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507B1 -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스큐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스큐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507B1
KR100574507B1 KR1020040076893A KR20040076893A KR100574507B1 KR 100574507 B1 KR100574507 B1 KR 100574507B1 KR 1020040076893 A KR1020040076893 A KR 1020040076893A KR 20040076893 A KR20040076893 A KR 20040076893A KR 100574507 B1 KR100574507 B1 KR 100574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
unit
adjusting
shaft
skew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957A (ko
Inventor
김종태
신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507B1/ko
Priority to US11/224,070 priority patent/US20060181009A1/en
Priority to EP05255915A priority patent/EP1641242A2/en
Priority to CN200510105518.2A priority patent/CN1752858A/zh
Publication of KR2006002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65H9/166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4Fixed or adjustable stops or gau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0Picture reproducers
    • H04N1/506Reproducing the colour component signals picture-sequentially, e.g. with reproducing head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1Skewing, correcting skew, i.e. changing slightly orientation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4Irregularities, e.g. in orientation or skew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스큐조정방법이 개시된다. 자동 스큐조정장치는 복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스큐조정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구동원, 구동원의 이동위치에 따라 스큐조정부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동원의 구동축에 형성되고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결된 스큐조정부의 하나를 작동하는 작동부, 구동원을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구동원을 이동시키거나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동원의 동력을 위치이동부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으로 조정할 때 보다 스큐 조정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큐조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LSU, 스큐, 조정, 자동, 모터, 클러치

Description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스큐조정방법 {automatic skew adjusting apparatus,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skew adjus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현상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4는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큐조정장치와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자동 스큐조정장치의 작동부의 배치관계를 예시하는 부분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자동 스큐조정장치의 위치이동부의 클러치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자동 스큐조정장치의 제1 및 제2스큐감지센서의 배치관계를 예시하는 개념 설명도.
도 9a 내지 9g는 도 4에 도시한 자동 스큐조정장치의 스큐조정동작을 예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자동 스큐조정장치의 스큐조정동작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큐조정장치 111K, 111C, 111M, 111Y: LSU
120: 구동원 121: 구동모터
130K, 130C, 130M, 130Y: 스큐조정부 138K, 138C, 138M, 138Y: 조정기어
140: 작동부 141K, 141C, 141M, 141Y: 워엄기어
150: 동력전달부 151: 클러치
170: 위치이동부 171: 위치이동블록
175: 위치이동샤프트 180: 슬라이딩 가이드
201: 제어부 193: 위치감지부
210: 스큐감지부 211, 212: 스큐감지센서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LSU)의 스큐(Skew)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 치 및 그 스큐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 예를들면 습식 칼라 레이저 프린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체(9)의 화상형성면(9a)의 전폭에 걸쳐 광을 주사하는 LSU(11)를 구비한다. LSU(11)는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에서 입력되는 인쇄데이터에 따라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화상형성면(9a)에 형성한다. LSU(11)에 의해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유닛(13)을 거치면서 소정 색상을 갖춘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그리고, 토너화상은 다시 전사유닛(10)의 제1전사롤러(8)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7)에 1차 전사된 후 제2전사롤러(23)에 의해 기록지와 같은 기록매체(P)에 2차 전사된다. 기록매체(P)에 2차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유닛(20)의 가열롤러(25)와 가압롤러(26)의 열과 압력으로 기록매체(P)에 정착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습식 칼라 레이저 프린터(1)는 LSU(11)에 의해 감광체(9)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의 위치 정도(精度)에 따라, 최종적으로 기록매체(P)에 인쇄되는 화질의 선명도가 좌우되기 때문에, 고선명도의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감광체(9)에 대한 LSU(11)의 위치 정도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LSU(11)가 감광체(9)의 폭방향을 따라서 광을 나란하게 주사하지 못하고 삐뚤어지게 주사한다면, 최종적으로 지록매체(P)에 인쇄되는 화상도 삐뚤어진 화상으로 인쇄되게 된다. 즉, LSU(11)의 LSU 본체(15)에 내장된 광학계(도시하지 않음)에서 출사된 광이 감광체(9)의 화상형성면(9a)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주사되어야 하지만, 이 것이 일정각도(θ)로 틀어져 주사되면 감광체(9)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이 삐뚤어지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기록매체(P)에 인쇄되는 화상도 그 만큼 삐뚤어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광주사 방향이 감광체(9)의 폭방향에 대해 일정각도(θ)만큼 틀어진 오차를 스큐(skew)라 하며, 화상이 삐뚤어지지 않게 광주사를 평행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스큐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칼라 프린터의 경우에는 네가지 칼라, 즉 블랙(Back),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LSU(11)의 각각이 서로 다른 스큐를 갖는다면, 최종적으로 기록매체(P)에 형성되는 화상은 인쇄면이 정확하게 정합하지 못하게 되어 화질의 선명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LSU(11)의 각각의 스큐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서로 일치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LSU(11)는 스캐너 본체(11)를 프린터의 베이스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조정할 수 있게 고정하는 스큐조정부(30)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큐조정부(30)는 LSU 고정판(31), 조정가이드홈(39), 슬라이딩판(35), 스큐조정샤프트(37), 샤프트이동블록(33), 및 인장스프링(41)을 구비한다.
LSU 고정판(31)은 상면에 LSU 본체(15)를 설치하고 있다. LSU 본체(15)는 감광체(도시하지 않음)에 광을 주사하기 위한 것으로, 광원, 회전다면경, 복수의 렌즈 , 및 복수의 미러를 포함한 광학계(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다.
LSU 고정판(31)의 하부 일측에는 조정가이드홈(39)이 형성된다. 조정가이드 홈(39)은 일정한 경사각도를 갖는 가이드면(39a)을 가진다.
슬라이딩판(35)은 LSU 고정판(31)을 일정한 고정축(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스큐조정샤프트(37)는, LSU 고정판(31)의 조정가이드홈(39)에 인접하게 슬라이딩판(35)에 설치된 샤프트이동블록(33)에 나선으로 끼워져있다. 스큐조정샤프트( 37)의 제1단부(37a)는 조정가이드홈(39)의 가이드면(39a)과 일정각도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스큐조정샤프트(37)의 제2단부(37b)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스큐조정샤프트(37)를 회전시킬 수 있는 드라이버홈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이동블록(33)은 스큐조정샤프트(37)와 나선으로 맞물리는 나선홀(33a)을 구비한다. 나선홀(33a)은 스큐조정샤프트(37)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큐조정샤프트(37)의 제1단부(37a)를 조정가이드홈(39)의 가이드면(39a)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시킨다.
인장스프링(41)은 LSU 고정판(31)의 조정가이드홈(39)의 가이드면(39a)이 스큐조정샤프트(37)의 제1단부(37a)에 접촉하도록 LSU 고정판(31)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LSU 고정판(31)과 슬라이딩판(35)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LSU(11)의 스큐조정부(3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LSU(11)의 스큐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스큐조정샤프트(37)의 제2단부(37b)의 드라이버홈에 끼운 후, 스큐조정샤프트(37)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LSU 본체(1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스큐조정샤프트(37)의 제1단부(37a)가 조정가이드홈(39) 쪽으로 전진하는 방향(도 3의 좌측)으로 스큐조정샤프트(37)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스큐조정샤프트(37)의 제1단부(37a)는 인장스프링(4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이드면(39a)을 밀게 되고, 그 결과 LSU 본체(1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LSU 본체(15)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스큐조정샤프트(37)의 제1단부(37a)가 조정가이드홈(39) 쪽에서부터 후퇴하는 방향(도 3의 우측)으로 스큐조정샤프트(37)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스큐조정샤프트(37)의 제1단부(37a)는 가이드면(39a)에 가하는 힘을 풀게되고, 그 결과 LSU 본체(15)는 인장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LSU(11)는, LSU 본체(15)의 스큐를 조정하기 위해 스큐조정샤프트(37)를 회전시키는 회전각도값을 구하고 스큐조정샤프트(37)를 회전시키는 것을 수작업으로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스큐조정샤프트(37)를 회전시키는 회전각도값을 구하기위해서는 일정패턴의 화상을 출력한 후, 임의의 칼라, 예를들면 블랙의 화상을 기준으로 다른 칼라의 스큐의 차이, 즉 스큐값을 현미경으로 측정하고, 그 스큐값을 토대로 스큐조정샤프트(37)를 회전시키는 회전각도값을 계산한다.
그후, 프린터(1)의 커버를 오픈한 후 타 구성유닛(13)을 분리하여 스큐조정샤프트(37)를 노출시킨 다음, 드라이버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계산한 각도 스큐조정샤프트(37)를 수작업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스큐조정샤프트(37)의 회전조작은 눈짐작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하므로, 조정 후 네 가지 칼라의 LSU의 스큐의 차이는 여전히 잔존한다. 따라서, 수차례의 조정을 반복하여 LSU(11)의 스큐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LSU(11)는 스큐조정을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오프셋 등의 보정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더라도 칼러 레지스트레이션(Color registration)을 완전히 자동으로 보정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스큐조정샤프트(37)를 모터와 같은 회전용 동력원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네가지 칼라의 LSU(11)의 각각에 모터를 설치해야 하므로, 제작코스트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큐조정을 수작업으로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번거로움과 스큐조정의 부정확성을 해소하고 제작코스트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LSU의 스큐조정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LSU의 스큐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스큐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는 복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스큐 조정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구동원, 구동원의 이동위치에 따라 스큐조정부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동원의 구동축에 형성되고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결된 스큐조정부를 작동하는 작동부, 구동원을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구동원을 이동시키거나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동원의 동력을 위치이동부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큐조정부는 각각, 회전하여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조정샤프트, 및 스큐조정샤프트에 형성된 조정기어를 구비한다.
작동부는 각각의 스큐조정부의 조정기어와 직교되게 맞물린 복수의 워엄기어로 구성된다.
위치이동부는 위치이동나선부를 가지는 제1단부를 구비한 위치이동샤프트, 위치이동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위치이동나선부를 수용하거나 취출하는 위치이동나선홀을 갖는 위치이동블록, 및 구동원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로 구성된다. 위치감지부는 리니어 엔코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위치이동부는 구동원을 지지하고 구동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및 구동원의 구동축을 지지하고 구동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동축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는 위치이동샤프트와 구동축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를 구비한다.
클러치는 구동축에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게 고정된 제1클러치판, 위치이동샤프트의 제2단부에 고정된 제2클러치판, 제1클러치판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아마츄어,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아마츄어를 이동시키는 클러치코일, 및 클러치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 제1클러치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클러치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동 스큐조정장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감지하는 스큐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큐감지부는 전사벨트, 감광벨트 또는 감광드럼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스큐기준선을 연장한 평면상에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스큐감지센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 각각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조정부를 구비하고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현상유닛, 각각의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닛, 및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를 작동하는 자동 스큐조정유닛을 포함하며; 자동 스큐조정유닛은 하나의 구동원, 구동원의 이동위치에 따라 스큐조정부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동원의 구동축에 형성되고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결된 스큐조정부를 작동하는 작동부, 구동원을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구동원을 이동시키거나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동원의 동력을 위치이동부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큐조정부는 각각, 회전하여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조정샤프트, 및 스큐조정샤프트에 형성된 조정기어를 구비한다.
작동부는 각각의 스큐조정부의 조정기어와 직교되게 맞물린 복수의 워엄기어로 구성된다.
위치이동부는 위치이동나선부를 가지는 제1단부를 구비한 위치이동샤프트, 위치이동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위치이동나선부를 수용하거나 취출하는 위치이동나선홀을 갖는 위치이동블록, 및 구동원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로 구성된다. 위치감지부는 리니어 엔코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위치이동부는 구동원을 지지하고 구동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및 구동원의 구동축을 지지하고 구동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동축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는 위치이동샤프트와 구동축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를 구비한다.
클러치는 구동축에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게 고정된 제1클러치판, 위치이동샤프트의 제2단부에 고정된 제2클러치판, 제1클러치판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아마츄어,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아마츄어를 이동시키는 클러치코일, 및 클러치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 제1클러치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클러치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동 스큐조정장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감지하는 스큐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큐감지부는 전사벨트, 감광벨트 또는 감광드럼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스큐기준선을 연장한 평면상에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스큐감지센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스큐조정방법은 복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사용하여 일정패턴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측정하는 단계,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의 스큐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스큐조정값에 따라 하나의 구동원을 사용하여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측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큐감지센서에서 화상을 감지하는 스큐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시점을 비교하여 스큐값을 계산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스큐감지센서는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의해 형성된 화상이 하나의 화상전송체에 전사된 후 화상을 감지하며, 화상전송체는 감광벨트, 전사벨트 또는 감광드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측정하는 단계는 화상형성용 기준패턴 또는 임의의 칼라의 화상을 기준으로 기록매체에 형성된 다른 칼라의 화상의 스큐값을 현미경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이경우, 화상을 형성한 기록매체가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된 후 수행된다.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를 조정하는 단계는 스큐조정부를 작동하는 작동부를 조정할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와 연결하는 단계, 및 작동부를 작동하여 조정할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를 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작동부를 조정할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와 연결하는 단계는 작동 부의 위치를 읽어오는 단계, 읽어온 작동부의 위치가 조정할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의 위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읽어온 작동부의 위치에 따라 작동부를 조정할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와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스큐조정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표시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큐조정장치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등 에서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이다.
이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네 개의 칼라, 즉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의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네 개의 감광체(도시하지 않음), 각각의 감광체에 네 가지 칼라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네 개의 LSU, 즉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LSU(111K, 111C, 111M, 111Y; 도 4),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네 개의 칼라의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네 개의 현상유닛(도시하지 않음), 각각의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벨트(117; 도 8)을 구비하는 전사유닛(도시하지 않음), 기록매체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 토너화상이 정착된 기록매체를 프린터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도시하지 않음), 및 각각의 LSU(111K, 111C, 111M, 111Y )의 스큐조정 부(130K, 130C, 130M, 130Y; 도 5)를 자동으로 작동하는 자동 스큐조정장치(100)를 포함한다.
자동 스큐조정장치(100)와 LSU(111K, 111C, 111M, 111Y)를 제외한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또는 다른 공지의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자동 스큐조정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자동 스큐조정장치(100)은 구동원(120), 작동부(140), 위치이동부(170), 동력전달부(150), 및 제어부(201)를 구비한다.
구동원(120)은 하나의 구동모터(121)로 구성된다. 구동모터(121)는 구동축(123)을 구비한다. 구동모터(121)는 후술하는 위치이동부(170)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가이드(180)에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작동부(140)는 구동축(123)의 회전에 따라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LSU(111K, 111C, 111M, 111Y)의 각각에 구비된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 도 5)를 선택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축(123)에 형성된 제1, 제1, 제2, 및 제4워엄기어(141K, 141C, 141M, 141Y)로 구성된다.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는 각각 LSU(111K, 111C, 111M, 111Y)의 스큐를 조정하는 것으로, LSU(111K, 111C, 111M, 111Y)에 각각 설치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의 각각은 LSU 고정판(31), 조정가이드홈(39), 슬라이딩판(35), 스큐조정샤프트(137K, 137C, 137M, 또는 137Y), 샤프트이동블록(33), 및 인장스프링(41)을 구비한다.
스큐조정샤프트(137K, 137C, 137M, 137Y)를 제외한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의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LSU(11)의 스큐조정부(30)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큐조정샤프트(137K, 137C, 137M, 137Y)의 각각은 제1단부(139a)와 제2단부(139b)를 구비한다. 제1단부(139a)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LSU(11)의 스큐조정부(30)의 스큐조정샤프트(37)와 마찬가지로, 조정가이드홈(39)의 가이드면(39a)과 일정각도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2단부(139b)는 드라이버홈이 형성되는 대신, 후술하는 스큐조정동작부(140)의 제1, 제2, 제3, 및 제4워엄기어(141K, 141C, 141M, 또는 141Y)와 직교되게 맞물리는 제1, 제2, 제3, 및 제4조정기어(138K, 138C, 138M, 또는 138Y)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는 도 3에 도시한 종래의 스큐조정부(30)에 조정기어(138K, 138C, 138M, 138Y)를 각각 설치한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스큐를 조정할 수 있는 공지의 다른 스큐조정부(도시하지 않음)에 조정기어(138K, 138C, 138M, 138Y)를 설치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1, 제2, 및 제4워엄기어(141K, 141C, 141M, 141Y)는 각각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의 제1, 제2, 제3 및 제4조정기어(138K, 138C, 138M, 138Y)와 직교되게 맞물리고,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진다.
또, 제1, 제1, 제2, 및 제4워엄기어(141K, 141C, 141M, 141Y)의 각각은 구동 축(123)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상응하는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또는 130Y)와 하나씩 연결될 수 있게 구동축(123)에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워엄기어(141K)가 상응하는 스큐조정부(130K)의 제1조정기어(138K)와 맞물릴 때, 제2워엄기어(141C)는 상응하는 제2조정기어(138C)로부터 그 폭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3워엄기어(141M)는 상응하는 제3조정기어(138M)로부터 그 폭의 2배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4작동워엄기어(141Y)는 상응하는 제4조정기어(138Y)로부터 그 폭의 3배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위치이동부(170)는 작동부(140)의 각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워엄기어(141K, 141C, 141M, 또는 141Y)가 상응하는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또는 130Y)의 제1, 제2, 제3 및 제4조정기어(138K, 138C, 138M, 또는 138Y)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동모터(121)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위치이동샤프트(175), 위치이동블록(171), 및 위치감지부(193)을 구비한다.
위치이동샤프트(175)는 위치이동나선부(176)를 갖는 제1단부(175a)와 후술하는 동력전달부(150)의 클러치를 구성하는 피동클러치판(153)을 형성한 제2단부(175b)를 구비한다.
위치이동블록(171)은 위치이동나선부(176)와 맞물리는 위치이동나선홀(172)을 갖는다. 위치이동블록(171)은 프린터의 메인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다.
위치이동나선부(176)는 항상 일부가 위치이동나선홀(172)과 맞물려서 위치이동나선홀(172)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위치이동샤프트(175)는 후술하는 동력전달부(150)의 클러치(151)에 의해 구동축(123)과 연결될 때, 그 회전방향 에 따라 위치이동나선홀(172)에 삽입되거나 위치이동나선홀(172)로부터 빠져나와서 도 4의 화살표 방향(A, B)으로 이동한다.
또한, 위치이동나선부(176)와 위치이동나선홀(172)의 나사산 피치는 제1, 제2, 제3 및 제4워엄기어(141K, 141C, 141M, 141Y)와 제1, 제2, 제3 및 제4조정기어(138K, 138C, 138M, 138Y) 사이의 나사산 피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 이유는위치이동샤프트(175)가 회전하면서 위치이동나선부(176)와 위치이동나선홀(172) 사이의 나선맞물림에 의해 도 4의 화살표 방향(A, B)으로 이동할 때, 구동축(123)과 함께 회전하면서 도 4의 화살표 방향(A, B)으로 이동하는 제1, 제2, 제3 또는 제4워엄기어(141K, 141C, 141M, 또는 141Y)가 그와 맞물린 제1, 제2, 제3 또는 제4조정기어(138K, 138C, 138M, 또는 138Y)를 회동시키거나 도 4의 화살표 방향(A, B)으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위치감지부(193)는 구동모터(121)가 위치이동부(170)에 의해 이동할 때 위치정보를 얻기 위한 것으로, 리니어 엔코더로 구성된다.
리니어 엔코더는 센싱홀부(195)와 광센서(optic sensor, 194)로 구성된다. 센싱홀부(195)는 슬라이딩 가이드(180)의 일측벽에 구동모터(121)의 이동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홀(195a)로 구성된다. 광센서(194)는 구동모터(121)의 일측부에 센싱홀부(195)와 대향한 위치에 설치된다. 광센서(194)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며, 구동모터(121)가 위치이동부(170)의 위치이동샤프트(175)와 위치이동블록(171)에 의해 좌우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 가이드(180)에 형성된 홀(195a)에 의해 하이 또는 로우신호를 발생한다.
선택적으로, 리니어 엔코더는 슬라이딩 가이드(180)의 일측벽에 일정간격을 두고 마크를 형성한 필름시트(도시하지 않음), 및 구동모터(121)의 일측부에 배치된 광센서(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니어 엔코더는 슬라이딩 가이드(180)의 일측벽에 N극과 S극 자성체를 교대로 도포한 바(도시하지 않음), 및 구동모터(121)의 일측부에 설치된 홀센서(도시하지 않음)로도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시 구동모터(121)가 위치이동샤프트(175)와 위치이동블록(171)에 의해 좌우, 도 4의 화살표방향(A, B)으로 이동할 때, 리니어 엔코더는 하이 또는 로우신호를 제어부(201)에 출력하며, 제어부(201)는 출력된 하이신호를 카운팅하여 구동모터(121)가 이동한 위치, 즉 작동부(140)의 위치를 계산한다. 계산된 작동부(140)의 위치정보는 메모리(203)에 저장된다.
위치이동부(170)는 구동모터(121)를 고정하고 구동모터(12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180), 및 구동모터(121)의 구동축(123)을 지지하고 구동축(12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동축 가이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180)는 ㄷ자 형태의 판으로 구성되며, 메인프레임에 고정된다. 구동축 가이드(190)는 구동축(123)의 제2단부(123b)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수용홀(190a)을 구비하며, 메인프레임에 고정된다
슬라이딩 가이드(180)는, 위치이동샤프트(175)가 동력전달부(150)에 의해 구동축(123)과 연결된 후 그 회전방향에 따라 위치이동나선홀(172)에 삽입되거나 위치이동나선홀(172)로부터 빠져나와서 도 4의 화살표 방향(A, B)으로 이동할 때, 위 치이동샤프트(175)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모터(12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동력전달부(150)는 구동모터(121)의 동력을 위치이동부(170)에 전달하여 위치이동부(170)가 구동모터(12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클러치(151)를 구비한다.
클러치(151)는 위치이동샤프트(175)와 구동축(123)을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클러치(151)는 구동클러치판(152), 피동클러치판(153), 아마츄어(159), 클러치코일(155), 및 클러치스프링(157)을 구비한다.
구동클러치판(152)은 구동축(123)과 함께 회동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축(123)의 제1단부(123a)에 안내키(158)에 의해 고정되고, 피동클러치판(153)은 위치이동샤프트(175)의 제2단부(175b)에 나사로 고정된다.
아마츄어(159)는 원통형 형태의 관으로 형성되며, 구동클러치판(152)과 함께 축방향, 즉 도 7의 화살표방향(A, B)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163)에 의해 구동클러치판(152)과 연결된다. 베어링(163)은 아마츄어(159)에 형성된 단턱(159a)과 구동클러치판(152)의 돌출관(152a) 사이에 밀착되게 배치되므로, 아마츄어(159)는 구동축(123)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클러치코일(155)은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아마츄어(159)를 도 7의 화살표방향(A)으로 끌어당겨 구동클러치판(152)을 피동클러치판(153)에 접촉시킨다.
클러치스프링(157)은 구동축(123)의 제1단부(123a)의 선단에 형성된 제1지지 턱(123c)과 구동클러치판(15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지지턱(152b)에 설치된다. 클러치스프링(157)은 클러치코일(155)에 전류가 차단되어 자력을 상실할 때 구동클러치판(152)을 피동클러치판(153)으로부터 이격시켜 원위치시킨다.
제어부(201)는 스큐감지부(21)의 제1 및 제2스큐감지센서(211, 212)에서 출력된 제1 및 제2 스큐감지신호에 따라 각각의 LSU(111K, 111C, 111M, 또는 111Y)의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를 조정해야 하는 스큐조정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스큐조정값에 따라 구동모터(121)와 클러치(151)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스큐감지센서(211, 212)는 전사벨트(117)의 하부에서 화상형성면(117a)의 양측 가장자리와 대향하도록 전사벨트(117)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스큐기준선(L)을 연장한 평면상에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스큐감지센서(211, 212)는 전사벨트(117)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제2전사롤러(도시하지 않음)로 이동되는 도중에 스큐기준선상(L)의 두 지점(C, C')에서 전사벨트(117)에 전사된 일직선과 같은 일정패턴의 각 칼라의 토너화상을 감지하여, 각 칼라의 제1 및 제2스큐감지신호를 제어부(201)에 출력한다. 이때, 특정 LSU(111K, 111C, 111M, 또는 111Y)가 일정 각도(θ)로 틀어져 있다면, 도 8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큐감지센서(211)가 해당 LSU의 토너화상을 감지하여 제1스큐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시점이 제2스큐감지센서(211, 212)가 제2스큐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시점과 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제어부(201)는 각 칼라의 제1 및 제2스큐감지신호의 출력시점을 비교하여 제1 및 제2스큐감지신호의 출력시점의 차이에 의해 각각 의 LSU(111K, 111C, 111M, 111Y)의 스큐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LSU(111K, 111C, 111M, 111Y)의 스큐값을 계산한 다음, 제어부(201)는 계산된 스큐값을 토대로 각각의 LSU(111K, 111C, 111M, 111Y)의 스큐조정값, 즉 각각의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조정기어(138K, 138C, 138M, 138Y)를 회전시켜야하는 회전각도값(K, C, M, Y)을 계산하고, 계산된 회전각도값(K, C, M, Y)에 따라, 제어부(201)는 구동모터(121)와 클러치(151)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1)가 전사벨트(117)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제2전사롤러로 이동되는 도중에 발생된 제1 및 제2스큐감지센서(211, 212)의 제1 및 제2스큐감지신호를 토대로 각각의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의 제1, 제2, 제3, 및 제4조정기어(138K, 138C, 138M, 138Y)를 회전시켜야하는 회전각도값(K,C, M, Y)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계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화상이 형성된 기록매체가 프린터 외부로 배출된 후 사용자에 의해 직접 측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기록매체에 출력된 일정패턴의 화상을 스큐측정용 기준패턴 또는 임의의 칼라, 예를들면 블랙의 화상을 기준으로 다른 칼라의 화상의 스큐의 차이, 즉 스큐값을 현미경으로 측정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LSU(111K, 111C, 111M, 111Y)의 스큐조정을 위해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 )의 제1, 제2, 제3, 및 제4조정기어(138K, 138C, 138M, 138Y) 회전시켜야하는 회전각도값(K, C, M, Y)을 계산한 다음, 계산된 각각의 LSU(111K, 111C, 111M, 111Y)의 회전각도값(K, C, M, Y)은 제어패널(도시하지 않음)의 입력부(202)을 통해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201)는 입력된 회전각도값(K, C, M, Y)에 따라, 구동모터(121)와 클러치(15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자동 스큐조정장치(100)는 각각의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벨트(117)를 구비하는 전사유닛과 기록매체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를 구비하는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적용되는 것으로만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프린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자동 스큐조정장치(100)는 감광체로써 감광드럼 대신 감광벨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고, 전사벨트(117)를 구비하는 전사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감광벨트에서 기록매체로 바로 토너화상을 전사하여 정착하는 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 또는 전사/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프린터(도시하지 않음), 또는 감광체로써 감광드럼을 사용하고, 감광드럼(도시하지 않음)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벨트(117)를 통하지 않고 바로 기록매체로 전사하여 정착하는 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 또는 전사/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프린터(도시하지 않음)에서도 동일한 원리와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자동 스큐조정장치(100)을 구비하는 습식 칼라 전자시진방식 프린터의 스큐조정방법을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 명령이 인가 됨에 따라, 네 가지 칼라를 형성하기 위한 감광체에는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LSU(111K, 111C, 111M, 111Y )에 의해 인쇄할 화 상에 대응하는 일직선과 같은 일정한 패턴의 전하층, 즉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에는 현상유닛의 현상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액체현상제가 고토너량을 갖는 현상제층으로 부착되어 토너화상을 형성한다(S1).
현상유닛에 의해 각각의 감광체에 현상된 토너화상은 전사유닛의 제1전사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사벨트(117)에 전사된 후, 전사벨트(117)에 의해 제2전사롤러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및 제2스큐감지센서(211, 212)는 전사벨트(117)에 전사된 일정한 패턴의 각 칼라의 토너화상을 감지하고, 각 칼라의 제1 및 제2스큐감지신호를 제어부(201)에 출력한다. 제어부(201)는 각 칼라의 제1 및 제2스큐감지신호의 출력시점을 비교하여 제1 및 제2스큐감지신호의 출력시점의 차이에 의해 각각의 LSU의 스큐값을 계산하고(S2), 계산된 스큐값를 토대로 각각의 스큐조정부(130K, 130C, 130M, 130Y)를 통해 조정해야하는 스큐조정값, 즉 제1, 제2, 제3, 및 제4조정기어(138K, 138C, 138M, 138Y)의 회전각도값(K, C, M, Y)을 계산한다(S3).
이때, 제2전사롤러로 이동된 토너화상은 제2전사롤러에 의해 기록매체에 전사되고, 정착유닛의 정착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록매체에 정착된 다음, 배지유닛의 배지롤러에 의해 프린터 외부로 배출된다.
기록매체가 프린터 외부로 배출된 후, 제어부(201)는 이전에 메모리(203)에 저장된 작동부(140)의 위치정보를 읽어온다(S4).
이어서, 제어부(201)는 메모리(203)에서 읽어온 작동부(140)의 위치가 조정해야할 LSU(138K, 138C, 138M, 또는 138Y), 예를들면, 블랙 LSU(138K)의 스큐조정 부(130K)를 동작하는 제1위치인지를 판단한다(S5). 여기서, 제1위치는 구동모터(121)의 구동축(123)에 설치된 작동부(140)의 제1워엄기어(141K)가 블랙 LSU(138K)의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조정부(130K)의 제1조정기어(138K)와 맞물리는 위치이다.
판단결과, 메모리(203)에서 읽어온 작동부(140)의 위치가 제1위치이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1)는 클러치(151)가 오프된 상태에서 계산된 블랙 회전각도값(K)에 따라 구동모터(121)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다.
구동모터(121)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123)상에 형성된 제1워임기어(141K)는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워임기어(141K)와 맞물린 블랙 스큐조정부(130K)의 제1조정기어(138K)는 상응하는 회전각도값(K) 만큼 회전한다(S6).
이와 같이, 블랙 LSU(111K)에 대한 스큐조정이 완료되면, 제어부(201)는 다음에 조정해야할 조정해야할 LSU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7).
판단결과, 다음에 조정해야할 조정해야 할 LSU(138C, 138M, 또는 138Y), 예를들면, 시안 LSU(138C)가 있는것으로 판단되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1)는 구동축(123)에 설치된 작동부(140)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위치이동부(150)의 클러치(151)를 온시킨다(S8). 여기서, 제2위치는 작동부(140)의 제2워엄기어(141C)가 시안 LSU(111C)의 스큐를 조정하는 제2조정기어(138C)와 맞물리는 위치이다.
클러치(151)가 온됨에 따라, 클러치코일(155)은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을 발생하게되고, 이에 따라 아마츄어(159)는 좌측, 예를들면 도 7의 화살표 방향(A)으 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구동클러치판(152)은 클러치스프링(157)의 힘에 대항하여 피동클러치판(153)과 맞물리게 되고, 구동축(123)의 동력은 위치이동샤프트(175)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구동모터(121)가 일방향, 예를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위치이동샤프트(175)의 위치이동나선부(176)는 위치이동나선홀(172)에 삽입되면서 좌측, 즉 도 9b의 화살표 방향(A)으로 이동한다(S9).
이때, 구동모터(121)의 일측에 설치된 위치감지부(193)의 광센서(194)는 슬라이딩가이드(180)에 설치된 센싱홀부(195)의 홀(195a)에 의해 하이 및 로우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01)에 출력한다. 제어부(201)는 광센서(194)의 하이신호를 카운팅하여 구동모터(121)가 이동한 위치를 계산하고, 작동부(140)의 현재위치가 제2위치인지를 판단한다(S10).
그후, 작동부(140)가 제2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01)는 클러치(151)를 오프시킨다. 클러치(151)가 오프됨에 따라, 클러치코일(155)은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자력을 상실하게되고, 이에 따라 아마츄어(159)는 클러치스프링( 157)에 의해 7의 화살표 방향(B)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구동클러치판(152)은 피동클러치판(153)으로 부터 이격되고, 구동축(123)의 동력은 위치이동샤프트(175)에 전달될 수 없게 된다(S11).
이상태에서,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121)는 계산된 시안 회전각도값(C)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한다. 구동모터( 121)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123)상에 형성된 제2워임기어(141C)는 회전하게되고, 그에 따라 제2워임기어(141C)와 맞물린 스큐조정부(130C)의 제2조정기어(138C )는 상응하는 시안 회전각도값(C) 만큼 회전한다(S12).
시안 LSU(111C)에 대한 스큐조정이 완료되면, 제어부(201)는 다시 다음에 조정해야할 조정해야할 LSU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4).
판단결과, 다음에 조정해야할 조정해야할 LSU(138M, 또는 138Y), 예를들면, 마젠타 LSU(138M)가 있으면, 도 9d 및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1)는 위에서 설명한 단계(S8-S12)와 마찬가지방법으로, 작동부(140)를 제3위치로 이동시킨 후, 구동모터(121)를 계산된 마젠타 회전각도값(C)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마젠타 LSU(111M)의 스큐를 조정한다. 여기서, 제3위치는 작동부(140)의 제3워엄기어(141M)가 마젠타 LSU(111M)의 스큐를 조정하는 제3조정기어(138M)와 맞물리는 위치이다.
마젠타 LSU(111M)에 대한 스큐조정이 완료되면, 제어부(201)는 다시 다음에 조정해야할 조정해야할 LSU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4).
판단결과, 다음에 조정해야할 조정해야할 LSU(138Y), 예를들면, 옐로우 LSU(138Y)가 있으면, 도 9f 및 9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1)는 위에서 설명한 단계(S8-S12)와 마찬가지방법으로, 작동부(140)를 제4위치로 이동시킨 후, 구동모터(121)를 계산된 옐로우 회전각도값(Y)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옐로우 LSU(111Y)의 스큐를 조정한다. 여기서, 제4위치는 작동부(140)의 제4워엄기어(141Y)가 구동축(123)에 설치된 옐로우 LSU(111Y)의 스큐를 조정하는 제4조정기어(138Y)와 맞물리는 위치이다.
그후, 옐로우 LSU(111Y)에 대한 스큐조정이 완료되면, 제어부(201)는 다시 다음에 조정해야할 조정해야할 LSU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4).
S7단계 및 S14단계에서 판단결과, 더 이상 조정해야할 LSU가 없으면, 제어부(201)는 작동부(140)의 현재위치를 메모리(203)에 저장한 후 조정작업을 완료하거나, 위치이동부(170)를 통해 구동모터(121)를 이동시켜 작동부(140)의 위치를 다시 제1위치로 복귀시킨후 작동부(140)의 위치를 메모리(203)에 저장한 후 조정작업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스큐조정방법은 LSU 본체의 스큐를 자동으로 조정하므로, 스큐조정을 수작업으로 할 때 보다 조정시간이 줄어들고 스큐조정의 정확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스큐조정방법은 오프셋 등의 보정을 자동으로 구현할 경우 칼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완전히 자동으로 보정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스큐조정방법은 하나의 모터로 네 가지 칼러의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LSU의 스큐조정이 가능하므로, 각각의 LSU의 스큐조정부를 구동하기 위해 각각 별도로 모터를 설치할 때 보다 제작코스트가 감소될 뿐 아니라, 많은 설치공간과 복잡한 배선이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해 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5)

  1. 복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스큐조정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구동원;
    상기 구동원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스큐조정부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된 스큐조정부를 작동하는 작동부;
    상기 구동원을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구동원을 이동시키거나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위치이동부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거, 상기 스큐조정부는 각각,
    회전하여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조정샤프트; 및
    상기 스큐조정샤프트에 형성된 조정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 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각각의 스큐조정부의 상기 조정기어와 직교되게 맞물린 복수의 워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위치이동나선부를 가지는 제1단부를 구비한 위치이동샤프트;
    상기 위치이동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위치이동나선부를 수용하거나 취출하는 위치이동나선홀을 갖는 위치이동블록; 및
    상기 구동원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리니어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구동원을 지지하고 상기 구동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구동원의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고 상기 구동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 동축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위치이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축에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게 고정된 제1클러치판;
    상기 위치이동샤프트의 제2단부에 고정된 제2클러치판;
    상기 제1클러치판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아마츄어;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아마츄어를 이동시키는 클러치코일; 및
    상기 클러치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제1클러치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클러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감지하는 스큐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감지부는 전사벨트, 감광벨트 및 감광드럼 중의 하나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스큐기준선을 연장한 평면상에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스큐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스큐조정장치.
  11. 복수의 감광체;
    각각 스큐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현상유닛;
    상기 각각의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닛; 및
    상기 스큐조정부를 작동하는 자동 스큐조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스큐조정유닛은 하나의 구동원, 상기 구동원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스큐조정부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된 스큐조정부를 작동하는 작동부, 상기 구동원을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구동원을 이동시키거나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위치이동부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거, 상기 스큐조정부는 각각,
    회전하여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조정하는 스큐조정샤프트; 및
    상기 스큐조정샤프트에 형성된 조정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각각의 스큐조정부의 상기 조정기어와 직교되게 맞물린 복수의 워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위치이동나선부를 가지는 제1단부를 구비한 위치이동샤프트;
    상기 위치이동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위치이동나선부를 수용하거나 취출하는 위치이동나선홀을 갖는 위치이동블록; 및
    상기 구동원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리니어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구동원을 지지하고 상기 구동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구동원의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고 상기 구동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동축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위치이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축에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게 고정된 제1클러치판;
    상기 위치이동샤프트의 제2단부에 고정된 제2클러치판;
    상기 제1클러치판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아마츄어;
    전류가 인가될 때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아마츄어를 이동시키는 클러치코일; 및
    상기 클러치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제1클러치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클러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감지하는 스큐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감지부는 전사벨트, 감광벨트 및 감광드럼 중의 하나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스큐기준선을 연장한 평면상에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스큐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복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사용하여 일정패턴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의 스큐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스큐조정값에 따라 하나의 구동원을 사용하여 상기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상기 스큐조정부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스큐조정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큐감지센서에서 화상을 감지하는 스큐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시점을 비교하여 스큐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스큐조정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를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화상형성용 기준패턴 또는 임의의 칼라의 화상을 기준으로 기록매체에 형성된 다른 칼라의 화상의 스큐값을 현미경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스큐조정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스큐조정부를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스큐조정부를 작동하는 작동부를 조정할 LSU의 스큐조정부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조정할 LSU의 스큐조정부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스큐조정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를 조정할 LSU의 스큐조정부와 연결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작동부의 위치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읽어온 작동부의 위치가 상기 조정할 LSU의 스큐조정부의 위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읽어온 작동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상기 조정할 LSU의 스큐조정부와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스큐조정방법.
KR1020040076893A 2004-09-24 2004-09-24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스큐조정방법 KR100574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893A KR100574507B1 (ko) 2004-09-24 2004-09-24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스큐조정방법
US11/224,070 US20060181009A1 (en) 2004-09-24 2005-09-13 Automatic skew adjust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skew adjusting method thereof
EP05255915A EP1641242A2 (en) 2004-09-24 2005-09-22 Automatic skew adjusting apparatus and automatic skew adjusting method
CN200510105518.2A CN1752858A (zh) 2004-09-24 2005-09-23 自动歪斜调整设备、成像设备和歪斜调整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893A KR100574507B1 (ko) 2004-09-24 2004-09-24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스큐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957A KR20060027957A (ko) 2006-03-29
KR100574507B1 true KR100574507B1 (ko) 2006-04-27

Family

ID=3667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893A KR100574507B1 (ko) 2004-09-24 2004-09-24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스큐조정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81009A1 (ko)
EP (1) EP1641242A2 (ko)
KR (1) KR100574507B1 (ko)
CN (1) CN17528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3764B (zh) * 2010-07-12 2012-07-2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立体显示器调整机构
CN108227181B (zh) 2017-12-08 2020-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转镜的光束扫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6813A (en) * 1981-12-03 1983-08-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of the drawout type having a position actuated drive clutch on the drive means
US5052534A (en) * 1990-10-30 1991-10-01 Dana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ynchronizing and shifting clutch
JP4904617B2 (ja) * 2000-09-11 2012-03-2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029584B2 (ja) * 2001-06-06 2008-0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主走査の往路と復路における記録位置ずれの調整値の決定
JP2005091826A (ja) * 2003-09-18 2005-04-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駆動機構、およびウォームギア組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957A (ko) 2006-03-29
CN1752858A (zh) 2006-03-29
EP1641242A2 (en) 2006-03-29
US20060181009A1 (en)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0245B2 (ja) 画像形成装置
JP4869692B2 (ja) 画像形成装置、色ずれ補正方法および色ずれ補正プログラム
JP4367085B2 (ja) フォトセンサ装置
JPH11212329A (ja) 画像形成装置
JP4641401B2 (ja) 像担持体速度変動位相差の検出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86813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uto color registration method thereof
US20060072940A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4458301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74507B1 (ko) 자동 스큐조정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스큐조정방법
US5233402A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color image registration
JP453825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25347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プリントヘッド位置調整方法
JP5217592B2 (ja) 画像形成装置
JP3219025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6323416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5119571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020716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5421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70895A (ja) 画像形成装置
JP4442686B2 (ja) 画像形成装置
JP5428514B2 (ja)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07197B2 (ja) 画像形成装置
JP426186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移動式現像器保持体の静止保持方法
JP5018636B2 (ja) 画像形成装置
JP4420431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