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384Y1 -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384Y1
KR200361384Y1 KR20-2004-0017900U KR20040017900U KR200361384Y1 KR 200361384 Y1 KR200361384 Y1 KR 200361384Y1 KR 20040017900 U KR20040017900 U KR 20040017900U KR 200361384 Y1 KR200361384 Y1 KR 200361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pray
nozzle cap
cap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철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7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을 무화시켜 실내 측으로 공급함으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무입자의 분무방향을 입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는 본체 상측에 형성된 장착홀에 설치되어 분무입자를 안내하는 노즐 바디와, 상기 노즐 바디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분무입자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분무구가 일측에 형성된 회전 노즐캡과, 상기 노즐 바디 및 회전 노즐캡에 형성된 장착홀에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입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분무입자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분무구가 일측에 형성된 입체회전 노즐캡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SPRAY NOZZLE ASSEMBLY FOR HUMIDIFIER}
본 고안은 물을 무화시켜 실내 측으로 공급함으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무입자의 분무방향을 입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중에 수분을 뿜어내는 기구로써, 보통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한 적당한 실내습도는 60% 정도다.
보통, 초음파식 가습기는 본체 상측에 물탱크가 올려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 수조부 및 물을 무화시키는 진동자가 내장된 진동자 수조부가 설치되며, 그 사이를 연결하도록 히터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자 수조부에서 발생된 분무입자를 송풍시켜 실내 측으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모터가 상기 본체에 내장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습기가 작동되면, 상기 물공급 수조부 측의 물이 상기 히터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다음, 상기 진동자 수조부로 유입되고, 상기 진동자 수조부에서 따뜻해진 물은 상기 진동자에 의해 무화되어 상기 본체 및 물탱크 일측에 형성된 분무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 내부에서 송풍팬 및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공기가 분무입자가 유동되는 유로 측으로 송풍되며, 이와 같은 공기는 분무입자를 실내 측으로분무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분무입자를 토출시키는 분무구에는 별도의 분무노즐이 장착되어 분무입자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의 분무노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일측에 형성된 장착홀에 장착되는데, 분무구(2h,4h)가 각각 형성된 노즐 바디(2) 및 노즐캡(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캡(4)이 상기 노즐 바디(2)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 바디(2)는 원통형상으로 상단이 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 일측에 분무구(2h)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 상기 노즐캡(4)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장착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다음, 상기 노즐캡(4)은 돔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이 상기 노즐 바디의 장착홀에 좌우방향으로 360°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면 일측에 분무구(4h)가 형성되며, 상기 분무구(4h)에 상향 돌출되도록 토출 가이드(4a)가 일체로 형성되어 분무입자의 유동방향을 안내한다.
물론, 상기 노즐 바디(2)는 상기 본체의 장착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노즐캡(4) 역시 상기 노즐 바디의 장착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분무입자는 상기 노즐 바디의 분무구(2h) 또는 상기 노즐캡의 분무구(4h)를 통하여 외부로 분무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은 노즐 바디의 분무구(2h) 및 노즐캡의 분무구(4h)를 통하여 좌우방향으로만 분무방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분무방향을 조절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일정한 크기의 분무구(2h,4h)를 통해서만 분무입자가 분사됨으로 분무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무입자가 입체적으로 분무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분무량을 조절하여 최적의 분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 측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의 분무량 조절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의 분무방향 조절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노즐 바디 54 : 회전 노즐캡
60 : 입체회전 노즐캡 62 : 하부 노즐캡
64 : 상부 노즐캡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는 본체 상측에 형성된 장착홀에 설치되어 분무입자를 안내하는 노즐 바디와, 상기 노즐 바디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분무입자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분무구가 일측에 형성된 회전 노즐캡과, 상기 노즐 바디 및 회전 노즐캡에 형성된 장착홀에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입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분무입자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분무구가 일측에 형성된 입체회전 노즐캡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 및 측단면도와 분해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진동자(미도시)에 의해 무화시키는 본체(미도시) 일측에 형성된 장착홀(미도시)에 설치되는데, 상기 장착홀에 노즐 바디(52)가 안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노즐 바디(52) 상측에 분무구(54h)가 형성된 회전 노즐캡(54)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노즐 바디(52) 및 회전 노즐캡(54) 사이에 입체회전 노즐캡(60)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입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 바디(52)는 원통형상으로 상단에 직경이 더 큰 돔 형상으로 막혀지도록 형성되되, 그 상면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분무구(52h)가 형성되며, 그 상면 중앙에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장착홀(52H)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장착홀(52H) 주변에 하향 경사지도록 안착 가이드(52a)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회전 노즐캡(54)은 상기 노즐 바디(52)의 상단을 덮어줄 수 있도록 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호 형상의 분무구(54h)가 형성되며, 그 상면 중앙에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이 걸림될 수 있도록 장착홀(54H)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노즐캡의 분무구(54h)는 상기 노즐 바디의 분무구(52h)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 노즐캡(54)이 상기 노즐바디(52)에 조립되어 회전됨에 따라 서로 공통적으로 겹쳐지는 분무구(I)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노즐캡의 장착홀(54H)은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도록 하되, 이는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이 상기 노즐 바디의 장착홀(52H)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노즐캡(54)이 상기 노즐 바디(52)에 장착되면,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의 상단 일부만 상기 회전 노즐캡의 장착홀(54H)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회전 노즐캡의 장착홀(54H)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 노즐캡(54)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 노즐캡(54)이 상기 노즐 바디(52) 상단에 후크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노즐 바디(52)의 상단 둘레에는 걸림턱(52b)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노즐캡(54)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노즐 바디의 걸림턱(52b)에 후크 조립될 수 있도록 후크(54a)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회전 노즐캡(54)은 상기 노즐 바디(52)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360°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은 하부 노즐캡(62) 상측에 상부 노즐캡(64)이 조립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 노즐캡(62)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더 커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에 비교적 큰 분무구(62h)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노즐캡(64)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더 작아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비교적 작은 분무구(64h)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노즐캡(62)의 상단에 상기 상부노즐캡(64)의 하단이 조립됨에 따라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의 중간부분이 최대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하부 노즐캡(62)은 상기 노즐 바디의 장착홀(52H) 및 안착 가이드(52a)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노즐캡(64) 역시 마찬가지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 가이드(52a) 역시 상기 하부 노즐캡(62)과 같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은 중간부분의 직경이 가장 크게 형성된 곡면체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노즐 바디의 장착홀(52H) 및 안착 가이드(52a)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단이 상기 회전 노즐캡의 장착홀(54H)에 걸림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좌우방향으로 360°로 회전될 수 있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노즐캡의 분무구(62h) 및 상부 노즐캡의 분무구(64h)에는 각각 분무입자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62a,64a)가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 노즐캡의 분무구(62h)에는 상향 경사지도록 흡입 가이드(62a)가 형성되어 분무입자를 상기 상부 노즐캡의 분무구(64h) 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상부 노즐캡의 분무구(64h)에는 하향 경사지도록 토출 가이드(64a)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 가이드(62a)에 의해 안내된 분무입자를 상기 상부 노즐캡의 분무구(64h)로 안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무노즐 어셈블리는 상기 노즐 바디의 장착홀(52H)에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노즐캡(54)이 상기 노즐 바디(52)의 상단에 후크 조립되면,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의 상단이 일부 상기 회전 노즐캡의 장착홀(54H)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조립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의 분무량 조절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의 분무방향 조절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분무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노즐캡(54)을 상기 노즐 바디(52)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적절하게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노즐캡의 분무구(54h)와 상기 노즐 바디의 분무구(52h)가 공통적으로 겹쳐지는 부분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고, 이와 같이 공통적인 분무구(I)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이를 통하여 분무되는 분무량 역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분무방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도 6a 및 도 6b 또는 도 6c 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60)을 상기 노즐 바디(52) 및 회전 노즐캡(54)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360°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의 분무구(64h)의 분무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회전 노즐캡(54)도 상기 노즐 바디(52)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360°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 노즐캡의 분무구(54h)의 분무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6a 및 도 6c 또는 도 6b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을 상기 노즐 바디 및 회전 노즐캡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의 분무입구의 분무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 노즐캡의 분무구(54h)를 좌우방향으로 360°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의 분무구(62h)를 좌우방향으로 360°로 조절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분무입자가 다양한 분무방향으로 분무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물이 진동자에 의해 무화되어 분무입자를 실내공간으로 토출시키는 초음파식 가습기에 적용되는 가습기의 분무노즐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노즐은 노즐 바디 상측에 분무구가 형성된 회전 노즐캡이 좌우방향으로 360°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노즐 바디 및 회전 노즐캡에 분무구가 형성된 입체회전 노즐캡이 좌우방향으로 360° 및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분무입자가 회전 노즐캡의 분무구 및 입체회전 노즐캡의 분무구를 통하여 분무방향을 입체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는 회전 노즐캡이 노즐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움직이면서 노즐 바디의 분무구 및 회전 노즐캡의 분무구가 공통적으로 겹쳐지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분무입자가 토출되는 분무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분무량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본체 상측에 형성된 장착홀에 설치되어 분무입자를 안내하는 노즐 바디와,
    상기 노즐 바디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분무입자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분무구가 일측에 형성된 회전 노즐캡과,
    상기 노즐 바디 및 회전 노즐캡에 형성된 장착홀에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입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분무입자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분무구가 일측에 형성된 입체회전 노즐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는 상면에 상기 회전 노즐캡 조립시 상기 회전 노즐캡의 분무구와 겹쳐지도록 분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즐캡이 상기 노즐 바디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분무입자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 바디의 분무구는 상기 노즐 바디의 원주방향을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노즐캡의 분무구는 상기 회전 노즐캡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는 상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노즐캡은 상기 노즐 바디의 걸림턱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단 내측에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은 좌우방향으로 360°로 회전될 수 있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노즐 바디의 장착홀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단이 상기 회전 노즐캡의 장착홀에 걸림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더 넓어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에 분무구가 형성된 하부 노즐캡과, 상기 하부 노즐캡에 조립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더 좁아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분무구가 형성된 상부 노즐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노즐캡은 상기 하부 노즐캡의 분무구에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분무입자의 유동을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노즐캡은 상기 상부 노즐캡의 분무구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분무입자의 유동을 안내하는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는 상기 하부 노즐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장착홀 주변에 하향 경사지도록 안착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즐캡은 상기 입체회전 노즐캡이 상기 노즐 바디로부터 탈거되지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노즐캡의 상단 일부만 돌출될 수 있도록 장착홀이 상기 노즐캡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KR20-2004-0017900U 2004-06-24 2004-06-24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KR200361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900U KR200361384Y1 (ko) 2004-06-24 2004-06-24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900U KR200361384Y1 (ko) 2004-06-24 2004-06-24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384Y1 true KR200361384Y1 (ko) 2004-09-13

Family

ID=4943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900U KR200361384Y1 (ko) 2004-06-24 2004-06-24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38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85B1 (ko) 2006-08-18 2007-07-06 웅진쿠첸 주식회사 가습기용 물통의 분무노즐 조립체
KR200447328Y1 (ko) 2007-04-26 2010-01-15 주식회사 노비타 노즐 어셈블리 및 그 노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0447661Y1 (ko) * 2008-02-28 2010-02-16 쿠쿠전자주식회사 가습기
KR101679577B1 (ko) * 2016-05-18 2016-11-25 홍영표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KR101836923B1 (ko) * 2017-03-23 2018-03-09 주식회사 이에스엔 휴대용 가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85B1 (ko) 2006-08-18 2007-07-06 웅진쿠첸 주식회사 가습기용 물통의 분무노즐 조립체
KR200447328Y1 (ko) 2007-04-26 2010-01-15 주식회사 노비타 노즐 어셈블리 및 그 노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0447661Y1 (ko) * 2008-02-28 2010-02-16 쿠쿠전자주식회사 가습기
KR101679577B1 (ko) * 2016-05-18 2016-11-25 홍영표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KR101836923B1 (ko) * 2017-03-23 2018-03-09 주식회사 이에스엔 휴대용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684B1 (ko) 낙수 소음 방지를 위한 가습기의 분무관
KR101901293B1 (ko)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JP2011100782A (ja) 太陽光パネル冷却装置
US11499729B2 (en) Humidifier
KR200361384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CN208018809U (zh) Cmp设备腔室保湿用喷雾器
WO2019111814A1 (ja) 液体微細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換気装置、空気清浄機、空気調和機
US20080251611A1 (en) Misting Apparatus
KR200360077Y1 (ko) 가습기의 분무장치
KR200483926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KR200374362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JP2002364890A (ja) ミストの発生装置
JP3130321U (ja) 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噴霧機の噴気構造
KR200360076Y1 (ko) 가습기의 물탱크 장착구조
KR200369044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장치
KR200369047Y1 (ko) 가습기 분무부의 구조
KR20210117777A (ko)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KR200447328Y1 (ko) 노즐 어셈블리 및 그 노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0413313Y1 (ko) 가습기
CN210921684U (zh) 加湿器
KR200418082Y1 (ko) 가습기
CN218820793U (zh) 加湿装置
KR200408809Y1 (ko) 회전 가능한 분무 노즐을 갖는 가습기
KR200369045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장치
KR0132845Y1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