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293B1 -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293B1
KR101901293B1 KR1020160123413A KR20160123413A KR101901293B1 KR 101901293 B1 KR101901293 B1 KR 101901293B1 KR 1020160123413 A KR1020160123413 A KR 1020160123413A KR 20160123413 A KR20160123413 A KR 20160123413A KR 101901293 B1 KR101901293 B1 KR 10190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ying
wall
air
particle guide
humidifying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887A (ko
Inventor
서동진
오용주
김민석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to KR102016012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293B1/ko
Priority to PCT/KR2017/010642 priority patent/WO2018056793A1/ko
Priority to CN201780047003.2A priority patent/CN109477651A/zh
Priority to JP2018564806A priority patent/JP6740382B2/ja
Priority to US16/308,371 priority patent/US11365895B2/en
Publication of KR2018003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24F2006/1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using pressurised air for spr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는 물이 수용된 수조 내에서 부유하며, 중심부에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부유체, 상기 중공 내에 설치되며, 하부로 유입되는 물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가습 입자로 무화시키기 위한 초음파 발생부, 상기 부유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 입자가 내부의 가이드 홀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습 입자 가이드부 및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를 가압시켜 가압된 공기를 통해 상기 가습 입자를 상향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FLOATING TYPE OF HUMIDIFIER FOR IMPROVING HUMIDITY}
본 발명은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기 내에 형성된 공기 가압부에 의해 높아진 공기압을 이용하여 가습량을 극대화시킨 부유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건조한 실내에 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습기는 가습방식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식 가습기와 히터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먼저, 초음파 가습기는 수조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해 물을 미세한 물방울로 변화시킨 후, 송풍 팬을 이용해 미세한 물방울을 무화 상태로 분무하는 방식인 반면, 가열식 가습기는 수조에 설치된 히터의 열을 이용해 물을 증기화시킨 후, 송풍 팬을 이용해 증기를 무화 상태로 분무하는 방식이다.
상기한 두 종류의 가습기는, 고정적인 설치면에 설치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으로, 세균 증식 및 세척 문제가 큰 단점으로 부각되고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비교적 세척 등의 관리가 편리한 천연식 가습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천연식 가습기 중에는, 비교적 세척 등의 관리가 간편한 부유식 가습기가 많이 사용되는데, 상기 부유식 가습기는 물이 수용된 수조의 내부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유식 가습기는 수조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부유하면서 초음파를 이용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물 입자로 변화시킨 후 송풍 팬을 이용해 물 입자를 무화 상태로 배출시키는 방식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부유식 가습기는 송풍 팬의 송풍 방향이 물 입자가 배출되는 통로의 중심 방향을 향하고 있어, 무화된 물 입자 중 상당수는 다시 물방울로 뭉쳐져 하방으로 떨어지거나 송풍 팬의 반대편 통로에 부딪혀서 가습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가습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련 선행기술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0842호 "부유식 가습기"(공개일자: 2015년 8월 6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접 방식으로 공기를 주입하되, 종래 한 쪽 방향에서만 공기가 공급되던 부분을 개선하여 가이드 홀 주변 전체에서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게 함으로써 가습량이 증가된 부유식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격벽 구조를 이용하여 공기 가압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압된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여 가습량이 극대화된 부유식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는 물이 수용된 수조 내에서 부유하며, 중심부에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부유체, 상기 중공 내에 설치되며, 하부로 유입되는 물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가습 입자로 무화시키기 위한 초음파 발생부, 상기 부유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 입자가 내부의 가이드 홀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습 입자 가이드부 및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를 가압시켜 가압된 공기를 통해 상기 가습 입자를 상향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벽과, 상기 내벽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부유체와 결합하기 위한 외벽을 포함하는 이중 격벽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 가압부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과 상기 부유체가 소정 간극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가압부와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공기 주입부에 의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외측부에는 팬 설치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팬 설치홀에는 상기 공기 가압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 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 끝단에서 소정 크기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요입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입 홈부는 상기 송풍 팬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이드 홀의 수평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 중심과 상기 부유체의 중공 중심은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 일측은 상기 부유체의 중공 외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과 외벽이 접하는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외벽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요입되어 형성되는 세척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과 외벽이 접하는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세척 홈부의 반대측에서 요입되어 형성되는 파지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접 방식으로 공기를 주입하되, 종래 한 쪽 방향에서만 공기가 공급되던 부분을 개선하여 가이드 홀 주변 전체에서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게 함으로써 가습량을 증가시키며, 이중 격벽 구조를 이용하여 공기 가압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압된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여 가습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입 홈부를 통해 송풍 팬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에 부딪히지 않고 바로 상기 가이드홀로 유입됨에 따라 발생된 가습 입자 중 크기가 큰 입자를 다른 쪽 내벽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주면에 세척 홈부가 형성되어 내주면 전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 파지 홈부가 형성되어 세척 시나 파지가 필요한 경우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은 한 쪽으로 치우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초음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가습 입자가 상승하는 경우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에 부딪히게 되는데, 뭉쳐진 가습 입자가 중공에 채워진 물이 아닌 상기 중공 외부로 떨어짐으로써 수면과의 충돌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상부 케이스를 제외한 부유식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상부 케이스를 제외한 부유식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부유식 가습기의 송풍 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송풍 팬을 제외한 부유식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10)는 부유체(100), 초음파 발생부(110), 송풍 팬(130),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 및 상부 케이스(20) 등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20)는 상기 부유체(10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호리병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20)의 상단부 외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공(21)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상부 케이스(20)의 상단에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110)에 의해 발생되는 가습 입자의 발산량 및 발산 방향을 제어하는 캡(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캡(미도시)에는 물 입자 또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발산공(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 입자 또는 수증기는 가습 입자를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20)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과는 다소 무관하므로 편의상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서 상부 케이스를 제외한 부유식 가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상부 케이스를 제외한 부유식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부유식 가습기의 송풍 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서 송풍 팬을 제외한 부유식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는 부유체(100), 초음파 발생부(110),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 및 공기 가압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부유체(100)는 물이 수용된 수조 내에서 부유하며, 중심부에 중공(10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100)는 물에 부유할 수 있도록 내측 테두리를 따라 부력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에는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력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체(100)는 하방이 좁고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부유체(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100)의 하부에는 물(30)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는 상부를 따라 상기 중공(101)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부(110)는 상기 부유체(100)의 유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물(30)을 미세한 물 입자 즉 가습 입자 상태로 무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초음파 발생부(110)는 상기 부유체(100)의 중공(101)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로 유입되는 물(30)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가습 입자로 무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110)나 후술할 송풍 팬(130)에는 별도의 전원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케이블은 케이블 홀(40)을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110)는 가습 입자를 상기 중공(101) 중심의 수직선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는 상기 부유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 입자가 내부의 가이드 홀(121)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121)의 수평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는 상기 부유체(100)의 중공(101)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101) 내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부(1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부에는 가이드 홀(1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121)을 따라 가습 입자가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홀(121)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121)의 상단에는 배출구가 외부를 향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압부(122)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를 가압시켜 가압된 공기를 통해 상기 가습 입자를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는 상기 가이드 홀(121)을 따라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벽(123)과, 상기 내벽(123)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부유체(100)와 결합하기 위한 외벽(124)을 포함하는 이중 격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가압부(122)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과 외벽(1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압부(122)에 공기가 지속적으로 주입됨에 따라 상기 공기 가압부(122)의 내부 압력이 높아져 공기압이 상승하게 되고, 공기압이 상승됨에 따라 송풍 팬에 의해 주입된 공기가 더욱 큰 추진력을 가지게 되며, 상기 가이드 홀(121) 내부로 공기를 강하게 주입됨으로써 가습량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과 상기 부유체(100)가 소정 간극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틈에 해당하는 공기 주입부(1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가압부(122)와 상기 가이드 홀(121)은 상기 공기 주입부(125)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공기 주입부(125)가 특정 방향이나 특정 홀을 통해 공급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홀(121)의 주변 전체를 통해 유입됨으로써 가습량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공기 가압부(122)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주입됨으로써 가습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외측부에는 팬 설치홀(126)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팬 설치홀(126)에는 상기 공기 가압부(122)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 팬(1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 팬(130)에 의해 발생된 공기나, 공기에 의해 형성된 바람을 상기 공기 가압부(122)를 향해 분사하게 되면, 상기 공기 가압부(122) 내에서 공기압이 형성되며, 압력이 높아진 공기가 상기 공기 주입부(125)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 홀(121)로 강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과 상기 부유체(100)의 간극이 커지면 공기의 주입 속도는 증가할 수 있으나, 상기 공기 가압부(122) 내에서 형성될 수 있는 공기압이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과 상기 부유체(100)의 간극이 작아지면 공기의 주입 속도는 감소할 수 있으나, 상기 공기 가압부(122) 내에서 형성될 수 있는 공기압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간극 크기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 끝단에서 소정 크기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요입 홈부(12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요입 홈부(127)는 상기 송풍 팬(130)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 홈부(127)를 통해 상기 송풍 팬(13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에 부딪히지 않고 바로 상기 가이드홀로 유입됨에 따라 발생된 가습 입자 중 크기가 큰 입자를 다른 쪽 내벽(123)으로 밀어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 중심(O)과 상기 부유체(100)의 중공 중심(O')은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 일측(123a)은 상기 부유체(100)의 중공(101) 외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은 한 쪽으로 치우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발생부(110)로부터 발생된 가습 입자가 상승하는 경우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에 부딪히게 되는데, 뭉쳐진 가습 입자가 상기 중공(101)에 채워진 물(30)이 아닌 상기 중공(101) 외부로 떨어짐으로써 수면과의 충돌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과 외벽(124)이 접하는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외벽(124)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요입되어 형성되는 세척 홈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과 외벽(124)이 접하는 내주면에 굴곡진 홈 형상의 세척 홈부(128)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주면 전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과 외벽(124)이 접하는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세척 홈부(128)의 반대측에서 요입되어 형성되는 파지 홈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120)의 내벽(123)과 외벽(124)이 접하는 외주면에 안쪽으로 파여진 홈 형상의 파지 홈부(129)가 형성됨에 따라 세척 시나 파지가 필요한 경우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부유식 가습기
20: 상부 케이스
21: 공기 유입공
30: 물
40: 케이블 홀
100: 부유체
101: 중공
110: 초음파 발생부
120: 가습 입자 가이드부
121: 가이드 홀
122: 공기 가압부
123: 내벽
123a: 내벽 일측
124: 외벽
125: 공기 주입부
126: 팬 설치홀
127: 요입 홈부
128: 세척 홈부
129: 파지 홈부
130: 송풍 팬

Claims (11)

  1. 물이 수용된 수조 내에서 부유하며, 중심부에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부유체;
    상기 중공 내에 설치되며, 하부로 유입되는 물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가습입자로 무화시키기 위한 초음파 발생부;
    상기 부유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 입자가 내부의 가이드 홀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습 입자 가이드부; 및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를 가압시켜 가압된 공기를 통해 상기 가습 입자를 상향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벽과 상기 내벽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부유체와 결합하기 위한 외벽을 포함하는 이중 격벽 구조를 가지고,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과 상기 부유체가 소정 간극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가압부와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공기 주입부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외측부에는 팬 설치 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팬 설치 홀에는 상기 공기 가압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 팬이 설치되고,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 끝단에서 소정 크기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요입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입 홈부는 송풍 팬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 중심과 상기 부유체의 중공 중심은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 일측은,
    상기 부유체의 중공 외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압부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의 수평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과 외벽이 접하는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외벽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요입되어 형성되는 세척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는,
    상기 가습 입자 가이드부의 내벽과 외벽이 접하는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세척 홈부의 반대측에서 요입되어 형성되는 파지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KR1020160123413A 2016-09-26 2016-09-26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KR101901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413A KR101901293B1 (ko) 2016-09-26 2016-09-26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PCT/KR2017/010642 WO2018056793A1 (ko) 2016-09-26 2017-09-26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CN201780047003.2A CN109477651A (zh) 2016-09-26 2017-09-26 提高加湿量的漂浮式加湿器
JP2018564806A JP6740382B2 (ja) 2016-09-26 2017-09-26 加湿量が向上された浮遊式加湿器
US16/308,371 US11365895B2 (en) 2016-09-26 2017-09-26 Floating-type humidifier having increased amount of humid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413A KR101901293B1 (ko) 2016-09-26 2016-09-26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887A KR20180033887A (ko) 2018-04-04
KR101901293B1 true KR101901293B1 (ko) 2018-09-28

Family

ID=6169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413A KR101901293B1 (ko) 2016-09-26 2016-09-26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65895B2 (ko)
JP (1) JP6740382B2 (ko)
KR (1) KR101901293B1 (ko)
CN (1) CN109477651A (ko)
WO (1) WO201805679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641A (ko) 2019-03-11 2020-09-21 김도영 초음파식 가습기
CN111981610A (zh) * 2020-07-20 2020-11-24 何晓华 一种超声波加湿器的雾化片安装结构
WO2022045505A1 (ko) * 2020-08-27 2022-03-03 주식회사 미로 세척이 용이한 방수팬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5583S1 (en) * 2019-12-20 2022-03-08 Shu-Hsien Chou Humidifier
WO2022000092A1 (en) * 2020-07-03 2022-01-06 Sanitaires Experts Disinf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425549B1 (ko) * 2020-08-07 2022-08-01 주식회사 미로 부유식 가습기의 부유체 결합구조
CN112503618B (zh) * 2020-12-01 2022-01-25 宁波时荣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加湿型电暖气
CN112460717A (zh) * 2020-12-08 2021-03-09 李春盛 一种电磁阀控制式香薰加湿器
USD1023264S1 (en) * 2021-09-02 2024-04-16 Xiaoxuan Liu Humidifier
USD1015512S1 (en) * 2021-09-17 2024-02-20 Haike Yin Humidifier
USD1022173S1 (en) * 2021-09-29 2024-04-09 Quanzhou Starming Trade Co., Ltd. Humidif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88B1 (ko) * 2014-05-27 2014-07-24 주식회사 이담테크 습윤공기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10238A (de) * 1968-04-24 1971-07-15 Maag & Co Ag Arthur Luftbefeuchtungsgerät
US3901443A (en) * 1973-02-06 1975-08-26 Tdk Electronics Co Ltd Ultrasonic wave nebulizer
JPS5754511Y2 (ko) 1978-09-01 1982-11-25
JPH0449449Y2 (ko) 1986-11-25 1992-11-20
JPH029734U (ko) 1988-06-29 1990-01-22
JPH0276961U (ko) 1988-09-16 1990-06-13
JPH0436538U (ko) 1990-07-19 1992-03-26
CN2208680Y (zh) 1994-12-15 1995-09-27 顾好粮 漂浮式超声波加湿器
US5673360A (en) * 1995-09-11 1997-09-30 Scripps; J. Sebastian Travel Humidifier
KR19980084036A (ko) * 1997-05-20 1998-12-05 윤종용 가습기의 낙수소음 방지장치
US5940578A (en) * 1997-06-17 1999-08-17 Yen Enterprises Pty Ltd. Water evaporation apparatus
US6592107B1 (en) * 2001-07-05 2003-07-15 Raymond Electric (China) Ltd. Floating portable humidifier
DE102006014734A1 (de) 2006-03-30 2007-10-11 Mölders, Stephan, Dr. Die Tornadomaschine - Ein Nebel-Wirbler, der als Effektgerät, Luftbefeuchter und Aerosolgenerator einsetzbar ist
AT512219B1 (de) * 2011-12-02 2016-06-15 Braincon Handels-Gmbh Zerstäubungsvorrichtung
KR101374967B1 (ko) 2013-07-15 2014-03-17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CN203757941U (zh) 2014-01-26 2014-08-06 佛山市南海科日超声电子有限公司 具有新型出雾结构的超声雾化加湿器
KR101655301B1 (ko) * 2014-01-29 2016-09-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부유식 가습기
KR20150090842A (ko) * 2014-01-29 2015-08-06 주식회사 케이피씨 부유식 가습기
KR101528290B1 (ko) * 2014-03-10 2015-06-15 주식회사 지니바이오 부유식 가습기
KR101574146B1 (ko) * 2014-03-10 2015-12-03 주식회사 지니바이오 부유식 가습기
JP2015200454A (ja) 2014-04-08 2015-11-12 有限会社エフ・アンド・エフ 霧発生装置
JP6564789B2 (ja) * 2014-05-12 2019-08-21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ブライザを有する揮発性物質ディスペンサ及びネブライザ組立体
KR101541337B1 (ko) * 2014-09-15 2015-08-07 주식회사 케이피씨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AU2016202404B2 (en) * 2015-04-29 2020-08-06 Scentsy, Inc. Diffuser and related methods
CN107850329A (zh) * 2015-07-09 2018-03-27 美路株式会社 漂浮式加湿器容器
US10247433B2 (en) * 2015-10-30 2019-04-0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N206739508U (zh) * 2017-04-22 2017-12-12 中山泰坦工艺品有限公司 一种外出风道的上加水超声波加湿器
US20190210054A1 (en) * 2018-01-08 2019-07-11 Cheng-Yang Chan Diffuse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88B1 (ko) * 2014-05-27 2014-07-24 주식회사 이담테크 습윤공기 분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641A (ko) 2019-03-11 2020-09-21 김도영 초음파식 가습기
CN111981610A (zh) * 2020-07-20 2020-11-24 何晓华 一种超声波加湿器的雾化片安装结构
WO2022045505A1 (ko) * 2020-08-27 2022-03-03 주식회사 미로 세척이 용이한 방수팬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65895B2 (en) 2022-06-21
KR20180033887A (ko) 2018-04-04
CN109477651A (zh) 2019-03-15
US20190309967A1 (en) 2019-10-10
WO2018056793A1 (ko) 2018-03-29
JP6740382B2 (ja) 2020-08-12
JP2019526023A (ja)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293B1 (ko)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US20180135875A1 (en) Floating-type humidifier
CN107735184B (zh) 超微粒喷雾装置
KR20150090842A (ko) 부유식 가습기
US20060163754A1 (en) Humidifier
KR20170051142A (ko) 가습청정장치
KR100836684B1 (ko) 낙수 소음 방지를 위한 가습기의 분무관
JP6272188B2 (ja) 超音波式加湿器
US10184677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JP5956072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JP2019529848A (ja) キャップを利用した浮遊式加湿器の騒音低減装置
JP2006003066A (ja) 加湿器の噴霧装置
KR102189875B1 (ko) 초음파 가습기
KR101423288B1 (ko) 습윤공기 분사장치
KR102253578B1 (ko) 와류를 형성하는 초음파 가습기
KR101322676B1 (ko) 회전형 토출구를 갖는 가습기
JP6573958B2 (ja) 超音波式加湿器
KR200400304Y1 (ko) 미세분무부재를 가지는 가습기
US20030024999A1 (en) Centrifugal humidifier with sawtooth ridged impringement surface
JP5966088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KR200481089Y1 (ko) 가습량 증대를 위한 초음파 가습기
CN211372675U (zh) 一种加湿器
KR200246420Y1 (ko) 가습기
KR102192193B1 (ko) 액적살포장치
KR0151561B1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