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337B1 -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 Google Patents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337B1
KR101541337B1 KR1020140122309A KR20140122309A KR101541337B1 KR 101541337 B1 KR101541337 B1 KR 101541337B1 KR 1020140122309 A KR1020140122309 A KR 1020140122309A KR 20140122309 A KR20140122309 A KR 20140122309A KR 101541337 B1 KR101541337 B1 KR 10154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floating
floating humidifier
humidifi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씨
Priority to KR102014012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337B1/ko
Priority to JP2017534510A priority patent/JP6436372B2/ja
Priority to CN201580049610.3A priority patent/CN107076441B/zh
Priority to US15/511,447 priority patent/US20170252768A1/en
Priority to PCT/KR2015/009606 priority patent/WO201604348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15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at the free surface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container and subjected to the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B01F23/21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 B01F23/213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using electric, sonic or ultrason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53Details
    • B05B17/0676Feeding means
    • B05B17/0684Wi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38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by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rough a pl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orifices
    • B05B17/0646Vibrating plates, i.e. plates being directly subjected to the vibrations, e.g. having a piezoelectric transducer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는, 물이 저장된 수용공간 내에 부유식 가습기가 부유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식 가습기용 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설치면에 안착되는 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하부 몸체 및, 하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곡면으로 밴딩 성형되어, 외력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된 물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재투입시키는 상부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WATER TANK STRUCTURE OF FLOATING TYPE HUMIDIFIER}
본 발명은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용기가 설치면에 넓은 면적으로 안착될수 있고, 외력에 의해 유동된 물이 용기의 외부로 넘치지 않고 수용공간으로 재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의 안정성과 사용의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건조한 실내에 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습기는 가습방식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식 가습기와 히터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먼저, 초음파 가습기는 수조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해 물을 미세한 물방울로 변화시킨 후, 송풍 팬을 이용해 미세한 물방울을 무화 상태로 분무하는 방식인 반면, 가열식 가습기는 수조에 설치된 히터의 열을 이용해 물을 증기화시킨 후, 송풍 팬을 이용해 증기를 무화 상태로 분무하는 방식이다.
상기한 두 종류의 가습기는, 고적적인 설치면에 설치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으로, 세균 증식 및 세척 문제가 큰 단점으로 부각되고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비교적 세척 등의 관리가 편리한 천연식 가습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천연식 가습기 중에는, 비교적 세척 등의 관리가 간편한 부유식 가습기가 많이 사용되는데, 상기 부유식 가습기는 물이 수용된 수조의 내부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뷰유식 가습기는 수조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부유하면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미세한 물 입자로 변화시킨 후, 송풍 팬을 이용해 물 입자를 무화 상태로 배출시키는 방식을 갖는다.
그리고, 종래의 부유식 가습기는 전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방식과,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상태로 초음파 진동자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선을 이용한 유선 방식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부유식 가습기는 전원선을 이용한 유선 방식을 사용할 경우, 전원선이 고정적으로 위치되지 않으므로, 전원선의 유동에 의해 부유식 가습기가 이동되거나 수조의 벽면에 충돌될 염려가 있었다.
그리고, 부유식 가습기를 부유시키기 위한 수조가 외력에 의해 넘어지거나 유동되어 수조와 부유식 가습기가 파손될 염려가 있었고,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이 유동되어 수조의 외부로 넘칠 염려가 있어, 전기 누설에 의한 감전 사고의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4967호(2014년 03월 1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부유식 가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가 설치면에 넓은 면적으로 안착되고, 외력에 의해 유동된 물이 용기의 외부로 넘치지 않고 수용공간으로 재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쉽게 넘어지지 않아 설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전기 누설에 의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유식 가습기의 전원선을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부유식 가습기가 전원선의 유동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부유식 가습기와 용기가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는, 물이 저장된 수용공간 내에 부유식 가습기가 부유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식 가습기용 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설치면에 안착되는 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하부 몸체 및, 하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곡면으로 밴딩 성형되어, 외력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된 물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재투입시키는 상부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개방 부위는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의 하면과 상단의 테두리 부위는 물의 수평 이동에 의한 수평 하중을 상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외부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설치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하단에는 볼록한 요철 또는 홈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과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은 수평 회전에 의한 나사결합 방식, 초음파 융착 방식, 접착제 부착 방식, 이중 사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면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부유식 가습기의 전원선이 거치될 수 있도록 오목한 삽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부유식 가습기가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더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하면을 넓게 형성시켜 설치면에 높은 밀착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외력에 유동된 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고 수용공간으로 재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용기가 외력에 의해 쉽게 넘어지지 않아 설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전기 누설에 의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부유식 가습기의 전원선을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부유식 가습기가 전원선의 유동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부유식 가습기와 용기가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에서 상부 몸체에 삽입홈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에서 상부 몸체의 내주에 완충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에서 하부 몸체에 손잡이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에서 상부 몸체에 삽입홈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는 물이 저장된 수용공간(110) 내에 부유식 가습기(20)가 부유하는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는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200)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부 몸체(1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설치면(방바닥, 테이블 등, 1)에 안착되는 하면(120)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몸체(100)의 하단은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몸체(100)의 측면은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의 하중이 직각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몸체(100)는 도 1에서처럼 상방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하부 몸체(100)의 형상은 사각, 다각, 타원 등의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100)는 합성수지, 금속 등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하부 몸체(10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 몸체(100)는 외부에서 부유식 가습기(10)의 부유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를 사용하거나, 미려함을 강조하기 위해 다양한 그림이나 색상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 몸체(100)의 하면과 상단의 테두리 부위는 물의 수평 이동에 의한 수평 하중을 상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외부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몸체(100)의 하면과 상단의 테두리 부위를 곡면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측방으로 유동되는 물의 하중이 상기 하부 몸체(100)의 측면을 따라 상부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100)의 하면(120)은 설치면(1)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므로, 상기 하부 몸체(100)가 물의 유동에 의해 쉽게 이동되거나 넘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하부 몸체(100)의 하면(120)에는 도 1과 도 2에서처럼 설치면(1)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130)가 일정 두께로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30)는, 고무,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30)의 상단과 하부 몸체(100)의 하면(120)은 접착제(B)를 이용해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30)와 하부 몸체(100)의 하면(120)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해 관통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30)의 하단에는 볼록한 요철 또는 홈(131)이 다수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30)의 하단에 홈(131)을 형성시키는 경우,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30)의 하단과 설치면(1)을 일정 흡착력이 형성되므로, 하부 몸체(100)의 설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30)는 하부 몸체(100)를 설치면(1)에 설치시 하부 몸체(100)의 하면(120)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몸체(200)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고리 형태의 손잡이(140)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14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부 몸체(200)의 측면으로부터 고리 형태로 돌출 형성시키거나, 상기 상부 몸체(200)의 벽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몸체(200)의 내부로 삽입 위치된 형태로 성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손잡이(140)는, 상부 몸체(200)와 동일 소재를 이용해 일체로 성형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해 결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40)를 파지한 상태로 용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 몸체(200)는, 중심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몸체(200)의 하단이 하부 몸체(100)의 상단에 대응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몸체(200)는, 하부 몸체(100)의 수용공간(110) 내에 수용된 물이 외력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시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몸체(200)은 상단이 상부로 연장되면서 수용공간(110)을 향해 곡면으로 밴딩 성형된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몸체(200)의 상부 개방 부위는 수용공간(110)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몸체(200)의 하단과 전술한 하부 몸체(100)의 상단은 수평 회전에 의한 나사결합 방식, 초음파 융착 방식, 접착제 부착 방식, 이중 사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몸체(200)의 하단과 전술한 하부 몸체(100)의 상단은 상기한 방식 이외에 다양한 결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100)를 대응되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100)의 대응 단부는 원통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안내면(210)은, 외력에 의해 수용공간(110)의 측방으로 이동된 물이 상향 이동되면서 수용공간(110)으로 재투입되도록 한내 한다.
이와 같은 상부 몸체(200)의 형태는, 수용공간(110) 내에 저장된 물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경우, 측방으로 이동되는 물이 하부 몸체(100)의 내주면과 안내면(210)을 통해 상향 이동되면서 수용공간(110)으로 재투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수용공간(11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쉽게 넘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기 누설에 의한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있는 가정이나 반려동물 등을 키우는 가정에서는 본 발명의 물 넘침 방지 구조가 필요할 것이며, 더 나아가 일본 등과 같은 지진 발생 지역에서 사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한편, 상부 몸체(200)의 상단에는 도 2에서처럼 부유식 가습기(10)의 전원선(11)이 거치될 수 있도록 삽입홈(220)이 오목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20)은, 전원선(11)의 외주와 대응되는 원, 타원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삽입홈(220)의 형태는 전원선(11)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220)은 개방된 상부 입구 부위가 하부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220) 내에 삽입 거치된 전원선(11)은 상부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적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20)은 다수로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삽입홈(220)의 위치도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20)을 이용해 부유식 가습기(10)의 전원선(11)을 고정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부유식 가습기(10)와 전원선(11)이 외력에 의해 쉽게 유동되지 않는다.
또 한편, 상부 몸체(200)의 내주면에는 도 3에서처럼 부유식 가습기(10)가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230)가 더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완충부재(230)는, 안내면(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230)는 수분에 강한 고무, 합성수지, 스펀지 등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230)는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안내면(210)을 따라 대응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완충부재(230)는, 물에서 부유하는 부유식 가습기(10)가 물의 유동에 의해 이동하여 상부 몸체(200)에 충돌시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부유식 가습기(10)와 상부 몸체(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하부 몸체(100)가 설치면(1)에 높은 밀착력으로 안착될 수 있고, 외력에 유동된 물이 용기의 외부로 넘치지 않고 수용공간(110)으로 재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물이 외력에 의해 쉽게 넘어지지 않아 설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물 넘침시 전기 누설에 의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유식 가습기의 전원선(11)을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부유식 가습기(10)가 전원선(11)의 유동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부유식 가습기(10)와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200)가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설치면 10: 부유식 가습기
11: 전원선 100: 하부 몸체
110: 수용공간 120: 하면
130: 미끄럼 방지부재 131: 홈
140: 손잡이 200: 상부 몸체
210: 안내면 220: 삽입홈
230: 완충부재 S: 수용공간
W: 물 B: 접착제

Claims (10)

  1. 물이 저장된 수용공간 내에 부유식 가습기가 부유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식 가습기용 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설치면에 안착되는 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하부 몸체; 및
    하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곡면으로 밴딩 성형되어, 외력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된 물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재투입시키는 상부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개방 부위는,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하면과 상단의 테두리 부위는,
    물의 수평 이동에 의한 수평 하중을 상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외부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설치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하단에는,
    볼록한 요철 또는 홈이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과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은,
    수평 회전에 의한 나사결합 방식, 초음파 융착 방식, 접착제 부착 방식, 이중 사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면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부유식 가습기의 전원선이 거치될 수 있도록 오목한 삽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부유식 가습기가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KR1020140122309A 2014-09-15 2014-09-15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KR101541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309A KR101541337B1 (ko) 2014-09-15 2014-09-15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JP2017534510A JP6436372B2 (ja) 2014-09-15 2015-09-14 浮遊式加湿器の容器の構造
CN201580049610.3A CN107076441B (zh) 2014-09-15 2015-09-14 悬浮式加湿器的容器结构
US15/511,447 US20170252768A1 (en) 2014-09-15 2015-09-14 Container structure for floating type humidifier
PCT/KR2015/009606 WO2016043480A2 (ko) 2014-09-15 2015-09-14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309A KR101541337B1 (ko) 2014-09-15 2014-09-15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337B1 true KR101541337B1 (ko) 2015-08-07

Family

ID=5388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309A KR101541337B1 (ko) 2014-09-15 2014-09-15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252768A1 (ko)
JP (1) JP6436372B2 (ko)
KR (1) KR101541337B1 (ko)
CN (1) CN107076441B (ko)
WO (1) WO201604348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3488A (zh) * 2018-10-26 2019-02-22 嘉兴御创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喷雾装置
WO2019049367A1 (ja) * 2017-09-11 2019-03-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293B1 (ko) * 2016-09-26 2018-09-28 주식회사 미로 가습량이 향상된 부유식 가습기
CN110168287B (zh) * 2017-12-04 2022-02-01 株式会社康友 超声波加湿器
KR102253583B1 (ko) * 2020-05-12 2021-05-18 (주)네오티즌 물통에 결합되는 초음파 가습기
CN112827735B (zh) * 2020-12-31 2021-11-23 珠海市诚立信电子科技有限公司 雾化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967B1 (ko) 2013-07-15 2014-03-17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949U (ko) * 1974-12-20 1976-06-24
JPH0618017U (ja) * 1992-08-07 1994-03-08 有限会社イールドキノシタ 自動車用加湿器
JP2831341B2 (ja) * 1996-12-13 1998-12-02 健 渡邉 天井埋め込み式エアコンなどの吊り下げ装置
JPH11108402A (ja) * 1997-10-09 1999-04-23 Aiwa Co Ltd 動作確認機構、空気清浄装置、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及び加湿器
CN1343857A (zh) * 2000-09-20 2002-04-10 黄振隆 可防止加湿机误动作的浮球控制装置
US6592107B1 (en) * 2001-07-05 2003-07-15 Raymond Electric (China) Ltd. Floating portable humidifier
KR20020083981A (ko) * 2002-10-01 2002-11-04 주식회사 엔아이티 뚜껑이 없는 세수대야 형태의 수조 겸용 본체를 갖는초음파 가습기
TWI354069B (en) * 2008-05-06 2011-12-11 Jih I Ou Multi-functional air circulation system
JP2010107097A (ja) * 2008-10-29 2010-05-13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JP2011052949A (ja) * 2009-09-04 2011-03-17 King Jim Co Ltd 霧化装置
KR101175928B1 (ko) * 2009-12-10 2012-08-22 김나영 부표를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
CN101963382B (zh) * 2010-10-15 2012-07-11 美的集团有限公司 悬浮式超声波空气加湿器的随动导线装置
CN101963383B (zh) * 2010-10-15 2012-11-07 美的集团有限公司 悬浮式超声波空气加湿器的定向导浮装置
KR101397638B1 (ko) * 2012-09-14 2014-05-27 정동환 휴대가 가능한 자연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967B1 (ko) 2013-07-15 2014-03-17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9367A1 (ja) * 2017-09-11 2019-03-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WO2019049367A1 (ja) * 2017-09-11 2019-11-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9373488A (zh) * 2018-10-26 2019-02-22 嘉兴御创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喷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3480A3 (ko) 2016-05-12
JP6436372B2 (ja) 2018-12-12
CN107076441A (zh) 2017-08-18
US20170252768A1 (en) 2017-09-07
JP2017531777A (ja) 2017-10-26
CN107076441B (zh) 2020-02-28
WO2016043480A2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337B1 (ko) 부유식 가습기의 용기 구조
US10060640B2 (en) Floating type humidifier
US11147419B2 (en) Shaker bottle with magnetic elements for temporary securement to exercise equipment
US11365895B2 (en) Floating-type humidifier having increased amount of humidification
US10598396B2 (en) Floating-type humidifier container
US5277324A (en) Fluid absorbing bottle cover
KR20110131684A (ko) 가습기
US20190219288A1 (en) Noise reducing apparatus, for floating humidifier, using cap
US6572301B1 (en) Soap dispensing toy
US5250210A (en) Bar soap construction
JP2013544146A (ja) ボウル
KR200473712Y1 (ko) 스펀지 탈부착 비누
US20200157830A1 (en) Device for Securing Poles at The Edge of a Vessel or a Swimming Pool
CN106742580B (zh) 一种自调整姿态文物盒
KR101634051B1 (ko) 샤워기 고정이 가능한 비누케이스
US1209074A (en) Soap-receptacle.
KR20160013656A (ko) 받침대와 뚜껑 고정장치가 구비된 삼각딱풀
CN107182810A (zh) 一种挂壁式宠物笼
KR20170048097A (ko) 부유식 가습기 용기
KR20180062424A (ko) 부유식 가습기의 물튐 방지용 캡
US20180028023A1 (en) Inflatable Infant Bathing Enclosure Assembly
KR101543240B1 (ko) 레일형 진공흡착구
US6478647B1 (en) Personal flotation system
KR102020900B1 (ko) 부유식 가습기 용기
CN104908495A (zh) 一种具有吸收粉笔粉尘功能的长臂式电动黑板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