통으로부터 토출된 상기 물을 수용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기화시켜 수증기를 형성하는 기화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개폐부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폐부를 압박하여 상기 물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수조가 물토출구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개폐부에 대한 상기 접촉부의 압박이 해제되어 상기 물토출구가 폐쇄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수용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개방 형성된 물투입구가 형성된,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 내의 상기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수조는 내부에 수용된 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수조 내의 상기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수조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수조를 회전시키도록 회전축이 편심되어 구성된 캠을 포함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 내 상기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물의 수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조 내의 상기 물의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물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할 때, 상기 수조가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수조 내의 상기 물의 수위가 하강하여 상기 물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때, 상기 수조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조립체는, 상기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조립체는, 상기 수증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조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 내의 물의 수위가 상기 기화조립체보다 소정의 높이 이상일 때, 상기 개폐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조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인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는 상기 물통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물을 직접 공급받도록 상기 물수용부의 하측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수조의 일측보다 상기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수조의 일측이 상기 타측보다 더 큰 폭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수용부와 상기 수조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구성없이 수조의 회전에 의해 물통의 물토출구가 개폐될 수 있으므로, 수조 내의 물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고, 가습기의 청소가 간단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조가 회전되더라도 기화조립체가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수증기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통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 물통이 본체와 분리되지 않더라도 물통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습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습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습기를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4의 가습기의 수조가 타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가습기를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가습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가습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가습기를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가습기의 수조가 타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가습기를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가습기의 수조가 타 방향을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접촉', '지지'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접촉,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는 수용된 물을 기화하여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습기(1)는 본체(100), 물통(200), 수조(300), 기화조립체(400), 배출부재(500), 탄성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본체(100)는 물통(200), 수조(300), 기화조립체(400), 배출부재(500) 및 탄성부재(60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100)의 상측에 물통(200)과 배출부재(500)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내측에 수조(300), 기화조립체(400) 및 탄성부재(6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수조수용부재(110) 및 기화지지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수용부재(110)는 수조(3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조수용부재(110)의 상측에는 물통(200) 및 배출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조수용부재(110)에는 수조(300)의 후술할 체결부(320)와 맞물리는 맞물림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물림부(111)는 수조수용부재(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조(300)를 향해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부(111)에 의해, 수조(300)는 수조수용부재(1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도록 수조수용부재(110)에 지지될 수 있다.
기화지지부재(120)는 기화조립체(400)가 수조(300) 내측에 배치되도록 기화조립체(4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화지지부재(120)의 적어도 일부는 수조(300)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수조수용부재(1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기화지지부재(1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화조립체(400)에 의해 형성된 수증기를 배출부재(500)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화지지부재(120)의 하단은 수조(300)의 내측에 배치되어 기화조립체(400)에 연결되고, 기화지지부재(120)의 상단은 배출부재(500)와 연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증기는 기화지지부재(120)를 통해 수조(300)로부터 배출부재(50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물통(200)은 물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물통(200)은 본체(10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조(300)를 향해 물을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물통(200)은 물수용부(210) 및 개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수용부(210)는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수용부(210)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는 물통(200)이 본체(100)에 결합될 때, 수조(300)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수용부(210)에 의해 수조(300)는 물통(200)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물수용부(210)에는 물투입구(211)와 물토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물투입구(211)는 물수용부(2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물수용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투입구(211)는 물수용부(21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물투입구(211)에 의해 물은 물수용부(2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물투입구(211)에 의해 물수용부(210)에 수용된 물은 대기압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되어, 물토출구(212)가 폐쇄될 때까지, 물토출구(212)에서 토출될 수 있다.
물토출구(212)는 물을 수조(300)를 향해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물토출구(212)는 수조(30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물수용부(2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220)는 물수용부(210)에 수용된 물이 수조(300)를 향해 토출되도록 물토출구(212)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220)는 수조(300)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물토출구(212)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부(220)는 수조(300)의 회전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면 물수용부(210)의 물이 물토출구(212)로 유동되도록 물토출구(212)의 상측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20)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 물토출구(212)의 상측을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220)의 적어도 일부는 물토출구(21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수조(300)는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물토출구(212)에서 토출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수조(30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본체(100)에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조(30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수조수용부재(1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수조(300)의 회전축은 수조(300)의 일측보다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에 의해 수조(3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수조(300)의 일측이 타측보다 더 큰 폭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조(300)의 일측은 탄성부재(600)에 접촉되고, 물수용부(210)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다. 수조(300)의 타측은 기화조립체(400)를 수용할 수 있다.
수조(300)는 내부에 수용된 물의 무게와 탄성부재(600)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수조(300)는 내부의 물의 수위(S)가 낮아지면 탄성부재(600) 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조(300)는 내부의 물의 무게가 낮아지면서 일측이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수조(300)는 내부의 물의 수위(S)가 높아지면 물의 무게에 의해 탄성부재(600)를 가압하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조(300)는 내부의 물의 무게가 무거워지면서 일측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탄성부재(600)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수조(300)는 물의 수위(S)가 기화조립체(400)보다 소정의 높이 이상일 때, 개폐부(220)로부터 이격되도록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수조(300)가 일 방향이 회전되면, 물토출구(212)가 개방되도록 개폐부(220)가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조(3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수조(300)의 일측이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부(220)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수조(3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부(220)가 물토출구(212)를 폐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조(30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수조(300)의 타측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개폐부(22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수조(300)는 접촉부(310)와 체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10)는 수조(3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물토출구(212)가 개방되도록 개폐부(220)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10)는 수조(30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개폐부(220)가 자중에 의해 물토출구(212)를 폐쇄되도록 개폐부(220)에 대한 압박을 해제할 수 있다. 접촉부(310)는 수조(30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부(310)는 수조(30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개폐부(220)의 하측에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310)는 수조(3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부(220)의 하측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개폐부(2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부(310)는 수조(30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부(220)의 하측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체결부(320)는 수조(300)의 회전축 상에 구비되고, 맞물림부(111)에 회전되고 가능하고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부(320)를 중심으로 수조(30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320)는 수조(300)의 외면으로부터 맞물림부(111)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체결부(320)는 수조(300)와 수조수용부재(110)가 서로 분리되도록 맞물림부(111)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320)는 맞물림부(111)와 체결될 때, 맞물림부(111)의 외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화조립체(400)는 수조(300) 내측에 배치되어, 수조(300) 내의 물을 기화시켜 수증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화조립체(400)는 수조(300) 내측에 배치되도록 기화지지부재(12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화조립체(400)는 기화지지부재(12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화조립체(400)는 수증기를 형성하기 위해 수조(300)의 물을 초음파 등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자 및 물을 가열하는 히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재(500)는 수증기를 가습기(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출부재(500)는 기화지지부재(120)로부터 유입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재(500)는 기화지지부재(12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재(500)에 의해 수증기는 가습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수조(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600)는 수조(30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수조(300)에 의해 가압되고, 수조(300) 내의 물의 수위(S)가 낮아지면 수조(3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60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수조(30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본체(100)에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600)는 수조(300)의 일측의 하면에 접촉되어 수조(300)의 일측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거나 수조(300)의 일측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본체(1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의 수조(300) 내의 물 수위(S)가 소정의 높이보다 낮으면, 수조(300)는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물토출구(212)가 개방되도록 개폐부(220)를 가압할 수 있다. 물토출구(212)가 개방되면, 물통(200)의 물은 물토출구(212)를 통해 수조(300)로 바로 토출될 수 있다. 수조(300) 내의 물 수위(S)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면, 수조(300)는 물의 무게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개폐부(220)의 압박을 해제하여 물토출구(212)가 개폐부(2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수조(300) 내의 물은 기화조립체(400)에 의해 수증기로 형성되어 기화지지부재(120) 및 배출부재(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수조(300) 내의 물의 수위(S)가 소정의 높이보다 낮아지면 수조(300)는 탄성부재(600)에 의해 다시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부(22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조(300)는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S)와 탄성부재(600)에 의해 물토출구(212)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수조(300) 자체가 물 공급을 위한 부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조(300)는 별도의 구성 없이 본체(100)에 회전되도록 지지되고, 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수조(300)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물통(200), 수조(300), 기화조립체(400) 및 배출부재(500)가 각각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가습기(1)의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
기화조립체(400)는 수조(300) 내측에서 진동하여 수증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수조(300) 내부에서 잔수가 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화조립체(400)는 기화지지부재(120)에 배치되어 수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수조(30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다. 다시 말해, 기화조립체(400)는 수조(300)가 회전되더라도 기울어지지 않아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물수용부(210)에 물투입구(211)가 형성되어 물수용부(210) 내의 압력과 수조(300)의 내의 압력이 차이가 발생되더라도, 수조(300)의 회전에 의해 개폐부(220)가 물토출구(212)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물수용부(210)의 물이 수조(300)를 향해 효율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가습기(1)는 탄성부재(600)를 대신하여 구동장치(700)를 포함하고, 수위센서(800) 및 제어기(9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는 바,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구동장치(700)는 수조(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장치(700)는 수조(300)를 일 방향 및 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장치(700)는 모터(710), 캠(720) 및 복수의 걸림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710)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710)는 수조(30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본체(100)에 지지될 수 있다.
캠(720)은 모터(7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수조(30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축이 편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캠(720)의 회전축은 캠(720)의 상측보다 하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수조(300)의 회전축과 수직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캠(720)은 상측이 하방으로 이동되거나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모터(7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캠(720)의 상측은 수조(300)의 하측에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캠(720)의 상측이 상방으로 회전되면, 수조(300)는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캠(720)의 상측이 하방으로 회전되면, 수조(300)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걸림부(730)는 캠(720)의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730)는 캠(720)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걸림부(730)는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걸림부(730) 중 어느 하나는 캠(720)이 회전될 때, 본체(100)에 접촉되어 캠(7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걸림부(730) 중 어느 하나는 캠(720)이 상방으로 회전되고 개폐부(220)가 상방으로 소정의 거리 이상 이동하여 물토출구(212)를 개방할 때, 본체(100)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걸림부(730) 중 다른 하나는 캠(720)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개폐부(220)가 물토출구(212)를 폐쇄할 때, 본체(100)에 접촉될 수 있다.
수위센서(800)는 수조(300) 내 물의 수위(S)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센서(800)는 기화지지부재(120)에 구비되어 수조(300)의 물의 수위(S)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센서(800)는 물의 수위(S)가 기화조립체(400)보다 소정의 높이 이상일 때, 물이 감지되도록, 기화조립체(400)보다 소정의 높이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900)는 수위센서(800)에서 감지된 물의 수위(S)에 기초하여 모터(7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900)는 수조(300) 내의 물의 수위(S)가 상승하여 물의 수위(S)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할 때, 수조(300)가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7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900)에 의해 캠(720)은 하방으로 회전되고, 수조(30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부(220)가 물토출구(212)를 폐쇄할 수 있다. 제어기(900)는 수조(300) 내의 물의 수위(S)가 하강하여 물의 수위(S)가 소정높이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때, 수조(3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7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900)에 의해 캠(720)은 상방으로 회전되고, 수조(3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부(220)가 물토출구(212)를 개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어기(9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의 수조(300)는 수위센서(800)에 의해 감지된 물의 수위(S)에 따라 제어기(900)에 의해 회전되어 물토출구(212)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수조(300)로 물의 공급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조(300)는 캠(720)에 접촉되되, 수조(3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때, 캠(7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수조(300)를 용이하게 청소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가습기 100: 본체
110: 수조수용부재 111: 맞물림부
120: 기화지지부재 200: 물통
210: 물수용부 211: 물투입구
212: 물토출구 220: 개폐부
300: 수조 310: 접촉부
320: 체결부 400: 기화조립체
500: 배출부재 600: 탄성부재
700: 구동장치 710: 모터
720: 캠 730: 걸림부
800: 수위센서 900: 제어기

Claims (12)

  1. 본체;
    물을 수용하고, 하측에 물토출구가 형성된 물수용부, 및 상기 물이 상기 물수용부로부터 토출되도록 상기 물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물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물통으로부터 토출된 상기 물을 수용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기화시켜 수증기를 형성하는 기화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개폐부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폐부를 압박하여 상기 물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수조가 물토출구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개폐부에 대한 상기 접촉부의 압박이 해제되어 상기 물토출구가 폐쇄되는,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개방 형성된 물투입구가 형성된,
    가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 내의 상기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수조는 내부에 수용된 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수조 내의 상기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수조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수조를 회전시키도록 회전축이 편심되어 구성된 캠을 포함하는,
    가습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 상기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물의 수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조 내의 상기 물의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물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할 때, 상기 수조가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수조 내의 상기 물의 수위가 하강하여 상기 물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때, 상기 수조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가습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조립체는, 상기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습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조립체는,
    상기 수증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조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가습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 내의 물의 수위가 상기 기화조립체보다 소정의 높이 이상일 때, 상기 개폐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습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조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인
    가습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물통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물을 직접 공급받도록 상기 물수용부의 하측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가습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수조의 일측보다 상기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수조의 일측이 상기 타측보다 더 큰 폭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습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부와 상기 수조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습기.
KR1020220085232A 2022-07-11 2022-07-11 가습기 KR20240008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232A KR20240008175A (ko) 2022-07-11 2022-07-11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232A KR20240008175A (ko) 2022-07-11 2022-07-11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175A true KR20240008175A (ko) 2024-01-18

Family

ID=8971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232A KR20240008175A (ko) 2022-07-11 2022-07-11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1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723A (ko) 2019-01-03 2020-07-13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723A (ko) 2019-01-03 2020-07-13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874B1 (ko) 초입자 분무장치
KR100766430B1 (ko) 물 보충이 가능한 가습기
KR102340052B1 (ko) 가습기
KR101789048B1 (ko) 초음파 가습기
JP2021156569A (ja) 加湿器
KR20120041517A (ko) 수위조절 구조를 갖는 가습기
KR20240008175A (ko) 가습기
KR100677880B1 (ko) 스팀발생장치
WO2008082052A1 (en) Top side water supply humidifier
JPH10122611A (ja) 加湿器
JP4675846B2 (ja) 給水装置
JP2009100890A (ja) 炊飯器
JP4648256B2 (ja) 給水装置
KR102578442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140056878A (ko) 자연 기화식 가습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7932B1 (ko) 세척이 용이한 가열식 간편세척 가습기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JP4064657B2 (ja) スチーム発生装置
KR200361384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KR200413313Y1 (ko) 가습기
JP3690166B2 (ja) スチーム式美容器
KR200314447Y1 (ko) 가습기의 노즐 장치
KR20130019096A (ko) 가습기
KR20240000886A (ko) 가습기용 밸브 유닛
JP4107174B2 (ja) 足浴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