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449B1 -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 Google Patents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449B1
KR102244449B1 KR1020190163141A KR20190163141A KR102244449B1 KR 102244449 B1 KR102244449 B1 KR 102244449B1 KR 1020190163141 A KR1020190163141 A KR 1020190163141A KR 20190163141 A KR20190163141 A KR 20190163141A KR 102244449 B1 KR102244449 B1 KR 10224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xle
sensor module
cover pa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용
최병정
박광구
김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
Priority to KR1020190163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2Strain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4Means for informing, instructing or displaying
    • B60G2600/044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2Attitude Control; levelling control
    • B60G2800/9124Roll-over protection systems, e.g. for warning or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의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을 통해 실시간 하중 측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과적 및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커버부를 통해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Sensor module structure for axle-mounted car celebration}
본 발명은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의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을 통해 실시간 하중 측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과적 및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커버부를 통해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형 트럭이나 트랙터-트레일러 결합체 등과 같은 대형 차량이 고속으로 직선에서 곡선주행으로 진입 시 차량의 전복은 차량 및 운전자의 안전 확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이는 도로 물류 수송산업에서 대형 차량의 전복사고는 여러 가지 교통사고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형 차량의 물류 수송 특성상 전복 사고 시 위험 물질이 유출되어 환겨오염의 주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종래 대형 차량의 전복사고를 줄이는 방법으로, 곡선 주행시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사고 빈도를 줄일 수는 있지만 항상 운전자가 도로 상태, 차량의 주행 조건 및 차량의 적재 상태를 인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복 사고를 줄이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주행 중 차량이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전복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때의 차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 종래 전복 상태 검출시스템으로는 차량 전복이 발생하려고 할때 운전자에게 차량 상태를 제공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전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전복 사고 및 감지 시스템으로는 특허문헌 0001(US4078224A)에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가 차량의 현가장치의 대향측끝에 장착된 경우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대향측에 설치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는 차량의 무게에 의해 유도되는 차량의 동적 거동을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되는 무게 이동량을 자동으로 잴 수 있다.
그러나, 횡단하는 무게 이동만으로는 차량이 막 전복될 것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결정하기에 충분한 차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며 운전자가 대처할 수 있는 시간도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접근법은 트랙터-트레일러에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들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며 센서들의 구성요소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빈번한 교체가 필요해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0002(KR10-2000-0057486A)에서는 수평방향 가속도 및 수평 방향 부하전달을 검출하기 위해 차량 프레임에 장착된 다수의 틸트 센서와 차량 현가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검출시스템은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소 회전 모멘트와 비교하여 실제의 회전 모멘트를 나타내는 수평방향 부하 전달비를 결정하고 유효 무게 중심 높이를 계산하기 위해 틸트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동적 상태를 검출한다.
이 시스템과 결합된 디스플레이는 부하 전달비와 유효 무게 중심 높이의 판독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인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 전복 상태 검출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일정 시간내에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어 전복 상태를 예측하고 사고를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비가 필요하거나 운전자가 충분히 대처할 만한 시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US4078224A KR10-2000-0057486A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의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을 통해 실시간 하중 측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과적 및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커버부를 통해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 양단부에 차량의 차축에 각각 용접되는 일측 용접부 및 타측 용접부가 형성되는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의 일측 용접부와 타측 용접부 사이에 위치한 중간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상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과,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의 양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 이외의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는 보호층으로 구성되는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와;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차량의 차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주변의 상기 커버부의 상부면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 주변의 차축 외주면 사이에 패킹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의 전극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홈내로 충진되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보호하는 충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충진부는 액상의 우레탄액 또는 액상의 발포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 각 모서리 주변의 차축 외주면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커버부의 각 모서리부위를 수직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제 1보조고정바와;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차축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제 2보조고정바와; 상기 제 1보조고정바의 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의 전측 및 상기 제 1보조고정바의 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의 후측을 각각 연결고정하는 보조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의 외주면에 스트레인 앰프가 고정되고, 상기 스트레인 앰프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보조커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보조고정바는 상기 보조커버부에 밀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는 차량의 차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이 각각 측정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무선송신하는 제 1무선통신부와; 상기 제 1무선통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1무선통신부로 하중 인장값을 수신하는 제 2무선통신부와; 상기 제 2무선통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2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합산하는 연산부와; 차량의 과적여부 및 차량의 전복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산부가 연산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기준하중인장값과 비교하여 차량의 과적여부를 상기 알림부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 및 차량 주행시 상기 제 2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비교하여 주행 중 차량의 전복여부를 상기 알림부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차량의 차축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의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을 통해 실시간 하중 측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과적 및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내측에 수용하여 차축에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부를 통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가 차량의 차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정면도이고,
도 3은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금속시트에 절연층,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 패턴, 전극 및 보호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차축으로부터 커버부와 보조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9는 차축으로부터 커버부와 보조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 - D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E - E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12는 커버부의 주입구를 통해 커버부의 수용홈내로 충진부가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13은 커버부의 주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가 차량의 차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 커버부(70) 및 고정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는 차량의 차축(10)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 또는 차량의 차축(1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가 차량의 차축(10)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70)의 내측에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가 수용된 상태로 차량의 차축(10)의 일측 외주면 하부 및 타측 외주면 하부에 각각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80)는 상기 커버부(70)를 차량의 차축(10)에 고정시킨다.
도 3은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금속시트에 절연층,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 패턴, 전극 및 보호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는 차량의 차축(10)에 고정되어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금속시트(610), 절연층(620),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 전극(640) 및 보호층(6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시트(610)의 좌우 양단부, 즉,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용접부(611) 및 타측 용접부(6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시트(610)의 일측 용접부(611) 및 타측 용접부(612)는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각각 용접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축(10)에 발생되는 비틀림 하중에 대한 영향이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에 덜 미치도록 상기 일측 용접부(611)의 중앙부 및 상기 타측 용접부(612)의 중앙부는 상기 금속시트(610)가 인장된 상태로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각각 스폿용접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금속시트(61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특히,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스폿용접되는 상기 금속시트(610)의 부식 등을 방지하여 상기 금속시트(6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금속시트(6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금속시트(610)의 상부면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스트레인 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층(620, insulating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20)은 적어도 상기 금속시트(10)의 중간부를 포함한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은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인장되는 상기 금속시트(610)의 스트레인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절연층(620) 상에 상기 금속시트(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640)은 상기 선형 스트레인 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의 양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을 이용하여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측정할 때 상기 차축(10)의 온도에 따라 측정값이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절연층(620) 상에는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온도보상 그리드패턴(641)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온도보상 그리드패턴(641)을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그리드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온도보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온도보상 그리트패턴(641)의 양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절연층(620) 상에 형성되는 보조전극(642)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650)은 상기 전극(640)과 상기 보조전극(642) 이외의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절연층(620)상에 형성되어 상기 금속시트(610)가 부식 및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차축으로부터 커버부와 보조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9는 차축으로부터 커버부와 보조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 - D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E - E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70)의 상부면에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를 수용하는 수용홈(710)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710) 주변의 상기 커버부(70)의 상부면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 주변의 차축(10) 외주면 사이에 고무재질의 오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재질의 패킹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710) 주변의 상기 커버부(70)의 상부면에는 상기 패킹부(90)가 안착되는 안착홈(7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90)를 통해 상기 커버부(70)의 수용홈(710)의 내부로 눈,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상기 커버부(70)가 도 6 및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수밀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커버부의 주입구를 통해 커버부의 수용홈내로 충진부가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13은 커버부의 주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70)를 관통하여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전극(640)과 연결되는 케이블(100)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7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수용홈(710)과 연통되는 관통구(7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712)에는 연결구(713)의 상부가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을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100)의 외주면이 상기 연결구(71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케이블(100)의 상부는 상기 연결구(713)를 관통하여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전극(640)과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70)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수용홈(710)과 연통되는 주입구(7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714)와 연결되는 주입기를 통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710)내로 충진되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를 보호하는 충진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진부(200)는 액상의 우레탄액 또는 액상의 발포액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홈(710)내로 충진되어 일정시간 경과후 경화되는 탄성재질의 상기 충진부(200)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로의 눈, 빗물 등의 이물질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수밀성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변형을 탄성재질의 상기 충진부(200)가 방해할 우려가 없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가 보다 정밀하게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입구(714)에는 상기 주입구(714)를 개폐하기 위한 주입마개(715)가 끼움고정,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80)는 도 6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볼트(810)와 너트(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810)는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볼트(810)의 상부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각 모서리 주변의 차축(10)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깊이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볼트(810)의 하부는 상기 패킹부(90) 주변의 상기 커버부(70)의 각 모서리부위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820)는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볼트(810)의 하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10)의 외주면, 즉, 상기 차축(10)의 일측 상부 외주면과 타측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측정하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이 측정한 하중 인장값을 전기적 신호로 증폭하는 스트레인 앰프(61)가 고정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상기 스트레인 앰프(61)가 구비될 경우, 외부충격으로부터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보조커버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하부면에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를 수용하는 보조수용홈(410)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수용홈(410) 주변의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하부면과 상기 스트레인 앰프(61) 주변의 상기 차축(10)의 외주면 사이에 고무재질의 오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재질의 보조패킹부(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수용홈(410) 주변의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하부면에는 상기 보조패킹부(91)가 안착되는 보조안착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패킹부(91)를 통해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보조수용홈(410)의 내부로 눈,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상기 보조커버부(400)가 도 6 및 도 9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수밀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커버부(400)는 상기 고정부(80)에 의해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80)의 고정볼트(810)의 하부는 상기 스트레인 앰프(61)의 각 모서리 주변의 상기 차축(10)의 상부 외주면에 일정깊이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80)의 고정볼트(810)의 상부는 상기 보조패킹부(91) 주변의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각 모서리부위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80)의 너트(820)는 상기 고정볼트(8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는 상기 보조수용홈(410)과 연통되는 보조주입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주입구(412)와 연결되는 주입기를 통해 상기 보조수용홈(410)내로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를 보호하는 상기 충진부(200)를 충진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수용홈(410)내로 충진되어 일정시간 경과후 경화되는 탄성재질의 상기 충진부(200)는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를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로의 눈, 빗물 등의 이물질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수밀성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주입구(412)에는 상기 보조주입구(412)를 개폐하기 위한 주입마개(413)가 끼움고정,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70)와 상기 보조커버부(400)를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보조고정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부(300)는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보조고정바(310), 제 2보조고정바(320) 및 보조고정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상부가 상기 커버부(70)의 하부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는 상기 커버부(70)에 체결부재(3)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체결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3)는 상기 고정부(80)의 고정볼트(810) 사이의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전측과 상기 커버부(70)의 전측 및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후측과 상기 커버부(70)의 후측에 순차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기 커버부(7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수용홈(311)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하부가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인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는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인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하부가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는 상기 보조커버부(400)에 상기 체결부재(3)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체결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3)는 상기 고정부(80)의 고정볼트(810) 사이의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전측과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전측 및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후측과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후측에 순차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수용홈(321)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부재(330)는 보조고정볼트(331)와 보조너트(332)로 구성되어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와 제 2보조고정바(320)를 연결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볼트(331)는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전측 및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후측을 각각 수직관통하는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너트(332)는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보조고정볼트(3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무선통신부(20), 제 1전원공급부(30), 제 2무선통신부(40), 제 2전원공급부(50), 연산부(500), 알림부(600) 및 제어부(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무선통신부(20)는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이 각각 측정한 상기 차축(10)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무선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전원공급부(30)는 상기 제 1무선통신부(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 제 2전원공급부(50), 알림부(600) 및 제어부(700)는 차량의 운전석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는 상기 제 1무선통신부(20)로부터 하중 인장값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전원공급부(50)는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수 있다.
상기 연산부(500)는 일예로, 상기 제어부(700)에 내장되어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가 수신한 차축(10)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합산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600)는 차량의 과적여부 및 차량의 전복여부를 차량 운전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알림부(20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알림부(600)가 차량의 과적여부 및 차량의 전복여부를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알림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700)는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산부(500)가 연산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상기 제어부(700)에 설정된 기준하중인장값과 비교하여 차량의 과적여부를 상기 알림부(600)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500)가 합산한 차축(10)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이 상기 제어부(700)에 미리 설정된 기준하중인장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알림부(600)는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 및 빛을 발광하여 차량이 과적상태임을 운전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연산부(500)가 합산한 차축(10)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이 상기 제어부(700)에 미리 설정된 기준하중인장값 이하인 경우, 상기 알림부(60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차량 주행시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가 수신한 차축(10)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비교하여 주행 중 차량의 전복여부를 상기 알림부(600)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가 수신한 차축(10)의 일측의 하중 인장값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차축(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들뜸현상이 발생되어 차량이 전복될 위험이 다분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600)가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 및 빛을 발광하여 차량의 전복위험을 차량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가 수신한 차축(10)의 일측의 하중 인장값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60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을 통해 실시간 하중 측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과적 및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를 내측에 수용하여 차축(10)에 고정부(80)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커버부(70)를 통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차축, 60;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
70; 커버부, 80; 고정부.

Claims (9)

  1. 좌우 양단부에 차량의 차축에 각각 용접되는 일측 용접부 및 타측 용접부가 형성되는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의 일측 용접부와 타측 용접부 사이에 위치한 중간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상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과,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의 양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 이외의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는 보호층으로 구성되는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와;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차량의 차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제 1보조고정바와,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차축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제 2보조고정바와, 상기 제 1보조고정바의 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의 전측 및 상기 제 1보조고정바의 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의 후측을 각각 연결고정하는 보조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주변의 상기 커버부의 상부면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 주변의 차축 외주면 사이에 패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의 전극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홈내로 충진되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보호하는 충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액상의 우레탄액 또는 액상의 발포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 각 모서리 주변의 차축 외주면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커버부의 각 모서리부위를 수직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의 외주면에 스트레인 앰프가 고정되고,
    상기 스트레인 앰프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보조커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보조고정바는 상기 보조커버부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는 차량의 차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이 각각 측정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무선송신하는 제 1무선통신부와;
    상기 제 1무선통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1무선통신부로 하중 인장값을 수신하는 제 2무선통신부와;
    상기 제 2무선통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2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합산하는 연산부와;
    차량의 과적여부 및 차량의 전복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산부가 연산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기준하중인장값과 비교하여 차량의 과적여부를 상기 알림부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 및 차량 주행시 상기 제 2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비교하여 주행 중 차량의 전복여부를 상기 알림부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9. 삭제
KR1020190163141A 2019-12-09 2019-12-09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KR10224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141A KR102244449B1 (ko) 2019-12-09 2019-12-09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141A KR102244449B1 (ko) 2019-12-09 2019-12-09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449B1 true KR102244449B1 (ko) 2021-04-26

Family

ID=7573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141A KR102244449B1 (ko) 2019-12-09 2019-12-09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4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59B1 (ko) * 2022-12-22 2023-07-28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컨테이너 트레일러의 편하중 검출이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KR102561268B1 (ko) * 2022-12-22 2023-07-31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컨테이너 트레일러의 편하중 검출이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KR102561256B1 (ko) * 2022-12-22 2023-07-31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전도방지가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8224A (en) 1976-06-25 1978-03-07 Mize Lawrence A Electronic roll warning system for vehicles
KR19990013497A (ko) * 1997-07-02 1999-02-25 이소가이치세이 차량용 센서 하우징 구조물 및 그 센서 부착 방법과 부착된 센서를 덮는 덮개
KR20000057486A (ko) 1996-12-10 2000-09-15 롤로버 오퍼레이션즈, 엘엘씨 차량 전복 상태 검출 시스템 및 방법
JP3156808U (ja) * 2009-10-23 2010-01-21 浜崎商工株式会社 貨物自動車用の過積載防止装置
KR20130123130A (ko) * 2012-05-02 2013-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차축 과열 감지를 위한 광섬유 에프비지 센서가 내장된 열차 저널박스
KR20190080183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지에스엠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8224A (en) 1976-06-25 1978-03-07 Mize Lawrence A Electronic roll warning system for vehicles
KR20000057486A (ko) 1996-12-10 2000-09-15 롤로버 오퍼레이션즈, 엘엘씨 차량 전복 상태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9990013497A (ko) * 1997-07-02 1999-02-25 이소가이치세이 차량용 센서 하우징 구조물 및 그 센서 부착 방법과 부착된 센서를 덮는 덮개
JP3156808U (ja) * 2009-10-23 2010-01-21 浜崎商工株式会社 貨物自動車用の過積載防止装置
KR20130123130A (ko) * 2012-05-02 2013-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차축 과열 감지를 위한 광섬유 에프비지 센서가 내장된 열차 저널박스
KR20190080183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지에스엠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59B1 (ko) * 2022-12-22 2023-07-28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컨테이너 트레일러의 편하중 검출이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KR102561268B1 (ko) * 2022-12-22 2023-07-31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컨테이너 트레일러의 편하중 검출이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KR102561256B1 (ko) * 2022-12-22 2023-07-31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전도방지가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449B1 (ko)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구조
KR102048829B1 (ko) 차축 부착형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
US4666003A (en) On-board load cell
US4095659A (en) Deflection-restrained load cell for on-board vehicle weighing systems
AU700446B2 (en) Vehicle traveling control device
US20120024081A1 (en) Trailer hitch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9718660B2 (en) Lifting vehicle with a transverse stability control system
EP0223384B1 (en) A vehicle load monitoring system
KR100575569B1 (ko) 고소작업차의 과부하 검출장치
US20140202776A1 (en) Load measuring system
KR102267491B1 (ko)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시스템
US10322922B2 (en) Lifting vehicle incorporating a load monitor
US20040251058A1 (en) Axle vertical load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KR102267493B1 (ko)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CN114643822B (zh) 一种具有压力监测功能的橡胶减震装置、监测方法及工程车辆
KR102140980B1 (ko) 차량의 축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의 설치구조
KR200255812Y1 (ko) 박스형 터널 도로의 차량 높이제한장치
KR102258799B1 (ko) 하중측정이 가능한 특장차의 아웃트리거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
WO2011030412A1 (ja) コンテナ応力検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トレーラー
KR101180939B1 (ko) 상용트럭의 과적방지장치
JP2010014553A (ja) コンテナ応力検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トレーラー
WO2012090934A1 (ja) 横転警報システム、それに利用する荷重計測器、横転チェックプログラム及び横転チェック方法
CN218035315U (zh) 一种提升车辆压缝行驶称重准确率的秤台结构
KR20040088251A (ko) 차량의 중량측정장치 및 그 방법
CN208187521U (zh) 一种自称重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