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842A - 부유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부유식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842A
KR20150090842A KR1020150009903A KR20150009903A KR20150090842A KR 20150090842 A KR20150090842 A KR 20150090842A KR 1020150009903 A KR1020150009903 A KR 1020150009903A KR 20150009903 A KR20150009903 A KR 20150009903A KR 20150090842 A KR20150090842 A KR 20150090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hole
water
guide
blow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씨
Priority to KR102015000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842A/ko
Priority to PCT/KR2015/000916 priority patent/WO2016117742A1/ko
Publication of KR20150090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38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by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rough a pl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orif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는, 물이 수용된 수조 내에서 부유하며, 내부에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부유체와, 상기 중공 내에 설치되며, 하부로 유입되는 물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물 입자 상태로 무화시키는 초음파 발생부와, 상기 초음파 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 입자가 수평 방향을 따라 원을 이루는 내부의 가이드홀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안내하며, 측부에 팬 설치홀이 수평하게 관통형성되는 안내관 및, 상기 팬 설치홀 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물 입자가 에어의 회전 와류에 의해 상향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 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가습기{FLOATING TYPE OF HUMIDFIER}
본 발명은 부유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를 사선으로 분사하여 회전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장치의 가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유식 가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건조한 실내에 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습기는 가습방식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식 가습기와 히터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먼저, 초음파 가습기는 수조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해 물을 미세한 물방울로 변화시킨 후, 송풍 팬을 이용해 미세한 물방울을 무화 상태로 분무하는 방식인 반면, 가열식 가습기는 수조에 설치된 히터의 열을 이용해 물을 증기화시킨 후, 송풍 팬을 이용해 증기를 무화 상태로 분무하는 방식이다.
상기한 두 종류의 가습기는, 고적적인 설치면에 설치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으로, 세균 증식 및 세척 문제가 큰 단점으로 부각되고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비교적 세척 등의 관리가 편리한 천연식 가습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천연식 가습기 중에는, 비교적 세척 등의 관리가 간편한 부유식 가습기가 많이 사용되는데, 상기 부유식 가습기는 물이 수용된 수조의 내부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뷰유식 가습기는 수조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부유하면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미세한 물 입자로 변화시킨 후, 송풍 팬을 이용해 물 입자를 무화 상태로 배출시키는 방식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부유식 가습기는 송풍 팬의 송풍 방향이 물 입자가 배출되는 통로의 중심 방향을 향하고 있어, 무화된 물 입자 중 상당수는 다시 물방울로 뭉쳐져 하방으로 떨어질 염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가습량이 저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부유식 가습기는 송풍 팬의 송풍 방향이 통로의 벽면을 향하고 있어, 에어가 부딪히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4967호(2014년 03월 1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부유식 가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홀의 중심 축 선과 엇갈리는 사선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물 입자가 에어의 회전 와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량의 에어 및 물 입자의 토출이 가능하며, 물 입자와 에어가 마주하지 않으므로 물 입자가 물방울로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유식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풍 팬의 송풍 방향이 가이드홀의 내주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를 송풍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지 않고, 이를 통해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유식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는, 물이 수용된 수조 내에서 부유하며, 내부에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부유체와, 상기 중공 내에 설치되며, 하부로 유입되는 물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물 입자 상태로 무화시키는 초음파 발생부와, 상기 초음파 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 입자가 수평 방향을 따라 원을 이루는 내부의 가이드홀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안내하며, 측부에 팬 설치홀이 수평하게 관통형성되는 안내관 및, 상기 팬 설치홀 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물 입자가 에어의 회전 와류에 의해 상향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송풍 팬의 에어 토출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물 입자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 팬의 토출구는 중심이 상기 가이드홀의 수직 중심 축 선과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일측 벽면에 에어를 사선으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 팬의 토출구는 상기 가이드홀의 벽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에어를 분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을 이루는 안내 홈 또는 안내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상단에 배출구가 외부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홀의 중심 축 선과 엇갈리는 사선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물 입자가 에어의 회전 와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량의 에어 및 물 입자의 토출이 가능하며, 물 입자와 에어가 마주하지 않으므로 물 입자가 물방울로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송풍 팬의 송풍 방향이 가이드홀의 내주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를 송풍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지 않고, 이를 통해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송풍 팬을 사선으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를 수조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송풍 팬을 상향 경사지게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송풍 팬을 사선으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를 수조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는 부유체(100)와, 초음파 발생부(200)와, 안내관(300) 및, 송풍 팬(4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부유체(100)는 수조(10) 내에 수용된 물(W)에 부유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력 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100)는 물(W)에 부유할 수 있도록 내측 테두리를 따라 부력 공간(111)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110)와,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120)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체(100)는 하방이 넓고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부유체(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유체(100)의 하부에는 물(W)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3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30)의 상부를 따라 중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200)는, 부유체(100)의 유입구(130)를 통해 들어오는 물(W)을 미세한 물 입자 상태로 무화(霧化)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초음파 발생부(200)는, 부유체(100)의 중공(140) 내에 설치되며, 하부로 유입되는 물(W)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물 입자 상태로 무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200)에는 별도의 전원 케이블(C)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케이블(C)은 부유체(10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200)는 물 입자를 상기 가이드홀(310)의 수직 중심 축 선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발생부(200)는 후술 될 송풍 팬(400)의 에어 토출 방향과 어긋나는 위치로 물 입자를 토출시킬 수 있다.
안내관(300)은, 부유체(100)의 중공(140) 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관(300)은 초음파 발생부(200)의 상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300)의 내부에는 가이드홀(3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310)을 따라 물 입자가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310)의 내주면은, 물 입자가 벽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향 이동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을 따라 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안내관(300)의 일측에는 후술 될 송풍 팬(4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팬 설치홀(320)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31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안내관(300)의 상단에는 배출구가 외부로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31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므로, 후술 될 송풍 팬(40)으로부터 에어가 송풍되는 경우, 나선형으로 회전되는 에어(A)는 직경이 작은 부위를 통과할 때 회전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310)의 토출 부위에서는 더 큰 회전 와류가 발생되므로, 가습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송풍 팬(400)은, 안내관(300)의 팬 설치홀(320) 내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전면의 토출구를 통해 가이드홀(310)의 내주면으로 에어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안내관(300)의 가이드홀(310)에 부딪힌 에어는 상기 가이드홀(310)의 벽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물 입자를 상부로 안내한다.
즉, 상기 송풍 팬(400)은 초음파 발생부(200)에 의해 무화된 물 입자가 에어의 회전 와류에 의해 상향 배출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송풍 팬(400)은, 구동 모터(410) 및, 회전 날개(420)로 구비되며, 상기 구동 모터(410)에는 전원 케이블(C)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송풍 팬(400)은 도 3에서처럼 에어가 분사되는 토출구의 중심이 가이드홀(310)의 수직 중심 축 선과 토출구의 중심이 어긋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송풍 팬(400)이 가이드홀(310)의 일측 벽면에 에어를 사선으로 분사하는 경우, 가이드홀(310)의 내주면에 사선으로 부딪힌 에어는 상기 가이드홀(310)의 내주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에어의 회전 와류 발생에 의해 더 많은 공기의 토출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물 입자가 에어에 의해 물방울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많은 가습 량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 팬(400)의 토출구는 도 4에서처럼 상기 가이드홀(310)의 벽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 팬(400)은 에어와 물 입자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므로, 에어와 물 입자의 배출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미도시 하였으나 가이드홀(310)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을 이루는 안내 홈 또는 안내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가이드홀(310)의 중심 축 선과 엇갈리는 사선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물 입자가 에어의 회전 와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많은 량의 에어 및 물 입자의 토출이 가능하며, 물 입자와 에어가 마주하지 않으므로 물 입자가 물방울 형태로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 팬(400)의 송풍 방향이 가이드홀(310)의 내주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를 송풍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지 않고, 이를 통해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수조
100: 부유체
110: 하부 몸체
111: 부력 공간
120: 상부 몸체
130: 유입구
140: 중공
200: 초음파 발생부
300: 안내관
310: 가이드홀
320: 팬 설치홀
400: 송풍 팬
410: 구동 모터
420: 회전 날개
A:, 에어
C: 전원 케이블
W: 물

Claims (6)

  1. 물이 수용된 수조 내에서 부유하며, 내부에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부유체;
    상기 중공 내에 설치되며, 하부로 유입되는 물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물 입자 상태로 무화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초음파 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 입자가 수평 방향을 따라 원을 이루는 내부의 가이드홀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안내하며, 측부에 팬 설치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안내관; 및
    상기 팬 설치홀 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물 입자가 에어의 회전 와류에 의해 상향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송풍 팬의 에어 토출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물 입자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의 토출구는,
    중심이 상기 가이드홀의 수직 중심 축 선과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일측 벽면에 에어를 사선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의 토출구는,
    상기 가이드홀의 벽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에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을 이루는 안내 홈 또는 안내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상단에 배출구가 외부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
KR1020150009903A 2014-01-29 2015-01-21 부유식 가습기 KR20150090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903A KR20150090842A (ko) 2014-01-29 2015-01-21 부유식 가습기
PCT/KR2015/000916 WO2016117742A1 (ko) 2015-01-21 2015-01-28 부유식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801 2014-01-29
KR1020140011801 2014-01-29
KR1020150009903A KR20150090842A (ko) 2014-01-29 2015-01-21 부유식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842A true KR20150090842A (ko) 2015-08-06

Family

ID=5641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903A KR20150090842A (ko) 2014-01-29 2015-01-21 부유식 가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90842A (ko)
WO (1) WO201611774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793A1 (ko) * 2016-09-26 2018-03-29 주식회사 미로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WO2018110945A1 (ko) * 2016-12-14 2018-06-21 주식회사 미로 캡을 이용한 부유식 가습기의 소음 저감 장치
CN113639356A (zh) * 2021-08-20 2021-11-12 进成(广东)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器
KR20220018768A (ko) * 2020-08-07 2022-0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유식 가습기의 부유체 결합구조
KR102464864B1 (ko) 2021-08-04 2022-11-09 주식회사 에프앤티 초음파진동자가 수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초음파가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19288A1 (en) * 2016-12-14 2019-07-18 Miro Co., Ltd. Noise reducing apparatus, for floating humidifier, using cap
JP2019184212A (ja) * 2018-04-02 2019-10-24 株式会社Hoop 高効率加湿温風器
JP2019184213A (ja) * 2018-04-02 2019-10-24 株式会社Hoop 高効率加湿温風装置
CN108887225B (zh) * 2018-07-26 2023-09-12 李世刚 超声波气雾旋发生器及气雾溪机
CN112827735B (zh) * 2020-12-31 2021-11-23 珠海市诚立信电子科技有限公司 雾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355A (ja) * 2000-08-08 2002-02-19 Hayashi Seiko:Kk 微小ミスト発生装置
KR100990236B1 (ko) * 2008-02-27 2010-10-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가습기
KR101175928B1 (ko) * 2009-12-10 2012-08-22 김나영 부표를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
KR101306631B1 (ko) * 2010-05-31 2013-09-11 주식회사 비케이월드 가습기
KR101374967B1 (ko) * 2013-07-15 2014-03-17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793A1 (ko) * 2016-09-26 2018-03-29 주식회사 미로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CN109477651A (zh) * 2016-09-26 2019-03-15 美路株式会社 提高加湿量的漂浮式加湿器
JP2019526023A (ja) * 2016-09-26 2019-09-12 ミロ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加湿量が向上された浮遊式加湿器
US11365895B2 (en) 2016-09-26 2022-06-21 Miro Co., Ltd. Floating-type humidifier having increased amount of humidification
WO2018110945A1 (ko) * 2016-12-14 2018-06-21 주식회사 미로 캡을 이용한 부유식 가습기의 소음 저감 장치
KR20220018768A (ko) * 2020-08-07 2022-0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유식 가습기의 부유체 결합구조
KR102464864B1 (ko) 2021-08-04 2022-11-09 주식회사 에프앤티 초음파진동자가 수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초음파가습기
KR20220154644A (ko) 2021-08-04 2022-11-22 주식회사 에프앤티 초음파진동자가 수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초음파가습기
KR20220154645A (ko) 2021-08-04 2022-11-22 주식회사 에프앤티 초음파진동자가 수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초음파가습기
CN113639356A (zh) * 2021-08-20 2021-11-12 进成(广东)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7742A1 (ko)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0842A (ko) 부유식 가습기
KR101655301B1 (ko) 부유식 가습기
JP6740382B2 (ja) 加湿量が向上された浮遊式加湿器
KR101290625B1 (ko) 가습 장치
KR20180036924A (ko) 물 회전분사식 공기세정기
KR20110125199A (ko) 초음파 가습기에 사용되는 부표
JP4905232B2 (ja) ミスト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浴室暖房装置
CN108201329A (zh) 进水组件、物料清洗装置、防溢组件及烹饪器具
JPH06269699A (ja) 液体霧化装置
CN105796314A (zh) 家用桑拿机
KR101423288B1 (ko) 습윤공기 분사장치
CN105276943A (zh) 雨伞干燥机
CN103162369B (zh) 一种外转子式离心加湿器
JP2005329100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RU2452902C2 (ru) Установка охлаждения воздуха с испарением рециркулирующей воды
KR101903223B1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공기정화 및 가습 방법
JP2019027675A (ja) 液体微細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または空気調和機
CN211476198U (zh) 空气加湿装置
CN104607327B (zh) 一种液相喷嘴及含有该喷嘴的烟气脱硫吸收塔
JP5126520B2 (ja) ミスト発生装置および浴室空調装置
JP2011092484A (ja) ミスト発生装置
RU244208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влажнения воздуха
JP2006078153A (ja) 霧発生装置
JP2009285410A (ja) ミスト発生装置、これを備えたミスト発生ユニットおよびミスト発生機能を備えた浴室空調システム
JP3145056U (ja) 噴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