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166B1 - 토크컨버터용시프트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토크컨버터용시프트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166B1
KR100574166B1 KR1019980028998A KR19980028998A KR100574166B1 KR 100574166 B1 KR100574166 B1 KR 100574166B1 KR 1019980028998 A KR1019980028998 A KR 1019980028998A KR 19980028998 A KR19980028998 A KR 19980028998A KR 100574166 B1 KR100574166 B1 KR 100574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hift lever
torque converter
head memb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981A (ko
Inventor
가즈노리 우메자와
다케히데 사토
Original Assignee
도요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1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mounted on steering column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04Shift element interlock
    • Y10T74/2011Shift element interlock with detent, recess, notch, or groo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22Spherical restri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 Y10T74/20146Control lever on steering column
    • Y10T74/20152Control lever movable through plural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시프트레버를 1개만으로 하고 또 오조작을 방지한다.
시프트레버(5) 선단을 헤드부재(10)에 대하여 제2요동중심축(1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자유로이 연결하고, 또 헤드부재(10)와 일체로 제1요동 중심축(6)을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자유롭게 한다. 헤드부재(10) 선단은 클릭볼(18)이 클릭홈(19)에 가압되어 시프트레버(5)의 회전위치를 중립위치(N), 전진1단(F1), 전진2단(F2), 후진1단(R1), 후진2단(R2)의 어느 하나에 걸리고, 헤드부재(10) 선단에 의해 각 위치에 대응하여 시프트스위치를 시프트 전환한다. 시프트레버(5) 선단부에 설치된 결합 플레이트(25)는 제1 결합부(26)가 계단모양가이드(31)의 단부(36) 또는 단부(37)에 맞닿아, 여기서 시프트레버(5)를 상방으로 요동시켜 상단(34) 또는 상단(35)위로 올려 얹지 않으면 계속하여 요동할 수 없도록 규제한다. 또, 제2 결합부(27)는 시프트레버(5)가 상방으로 요동했을 때, 비월(飛越) 규제돌기(32) 옆쪽으로 내려가고, 시프트레버(5)가 상단(34) 또는 상단(35) 상을 중립위치방향으로 복귀회전할 때, 시프트레버(5)가 하단(33)내에 낙하하기까지 회전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토크 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SHIFT CHANGING DEVICE FOR TORQUE CONVERTER}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 등의 산업차량에 적합한 다단식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포크리프트에 사용되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는, 전진 또는 후진전환레버와, 시프트단(段) 전환레버를 복수 구비하고, 이들을 조작하여 각 레버 전환의 조합에 의해 시프트를 전환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시프트전환을 핸들 근방에서 행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핸들근방에 복수의 시프트레버를 설치하는 것은 이미 다른 등화 스위치용 레버등이 존재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고, 1개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시프트레버를 1개로 하면 시프트레버를, 가령 중립위치에서 전진 2속(速) 위치까지 단번에 여러개로 나누어 요동시켜버리는 오조작을 일으키기 쉽기때문에 이것을 방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원은 이 필요성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에 있어서의 발명은, 스티어링샤프트와 연계하여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레버 및 시프트레버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되는 시프트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프트스위치는 시프트레버와 연동하는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푸쉬로드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푸쉬로드는 각각의 시프트포지션에 대응하여 포지션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 오프하며, 토크컨버터를 중립위치로부터 2 이상의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로 다단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에 있어서, 시프트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 방향에 있는 다단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제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규제수단은 특정 방향의 각각의 시프트 위치에서의 상이한 평면으로 시프트레버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계단모양 방식으로 그 높이를 변경하는 가이드부재 및 시프트레버가 중립위치로부터 1단 비월한 시프트위치의 평면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비월규제돌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시프트전환에 있어서의 작용설명도,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된 콤비네이션 스위치 평면도, 도 3은 그 개략단면도, 도 4는 시프트전환장치 부분확대단면도, 도 5는 시프트전환장치의 하우징 평면도, 도 6은 그 좌측면도, 도 7은 동 우측면도, 도 8은 시프트 스위치 동작설명도이다.
이 시프트 전환장치는, 포크리프트의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로서, 도 2와 도 3과 같이 스티어링샤프트(1) 주위에 부착된 콤비네이션스위치(2)에 수용되어 있다.
이 콤비네이션스위치(2)는 우측에 등화용스위치레버(3)가 설치되고, 이것을 상 또는 하로 소정 각도 요동함으로써 좌우 윙커를 점등전환할 수 있고, 노브(4)를 축주위로 회전시키면 헤드라이트 등의 등화기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콤비네이션스위치(2) 좌측에는 시프트레버(5)가 스티어링샤프트(1)와 대략 평행한 제1요동중심축(6) 주위에 요동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시프트레버(5)는 중립위치(N)에서 하방으로 2단 요동하고, 전진 1단(F1)과 전진2단(F2) 순으로 전환된다. 또, 상방으로도 2단요동하고, 후진1단(R1), 후진2단(R2) 순으로 전환한다.
도 3에 명시한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스위치(2)내에는 시프트레버(5)의 요동에 의해 전환되는 시프트스위치(7)가 지지되어 있다. 시프트스위치(7)는 시프트레버(5)에 연동하는 슬라이더(8)와 그 움직임에 응하여 선택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푸쉬로드(9a∼9e)를 구비한다.
도 4에 명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5) 선단은 헤드부재(10)의 중공부(11)내에 삽입되고, 제2요동 중심축(12)에 의해 헤드부재(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제2요동 중심축(12)을 중심으로 요동자유롭게 연결되고, 이 상하움직임은 시프트레버(5) 선단에 형성된 구멍내에 출입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클릭핀(13) 선단이 클릭스프링(14)에 가압되어 중공부내(11) 저부의 경사벽면(15)에 가압됨으로써 시프트레버(5)를 중립위치로 향하여 하방으로 요동되도록 가압되고 있다.
헤드부재(10)는 상하에 제1요동중심축(6)을 일체로 돌출형성함과 동시에, 선단에 형성된 오목부(16)내에 수용된 클릭스프링(17)이 클릭볼(18)을 콤비네이션스위치(2) 벽면에 형성된 클릭홈(19)에 밀어붙이듯이 가압되고, 이 클릭홈(19)에는 각 시프트포지션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도1 참조).
헤드부재(10) 선단 하부에는 하방에서 보아 대략 U자 모양 홈부(20)가 형성되고, 여기에 슬라이더(8) 중앙부에서 일체로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1)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헤드부재(10)가 제1요동중심축(6)을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할 때, 슬라이더(8)를 직선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8에도 표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더(8) 이면에는 각 푸쉬로드(9a∼9e)에 대응하여 이들이 슬라이딩하는 홈(22a∼22e)이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형성되고, 각 홈(22a∼22e)은 어느 하나의 시프트포지션에 대응하고 있다.
즉, 홈(22a∼22e) 을 순차로, R2, R1, N, F1, F2에 대응하고 있다고 하면 각홈에는 각각이 대응하는 시프트포지션에 슬라이더(8)가 이동했을 때만, 대응하는 푸쉬로드(9a∼9e)가 끼워맞춤하는 오목부(23a∼23e)를 하나씩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8)가 시프트포지션에 이동하면 그 시프트포지션에 대응하는 홈(22a∼22e)의 어느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23a∼23e)의 어느 하나가 대응하는 푸쉬로드(9a∼9e)의 어느 하나 위에 위치하여 푸쉬로드(9a∼9e)중 대응하는 것만이 끼워맞춤되어 위로 움직인다.
각 푸쉬로드(9a∼9e)는 각각이 각 시프트포지션에 대응하는 포지션스위치(24a∼24e)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게 되어 있고(도3), 이들 각 포지션스위치(24a∼24e)는 도시하지 않은 토크컨버터를 온·오프에 응하여 제어하고, 시프트전환을 행하게 되어 있다.
또, 도4에 명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5) 선단측 하면에는 축방향으로 길게 결합플레이트(25)가 부착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 양단에 제1 결합부(26) 및 제2결합부(27)가 설치된다.
제1결합부(26) 및 제2 결합부(27)는 각각 헤드부재(10)를 수용하는 시프트전환장치의 하우징(30)에 일체형성된 계단모양가이드(31) 및 평면위에서 보아 대략 대(臺)형상의 비월 규제돌기(32)와 맞닿도록 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요동규제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도 4 및 도 6과 같이, 계단모양 가이드(31)는 중립위치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5)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계단모양을 이루는 노치모양으로 형성되고, 중앙의 가장 낮은 하단(33)은 중립시에 시프트레버(5)의 요동범위를 부여하고, 일단 높은 상단(34, 35)과의 단부(36,37)까지 이동하면 후진 1단(R1) 또는 전진1단(F1)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시프트레버(5)의 요동을 규제한다.
상단(34,35)은 후진1단(R1) 또는 전진 1단(F1)에서 후진2단(R2) 또는 전진2단(F2)간의 시프트전환시에 시프트레버(5)의 이동을 허용한다.
비월규제돌기(32)는 중립위치의 축선상에 좌우대칭으로 형성되고, 중립위치의 축선에 대하여 제1요동중심축(6)의 끼워맞춤구멍(38) 근방에서 경사로 교차하도록 좌우에 형성되는 외개형상(外開形狀)을 이룬 한쌍의 경사가장자리부(40,41)의 연장라인은 각각 후진1단(R1) 또는 전진1단(F1)시의 위치를 지나도록 되어 있다.
비월규제돌기(32)의 돌출높이는 끼워맞춤구멍(38) 근방이 가장 높고, 선단측은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면(42)을 이루고, 시프트레버(5)가 하단(33)내를 요동할 경우는 제2결합부(27)가 비월규제돌기(32)와 간섭하지 않고 자유로운 요동을 허용한다. 단, 이 상태로 시프트레버(5)를 제2요동중심축(12) 주위에 요동시키고자 하면 제2결합부(27)가 비월규제돌기(32)에 닿는다.
시프트레버(5)가 상단(34) 또는 상단(35)위를 요동함으로써 제2 결합부(27)가 내려간 상태에서는 비월규제돌기(32)에 제2 결합부(27)가 간섭함으로써 경사가장자리부(40,41)의 각 외측에 있어서만 시프트레버(5)의 요동을 허용하고, 경사가장자리부(40,41)의 각 내측까지 복귀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시프트레버(5)가 중립위치(N)에 있을 때는 클릭볼(18)이 클릭홈(19)의 중립홈(19c)에 결합하고, 시프트레버(5) 축선은 하단(33), 제1요동중심축(6) 및 비월규제돌기(32)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상에 있다.
이것을 가령, 전진1단(F1)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시프트레버(5)는 하단(33)내에 있어서 제1요동중심축(6)을 중심으로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결합플레이트(25)의 제1결합부(26)가 단부(37)에 닿는다.
동시에 슬라이더(8)는 헤드부재(10)의 홈부(20)에 의해 이동되어 도 8의 F1 위치가 되고, 푸쉬로드(9d)가 오목부(23d)에 끼워맞춤되도록 위로 움직이기 때문에, 포지션스위치(24d)가 온되어 토크컨버터를 전진 1단(F1)에 시프트전환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2결합부(27)는 비월규제돌기(32) 상방에 있어 간섭하지 않으므로 비월규제돌기(32)위를 이동할 수 있고, 전진1단(F1)일때 제2결합부(27)는 경사가장자리부(40)를 따라 그 외측으로 나온다.
전진1단(F1)에서 다시 전진2단(F2)으로 시프트업할 경우는, 그대로 시프트레버(5)를 요동하고자하여도 제1 결합부(26)가 단부(37)에 닿아 있기 때문에 불가능하므로 시프트레버(5)를 상방으로 요동시킨다.
그러면, 시프트레버(5)는 제2요동중심축(12; 도4)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이동하고, 단부(37)를 이월하여 상단(35)상에 올라탄 후, 이 상단(35) 상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된다. 상단(35,36)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5)의 요동평면은 하단(33)에 있어서의 요동평면과 평행이고 또 높이가 다르다.
그래서, 시프트레버(5)를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이윽고 전진2단(F2)이 되고, 슬라이더(8)는 도 8의 전진2단(F2)이 되고, 토크컨버터를 전진2단(F2)에 시프트전환한다.
이 때, 제2결합부(27)는 시프트레버(5)의 위로 움직임에 의해 경사가장자리부(40) 외측에서 제1결합부(26) 보다 낮은 위치에 내려가게 되고, 상단(35)상에서 시프트레버(5)를 중립위치 방향으로 복귀하고자 하여도 제2 결합부(27)가 경사가장자리부(40)에 닿음으로써 시프트레버(5)를 상방으로 요동시킨 그대로의 상태로 그 이상의 복귀회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전진 2단(F2)에서 직접 중립위치로 복귀할수도 없고, 한번 F1 위치에서 정지하여 상단(35)에서 하단(33)으로 시프트레버(5)를 하방으로 요동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이에 따라, 일단비월로 시프트전환하여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중립위치(N)에 있어서는 전진2단(F2)에서 직접 중립위치에 복귀할 수는 없고, 한번 F1 위치에서 정지하고, 상단(35)에서 하단(33)으로 시프트레버(5)를 하방으로 요동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이에 따라 일단비월로 시프트전환하여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시프트레버(5)가 중립위치(N)에 있을때 시프트레버(5)를 제2요동중심축(12) 주위에 상방으로 요동시켜서 직접 상단(34) 또는 상단(35)으로 이동시키려 하면 제2결합부(27)가 비월규제돌기(32)에 닿아 이같은 요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같은 시프트레버(5)의 조작에 의한 일단비월의 시프트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후진방향에 있어서의 시프트전환은 시프트레버(5)의 요동방향이 반대가 될 뿐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하고, 가령, 후진측을 일단으로만 할 수도 있다. 또, 제1 결합부(26)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시프트레버(5)를 직접 단부(36), 단부(37)에 닿게하여도 된다.
또, 결합플레이트(25)를 시프트레버(5)와 일체형성할 수도 있고, 비월규제돌기(32)를 하우징(30)과 별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결합 플레이트(25) 및 하우징(30)을 설치하지 않아도 계단모양 가이드(31)측 단부(36), 단부(37)에 상방 연출부를 설치하여 일시적으로 시프트레버(5)의 복귀회전을 정지시키게 하면 동일효과로 될 수 있다. 게다가 계단모양 가이드(31) 단수(段數)를 증가시키면 더욱 다단의 시프트 전환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프트레버를 복수단으로 연속 요동시키고자 하면 시프트포지션이 변화하는 위치에서 요동규제수단에 의해 시프트레버의 요동을 저지시키기 때문에, 시프트레버는 각 시프트포지션마다 정지하고, 동일평면내에서 연속하여 다단으로 요동 못하며, 그 결과 시프트레버를 1개만으로 하더라도 가령 한단 건너뛰기와 같은, 단번에 복수단의 시프트전환이 행해지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동규제수단을 계단모양으로 높이가 변화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시프트레버의 요동규제를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요동규제 수단으로 시프트레버의 요동을 저지하는 비월 규제돌기를 설치함으로써 시프트레버를 중립위치에서 한단 건너뛴 시프트포지션의 요동평면으로 요동시키고자 하더라도 시프트레버가 건너뛰기 규제돌기에 닿음으로써 요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중립위치에서 한단 건너뛴 시프트포지션으로 별안간 전환하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시프트 전환에 있어서의 작용설명도,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된 콤비네이션스위치 평면도,
도 3은 콤비네이션스위치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시프트전환장치 부분확대단면도,
도 5는 시프트전환장치 하우징평면도,
도 6은 시프트전환장치 하우징의 좌측면도,
도 7은 시프트전환장치 하우징의 우측면도,
도 8은 시프트스위치 동작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티어링샤프트 2: 콤비네이션스위치
5: 시프트레버 6: 제1요동 중심축
8: 슬라이더 10: 헤드부재
12: 제2요동 중심축 25: 결합플레이트
26: 제1 결합부 27: 제2 결합부
30: 하우징 31: 계단모양가이드
32: 비월(飛越) 규제돌기

Claims (8)

  1. 스티어링샤프트(1)와 연계하여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레버(5) 및 시프트레버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되는 시프트스위치(7)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프트스위치는 시프트레버와 연동하는 슬라이더(8) 및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푸쉬로드(9a-9e)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푸쉬로드는 각각의 시프트포지션에 대응하여 포지션스위치(24a-24e)를 선택적으로 온 오프하며, 토크컨버터를 중립위치로부터 2 이상의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로 다단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에 있어서,
    시프트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 방향에 있는 다단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제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규제수단은 특정 방향의 각각의 시프트 위치에서의 상이한 평면으로 시프트레버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계단모양 방식으로 그 높이를 변경하는 가이드부재 및 시프트레버가 중립위치로부터 1단 비월한 시프트위치의 평면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비월규제돌기(3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중립위치에서의 시프트레버(5)의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위치(F2,R2)에서의 시프트레버의 높이와 비교하여 상이한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중립위치에 있을 때 제1 높이의 제1 위치에 상기 시프트레버(5)를 위치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작동위치(F2)에 있을 때 상기 제1 높이와 다른 제2 높이의 제2 위치에 상기 시프트레버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계단모양 가이드(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5)가 중립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작동위치(F2)로 수동으로 조작될 때 상기 시프트레버의 이동은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5)와 상기 슬라이더(8)는 상기 시프트레버에 이동을 전달할 때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5)는 제1 요동중심축의 주위를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2 요동중심축의 주위를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에 인접하여 설치된 헤드부재(10) 및 중립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시프트레버의 위치결정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재와 연계작동하도록 설치된 클릭볼(13,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10)에 형성된 홈부(20) 및 상기 슬라이더(8)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1)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헤드부재에 이동을 전달할 때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헤드부재의 상기 홈부내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용 시프트 전환장치.
KR1019980028998A 1997-07-18 1998-07-18 토크컨버터용시프트전환장치 KR100574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93585 1997-07-18
JP19358597A JP3910262B2 (ja) 1997-07-18 1997-07-18 トルクコンバータ用シフト切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981A KR19990013981A (ko) 1999-02-25
KR100574166B1 true KR100574166B1 (ko) 2006-12-19

Family

ID=1631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998A KR100574166B1 (ko) 1997-07-18 1998-07-18 토크컨버터용시프트전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73511A (ko)
EP (2) EP0892195B1 (ko)
JP (1) JP3910262B2 (ko)
KR (1) KR100574166B1 (ko)
CN (1) CN1108980C (ko)
DE (1) DE69834364T2 (ko)
TW (1) TW3685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756B1 (en) * 2000-01-21 2001-09-18 Kelsey-Hayes Co. Electronic shifter assembly with positioning mechanism to aid in setting shift lever to desired gear setting
IT1320577B1 (it) * 2000-08-01 2003-12-10 Magneti Marelli Spa Dispositivo selettore di marce per cambio automatizzato.
DE10112698B4 (de) * 2001-03-16 2010-02-25 Daimler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
JP4706135B2 (ja) * 2001-06-26 2011-06-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下方に備えられた変速指令操作機構
US7278510B1 (en) * 2004-04-22 2007-10-09 American Supercars And Prototypes, Llc Shifting system for an automobile automatic transmission
US8915342B2 (en) * 2008-04-24 2014-12-23 David Cook Dual stage input lever transmission downshift system
US8342052B2 (en) * 2009-07-20 2013-01-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eutral lock mechanism for vehicle shifter
CN102606723A (zh) * 2012-03-15 2012-07-25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叉车用换档开关
KR102032991B1 (ko) * 2018-04-05 2019-10-16 동서콘트롤(주) 차량용 레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9187A1 (de) * 1994-09-21 1996-03-28 Itt Automotive Europe Gmbh Lenkstockschalter als getriebeschalter mit fixierbarer neutral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06297B (de) * 1957-07-06 1959-11-25 Westinghouse Bremsen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te Schaltvorrichtung mit Gangwähler für Zahnräderwechselgetriebe,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HU174407B (hu) * 1975-01-23 1979-12-2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Puskovoj perekljuchatel' dlja ehlektrogidravlicheskoupravljaemogo privoda
GB2169365A (en) * 1985-01-09 1986-07-09 Lancer Boss Ltd Gear selector
US4821605A (en) * 1988-05-03 1989-04-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 control assembly
US4934208A (en) * 1988-11-09 1990-06-1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transmission shifter
DE3906965A1 (de) * 1989-03-04 1990-09-06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ischer schalter, insbesondere wendeschalter fuer das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DE9105258U1 (ko) * 1991-04-29 1991-07-25 Ina Waelzlager Schaeffler Kg, 8522 Herzogenaurach, De
JP2920265B2 (ja) * 1991-11-26 1999-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ラム式チェンジレバー機構
US5613584A (en) * 1995-11-14 1997-03-25 Deere & Company Transmission control lever with return to neutral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9187A1 (de) * 1994-09-21 1996-03-28 Itt Automotive Europe Gmbh Lenkstockschalter als getriebeschalter mit fixierbarer neutral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2195A1 (en) 1999-01-20
EP1273830A2 (en) 2003-01-08
DE69834364T2 (de) 2007-02-15
EP0892195B1 (en) 2006-05-03
DE69834364D1 (de) 2006-06-08
US6073511A (en) 2000-06-13
CN1108980C (zh) 2003-05-21
CN1205980A (zh) 1999-01-27
JPH1134686A (ja) 1999-02-09
EP1273830A3 (en) 2004-03-17
TW368570B (en) 1999-09-01
JP3910262B2 (ja) 2007-04-25
KR19990013981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322A (en) Shift control mechanism to manually shift an automatic transmission
CN101688596B (zh) 具有锁止机构的操纵装置
KR100574166B1 (ko) 토크컨버터용시프트전환장치
KR100380059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KR101394773B1 (ko) 시프트 캐리지 록을 구비한 작동 장치
KR19980018309A (ko)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JPH10100721A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EP3453925B1 (en) Shift by wire shifter device
JPH0448355Y2 (ko)
US10927949B2 (en) Operating device
KR102032991B1 (ko) 차량용 레버
JPS633196B2 (ko)
JP2876089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手動選速機構付シフト装置
EP1591696A1 (en) Gear shift lever for a vehicle
CN212407534U (zh) 一种变速器选挡滑移和限位机构
JP2007008381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6653975B2 (ja) Atシフトレバー装置
JPH043150Y2 (ko)
KR20070049430A (ko) 수동 변속기의 콘트롤 샤프트 디텐트 구조
JP3742187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2005155792A (ja) 駆動系切換シャフト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H0547897Y2 (ko)
JPH08105527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手動選速機構付シフト装置
JPH04123821U (ja) 自動変速車両のシフトチエンジ操作レバー装置
KR19980060429A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