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739B1 - 다용도 코걸이 - Google Patents

다용도 코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739B1
KR101389739B1 KR1020120089259A KR20120089259A KR101389739B1 KR 101389739 B1 KR101389739 B1 KR 101389739B1 KR 1020120089259 A KR1020120089259 A KR 1020120089259A KR 20120089259 A KR20120089259 A KR 20120089259A KR 101389739 B1 KR101389739 B1 KR 101389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nostrils
nose
receiving por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997A (ko
Inventor
문명일
신승원
Original Assignee
신승원
문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원, 문명일 filed Critical 신승원
Priority to KR102012008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73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코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이 콧구멍 내로 삽입되어 양쪽 콧구멍 사이의 비중격에 끼워지도록 U자 형태로 이루어진 고리밴드와, 고리밴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며, 외경면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수용부 및 수용부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코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호흡을 하는데에 있어 불편함이 없는 동시에 콧구멍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거름으로써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여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소에 구애됨 없이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라도 호흡시 코의 내부로 향기가 직접 발산되므로 향기치료를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치료에 적합한 다양한 향체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경제적이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코걸이{Multi function nose pendant}
본 발명은 코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콧구멍에 끼워 코 안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거나, 건강증진에 효과적인 향기를 흡입할 수 있고, 부수적으로 코끝을 세워지게 할 수 있는 다용도 코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속에는 수많은 미세먼지 및 자동차 매연 등의 유해 가스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인체에 유해한 공기를 입이나 코를 통해 들이마시고 있으며, 더욱이 산업의 발전으로 공해가 심화하고, 자연이 오염되면서 청정 지역이 점점 사라져 깨끗한 공기를 더 이상 호흡하기 어려운 실정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은 각종의 공해물질로 인해 신체가 질병에 쉽게 노출됨은 물론 정신적으로도 건강하지 못하다.
특히, 미세먼지는 직경이 약 10㎍ 내지 2.5㎍ 이하로 호흡기에 흡입될 때 걸러지지 않아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특별한 대책이 없어 미세먼지로 인한 각종 호흡기 질환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나 미세먼지가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게 되는데, 일상생활을 하면서 마스크를 지속적으로 착용하고 다니는 것은 숨을 쉬는데에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마스크를 콧구멍에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 마스크에 대하여 다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신체적 정신적 피로를 해소하여 주기 위하여 신체에 이로운 향을 흡입함으로써, 신체의 면역체계와 정신건강을 높이는 향기 치료법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향기 치료법이란 식물에서 추출된 추출물로부터 발생 되는 신체에 유익한 향을 흡입하여, 흡입된 향이 신체 각 기관에 빠르게 퍼져 각종 정신질환 치료에 도움을 주도록 한 치료법으로서, 의료기관이나 전문적인 처방 없이 주변에서 손쉽게 향체를 구입할 수 있고 그 사용법도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이때, 향체는 흡입이 용이하도록 향체를 불에 달궈 산화시키는 과정에서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는 램프확산기법과, 마치 방향제와 같이 향체를 일정공간에 노출시켜 향체가 자연스럽게 기화되면서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는 건식확산기법이 주로 이용되는데, 상기의 방법들은 공통으로 대기중의 공기와 혼합되어 공기 중에 떠돌다가 신체의 흡입기관 측 코를 통해 흡입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 사람들이 미용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가슴, 눈 및 귀 등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각종 미용보조기구가 등장하고 있지만, 코의 경우에는 현재까지 수술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코를 높여주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콧대 속에 심는 방식으로 실리콘 등의 이물질을 삽입하여 콧날을 오뚝하게 세우는 성형외과적인 수술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술에 의존하여 코 성형을 하는 경우에는 콧속 내부에 실리콘 등의 이물질을 살속에 심는 방식으로 시술을 하므로, 수술 후 실리콘에 의한 염증과 통증 등 부작용이 발생하여 얼굴 전체가 보기 흉하게 되어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1681호(2009년 8월 10일 공고)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3298호(2002년 2월 4일 공고) (000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3042호(2010년 3월 17일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호흡시 코 안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다용도 코걸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개인의 취향에 맞는 향기를 선택하여 이를 흡입함으로써 기분전환 및 피로회복 등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다용도 코걸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휴대가 간편하고 착용이 용이하며, 이물감을 최소로 하면서 코끝을 오똑하게 세울 수 있어 미용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다용도 코걸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양단이 콧구멍 내로 삽입되어 양쪽 콧구멍 사이의 비중격에 끼워지도록 U자 형태로 이루어진 고리밴드, 상기 고리밴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며, 외경면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는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콧구멍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재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향기를 발산하는 향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소정의 깊이만큼 삽입되는 탄성의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형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호흡을 하는데에 있어 불편함이 없는 동시에 콧구멍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거름으로써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여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소에 구애됨 없이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라도 호흡시 코의 내부로 향기가 직접 발산되므로 향기치료를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치료에 적합한 다양한 향체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경제적이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덧붙여, 외과적인 성형수술 없이도 콧구멍 안으로 간편하게 삽입만 함으로써 간단히 코끝을 세울 수 있기 때문에 수술 부작용과 높은 수술비용이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코걸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코걸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코걸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코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코걸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코걸이는 고리밴드(100), 수용부(200) 및 덮개(3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리밴드(100)는 형태가 "U"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은 신체의 양쪽 콧구멍 내로 삽입된다.
이때, 콧구멍으로 삽입된 상기 고리밴드(100)는 양단이 양쪽 콧구멍 사이의 비중격(중벽)에 끼워지며, 그 재질로는 플라스틱, 금속 및 실리콘 등의 탄성의 재질로 이루질 수 있고, 선택적으로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와이어(Wire)가 내장된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과 같은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00)는 상기 고리밴드(1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외경면을 따라 복수의 통공(210)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반구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용부(200)와 상기 고리밴드(100)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각의 수용부(200)의 볼록한 만곡부위는 콧구멍의 중벽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200)의 개방된 부위는 콧구멍의 중벽을 중심으로 좌우측을 각각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200)는 상기 고리밴드(100)와 마찬가지로 착용시 사용자의 이물감을 최소로 하기 위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용부(200)는 구형의 반구 또는 타원형의 반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200)가 타원형이면, 구형보다는 코끝의 높이를 좀 더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00)의 외경면을 따라 복수의 통공(210)이 형성된다. 이는 착용후 상기 통공(210)이 더 형성됨으로써 호흡을 좀 더 원활히 하기 위함이고, 들숨시 통공(210)을 통해 상기 수용부(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후술하는 필터(220) 또는 향체(240)를 거친 후, 다른 통공(210)을 통해 호흡기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0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수용공간에 필터(220)를 삽입설치하여 호흡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의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필터(220)는 코 안으로 흡입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걸러줄 수 있고, 인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호흡의 곤란성이 없는 정도의 조밀도를 갖는 필터(220)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소재의 필터(2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용부(200)의 내부 수용공간에 향기를 발산하는 향체(24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향체(240)는 호흡시 그 향기를 들이마실 경우, 인체에 무해한 피톤치드와 같은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이고, 그 형태는 고형이거나 액상일 수 있다.
상기 향체(240)가 고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필터(220)와 마찬가지고 상기 수용부(20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수용부(2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고, 액상일 경우 솜에 적셔진 상태로 상기 수용부(20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수용부(2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체(240)가 액상일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220)에 향체(240)를 적신 상태로 필터(220)를 상기 수용부(20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수용부(2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덮개(300)는 상기 수용부(20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다. 상기 수용부(200)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220) 또는 상기 향체(24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덮개(300)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고무와 같은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필터(220) 또는 향체(240)의 수명이 다할 경우에도 그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300)로 인해 상기 수용부(2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한 필터(220) 및 향체(24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200)는 개방된 일측을 통해 소정의 깊이만큼 슬라이딩 삽입 또는 억지끼움되는 탄성의 마개(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상기 덮개(300)와 상기 수용부(2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한 상기 필터(220) 또는 상기 향체(240) 사이에 보조적인 상기 마개(260)를 위치하게 함으로써, 외부충격이나 격렬한 활동시에 상기 덮개(300)가 상기 수용부(200)에서 이탈하더라도 상기 마개(260)로 인해 상기 수용부(200)에서 상기 필터(220) 또는 향체(24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고리밴드 200: 수용부
210: 통공 220: 필터
240: 향체 260: 마개
300: 덮개

Claims (6)

  1. 양단이 콧구멍 내로 삽입되어 양쪽 콧구멍 사이의 비중격에 끼워지도록 U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와이어(wire)가 내장된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리밴드(100);
    상기 고리밴드(1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타원의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수용공간에는 콧구멍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콧구멍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20)와 향기를 발산하는 향체(240)가 구비되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소정의 깊이만큼 삽입되는 탄성의 마개(260)를 구비하고, 외경면을 따라 복수의 통공(210)이 형성된 수용부(200); 및
    상기 수용부(20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덮개(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코걸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89259A 2012-08-16 2012-08-16 다용도 코걸이 KR10138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259A KR101389739B1 (ko) 2012-08-16 2012-08-16 다용도 코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259A KR101389739B1 (ko) 2012-08-16 2012-08-16 다용도 코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997A KR20140022997A (ko) 2014-02-26
KR101389739B1 true KR101389739B1 (ko) 2014-04-29

Family

ID=5026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259A KR101389739B1 (ko) 2012-08-16 2012-08-16 다용도 코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993B1 (ko) * 2015-07-01 2015-11-30 이효광 비강 삽입형 마스크
TW202007416A (zh) * 2018-07-27 2020-02-16 董峰如 精油吸入器
CN113509628B (zh) * 2021-04-21 2023-01-31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耳鼻喉科护理用药物注入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632Y1 (ko) * 2003-01-22 2003-05-13 주경록 코마스크
JP2006289043A (ja) 2005-03-14 2006-10-26 Sonoe Suwa 鼻孔内、ウェットフィルター
KR100911681B1 (ko) 2007-11-30 2009-08-10 변상녀 코걸이형 향기발산구
KR20100003042U (ko) * 2008-09-08 2010-03-17 전창기 코걸이 코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632Y1 (ko) * 2003-01-22 2003-05-13 주경록 코마스크
JP2006289043A (ja) 2005-03-14 2006-10-26 Sonoe Suwa 鼻孔内、ウェットフィルター
KR100911681B1 (ko) 2007-11-30 2009-08-10 변상녀 코걸이형 향기발산구
KR20100003042U (ko) * 2008-09-08 2010-03-17 전창기 코걸이 코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997A (ko)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240B1 (ko) 비강 장치
KR200480161Y1 (ko) 복식호흡 구조를 갖는 패션형 마스크
CN111068152A (zh) 鼻小柱鼻夹/用于芳香物质的扩张器
KR101389739B1 (ko) 다용도 코걸이
KR101856620B1 (ko) 기능성 황사 마스크
US201401825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al time cough soothing and suppression
KR101882741B1 (ko) 호흡기 기능 강화용 마스크
AU2015231057B2 (en) Nasal dilator
US20050034722A1 (en) Cough-a-lizer
CN204133978U (zh) 鼻用紧凑型喷雾器
KR200354522Y1 (ko) 건강 마스크
KR102487694B1 (ko)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20160040066A (ko) 방향 코걸이
KR200485587Y1 (ko) 비강 삽입형 마스크
KR200166332Y1 (ko) 건강보조마스크
KR200326336Y1 (ko) 아로마테라피 고무를 겸비한 기능성 안면 마스크
RU2217176C2 (ru) Сменный фильтр в нос
KR20020027442A (ko) 건강 보조 마스크
ES2368629A1 (es) Dispositivo y método de restricción y filtrado de flujo ventilatorio nasal para impedir la entrada de sustancias alergénicas y para el fortalecimiento de la musculatura inspiratoria.
WO2004110541A1 (en) A fragrant mask
KR102121115B1 (ko) 임산부의 입덧 예방장치
KR200279435Y1 (ko) 건강 보조 마스크
CN207855073U (zh) 防漏气杀菌消毒儿童立体口罩
KR200304089Y1 (ko) 확장흡착형 코마스크의 구조
KR102334231B1 (ko)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