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867B1 -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867B1
KR101985867B1 KR1020180046627A KR20180046627A KR101985867B1 KR 101985867 B1 KR101985867 B1 KR 101985867B1 KR 1020180046627 A KR1020180046627 A KR 1020180046627A KR 20180046627 A KR20180046627 A KR 20180046627A KR 101985867 B1 KR101985867 B1 KR 101985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upport
belt
support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준
김선규
Original Assignee
신동준
김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준, 김선규 filed Critical 신동준
Priority to KR1020180046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신축 가능하며 상단에 상향 연장된 지지축(111)을 구비하는 붐(110)과, 상기 지지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스켓부(120)는 지지축(111)에 삽입되어 지지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지지부(123)와, 상단이 힌지부(243)에 의하여 바스켓지지부(123)에 결합되며 상향 개구되어 작업자가 탑승하는 바스켓본체(121)와, 상기 바스켓본체(121)에 구비되는 바스켓조작부(122)와, 상기 바스켓본체(121)에 일단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안전벨트(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스켓본체(121)에는 탑승자의 발을 감지하여 탑승자 인원을 산출하는 바스켓센싱부(125)가 구비된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High Place Working Vehicle Having Improved Safety}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고 작업자수에 따라 모든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차는 전신주 위에 설치되는 고압선로의 설치나 철거 또는 유지보수 등의 제반 공사를 위하여 작업자가 탑승하여 소정 고도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를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1000)는 복수의 붐(1130)이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인입 및 인출되어 일단부측에서 소정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붐(1130)의 상단부에는 바스켓(1210)이 결합되어 작업자 및 장비의 하중을 지지하고 하단에서 고소작업차량(1000)의 베이스(1010)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붐(1130)은 베이스(101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붐(1130)의 인입 및 인출 작동, 상하회전 및 좌우회전의 동력은 차량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의 인출은 PTO(Power Take Off)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압을 통하여 작동될 수 있다. 작업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소작업차(1000)의 측면에는 아우트리거(1020)가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아우트리거(1020) 역시 유압을 통하여 작동된다. 붐(1130)에 인접된 고소작업차(1000)의 베이스(1010)에는 붐(1130)의 상태를 조작할 수 있는 주조작부(1110)가 구비되며, 이러한 주조작부(1110)를 통하여 지상의 조작자는 붐(1130)의 신축, 상하회전 및 좌우회전을 직접 조작하며, 경우에 따라 이러한 주조작부(1110)는 바스켓(1210) 또는 바스켓(1210)에 구비되는 장비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바스켓(1210)은 붐(1130)에 연결된 측의 바스켓지지부(1230)에 대하여 회전 또는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소정의 제어라인이 연장되어 작업자가 탑승한 경우 바스켓(1210) 내부에서 직접 차량 또는 붐 등의 장비를 조작할 수 있도록 바스켓조작부(12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바스켓(1210)은 고소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붐(1130)의 움직임이나 외부 환경에 따라 요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작업자의 안전상의 불안요소로 작용된다. 안전벨트(1300)가 바스켓(1210)에 정확하게 취부되지 않은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이에, 바스켓(1210)에는 감지장치(2000)가 구비되어 바스켓(1210)의 탑승인원에 대한 하중을 감지하여 탑승 여부 및 탑승 인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붐(1130)의 선단부에는 바스켓지지부(1230)가 결합되고, 바스켓(1210)이 바스켓지지부(1230)에 연결된다.
바스켓(1210)과 바스켓지지부(1230)는 힌지부(2401)에 의하여 결합되고, 힌지부(2401)의 하측으로는 변위감지부(2400)가 배치된다. 상기 힌지부(2401)는 바스켓지지부(1230)와 바스켓(1210)을 연결하도록 기능하며 바스켓의 탑승자에 의하여 편심하중이 발생하면 도시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모멘트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바스켓(1210)의 하측은 바스켓지지부(1230) 측으로 더욱 밀착되고 변위감지부(2400)는 이러한 변위를 감지하여 하중을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소자업차(1000)는 힌지부(2401)가 결합된 브라켓이 용접 작업으로 고정되는 등, 많은 용접 개소가 존재하여 용접 불량 또는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용접 부분이 파손되어 바스켓(1210) 자체가 바스켓지지부(1230)로부터 분리되어 추락할 위험이 있으며, 이 경우에 작업자는 안전벨트(1300)를 착용하고 있어도 바스켓(1210)과 함께 추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바스켓(1210)에 탑승한 작업자의 총 중량에 의하여 작업자의 수를 추정하므로, 작업자의 몸무게에 따라 작업자 추정이 잘못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643330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의 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여 모든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바스켓이 바스켓지지부와 분리하여 추락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신축 가능하며 상단에 상향 연장된 지지축을 구비하는 붐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스켓부는 지지축이 삽입되어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지지부와, 상단이 힌지부에 의하여 바스켓지지부에 결합되며 상향 개구되어 작업자가 탑승하는 바스켓본체와, 상기 바스켓본체에 구비되는 바스켓조작부와, 상기 바스켓본체에 일단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안전벨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스켓본체에는 탑승자의 발을 감지하여 탑승자 인원을 산출하는 바스켓센싱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바스켓센싱부는 바스켓본체의 바닥부를 덮도록 바스켓본체의 바닥부 상에 구비되며 하부에 하향 개구된 설치홈이 형성되어 바스켓본체에 탑승한 탑승자가 밟고 작업을 하는 복수의 발판본체와, 상기 발판본체의 설치홈에 삽입되어 발판본체와 바스켓본체의 바닥부 사이에 구비되며 제어부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센싱부로 이루어져, 복수의 제2 센싱부 중 하중에 센싱되는 제2 센싱부가 2개 이하이면 1인으로, 2개 초과 4개 이하이면 2인으로 판정되며;
상기 안전벨트와 안전벨트와 결합되는 작업자벨트의 체결시 서로 분리되어 각각 벨트연결선에 결합된 벨트버클을 연결하는 작업벨트연결선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벨트버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전벨트와 작업자벨트의 체결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며; 작업자수와 안전벨트와 작업자벨트의 체결 신호수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바스켓조작부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일단이 상기 바스켓본체에 결합된 신축 가능한 제1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바스켓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바스켓본체에 결합된 와이어 로프 또는 금속 봉체인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로드 단부에는 지지축이 삽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U'자형 포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에는 단부가 포크부의 오목홈으로 개구된 포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포크홈에는 일부가 포크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포크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포크홈에 고정된 제1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센서와 접촉부재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제1 센서와 접촉부재에 결합된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어 신장하여 로드가 지지축으로 전진하면서 접촉부재가 지지축에 접촉하고 스프링이 압축하여 압축력이 제1 센서로 전달되고 제1 센서에서 센싱된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1 지지부로 공급되는 유압이 차단되어 신장이 정지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힌지부의 하부로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제1 지지부와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부가 파손되어 바스켓본체가 바스켓지지부로부터 분리되면 제2 지지부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1 지지부가 지지축을 가압하면서 바스켓본체의 탈락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소작업차는 바스켓본체에 센서를 구비하여 작업자 수를 파악하고, 작업자 수에 따라 모든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하며, 바스켓지지부와 바스켓이 견고하게 연결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소작업차의 탑승 감지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소작업차의 탑승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를 도시한 측면 일부 단면도로서 도 2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에 구비되는 바스켓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연결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안전벨트의 일부 투영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를 도시한 측면 일부 단면도로서 도 2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에 구비되는 바스켓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연결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안전벨트의 일부 투영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100)는 차량인 베이스와, 작업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차량의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아우트리거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신축 가능한 붐(110)과, 붐(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바스켓부(120)와, 베이스에 구비되어 붐(110)의 상태를 조작하는 주조작부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붐(110)과 바스켓부(120)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붐(110)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베이스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붐(110)은 복수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인입 및 인출되며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붐(110)의 상단에는 상향 연장된 지지축(111)을 구비한다.
상기 바스켓부(120)는 상기 붐(1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부(120)는 상기 붐(110)의 지지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부(120)는 바스켓지지부(123)와, 바스켓본체(121)와, 바스켓조작부(122)와, 안전벨트(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스켓지지부(123)는 상기 지지축(111)이 삽입되어 지지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본체(121)는 상향 개구되어 작업자가 탑승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바스켓본체(121)는 상단이 힌지부(243)에 의하여 상기 바스켓지지부(123)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243)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본체(121)는 붐(110)의 지지축(111)에 연결된 측의 바스켓지지부(123)에 대하여 회전 또는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바스켓본체(121)와 바스켓지지부(123) 사이에는 바스켓결합부(127)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결합부(127)는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결합부(127)는 상기 바스켓본체(121)에 바스켓지지부(123)를 향하는 쪽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243)는 바스켓결합부(127)의 상단에 결합되어 바스켓결합부(127)와 바스켓지지부(1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힌지부(243)는 바스켓결합부(127)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243)의 하부로는 변위감지부(2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243)는 바스켓지지부(123)와 바스켓본체(121)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며, 바스켓본체(121)의 탑승자에 의하여 편심 하중이 발생되면 도 3의 도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모멘트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바스켓결합부(127)의 하측은 바스켓지지부(123) 측으로 더욱 밀착되고, 상기 변위감지부(241)는 이러한 선형적인 변위를 감지하여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변위감지부(241)는 종래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스켓본체(121)에는 바스켓센싱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센싱부(125)는 상기 바스켓본체(121)의 바닥부 상에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센싱부(125)는 상기 바스켓본체(121)의 바닥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센싱부(125)는 탑승자의 발을 감지하여 탑승자 인원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센싱부(125)는 바스켓본체(121)에 탑승한 탑승자가 밟고 작업을 하는 발판본체(1251)와 제2 센싱부(12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본체(1251)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발판본체(1251)는 판상이며 하부에 하향 개구된 설치홈(125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센싱부(1253)는 상기 발판본체(1251)와 바스켓본체(121)의 바닥부 사이에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센싱부(1253)는 상기 발판본체(1251)의 설치홈(1251a)에 각각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센싱부(1253)는 제어부에 연결 구비되어 제2 센싱부(1253)를 통해 센싱되는 제2 센싱부(1253)의 개수에 따라 인원수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센싱부(1253) 중 하중에 센싱되는 제2 센싱부(1253)가 2개 이하이면 1인으로, 2개 초과 4개 이하이면 2인으로 판정된다.
상기 제2 센싱부(1253)는 압축력을 측정하는 로드셀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센싱부(1253)에서 측정되는 탑승자의 발에 의한 압축력은 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측정되어 제어부로 전달될 수도 있으나, 보다 정밀한 측정을 위하여, 작업자가 작업할 때 움직이는 동작에 의한 제2 센싱부(1253)에서의 센싱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탑승 인원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계속 센싱되는 결과에서 동일 시점에서 센싱되는 최대의 개수가 나오는 제2 센싱부(1253)의 숫자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수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서는 4개의 발판본체(1251)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스켓본체(121)의 크기에 따라 6개 이상의 발판본체(1251)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바스켓조작부(122)는 상기 바스켓본체(121)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조작부(122)를 이용하여 바스켓본체(121)의 내부에서 직접 차량 또는 붐(110) 등의 장비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조작부(122)는 바스켓본체(121) 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수와 안전벨트(140)와 작업자벨트(150)의 체결 신호수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안전벨트(140)는 상기 바스켓본체(121)에 일단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안전벨트(140)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안전벨트(140)는 작업자의 작업자벨트(150)와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벨트(140)는 일단이 바스켓본체(121)에 고정 결합된 플렉시블한 벨트부(141)와, 상기 벨트부(141)의 타단에 결합되어 서로 분리된 도전체인 벨트버클(145)이 구비된 벨트버클부(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버클부(143)는 나이론66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다. 상기 벨트부(141)에는 벨트부(141)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각각 서로 분리된 벨트버클(145)에 연결된 도전선인 벨트연결선(147)이 구비된다.
상기 안전벨트(140)와 체결되는 작업자벨트(150)는 작업자의 몸에 착용하는 작업벨트(151)와, 상기 작업벨트(151)에 결합되며 상기 벨트버클(145)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홈(153a)이 형성된 나이론66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작업버클부(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업버클부(153)에는 상기 버클홈(153a)에 삽입된 벨트버클(145)에 각각 접촉 연결되는 접촉단자(155a)와 양단이 접촉단자(155a)에 연결된 도전선인 작업벨트연결선(155)이 구비된다.
상기 안전벨트(140)와 작업자벨트(150) 체결 시 상기 벨트버클(145)이 버클홈(153a)에 삽입되면, 서로 분리되어 있던 상기 벨트버클(145)은 각각 접촉단자(155a)에 접촉되어 작업벨트연결선(155)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벨트버클(14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생성되는 연결 신호는 벨트연결선(147)을 통하여 제어부로 전달된다.
상기 벨트버클(145)과 작업버클부(153) 사이에 착탈되는 구성은 종래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복수의 제2 센싱부(1253)에서 측정된 작업자수와, 복수의 안전벨트(140) 중 작업자벨트(150)에 체결된 안전벨트(140)의 수가 같은 경우에만, 상기 바스켓조작부(122)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서로 분리된 벨트버클(145)이 스위치가 되어, 벨트버클(145)이 접촉단자(155a)와 작업벨트연결선(155)에 의하여 통전될 때만 바스켓조작부(122)로 전기가 공급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바스켓본체(121)에 1명 이상의 작업자가 탑승한 경우, 탑승 인원이 센싱되고, 모든 탑승 인원이 안전벨트를 체결한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탑승자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바스켓지지부(123)와 바스켓본체(121) 사이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바스켓부(120)에는 지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상기 지지축(111)과 바스켓결합부(127)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상기 힌지부(243)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상기 바스켓지지부(123)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일단이 상기 바스켓결합부(127)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111)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유압실린더로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바스켓결합부(127)에 결합되어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신장하는 로드(1312)와, 상기 로드(1312)의 단부에 구비되어 지지축(111)이 삽입되는 포크부(1311)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크부(1311)는 오목홈(1311a)이 형성된 'U'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포크부(1311)의 오목홈(1311a)은 상기 지지축(111)을 향하여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포크부(1311)의 오목홈(1311a)에는 지지축(111)이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로드(1312)의 단부에는 단부가 포크부(1311)의 오목홈(1311a)으로 개구된 포크홈(1311b)이 형성된다. 상기 포크홈(1311b)에는 접촉부재(1313)와, 제1 센서(1317)와, 스프링(1315)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재(1313)는 일부가 상기 포크홈(1311b)으로부터 오목홈(1311a)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재(1313)는 상기 포크홈(1311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포크부(1311)의 오목홈(1311a)에 상기 지지축(111)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포크홈(1311b)으로부터 돌출된 접촉부재(1313)는 지지축(111)과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 센서(1317)는 상기 접촉부재(1313)로부터 포크홈(1131b)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센서(1317)는 상기 포크홈(1311b)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제1 센서(1317)의 예로 압축력을 측정하는 압축 로드셀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프링(1315)은 상기 제1 센서(1317)와 접촉부재(1313)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제1 센서(1317)와 접촉부재(1313)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고 신장하여 로드(1312)가 지지축(111)으로 전진하면서 접촉부재(1313)가 지지축(111)에 접촉하고 스프링(1315)이 압축하여 압축력이 제1 센서(1317)로 전달되고 제1 센서(1317)에서 센싱된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1 지지부(131)로 공급되는 유압이 차단되며 신장이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2 지지부(133)는 와이어 로프 또는 금속 재질인 봉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133)는 일단이 상기 바스켓지지부(123)에 결합되고 타단이 바스켓본체(121)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133)는 바스켓본체(12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133)는 상기 힌지부(243)의 하부로 위치한다. 상기 제2 지지부(133)는 상기 제1 지지부(131)와 힌지부(24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힌지부(243)가 파손되어 바스켓본체(121)가 바스켓지지부(123)로부터 분리되면 제2 지지부(133)에 인장력이 부가되고, 상기 제1 지지부(131)가 지지축(111)을 가압하면서 바스켓본체(121)의 탈락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센서(1317)와 접촉부재(1313) 사이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1315)이 압축되면서 바스켓본체(121)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된다.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부(133)와 제1 지지부(131) 사이에는 제3 지지부(1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부(135)는 와이어로프 또는 금속 봉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지지부(135)는 일단이 상기 바스켓지지부(123)에 결합되고, 타단이 바스켓본체(121)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3 지지부(135)는 바스켓본체(12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3 지지부(135)가 더 구비됨으로써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도면부호 133a는 제2 지지부(133)를 바스켓지지부(123)와 바스켓본체(121)에 결합하는 결합나사를, 135a는 제3 지지부(135)를 바스켓지지부(123)와 바스켓본체(121)에 결합하는 결합나사를 도시한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
110 : 붐 111 : 지지축
120 : 바스켓부 121 : 바스켓본체
122 : 바스켓조작부 123 : 바스켓지지부
125 : 바스켓센싱부 127 : 바스켓결합부
131 : 제1 지지부 133 : 제2 지지부
135 : 제3 지지부 140 : 안전벨트
141 : 벨트부 143 : 벨트버클부
145 : 벨트버클 147 : 벨트연결선
150 : 작업자벨트 151 : 작업벨트
153 : 작업버클부 155 : 작업벨트연결선
241 : 변위감지부 243 : 힌지부

Claims (3)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신축 가능하며 상단에 상향 연장된 지지축(111)을 구비하는 붐(110)과, 상기 지지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스켓부(120)는 지지축(111)이 삽입되어 지지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지지부(123)와, 상단이 힌지부(243)에 의하여 바스켓지지부(123)에 결합되며 상향 개구되어 작업자가 탑승하는 바스켓본체(121)와, 상기 바스켓본체(121)에 구비되는 바스켓조작부(122)와, 상기 바스켓본체(121)에 일단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안전벨트(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스켓본체(121)에는 탑승자의 발을 감지하여 탑승자 인원을 산출하는 바스켓센싱부(125)가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센싱부(125)는 바스켓본체(121)의 바닥부를 덮도록 바스켓본체(121)의 바닥부 상에 구비되며 하부에 하향 개구된 설치홈(1251a)이 형성되어 바스켓본체(121)에 탑승한 탑승자가 밟고 작업을 하는 복수의 발판본체(1251)와, 상기 발판본체(1251)의 설치홈(1251a)에 삽입되어 발판본체(1251)와 바스켓본체(121)의 바닥부 사이에 구비되며 제어부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센싱부(1253)로 이루어져, 복수의 제2 센싱부(1253) 중 하중에 센싱되는 제2 센싱부(1253)가 2개 이하이면 1인으로, 2개 초과 4개 이하이면 2인으로 판정되며;
    상기 안전벨트(140)와 결합되는 작업자벨트(150)의 체결시 서로 분리되어 각각 벨트연결선(147)에 결합된 벨트버클(145)을 연결하는 작업벨트연결선(155)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벨트버클(14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전벨트(140)와 작업자벨트(150)의 체결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며; 작업자수와 안전벨트와 작업자벨트의 체결 신호수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바스켓조작부(122)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100).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바스켓본체(121)에 결합된 신축 가능한 제1 지지부(131)와, 일단이 상기 바스켓지지부(123)에 결합되고 타단이 바스켓본체(121)에 결합된 와이어 로프 또는 금속 봉체인 제2 지지부(13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131)의 로드(1312) 단부에는 지지축(111)이 삽입되는 오목홈(1311a)이 형성된 'U'자형 포크부(1311)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1312)에는 단부가 포크부(1311)의 오목홈(1311a)으로 개구된 포크홈(1311b)이 형성되고; 상기 포크홈(1311b)에는 일부가 포크홈(1311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포크홈(1311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부재(1313)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재(1313)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포크홈(1311b)에 고정된 제1 센서(1317)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센서(1317)와 접촉부재(1313)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제1 센서(1317)와 접촉부재(1313)에 결합된 스프링(1315)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어 신장하여 로드(1312)가 지지축(111)으로 전진하면서 접촉부재(1313)가 지지축(111)에 접촉하고 스프링(1315)이 압축하여 압축력이 제1 센서(1317)로 전달되고 제1 센서(1317)에서 센싱된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1 지지부(131)로 공급되는 유압이 차단되어 신장이 정지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3)는 힌지부(243)의 하부로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부(133)는 제1 지지부(131)와 힌지부(243)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부(243)가 파손되어 바스켓본체(121)가 바스켓지지부(123)로부터 분리되면 제2 지지부(133)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1 지지부(131)가 지지축(111)을 가압하면서 바스켓본체(121)의 탈락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100).
KR1020180046627A 2018-04-23 2018-04-23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 KR101985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627A KR101985867B1 (ko) 2018-04-23 2018-04-23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627A KR101985867B1 (ko) 2018-04-23 2018-04-23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867B1 true KR101985867B1 (ko) 2019-06-04

Family

ID=6681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627A KR101985867B1 (ko) 2018-04-23 2018-04-23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8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099A (ja) * 1995-08-30 1997-03-11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積載荷重検出装置
JPH10194698A (ja) * 1997-01-07 1998-07-28 Nagano Kogyo Kk 走行式建機の荷重検出装置
KR20040017791A (ko) * 2001-07-23 2004-02-27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KR20110004180U (ko) * 2009-10-21 2011-04-27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KR101643330B1 (ko) 2016-01-20 2016-07-27 주식회사 광림 고소작업차의 탑승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099A (ja) * 1995-08-30 1997-03-11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積載荷重検出装置
JPH10194698A (ja) * 1997-01-07 1998-07-28 Nagano Kogyo Kk 走行式建機の荷重検出装置
KR20040017791A (ko) * 2001-07-23 2004-02-27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KR20110004180U (ko) * 2009-10-21 2011-04-27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KR101643330B1 (ko) 2016-01-20 2016-07-27 주식회사 광림 고소작업차의 탑승 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0821B (zh) 用于确定支承力的测量系统
EP1663839B1 (en) Elevator inspection safety devices
US11858779B2 (en) Elevator safety arrangement and elevator
US11261055B2 (en) Elevator emergency stop systems
AU2016330336B9 (en) Drum-type conveying installation with cable-monitoring device
CN104444882B (zh) 卷扬系统及包括该卷扬系统的起重机
KR10198586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고소작업차
RU2584642C1 (ru) Выдвижная подножка с тензометрическим элементом и центр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CN213387309U (zh) 一种具有非接触式电磁感应探测的升降设备
CN203772458U (zh) 用于确定在支承结构的支承元件上的支承力的测量系统
KR200454307Y1 (ko)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US6962089B2 (en) Device for monitoring cables of a lift
KR101643906B1 (ko) 인터록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43330B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 감지장치
KR101233749B1 (ko)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CN113677614B (zh) 起重机
US20220144594A1 (en) Side monitoring device for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KR20120007396U (ko) 곤돌라 과하중 방지장치
CN114933222B (zh) 一种应对电梯滞留工况的补偿链导向装置
CN220955646U (zh) 一种施工防护装置、台车及支护平台
CN220078547U (zh) 一种高空作业车用安全带固定装置
CN217266476U (zh) 一种晾衣架
KR20200137345A (ko) 작업대 파지상태 검출용 센서를 구비하는 고소작업차
CN108545670A (zh) 一种激光导航叉车装置
CN215803017U (zh) 一种水泥入磨提升机检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