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237B1 -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 Google Patents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237B1
KR102157237B1 KR1020190093403A KR20190093403A KR102157237B1 KR 102157237 B1 KR102157237 B1 KR 102157237B1 KR 1020190093403 A KR1020190093403 A KR 1020190093403A KR 20190093403 A KR20190093403 A KR 20190093403A KR 102157237 B1 KR102157237 B1 KR 102157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hydrogen removal
opening
receiving spa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준
정문
강한옥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9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4Means for suppressing fires ; Earthquake protection
    • G21C9/06Means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explosives gases, e.g. recomb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에 냉각수를 저장하는 수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폐쇄 시 저면부가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저면부가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 배치되는 해치부; 및 상기 수용공간상에 존재하는 수소를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치부의 저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해치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해치부의 저면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소제거부를 포함하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PASSIVE AUTOCATALYTIC RECOMBINER AND NUCLEAR POWER PLA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전 사고 시 발생하는 수소의 제거를 위한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에 관한 것이다.
원전 사고 시 피동력에 의하여 격납건물 내부로 방출되어 확산되는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낮추기 위한 방사성 물질 저감설비의 구성품 중에 하나로서, 원자로로부터 재장전수조 내로 방출된 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피동형 수조제거장치(PAR: Passive Autocatalytic Recombiner)가 재장전수조 내에 설치된다. 재장전수조의 내부는 수위 7m정도의 물이 차있고, 재장전수조 내의 상부 영역에는 기체부가 2.5m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피동형 수소제거장치(PAR)는 일반적으로 재장전수조 내의 상부 천장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된다.
종래의 피동형 수소제거장치(PAR)의 설치 구조의 경우, 재장전수조 내의 상부 천장에 매달려 있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PAR)의 유지보수 작업 필요 시에 재장전수조의 상부에 마련된 해치(hatch)를 열고 작업자가 재장전수조 내부로 투입되어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재장전수조의 내부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7m정도 수위로 물이 저장되어 있어, 유지보수 작업자는 재장전수조 내부에 7m 정도의 깊이로 저장된 물 상부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동형 수소제거장치(PAR)가 설치된 재장전수조 내의 상부 영역에는 유해성 가스가 다량 존재하며, 재장전수조의 내부는 어두우며 작업하기 매우 협소한 환경으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여러 가지 위험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피동형 수소제거장치(PAR)의 유지보수 시 작업자의 유해한 작업환경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PAR)의 설치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재장전수조 내에 설치되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의 유지보수와 설치 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는,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에 냉각수를 저장하는 수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폐쇄 시 저면부가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저면부가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 배치되는 해치부; 및상기 수용공간상에 존재하는 수소를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치부의 저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해치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해치부의 저면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소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동형 수소제거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해치부의 저면부에 장착된 상기 수소제거부를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수소제거부를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해치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 및 상기 해치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와 상기 해치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2 실린더는, 각각 길이가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동형 수소제거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상부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해치부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동형 수소제거장치는, 상기 커버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는 상기 수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커버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수용부는, 상기 커버부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수용공간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수용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어, 각각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동형 수소제거장치는, 상기 수조의 상부와 상기 해치부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치부는, 상기 힌지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소제거부를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원전은, 상기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상기 수조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여, 상기 수조의 외부에서 발생된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증기와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방출관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수소제거부가 해치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해치부의 저면부에 장착된 상태로 수조 내부의 수용공간상에 배치되거나,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수소제거부의 유지보수와 설치가 수조의 상면상 비교적 넓은 작업 공간에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해성 가스가 존재하며, 어둡고 좁은 수조 내부에서의 수소제거부에 대한 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수소제거부가 수조 내부의 천장에 매달린 형태의 설치구조에서는 수소제거부의 유지보수와 설치가 수조 내부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수조 내부의 상부 영역에는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반영해야만 했다. 반면, 본 발명의 수소제거부에 대한 유지보수와 설치는 수조의 외부 공간에서 이루어지므로, 수조 내부에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추가적으로 만들 필요가 없어 수조의 크기를 종래에 비하여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전의 설계 시에 고려해야할 제약사항을 완화할 수 있는 한편, 원전의 운용적인 측면에서도 원전의 전체적인 규모가 줄어듬에 따라 유지보수를 포함하는 원전 운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소제거부의 유지보수 시, 해치부가 수조의 개구부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해치부가 수조의 개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커버부가 이동하여 수조의 개구부를 가로막은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팅부의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길이가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일 예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소제거부의 유지보수 시, 해치부가 수조의 개구부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해치부가 수조의 개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커버부가 이동하여 수조의 개구부를 가로막은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10)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소제거부(120)의 유지보수 시, 해치부(110)가 수조(11)의 개구부(11b)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해치부(110)가 수조(11)의 개구부(11b)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커버부(140)가 이동하여 수조(11)의 개구부(11b)를 가로막은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팅부(130)의 제1 실린더(131)와 제2 실린더(132)의 길이가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일 예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원전(10)은,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와 방출관(13)을 포함한다. 원전(10)은 예를 들어, SMART와 같은 일체형 원자로로 구성될 수 있다. 원전(10)은 사고 시 격납건물(미도시) 내부에서 방출 및 확산되는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낮추기 위한 방사성 물질 저감설비를 구비하는데, 상기 방사성 물질 저감설비 중에는 피동력에 의해 수소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가 있다. 상기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11c)를 저장하는 수조(11)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11a)상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방출관(13)을 통해 수조(11) 내에 저장된 냉각수(110c)로 유입된 후 수조(11)의 상부 영역으로 상승하는 수소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수조(11) 내의 일 영역에 수소가 모이는 경우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
방출관(13)은, 수조(11)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여, 수조(11)의 외부 예를 들어, 상기 격납건물 내부에서 발생된 방사선 물질을 포함하는 증기와 공기를 수조(11)의 수용공간(11a)의 하부 영역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원전(10)은, 냉각수(15b)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5a)을 구비하며 상기 수조(1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11)에 저장된 냉각수(11c)와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에 의해 1차적으로 제거되지 못한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증기와 공기를 다시 공급받고, 공급된 상기 방사성 물질을 2차적으로 저감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보조탱크(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탱크(15)의 내부와 상기 수조(11)의 내부는 수조(11)의 수용공간(11a)과 보조탱크(15) 내부를 연결하는 보조관(1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보조관(16)을 통해 상기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증기와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는 해치부(110) 및 수소제거부(120)를 포함한다.
해치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1b)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형성된다. 수조(11)는 수조(11)의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11a)에 냉각수(11c)를 저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b)의 폐쇄 시 저면부(110a)가 수조(11)의 수용공간(11a)상에 배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b)의 개방 시 상기 저면부(110a)가 상기 수용공간(11a) 밖으로 이동 배치된다. 상기 해치부(110)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조(11)의 개구부(11b)는, 수조(1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수조(11)의 측면 중 상측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구부(11b)가 수조(11)의 측면 중 상측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해치부(110)는 개구부(11b)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형성된다. 해치부(110)와 상기 개구부(11b)의 경계에는, 개구부(11b)의 밀봉을 위한 씰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수소제거부(120)는, 상기 수조(11)의 수용공간(11a)상에 존재하는 수소를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해치부(110)의 저면부(110a)에 장착되어, 해치부(110)의 개폐 동작에 따라 해치부(110)의 저면부(110a)에 장착된 상태로 수조(11)의 수용공간(11a)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용공간(11a) 밖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수소제거부(120)는 수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수용공간(11a)상에서 유동하는 수소가 수소제거부(120)를 통과하면서 수소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피동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는, 리프링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부(130)는, 수조(11)의 수용공간(11a)을 향하거나 상기 수용공간(1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해치부(110)에 결합되어, 해치부(110)의 저면부(110a)에 장착된 수소제거부(120)를 수조(11)의 수용공간(11a)상에 배치시키거나, 수소제거부(120)를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팅부(130)는 제1 실린더(131)와 제2 실린더(132) 및 제1 회전축(131a)과 제2 회전축(13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131)와 제2 실린더(132)는, 해치부(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수조(11)의 수용공간(11a)을 향하거나 상기 수용공간(1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실린더(131)와 제2 실린더(132)는 예를 들어, 유압 또는 공압을 길이 조절에 이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31a)과 제2 회전축(132a)은 해치부(110)에 결합되는 제1 실린더(131)와 제2 실린더(132)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및 제2 실린더(131,132)와 해치부(11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린더(131)와 제2 실린더(132)는 각각 길이가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131)와 제2 실린더(132)는, 길이가 동일하게 증가되는 경우, 수조(11)의 개구부(11b)로부터 이격된 해치부(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해치부(110)의 저면부(110a)가 기울어짐 없이 수평한 상태로 놓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131)와 제2 실린더(132)는 해치부(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치부(110)의 저면부(110a)가 해치부(110)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실린더(131,132)와 제1 및 제2 회전축(131a,132a)의 구성에 의하면, 수소제거부(120)가 수조(11) 밖으로 이동 배치된 상태에서, 수소제거부(120)의 유지보수 및 설치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작업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는 커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40)는, 수조(11)의 개구부(11b)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b)를 가로막도록 형성된다. 커버부(140)는, 개구부(11b)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b)를 전체적으로 가로막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상기 개구부(11b)의 일부분을 가로막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40)는 해치부(110)가 수조(11)의 개구부(11b)를 개방시키면서 수소제거부(120)를 수조(11) 밖으로 이동 배치시킨 상태에서, 개구된 상태의 상기 개구부(11b)를 가로막아 수소제거부(120)의 유지보수 및 설치 시 낙하 방지 등 작업자에게 보다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수조(11)의 상면 공간과 함께 수소제거부(120)의 유지보수 및 설치를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는, 커버수용부(151,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수용부(151,152)는, 상기 커버부(140)를 수용하도록 상기 수조(11)의 개구부(11b)와 인접하는 수조(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커버수용부(151,152)가, 수조(11)의 수용공간(11a)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커버수용부(151,152)는 수조(11)의 외부 예를 들어, 수조(11)의 상면상에서 상기 개구부(11b)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수용부(151,152)가 수용공간(11a)에 형성되는 경우, 수조(11)의 외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수조(11)의 상면상에 상기 커버수용부(151,152)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만들지 않아도되므로, 수조(11)의 상면 구조를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조(11)의 상면상의 실질적인 작업 공간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커버수용부(151,152)가 수용공간(11a)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131,132)와의 간섭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40)는 커버수용부(151,152)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11b)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은, 커버부(140)와 커버수용부(151,15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140)를 상기 커버수용부(151,152)상에서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40)의 슬라이드 이동은 상기 엑추에이터가 아닌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커버수용부(151,152)는, 제1 수용부(151)와 제2 수용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51)와 제2 수용부(152)는, 수조(11)의 개구부(11b)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어, 커버부(14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부(151)와 제2 수용부(152)는 커버부(140)의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수용부(151,152)의 구조에 의하면, 커버부(140)상에 작업자 등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커버부(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커버부(140)가 수조(11)의 수용공간(11b)으로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51)와 제2 수용부(152)는 상기 커버부(140)를 수용하는 체적이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10)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10)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소제거부(120)의 유지보수 시, 해치부(110)가 수조(11)의 개구부(11b)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해치부(110)가 수조(11)의 개구부(11b)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커버부(140)가 이동하여 수조(11)의 개구부(11b)를 가로막은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는 힌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힌지부(160)를 제외한 제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피동형 수소제거장치(100) 및 원전(10)을 이루는 다른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일한 참조번호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힌지부(160)는, 수조(11)의 상부 예를 들어, 수조(11)의 상면과 해치부(110)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해치부(110)는, 힌지부(16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다라 수소제거부(120)를 수조(11)의 수용공간(11a)상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수용공간(11a) 밖으로 이동 배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부(160)의 회전 동작은, 상기 힌지부(160)의 회전되는 축과 연결되어 상기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160)를 회전시키는 동작은, 상기 구동부의 구성 없이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수동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0 :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110 : 해치부
120 : 수소제거부 130 : 리프팅부
131 : 제1 실린더 131a : 제1 회전축
132 : 제2 실린더 132a : 제2 회전축
140 : 커버부 151,152 : 커버수용부
151 : 제1 수용부 152 : 제2 수용부
160 : 힌지부 10 : 원전
11 : 수조 11a,15a : 수용공간
11b : 개구부 11c,15b : 냉각수
13 : 방출관 15 : 보조탱크
16 : 보조관

Claims (9)

  1.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에 냉각수를 저장하는 수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폐쇄 시 저면부가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저면부가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 배치되는 해치부; 및
    상기 수용공간상에 존재하는 수소를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치부의 저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해치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해치부의 저면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소제거부를 포함하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해치부의 저면부에 장착된 상기 수소제거부를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수소제거부를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팅부를 더 포함하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해치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 및
    상기 해치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와 상기 해치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2 실린더는, 각각 길이가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상부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해치부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는 상기 수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커버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수용부는, 상기 커버부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수용공간상에 형성되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용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어, 각각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부와 상기 해치부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치부는, 상기 힌지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소제거부를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이동 배치시키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 따르는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상기 수조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여, 상기 수조의 외부에서 발생된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증기와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방출관을 포함하는 원전.
KR1020190093403A 2019-07-31 2019-07-31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2157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403A KR102157237B1 (ko) 2019-07-31 2019-07-31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403A KR102157237B1 (ko) 2019-07-31 2019-07-31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37B1 true KR102157237B1 (ko) 2020-09-17

Family

ID=7270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403A KR102157237B1 (ko) 2019-07-31 2019-07-31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4096A (ja) * 1999-03-31 2000-10-13 Hitachi Ltd 放射性同位元素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120055233A (ko) * 2010-11-23 2012-05-31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JP2014020997A (ja) * 2012-07-20 2014-02-03 Toshiba Corp 原子炉格納容器の水素除去装置及び水素除去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4096A (ja) * 1999-03-31 2000-10-13 Hitachi Ltd 放射性同位元素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120055233A (ko) * 2010-11-23 2012-05-31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JP2014020997A (ja) * 2012-07-20 2014-02-03 Toshiba Corp 原子炉格納容器の水素除去装置及び水素除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8787B1 (en) Method of handling a nuclear reactor and an apparatus used in the handling method
RU25734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грузки-разгрузки барабанов,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орош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JP6916239B2 (ja) 原子炉建屋全体カバー装置及び原子炉建屋準備作業方法
KR102157237B1 (ko)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548517B1 (ko)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US6625245B1 (en) Method of handling reactor vessel
US6004090A (en) Charging device for a blast furnace
KR102151563B1 (ko) 케미컬 유출 차단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미컬 샘플링 장치
US6731715B2 (en) Reactor vessel handling method
RU2245585C2 (ru) Захват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JP4088796B2 (ja) 原子炉圧力容器の解体工法
JP4055157B2 (ja) 原子炉圧力容器交換方法
US4259979A (en) Closure fixture and assembly cap
JP6874407B2 (ja) 廃棄物収納容器
JP6668747B2 (ja) 燃料回収方法
JP7267894B2 (ja) 原子炉圧力容器の解体工法及びその装置
US20050238130A1 (en) Refueling work platform
US4786460A (en) Installation for handling assemblies forming the core of a fast neutron nuclear reactor
JP4097990B2 (ja) 選別乾燥充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カプセル支持装置
JP6230964B2 (ja) 燃料デブリ取出し装置と燃料デブリ取出し方法
RU24447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аряжения ампул
KR20220107055A (ko) 격납 시스템
JPH0140319B2 (ko)
JP2024051957A (ja) 放射性物質の収納装置および保管方法
RU103657U1 (ru) Устройство монтажа-демонтажа блока труб реак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