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142Y1 - 휴대용 가습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142Y1
KR200464142Y1 KR2020100011954U KR20100011954U KR200464142Y1 KR 200464142 Y1 KR200464142 Y1 KR 200464142Y1 KR 2020100011954 U KR2020100011954 U KR 2020100011954U KR 20100011954 U KR20100011954 U KR 20100011954U KR 200464142 Y1 KR200464142 Y1 KR 200464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water supply
space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735U (ko
Inventor
한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2020100011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14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1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Abstract

본 고안의 휴대용 가습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로부터 상부로 개방되는 덕트와, 측면에 급수를 위한 급수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켜 상기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진동자가 구비되는 진동부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분리시켜 상기 본체의 측면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진동부로 공급하기 위해 측면에 상기 급수구에 삽입되는 급수관이 구비되는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습기{Portable humidifier}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피가 작아 휴대의 용이성이 있어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습이 필요한 환경 어디에서도 가습을 실현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도 단순하여 제품의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무화 입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내의 건조해진 공기가 인체의 호흡기로 들어옴에 따른 호흡기질환이나, 건조한 공기에 의한 피부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내부에 수조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물탱크와, 상기 수조부에 구비되어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키기 위해 진동자가 구비되는 분무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부로 에어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습기는 본체와 물탱크 및 수조부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가습이 필요한 환경에 설치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부피가 크기 때문에 개인이 휴대하면서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381874호에서는 휴대용 가습장치에 대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물이 수용되어 그 물을 상부로 유동시키는 흡입필터가 설치되는 물통에서 유입된 물을 입자화시키는 진동자와 진동자를 수용하고 송풍팬이 구비된 본체케이스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와,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진동자와, 상기 음이온발생기에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분배하는 회로기판과 음이온발생기를 수용하는 커버 및, 상기 진동자와 상기 음이온발생기의 작동상태를 확인시켜주는 작동 확인용 램프(LED)가 설치된 커버 캡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휴대용 가습기는 휴대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구조이기는 하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부품 수가 많고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습시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을 분리시켜 본체의 일측에서 수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휴대시에는 본체에 캡을 결합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의 용이성을 제공하는데 그 첫 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송풍팬과 진동부가 설치되는 본체와 캡의 결합 및 분리 구조만을 이용해 가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단순하여 부품 수가 적어 제작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두 번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휴대용 가습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로부터 상부로 개방되는 덕트와, 측면에 급수를 위한 급수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켜 상기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진동자가 구비되는 진동부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분리시켜 상기 본체의 측면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진동부로 공급하기 위해 측면에 상기 급수구에 결합되는 급수관이 구비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공간부는, 제1격벽을 중심으로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덕트는, 상기 하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격벽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캡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부는, 상부에 무화된 물 입자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급수구가 위치되는 제1수조 및, 상기 제1수조 내에 설치되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측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송풍팬과 반대되는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무화된 물 입자를 상향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구와 상기 급수관의 결합 면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링 형상의 패킹링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진동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USB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은, 상기 본체의 상단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결합단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단의 상측에는, 역방향으로 배치시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 벽면에 상기 급수관이 위치되는 제2수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단과 상기 제2수조의 사이에는, 제2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제2격벽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습시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을 분리시켜 본체의 일측에서 물을 공급하는 수조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휴대시에는 본체에 캡을 결합시켜 부피를 줄임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원이 공급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부품 수를 줄여 제작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의 본체와 캡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의 본체와 캡이 분리된 상태에서 가습이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100)는, 공간부(210)를 형성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부(300)와 송풍팬(400)과, 상기 본체(2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캡(500)이 포함된다.
먼저, 상기 본체(200)는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10)로부터 상부로 개방되는 덕트(230)와, 측면에 급수를 위한 급수구(240)가 측방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00)이 설치된 본체(200)의 일측에는, 공기가 흡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기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200)의 공간부(210)는 제1격벽(220)을 중심으로 상부공간(211)과 하부공간(212)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덕트(230)는 하부공간(212)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격벽(220)의 상부로 연장되어 캡(50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덕트(230)는 진동부로부터 무화된 물 입자를 상부로 안내하면서 본체(2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부(300)는, 본체(200)의 공간부(210)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구(24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켜 상기 덕트(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진동부(300)는 상부에 무화된 물 입자를 외부로 상향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311)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급수구(240)가 위치되는 제1수조(310) 및, 상기 제1수조(310) 내에 설치되는 진동자(320)를 포함한다.
송풍팬(400)은, 본체(200)의 공간부(2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300)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것으로, 본체(200)의 공간부(210) 일측에 설치되어 측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며, 진동부(300)는 송풍팬(400)과 반대되는 상기 공간부(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230)를 통해 무화된 물 입자를 상향 배출시킨다.
캡(500)은, 본체(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분리시켜 본체(200)의 측면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진동부(300)로 공급하기 위해 측면에 상기 급수구(240)에 삽입되는 급수관(540)이 구비되는 캡(500)을 포함한다.
급수구(240)와 급수관(540)의 결합 면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링 형상의 패킹링(6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킹링(600)은 고무,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체(200)에는, 송풍팬(400)과 진동부(3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USB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휴대용 가습기는 용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캡(500)은, 본체(200)의 상단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결합단(510)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200)의 상단이 결합단(510)이 안착되는 결합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결합단(510)의 내부와 본체(200)의 상단 외주측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510)의 상측에는 역방향으로 배치시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 벽면에 전술한 급수관(540)이 제2수조(530)가 형성된다. 결합단(510)과 제2수조(530)의 사이에는, 제2격벽(520)이 구비되며, 상기 제2격벽(52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홀(521)이 형성된다.
즉, 본체(200)로부터 캡(500)을 분리시킨 후에, 본체(200)의 일측에 역방향으로 뒤집은 캡(500)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캡(500)의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급수관(540)을 본체(200)의 급수구(240)를 통해 삽입한다.
이후, 캡(500)의 상부를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면, 공급홀(521)을 통해 제2수조(530)로 물이 수용된다. 이때, 제2수조(530)에 수용되는 물은 급수관(540)과 급수구(240)를 통해 진동부의 제1수조(310)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1수조(310)로 공급되는 물은 진동자의 동작에 의해 무화되면서 물 입자가 배출홀(311)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홀(311)을 통해 배출되는 물 입자는 상부에 구비되는 덕트를 따라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가습시 본체(2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500)을 분리시켜 본체(200)의 일측에서 물을 공급하는 수조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휴대시에는 본체(200)에 캡(500)을 결합시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원이 공급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작의 용이성과 제작단가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100)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가습기 200: 본체
210: 공간부 211: 상부공간
212: 하부공간 220: 제1격벽
230: 덕트 240: 급수구
300: 진동부 310: 제1수조
311: 배출홀 320: 진동자
400: 송풍팬 500: 캡
510: 결합단 520: 제2격벽
521: 공급홀 530: 제2수조
540: 급수관 600: 패킹링

Claims (8)

  1. 내부에 공간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10)로부터 상부로 개방되는 덕트(230)와, 측면에 급수를 위한 급수구(240)가 형성되는 본체(200); 상기 본체(200)의 공간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구(24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켜 상기 덕트(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진동자(320)가 구비되는 진동부(300); 상기 본체(200)의 공간부(210)내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300)의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400); 및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분리시켜 상기 본체(200)의 측면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진동부(300)로 공급하기 위해 측면에 상기 급수구(240)에 삽입되는 급수관(540)이 구비되는 캡(500);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캡(500)은 상기 본체(200)의 상단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결합단(510)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단(510)의 상측에는 역방향으로 배치시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 벽면에 상기 급수관(540)이 위치되는 제2수조(5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의 공간부(210)는, 제1격벽(220)을 중심으로 상부공간(211)과 하부공간(212)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덕트(230)는, 상기 하부공간(212)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격벽(22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캡(50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300)는, 상부에 무화된 물 입자를 상향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311)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급수구(240)가 위치되는 제1수조(310); 및
    상기 제1수조(310) 내에 설치되는 진동자(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400)은, 상기 공간부(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측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며,
    상기 진동부(300)는, 상기 송풍팬(400)과 반대되는 상기 공간부(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230)를 통해 무화된 물 입자를 상향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240)와 상기 급수관(540)의 결합면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링 형상의 패킹링(6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에는, 상기 송풍팬(400)과 상기 진동부(3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USB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510)과 상기 제2수조(530)의 사이에는 제2격벽(520)이 구비되며, 상기 제2격벽(52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홀(5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KR2020100011954U 2010-11-19 2010-11-19 휴대용 가습기 KR200464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54U KR200464142Y1 (ko) 2010-11-19 2010-11-19 휴대용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54U KR200464142Y1 (ko) 2010-11-19 2010-11-19 휴대용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35U KR20120003735U (ko) 2012-05-30
KR200464142Y1 true KR200464142Y1 (ko) 2012-12-14

Family

ID=4661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954U KR200464142Y1 (ko) 2010-11-19 2010-11-19 휴대용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1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624809U (zh) * 2019-07-16 2020-05-26 佛山市顺德区德尔玛电器有限公司 一种折叠加湿器水箱底部安装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36B1 (ko) 2008-02-27 2010-10-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36B1 (ko) 2008-02-27 2010-10-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35U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7774A1 (en) Portable humidifier
CN104019515B (zh) 一种加湿器
KR200481923Y1 (ko) 초음파 가습기에 응용하는 에어 덕트 구조
KR200464142Y1 (ko) 휴대용 가습기
WO2019111814A1 (ja) 液体微細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換気装置、空気清浄機、空気調和機
CN207179985U (zh) 一种加湿器
CN204165176U (zh) 一种聚能型超声波加湿器
CN205939526U (zh) 室内除尘加湿器
KR200483926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KR20140003394U (ko)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WO2017063257A1 (zh) 一种用于超声波加湿器的风道结构
CN201281418Y (zh) 一种加湿机
CN210241778U (zh) 一种空调加湿器
CN107255359A (zh) 一种加湿器
KR20180072236A (ko) 수조통과 가습조가 일체형 구조를 갖는 가습기
CN220103312U (zh) 一种能够均匀加湿的加湿器
KR200400304Y1 (ko) 미세분무부재를 가지는 가습기
KR20170078144A (ko) 가습장치
CN203375590U (zh) 一种具有加湿空气功能的空调
CN217876256U (zh) 一种加湿器
CN218565628U (zh) 一种可形成火焰喷雾效果的香薰加湿器
CN217109853U (zh) 一种用于空气净化器的加湿模块
CN220213503U (zh) 一种模拟火焰氛围的香薰机
CN214370710U (zh) 一种便携式加湿器
CN218925015U (zh) 一种液体雾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