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94U -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 Google Patents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94U
KR20140003394U KR2020120011022U KR20120011022U KR20140003394U KR 20140003394 U KR20140003394 U KR 20140003394U KR 2020120011022 U KR2020120011022 U KR 2020120011022U KR 20120011022 U KR20120011022 U KR 20120011022U KR 20140003394 U KR20140003394 U KR 201400033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humidifying
compression filter
rubber pack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혜숙
Original Assignee
설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혜숙 filed Critical 설혜숙
Priority to KR2020120011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394U/ko
Publication of KR20140003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습몸체와
상기 가습몸체의 하부 내주면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급수용기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로는 고무패킹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킹의 중심에는 상기 급수용기로 연결, 침수되어 수분을 흡수, 공급하도록 하는 압축필터와 상기 가습몸체의 최상측에는 가습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습 배출구와 상기 가습몸체의 일측부에는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와 상기 제어버튼부를 통해 상기 가습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가습기 휴대의 간편함, 필터 교체의 용이함으로 인하여 사용 및 휴대의 간편, 제품의 장기적인 수명을 도모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Humidifier having Compression Filter}
본 고안은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 급수탱크없이도 언제 어디서든지 일정한 량의 물이 있는 급수용기만 갖추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겨울철과 같이 공기가 건조한 경우, 공기 중에 무화상태의 가습공기를 살포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물에 진동을 가하여서 무화시키고 무화된 수분이 함유된 가습공기를 바람으로 불어서 외부로 배출시켜서 공기 중에 살포, 가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습기는 급수를 위한 별도의 급수탱크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며 제조원가의 상승을 불러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공개 제2009-0092928호에서는 급수탱크를 구비하지 않는 꽂이형 가습기를 선보였으나, 이것 또한 필터의 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습기가 별도의 급수탱크를 구비해야 하고, 필터의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습몸체와 상기 가습몸체의 하부 내주면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급수용기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로는 고무패킹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킹의 중심에는 상기 급수용기로 연결, 침수되어 수분을 흡수, 공급하도록 하는 압축필터와 상기 가습몸체의 최상측에는 가습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습 배출구와 상기 가습몸체의 일측부에는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와 상기 제어버튼부를 통해 상기 가습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의 상부에는 상기 급수용기에 형성된 물에 진동을 가하여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가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의 상부에는 가습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필터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의 해제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전원과 내부에 배터리를 수납한 내부전원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가습몸체의 하부 저면에는 상기 전원부의 전선과 연결되도록 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필터의 재질은 합성섬유질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급수탱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원가의 절감과 휴대의 간편함, 필터 교체의 용이함으로 인하여 사용 및 휴대의 간편, 제품의 장기적인 수명을 도모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압축필터가 고정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가습몸체와 상기 가습몸체의 하부 내주면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급수용기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로는 고무패킹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킹의 중심에는 상기 급수용기로 연결, 침수되어 수분을 흡수, 공급하도록 하는 압축필터와 상기 가습몸체의 최상측에는 가습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습 배출구와 상기 가습몸체의 일측부에는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와 상기 제어버튼부를 통해 상기 가습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무패킹의 상부에는 상기 급수용기에 형성된 물에 진동을 가하여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가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의 상부에는 가습실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축필터는 상기 고무패킹으로부터의 해제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전원과 내부에 배터리(미도시)를 수납한 내부전원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가습몸체의 하부 저면에는 상기 전원부의 전선과 연결되도록 하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축필터의 재질은 합성섬유질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압축필터가 고정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의 요지는 일반적인 가습기의 구성요소로 되어 있는 별도의 급수탱크를 가지지 아니하고 생수병 및 펫트물병 등과 같은 물이 담긴 급수용기에 꽂는 방식의 구성으로서, 그 구성의 단순화와 생산원가의 절감, 휴대의 간편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 도 3을 보면,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100)는 가습몸체(10)와 상기 가습몸체(10)의 하부 내주면에 체결부(30)가 상기 체결부(30)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나사부(25)가 형성된 급수용기(20)와 상기 체결부(30)의 상부로는 고무패킹(40)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킹(40)의 중심에는 상기 급수용기(20)로 연결, 침수되어 수분을 흡수, 공급하도록 하는 압축필터(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습몸체(10)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압축필터(80)는 물을 끌어올리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부유물을 걸러내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압축필터(80)는 상기 고무패킹(40)으로부터의 해제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터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수명연장에도 일조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킹(40)의 상부로는 상기 급수용기(20)에 형성된 물에 진동을 가하여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35)가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35)의 상부에는 상기 압축필터(80)를 통하여 상승한 가습공기를 저장하는 가습실(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습몸체(10)의 최상측에는 가습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습 배출구(5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습배출구(50)는 상기 가습몸체(10)의 최상측에 형성되어 압축필터(80)를 통해 올라온 무화된 가습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습몸체(10)의 일측부에는 가습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60)와 상기 제어버튼부(60)를 통해 상기 가습몸체(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전원(예를 들어, 자동차 직류전원이나 가정용 교류전원 등)을 공급받아 동작이 되도록 하거나, 내부에 배터리를 수납하여 구성한 내부전원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두가지(외부 입력 전원, 배터리 내장 전원) 모두 다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과 도 4를 보면, 상기 가습몸체(10) 하부의 내주면에는 급수용기(20)의 나사부(25)와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필터(80)의 재질은 합성섬유질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버튼부(60)를 눌러서 전원을 발생시켜 초음파 진동자(35)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급수용기(20)에 공급된 물에 진동을 가하여 무화작용을 시키는 것이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35)를 통하여 무화된 가습공기는 압축필터(80)를 통하여 압축되어 가습실(15)에 진입을 하게 된다.
상기 진입된 가습공기는 제어버튼부(60)의 또 다른 조작으로 가습배출구(50)를 통하여 가습공기가 배출되므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또한, 생수병 및 펫트물병에 상기 압축필터(80)가 마련된 가습몸체(10)와 결합시켜 사용을 할 수도 있으므로 언제 어디서든지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 : 가습 몸체 15 : 가습실
20 : 급수용기 25 : 나사부
30 : 체결부
35 : 초음파 진동자 40 : 고무패킹
50 : 가습배출구 60 : 제어버튼부
70 : 전원부 72 ; 전선
75 : 요홈 80 : 압축필터
100 : 가습기

Claims (5)

  1. 가습몸체(10);와
    상기 가습몸체(10)의 하부 내주면에 체결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30)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나사부(25)가 형성된 급수용기(20);와
    상기 체결부(30)의 상부로는 고무패킹(40)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킹(40)의 중심에는 상기 급수용기(20)로 연결, 침수되어 수분을 흡수, 공급하도록 하는 압축필터(80);와
    상기 가습몸체(10)의 최상측에는 가습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습 배출구(50);와
    상기 가습몸체(10)의 일측부에는 가습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60);와
    상기 제어버튼부(60)를 통해 상기 가습몸체(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40)의 상부에는 상기 급수용기(20)에 저장된 물에 진동을 가하여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35)가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35)의 상부에는 가습실(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필터(80)는 상기 고무패킹(40)으로부터의 해제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전원과 내부에 배터리(미도시)를 수납한 내부전원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가습몸체(10)의 하부 저면에는 상기 전원부(70)의 전선(72)과 연결되도록 하는 요홈(7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필터(80)의 재질은 합성섬유질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KR2020120011022U 2012-11-29 2012-11-29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KR201400033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22U KR20140003394U (ko) 2012-11-29 2012-11-29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22U KR20140003394U (ko) 2012-11-29 2012-11-29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94U true KR20140003394U (ko) 2014-06-10

Family

ID=5244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022U KR20140003394U (ko) 2012-11-29 2012-11-29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39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144A (ko) * 2015-12-29 2017-07-07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
KR102270932B1 (ko) 2020-12-17 2021-06-29 지병식 분사 방향 조절형 가습기
KR102442661B1 (ko) * 2021-12-30 2022-09-13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광촉매 가습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144A (ko) * 2015-12-29 2017-07-07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
KR102270932B1 (ko) 2020-12-17 2021-06-29 지병식 분사 방향 조절형 가습기
KR102442661B1 (ko) * 2021-12-30 2022-09-13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광촉매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2496B1 (en) Floating type humidifier
US11085657B2 (en) Humidifier and float block for humidifier
CN201586610U (zh) 一种超声波喷雾器
CN106322614A (zh) 一种可播放音乐的人机互动型加湿器
KR20140003394U (ko) 압축필터를 구비한 가습기
CN102274810A (zh) 分离式超声波雾化器
CN107961393B (zh) 香氛设备
JP2010007899A (ja) 噴霧装置
CN215832091U (zh) 一种精油稳定供给香味恒定香薰加湿器
KR101155302B1 (ko) 진동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수분공급장치
JP2011075196A (ja) ミスト生成器
CN210624808U (zh) 一种具有漂浮功能的加湿器及加湿装置
CN101733229B (zh) 雾化装置
KR200464142Y1 (ko) 휴대용 가습기
CN207350657U (zh) 一种自动加湿的空气净化器
CN201720161U (zh) 分离式超声波雾化器
CN202236487U (zh) 超声波雾化的空气清新剂
CN209399522U (zh) 一种蓝牙音响雾化器
CN108224651A (zh) 一种家用旋转喷雾的加湿器
JP2012093033A (ja) ミスト生成器
KR102575865B1 (ko) 무선 가습기 세트 및 그의 제어방법
CN205481521U (zh) 工业用雾化加湿器
KR102543794B1 (ko) 가습장치
CN212057633U (zh) 一种喷香加湿器
CN210220125U (zh) 一种可加水喷雾微景观氛围灯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