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393B1 -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 - Google Patents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393B1
KR100576393B1 KR1020040037029A KR20040037029A KR100576393B1 KR 100576393 B1 KR100576393 B1 KR 100576393B1 KR 1020040037029 A KR1020040037029 A KR 1020040037029A KR 20040037029 A KR20040037029 A KR 20040037029A KR 100576393 B1 KR100576393 B1 KR 100576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ing
adhesive
adhesive layer
adhesive tap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2170A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102004003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39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제조공정 중 러빙공정에 사용되는 러빙 롤러(rubbing roller)에 러빙 크로쓰(rubbing cloth)를 점착하기 위한 양면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 및 내신축성이 비교적 강한 통상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수지로 점착필름(20)을 형성하되 상기 점착필름(20)은 두께 25㎛로 형성하고, 점착필름(20)의 일측면은 러빙 크로쓰와 접하는 면으로서 점착력을 강화한 점착제를 두께 45㎛로 도포하여 강 점착층(30a)을 형성함과 아울러 점착필름(20)의 타측면은 러빙 롤러와 접하는 면으로서 박리성을 강화한 점착제를 두께 20㎛로 도포하여 약 점착층(30b)을 형성하며, 강 점착층(30a)과 약 점착층(30b)에 양면 PE코팅처리된 박리지(40a)(40b)를 각각 커버하되 양측 박리지(40a)(40b)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강 점착층(30a)과 약 점착층(30b)의 구분이 가능한 점착테이프(10)를 구성함으로써, 점착테이프(10)의 강 점착층(30a)은 러빙 크로쓰와 강력한 점착력을 유지하여 보다 안정된 러빙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점착테이프(10)의 약 점착층(30b)은 러빙 크로쓰의 교체시 러빙 롤러에 대하여 전사되지 않고 깨끗하게 박리되는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4021990087-pat00001
액정디스플레이, 러빙, 러빙 크로쓰, 배향막, 점착제, 점착테이프, 접착

Description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Double-faced adhesive tape for rubbing cloth}
도 1은 일반적인 LCD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도 1의 러빙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러빙 롤러와 러빙 크로쓰를 점착하는 종래 양면 점착테이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종래 양면 점착테이프의 단면구조를 비교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과 종래 양면 점착테이프의 점착 후 점착층을 비교한 사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의 점착력을 측정하는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러빙 크로쓰 R : 러빙 롤러
G, G1, G2 : 유리판 P : 배향막
10 : 점착테이프 20 : 점착필름
30a : 강 점착층 30b : 약 점착층
40a, 40b : 박리지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제조공정 중 러빙공정에 사용되는 러빙 롤러(rubbing roller)에 러빙 크로쓰(rubbing cloth)를 점착하기 위한 양면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러빙 크로쓰와 접하는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은 강 점착층으로 형성하는 한편, 러빙 롤러와 접하는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은 약 점착층으로 형성하여, 러빙공정시 러빙 크로쓰가 밀리지 않고 강력히 점착되어 안정된 러빙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러빙 크로쓰의 교체시 점착테이프가 러빙 롤러에 전사되지 않고 깨끗하게 박리되도록 한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라 함은, 액체의 유동성과 고체의 결정과 같은 규칙적인 분자 배열을 동시에 갖는 한편,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면서 전압이 가해지면 전계의 방향에 따라 분자 배열이 바뀌는 특성을 가지는 액정(Liquid Crystal)의 성질을 이용하여 도형, 문자 또는 그림을 표시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이하 "LCD"라 함)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은 초기세정공정, 배향막코팅공정, 러빙공정, 셀 인쇄 및 스페이서 산포공정, 합착 및 절단공정, 액정주입 및 봉지공정, 편광판 부착공정, 검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각 공정을 하기에서 도 1을 참고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초기세정공정(Cleaning)은 유리판(G, Glass)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세정 및 건조하는 공정으로써, 세제는 순수 알칼리와 중성세제 또는 그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배향막코팅공정(Polyimide coating)은 세정한 유리판(G)에 배향막(P)을 도포하는 공정으로써, 배향(配向)의 안정성, 내구성, 생산성을 고려해 폴리아미드(Polyimide)계 고분자 화합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배향막의 요구 특성은 200℃ 이하에서 필름(Film) 형성이 가능하고, ITO 기판에 좋은 접착 특성을 가져야 하는 한편, 배향막코팅공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넓은 면적에 일정하고 균일하게 배향막을 도포하는 것으로, 두께 차이에 의해 얼룩과 같은 불량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배향막의 두께 관리는 중요한 공정관리 항목이 된다.
러빙공정(Rubbing)은 배향막(P)이 도포된 한 쌍의 유리판(G1, G2)에 일정한 힘과 속도 및 방향으로 러빙 크로쓰(C, Rubbing cloth)가 점착된 러빙 롤러(R, Rubbing roller)를 각각 문질러 배향막(P)에 골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액정이 배향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으로, 배향막(P)에 러빙(Rubbing)을 하면 액정분자가 러빙 방향으로 정렬하는 한편, 상기 러빙공정시 가장 기본이 되는 조건은 일정한 세기로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러빙을 하는 것이다.
셀 인쇄 및 스페이서 산포공정(Seal print and Spacer scattering)은, 러빙된 상하 한 쌍의 유리판(G1,G2)을 붙여주기 위하여 접착제(Sealant)를 스크린 마스크(Screen mask)로써 필요로 하는 부위에 인쇄함과 아울러 두 장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접착제에 지지대(Spacer)를 첨가하여 인쇄하는 공정이다.
합착 및 절단공정(Assembly and Cutting)에 있어서, 합착공정(Assembly)은 접착제(Sealant)가 인쇄된 유리판(G1)과 스페이서(Spacer)가 산포된 유리판(G2) 두 장을 서로 붙이는 공정이고, 절단공정(Cutting)은 기판을 각각의 Cell로 절단하여 분리하는 공정이다.
액정주입 및 봉지공정(Filling and End seal)은 액정 주입구를 통하여 액정을 주입한 후 액정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밀봉하는 공정으로써, 액정 주입방법에는 일반적으로 셀(Cell)의 내부를 진공으로 한 다음 그 압차를 이용하여 액정이 셀 내부로 빨려 들어가도록 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봉지공정은 UV경화형 Bond를 주로 사용하나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한다.
편광판 부착공정(Polarizer film)은 상하 유리판에 편광판을 각각 부착하는 공정으로서, 편광판이 통과 시키는 빛의 진행방향은 액정의 배향 방향과 연관 되어 LCD의 시야각과 특성 등을 좌우하는 한편, 상기 각 공정의 최종공정으로 검사공정이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LCD 제조공정에 있어 러빙공정(rubbing)에 사용되는 러빙 롤러(R, rubbing roller)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러빙 롤러(R,rubbing roller)는 그 외주면에 러빙 크로쓰(C, rubbing cloth)가 양면 점착테이프(1)로써 접착되어 있는 바, 러빙 크로쓰(C)는 면이나 나일론계의 섬유를 식모한 것으로, 러빙이 균일하지 않으면 액정 분자의 정렬도가 공간적으로 일정하지 않아 국소적으로 다른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불량(Unuformity)의 원인이 된다.
한편, 상기 러빙 롤러(R)와 러빙 크로쓰(C)의 점착에 사용되는 양면 점착테이프(1)는 종래 전량 수입에 의존하였는 바, 상기 종래 점착테이프(1)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점착필름(2)의 양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3)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면의 점착층(3)에는 박리지(4)가 각각 커버되어, 사용시 상기 박리지(4)를 벗겨내어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점착테이프(1)는 러빙공정시 러빙 롤러와 러빙 크로쓰 사이가 밀리는 않도록 강한 점착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한편, 러빙 크로쓰의 교체시 러빙 롤러에 점착테이프(1)의 점착층이 전사되지 않고 깨끗하게 박리되어야 하는 두 가지의 상반된 조건을 만족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점착테이프(1)의 양측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어 점착층(3)을 형성하여야 함과 아울러 상기 점착층(3)에 기포와 이물질이 포함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종래 점착테이프(1)의 경우 양측면의 점착층(3)이 동일 조성의 점착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동일한 두께로 도포되어 강한 점착력과 깨끗한 박리라는 두 가지의 상반된 조건을 만족함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점착필름(2)이 외부온도에 의해 쉽게 신축되는 문제점과, 점착층(3)이 고르지 않고 기포 및 이물질을 많이 포함하여 들뜸 현상이 있었으며, 박리지(4)를 통하여 대기의 수분이 점착층(3)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롤 형태로 말려있는 점착테이프(1)를 일정 크기로 잘라 사용함에 있어 말려있는 형태가 유지되어 작업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신축성이 강화된 점착필름의 양측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되 러빙 크로쓰와 접하는 점착층은 강 점착층으로 형성하여 안정된 러빙공정이 수행되도록 하고, 러빙 롤러와 접하는 점착층은 약 점착층으로 형성하여 러빙 크로쓰의 교체시 깨끗한 박리가 되도록 하는 한편, 강 점착층과 약 점착층을 커버하는 박리지를 양면 코팅처리하여 대기의 수분이 각 점착층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양측 박리지의 색상을 서로 달리 구성함으로써 강 점착층과 약 점착층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한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를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는, 점착필름 양측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되 일측 점착층은 두께 45㎛의 강 점착층으로 형성하고, 타측 점착층은 두께가 20㎛인 약 점착층으로 형성하며, 상기 양측 점착층에 양면 PE코팅처리된 박리지를 각각 커버하되 강 점착층과 약 점착층을 커버하는 박리지의 색상을 서로 달리하여 구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하기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이하 "점착테이프"라 약칭 함)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열 및 내신축성이 비교적 강한 통상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수지로 점착필름(20)을 형성하되 상기 점착필름(20)은 두께 25㎛로 형성하고, 상기 점착필름(20)의 일측면은 러빙 크로쓰와 접하는 면으로서 점착력을 강화한 점착제를 두께 45㎛로 도포하여 강 점착층(30a)을 형성함과 아울러 점착필름(20)의 타측면은 러빙 롤러와 접하는 면으로서 박리성을 강화한 점착제를 두께 20㎛로 도포하여 약 점착층(30b)을 형성하며, 상기 강 점착층(30a)과 약 점착층(30b)에 양면 PE코팅처리된 박리지(40a)(40b)를 각각 커버하되 양측 박리지(40a)(40b)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강 점착층(30a)과 약 점착층(30b)이 구분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강 점착층(30a)과 약 점착층(30b)에 각각 도포된 점착제는 동일한 조성(組成)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점착테이프(10)가 가져야 할 조건으로서 강한 점착력과 깨끗한 박리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그 특성에 맞게 개발된 서로 다른 조성(組成)의 점착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점착제의 성분비와 그 조성방법 및 고른 배합방법은 노-하우(knowhow)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의 조성 및 배합방법을 특징하지 않으며, 아울러 점착제의 성분에 한정하지 않고 공지된 점착제를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단면 및 그와 대비되는 종래 점착테이프의 단면을 비교한 참고 사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경우 강 점착층이 약 점착층 보다 두터울 뿐만 아니라 종래 점착테이프에 비하여 이물질 및 기포가 현저히 작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강 점착층을 러빙 크로스(rubbing cloth)에 점착하여 24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점착테이프를 제거한 강 점착층의 표면과, 동일한 조건에서의 종래 점착테이프의 점착층 표면을 비교한 참고 사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강 점착층의 표면이 종래에 대비하여 러빙 크로쓰의 조직에 치밀하게 첨착되어 떨어짐으로써 그 표면이 보다 거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테이프를 러빙 롤러(rubbing roller)에 점착한 후 그 박리되는 점착력을 측정하고 있는 사진으로서, 점착테이프를 러빙 롤러에 폭 20mm, 길이 500mm로 점착하고, 23℃ 습도 65%의 환경에서 12시간을 경과한 후, 박리각도 90°, 박리 속도 30mm/min 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4021990087-pat00002
한편,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측정한 종래 점착테이프의 첨착력은, 350~950g/20mm의 점착력을 나타내었고, 154~943초에 응집파괴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LCD 제조공정 중에서 일정한 세기로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러빙하여야 하는 러빙공정을 개선함에 있어, 종래 러빙장치에 국한되어 개량한 것에서 탈피하여, 러빙 크로쓰와 러빙 롤러를 점착하는 점착 테이프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량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러빙공정을 달성함과 아울러 작업성을 향상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에 의하면, 양면 점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러빙 롤러에 러빙 크로쓰를 점착함에 있어, 러빙 크로쓰와 접하는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은 강 점착층으로서 강력한 점착력을 유지하여 보다 안정된 러빙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한편, 러빙 롤러와 접하는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은 약 점착층으로 형성하여 러빙 크로쓰의 교체시 점착제가 러빙 롤러에 전사되지 않고 깨끗하게 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착필름을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내열 및 내신축성이 강화되어 외부온도에 대한 변형이 적고, 점착 테이프의 양측 점착층을 각각 커버하는 박리지의 색상을 서로 달리 형성함으로써 강 점착층과 약 점착층의 구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박리지를 양면 PE코팅처리 함으로써 대기의 수분이 점착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양면으로 PE코팅처리됨에 따라 작업시 점착테이프가 말리지 않아 작업성이 향상된다.

Claims (1)

  1. 통상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수지를 두께 25㎛로 형성하여 점착필름(20)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필름(20)의 양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양측 점착층에 박리지를 각각 커버한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점착층은 러빙 크로쓰와 접하는 면으로서 점착제를 두께 45㎛로 도포하여 강 점착층(30a)으로 형성하고, 타측 점착층은 러빙 롤러와 접하는 면으로서 점착제를 두께 20㎛로 도포하여 약 점착층(30b)으로 형성하며, 상기 강 점착층(30a) 및 약 점착층(30b)을 각각 커버하는 박리지(40a)(40b)는 양면 PE코팅처리된 것으로 양측 박리지(40a)(40b)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
KR1020040037029A 2004-05-24 2004-05-24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 KR100576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029A KR100576393B1 (ko) 2004-05-24 2004-05-24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029A KR100576393B1 (ko) 2004-05-24 2004-05-24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170A KR20050112170A (ko) 2005-11-29
KR100576393B1 true KR100576393B1 (ko) 2006-05-03

Family

ID=3728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029A KR100576393B1 (ko) 2004-05-24 2004-05-24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1318A (ja) * 2016-12-07 2018-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ポンプモジュールの組付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4926A (ja) * 1990-03-15 1991-11-26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素子のラビング配向処理方法
JP2000098391A (ja) * 1998-09-24 2000-04-07 Sharp Corp ラビング布巻着用両面粘着テープ、液晶表示素子のラビング処理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
JP2004026929A (ja) 2002-06-24 2004-01-29 Sharp Corp 両面接着テープおよびその利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4926A (ja) * 1990-03-15 1991-11-26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素子のラビング配向処理方法
JP2000098391A (ja) * 1998-09-24 2000-04-07 Sharp Corp ラビング布巻着用両面粘着テープ、液晶表示素子のラビング処理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
JP2004026929A (ja) 2002-06-24 2004-01-29 Sharp Corp 両面接着テープおよびその利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209839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1318A (ja) * 2016-12-07 2018-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ポンプモジュールの組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170A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7319B2 (ja) 光学機能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723045B1 (ja) 液晶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システムおよび液晶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
CN102768439A (zh) 一种母板取向膜的制作方法及转印版、取向液
JP5455615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装置
WO1994007158A1 (fr) Filtre colore pour 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et appareil de formation de film par tension et expansion
JP2018013727A (ja) 光学フィルム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TWI553352B (zh)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 manufacturing system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60204736A1 (en) Adhesive tape produced using a hot-melt technique and having an opaque BOPP backing film
CN106019693B (zh) 一种偏光片离型纸的剥离装置
TW201314313A (zh) 液晶顯示元件之製造方法及液晶顯示元件之製造系統
KR100576393B1 (ko) 러빙 크로쓰용 양면 점착테이프
TW201535180A (zh) 觸控面板及其貼合方法
KR102326712B1 (ko)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과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JP2000206333A (ja) 偏光板および楕円偏光板
JP4685256B2 (ja) プラスチック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2798787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4246092A (ja) 液晶セルとその製造方法
JP2012224058A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カラーフィルタ用の画素付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H10253827A (ja) 光学素子およびその光学検査方法
TW594290B (en) Rubbing aligning method and device of alignment film
TWI572488B (zh) 防塵薄膜組件
TW201245366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wi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liquid crystal display
TWI264597B (en) Preprocess method for a plastic film in a polarizing plate
JPH09304621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125379A (ja) 塗布方法及び塗布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