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976B1 -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976B1
KR100579976B1 KR1020030070383A KR20030070383A KR100579976B1 KR 100579976 B1 KR100579976 B1 KR 100579976B1 KR 1020030070383 A KR1020030070383 A KR 1020030070383A KR 20030070383 A KR20030070383 A KR 20030070383A KR 100579976 B1 KR100579976 B1 KR 10057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opening
blade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4465A (ko
Inventor
이기용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97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수 및 작업 공정을 축소할 수 있으며, 피복 와이어의 와이어 손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육면체 형태로서, 일면이 인쇄회로기판(140)에 부착되어 있고, 소정 영역에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개구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2)에서 일측면까지는 피복 와이어(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118)과 대응되는 개구부(112)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까지 연장된 도전성 단자(116)가 노출된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1하우징(110)의 개구부(112)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하우징(110)의 개구부(112) 내측까지 연장된 피복 와이어(130)의 피복(132)을 벗겨 낼 수 있도록 블레이드(122)가 설치된 제2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커넥터, 피복 와이어, 블레이드

Description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Automatic covered wire remove blade one body type pressing connector}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에 피복 와이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다른 커넥터에 피복 와이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3-3선 단면도이며, 도 3c는 제2하우징에 장착된 블레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를 이용한 피복 와이어의 연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제1하우징 112; 개구부
114; 경사면 116; 단자
118; 홀 119; 가이드 요홈
120; 제2하우징 122; 블레이드
124; 경사면 126; 트렌치
129; 가이드 돌기 130; 피복 와이어
132; 피복 134; 와이어
140; 인쇄회로기판 142; 배선패턴
144; 납땜
본 발명은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품수 및 작업 공정을 축소할 수 있으며, 피복 와이어의 와이어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커넥터에 피복 와이어가 결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피복 와이어(1')의 피복 일부를 벗긴 다음 와이어의 단부를 단자(2')에 압착시키고, 이 와이어가 압착된 단자(2')를 커넥터(3')에 강제로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및 방법은 피복 와이어의 탈거 및 단자와 와이어의 압착, 커넥터에 단자 삽입 등 많은 공정이 필요하여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와이어와 단자의 압착 불량에 의한 단자 이탈 및 단자 발열 등의 문제가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종래의 다른 커넥터에 피복 와이어가 결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 와이어(10')를 피복 탈거없이 커 넥터(20')에 삽입후, 뚜껑(30')을 눌러 피복 와이어(10')의 피복 절단후 커넥터(20')에 직접 연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및 방법도 커넥터와 피복 와이어의 연결시 피복 절단 및 와이어의 일부 절단이 필요하며, 와이어 손상으로 인한 전압 강하 및 대전류 소통시 커넥터와 와이어 사이에 발열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 및 작업 공정을 축소하고, 피복 와이어의 와이어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는 육면체 형태로서, 일면이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있고, 소정 영역에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서 일측면까지는 피복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과 대응되는 개구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까지 연장된 도전성 단자가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하우징의 개구부 내측까지 연장된 피복 와이어의 피복을 벗겨 낼 수 있도록 블레이드가 설치된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우징의 개구부는 상기 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과 홀의 각도는 70~8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경사면과 대응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의 경사면과 블레이드의 각도는 40~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의 경사면에는 가이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요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2하우징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두께는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된 피복 와이어가 하부 개구부로 절곡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1하우징의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의 경사면에는, 블레이드가 돌출되어 피복 와이어의 피복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일정 깊이 파여진 트렌치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의 트렌치 깊이는 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의 블레이드는 상기 피복 와이어의 피복이 원형으로 절단되도록, 상기 피복 와이어와 접촉되는 영역에 반원형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는 피복에 감싸여진 와이어 손상없이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어 와이어 손상으로 인한 전압 강하 발생 및 대전류 소통시 단자와 와이어에 발열 발생을 개선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피복 와이어의 피복 탈거 및 압착이 가능하며, 피복 와이어 수리시 종래 방법인 커넥터에서 단자 탈거 및 와이어에서 단자 분리가 필요없이 제2하우징의 탈거후 와이어 분리가 가능하여 편리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 와이어의 피복 탈거 및 단자와 와이어 압착, 커넥터에 삽입 등의 공정이 필요없어 작업 공정이 축소되고 별도의 와이어 압착 단자가 필요 없어 부품의 수가 축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와이어 압착 단자가 필요 없어 중량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피복 와이어의 피복 탈거 및 단자와 와이어 압착, 커넥터에 삽입 등의 공정이 없어 가공비가 감소되고, 별도의 작업 공구가 필요 없으며 와이어 압착 단자가 없어 재료비도 감소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의 3-3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c를 참조하면, 제2하우징에 장착된 블레이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피복 와이어(130)가 결합 및 고 정되는 제1하우징(110)과, 상기 피복 와이어(130)의 피복(132)을 벗겨 제1하우징(110)의 단자(116)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2하우징(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제1하우징(110)은 대략 육면체 형태로서, 일면이 인쇄회로기판(140)에 부착되어 있고, 소정 영역에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12)에서 일측면까지는 피복 와이어(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118)과 대응되는 개구부(112)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까지 연장된 도전성 단자(116)가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단자(116)는 인쇄회로기판(140)에 형성된 배선패턴(142)에 납땜(144)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하우징(110)의 개구부(112)는 상기 홀(118)과 대응되는 영역에 경사면(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114)과 홀(118) 사이의 각도는 대략 70~80°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10)의 경사면(11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요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기 제1하우징(110)의 개구부(112)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하우징(110)의 개구부(112) 내측까지 연장된 피복 와이어(130)의 피복(132)을 벗겨 낼 수 있도록 블레이드(122)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120) 역시 상기 제1하우징(110)의 경사면(114)과 대응되는 영역에 경사면(1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124)에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가이드 요홈(119)과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돌기(1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하우징(120)이 제1하우징(11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120)의 상면과 제1하우징(110)의 상면은 동일 평면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120)의 경사면(124)에는, 상기 블레이드(122)가 외부로 돌출되어 피복 와이어(130)의 피복(132)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트렌치(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트렌치(126)는 제2하우징(120)이 제1하우징(110)에 결합될 때, 블레이드(122)가 제2하우징(120)의 경사면(124)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120)의 트렌치(126) 깊이는 홀(118)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120)의 경사면(124)과 블레이드(122)의 각도는 대략 40~50°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120)의 블레이드(122)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홀(118)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블레이드(122)는 상기 피복 와이어(130)의 피복(132)이 원형으로 절단되도록, 상기 피복 와이어(130)와 접촉되는 영역에 반원형 형태의 절개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를 이용한 피복 와이어의 연결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 와이어(130)를 제1하우징(110)의 홀(118)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피복 와이어(130)의 끝단이 제1하우징(110)의 개구부(112)에까지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의 개구부(112)에 제2하우징(120)을 끼워서 피복 와이어(130)의 피복(132)이 벗겨지는 동시에, 와이어(134)가 제1하우징(110)의 단자(116)에 접속되도록 한다. 즉, 상기 피복 와이어(130)는 제2하우징(120)에 설치된 블레이드(122)에 의해 피복(132)이 벗겨진 후, 그 하방으로 절곡된다. 물론,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면이 제1하우징(110)의 상면과 동일면이 될 때까지 개구부(112) 내측으로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하우징(120)에 형성된 블레이드(122)는 상기 피복 와이어(130)의 와이어(134)에 더욱 강하게 결합됨으로써, 결국 상기 피복 와이어(130)는 커넥터에 간단하면서도 강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는 피복에 감싸여진 와이어 손상없이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어 와이어 손상으로 인한 전압 강하 발생 및 대전류 소통시 단자와 와이어에 발열 발생을 개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피복 와이어의 피복 탈거 및 압착이 가능하며, 피복 와이어 수리시 종래 방법인 커넥터에서 단자 탈거 및 와이어에서 단자 분리가 필요없이 제2하우징의 탈거후 와이어 분리가 가능하여 편리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 와이어의 피복 탈거 및 단자와 와이어 압착, 커넥터에 삽입 등의 공정이 필요없어 작업 공정이 축소되고 별도의 와이어 압착 단자가 필요 없어 부품의 수가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와이어 압착 단자가 필요 없어 중량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피복 와이어의 피복 탈거 및 단자와 와이어 압착, 커넥터에 삽입 등의 공정이 없어 가공비가 감소되고, 별도의 작업 공구가 필요없으며 와이어 압착 단자가 없어 재료비도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육면체 형태로서, 일면이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있고, 소정 영역에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서 일측면까지는 피복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과 대응되는 개구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까지 연장된 도전성 단자가 노출된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하우징의 개구부 내측까지 연장된 피복 와이어의 피복을 벗겨 낼 수 있도록 블레이드가 설치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개구부는 상기 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홀의 각도는 7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경사면과 대응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경사면과 블레이드의 각도는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경사면에는 가이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요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2하우징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1하우징의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경사면에는, 블레이드가 돌출되어 피복 와이어의 피복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일정 깊이 파여진 트렌치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트렌치 깊이는 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블레이드는 상기 피복 와이어의 피복이 원형으로 절단되도록, 상기 피복 와이어와 접촉되는 영역에 반원형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KR1020030070383A 2003-10-09 2003-10-09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KR10057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383A KR100579976B1 (ko) 2003-10-09 2003-10-09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383A KR100579976B1 (ko) 2003-10-09 2003-10-09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65A KR20050034465A (ko) 2005-04-14
KR100579976B1 true KR100579976B1 (ko) 2006-05-12

Family

ID=3723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383A KR100579976B1 (ko) 2003-10-09 2003-10-09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732B1 (ko) * 2009-11-30 2012-03-23 김지홍 콘넥터 접합구조
US8109783B2 (en) 2010-06-30 2012-02-07 Avx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KR101643218B1 (ko) * 2014-10-10 2016-07-28 주식회사 조우스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CN107919559A (zh) * 2016-10-10 2018-04-17 孟志 防脱胶木阴插
KR102015256B1 (ko) * 2019-05-20 2019-08-27 백용일 와이어하네스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65A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041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JP3015942B2 (ja) 高速伝送線のシールド終端装置
KR100359524B1 (ko) 동축케이블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플러그와회로기판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리셉터클을구비한동축커넥터
JP5949838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US4005921A (en) Transmission cable connector and termination method
KR101787891B1 (ko)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JP3015944B2 (ja) 高速伝送線のシールド終端装置
JP2011060770A (ja) 蓋付き絶縁圧接端子コネクタ
US20080113553A1 (en) Surface mount crimp terminal and method of crimping an insulated conductor therein
JP4982826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34749A (ja) 電気端子
JP3015940B2 (ja) 高速伝送線のシールド終端装置
US20190148853A1 (en) Cabl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on thick printed-circuit board
US3995931A (en) Terminal for apertured circuit panel
KR100282632B1 (ko)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JP3738388B2 (ja) 同軸コネクタ
KR100579976B1 (ko) 자동 피복 탈거 블레이드 일체형 압착 커넥터
JP2005317298A (ja) 同軸ケーブル用端子と、この同軸ケーブル用端子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US20090117774A1 (en) Surface mount crimp terminal and method of crimping an insulated conductor therein
JP4133980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0216561A (ja) プリント基板にケ―ブルを接続する方法、並びに、前記方法によりプリント基板に接続されるケ―ブルを備えたケ―シング
EP1398862A2 (en) Connection terminal for the windings of a stator of an electric motor
JP6233574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H115421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0394072Y1 (ko) 전선 연결용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