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569B1 -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569B1
KR100575569B1 KR1020037001019A KR20037001019A KR100575569B1 KR 100575569 B1 KR100575569 B1 KR 100575569B1 KR 1020037001019 A KR1020037001019 A KR 1020037001019A KR 20037001019 A KR20037001019 A KR 20037001019A KR 100575569 B1 KR100575569 B1 KR 10057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bracket
overload
load sens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791A (ko
Inventor
이가라시데루오
다도코로아쓰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7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작업대의 하중검출이 저가인 장치를 이용하여 정밀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작업대 베이스(10)를 브래킷(9)에 의해 최소한 3개소 이상의 지지부에서 지지한다. 지지부 중 최소한 2개소 이상의 지지부에, 판형체(14)와 상기 판형체(14)에 부착되어 그 휨량을 검출하는 스트레인 게이지(15∼18)로 이루어지는 하중센서(11)를 설치한다. 하중센서(11)는 판형체(14)의 양단부를 볼트(22, 25)에 의해 브래킷(9)과 베이스(10)에 결합하여 장착한다. 브래킷(9) 또는 베이스(10)와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하중센서(11)와 브래킷(9) 또는 베이스(10)와의 상대적인 상하 방향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접시스프링(27∼29) 등의 탄성체를 설치한다.
고소 작업차, 과부, 검출, 작업대, 베이스, 브래킷, 탄성체, 스프링, 판형체, 스트레인 게이지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OVERLOAD DETECTION DEVICE FOR HIGH-LIFT WORK VEHICLE}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상의 하중이 과대한 지 여부를 검출하는 과부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차에서는, 작업대 상에 탑재하는 하중이 작업반경에 관련하여 과대하게 되면 전복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과부하 검출장치가 설치된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31316호 공보에는, 붐(boom)선단의 작업대의 하중을 검출하기 위해, 바닥틀과 바닥판의 사이에 복수개의 로드셀(load cell)을 개재시키고, 이들 로드셀의 검출 신호를 가산하여 작업대의 하중을 검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실개평 6-18397호 공보에는, 신축(伸縮)붐의 인너붐(inner boom)과 작업대의 사이를 하중센서를 통하여 연결하는 동시에, 레벨(level) 실린더와 작업대의 사이에도 하중센서를 설치하고, 이들 하중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작업대의 하중을 구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531316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닥틀과 바닥판의 사이에 로드셀을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있은 로드 셀은 고가이고, 또한, 바닥틀과 바닥판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에 비틀림이 있는 경우, 하중을 검출하지 않는 로드셀이 발생되어 정밀도 좋게 하중검출을 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일본 실개평 6-18397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특수한 하중센서와 복잡한 연산을 요하고, 역시 고가로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의 하중검출이 저가인 장치를 이용하여 정밀도 양호하게 검출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축붐의 선단에 브래킷을 통해 작업대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베이스를 상기 브래킷에 의해 최소한 3개소 이상의 지지부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중, 최소한 2개소 이상의 지지부에 판형체와 상기 판형체에 부착하여 그 휨량을 검출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지는 하중센서를 설치하고, 각 하중센서는 상기 판형체의 양단부를 볼트에 의해 상기 브래킷과 베이스에 결합하여 장착되는 동시에, 브래킷 또는 베이스와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하중센서와 브래킷 또는 베이스와의 상대적인 상하 방향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탄성체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판형체에 그 휨에 의해 저항치가 변화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 것은 일반적인 로드셀과 비교하여 저가로 제공가능하다. 또, 브래킷에 의해 베이스를 지지점에서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3개소 이상으로 지지하면, 브래킷에 대하여 베이스의 안정 지지가 가능하다. 또, 지지점 중의 2개소에서, 하중센서의 일단측을 브래킷에 결합하고, 타단을 베이스에 결합하고, 그 하중센서의 브래킷측 또 는 베이스측의 결합부에서, 상하 쌍방향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탄성체를 통하여 결합함으로써, 브래킷 또는 베이스에 비틀림 등이 있더라도, 각 하중센서의 하중검출동작이 균일하게 행하여지고, 정밀도가 좋은 하중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2)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중센서는 상기 판형체의 표면과 이면에 정부(正負)의 하중이 검출가능한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 것이다.
이와 같이, 판형체의 표면과 이면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면, 판형체의 휨량을 정부의 방향으로 검출하여 그 차이를 구함으로써, 미소의 휨량에서도 큰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 정부의 하중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 등이 작업대 상의 치우친 위치에 실리는 등의 이유에 의해, 복수개의 하중센서로 둘러싸인 범위외에 하중이 걸린 경우라도, 전체 하중센서의 검출 신호를 가산함으로써, 하중센서로 둘러싸인 범위밖이더라도 정확한 하중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3)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중센서는 상기 판형체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2개씩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스트레인 게이지가 휘트스톤브릿지에 조립되어, 서로 표면과 이면에서 대향하는 한 쪽의 쌍 스트레인 게이지의 스트레인 검출량과, 다른 쪽의 쌍 스트레인 게이지의 스트레인 검출량이 가산된 하중검출 신호를 얻는 회로 구성을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휘트스톤브릿지의 출력라인을 각각 병렬로 접속하여 증폭회로에 입력함으로써, 각 휘트스톤브릿지에서의 스트레인 검출량의 가산평균을 얻는다.
이러한 하중센서와 하중검출용 회로 구성으로 함으로써, 더 큰 하중검출 신 호가 얻어지고, 검출 정밀도가 더욱 향상된다.
(4)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가, 2변이 전후 방향으로 향한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코너부에 상당하는 4개소의 지지부에서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의 최소한 2개소에 상기 하중센서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각 지지부를 연결하는 선이 정방형 또는 장방형을 이루도록 지지부를 배치하고, 그 중 최소한 2개소에 하중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정밀도가 좋은 하중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5)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중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하중검출치와 과부하 설정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에 의해 과부하가 검출되었을 때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과부하시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과부하를 인식하고, 과부하를 피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과부하에 동반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6)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중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하중검출치와 과부하 설정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에 의해 과부하가 검출되었을 때에 작업반경을 증대시키는 방향의 동작을 금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과부하시에는 작업반경이 더 확대되는 방향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금지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요하지 않고, 과부하에 따른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소작업차의 측면도, 도 1b는 그 작업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a, 도 2b는 각각 본 실시예의 작업대의 평면도, 정면도이다.
도 3a는 본 실시예의 하중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그 하중센서의 평면도, 도 3c, 도 3d는 각각 도 3b의 E-E, F-F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과부하 검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b∼도 4d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휘트스톤브릿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휘트스톤브릿지를 이용하여 그 출력의 가산평균을 구하는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a,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하중센서의 하중모드에 대한 하중센서에 의한 하중검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중센서의 장착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과부하시에 작업반경 증대방향의 동작을 금지하는 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소작업차의 측면도, 도 1b는 그 작업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는 주행체(1) 상에 선회장치(2)를 통하여 파워유닛을 탑재한 선회체(3)를 설치하고, 선회체(3)에 기복실린더(4)에 의해 기복가능하게 신축 붐(5)을 장착하고, 신축붐(5)의 선단에 작업대(7)의 수평유지용 레벨실린더(6) 및 수진(首振)용 선회장치(8)를 통하여 작업대장착용 브래킷(9)을 장착한다.
도 1b와, 도 2a의 평면도와, 도 2b의 정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9)은 상기 선회장치(8)의 선회측에 결합되는 장착 프레임(9a)과, 상기 장착 프레임(9a)의 앞부분에 고정된 뒤 프레임(9b)과, 상기 뒤 프레임(9B)의 하부의 좌우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켜 고착한 좌우의 측 프레임(9c, 9c)과 이들 측 프레임(9c, 9c)의 앞부분 사이에 양단을 고착한 앞 프레임(9d)으로 이루어진다.
10은 작업대(7)의 베이스이다. 11은 하중센서이고, 상기 하중센서(11)는 브래킷(9)의 측 프레임(9c)의 상면과 베이스(10)의 내부 프레임(10a)의 사이에 장착된다. 이들 하중센서(11)는 4개소의 지지부에서, 이들 지지부를 연결하는 선이 직사각형(2 변이 전후 방향으로 향하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을 이루는 배치로 형성된다.
도 3a는 상기 하중센서(11)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b는 상기 하중센서의 평면도, 도 3c, 도 3d는 각각 도 3b의 E-E, F-F 단면도이다. 도 3a에서, 12는 상기 브래킷(9)의 측 프레임(9c)의 상면에 용접된 하중센서(11) 장착대, 13은 브래킷(10)의 내부 프레임(10a)의 내면에 용접된 하중센서(11) 장착용 플랜지이다. 도 3b∼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센서(11)는 강재로 이루어진 판형체(14)의 표면, 이면에 각각 2개씩, 표면과 이면에서 대향하도록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15∼18)를 부착하고, 각 스트레인 게이지(15∼18)의 부착 부분을 수지(19)에 의해 몰드(mold)로 이루어진다. 20, 21은 판형체(14)의 양단 근방 에 설치된 볼트삽입공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22)를, 하중센서(11)의 일단측의 볼트삽입공(20)과, 상기 장착대(12) 및 측 프레임(9c)의 상판부에 설치한 볼트삽입공(23)에 삽입 통과하여 너트(24)에 나사 결합하여 조여 하중센서(11)의 일단측을 베이스(9)의 측 프레임(9c)에 결합하고, 하중센서(11)의 타단측은, 볼트(25)를, 접시스프링(26), 플랜지(13)의 볼트삽입공(27), 접시스프링(28), 하중센서(11)의 볼트삽입공(21), 접시스프링(29)으로 통하고, 너트(30)에 나사 결합 체결됨으로써, 브래킷(10)의 내부 프레임(10a)에 결합하여 상기 하중센서(11)가 장착된다.
도 4a는 상기 하중센서(11)를 이용한 과부하 검출장치의 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중센서(11)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 전원(31)에,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5∼18)로 이루어지는 휘트스톤브릿지(Wheatstone Bridge)(34)를, 판형체(14)의 표면의 스트레인 게이지(15, 17)가 브릿지암의 대향변에 있도록 조립하고, 한 쪽의 쌍을 이루는 표면과 이면의 스트레인 게이지(15, 16)의 접속점과, 다른 쪽의 쌍을 이루는 표면과 이면의 스트레인 게이지(17, 18)의 접속점으로부터 출력단(32, 33)에 끌어내는 구성을 가진다.
이들 휘트스톤브릿지(34)의 출력단(32, 33)은, 도 4a에서, 증폭회로(35)에 입력되고, 가산치(또는 가산평균)를 취한다. 도 5는 증폭회로(35)로의 입력의 일례이며, 4개의 휘트스톤브릿지(34A∼34D)의 출력라인을 병렬 접속하여 증폭회로(35)에 입력함으로써, 증폭회로(35)에 의하여 각 하중센서(11)의 출력인 스트레인 검출량의 가산평균을 얻는 회로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폭회로(35)의 출력신호인 검출하중은, 미터 등과 같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육안을 볼 수 있는 표시기(36)에 의해 표시된다. 또, 검출하중은 과부하설정기(37)에 의한 과부하설정치와 비교기(38)에서 비교되고, 검출하중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릴레이 접점(40)이 전환되고, 경보사이렌(41)이나 음성경보발생기(42)와 같은 경보발생수단이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10)에 대한 하중모드에 따른 하중센서(11)의 검출출력의 관계를, 설명을 간략하기 위하여, 2개의 하중센서(11)를 연결하는 선상에 걸린 경우에 대해 나타낸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W)이 하중센서(11, 11)의 사이에 걸린 경우, 그 하중 위치에 따라서 분산된 정하중이 검출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하중센서(11, 11) 사이의 간격(2L)의 중점[하중센서(11)로부터 거리(L)의 점]에 하중(W)이 결려 있기 때문에, 2개의 하중센서(11, 11)에는 하중의 1/2의 하중(W/2)이 검출된다. 이들 2개의 하중센서(11, l1)의 검출출력을 가산함으로써, 실제의 하중(W)이 구해진다.
한편,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W)이 하중센서(11, 11)의 사이보다 외측에 걸린 경우, 한 쪽 하중센서(11)에는 하중(W)보다 큰 하중이 걸린다. 도시한 예의 경우 한 쪽 하중센서(11)의 외측의 L의 거리에 하중(W)이 결려 있기 때문에, 한 쪽 하중센서(11)에서는 정하중[(3/2)W], 다른 쪽의 떨어진 하중센서(1l)에서는 부하중(-W/2)이 검출되고, 이들을 가산함으로써 하중(W)이 구해진다.
본 실시예와 같이, 4개의 하중센서(11)를 설치한 경우에는, 하중이 이들 하중센서로 둘러싸인 영역의 내부에 있는가 외부에 있는가에 관해서도, 상기와 같이, 내부에 있는 경우는 전체 하중센서(11)가 정하중을 검출하고,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일부의 하중센서(11)가 정하중을 검출하고, 나머지의 하중센서(11)가 부하중을 검출하여 이들을 가산함으로써, 올바른 하중(W)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중센서(1l)가 정부(正負)의 하중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부로 되는 하중센서(11)의 설치점으로 둘러싸인 영역 밖의 베이스(10) 상에 하중의 중심이 있기 때문에 베이스(10)에 비틀림이 생기는 경우에도 정확한 하중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 판형체(14)에 그 휨에 의해 저항치가 변화되는 스트레인 게이지(15∼18)를 부착한 것은, 일반적인 로드셀과 비교하여 저가로 제공가능하다. 또, 브래킷(9)에 의해 베이스(10)를 지지하고, 하중센서(15∼18)의 일단측을 브래킷(9)에 결합하고, 타단을 베이스(10)에 결합하고, 그 하중센서(15∼18)의 베이스(10)측[브래킷(9)측이라도 된다]의 결합부에서, 상하 쌍방향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접시스프링(27∼29) 등의 탄성체를 통하여 결합함으로써, 브래킷(9) 또는 베이스(10)에 비틀림 등이 있더라도, 각 하중센서(11)의 하중검출 동작이 균일하게 행해지고, 정밀도가 좋은 하중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 브래킷(9)에 의해 베이스(10)를 지지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4점에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3개소 이상에서 지지하면, 브래킷(9)에 대하여 베이스(10)의 안정 지지가 가능하다. 또, 4개의 지지점에서, 전체 하중센서(1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업대(7) 상의 오퍼레이터의 발판이 소정의 영역에 한정되는 경우에는, 2개소에서 검출함으로써, 대략적인 하중을 검출 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다.
판형체(14)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는 구성의 하중센서를 구성하는 경우, 판형체(14)의 표면 또는 이면에만 스트레인 게이지(15)를 부착하고,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저항(43)과 함께 스트레인 게이지(15)를 휘트스톤브릿지의 하나의 암에 조립하고, A, B 사이의 전압을 검출하는 구성도 채용가능하다. 그러나, 판형체(14)의 표면과 이면에 한 쌍의 스트레인 게이지(15, 16)를 설치하고,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저항(43)과 함께 휘트스톤브릿지의 2개의 암에 조립하고, A, B 사이의 전압을 하중으로서 검출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스트레인 게이지(15, 16)의 검출출력이 가산된 2배의 검출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판형체(14)의 표면과 이면에 2쌍의 스트레인 게이지(l 5∼18)를 부착하여 도 4b의 휘트스톤브릿지 구성을 채용하면, 스트레인 게이지(15, 16)의 검출출력이 가산되고, 또 이것에 스트레인 게이지(17, 18)의 검출출력이 가산되기 때문에, 도 4c의 구성과 비교하여 4배의 검출출력이 얻어지고, 도 4d의 구성과 비교하여 2배의 검출출력이 얻어지고, 더욱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중센서(11)와 브래킷(10)의 결합부에 설치하는 탄성체로서 접시스프링(27∼29)를 이용했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로서 경질고무(27A∼29A)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상기 비교기(38)의 출력에 의해 작업반경이 증대되는 방향의 동작을 금지하는 제어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에 있어서, 46은 상기 선회체(3) 상에 탑재된 유압원, 47은 신축붐(5)의 신축용 유압실린더, 48은 그 컨트 롤밸브, 49는 유압실린더 신장측의 솔레노이드(50)에 통전(通電)되어 컨트롤밸브(48)를 유압실린더의 신장측으로 전환하는 조작스위치이다. 51은 상기 비교기(38)에 의해 과부하가 검출되었을 때에 닫히는 스위치, 52는 상기 스위치(51)가 닫힘에 의해 전원(31)으로부터 통전되어 여자되는 릴레이, 53은 그 릴레이(52)의 상폐접점(常閉接点)이며, 상기 접점(53)은 조작스위치(49)의 회로(54)에 삽입된다.
이 회로에서는, 비교기(38)의 출력이 온으로 되면, 릴레이 접점(53)이 열리기 때문에, 컨트롤밸브(48)의 솔레노이드(50)로의 통전이 금지되며, 이에 따라, 신축붐(5)의 신장방향의 동작이 금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하중검출 신호의 가산을 행하는 상기 증폭회로(35)나 비교기(38)는, 디지털연산수단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작업반경의 증대방향의 동작을 금지하는 제어수단으로는, 신축붐(5)을 쓰러뜨리는 방향의 동작을 금지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형체에 그 휨에 의해 저항치가 변화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여 하중센서를 구성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로드셀과 비교하여 저가로 과부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하중센서의 브래킷측 또는 베이스측의 결합부에서, 상하 쌍방향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탄성체를 통하여 하중센서를 브래킷이나 베이스에 결합했기 때문에, 브래킷 또는 베이스에 비틀림 등이 있더라도, 각 하중센서의 하중검출 동작이 균일하게 행하여져, 정밀도가 좋은 하중검 출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신축(伸縮)붐(boom)(5)의 선단에 브래킷(9)을 통하여 작업대(7)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7)의 베이스(10)를 상기 브래킷(9)에 의해 최소한 3개소 이상의 지지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 중 최소한 2개소 이상의 지지부에 판형체(14)와 상기 판형체(14)에 부착되어 그 휨량을 검출하는 스트레인 게이지(15∼18)로 이루어지는 하중센서(11)를 설치하고,
    각 하중센서(11)는 상기 판형체(14)의 양단부를 볼트(22, 25)에 의해 상기 브래킷(9)과 베이스(10)에 결합하여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브래킷(9) 또는 상기 베이스(10)와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하중 센서(11)와 상기 브래킷(9) 또는 상기 베이스(10)와의 상대적인 상하 방향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탄성체(26, 28, 2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센서(11)는 상기 판형체(14)의 표면과 이면에 정부(正負)의 하중이 검출가능한 스트레인 게이지(15∼18)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센서(11)는 상기 판형체(14)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2개씩 스트레인 게이지(15∼18)를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스트레인 게이지(15∼18)가 휘트스톤브릿지(Wheatstone Bridge)(34)에 조립되어, 서로 표면과 이면에서 대향하는 한 쪽 쌍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스트레인 검출량과, 다른 쪽 쌍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스트레인 검출량이 가산된 하중검출 신호를 얻는 회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휘트스톤브릿지(34)의 출력라인을 각각 병렬로 접속하여 증폭회로(35)에 입력함으로써, 각 휘트스톤브릿지(34)에서의 스트레인 검출량의 가산평균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9))과 상기 베이스(10)가, 2변이 전후 방향을 향한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코너부에 상당하는 4개소의 지지부에서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의 최소한 2개소에 상기 하중센서(1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센서(11)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하중검출치와 과부하 설정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38)과, 상기 비교수단(38)에 의해 과부하가 검출되었을 때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수단(41, 4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센서(11)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하중검출치와 과부하 설정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38)과, 상기 비교수단(38)에 의해 과부하가 검출되었을 때에 작업반경을 증대시키는 방향의 동작을 금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KR1020037001019A 2001-07-23 2002-04-25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KR100575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21634 2001-07-23
JP2001221634A JP2003034498A (ja) 2001-07-23 2001-07-23 高所作業車の過負荷検出装置
PCT/JP2002/004142 WO2003010082A1 (fr) 2001-07-23 2002-04-25 Detecteur de surcharge sur vehicules elevateurs de haute port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791A KR20040017791A (ko) 2004-02-27
KR100575569B1 true KR100575569B1 (ko) 2006-05-02

Family

ID=1905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019A KR100575569B1 (ko) 2001-07-23 2002-04-25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42118B2 (ko)
EP (1) EP1411022A4 (ko)
JP (1) JP2003034498A (ko)
KR (1) KR100575569B1 (ko)
WO (1) WO20030100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416B1 (ko) * 2010-08-12 2013-01-22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특장차용 고소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6599A1 (de) * 2002-06-14 2003-12-24 Still Wagner Gmbh & Co Kg Verfahren zum Steuern mindestens einer Bewegung eines Flurförderzeugs
DE102004031248A1 (de) * 2004-06-29 2006-02-09 Plustech Oy Ladegerät
GB0507972D0 (en) * 2005-04-20 2005-05-25 Caterpillar Inc Load sensing system for an aerial work apparatus
US7564662B2 (en) * 2007-02-28 2009-07-21 Caterpillar Inc. Overload protection system for an electromagnetic lift
GB2450360C (en) * 2007-06-21 2020-01-29 Niftylift Ltd Load monitoring system
JP2011504866A (ja) * 2007-11-26 2011-02-17 セーフワークス エルエルシー 電力センサ
EP2088117A1 (en) 2008-02-11 2009-08-12 Haldex Hydraulics AB High power switch device and a power pack comprising a high power switch device.
BE1018593A5 (nl) * 2009-04-17 2011-04-05 Lille Allenbroer Leo Alix De Multifunctionele werkkooi met verbeterde eigenschappen.
GB0913692D0 (en) 2009-08-06 2009-09-16 Blue Sky Access Ltd A safety device for an aerial lift
FR2950618B1 (fr) * 2009-09-28 2011-10-21 Haulotte Group Nacelle elevatrice et methode de commande d'une telle nacelle
CN102030296A (zh) * 2011-01-10 2011-04-27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用于高处作业吊篮或升降机的过载保护装置
US9245434B2 (en) 2011-02-09 2016-01-26 Paul D. Baillargeon Warning and message delivery and logging system utilizable in the monitoring of fall arresting and prevention devices and method of same
KR101193391B1 (ko) 2011-10-13 2012-10-22 하베코리아 주식회사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US10138102B2 (en) 2013-07-23 2018-11-27 Viki V. Walbridge Warning and message delivery and logging system utilizable in a fall arresting and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same
US20150112553A1 (en) * 2013-10-22 2015-04-23 Ronald E. Wagn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ctual and potential failure of hydraulic lifts
GB2530780B (en) * 2014-10-02 2018-04-04 Bluesky Solutions Ltd Pre-crush sensor module for an aerial lift
EP3205992B1 (de) * 2016-02-11 2019-06-19 MOBA - Mobile Automation AG Elektrische schaltung, wägezelle, lasterfassungsvorrichtung und fahrzeug mit einer lasterfassungsvorrichtung
EP3440006B1 (en) * 2016-04-08 2023-06-14 JLG Industries, Inc. Platform load sensing system
US10961099B2 (en) * 2016-09-09 2021-03-30 Terex Usa, Llc Flexible plate scale for platform load weighing
KR101985867B1 (ko) * 2018-04-23 2019-06-04 신동준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2258B (en) * 1979-11-01 1983-11-16 Simon Eng Dudley Ltd Safe load indicator
CH663949A5 (de) * 1984-02-14 1988-01-29 Inventio Ag Lastmesseinrichtung fuer eine aufzugskabine.
JPH0628555Y2 (ja) * 1990-04-13 1994-08-03 州治 高瀬 高所作業車における安全装置
JP3037762B2 (ja) 1991-01-30 2000-05-08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の流動性試験方法及びその装置
JP2531316B2 (ja) 1991-06-19 1996-09-04 日新電機株式会社 直線運動軸支持機構
JPH0628555A (ja) 1992-07-07 1994-02-04 Nissei Reiki Kk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装置
FR2717899B1 (fr) * 1994-03-24 1996-08-02 Claude Allemane Dispositif de contrôle de surcharges pour nacelles ou plateformes élevatrices.
JP3486721B2 (ja) * 1995-02-16 2004-01-13 三明電機株式会社 ワークセンサー
JP3178782B2 (ja) * 1995-09-28 2001-06-25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高所作業車の積載荷重検出装置
JPH10194698A (ja) * 1997-01-07 1998-07-28 Nagano Kogyo Kk 走行式建機の荷重検出装置
JP4364337B2 (ja) * 1999-03-08 2009-11-18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式作業車の過負荷防止装置
US6585079B1 (en) * 1999-12-14 2003-07-01 1994 Weyer Family Limited Partnership Work platform with rotary actuator
JP2002104798A (ja) * 2000-09-25 2002-04-10 Komatsu Ltd 高所作業車の積載荷重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416B1 (ko) * 2010-08-12 2013-01-22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특장차용 고소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1022A1 (en) 2004-04-21
JP2003034498A (ja) 2003-02-07
WO2003010082A1 (fr) 2003-02-06
EP1411022A4 (en) 2009-11-25
US20030174064A1 (en) 2003-09-18
KR20040017791A (ko) 2004-02-27
US6842118B2 (en) 2005-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569B1 (ko)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US6092838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weight of a person in a seat in a vehicle
US59426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eat loading by strain gauge
US20130153307A1 (en) Weighing module for static or dynamic weighing of loads and force transmission applied thereby
HUT58232A (en) Brake system for articulated vehicles
US20190084362A1 (en) Supporting element comprising a sensor
JP5050772B2 (ja) 車両のシート用乗員荷重センサ
KR102244449B1 (ko)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US6559392B1 (en) Weight-sensing support assembly for automotive seat cushion frame
EP1111353B1 (en) Weighing device
US20060186703A1 (en) Rops canopy of hydraulic shovel
US7049529B2 (en) Occupant classification sense element
KR100725059B1 (ko) 교각 수직부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US6943695B2 (en) Seat load measuring apparatus
KR100831765B1 (ko) 고정식 과적차량 단속용 조각패드
CN209764242U (zh) 动态汽车衡和汽车衡系统
US11999603B2 (en) Forklift scale sensor attachment and mounting
KR100265961B1 (ko) 쇽 업소버의 감쇠력 측정장치
FI89206C (fi) Lastvikt maetande anordning vid ett fordonschassi
CA2415032A1 (en) Combplate load and obstruction sensor apparatus
KR100828079B1 (ko) 차량 배기계 행거 로드의 수직하중 측정용 로드셀
JP4229710B2 (ja) 塵芥収集車
CN215492021U (zh) 一种带预紧力的平板式高速动态衡秤台
KR102267493B1 (ko)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JP2507076Y2 (ja) バ−型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