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641A - 초음파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초음파식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641A
KR20200108641A KR1020190027546A KR20190027546A KR20200108641A KR 20200108641 A KR20200108641 A KR 20200108641A KR 1020190027546 A KR1020190027546 A KR 1020190027546A KR 20190027546 A KR20190027546 A KR 20190027546A KR 20200108641 A KR20200108641 A KR 20200108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heat
pipe
cool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537B1 (ko
Inventor
김도영
이현진
박선영
Original Assignee
김도영
박선영
이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박선영, 이현진 filed Critical 김도영
Priority to KR102019002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53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식 가습기의 일 양태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 탱크; 상기 저수 탱크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 및 냉각시켜서 증류수를 생성하는 증류 유닛; 상기 파이프를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증류수가 저장되는 증류수 탱크; 및 상기 증류수 탱크에 저장된 증류수의 미세화를 위한 초음파를 제공하는 초음파 발생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저수 탱크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에 의하여 가열되어 수증기로 기화되는 가열 파이프; 및 상기 가열 파이프를 유동하면서 기화된 수증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에 의하여 냉각되어 증류수로 액화되는 냉각 파이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음파식 가습기{ULTRASONIC HUMIDIFIER}
본 발명은 초음파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란, 실내의 가습을 위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수증기의 발생 방식에 따라서 가열식, 기화식 및 초음파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열식 가습기에서는, 물이 직접 가열되어 수증기가 발생되고, 기화식 가습기에서는, 물과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수증기가 발생되며, 초음파식 가습기에서는, 초음파에 의하여 물이 분자화되어 수증기가 발생된다.
특히, 초음파식 가습기의 경우, 제품 가격 및 운용 비용이 저렴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초음파식 가습기의 경우, 물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이나 무기물과 같은 이물질이 수증기와 함께 실내로 배출되거나 수증기가 생성된 후 잔존하는 이물질에 의한 각종 오염이 문제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수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균을 포함하는 각종 미생물의 번식에 따른 오염이 우려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3072호(명칭: 가습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1293호(명칭: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초음파식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식 가습기의 일 양태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 탱크; 상기 저수 탱크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 및 냉각시켜서 증류수를 생성하는 증류 유닛; 상기 파이프를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증류수가 저장되는 증류수 탱크; 및 상기 증류수 탱크에 저장된 증류수의 미세화를 위한 초음파를 제공하는 초음파 발생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저수 탱크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에 의하여 가열되어 수증기로 기화되는 가열 파이프; 및 상기 가열 파이프를 유동하면서 기화된 수증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에 의하여 냉각되어 증류수로 액화되는 냉각 파이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가열 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냉각 파이프 및 증류수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증류 유닛은, 상기 가열 파이프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100℃ 이상의 온도로 발열하는 발열면 및 상기 냉각 파이프를 유동하는 수증기를 냉각하기 위하여 흡열하는 흡열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열전소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증류 유닛은, 제1발열 온도로 발열하는 제1발열면 및 제1흡열 온도로 흡열하는 제1흡열면을 포함하는 제1열전소자; 상기 제1발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제2발열 온도로 발열하는 제2발열면 및 상기 제1흡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제2흡열 온도로 흡열하는 제2흡열면을 포함하는 제2열전소자; 및 상기 제2발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제3발열 온도로 발열하는 제3발열면 및 상기 제2흡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제3흡열 온도로 흡열하는 제3흡열면을 포함하는 제3열전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발열면은, 물이 상기 가열 파이프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흡열면은, 수증기가 상기 냉각 파이프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수증기가 상기 냉각 파이프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열전소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각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 파이프의 내부를 유동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냉각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배기구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냉각 파이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바디; 및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배기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냉각 파이프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가열 파이프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증류 유닛에 의하여 증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포집 유닛은, 상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의 상면을 차폐하고,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적어도 1개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면판; 및 상기 유입구 상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의 내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안내하고,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1개의 유입 가이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식 가습기에서는, 증류 유닛에 의하여 증류된 증류수가 초음파 발생 유닛에 의하여 미세화되어 실내의 가습을 위한 수증기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이 증류되는 과정에서 물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포집 유닛에 포집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재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청결하고 안전하게 실내를 가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식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식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식 가습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식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식 가습기(1)는, 저수 탱크(100), 파이프(201), 증류 유닛(301), 증류수 탱크(400), 초음파 발생 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저수 탱크(100)는, 물, 실질적으로 실내의 가습을 위하여 수증기로 미세화되는 물이 저장되는 곳이다. 상기 파이프(201)는, 상기 저수 탱크(100)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되는 곳이고, 상기 증류 유닛(301)은, 상기 파이프(201)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 및 냉각시켜서 증류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증류수 탱크(400)에는, 상기 파이프(201)를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301)에 의하여 생성된 증류수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500)은, 상기 증류수 탱크(400)에 저장된 증류수의 미세화를 위한 초음파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파이프(201)가, 가열 파이프(211) 및 냉각 파이프(212)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 파이프(211)는, 상기 저수 탱크(100)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301)에 의하여 가열되어 수증기로 기화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 파이프(212)는, 상기 가열 파이프(211)를 유동하면서 기화된 수증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301)에 의하여 냉각되어 증류수로 액화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 파이프(211)에서는, 물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되면서 수증기로 기화되고, 상기 냉각 파이프(212)에서는, 수증기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동되면서 액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이프(201)는 전체적으로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이프(201)가, 연결 파이프(2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파이프(213)는, 상기 가열 파이프(211)를 관통하여 상기 냉각 파이프(212) 및 증류수 탱크(400)를 연결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 증류 유닛(301)이, 상기 가열 파이프(211)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기화시키고, 상기 냉각 파이프(212)를 유동하는 수증기를 냉각하여 증류수로 액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증류 유닛(301)으로, 발열면(311) 및 흡열면(312)을 포함하는 열전소자(310)가 사용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발열면(311)은, 상기 가열 파이프(211)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100℃ 이상의 온도로 발열하고, 상기 흡열면(312)은 상기 냉각 파이프(212)를 유동하는 수증기를 냉각하기 위하여 흡열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가열 파이프(211)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증류 유닛(301)에 의하여 증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 유닛(600)을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포집 유닛(600)은, 상기 가열 파이프(2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집 유닛(600)은, 포집부(610), 상면판(620) 및 적어도 1개의 유입 가이드(630)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부(610)는, 그 내부에 이물질이 포집되는 곳으로, 예를 들면, 상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판(620)은, 상기 포집부(610)의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상면판(620)에는, 상기 포집부(6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적어도 1개의 유입구(62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 가이드(630)는, 상기 유입구(621) 상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610)의 내부로 이물질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유입 가이드(630)는, 상기 포집부(610)의 내부로는 이물질이 유입되지만, 상기 포집부(610)의 내부에서 외부, 즉 상기 냉각 파이프(212)의 내부로의 이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입 가이드(630)는,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수 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가열 파이프(211) 및 냉각 파이프(212)를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301)의 발열/흡열에 의하여 기화 및 액화되어 증류수가 생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생성된 증류수는, 상기 증류수 탱크(400)에 저장된 후, 상기 초음파 발생 유닛(500)에 의하여 미세화되어 실내로 분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물,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 증류수에 의하여 실내가 가습됨으로써, 보다 청결하게 실내를 가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물이 증류되는 과정에서 존재하는 이물질이 상기 포집 유닛(600)에 포집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 가이드(630)에 의하여, 상기 포집부(610)의 내부로의 이물질의 유입은 안내되지만, 상기 포집부(610)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이물질의 유출은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집 유닛(600)에 포집된 이물질에 의한 물의 재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식 가습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식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증류 유닛(302)이 제1 내지 제3열전소자(320)(330)(3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열전소자(320)(330)(340)는, 각각 상이한 온도로 발열 및 흡열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열전소자(320)는, 상기 제2열전소자(3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발열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흡열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열전소자(330)는, 상기 제3열전소자(3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발열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흡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열전소자(320)는, 제1발열 온도로 발열하는 제1발열면(321) 및 제1흡열 온도로 흡열하는 제1흡열면(3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열전소자(330)는, 제2발열 온도로 발열하는 제2발열면(331) 및 제2흡열 온도로 흡열하는 제2흡열면(332)을 포함하고, 상기 제3열전소자(340)는 제3발열 온도로 발열하는 제3발열면(341) 및 제3흡열 온도로 흡열하는 제3흡열면(34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발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상기 제2발열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제2발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상기 제3발열 온도가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1흡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상기 제2흡열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제2흡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상기 제3흡열 온도가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발열면(321)(331)(341)은, 물이 상기 가열 파이프(221)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흡열면(322)(332)(342)은, 수증기가 상기 가열 파이프(221)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 파이프(221)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제1 내지 제3열전소자(320)(330)(340)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수증기로 기화되고, 냉각 파이프(222)를 유동하는 수증기가 상기 제1 내지 제3열전소자(320)(330)(340)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낮은 온도로 냉각되어 증류수로 액화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 파이프(221)에서는, 물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 내지 제3열전소자(320)(330)(340)에 의하여 가열되어 수증기로 기화되고, 상기 냉각 파이프(212)에서는, 수증기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동한 후 다시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 내지 제3열전소자(320)(330)(340)에 의하여 냉각되어 증류수로 액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열 파이프(221)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냉각 파이프(222)는 그 일단이 상기 가열 파이프(221)에 연결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하단에 연결 파이프(223)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파이프(223)가 상기 가열 파이프(221)를 관통하지 않고 상기 냉각 파이프(222) 및 증류수 탱크(400)를 연결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배기구(222H) 및 밸브 유닛(7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기구(222H) 및 밸브 유닛(700)은,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내부를 유동하는 수증기가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기구(222H)는, 상기 냉각 파이프(212)의 일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에 상기 배기구(222H)가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배기구(222H)는,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내부를 유동하는 수증기가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기구(222H)가 상기 제3열전소자(340)에 비하여 수증기가 상기 냉각 파이프(222)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냉각 파이프(222)를 유동하는 수증기가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열전소자(320)(330)(340)에 의하여 냉각되어 증류수로 액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열전소자(320)(330)(340)에 의하여 가열되어 기화된 수증기를 직접 실내로 배출하는 것보다, 이를 증류수로 액화한 후 초음파 발생 유닛(500)에 의하여 미세화하여 실내로 배출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 파이프(222)를 유동하는 수증기가 상기 배기구(222H)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지 않고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열전소자(320)(330)(340)에 의하여 냉각되어 수증기로 액화되도록 상기 배기구(222H)의 위치가 한정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유닛(700)은, 상기 배기구(222H)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특히, 상기 밸브 유닛(700)은,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배기구(222H)를 개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 유닛(700)이 밸브 바디(710) 및 탄성 부재(72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바디(710)는, 상기 냉각 파이프(2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222H)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밸브 바디(710)는, 상기 냉각 파이프(222)에 도면상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바디(710)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222H)가 상기 밸브 바디(71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720)는, 상기 밸브 바디(710)가 상기 배기구(222H)를 차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71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즉, 상기 탄성 부재(720)는, 상기 밸브 바디(71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밸브 바디(710)에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내부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밸브 바디(710)가 상기 탄성 부재(72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냉각 파이프(212)에 대하여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222H)를 개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의 가습을 위하여 다량의 수증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 파이프(221)를 유동하는 물이 점차적으로 온도가 증가되도록 가열되고, 상기 냉각 파이프(222)를 유동하는 수증기가 점차적으로 온도가 감소되도록 냉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인 증류수의 생성 및 이를 사용한 실내의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내부 압력이 과도한 경우에는, 상기 냉각 파이프(222)를 유동하는 수증기가 상기 배기구(222H)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내부 압력을 안전한 범위에서 유지하면서, 실내의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저수 탱크 201, 202: 파이프
211, 221: 가열 파이프 212, 222: 냉각 파이프
213, 223: 연결 파이프 301, 302: 증류 유닛
310, 320, 330, 340: 열전소자 400: 증류수 탱크
500: 초음파 유닛 600: 포집 유닛
700: 밸브 유닛

Claims (8)

  1. 물이 저장되는 저수 탱크(100);
    상기 저수 탱크(100)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되는 파이프(201)(202);
    상기 파이프(201)(202)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 및 냉각시켜서 증류수를 생성하는 증류 유닛(301)(302);
    상기 파이프(201)(202)를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301)(302)에 의하여 생성된 증류수가 저장되는 증류수 탱크(400); 및
    상기 증류수 탱크(400)에 저장된 증류수의 미세화를 위한 초음파를 제공하는 초음파 발생 유닛(500); 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201)(202)는,
    상기 저수 탱크(100)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301)(302)에 의하여 가열되어 수증기로 기화되는 가열 파이프(211)(221); 및
    상기 가열 파이프(211)(221)를 유동하면서 기화된 수증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증류 유닛(301)(302)에 의하여 냉각되어 증류수로 액화되는 냉각 파이프(212)(222); 를 포함하는 초음파식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1)(202)는, 상기 가열 파이프(211)(221)를 관통하여 상기 냉각 파이프(212)(222) 및 증류수 탱크(400)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213)(223)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식 가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 유닛(301)은, 상기 가열 파이프(211)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100℃ 이상의 온도로 발열하는 발열면(311) 및 상기 냉각 파이프(212)를 유동하는 수증기를 냉각하기 위하여 흡열하는 흡열면(312)을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열전소자(310)인 가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 유닛(302)은,
    제1발열 온도로 발열하는 제1발열면(321) 및 제1흡열 온도로 흡열하는 제1흡열면(322)을 포함하는 제1열전소자(320);
    상기 제1발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제2발열 온도로 발열하는 제2발열면(331) 및 상기 제1흡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제2흡열 온도로 흡열하는 제2흡열면(332)을 포함하는 제2열전소자(330); 및
    상기 제2발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제3발열 온도로 발열하는 제3발열면(341) 및 상기 제2흡열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제3흡열 온도로 흡열하는 제3흡열면(342)을 포함하는 제3열전소자(34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발열면(321)(331)(341)은, 물이 상기 가열 파이프(221)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흡열면(322)(332)(342)은, 수증기가 상기 냉각 파이프(222)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배치되는 초음파식 가습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수증기가 상기 냉각 파이프(222)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열전소자(3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내부를 유동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기구(222H); 및
    상기 배기구(222H)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유닛(70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유닛(700)은,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배기구(222H)를 개방하는 초음파식 가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700)은,
    상기 냉각 파이프(2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222H)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바디(710); 및
    상기 밸브 바디(710)가 상기 배기구(222H)를 차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71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720);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파이프(222)의 내부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밸브 바디(710)가 상기 탄성 부재(72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냉각 파이프(222)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222H)를 개방하는 초음파식 가습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파이프(211)(221)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증류 유닛(301)(302)에 의하여 증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 유닛(600)을 더 포함하는 초음파식 가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유닛(600)은,
    상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610);
    상기 포집부(610)의 상면을 차폐하고, 상기 포집부(6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적어도 1개의 유입구(621)가 형성되는 상면판(620); 및
    상기 유입구(621) 상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부(610)의 내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안내하고,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1개의 유입 가이드(630); 을 포함하는 초음파식 가습기.

KR1020190027546A 2019-03-11 2019-03-11 초음파식 가습기 KR102502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46A KR102502537B1 (ko) 2019-03-11 2019-03-11 초음파식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46A KR102502537B1 (ko) 2019-03-11 2019-03-11 초음파식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41A true KR20200108641A (ko) 2020-09-21
KR102502537B1 KR102502537B1 (ko) 2023-02-22

Family

ID=7270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546A KR102502537B1 (ko) 2019-03-11 2019-03-11 초음파식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5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4126A (ja) * 1996-05-30 1997-12-09 Konica Corp 電子冷却方式蒸発濃縮装置、及び電子冷却方式蒸発濃縮方法
JP2001116302A (ja) * 1999-10-20 2001-04-27 Nippon Carbureter Co Ltd 加湿器
KR20020074306A (ko) * 2001-03-20 2002-09-30 안정오 은용액을 이용한 가습 방법과 그 장치
KR20050063847A (ko) * 2003-12-18 2005-06-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이물질 수집장치를 갖는 드럼을 구비한 드럼세탁기
KR101901293B1 (ko) 2016-09-26 2018-09-28 주식회사 미로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KR20190003072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신성산업 가습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4126A (ja) * 1996-05-30 1997-12-09 Konica Corp 電子冷却方式蒸発濃縮装置、及び電子冷却方式蒸発濃縮方法
JP2001116302A (ja) * 1999-10-20 2001-04-27 Nippon Carbureter Co Ltd 加湿器
KR20020074306A (ko) * 2001-03-20 2002-09-30 안정오 은용액을 이용한 가습 방법과 그 장치
KR20050063847A (ko) * 2003-12-18 2005-06-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이물질 수집장치를 갖는 드럼을 구비한 드럼세탁기
KR101901293B1 (ko) 2016-09-26 2018-09-28 주식회사 미로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KR20190003072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신성산업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537B1 (ko) 202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958B1 (ko) 유체 내 물 함량을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R044911A1 (es) Equipo de aire acondicionado de tipo absorcion
CN103868184B (zh) 一种空调器无水加湿装置
CN204438841U (zh) 具有预冷装置的高温闭式冷却塔
KR20200108641A (ko) 초음파식 가습기
BRPI0406191A (pt) Estrutura básica de um equipamento de ar condicionado de tipo absorção
KR20180019884A (ko) 증발장치를 적용한 콘덴싱 보일러
US2167264A (en) Refrigerating apparatus
CN104296550A (zh) 一种气体制冷系统
CN106123158A (zh) 一种吸热翅片组带热防护结构的半导体除湿机
KR102648271B1 (ko) 정수기
CN206037795U (zh) 一种余热回收水循环装置
KR101696369B1 (ko) 원자력 발전소의 배기계통 내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KR101696373B1 (ko)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CN208843995U (zh) 一种用于石脑油加工的冷凝器
US4028904A (en) Preheater for weak absorbent
CN106247738A (zh) 用于低温蒸馏设备中的5℃循环冷却水装置
KR20110106711A (ko) 고온 증기 이용 방법 및 장치
WO2020054059A1 (ja) ガス化ガスの冷却およびタール除去装置
CN110779281A (zh) 一种多功能化验器皿清洗、杀菌及干燥装置及清洗方法
KR102519430B1 (ko) 백연 저감장치
CN110940202B (zh) 一种立式管内流潜热蒸发式空气冷却器及工艺
CN108870364A (zh) 一种螺旋纯蒸汽罐
CN207828364U (zh) 一种真空淬火炉用余热回收利用系统
CN101619880A (zh) 塔板式水、冰饱和气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302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214

Effective date: 2022012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