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598B1 - 퍼스널 가습기 - Google Patents

퍼스널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598B1
KR101389598B1 KR1020120098048A KR20120098048A KR101389598B1 KR 101389598 B1 KR101389598 B1 KR 101389598B1 KR 1020120098048 A KR1020120098048 A KR 1020120098048A KR 20120098048 A KR20120098048 A KR 20120098048A KR 101389598 B1 KR101389598 B1 KR 10138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wall
fa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588A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2009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5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가습기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과 하부면 및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하부 측벽에 통기-통수구가 형성되어 본체 내부공간으로 연통되고, 상기 본체 상부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본체 내부공간으로 연통되고, 상기 통기-통수구 내측에 함수포가 설치되며, 상기 함수포의 상단과 일치하는 본체 외측 표면에는 급수시 최대 잠김선을 표시하는 물높이선이 표시되고, 상기 함수포 상부의 본체 내부공간은 휀홀더에 의해 상하부로 구획되고, 상기 휀홀더에는 통기-통수구를 통하여 흡입한 공기가 함수포를 경유하여 공기배출구로 배출하도록 휀을 장착하되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 안전분리장치를 결합한 목걸이를 결합하며, 상기 휀은 본체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선을 사용하여 스위치를 구비한 외부 배터리 팩과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물높이선까지 물을 채운 컵에 담가 통기-통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함수포에 충전됨으로써 급수가 이루어지고, 외부 배터리팩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휀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퍼스널 가습기{PERSONAL HUMIDIFIER}
본 발명은 목에 걸거나 상의에 부착 휴대하여 사용함으로써 개인의 호흡 영역에서 기화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고, 물컵을 사용하여 기화용 보충수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한 퍼스널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위하여 적정한 습도조건이 유지되어야 한다.
사람이 쾌적함을 느끼는 가장 적당한 습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 15도에서는 70%, 18도~20도에서는 60%, 21도~23도에서는50%, 24도 이상에서는 40%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습도가 낮은 건조한 환경에서는 점막건조증, 안구 건조증, 감기, 천식, 비염 등이 유발된다. 또한, 신진대사 기능 저하에 의한 면역력이 감소되고, 각종 피부트러블이 발생한다.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습도에 보다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적정 습도의 유지가 더욱 요구된다.
난방이나 냉방이 이루어지는 실내는 습도가 감소되어 저습상태가 되기 때문에 잘 관리된 실내 환경에서는 중앙공급방식의 가습시스템을 적용하거나 적절한 가습기를 사용하여 가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들 가습시스템은 유지 관리에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고, 최적의 습도조건을 항상 만족시켜 주지 않기 때문에 실내 거주자, 근무자 또는 병실 등 일상 생활에서 빈번하게 건조한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적정 습도유지가 곤란하거나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특수한 환경에 노출된 경우, 예를 들어, 장거리 비행, 장거리 대중 교통이용, 잠수함 등에서는 건조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알려진 바와 같이 높은 고도에서 습기에 의한 기체부식과 결빙 방지의 이유와 기내온도를 22~24℃로 유지하기 위하여 항시 에어컨을 가동해야 되기 때문에, 비행기 내부는 10~15%의 매우 낮은 습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노약자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람도 건조한 환경에 기인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내 공간에서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거나 저습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특수한 조건에서 눈이나 호흡기의 보호 및 피부 건조증의 예방 또는 어린이나 노약자등의 건강 유지를 위하여 개인별 가습기의 사용이 방법이 될 수 있다.
개인별 가습기(Personal Humidifier)는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휴대구조와 안면 위주의 개인별 직가습 구조로 이루어진다.
개인별 가습기는 일반 가습기에 적용되는 물통을 대체하여 스펀지나 가습포에 적신 물을 급수원으로 하고, 휀에 의해 흡입한 공기를 가습포에 경유 배출시킴으로써 물의 기화에 의한 가습이 이루어지고, 목스트립을 사용하여 목에 걸거나 클립등을 이용하여 상의에 부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신체에 착용하여 배출공기가 안면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별 직가습이 이루어지도록 고안된 것이다.
개인별 가습기의 적용예로서 미국 특허 7,997,565호(2011.8.16)는 하우징 내부 챔버에 스펀지를 내장하고, 스펀지 외측에 그릴 구조의 공기흡입구를 형성하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한 공기가 스펀지를 경유하여 스파이어럴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DC모터와 프로펠러를 공기통로상에 배치하며, 하우징 하부에 배터리를 수납하고 하우징을 손에 끼워 휴대할 수 있도록 핸들을 구비한 구조를 제시하여, 물을 적신 스펀지의 쿨링효과에 의해 신선한 공기를 신체에 공급하고, 가습효과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미국 공개특허 2007/0257383(2007.11.8)는 본체 내에 형성한 스펀지 챔버에 물을 적실 수 있는 스펀지를 삽입하고, 본체 후면에는 루버가스켓에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후면 커버를 결합하며, 본 체 전방에 휀을 설치하여 후면 커버 상부에 형성한 공기흡입구로 부터 흡입한 공기를 스펀지를 경유하여 본체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공기통로를 유지하며, 본체 하부에 배터리를 실장하고, 상기 본체는 버클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목걸이를 결합하여 목에 건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시하여 비행기와 같은 극도로 건조한 환경에서 개인별 가습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 퍼스널 가습기는 목에 걸거나 손으로 휴대하여도 부담이 가지 않도록 경량구조로 이루어지고, 가습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펀지에 물을 적셔 사용하며, 하우징에 실장된 배터리에 의해 구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건조한 환경에서 개인별 가습에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스펀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커버를 분리하고 꺼낸 스펀지를 물에 담그는 방법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버의 분리와 결합이 불편하고 어린이나 노약자들에게 용이하지 않으며, 화장실 등 급수에 필요한 시설이 구비된 곳에서 스펀지에 물을 적셔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교적 경량구조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배터리를 포함한 무게는 성인들에게도 휴대에 부담되며, 퍼스널 가습기의 사용 필요성이 더 높은 유아,어린이나 노약자들에게 사용이 곤란할 정도로 부담스러운 중량과 부피로 이루어진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외부의 건조한 환경에 대비하여 개인별 적정 가습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퍼스널 가습기를 제시함에 있어서, 건강한 성인 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노약자들도 부담없이 휴대할 수 있도록 최소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퍼스널 가습기를 제시할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그대로 범용 규격의 1회용 물컵 등에 담가 물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행기 등 제한된 공간에서도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퍼스널 가습기를 제시할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하고 독창적인 구조에 의해 퍼스널 가습기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할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 잔존을 방지하는 아로마 발향기능을 구비하여 피톤치드나 아로마 등의 향유 요법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조의 퍼스널가습기를 제시할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제시된 본 발명은, 상부면과 하부면 및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하부 측벽에 통기-통수구가 형성되어 본체 내부공간으로 연통되고, 상기 본체 상부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본체 내부공간으로 연통되고, 상기 통기-통수구 내측에 함수포가 설치되며, 상기 함수포의 상단과 일치하는 본체 외측 표면에는 급수시 최대 잠김선을 표시하는 물높이선이 표시되고, 상기 함수포 상부의 본체 내부공간은 휀홀더에 의해 상하부로 구획되고, 상기 휀홀더에는 통기-통수구를 통하여 흡입한 공기가 함수포를 경유하여 공기배출구로 배출하도록 휀을 장착하되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 안전분리장치를 결합한 목걸이를 결합하며, 상기 휀은 본체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선을 사용하여 스위치를 구비한 외부 배터리 팩과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물높이선까지 물을 채운 컵에 담가 통기-통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함수포에 충전됨으로써 급수가 이루어지고, 외부 배터리팩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휀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플라스틱 소재 판을 사용하여 전개상태에서 본체의 각 구성요소 및 상호 부착을 위한 중첩부가 톰슨공정에 의한 절취선과 접철선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후 접착에 의해 조립하되, 본체의 단면형이 타원을 이루도록 벽체면을 접철선에 의해 연속되는 2개의 면과 상호부착을 위한 중첩부로 구성하고, 본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일 벽체에 대하여 접철선에 의해 연결되고 본체 단면형에 대응하는 타원형으로 구성하되 상부면의 벽체 연결선은 벽체의 양 접철선에 대하여 연속된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조립상태에서 상기 상부면이 오목한 타원면체가 되고, 상부면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벽체에도 상기 상부면과 동형의 상부커버면을 형성하여 조립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면의 타원형 벽체 연결선에 의해 부여된 탄력에 의해 상부면에 형성한 공기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면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면의 벽체 연결선은 벽체의 양 접철선에 대하여 연속된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조립상태에서 상기 하부면이 오목한 타원면체가 되고, 하부면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벽체에도 상기 하부면과 동형의 하부커버면을 형성하여 조립상태에서 상기 하부커버면의 타원형 벽체 연결선에 의해 부여된 탄력에 의해 열고 닫아 본체를 컵에 담가 물을 공급할 때 물높이선 이상으로 잠기는 것을 제한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상부면에 발향장치를 부착 설치하되, 상기 발향장치는 중심부에 향유주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하부에 코일결합부가 형성된 지지체와; 상부는 상기 지지체 하부의 코일결합부에 결합되고, 하부는 수렴되어 막히는 일정한 길이의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 하부에 함수포가 설치되고, 상기 함수포는 통기-통수구에 연결됨으로써 본체 그대로 범용 규격의 1회용 물컵 등에 담가 주면 물보충이 이루어진다. 그에 의해 화장실 등의 사용이 불편하거나 이동이 제한 되는 지역, 예를 들면, 비행기나 대중교통 이용시에도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취선과 접철선 및 본체 구성요소를 단일 톰슨공정에 의해 전개 형성한 후 접착에 의한 조립에 의해 제조가 가능한 독창적인 구조로서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발명은, 가벼운 PE소재를 사용하고, 구성요소도 간단하며, 전원을 외부의 배터리팩을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부피와 무게가 최소화되어 기존 기술 대비 목에 걸어 사용시 이물감이 적고, 유아를 포함하여 어린이나 노약자들도 부담 없이 휴대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걸이에 안전장치가 포함됨으로써 목걸이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없고, 전기적 요소인 휀이 본체 내부에서 휀홀더에 의해 벽체와 이격됨으로써 누수에 의한 쇼트의 우려가 없으며, 물높이선과 하부 커버면에 의한 안전요소에 의해 물공급시에도 안전 제어가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퍼스널가습기에 발향장치가 적용됨으로써 환자등의 치유적 목적으로 가습과 함께 아로마요법의 적용이 가능하고, 발향장치에 있어서도 코일의 표면장력에 의한 향유보지력(香油保持力)을 이용함으로써 소량의 향유를 투입사용하여 향유를 절약 사용할 수 있고, 투입된 향유는 통기에 의해 완벽하게 휘발됨으로써 잔존 향유에 의한 오일혼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퍼스널 가습기의 기본 실시 예도
도 2a 는 본 발명에 의한 퍼스널 가습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내부 구성도
도 2b 는 도 2a의 측부에서 본 내부구성도
도 2c 는 도 2a의 측부에서 본 외부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상하부 커버면이 포함된 실시 예에서 본체 형성을 위한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급수(a)-사용(b)-보관(c)에 따른 상하부 커버면의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발향장치의 실시 예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작한 퍼스널 가습기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퍼스널 가습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10)와, 본체 하부에 내장된 함수포(20)와, 함수포 상부의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는 휀(30)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여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40)와, 상기 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선에 연결되는 배터리팩(50)으로 구성된다.
본체(10)은 퍼스널가습기 구성을 위한 하우징으로써, 상부면(12)과 하부면(13) 및 측벽(11)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되는 내부공간(14)을 갖는다.
상기 본체의 하부 측벽에 통기-통수구(15)가 형성되어 본체 내부공간으로 연통되고, 상기 본체 상부면에 공기배출구(16)가 형성되어 본체 내부공간으로 연통된다.
통기-통수구(15)는 가습기의 가동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의 기능을 하고, 가습에 필요한 물을 보충할 때는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통수구 기능을 한다.
상기 통기-통수구(15)는 본체 하부에 형성되며, 원형 또는 슬릿 형태로 다수 형성되며, 본체의 하부에서 부터 일정 위치의 높이까지 균등하게 형성한다. 또한 후술하는 함수포의 상단 위치보다 높지 않게 하여 공기의 흡입시 흡입공기가 함수포를 경유하게 한다.
공기배출구(16)는 다수의 홈으로 구성되고, 하부의 통기-통수구(15)로 흡입한 공기를 함수포를 경유하여 본체 상부로 배출하도록 상부면(12)에 형성하며, 가습기를 목에 걸어 착용한 상태에서 가습공기가 착용자의 얼굴을 향하여 호흡영역에서의 직가습이 이루어진다.
상부면과 하부면 및 측벽을 포함하고, 통기-통수구(15) 및 공기배출구(16)를 구비한 본체(10)는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성형, 사출, 접합 등 다양한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하고, 형상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한바와 같이, PP PE PET PC 등 플라스틱 소재 판재를 사용하여 전개상태에서 톰슨 가공에 의한 절취선(a)과 절첩선(b)을 사용하여 상부면과 하부면 및 측벽, 그리고 통기-통수구(15) 및 공기배출구(16)와 부착을 위한 중첩부(17)를 단일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는 PP 판재를 사용하여 전개상태에서 톰슨 가공에 의한 절취선(a)과 절첩선(b)에 의해 구성요소를 단일공정에 의해 형성하는 전개 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따른 실시 예는, PP소재 판을 사용하여 전개상태에서 본체의 각 구성요소 및 상호 부착을 위한 중첩부(17)가 톰슨공정에 의한 절취선과 접철선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후 접착에 의해 조립된다.
특히, 본체의 단면형이 타원을 이루도록 벽체면을 접철선(b)에 의해 연속되는 2개의 면(11a)(11b)과 상호부착을 위한 중첩부(17)로 구성하고, 본체의 상부면(12)과 하부면(12)은 일 벽체면(11a)에 대하여 접철선(b)에 의해 연결되고 본체 단면형에 대응하는 타원형으로 구성하되 상부면의 벽체 연결선(12a)은 벽체의 양 접철선에 대하여 연속된 타원형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부면(12)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벽체면(11b)에도, 상기 상부면과 동형으로 상부커버면(18)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면(13)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면의 벽체 연결선(13a)은 벽체의 양 접철선에 대하여 연속된 타원형으로 구성하고 하부면(13)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벽체면(11b)에도 상기 하부면과 동형으로 하부커버면(19)을 형성한다.
상기한 본체의 실시 예에서, PP소재의 판재는 가볍고, 탄성이 우수하며, 접철 강도가 매우 높아 반복적인 굴신 운동에도 파열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PE, PET, PC 등 플라스틱 소재 판재를 사용하여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단일 톰슨 가공에 의해 본체에 포함된 전체의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고, 조립시에는 접철부와 중첩부 및 접촉부를 접착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본체 형상구현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부커버면(18)이, 상부면과 동일하게 일 벽체면(11b)에 대하여 접철선(b)에 의해 연결되고 본체 단면형에 대응하는 타원형으로 구성된다. 상부커버면(18)의 벽체 연결선(18a)은, 벽체의 양 접철선에 대하여 연속된 타원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조립된 상태에서 본체의 상부면 및 상부커버면은 정면과 평면상에서 타원형상으로 결합된다. 상부면의 자유 테두리는 반대측 벽체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커버면의 자유 테두리는 비 부착 상태를 유지함으로 상부커버를 세우거나 접기 위하여 힘을 가하면 벽체 연결선(18a)을 중심으로 강력한 탄력에 의한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부커버면(18)을 열거나 닫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일정한 힘을 가해야하며, 힘을 가하지 않을 때는 자체 탄력에 의해 현상을 유지한다. 이는 플라스틱 소재 판재의 특성과 이중 타원 형상에 의해 발휘되는 독창적인 개폐구조이며, 상기 상부커버면은 가습기를 동작하지 않을 때 공기배출구를 닫아 내부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가습기 동작시에는 가습공기가 외부로 흩어지지 않고 사용자의 호흡 영역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하부면 및 하부커버면도 상기한 상부커버면과 동일한 구성원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으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을 충전하기 위하여 본체를 컵에 넣을 때 일정 이상 잠기는 것을 제한 하는 작용을 하여 내부 전기 요소의 누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체의 통기-통수구(15) 내측에 설치되는 함수포(20)는 기화가습에 필요한 물을 충전하여 통기에 의해 기화가 이루어지도록 작용한다.
함수포(20)는 항균 기능을 갖는 초극세사 방직포 또는 부직포를 적층하여 적층하여 구성하며, 실시 예에 따라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함수포는 실시 예에 따라 하부면을 개폐구조로 구성하여 일정시간 사용 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충전된 물이 소진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휀의 가동이 이루어지면 주기적인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생 미생물이나 곰팡이등의 균류로 부터 안전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함수포에 물을 충전하기 위하여 컵으로 물을 받고, 본체를 상기 컵에 담가 컵의 물이 통기-통수구(15)를 통하여 함수포에 유입 충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함수포 상단과 일치하는 본체 외측 표면에는 급수시 최대 잠김선을 표시하는 물높이선(21)이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회용 컵은 대략 높이 75mm, 상부직경 70mm, 하부직경 50mm 규격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가습기의 휴대성과 사용성을 위하여 일반 컵에 담가 물을 충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체의 폭은 55~60mm 내외로 설계되고, 상하부커버면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의 높이를 110mm내외로 설계되며, 바닥에서 최상부 통기-통수구(15) 높이를 대략 55mm내외로 제한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설계예에 의해 상기한 일반적인 컵의 하부직경 대비 본체의 폭이 다소 넓기 때문에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를 컵에 넣었을 때 본체의 하부가 컵 바닥에 닿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한 컵에 억지로 본체를 밀어 넣지 않는다면 물에 잠기는 부분은 통기-통수구(15) 높이 이하이며, 휀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요소에 물이 미치지 않고 누전으로부터 안전성이 확보된다.
더구나 하부커버면은 본체를 강제로 컵에 밀어 넣는 경우에도 더이상 깊이 잠기지 않도록 제한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상기 물높이선(21)은 시각을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주의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휀(30)은 본체의 함수포 위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휀(30)은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본체의 타원형 단면구조에서 브로워 휀의 적용이 바람직하며, 또한 소음방지와 내구성을 위하여 BLDC모터를 적용한 휀의 적용이 바람직하다.
브로워 휀은 흡입부와 배출부가 90°의 방향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휀은 휀홀더(31)에 의해 본체 내벽에 고정하되 본체 내부공간이 휀홀더에 의해 상하부로 구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기-통수구(15)를 통한 공기의 흡입과 흡입된 공기의 함수포 접촉에 의한 가습 및 가습공기의 공기배출구를 통한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휀이 우연한 누수에 의해서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휀홀더(31)에 장착할 때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장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휀의 상부에서 이격은 본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상부홀더(31a) 중심선 상에 휀상부가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하고, 휀 하부에서의 이격은 휀의 측면에 부착한 보조홀더(31b)를 사용하여 보조홀더의 끝단이 본체 내측공간의 타원 꼭지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결합함으로써 달성한다.
휀이 상부홀더 및 보조홀더에 상하부가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사용중 흔들리지 않고, 본체가 수평으로 뉘어지거나 거꾸로 되고 가습포 충전수의 일부가 내벽을 타고 유출되는 경우에도 유출수가 휀에 이르지 못하여 쇼트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는, 휀 고정을 위한 상부홀더(31a)를 공기배출구(16)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하였다. 이는 휀토출구에서 공기배출구(16)로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기류를 형성하여 가습공기의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고, 상부홀더(31a)와 하부홀더에 의한 삼각 구조에 의해 휀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습기의 신체 휴대를 위하여 클립등을 사용하여 상의에 부착하는 구조로 실시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40)를 적용하여 목에 거는 형태로 휴대할 수 있다.
목걸이는 간편한 휴대성을 제공하지만 목걸이 줄이 외부 물체에 걸릴 경우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하기 때문에 안전분리장치(41)가 포함된 목걸이를 적용한다.
상기한 안전분리장치는 목걸이에 어느 정도 외력이 작용하면 스스로 분리됨으로써 목걸이 줄이 사용자의 목을 조이는 위험을 해소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다양한 적용예가 있음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목걸이는 본체 상부 양 모서리부에 링고정구(42)를 천공하고 링(43)을 결합하여 상기 링에 목걸이(40)을 연결함으로써 본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본체 내부공간 일부를 활용하여 배터리를 내장하는 구조로 실시할 수 있으나, 휀 구동을 위한 전원을 휀으로부터의 인출선(51) 사용하여 스위치를 구비한 외부 배터리팩(50)에 의해 공급받는 구조를 갖는다.
배터리팩(50)을 외부에 두며, 상기 배터리팩은 상의 주머니등 별도로 휴대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첫째,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는 초경량의 가습기 구성이 가능하여 특히 목에 걸었을 때 무게감이 감소하여 착용상태에서 활동이 편안하고 목디스크에 무리를 가하지 않으며, 유아를 포함한 어린이나 노약자 들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우연한 누수에 대해서도 누전이나 쇼트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발향장치(60)가 적용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아로마향유는 후각신경을 통해 뇌를 자극하거나 호흡기를 통해 신체에 흡수되거나 피부를 통하여 인체에 흡수됨으로써 질병예방과 면역 증강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아로마 향의 후각신경을 통한 뇌 자극은 인체에 직접적이고 강력하게 작용하여 사람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불면증을 치료하며, 졸음 때문에 고생하는 수험생의 정신을 각성시켜 집중을 돕기도 하고 피부질환으로 고생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아로마 향유는 적절한 가습상태에서 함께 제공됨으로써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적용한 발향장치(6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상부면에 발향장치를 부착 설치하되, 상기 발향장치는 중심부에 향유주입구(61a)가 관통 형성되고, 하부에 코일결합부(61b)가 형성된 지지체(61)와; 상부는 상기 지지체 하부 코일결합부에 결합되고, 하부는 수렴되어 막히는 일정한 길이의 코일(62);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는 상부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향유주입구(61a)를 통하여 소량의 향유를 주입하면 주입된 향유는 코일(62)의 표면장력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낙하하지 않고 코일을 타고 분산 수용되며, 휀에 의해 형성된 기류와 접촉하여 휘발되면서 발향되는 구성원리를 갖는다.
상기한 코일에 의한 향유의 수용구조는 고가의 향유를 소량 사용하여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향유는 성분에 따라 고유의 향을 발하지만 여러 종류의 향을 혼합하는 경우에는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잔존 향유에 의한 혼합문제는 발향장치의 가치를 감소시키는 이유가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코일은 향유의 잔존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목적과 선호도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향유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작한 퍼스널 가습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기존 퍼스널가습기 휴대와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하여 편리성을 향상하였고, 유아를 포함하여 어린이나 노약자들도 사용에 제한이 없는 구조로서 도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a: 절취선 b:접철선
10: 본체
11: 측벽 12: 상부면 12a: 벽체 연결선
13: 하부면 13a: 벽체연결선 14: 내부공간
15: 통기-통수구 16: 공기배출구 17: 중첩부
18: 상부커버면 18a 벽체연결선 19: 하부커버면
19a: 벽체연결선
20: 함수포
21: 물높이선
30: 휀
31: 휀홀더 31a: 상부홀더 31b: 보조홀더
40: 목걸이
41: 안전분리장치 42:링고정구 43: 링
50: 배터리팩
51:인출선 52: 스위치
60: 발향장치
61: 지지체 61a: 향유주입구 62: 코일 63: 흡수포

Claims (4)

  1. 상부면(12)과 하부면(13) 및 측벽(11)으로 구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되는 내부공간(14)을 갖는 본체(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 하부에 통기-통수구(15)가 형성되어 본체 내부공간(14)으로 연통되고, 상기 본체 상부면에 공기배출구(16)가 형성되어 본체 내부공간(14)으로 연통되고, 상기 통기-통수구(15) 내측에 함수포(20)가 설치되며, 상기 함수포(20)의 상단과 일치하는 본체 외측 표면에는 급수시 최대 잠김선을 표시하는 물높이선(21)이 표시되고, 상기 함수포 상부의 본체 내부공간(14)은 휀홀더(31)에 의해 상 하부로 구획되고, 상기 휀홀더(31)에는 통기-통수구(15)를 통하여 흡입한 공기가 함수포를 경유하여 공기배출구로 배출하도록 휀(30)을 장착하되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 안전분리장치(41)를 결합한 목걸이(40)를 결합하며, 상기 휀(30)은 본체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선(51)을 사용하여 스위치(52)를 구비한 외부 배터리 팩(50)과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물높이선까지 물을 채운 컵에 담가 통기-통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함수포에 충전됨으로써 급수가 이루어지고, 외부 배터리팩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휀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가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10)는, 프라스틱 소재 판을 사용하여 전개상태에서 본체의 각 구성요소 및 상호 부착을 위한 중첩부를 톰슨공정에 의한 절취선(a)과 접철선(b)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후 접착에 의해 조립하되, 본체의 단면형이 타원을 이루도록 벽체면을 접철선에 의해 연속되는 2개의 면과 상호부착을 위한 중첩부로 구성하고, 본체의 상부면(12)과 하부면(13)은 일 벽체에 대하여 접철선에 의해 연결되고 본체 단면형에 대응하는 타원형으로 구성하되 상부면의 벽체 연결선(12a)은 벽체의 양 접철선에 대하여 연속된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조립상태에서 상기 상부면이 오목한 타원면체가 되고, 상부면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벽체에도 상기 상부면과 동형의 상부커버면(18)을 형성하여 조립상태에서 상부커버면(18)의 타원형 벽체 연결선(18a)에 의해 부여된 탄력에 의해 상부면(12)에 형성한 공기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가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부면(13)의 벽체 연결선(13a)은 벽체의 양 접철선에 대하여 연속된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조립상태에서 하부면(13)이 오목한 타원면체가 되고, 하부면(13)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벽체에도 하부면(13)과 동형의 하부커버면(19)을 형성하여 조립상태에서 하부커버면(19)의 타원형 벽체 연결선(19a)에 의해 부여된 탄력에 의해 열고 닫아 본체를 컵에 담가 물을 공급할 때 물높이선 이상으로 잠기는 것을 제한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가습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면(12)에 발향장치(60)를 부착 설치하되, 발향장치(60)는 중심부에 향유주입구(61a)가 관통 형성되고, 하부에 코일결합부(61b)가 형성된 지지체(61)와; 상부는 코일결합부(61b)에 결합되고, 하부는 수렴되어 막히는 일정한 길이의 코일(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가습기.
KR1020120098048A 2012-09-05 2012-09-05 퍼스널 가습기 KR10138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048A KR101389598B1 (ko) 2012-09-05 2012-09-05 퍼스널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048A KR101389598B1 (ko) 2012-09-05 2012-09-05 퍼스널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88A KR20140031588A (ko) 2014-03-13
KR101389598B1 true KR101389598B1 (ko) 2014-05-27

Family

ID=5064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048A KR101389598B1 (ko) 2012-09-05 2012-09-05 퍼스널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0118A (zh) * 2017-08-25 2017-12-19 芜湖迈特电子科技有限公司 易扩散的精油加湿器
KR102185450B1 (ko) 2020-05-01 2020-12-01 주식회사 세광테크 가습기 유닛
KR102406474B1 (ko) * 2021-08-30 2022-06-08 김상수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7383A1 (en) 2006-05-05 2007-11-08 Kelvin Chan Wearable Self-Contained Personal Humidifier
KR20090127576A (ko) * 2008-06-09 2009-12-14 (주)엘지하우시스 휴대용 가습기
KR20100000166A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벤토피아 고정형 기화식 가습기
KR100990236B1 (ko) 2008-02-27 2010-10-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가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7383A1 (en) 2006-05-05 2007-11-08 Kelvin Chan Wearable Self-Contained Personal Humidifier
KR100990236B1 (ko) 2008-02-27 2010-10-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가습기
KR20090127576A (ko) * 2008-06-09 2009-12-14 (주)엘지하우시스 휴대용 가습기
KR20100000166A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벤토피아 고정형 기화식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88A (ko)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3305A (ko) 다용도 휴대용 가습 공기청정기
ES2777658T3 (es) Purificación de aire portátil
US7100605B2 (en) Therapy device for local treatment of colds
US7516743B2 (e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and configuration for employing same
US20100108071A1 (en) Apparatuses to filter air
JP2001299916A (ja) マスク型吸入器
US20070257383A1 (en) Wearable Self-Contained Personal Humidifier
JP2014521474A (ja) 空気洗浄装置
WO2014090188A1 (zh) 便携式空气净化器
KR101389598B1 (ko) 퍼스널 가습기
CN107812288B (zh) 用于呼吸道疾病的气味康复训练装置及配套使用的中药包
CN111589011A (zh) 电动口罩
US3526226A (en) Therapeutic inhaling device
KR101322493B1 (ko) 코 삽입용 산소공급기
US6997184B2 (en) Cool air inhaler
CN105105369B (zh) 液体过滤式口罩
CN211050185U (zh) 一种熏蒸仪
KR101389739B1 (ko) 다용도 코걸이
ES1289884U (es) Mascarilla buco/nasal filtrante
US10625040B2 (en) Humidifier for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JP2005111048A (ja) 空調枕及び水微細化装置とエアサプリメント装置
CN207871233U (zh) 雾化给药装置
WO2008012564A1 (en) Air flow generator
CN110292522B (zh) 一种熏蒸仪
KR20090099651A (ko) 산소 제공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