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656A - 받침대와 뚜껑 고정장치가 구비된 삼각딱풀 - Google Patents

받침대와 뚜껑 고정장치가 구비된 삼각딱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656A
KR20160013656A KR1020140095722A KR20140095722A KR20160013656A KR 20160013656 A KR20160013656 A KR 20160013656A KR 1020140095722 A KR1020140095722 A KR 1020140095722A KR 20140095722 A KR20140095722 A KR 20140095722A KR 20160013656 A KR20160013656 A KR 20160013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glue
triangular
pedest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원
Original Assignee
이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원 filed Critical 이채원
Priority to KR102014009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3656A/ko
Publication of KR2016001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 B43M11/06Hand-hel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05Glue 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출구를 개폐하는 뚜껑, 몸체의 세 옆면 중 한쪽 면에 구비된 받침대, 몸체의 아랫부분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와 뚜껑은 삼각기둥 형태로 되어 있어 딱풀이 굴러가지 않게 되기 때문에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놓인 자리에서 이탈되지 않아 사용자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받침대에 상기 뚜껑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뚜껑을 분실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를 이용하여 모서리를 칠할 때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고, 고체 딱풀의 삼각형 면을 이용하여 구석을 꼼꼼이 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받침대와 뚜껑 고정장치가 구비된 삼각딱풀{triangular stick glue with base plate and lid securer}
본 발명은 딱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고 몸체가 삼각형이기 때문에 자원이 절약되고 사용이 용이하며, 뚜껑 고정장치로 인해 뚜껑 분실이 방지되고, 원형 딱풀과 달리 굴러가지 않아 본체 분실 또한 방지되는 삼각딱풀에 관한 것이다.
풀은 사무실이나 학교, 혹은 가정 등 일상 생활에서 두 물체를 서로 접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풀은 크게 접착제의 성질에 따라서 액체 풀을 이용하는 물풀과 고체형 겔타입으로 형성되는 딱풀로 나뉠 수 있다. 물풀은 접착제가 액체으로 이루어져 있어 접착제가 몸체 외부로 흘러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몸체와 뚜껑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뚜껑을 몸체에 돌려서 끼우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딱풀은 접착제가 고체형 겔타입 이기 때문에 접착제가 몸체 외부로 흘러내릴 염려가 없어 몸체에 걸림돌기 하나만으로도 뚜껑을 몸체에 쉽게 고정할 수 있고 뚜껑을 몸체에 돌려서 끼우지 않아도 된다. 고체형 풀은 학교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로서 사용시 흐르지 않도록 굳은 상태로 되어 있어 물풀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딱풀 케이스는 딱풀이 담기는 용기 몸체와, 상기 몸체 속에서 딱풀을 승강시켜 주는 승강구 및 상기 승강구의 승강 조절을 위한 조절구의 부품으로 나누어져 구성되며, 이들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후 용기 몸체에 승강구 및 조절구를 조립하여 하나의 딱풀 케이스를 이루게 된다.
종래의 딱풀은 풀이 원기둥 모양의 몸체에 담겨져 있고, 딱풀을 닫는 뚜껑의 형상 역시 몸체와 마찬가지로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무실이나 학교 등 책상 위에서 딱풀을 사용하다가 잘못 건드리게 되면 딱풀은 멀리까지 잘 굴러가게 되어 손이 닿지 않는 좁은 틈 사이로 굴러 들어가는 등 분실의 위험이 존재하였다. 특히, 딱풀을 많이 사용하는 저학년 학생들 같은 경우에는 주의력이 산만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잘 굴러 다니는 딱풀은 더욱 더 분실의 우려가 큰 것이 사실이다. 이는 본체뿐만이 아니라 딱풀의 뚜껑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문제이다. 딱풀의 뚜껑이 원기둥 모양이며 본체와 완전히 분리되어, 잘못 두었다가 분실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아무 장치 없이 그저 손만을 이용해 종이 등 모서리가 있는 물체에 풀을 바르게 될 경우 풀이 물체의 모서리 밖으로 튀어나와 자원이 낭비되는 경우가 있다. 접착면 밖으로 풀이 나오게 되면 주변의 물체나 사용자의 손 등에 묻을 수 있어 청결상의 문제도 발생한다. 딱풀은 안의 고체형 겔의 바르는 면은 원 형태이기 때문에, 직각과 같은 물체의 구석 부분에 바를 때 튀어나오거나 골고루 바르지 못한다. 이 경우 모서리를 바를 때와 마찬가지로 자원이 낭비되거나 청결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딱풀의 전체적인 형상을 삼각기둥 형태로 변환하며, 손잡이 부분에 뚜껑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모서리에 풀을 이용할 때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써 딱풀과 그 뚜껑의 분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물체의 끄트머리 부분에 이용할 때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 보다 손쉽게 딱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풀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출구를 개폐하는 뚜껑, 몸체의 세 옆면 중 한쪽 면에 구비된 받침대, 몸체의 아랫부분에 구비되어 뚜껑을 고정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와 뚜껑은, 삼각기둥 형태인 것을 포함하는 딱풀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뚜껑을 열고 난 뒤 손잡이 부분에 고정시틸 수 있기 때문에 분실을 방지하여 딱풀이 마르지 않게 한다.
둘째, 딱풀이 굴러가지 않게 되기 때문에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놓인 자리에서 이탈되지 않아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셋째, 모서리 부분을 바를 때 받침대를 이용하여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넷째, 딱풀의 바르는 면의 형태가 삼각형이 되어 직각 등과 같은 뾰족한 곳이나 면적이 작은 곳도 꼼꼼히 칠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면에 놓여진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딱풀을 고정하는 장치가 구비된 손잡이가 뒤집어진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6은 도1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뚜껑(100)은 몸체(300)에 연결면(330)을 통해 고정할 수 있고, 이 연결면(320)에는 걸림돌기(331)가 있어 나사산 없이도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뚜껑(100)은 몸체(300)에서 사용을 위해 분리한 다음, 손잡이(400)의 고정장치(430)에 꽃아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장치(430)는 제1고정장치옆면(431), 제2고정장치옆면(432), 고정장치아랫면(433), 제3고정장치옆면(434)로 이루어져 있는 삼각기둥 모양이어서, 제1옆면(110), 윗면(120), 제2옆면(130), 제3옆면(140)으로 이루어져 있어 마찬가지로 삼각기둥 모양인 뚜껑에 꼭 맞게 들어간다.
몸체(300)의 본몸체(320)은 삼각기둥 모양이고, 손잡이(400)은 원기둥 모양이기 때문에, 연결면(310)을 통해 삼각기둥에서 원기둥으로 자연스럽게 모양이 변하도록 한다.
몸체(300)의 세 개 면 중 하나에는 받침대(200)가 구비되어 있다. 몸체(300)의 한 면에 고정기둥(210)이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기둥의 가운데에는 중심축(212)이 있다. 중심축을 둘러싸는 형태로 고정고리(220)가 있어, 받침대(200)가 고정기둥(2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종이의 모서리에 풀을 바를 시, 우선 뚜껑(100)을 연결면(330)에서 분리해 몸체(300)에서 떨어져 나가도록 하고, 손잡이(400)의 고정장치(430)에 꽂는다. 그 뒤, 손잡이(400)을 회전시켜 고체형 풀(500)이 연결면(330)에서 수직상승하도록 한다. 고체형 풀(500)이 종이에 닿도록 몸체(300)을 돌려 종이 위에 놓은 뒤, 받침대(200)을 고정기둥(210)을 축으로 회전시켜 종이가 받침대내부평면(430)과 고체형 풀(500)의 사이에 오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수평이동을 하면 받침대(400)이 풀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해 사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그 목적과 기술적인 사상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창작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 수준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으로 본 발명으로부터 상업적인 설계변경의 수준, 모양의 변화, 재질의 변화, 부품의 숫자 증감, 색상의 변화 등 본 발명의 기술과 균등범위에 있거나 하위개념에 속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일이 언급하지 않음을 부언한다.
100 : 뚜껑
110 : 제1옆면
120 : 윗면
130 : 제2옆면
140 : 제3옆면
200 : 받침대
210 : 고정기둥
211 : 제1원형면
212 : 중심축
213 : 제2곡면
214 : 제2내부원형면
215 : 제2원형면
216 : 제1곡면
217 : 제1내부원형면
220 : 고정고리
221 : 제1고정곡면
222 : 제2고정옆면
223 : 제1내부옆면
224 : 제2내부옆면
225 : 내부곡면
226 : 제2고정곡면
227 : 제1고정옆면
230 : 받침대내부평면
240 : 받침대앞면
250 : 제2받침대옆면
260 : 제1받침대옆면
270 : 받침대외부평면
300 : 몸체
310 : 연결면
320 : 본몸체
330 : 뚜껑연결면
331 : 걸림돌기
400 : 손잡이
410 : 옆면
420 : 제1아랫면
430 : 고정장치
431 : 제1고정장치옆면
432 : 제2고정장치옆면
433 : 고정장치아랫면
434 : 제3고정장치옆면
440 : 손잡이내부곡면
450 : 제2아랫면
500 : 고체형 풀

Claims (5)

  1. 풀을 수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출구를 개폐하는 뚜껑;
    몸체의 세 옆면 중 한쪽 면에 구비된 받침대;
    몸체의 아랫부분에 구비되어 뚜껑을 고정할 수 있는 원기둥형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와 뚜껑은,
    삼각기둥 형태인 것을 포함하는 딱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아랫부분에 삼각기둥 형태의 돌출된 부분이 있어 뚜껑을 고정시킬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딱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원기둥 형태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딱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풀의 접착면 방향으로 회전시켜 받침대와 풀 사이에 물체를 둘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딱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손잡이와 이어지기 위해 삼각기둥에서 원기둥 형태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연결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딱풀.
KR1020140095722A 2014-07-28 2014-07-28 받침대와 뚜껑 고정장치가 구비된 삼각딱풀 KR20160013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722A KR20160013656A (ko) 2014-07-28 2014-07-28 받침대와 뚜껑 고정장치가 구비된 삼각딱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722A KR20160013656A (ko) 2014-07-28 2014-07-28 받침대와 뚜껑 고정장치가 구비된 삼각딱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656A true KR20160013656A (ko) 2016-02-05

Family

ID=5535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722A KR20160013656A (ko) 2014-07-28 2014-07-28 받침대와 뚜껑 고정장치가 구비된 삼각딱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36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97A (ko) * 2016-12-27 2018-07-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접착용 딱풀
KR20220023429A (ko) * 2020-08-21 2022-03-02 박시훈 마감 처리가 용이한 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97A (ko) * 2016-12-27 2018-07-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접착용 딱풀
KR20220023429A (ko) * 2020-08-21 2022-03-02 박시훈 마감 처리가 용이한 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7462B1 (en) Apparatus for holding and drying paint brushes
KR101574146B1 (ko) 부유식 가습기
KR20160013656A (ko) 받침대와 뚜껑 고정장치가 구비된 삼각딱풀
CN212590865U (zh) 化妆品容器
WO2010137936A3 (es) Accesorios para suministrar líquidos a un aplicador como rodillo y brocha
US3029058A (en) Bottle holder
JP2006280833A (ja) 孫の手
KR20180006204A (ko) 립글로스 용기
CN204276021U (zh) 一种大学化学教学用移液管架装置
KR20170115904A (ko)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79373B1 (ko) 립글로스 용기
KR20090007813U (ko) 화이트보드 및 칠판용 대형 컴퍼스
KR20150001759U (ko) 화장품 용기
CN204586322U (zh) 一种便携式画架
US20170164768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closure and integrated straw
AU2018100535A4 (en) Pencil sharpener
KR100804740B1 (ko) 롤 퍼프
CN209845952U (zh) 便携式宠物饮水器
JP3134718U (ja) 液体収納容器
KR20160144731A (ko) 수정액이 내장 된 멀티 화이트보드 지우개
KR100922492B1 (ko) 원 터치 형식의 사각 형태 풀 용기
CN206642727U (zh) 一种高中化学学生用试剂盒
KR101534825B1 (ko) 미술용 물통
KR20200001078U (ko) 상하 토출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230001458A (ko) 용기안에 집게가 내장된 스킨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