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011A - 초음파 가습기 - Google Patents

초음파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011A
KR20160061011A KR1020140163355A KR20140163355A KR20160061011A KR 20160061011 A KR20160061011 A KR 20160061011A KR 1020140163355 A KR1020140163355 A KR 1020140163355A KR 20140163355 A KR20140163355 A KR 20140163355A KR 20160061011 A KR20160061011 A KR 2016006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ying
water
ultrasonic
fan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300B1 (ko
Inventor
서동진
Original Assignee
서동진
김민석
오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진, 김민석, 오용주 filed Critical 서동진
Priority to KR102014016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300B1/ko
Priority to PCT/KR2015/012465 priority patent/WO2016080780A1/ko
Priority to CN201580063307.9A priority patent/CN107003023A/zh
Publication of KR2016006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는 물을 수용하는 수조의 수용 공간 내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물에 잠긴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물 유입 관로; 상기 물 유입 관로 내부에 잠수식으로 부유하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습 입자를 생성하는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 및 상기 물 유입 관로의 상부 개방면에 설치되며, 상기 물 유입 관로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외부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가습 배출 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음파 가습기{ULTRASONIC HUMIDIFI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세척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초음파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건조한 실내에 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습기는 가습방식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식 가습기와, 히터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와, 대류 방식의 기화식 가습기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중, 초음파 가습기는 수조 내에 설치된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해 물을 미세한 물방울로 변화시킨 후, 송풍 팬 등을 이용해 미세한 물방울을 무화 상태로 분무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초음파 가습기는 물통을 뒤집어서 장착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내부를 제대로 세척할 수 없으며, 이에 따른 세균 문제로 인하여 가습기 살균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습기의 내부 세척이 편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세균 걱정 없이 완벽한 세척과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초음파 가습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5887호(2012년 06월 2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초음파 가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이 수용된 물통 내부에 초음파 가습 모듈이 잠수식으로 부유된 상태에서 초음파 가습을 통해 가습 입자를 만들어 외부로 직/간접적으로 배출함으로써, 효율적인 세척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초음파 가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는 물을 수용하는 수조의 수용 공간 내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물에 잠긴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물 유입 관로; 상기 물 유입 관로 내부에 잠수식으로 부유하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습 입자를 생성하는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 및 상기 물 유입 관로의 상부 개방면에 설치되며, 상기 물 유입 관로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외부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가습 배출 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는 물을 수용하는 수조의 수용 공간 내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물에 잠긴 일부에 해당하는 하부에는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가습 배출을 위한 가습 배출구를 구비하는 물 유입 관로; 상기 물 유입 관로 내부에 잠수식으로 부유하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습 입자를 생성하는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 및 상기 물 유입 관로에 구비된 상기 가습 배출구의 일측 끝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가습 배출구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외부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가습 배출 팬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 배출구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상기 물 유입 관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물 유입 관로는 상기 가습 배출구와 연통하는 물빠짐 통로로서, 상기 가습 배출구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가습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을 내부로 흘러내리게 유도하는 물빠짐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 배출 팬은 상기 가습 입자를 직접적으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가습 배출구의 양측 끝부분 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일측 끝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가습 배출구 내부의 공기가 팬을 통해 흡입되도록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상기 팬을 통해 직접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습 배출 팬은 상기 가습 입자를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가습 배출구의 양측 끝부분 중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일측 끝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가습 배출구 내부의 공기가 팬을 통해 배기되도록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상기 팬을 통해 간접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습 배출 팬은 코팅을 통하여 방수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은 상기 수조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물의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은 상기 수조 또는 상기 물에 부유하는 부유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일정한 깊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은 상기 물 유입 관로의 외부에서 무선으로 가습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리모컨 또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외부 조절기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원격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가습량 제어 또는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물 유입 관로는 원형, 삼각, 사각,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수용된 물통 내부에 초음파 가습 모듈이 잠수식으로 부유된 상태에서 초음파 가습을 통해 가습 입자를 만들어 외부로 직/간접적으로 배출함으로써, 효율적인 세척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을 이용한 간접 토출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미세한 가습 입자만을 배출하여 가습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팬의 내구성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100)는 수조(110), 물 유입 관로(120),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 및 가습 배출 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0)는 가습을 발생시킬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 공간의 크기는 후술할 물 유입 관로(120)가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어떤 종류도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수조(110)는 내부의 수용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구조로 디자인 되므로, 외부의 충격에도 잘 넘어지지 않아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조(110)는 그 단면이 사각형인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유입 관로(120)는 물을 수용하는 상기 수조(110)의 수용 공간 내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물 유입 관로(120)는 그 하부에 유입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22)는 물의 유입을 위한 구멍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물 유입 관로(120)의 하부 중 물에 잠긴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122)는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물 유입 관로(120)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삼각, 사각,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물 유입 관로(120)는 상기 수조(110) 내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과의 체결을 통해 상기 수조(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달리, 상기 물 유입 관로(120)는 상기 수조(110) 내부의 바닥면과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물 유입 관로(120)는 후술할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의 크기에 따라서 그 직경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물 유입 관로(120)는 가습 배출량에 따라서 5 ~ 10cm 사이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은 상기 수조(110)에 수용된 물에 잠수식으로 부유하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습 입자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은 상기 수조(110)에 수용된 물의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습 입자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은 일체로 형성된 부유체를 통해 일정한 깊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습 입자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또 달리 상기 수조(110) 또는 물에 부유하는 부유체 중 적어도 하나와 브릿지(bridge)를 통해 연결되어 일정한 깊이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릿지는 플렉시블한 라인 형태, 고정된 라인 형태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은 상기 수조(110)에 수용된 물이 줄어들면 상기 물 유입 관로(120) 내에서 아래쪽으로 내려가 위치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수조(110)에 수용된 물이 늘어나게 되면(물 보충) 상기 물 유입 관로(120) 내에서 위쪽으로 올라가 위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도 2는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은 부력체(210), 초음파 진동부(220), 감지 센서(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210)는 수중에 부유할 수 있도록 일정 부력을 가지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수조(110)에 수용된 물에 잠수식으로 부유한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210)는 도 2에서처럼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210)는 그 상면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홈(2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홈(212)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홈(212)은 도 2에서는 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부력체(210)는 물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도록 그 비중이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체(210)는 그 상면이 수면으로부터 2~3cm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210)는 두께 내에 부력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공간부(2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214)는 개수 및 내부 단면적 조절을 통해 상기 부력체(210)의 부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체(210)의 위치 조절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부력체(210)는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부력체(210)는 합성수지, 스티로폼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진동부(220)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부력체(210)에 구비된 유입홈(212)의 하부 바닥면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진동부(220)는 케이블(201)을 통해 외부(콘센트 등의 전력 공급원(202))로부터 전력 전달 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상기 유입홈(212)에 유입된 물을 무화(atomization)시킨다. 참고로, 상기 케이블(201)은 일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 일단이 상기 부력체(210)의 상면 테두리 부위를 통해 상기 초음파 진동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음파 진동부(220)는 진동판(222) 및 진동자(2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판(222)은 상기 유입홈(212)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자(224)는 상기 진동판(222)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세라믹 소재 등을 이용해 원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자(224)는 상기 진동판(222)의 초음파 진동에 의해 진동되어, 상기 유입홈(212) 내의 물을 상부로 무화시키며, 이때 무화된 수분 입자(가습 입자)는 수면을 통해 상향 분무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230)는 상기 부력체(2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부력체(210)의 상면으로 물이 차오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센서(230)는 상기 부력체(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부력체(210)의 상면을 따라 상기 유입홈(212)의 입구 부위로 이동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물이 감지된 경우, 상기 감지 센서(230)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감지 센서(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 센서(230)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진동판(222)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4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판(222)의 구동 강도를 가변시켜, 상기 초음파 진동부(220)의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40)에는 전원 온(ON)/오프(OFF), 무화량, 타이머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으며, 현재 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미도시)가 더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은 상기 수조(110)의 외부에서 무선으로 가습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모듈(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410)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모듈(410)은 리모컨(420), 휴대 단말기(430) 등의 외부 조절기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410)은 상기 수신된 원격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가습량 제어, 무선 전력 전송 등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가습 배출 팬(140)은 상기 물 유입 관로(120)의 상부 개방면에 설치된다. 상기 가습 배출 팬(140)은 상기 물 유입 관로(120)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외부로 직접적으로 배출한다.
상기 가습 배출 팬(140)을 통해 상기 가습 입자를 직접적으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가습 입자를 더 많이 배출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초음파 가습기(100)의 사이즈를 작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가습 배출 팬(140)은 상기 수조(110)의 내부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따른 고장 등에 대비할 수 있도록 방수 소재의 코팅 등을 통해 방수 처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500)는 수조(510), 물 유입 관로(520),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530), 및 가습 배출 팬(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510)는 가습을 발생시킬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 공간의 크기는 후술할 물 유입 관로(520)가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어떤 종류도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수조(510)는 내부의 수용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구조로 디자인 되므로, 외부의 충격에도 잘 넘어지지 않아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조(5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조(510)는 그 단면이 사각형인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유입 관로(520)는 물을 수용하는 상기 수조(510)의 수용 공간 내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물 유입 관로(5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삼각, 사각,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물 유입 관로(520)는 상기 수조(510) 내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과의 체결을 통해 상기 수조(5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달리, 상기 물 유입 관로(520)는 상기 수조(510) 내부의 바닥면과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물 유입 관로(520)는 유입구(522), 가습 배출구(524), 및 물빠짐 구멍(52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522)는 물의 유입을 위한 구멍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물 유입 관로(520)의 하부 중 물에 잠긴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522)는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습 배출구(524)는 상기 가습 입자의 배출을 위한 통로로서, 그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 배출구(524)는 상기 물 유입 관로(52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빠짐 구멍(526)은 상기 가습 배출구(524)와 연통하는 물빠짐 통로로서, 상기 가습 배출구(524)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가습 배출구(5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수조(510)의 내부로 흘러내리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물 유입 관로(520)는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530)의 크기에 따라서 그 직경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물 유입 관로(520)는 가습 배출량에 따라서 5 ~ 10cm 사이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130)은 상기 수조(510)에 수용된 물에 잠수식으로 부유하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습 입자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530)은 상기 수조(510)에 수용된 물의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습 입자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530)은 상기 수조(510)에 수용된 물이 줄어들면 상기 물 유입 관로(520) 내에서 아래쪽으로 내려가 위치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수조(510)에 수용된 물이 늘어나게 되면(물 보충) 상기 물 유입 관로(520) 내에서 위쪽으로 올라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습 배출 팬(540)은 상기 물 유입 관로(520)에 구비된 상기 가습 배출구(524)의 일측 끝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가습 배출구(524)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외부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습 배출 팬(140)은 배출 방식에 따라 그 설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습 입자를 직접적으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가습 배출 팬(5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 배출구(524)의 양측 끝부분 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일측 끝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배출 팬(540)은 상기 가습 배출구(524) 내부의 공기가 팬을 통해 흡입되도록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상기 팬을 통해 직접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습 배출 팬(540)을 통해 상기 가습 입자를 직접적으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가습 입자를 더 많이 배출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초음파 가습기(500)의 사이즈를 작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습 입자를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가습 배출 팬(5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 배출구(524)의 양측 끝부분 중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일측 끝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배출 팬(540)은 상기 가습 배출구(524) 내부의 공기가 팬을 통해 배기되도록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상기 팬을 통해 간접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습 배출 팬(540)을 통해 상기 가습 입자를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경우, 미세한 가습 입자를 많이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습 배출 팬(540)의 방수 성능에 무리를 주지 않아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 배출 팬(540)은 상기 수조(510)의 내부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따른 고장 등에 대비할 수 있도록 방수 소재의 코팅 등을 통해 방수 처리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510: 수조
120, 520: 물 유입 관로
122, 522: 유입구
124, 524: 가습 배출구
126, 526: 물빠짐 구멍
130, 530: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
140, 540: 가습 배출 팬
201: 케이블
202: 전원 공급원
210: 부력체
212: 유입홈
214: 공간부
220: 초음파 진동부
222: 진동판
224: 진동자
230: 감지 센서
240: 제어부
410: 무선 통신 모듈
420: 리모콘
430: 휴대 단말기

Claims (12)

  1. 물을 수용하는 수조의 수용 공간 내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물에 잠긴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물 유입 관로;
    상기 물 유입 관로 내부에 잠수식으로 부유하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습 입자를 생성하는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 및
    상기 물 유입 관로의 상부 개방면에 설치되며, 상기 물 유입 관로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외부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가습 배출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2. 물을 수용하는 수조의 수용 공간 내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물에 잠긴 일부에 해당하는 하부에는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가습 배출을 위한 가습 배출구를 구비하는 물 유입 관로;
    상기 물 유입 관로 내부에 잠수식으로 부유하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습 입자를 생성하는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 및
    상기 물 유입 관로에 구비된 상기 가습 배출구의 일측 끝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가습 배출구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외부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가습 배출 팬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 배출구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상기 물 유입 관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 관로는
    상기 가습 배출구와 연통하는 물빠짐 통로로서, 상기 가습 배출구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가습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을 내부로 흘러내리게 유도하는 물빠짐 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배출 팬은
    상기 가습 입자를 직접적으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가습 배출구의 양측 끝부분 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일측 끝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가습 배출구 내부의 공기가 팬을 통해 흡입되도록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상기 팬을 통해 직접적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배출 팬은
    상기 가습 입자를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가습 배출구의 양측 끝부분 중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일측 끝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가습 배출구 내부의 공기가 팬을 통해 배기되도록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가습 입자를 상기 팬을 통해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배출 팬은
    코팅을 통하여 방수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은
    상기 수조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물의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은
    상기 수조 또는 상기 물에 부유하는 부유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은
    상기 물 유입 관로의 외부에서 무선으로 가습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가습 발생 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리모컨 또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외부 조절기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원격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가습량 제어 또는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 관로는
    원형, 삼각, 사각,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KR1020140163355A 2014-11-21 2014-11-21 초음파 가습기 KR101655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355A KR101655300B1 (ko) 2014-11-21 2014-11-21 초음파 가습기
PCT/KR2015/012465 WO2016080780A1 (ko) 2014-11-21 2015-11-19 초음파 가습기
CN201580063307.9A CN107003023A (zh) 2014-11-21 2015-11-19 超声波加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355A KR101655300B1 (ko) 2014-11-21 2014-11-21 초음파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011A true KR20160061011A (ko) 2016-05-31
KR101655300B1 KR101655300B1 (ko) 2016-09-07

Family

ID=5601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355A KR101655300B1 (ko) 2014-11-21 2014-11-21 초음파 가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55300B1 (ko)
CN (1) CN107003023A (ko)
WO (1) WO20160807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0677A (zh) * 2017-03-28 2019-11-29 皇家飞利浦有限公司 通过营养限制预防加湿器中的微生物生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839B1 (ko) * 2018-10-22 2020-11-13 강민규 필터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소형 가습기
KR102425549B1 (ko) 2020-08-07 2022-08-01 주식회사 미로 부유식 가습기의 부유체 결합구조
KR20220018767A (ko) 2020-08-07 2022-0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940A (ko) * 2009-01-19 2010-07-28 박수열 초음파발생기 및 수위감지부력장치 일체형 가습기 뚜껑
KR100990236B1 (ko) * 2008-02-27 2010-10-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가습기
KR20110066067A (ko) * 2009-12-10 2011-06-16 김나영 초음파 가습기에 사용되는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
JP2011237161A (ja) * 2010-05-12 2011-11-24 Bk World Co Ltd 加湿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1556A (en) * 1963-12-26 1966-05-17 Bete Fog Nozzle Inc Humidifier nozzle
JPH07208776A (ja) * 1994-01-13 1995-08-11 Mitsubishi Rayon Co Ltd 超音波加湿器
KR101392236B1 (ko) * 2012-06-28 2014-05-19 (주)네오티즌 무선 초음파 가습기
CN102989624B (zh) * 2012-11-05 2017-06-27 杨义根 雾化装置及超声波加湿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36B1 (ko) * 2008-02-27 2010-10-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가습기
KR20100084940A (ko) * 2009-01-19 2010-07-28 박수열 초음파발생기 및 수위감지부력장치 일체형 가습기 뚜껑
KR20110066067A (ko) * 2009-12-10 2011-06-16 김나영 초음파 가습기에 사용되는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
JP2011237161A (ja) * 2010-05-12 2011-11-24 Bk World Co Ltd 加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0677A (zh) * 2017-03-28 2019-11-29 皇家飞利浦有限公司 通过营养限制预防加湿器中的微生物生长
US11686481B2 (en) 2017-03-28 2023-06-27 Koninklijke Philips N.V. Prevention of microbial growth in a humidifier through nutrient limi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3023A (zh) 2017-08-01
KR101655300B1 (ko) 2016-09-07
WO2016080780A1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868B1 (ko) 초음파 가습기
KR101804436B1 (ko) 수직형 전력 전송 방식을 이용한 부유식 가습기
KR101655300B1 (ko) 초음파 가습기
EP3022496B1 (en) Floating type humidifier
JP6584644B2 (ja) 超粒子噴霧装置
KR101175928B1 (ko) 부표를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
KR20160061012A (ko) 수중 부유식 가습기
JPH09119685A (ja) ヒータ式超音波加湿器
KR101392236B1 (ko) 무선 초음파 가습기
JP3658669B2 (ja) 加湿器及び加湿器用シール部材
KR101660869B1 (ko) 초음파 가습기
JP2011237161A (ja) 加湿器
KR101306631B1 (ko) 가습기
KR101697714B1 (ko) 부유 가습기
KR200476638Y1 (ko) 비대칭 부유판이 구비되는 부유식 가습기
JP7383518B2 (ja) 加湿器
KR200430954Y1 (ko) 미세공판을 이용한 부표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CN114502889A (zh) 可生成紫外线的漂浮式超声波加湿器
KR102627909B1 (ko) 농업용 가습 연무장치
KR101751896B1 (ko) 초음파 가습기
KR20160072780A (ko) 가습 입자의 방향성을 위한 부유식 초음파 가습기
KR0132532Y1 (ko) 가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JP3148436U (ja) 振動子上のスケールの析出を防止することができる超音波加湿装置
KR20110125028A (ko) 가습기
JP2000130804A (ja) 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