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373B1 -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373B1
KR101696373B1 KR1020100116848A KR20100116848A KR101696373B1 KR 101696373 B1 KR101696373 B1 KR 101696373B1 KR 1020100116848 A KR1020100116848 A KR 1020100116848A KR 20100116848 A KR20100116848 A KR 20100116848A KR 101696373 B1 KR101696373 B1 KR 10169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tium
air
water
bubbling
bubb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233A (ko
Inventor
이세엽
문기원
장영대
오용호
Original Assignee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11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3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BFUSION REACTORS
    • G21B1/00Thermonuclear fusion reactors
    • G21B1/11Details
    • G21B1/115Tritium reco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9/00Separation of different isotopes of the same chemical element
    • B01D59/10Separation by diffus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2Treating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10Nuclear fu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에 버블링 수단 등 삼중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모두 수납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실험실과 같은 특정 공간에 누출된 삼중수소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버블링 방식으로 오염공기 중의 삼중수소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버블링 장치(20)와; 케이스(10) 외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버블링 장치로 공급하는 링 블로워(11)와; 버블링 장치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유동관(30)과; 초음파 가습 및 냉각 방식을 통해 삼중수소를 2차적으로 제거하도록 공기유동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삼중수소 제거부(40)와; 공기유동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케이스의 내부가 차압상태를 유지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배출팬(12)과; 삼중수소 제거부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수분제거필터(31) 및 응축기(33)와; 버블링 장치 및 삼중수소 제거부로 물을 공급하고 회수하는 급수탱크(13) 및 배수탱크(14)와; 버블링 장치의 상측에 설치되어 버블링 장치에서 발생한 수분이 삼중수소 제거부로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수분제거기(15)와; 상기 버블링 장치 및 삼중수소 제거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18)과; 외부공기를 상기 버블링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배관(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Moving Type Tritium Removal System}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삼중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 내부에 버블링 수단 등 삼중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모두 수납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실험실과 같은 특정 공간에 누출된 삼중수소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압 중수로형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원자로의 운전에 필요한 냉각재 및 감속재로 중수(D2O)를 사용한다.
그런데, 원자로의 출력 운전 중 상기 중수의 일부가 중성자와 결합하여 삼중수소(Tritium, T 또는 3H)로 바뀌어 방사능을 발생하게 되며, 그 발생 농도는 발전소의 가동연수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삼중수소는 수소 동위 원소의 하나로서, 한 개의 양성자와 두 개의 중성자로 이루어진 질량수 3인 인공 방사성 원소이다. 이러한 삼중수소는 수소의 동위원소 중 가장 무거울 뿐만 아니라 베타 붕괴(β崩壞)를 하며, 반감기가 12.3년인 방사성 원소로서 대량 사용시 방사능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수는 배관이나 펌프의 씨일(Seal)부 등으로부터 증발을 통해 누설되는데, 이때 삼중수소도 함께 누설되어 공기 중에 증기(습분)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삼중수소는 저에너지의 베타선을 방출하여 작업자의 호흡 또는 피부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어 내부 피폭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중수를 냉각재 및 감속재로 사용하고 있는 가압 중수로형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작업자가 삼중수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중수로형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공기 중 삼중수소를 제거하는 제거설비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삼중수소 제거설비로 원자력 발전소 내의 각 지역별 삼중수소 및 습분을 동시에 제거하는 대형의 중수 증기 회수 시스템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공기 중의 삼중수소와 같은 방사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중 방사성 오염물질 제거방치 및 제거방법을 특허출원하여 특허 제10-0893680호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 단위의 삼중수소 및 습분을 제거하는 설비는 매우 대형이어서 설비의 설치 및 운전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특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삼중수소나 습분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즉, 실험실과 같은 특정 공간 내에 삼중수소가 누출되었을 경우, 삼중수소 제거설비가 설치되지 않았으면 삼중수소나 습분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삼중수소 제거설비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지역 단위가 아닌 특정 공간의 삼중수소 및 습분의 제거를 위하여 설비를 가동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삼중수소 제거설비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실험실과 같은 특정 공간에 누출된 삼중수소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블링 방식을 이용한 1차 제거작업과 냉각 응축 방식을 이용한 2차 제거작업을 차례로 실시하여, 오염공기 중의 삼중수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삼중수소의 농도에 따라 버블링 장치를 우회하여 냉각 응축 방식만으로 삼중수소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삼중수소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블링 방식으로 오염공기 중의 삼중수소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버블링 장치와; 케이스 외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버블링 장치로 공급하는 링 블로워와; 상기 버블링 장치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유동관과; 초음파 가습 및 냉각 방식을 통해 삼중수소를 2차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공기유동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삼중수소 제거부와; 상기 공기유동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케이스의 내부가 차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배출팬과;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수분제거필터 및 응축기와;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버블링 장치 및 삼중수소 제거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와,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 및 수분제거필터에 의해 발생한 물이 저장되는 배수탱크와; 상기 버블링 장치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버블링 장치에서 발생한 수분이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로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수분제거기와; 상기 급수탱크와 상기 버블링 장치 및 삼중수소 제거부의 가습기를 연결하는 급수배관과; 외부공기를 상기 버블링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수분제거기의 후방과 상기 버블링 장치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을 연결하여, 상기 링 블로워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버블링 장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에 직접 공급되도록 하며, 일측에 전동밸브가 구비된 바이패스 배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동관의 출구측과 상기 공기유입관을 연결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회수하도록 하고, 일측에 전동밸브가 구비된 배출공기 리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버블링 장치는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입설되며 상단 부분에 상기 공기유동관이 입구가 결합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링 블로워에서 공급된 오염공기에 의한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는 기포발생기와, 상기 수조의 내벽에 코팅된 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와, 상기 기포발생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기에서 발생한 기포를 작게 만들어 주는 1단 이상의 와이어메시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 및 와이어메시는 모두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는, 상기 급수탱크에서 공급된 물을 초음파 진동을 통해 미세한 물방울로 만들어 상기 수분제거기의 후방측으로 분사하는 초음파 가습기와, 상기 공기유동관에 설치되어 물을 포집하고 내벽에 촉매가 코팅된 물 회수부과, 상기 촉매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와, 상기 초음파 가습기에 의해 분사된 물방울에 의해 생성된 습분을 포함한 공기를 냉각 응축 방식으로 제습하는 냉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는, 상기 냉각판의 앞쪽에서 상기 냉각판에 접촉되어 제습효과를 향상시키는 철 수세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제1급수관에는 버블링시 물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전동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은, 케이스 내에 버블링 장치와 냉각 응축 방식의 삼중수소 제거부를 모두 수납하고 케이스 내부를 차압 상태로 유지하면서 오염공기 중의 삼중수소를 제거하게 되므로, 거대한 설비를 구축하지 않고 실험실과 같은 특정 공간으로 이동시켜 오염공기를 빠르게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기포발생기로 기포를 발생시켜 버블링 방식으로 삼중수소를 1차 제거한 후 건조시키고, 미세한 물방울을 이용한 가습 및 냉각 제습을 통한 냉각 응축 방식으로 삼중수소를 2차 제거하게 되므로, 오염공기 중의 삼중수소 제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삼중수소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오염공기가 버블링 장치를 바이패스하여 삼중수소 제거부로만 공급되어 삼중수소 제거작업이 1회만 이루어지게 되므로, 버블링에 따른 습도 증가로 인해 삼중수소 제거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공기유동관의 출구로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일부를 회수하여 유입되는 오염공기와 혼합함으로써, 삼중수소 제거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삼중수소 제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버블링 장치에서 오염공기를 기포로 만들고, 와이어메시를 이용하여 미세화한 상태에서 촉매 반응을 통해 히드록시라디칼을 생성하게 되므로, 오염공기 중의 삼중수소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버블링 장치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삼중수소 제거부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링 방식으로 오염공기 중의 삼중수소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버블링 장치(20)와; 케이스(10) 외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버블링 장치(20)로 공급하는 링 블로워(11)와; 상기 버블링 장치(20)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유동관(30)과; 초음파 가습 및 냉각 방식을 통해 삼중수소를 2차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공기유동관(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삼중수소 제거부(40)와; 상기 공기유동관(3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가 차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배출팬(12)과;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수분제거필터(31) 및 응축기(33)와; 상기 버블링 장치(20) 및 삼중수소 제거부(40)로 물을 공급하고 회수하는 급수탱크(13) 및 배수탱크(14)와; 상기 버블링 장치(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버블링 장치(20)에서 발생한 수분이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로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수분제거기(15)와; 상기 버블링 장치(20) 및 삼중수소 제거부(4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18)과; 외부공기를 상기 버블링 장치(2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배관(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급수배관(18)은, 상기 급수탱크(13)와 상기 버블링 장치(20)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18a)과; 상기 급수탱크(13)와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의 가습기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18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버블링 장치(20)에 연결되는 제1급수관(18b)에는 버블링시 물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전동밸브(18c)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공기배관(19)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링 블로워(11)에 연결된 공기유입관(19a)과, 상기 링 블로워(11)와 상기 버블링 장치(20)의 기포발생장치(22)를 연결하는 공기공급관(19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관(19b)과 상기 수분제거기(15)의 후방을 연결하여 상기 링 블로워(11)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버블링 장치(2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에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배관(50)이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50)의 일측에는 전동밸브(51)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삼중수소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버블링 장치(20)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여, 버블링 과정에서의 수분 증발로 인해 저농도에서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관(30)의 출구측과 상기 공기유입관(19a)을 연결하여 상기 공기유동관(30)의 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회수하도록 하는 배출공기 리턴관(55)이 더 설치되고, 상기 배출공기 리턴관(55)의 일측에도 전동밸브(56)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배출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배출공기에서의 삼중수소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 케이스 내부의 차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블링 장치(20)는,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면에 입설되며 상단 부분에 상기 공기유동관(30)이 입구가 결합되는 수조(21)와, 상기 수조(21)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링 블로워(11)에서 공급된 오염공기에 의한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는 기포발생기(22)와, 상기 수조(21)의 내벽에 코팅된 이산화티탄(TiO2) 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23)와, 상기 기포발생기(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기(22)에서 발생한 기포를 작게 만들어 주는 적어도 1단 구조의 와이어메시(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자외선 램프(23) 및 와이어메시(24)는 모두 수면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는, 상기 급수탱크(13)에서 공급된 물을 초음파 진동을 통해 미세한 물방울로 만들어 상기 수분제거기(15)의 후방측으로 분사하는 초음파 가습기(41)와, 상기 공기유동관(30)에 설치되어 물을 포집하고 내벽에 이산화티탄(TiO2) 촉매가 코팅된 물 회수부(42)와, 상기 촉매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43)와, 상기 초음파 가습기(41)에 의해 분사된 물방울에 의해 생성된 습분을 포함한 공기를 냉각 응축 방식으로 제습하는 냉각판(44)과, 상기 냉각판(44)의 앞쪽에서 상기 냉각판(44)에 접촉되어 제습효과를 향상시키는 철 수세미(4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철 수세미(45)의 앞 부분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상기 수조(21)로 보냄으로써 상기 수조(21)의 수면이 하강하는 것을 최대한 늦추기 위한 제1배수관(16) 및 상기 냉각판(44)의 뒤 부분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상기 배수탱크(14)로 회수하기 위한 제2배수관(17)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은 필요한 위치로 이동한 후 삼중수소를 제거하게 된다.
링 블로워(11)의 동작에 따라 공기유입관(19a)을 통해 오염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이 외부공기는 공기공급관(19b)을 통해 버블링 장치(20)의 기포발생기(22)로 공급되며, 수조(21) 속의 물로 인하여 기포가 생성된다.
상기 기포발생기(22)에서 발생한 기포는 그 상부에 2단으로 설치된 와이어메시(24)를 통과하면서 그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기포를 작게 만드는 것은, 물과의 접촉면적을 늘려 기포 속의 삼중수소가 물에 잘 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삼중수소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 버블링에 따른 수면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자외선 램프(23)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수조(21)의 내벽에 코팅된 이산화티탄 촉매를 활성화시키고 있으므로, 기포 속의 삼중수소가 촉매에 의해 물과 반응하여 히드록시라디칼(OH 라디칼)을 형성하게 되어 삼중수소의 제거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수조(21)를 빠져나온 공기는, 수분제거기(15)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삼중수소 제거부(40)로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에서는, 초음파 가습기(41)에 의해 생성된 대략 직경 3㎛ 정도의 미세한 물방울로 가습하여 습분을 형성하게 되고, 자외선 램프(43)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촉매를 이용하여 히드록시라디칼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냉각판(44)과 그 전면에 위치한 철 수세미(45)를 이용하여 냉각 응축 방식으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게 된다.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에서는 이러한 가습 및 제습 작용을 통해 공기 중의 삼중수소를 최대한 제거하게 되며, 응축된 수분은 상기 수조(21)에 연결된 제1배수관(16)을 통해 수조로 흘러내림으로써, 버블링 과정에서 증발한 물로 인해 상기 수조(21) 내의 수위가 빠르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냉각판(44)을 통과한 공기는 수분제거필터(31)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되며, 응축기(33)를 통과하면서 온도는 올라가고 습도가 하강된 상태로 공기유동관의 출구를 통해 케이스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냉각판의 후단의 응축수는 제2배수관(17)을 통해 배수탱크로 배출되고,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배출팬(12)이 상기 공기유동관(3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케이스(10) 내부가 차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공기유동관(30)의 출구 부분에는 배출공기 리턴관(55)이 연결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전동밸브(56)를 개방하여 배출공기의 일부를 상기 공기유입관(19a)으로 재유입시킴으로써 삼중수소의 제거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 이상의 운전으로 인해 실내의 삼중수소 농도가 낮아지면, 오염된 공기가 버블링 장치(20)를 바이패스하여 삼중수소 제거부(40)에서만 응축 냉각 방식으로 삼중수소가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삼중수소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삼중수소 제거작업을 이중으로 실시하지 않고 한 가지 방식으로만 삼중수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포발생기(22)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9b)에 연결된 바이패스 배관(50)의 전동밸브(51)를 개방하게 되며, 이로 인해 링 블로워(1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기포발생기(22)가 아닌 삼중수소 제거부(40)의 전방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버블링 방식을 이용한 삼중수소 제거작업은 이루어지지 않고, 냉각 응축 방식에 의해서만 삼중수소가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케이스(Case) 11: 링 블로워(Ring Blower)
12: 배출팬 13: 급수탱크
14: 배수탱크 15: 수분제거기
16: 제1배수관 17: 제2배수관
18: 급수배관 18a: 제1급수관
18b: 제2급수관 18c: 전동밸브
19: 공기배관 19a: 공기유입관
19b: 공기공급관 20: 버블링(Bubbling) 장치
21: 수조 22: 기포발생기
23: 자외선 램프 24: 와이어메시(Wire Mesh)
30: 공기유동관 31: 수분제거필터
33: 응축기 40: 삼중수소 제거부
41: 초음파 가습기 42: 물 회수부
43: 자외선 램프 44: 냉각판
45: 철 수세미 50: 바이패스 배관
51: 전동밸브 55: 배출공기 리턴관
56: 전동밸브

Claims (7)

  1. 버블링 방식으로 오염공기 중의 삼중수소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버블링 장치(20)와;
    케이스(10) 외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버블링 장치(20)로 공급하는 링 블로워(11)와;
    상기 버블링 장치(20)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유동관(30)과;
    초음파 가습 및 냉각 방식을 통해 삼중수소를 2차적으로 제거하도록 상기 공기유동관(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삼중수소 제거부(40)와;
    상기 공기유동관(3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가 차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배출팬(12)과;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수분제거필터(31) 및 응축기(33)와;
    상기 버블링 장치(20) 및 삼중수소 제거부(40)로 물을 공급하고 회수하는 급수탱크(13) 및 배수탱크(14)와;
    상기 버블링 장치(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버블링 장치(20)에서 발생한 수분이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로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수분제거기(15)와;
    상기 버블링 장치(20) 및 삼중수소 제거부(4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18)과;
    외부공기를 상기 버블링 장치(2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배관(19);을 포함하며,
    상기 버블링 장치(20)는,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면에 입설되며 상단 부분에 상기 공기유동관(30)이 입구가 결합되는 수조(21)와, 상기 수조(21)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링 블로워(11)에서 공급된 오염공기에 의한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는 기포발생기(22)와, 상기 수조(21)의 내벽에 코팅된 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23)와, 상기 기포발생기(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기(22)에서 발생한 기포를 작게 만들어 주는 1단 이상의 와이어메시(24)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23) 및 와이어메시(24)는 모두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기(15)의 후방과 상기 버블링 장치(20)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9b)을 연결하여, 상기 링 블로워(11)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버블링 장치(2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에 직접 공급되도록 하며, 일측에 전동밸브(51)가 구비된 바이패스 배관(5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관(30)의 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회수하도록 하고, 일측에 전동밸브(56)가 구비된 배출공기 리턴관(5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는, 상기 급수탱크(13)에서 공급된 물을 초음파 진동을 통해 미세한 물방울로 만들어 상기 수분제거기(15)의 후방측으로 분사하는 초음파 가습기(41)와, 상기 공기유동관(30)에 설치되어 물을 포집하고 내벽에 촉매가 코팅된 물 회수부(42)와, 상기 촉매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43)와, 상기 초음파 가습기(41)에 의해 분사된 물방울에 의해 생성된 습분을 포함한 공기를 냉각 응축 방식으로 제습하는 냉각판(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삼중수소 제거부(40)는, 상기 냉각판(44)의 앞쪽에서 상기 냉각판(44)에 접촉되어 제습효과를 향상시키는 철 수세미(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배관(18) 중 상기 버블링 장치(20)에 연결되는 제1급수관(18b)에는, 버블링시 물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전동밸브(18c)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KR1020100116848A 2010-11-23 2010-11-23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KR10169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48A KR101696373B1 (ko) 2010-11-23 2010-11-23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48A KR101696373B1 (ko) 2010-11-23 2010-11-23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33A KR20120055233A (ko) 2012-05-31
KR101696373B1 true KR101696373B1 (ko) 2017-01-16

Family

ID=4627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848A KR101696373B1 (ko) 2010-11-23 2010-11-23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147A (ko) 2022-09-29 2024-04-05 김용수 저온증류 농축에 의한 삼중수소수 분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237B1 (ko) * 2019-07-31 2020-09-17 한국원자력연구원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2458860B1 (ko) * 2020-05-29 2022-10-26 한국원자력연구원 모듈식 배가스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785Y1 (ko) * 2000-10-24 2001-10-31 대한원자력산업 주식회사 공기 중 삼중수소 포집 정화장치
KR100893680B1 (ko) * 2008-10-16 2009-04-17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공기 중 방사성 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563199B1 (ko) 2014-04-16 2015-10-27 (주)코라솔 삼중수소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160B2 (ja) * 1988-09-30 1995-05-17 日本原子力研究所 トリチウム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785Y1 (ko) * 2000-10-24 2001-10-31 대한원자력산업 주식회사 공기 중 삼중수소 포집 정화장치
KR100893680B1 (ko) * 2008-10-16 2009-04-17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공기 중 방사성 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563199B1 (ko) 2014-04-16 2015-10-27 (주)코라솔 삼중수소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147A (ko) 2022-09-29 2024-04-05 김용수 저온증류 농축에 의한 삼중수소수 분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33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9208A1 (ja) 原子力発電プラント
RU2015107005A (ru) Защитная система защитной оболочки для ядерной техн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CN206881395U (zh) 一体化废气处理设备
KR101055592B1 (ko) 수벽 회전식 오염공기 정화장치
TW201604139A (zh) 用於海水泡沫控制之消泡裝置及使用方法
KR101696373B1 (ko)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TWI666652B (zh) 核反應器冷卻劑系統之去氣裝置
CN107469552A (zh) 一种可氧化挥发性有机物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893680B1 (ko) 공기 중 방사성 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696369B1 (ko) 원자력 발전소의 배기계통 내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KR101633378B1 (ko) 원자력발전소의 보조건물 배기처리설비
CN107497223A (zh) 一种空气净化装置与净化方法
CN207324460U (zh) 离子除臭装置
KR20180132290A (ko) 가습과 자외선에 의한 살균 및 광촉매와 전기집진기능을 겸비한 공기살균기
CN204637990U (zh) 一种基于光催化的有机废气处理装置
CN104923074A (zh) 一种基于光催化的有机废气处理装置
CN205627572U (zh) 一种垃圾渗滤液恶臭气体净化成套装置
CN204563851U (zh) 一种带有除雾器的等离子体处理铸造废气的设备
KR100956694B1 (ko) 고체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563199B1 (ko) 삼중수소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0996290B1 (ko) 삼중수소수 오염공기의 정화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정화호흡기
KR200248785Y1 (ko) 공기 중 삼중수소 포집 정화장치
CN209438376U (zh) 一种系统内循环增压滤空气净化机
CN105895183A (zh) 含碳-14废气处理方法及系统
JP4223876B2 (ja) 原子炉からの放射性ヨウ素の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