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574B1 -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574B1
KR100578574B1 KR1020040039730A KR20040039730A KR100578574B1 KR 100578574 B1 KR100578574 B1 KR 100578574B1 KR 1020040039730 A KR1020040039730 A KR 1020040039730A KR 20040039730 A KR20040039730 A KR 20040039730A KR 100578574 B1 KR100578574 B1 KR 10057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jack
holder
center
seal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499A (ko
Inventor
노석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57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comprising toggle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60S9/0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of screw-and-nu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베이스(1)와; 상면 중앙에서 종방향으로 거치홈(21)을 구비한 거치대(2)와; 상기 베이스(1)와 거치대(2)에 일단부가 리벳(31)(41)을 통해 축지되고 타단부는 각각 샤프트(5)를 통해 축지된 한쌍의 로워 및 어퍼 암 스테이(3)(4)와; 일단부에 베어링(71)을 구비하고 상기 두 샤프트(5) 사이에 나서 결합되는 로드(7)로 구성된 승용차용 기계식 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의 저부 양측에는 내측을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진 장방형의 회전 안내공(22)을 천공하고 중심부에는 축공(23)을 천공하며, 저부 양단부와 상단 중앙부에 각각 축공(91)(92)을 천공시킨 형태를 갖는 한쌍의 "凸"형 고정 브라켓(9)을 상기 거치대(2)의 내측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리벳(41)(93)을 통해 상호 결합시켜 타이어의 펑크로 인해 스페어 타이어로 교환을 위해 기계식 잭을 이용하여 차량의 일측을 들어올릴시 실 사이드와 잭의 거치대가 항상 면접촉을 갖도록 하여 차체 실 사이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Device of Slanting Stand of Mechanical Jack}
도 1은 종래 기계식 잭의 사시도.
도 2는 실 사이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잭의 거치대와 차체 실 사이드 사이의 결합 상태 측면도.
도 3a, 3b는 종래 기계식 잭을 이용하여 차체를 들어올릴시 초기 상태와 최대로 올렸을시 고정형 거치대와 실 사이드 부품의 선 접촉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잭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잭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6a, 6b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잭을 이용하여 차체를 들어올릴시 초기 상태와 최대로 올렸을시 거치대와 실 사이드 부품가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인 측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 2 : 거치대
3,4 : 로워 및 어퍼 암 스테이 5 : 샤프트
7 : 로드 8 : 실 사이드
9 : 고정 브라켓 21 : 거치홈
22 : 회전 안내공 23,91,92 : 축공
31,41,93 : 리벳 71 : 베어링
본 발명은 기계식 잭(Jack)의 거치대 기울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펑크로 인해 스페어 타이어로 교환을 위해 기계식 잭을 이용하여 차량의 일측을 들어올릴시 실 사이드와 잭의 거치대가 항상 면접촉을 갖도록 차체의 실 사이드 기울어짐 각도에 부응하여 거치대의 각도도 기울어지도록 하여 차체 실 사이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용 기계식 잭은 도 1과 같이 종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면 중앙부에 2개의 로워 암 스테이(3)의 일단부가 리벳(31)을 통해 축지되는 구성을 갖고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잭의 전체 부품을 포함하여 자체를 받쳐주는 베이스(1)와; 상면 중앙에서 종방향으로 거치홈(21)을 구비하고 저면부에는 2개의 어퍼 암 스테이(4)의 일단부가 리벳(41)을 통해 축지되는 구성을 갖고 잭의 작동시 차체의 실 사이드(8)가 거치홈(21)에 끼워지도록 하는 거치대(2)와; 상기 베이스(1)와 거치대(2)에 일단부가 축지되고 타단부는 각각 샤프트(5)를 통해 축지된 구성을 갖고 샤프트(5)에 결합되는 로드(7)의 회동량에 부응하여 거치대(2)를 업/다운시켜 주는 한쌍의 로워 및 어퍼 암 스테이(3)(4)와; 일단부에 베어링(71)을 구비하고 상기 두 샤프트(5) 사이에 나서 결합되어 운전자에 의해 결합되는 손잡이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면 샤프트(5)의 간격을 늘려주거나 좁혀주는 방식을 통해 로워 및 어퍼 암 스테이(3)(4)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차체의 실 사이드(8)와 결합되는 거치대(2)를 업/다운시켜 주는 로드(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타이어 펑크시 기계식 자키를 펑크난 타이어측의 차체 밑에 설치하고 거치대(2)의 거치홈(21)과 차체의 실 사이드(8) 단부를 상호 일치시킨 다음 도시 생략된 손잡이를 상기 로드(7)의 구멍에 결합시키고 로드(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로워 및 어퍼 암 스테이(3)(4)의 양단부에 축지된 상태에서 로드(7)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두 샤프트(5)가 상호 당겨지며 로워 및 어퍼 암 스테이(3)(4)의 경사각이 작아지며 거치대(2)를 승강시켜 주게 되므로 이에 실 사이드(8)가 결합된 차체가 지면으로부터 승강하게 된다.
물론, 차체를 일정 높이 이상 올린 후 펑크난 타이어를 스페어 타이어로 교환한 후에는 상기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샤프트(5)들의 간격이 멀어지며 로워 및 어퍼 암 스테이(3)(4) 및 거치대(2)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자체도 내려오고 차후 잭 자체를 지면과 차체 사이로부터 빼낼 수 있다.
한편, 타이어 펑크시 차량의 좌/우측 휠 센터 위치가 타이어 펑크량에 부응하여 비록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나, 차체의 실 사이드 부분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차체의 기울기에 무관하게 도 2와 같이 평면 형상을 갖는 잭의 거치대(2) 상면과 차체의 실 사이드(8)가 면 접촉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계식 잭에 설치되어 있는 거치대(2)는 차체의 기울기에 무관하게 그 기울기가 전혀 변화되지 않도록 한쌍의 어퍼 암 스테이(4)에 축지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타이어가 펑크나서 잭을 타이어가 펑크난 차체의 실 사이드 밑에 최초로 거치시켰을시에는 도 3a와 같이 실 사이드(8)의 일측 일부와 거치대(2)의 전면 모서리부가 선 접촉을 갖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틈이 발생되고 자키를 최대로 작동시켰을시에는 도 3b와 같이 실 사이드(8)의 타측 일부와 거치대(2)의 후면 모서리부가 선 접촉을 갖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틈이 발생된다.
따라서, 타이어의 펑크로 인해 스페어 타이어를 교환하기 위해 종래 기계식 잭을 이용하여 타이어가 펑크난 측의 차체를 들어올릴 때 잭의 커치대와 차체의 실 사이드가 선 접촉을 갖게 되므로 차체의 실 사이드가 펑크난 타이어를 교환할시 마다 손상 및 변형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용차용 타이어의 펑크로 인해 스페어 타이어로 교환할 때 기계식 잭의 거치대가 차체의 실 사이드 경사각에 부응하여 변화되도록 하여 항상 잭의 거치대가 실 사이드와 면접촉을 갖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거치대와 차체의 실 사이드가 선 접촉이 이루어짐으로 인한 실 사이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잭과 차체 사이의 결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베이스와; 상면 중앙에서 종방향으로 거치홈을 구비한 거치대와; 상기 베이스와 거치대에 일단부가 축지되고 타단부는 각각 샤프트를 통해 축지된 한쌍의 로워 및 어퍼 암 스테이와; 일단부에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두 샤프트 사이에 나서 결합되는 로드로 구성된 승용차용 기계식 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저부 양측에는 일정각도로 경사진 장방형의 회전 안내공을 천공하고 중심부에는 축공을 형성하며, 저부 양단부와 상단 중앙부에 각각 축공이 천공된 한쌍의 "凸"형 고정 브라켓을 상기 거치대의 내측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리벳을 통해 상호 결합시켜 거치대가 고정 브라켓상에서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의 실 사이드에 결합되는 잭의 거치대 자체가 차체의 실 사이드 경사각에 부응하여 "凸"형 고정 브라켓의 중앙에 축지된 리벳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실 사이드와는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거치대와 차체의 실 사이드가 선 접촉이 이루어짐으로 인한 실 사이드의 변형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잭과 차체 사이의 결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잭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잭의 결합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a, 6b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잭을 이용하여 차체를 들어올릴시 초기 상태와 최대로 올렸을시 거치대와 실 사이드 부품가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인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베이스(1)와; 상면 중앙에서 종방향으로 거치홈(21)을 구비한 거치대(2)와; 상기 베이스(1)와 거치대(2)에 일단부가 리벳(31)(41)을 통해 축지되고 타단부는 각각 샤프트(5)를 통해 축지된 한쌍의 로워 및 어퍼 암 스테이(3)(4)와; 일단부에 베어링(71)을 구비하고 상기 두 샤프트(5) 사이에 나서 결합되는 로드(7)로 구성된 승용차용 기계식 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의 저부 양측에는 내측을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진 장방형의 회전 안내공(22)을 천공하고 중심부에는 축공(23)을 천공하며, 저부 양단부와 상단 중앙부에 각각 축공(91)(92)을 천공시킨 형태를 갖는 한쌍의 "凸"형 고정 브라켓(9)을 상기 거치대(2)의 내측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리벳(41)(93)을 통해 상호 결합시켜 거치대(2)가 상기 리벳(93)을 축으로 하여 고정 브라켓(9)상에서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 기술 구성은 종래의 잭에 "凸"형상을 갖고 저부 양단부와 상단 중앙부에 각각 축공(91)(92)이 천공된 한쌍의 고정 브라켓(9)을 부가 설 치함과 동시에 상면 중앙에서 종방향으로 거치홈(21)이 구비된 거치대(2)의 저부 양측에는 내측을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장방형의 회전 안내공(22)을 천공함과 동시에 중심부에는 축공(23)을 천공하여 3개의 리벳(41)(93)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켜 거치대(2) 자체가 어퍼 암 스테이(3)(4)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9)의 중앙 리벳(93)을 축으로 하여 고정 브라켓(9)상에서 일정각도 범위(즉, 장방형 회전 안내공(22)의 길이 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어느 일측 타이어가 펑크나서 잭을 타이어가 펑크난 차체의 실 사이드(8) 밑에 최초로 거치시켜 거치대(2)의 거치홈(21)에 실 사이드(8)의 중심돌기가 끼워지도록 하였을시 거치대(2) 자체가 도 6a와 같이 실 사이드(8)의 경사각(도면상 좌측으로 경사짐)에 부응하여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실 사이드(8)의 저면이 거치대(2)의 상면과 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타이어 펑크로 인해 일측으로 기울어진 차체를 들어올려고 자키를 최대로 작동시킴으로 인해 차체의 실 사이드(8) 저면부가 우측으로 경사질 경우에는 거치대(2)도 고정 브라켓(9)의 상단부 축공(92)에 끼워진 리벳(93)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도 6b와 같이 실 사이드(8)의 경사각에 부응하여 거치대(2)의 상면도 같은 경사각을 갖게 되므로 실 사이드(8)의 저면이 거치대(2)의 상면과 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타이어 펑크로 인해 스페어 타이어로 교환을 위해 자키를 이용하여 차체를 들어올릴시 자키의 거치대에 의해 자체의 실 사이드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면 접촉으로 인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2)의 회전 각도는 어퍼 암 스테이(4)에 고정 브라켓(9)을 고정시켜 주는 두 리벳(41)의 양단부가 돌출되게 끼워지는 상기 거치대(2)의 하방 양측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장방형의 회전 안내공(22) 길이에 의해 결정되어짐은 물론 상기 거치대(2)가 차체의 실 사이드(8) 경사각 변화에 부응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다가 리벳(41)의 외측면이 장방형의 회전 안내공(22)의 상/하단부 중 어느 일측 단부에 걸려지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대의 저부 양측에는 일정각도로 경사진 장방형의 회전 안내공을 천공하고 중심부에는 축공을 형성하며, 저부 양단부와 상단 중앙부에 각각 축공이 천공된 한쌍의 "凸"형 고정 브라켓을 상기 거치대의 내측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리벳을 통해 상호 결합시켜 잭의 거치대 자체가 차체의 실 사이드 경사각에 부응하여 고정 브라켓의 중앙에 축지된 리벳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실 사이드와는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자키의 작동중 거치대와 차체의 실 사이드가 선 접촉을 갖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선 접촉으로 인한 실 사이드의 변형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잭과 차체 실 사이드 사이의 결합력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어 안정성을 대폭 확보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베이스(1)와; 상면 중앙에서 종방향으로 거치홈(21)을 구비한 거치대(2)와; 상기 베이스(1)와 거치대(2)에 일단부가 리벳(31)(41)을 통해 축지되고 타단부는 각각 샤프트(5)를 통해 축지된 한쌍의 로워 및 어퍼 암 스테이(3)(4)와; 일단부에 베어링(71)을 구비하고 상기 두 샤프트(5) 사이에 나서 결합되는 로드(7)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의 저부 양측에는 내측을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진 장방형의 회전 안내공(22)을 천공하고 중심부에는 축공(23)을 천공하며, 저부 양단부와 상단 중앙부에 각각 축공(91)(92)을 천공시킨 형태를 갖는 한쌍의 고정 브라켓(9)을 상기 거치대(2)의 내측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리벳(41)(93)을 통해 상호 결합시켜 거치대(2)가 상기 리벳(93)을 축으로 하여 고정 브라켓(9)상에서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
KR1020040039730A 2004-06-01 2004-06-01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 KR10057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730A KR100578574B1 (ko) 2004-06-01 2004-06-01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730A KR100578574B1 (ko) 2004-06-01 2004-06-01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499A KR20050114499A (ko) 2005-12-06
KR100578574B1 true KR100578574B1 (ko) 2006-05-12

Family

ID=3728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730A KR100578574B1 (ko) 2004-06-01 2004-06-01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5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7643A1 (en) * 2019-07-14 2021-01-21 Nordic Minesteel Technologies Inc.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US11332350B2 (en) 2017-05-08 2022-05-17 Nordic Minesteel Technologies Inc.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US11479450B2 (en) 2017-05-08 2022-10-25 Nordic Minesteel Technologies Inc.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0146B (zh) * 2013-03-06 2015-03-18 宁波天益齿轴齿轮有限公司 一种支撑臂可分开的千斤顶
CN103130144B (zh) * 2013-03-06 2015-05-06 宁波天益齿轴齿轮有限公司 一种组合支撑臂的千斤顶
CN103121645B (zh) * 2013-03-06 2015-10-07 宁波天益齿轴齿轮有限公司 一种固定在斜坡上的千斤顶
CN103130145B (zh) * 2013-03-06 2015-05-06 宁波天益齿轴齿轮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的千斤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4375A1 (en) 1995-05-26 1996-11-27 FIAT AUTO S.p.A. A lifting jack for a c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4375A1 (en) 1995-05-26 1996-11-27 FIAT AUTO S.p.A. A lifting jack for a ca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2350B2 (en) 2017-05-08 2022-05-17 Nordic Minesteel Technologies Inc.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US11479450B2 (en) 2017-05-08 2022-10-25 Nordic Minesteel Technologies Inc.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US11591193B2 (en) 2017-05-08 2023-02-28 Nordic Minesteel Technologies Inc.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WO2021007643A1 (en) * 2019-07-14 2021-01-21 Nordic Minesteel Technologies Inc.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499A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574B1 (ko) 기계식 잭의 거치대 기울임장치
US8628062B2 (en) Vehicle jack assembly
US3989225A (en) Vehicle lifting jack
KR102359926B1 (ko) 차량용 리프팅 잭
JP6689444B2 (ja) 車両ジャッキアップ装置
US7131670B2 (en)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US5312088A (en) Screw designs for a scissors jack
EP0790163B1 (en) Half scissor jack structure
EP2832679B1 (en) Portable jack for replacing a motor vehicle wheel
JP5036574B2 (ja) 建設機械のフロート取付装置
KR200189950Y1 (ko) 자동차용 잭의 구조
CN207292062U (zh) 台车
KR20200064798A (ko) 자동차의 타이어 교환용 잭
KR100583659B1 (ko) 지게차의 캐리지 장치
JPS6157472A (ja) スペアタイヤ保持装置
KR100237778B1 (ko) 타이어 교환용 잭
KR20040048577A (ko) 자동차용 기계식 잭
KR100405369B1 (ko) 자동차용 판토그래프 잭
KR100738036B1 (ko) 자동차용 판토그래프잭
KR200174625Y1 (ko)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지지구
JPS6138804Y2 (ko)
JP3104249U (ja) 車両移動器具
JP4751197B2 (ja) スペアタイヤ搭載装置
KR19980051422A (ko) 자동차의 잭핸들
KR100351356B1 (ko)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가이드 부재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