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236B1 - 휴대용 가습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236B1
KR100990236B1 KR1020080072368A KR20080072368A KR100990236B1 KR 100990236 B1 KR100990236 B1 KR 100990236B1 KR 1020080072368 A KR1020080072368 A KR 1020080072368A KR 20080072368 A KR20080072368 A KR 20080072368A KR 100990236 B1 KR100990236 B1 KR 10099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rtable humidifier
case
humidifi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674A (ko
Inventor
신병철
박성현
박광철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9009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15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at the free surface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container and subjected to the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2Apparatus for achieving spraying before discharge from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81Apparatus supplied with low pressure gas, e.g. "hvlp"-guns; air supplied by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수원 상에 부상되는 휴대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습기의 물통을 생략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의 범용 직렬 버스 단자를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가습기, 휴대, 부력, 부력 조절부, USB

Description

휴대용 가습기{portable humidifier}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수원 상에 부상되는 휴대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주위 공기가 건조할 경우 가습기와 결합된 전용물통에서 흘러나오는 물 또는 흡입된 물을 입자화시켜 외부에 공급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흡입된 물을 입자화시켜 외부에 공급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며, 예를 들어, 초음파 방식은 물통의 물을 흡입하여 초음파 진동자가 물을 입자화시킨 후 송풍팬에 의해 상부쪽으로 배출되어 분무되도록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가습기는 휴대 시 항시 부피가 큰 전용물통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전용물통의 탈부착 시에 결합부재로 인한 물의 누수현상이 발생되며, 결합에 필요한 하우징 등의 유실로 인해 가습기를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습기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케이블로 인해 이동이 용이 하지 못한 불편함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습기로서, 상기 외부의 수원에서 물을 취수하여 무화하는 무화부와, 상기 무화부에서 무화된 물을 외부로 분무하는 분무부와, 상기 무화부 및 분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휴대용 가습기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를 제공한다.
상기 무화부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분무부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상기 무화부와 상기 분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에 전원의 차단 및 공급을 결정하는 온오프 스위치와 송풍팬의 분당 회전수를 조절하는 송풍팬 조절 스위치와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수를 조절하는 진동자 조절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직류 전원 커넥터와 범용 직렬 버스 전원 커넥터 및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와 외부 전원을 연결하며 상기 전원부와 연결 또는 단락되는 충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화부의 수분을 검출하는 수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센서의 수분 검출에 따라 상기 휴대용 가습기의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휴대용 가습기의 작동 여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 조절부는 내부 공간이 빈 부레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화부와 상기 분무부와 상기 부력 조절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분무부와 상기 부력 조절부를 수납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무화부를 수납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케이스는 중앙이 개구된 도넛형상이며, 상기 제 2 케이스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케이스의 중앙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부력 조절부는 중앙이 개구된 도넛형상이며 일부 영역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습기의 물통을 생략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의 범용 직렬 버스 단자를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개략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화부(100)와, 무화부(100)를 구동하는 구동부(200)와, 구동부(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300)와, 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무화부(100)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강제 이동시키는 분무부(500)와,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600)와, 전원부(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제어부(400)의 일부 영역과 무화부(100)와 구동부(200)와 부력 조절부(600) 및 분무부(500)를 수납하는 케이스(700)를 포함한다.
무화부(100)는 외부에 구비된 액체인 물을 입자화, 즉, 무화(霧化, atomization)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의 공급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하여 물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를 예시한다. 이때, 초음파 진동자는 초극미세홀이 형성되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며 생성되는 물 입자 알갱이를 작게 할 수 있는 초음파 진동자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본 실시예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초음파 방식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무화부(100)로 초음파 방식 대신 물을 가열하여 무화시키는 가열 방식 또는 가열되어 무화된 물을 진동자로 분무하는 복합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흡입된 물을 원심력으로 부딪히도록 하여 입자화하는 원심 분무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자는 통상적으로 평면도를 기준으로 원형의 진동자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된 외부 수원을 무화시킬 수 있다면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수분센서(800)는 외부 수원을 감지하여 휴대용 가습기를 온오프하기 위한 것 으로서, 외부 수원과 접하는 제 1 케이스(700a)의 하부에 구비된다. 물론, 수분센서(800)는 휴대용 가습기의 작동 시 외부 수원과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다면, 그 형성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수분센서(800)는 구동부(200)와 배선(802)에 의해 접속되어 케이스(700)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때, 도시된 도면에서는 수분센서(800)가 외부 수원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으나, 수분센서(800)는 무화부(100)가 부기된 방향으로 노출되어 무화부(100)에 수분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구동부(200)는 무화부(10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부(300)를 통해 인가된 외부 전원을 변환 및 제어하여 무화부(100)를 구동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200)는 인쇄 회로 기판과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부품을 포함하며,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에는 전원부(300)가 구비된다. 또한, 구동부(200)는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부품에 의해 무화부 구동부(200a)와 분무부 구동부(200b)와 센서 구동부(200c) 및 작동 확인부(200d)로 구분된다.
무화부 구동부(200a)는 무화부(100)를 직접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부(300)에서 공급된 전원을 무화부(100)가 원하는 전압 및 전류 형태로 변환하여 무화부(100)에 인가한다. 즉, 무화부 구동부(200a)는 제어부(400)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며, 제어부(400)에서 제어된 외부 전원을 기본으로 하고 이를 다시 조절하여 무화부(100)에 인가한다.
분무부 구동부(200b)는 분무부(500)를 직접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화부 구동부(200a)와 동일하게 전원부(300)에서 공급된 전원을 분무부(500)가 원 하는 전압 및 전류 형태로 변환하여 분무부(500)에 인가한다. 물론, 분무부 구동부(200b) 역시 제어부(400)에서 제어된 외부 전원을 기본으로 하고 이를 조절하여 분무부(500)에 인가한다.
센서 구동부(200c)는 수분센서(80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400)의 온오프 스위치(42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휴대용 가습기는 동작과 함께 외부 수원의 물을 무화시켜 다시 휴대용 가습기의 외부로 분무하므로, 센서 구동부(200c)는 휴대용 가습기의 가동과 함께 동작하여 무화부(100)에 물의 존재 유무를 판별한다. 또한, 센서 구동부(200c)는 무화부(100)에 수분이 있을 경우, 무화부(100)의 수분 유무에 대한 모니터링만 반복하며, 무화부(100)에 수분이 없을 경우, 휴대용 가습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때, 센서 구동부(200c)는 무화부(100)에 수분이 없을 경우, 휴대용 가습기의 동작을 완전히 정지시키거나 휴대용 가습기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무화부(100)에 수분이 검출될 때 휴대용 가습기를 재작동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센서 구동부(200c)는 무화부(100)에 물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는 수분 센서(410)를 구비하여 센서 구동부(200c)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수분 센서(410)는 무화부(100)의 내부 또는 무화부(100)와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수분의 정확한 검출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작동 확인부(200d)는 휴대용 가습기의 동작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 구동부(200c)와 동일하게 제어부(400)의 온오프 스위치(42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동 확인부(200d) 역시 휴대용 가습기의 동작과 함께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하므로, 작동 확인부(200d)는 휴대용 가습기의 가동과 함 께 가동된다. 물론, 작동 확인부(200d)에 의해 확인된 휴대용 가습기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광원(900),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광원(900)은 작동 확인부(200d)에 의해 제어되기 위해 작동 확인부(200d)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광원(900)에서 방출된 광은 외부에 출사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광원(900)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가습기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형태의 광원(900),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이 문자화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광원(9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여러 가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경우, 휴대용 가습기의 작동 여부와 무화부(100)의 수분 유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전원부(300)는 구동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전원부(300)로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 커넥터를 예시한다. 이러한, 전원 커넥터는 일단이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된 배선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타단은 외부 전원과 접속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전원 커넥터로 직류 전원 커넥터 및 범용 직렬 버스 전원 커넥터(universal serial bus, USB)를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의 전원부(3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구동부(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전원 커넥터라도 전원부(300)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는 전원부(300)로 휴대용 가습기 내부에 전 원, 예를 들어, 배터리(미도시)를 내장할 수도 있다. 물론, 배터리를 내장할 경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충전기(10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전기(1000)는 휴대용 가습기의 구동부(2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000)는 범용 직렬 버스 전원 커넥터와 연결될 수도 있다.
분무부(500)는 무화부(100)에 의해 무화된 물, 즉, 수증기를 휴대용 가습기의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팬을 포함한다. 송풍팬은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구동부(200)를 통해 인가받아 작동하며, 구동부(200)에 의해 제어된다. 물론, 송풍팬은 일면의 공기를 타면으로 강제 이동시키므로, 송풍팬은 무화부(100)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송풍팬의 일면의 공기와 함께 타면으로 강제 이동시켜 휴대용 가습기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분무부(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700b)에 구비되어 제 1 케이스(700a)의 측벽에 개구된 영역을 통해 제 1 케이스(700a) 내부, 즉, 수증기가 이동하는 통로에 바람을 불어넣는다. 물론,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분무부(500)는 제 1 케이스(700a)의 내부에 제 1 케이스(700)a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무부(500)는 하부에 구비된 무화부(100)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상부로 강제 배출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은 수분과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으므로, 송풍팬의 모터가 방수 처리되거나 송풍팬 전체가 방수 처리된 방수 송풍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화부(100) 자체만으로 수증기의 외부 배출이 가능할 경우 분무부(500)는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구동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선(402)에 의해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때, 스위치는 구동부(200)에 전원의 차단/공급을 결정하는 온오프 스위치(420)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풍팬의 분당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RPM)를 조절하는 송풍팬 조절 스위치(400a),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수를 조절하여 무화되는 수증기의 양을 조절하는 진동자 조절 스위치(400c)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는 인쇄 회로 기판과 배선(402)으로 접속되되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케이스(700)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때, 스위치는 휴대용 가습기가 외부 수원과 접하더라도 사용자가 작동할 수 있도록 휴대용 가습기의 상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제어부(400)가 배선(402)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400)는 구동부(200)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부력 조절부(600)는 휴대용 가습기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가습기의 무게 중심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케이스(700)의 내부 하부에 구비된다. 휴대용 가습기는 케이스(700)의 밀도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다면 휴대용 가습기는 외부의 수원 내에 일부 영역이 가라앉지 못하고 표면에 부상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습기에 부력 조절부(600)를 추가하여 부력 조절부(600)에 의해 휴대용 가습기의 하부 일부 영역이 외부의 수원 내에 가라앉도록 한다. 이때, 부력 조절부(600)는 부력을 더하기 위해 내부 공간에 비어 있는 구조물, 즉, 부레(air bladder)와 같은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케이스(700)의 밀도가 물보다 작을 경우 기체, 액체 및 고체와 같이 휴대용 가습기에 무게를 더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모든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휴대용 가습기에 무게를 더해야될 경우 기체와 액체보다 밀도가 높은 고체를 부력 조절부(60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고체 물질 중 부피는 작되 밀도가 높은 물질, 예를 들어, 청동 또는 납 등의 금속을 부력 조절부(600)로 사용하여 휴대용 가습기의 이동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부력 조절부(600)는 휴대용 가습기가 외부 수원에 하부 일부 영역이 외부 수원에 가라앉아 진동자가 외부 수원의 수중에 위치되며, 휴대용 가습기의 이동성이 저해되지 않을 정도의 무게를 갖는다. 한편, 도시된 도면에서는 부력 조절부(600)의 단면이 'ㄱ'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700)의 형상에 따라 부력 조절부(600)의 형상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케이스(700)는 휴대용 가습기의 부품을 보호하며 부력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중심 영역이 개구되어 도넛(doughnut)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케이스(700a)와, 제 1 케이스(700a)의 개구된 중심 영역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케이스(700b)를 포함한다.
제 1 케이스(700a)는 내부에 구동부(200)와 분무부(500) 및 부력 조절부(600)를 보호하고 수납하며 부력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계열 또는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휴대용 가습기의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케이스(700a)는 금속보다 밀도가 낮은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수지로 형성된 제 1 케이스(700a) 역시 외부에 마련된 수원보다 밀도가 낮다. 물론, 부력 조절부(600)를 부레형상으로 형성하여 부력 조절부(600)에 의해 충분한 부력을 가질 경우, 제 1 케이스(700a)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700a)는 분무부(500)와 부력 조절부(600)를 수납하는 제 1 영역(A)과 구동부(200)를 수납하는 제 2 영역(B)으로 구분된다. 이때, 휴대용 가습기는 구동부(200)와 접속된 전원부(300)가 수중에 잠기지 않도록 부력 조절부(600)를 수납하는 제 1 영역(A)은 구동부(200)를 수납하는 제 2 영역(B)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실시예는 제 1 케이스(700a)의 제 1 영역(A)이 제 2 영역(B)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영역(A)이 제 2 영역(B)의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1 케이스(700a)의 내부 영역을 분무부(500)와 부력 조절부(600)를 수납하는 제 1 영역(A)과 구동부(200)를 수납하는 제 2 영역(B)으로 구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케이스(700a)는 부품의 위치 및 구성의 변화에 따라 하나의 영역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케이스(700a)의 형상에 따라 부력 조절부(600) 역시 중앙이 개구되며 도넛형상이며 하부의 일부 영역이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케이스(700b)는 무화부(100)를 수납하며 입자화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케이스(700a)의 개구된 중심부에 위치된다. 제 2 케이스(700b)는 양방향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며, 개방된 일측은 외부 수원과 접촉되고 개방된 타측으로 무화된 수증기가 배출된다. 또한, 이를 위해 개방된 일측에는 무화부(100)가 구비되며, 무화부(100)가 위치된 제 2 케이스(700b)의 측벽에는 외부 수원에서 무화부(100)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의 홀(H)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케이스(700b)의 중공 영역, 즉, 수증기 이동로의 측벽에는 분무부(500)에서 이동되는 바람을 수용하기 위한 송풍구가 형성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가 제 2 케이스(700b)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케이스(700b)의 상부, 즉, 무화부(100)가 구비된 제 2 케이스(700b)의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에는 외부로 분무되는 수증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분무 방향 조절 캡(8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수조 등과 같은 용기(C)에 물(W)을 채워 외부 수원을 준비하고, 준비된 외부 수원에 휴대용 가습기를 부상시킨다. 이때, 휴대용 가습기는 부력 조절부(600)에 의해 부력이 조절되어 무화부(100)가 위치된 휴대용 가습기의 하부의 일부 영역이 물속에 가라앉게 된다. 이후, 온오프 스위치가 온(on)되어 있을 때, 수분 센서(410)가 외부 수원을 감지하게 되어 자동으로 동작하게 된다. 휴대용 가습기가 동작되면 휴대용 가습기의 하부에 위치된 무화부(100)가 무화부(100)에 유입된 물을 입자화시키며, 입자화된 물은 무화부(100)의 상부에 위치된 이동로를 통해 외부로 분무된다. 물론, 입자회된 수증기는 분무부(500)에 의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며, 온오프 스위치가 오프(off)되어 있을 경우, 수분 센서(410)의 외부 수원 감지 여부와 상관없이 휴대용 가습기는 동작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는 물통을 생략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는 컴퓨터의 범용 직렬 버스 단자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성을 극대 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개략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무화부 200: 구동부
300: 전원부 400: 배선
500: 분무부 600: 부력 조절부
700: 케이스 800: 분무 방향 조절 캡
900: 광원 1000: 충전기

Claims (12)

  1. 휴대용 가습기로서,
    외부의 수원에서 물을 취수하여 무화하는 무화부와,
    상기 무화부에서 무화된 물을 외부로 분무하는 분무부와,
    상기 무화부 및 상기 분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휴대용 가습기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와,
    상기 무화부와, 상기 분무부와, 상기 부력 조절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중앙이 개구된 도넛형상으로 상기 분무부와 상기 부력 조절부를 수납하는 제 1 케이스와,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케이스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무부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와 상기 분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변환 및 제어하여 상기 무화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대한 전원의 차단 및 공급을 결정하는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송풍팬의 분당 회전수를 조절하는 송풍팬 조절 스위치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수를 조절하는 진동자 조절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직류 전원 커넥터와 범용 직렬 버스 전원 커넥터 및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외부 전원을 연결하며 상기 전원부와 연결 또는 단락되는 충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의 수분을 검출하는 수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센서의 수분 검출에 따라 상기 휴대용 가습기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가습기의 작동 여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부는 내부 공간이 빈 부레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부는 중앙이 개구된 도넛형상이며 일부 영역이 내측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KR1020080072368A 2008-02-27 2008-07-24 휴대용 가습기 KR100990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003 2008-02-27
KR20080018003 2008-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674A KR20090092674A (ko) 2009-09-01
KR100990236B1 true KR100990236B1 (ko) 2010-10-29

Family

ID=4130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368A KR100990236B1 (ko) 2008-02-27 2008-07-24 휴대용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23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42Y1 (ko) 2010-11-19 2012-12-14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휴대용 가습기
KR101389598B1 (ko) 2012-09-05 2014-05-27 이승현 퍼스널 가습기
WO2014081069A1 (ko) * 2012-11-26 2014-05-30 Seo Dongjin 부유식 가습기
KR200474827Y1 (ko) 2013-09-26 2014-10-15 서동진 다각의 부유판이 구비되는 부유식 가습기
KR200476635Y1 (ko) 2013-09-26 2015-03-16 서동진 비대칭 부유판이 구비되는 부유식 가습기
KR200476638Y1 (ko) 2014-10-22 2015-03-17 서동진 비대칭 부유판이 구비되는 부유식 가습기
KR20150090843A (ko) * 2014-01-29 2015-08-06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WO2016080779A1 (ko) * 2014-11-21 2016-05-26 서동진 초음파 가습기
WO2016080780A1 (ko) * 2014-11-21 2016-05-26 서동진 초음파 가습기
WO2016117742A1 (ko) * 2015-01-21 2016-07-28 주식회사 케이피씨 부유식 가습기
WO2020182242A1 (de) * 2019-03-08 2020-09-17 Pro Place Gesellschaft Für Einrichtung Von Gesundheitsdienstleistern Mit Beschränkter Haftung Inhalationsgerät mit einem vernebler und einem wassertan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236B1 (ko) * 2012-06-28 2014-05-19 (주)네오티즌 무선 초음파 가습기
KR101374967B1 (ko) 2013-07-15 2014-03-17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KR20160061012A (ko) * 2014-11-21 2016-05-31 주식회사 미로 수중 부유식 가습기
KR101716749B1 (ko) * 2015-08-12 2017-03-15 손승호 천연방향수를 이용한 아로마테라피형 가습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60Y1 (ko) 2000-03-24 2000-08-16 강석령 외부의 수원을 이용하는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60Y1 (ko) 2000-03-24 2000-08-16 강석령 외부의 수원을 이용하는 가습기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42Y1 (ko) 2010-11-19 2012-12-14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휴대용 가습기
KR101389598B1 (ko) 2012-09-05 2014-05-27 이승현 퍼스널 가습기
WO2014081069A1 (ko) * 2012-11-26 2014-05-30 Seo Dongjin 부유식 가습기
KR200474827Y1 (ko) 2013-09-26 2014-10-15 서동진 다각의 부유판이 구비되는 부유식 가습기
KR200476635Y1 (ko) 2013-09-26 2015-03-16 서동진 비대칭 부유판이 구비되는 부유식 가습기
KR20150090843A (ko) * 2014-01-29 2015-08-06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KR101655301B1 (ko) * 2014-01-29 2016-09-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부유식 가습기
KR200476638Y1 (ko) 2014-10-22 2015-03-17 서동진 비대칭 부유판이 구비되는 부유식 가습기
KR20160061011A (ko) * 2014-11-21 2016-05-31 서동진 초음파 가습기
KR20160061010A (ko) * 2014-11-21 2016-05-31 서동진 초음파 가습기
WO2016080780A1 (ko) * 2014-11-21 2016-05-26 서동진 초음파 가습기
WO2016080779A1 (ko) * 2014-11-21 2016-05-26 서동진 초음파 가습기
KR101655300B1 (ko) * 2014-11-21 2016-09-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초음파 가습기
KR101660869B1 (ko) * 2014-11-21 2016-09-2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초음파 가습기
WO2016117742A1 (ko) * 2015-01-21 2016-07-28 주식회사 케이피씨 부유식 가습기
WO2016117743A1 (ko) * 2015-01-21 2016-07-28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CN107208911A (zh) * 2015-01-21 2017-09-26 英迪股份有限公司 悬浮式加湿器
JP2018503791A (ja) * 2015-01-21 2018-02-08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ディスカバリ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浮体式加湿器
US10330332B2 (en) 2015-01-21 2019-06-25 Miro Co. Ltd. Floating-type humidifier
WO2020182242A1 (de) * 2019-03-08 2020-09-17 Pro Place Gesellschaft Für Einrichtung Von Gesundheitsdienstleistern Mit Beschränkter Haftung Inhalationsgerät mit einem vernebler und einem wasser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674A (ko)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236B1 (ko) 휴대용 가습기
KR101660868B1 (ko) 초음파 가습기
KR101175928B1 (ko) 부표를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
WO2010021462A9 (ko) 방향기능이 겸비된 세척이 간편한 초음파 가습기
KR100807726B1 (ko) 미세공판을 이용한 부표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US20050116059A1 (en) Supersonic atomizer for water-soluble essential oil
KR101655300B1 (ko) 초음파 가습기
JP2011075196A (ja) ミスト生成器
KR20080107979A (ko) 조명 달린 초미립자 분무기
KR101660869B1 (ko) 초음파 가습기
JP2011136636A (ja) ミスト生成器
JP7383518B2 (ja) 加湿器
JP6117153B2 (ja) 霧化溶剤吐出装置
KR102575865B1 (ko) 무선 가습기 세트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29988B1 (ko) 무선 가습기 세트
JP2016034333A (ja) 霧化溶剤吐出装置
KR200430954Y1 (ko) 미세공판을 이용한 부표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CN213687191U (zh) 一种香薰装置
JP2011208844A (ja) ミスト生成器
KR100473181B1 (ko) 가습기의 물교환시기 알림장치
JP7185972B1 (ja) 噴霧装置
CN220103312U (zh) 一种能够均匀加湿的加湿器
KR20180076256A (ko) 무선 가습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가습기 세트
JPH0910643A (ja) 超音波霧化装置
KR0126839Y1 (ko) 가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