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850B1 - 더블타이어 조립체 및 그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 Google Patents

더블타이어 조립체 및 그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850B1
KR100570850B1 KR1020040107442A KR20040107442A KR100570850B1 KR 100570850 B1 KR100570850 B1 KR 100570850B1 KR 1020040107442 A KR1020040107442 A KR 1020040107442A KR 20040107442 A KR20040107442 A KR 20040107442A KR 100570850 B1 KR100570850 B1 KR 100570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double
tires
rims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04Wheels with a rim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20Avoidance of
    • B60B2900/211So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타이어 장착용 휠 굴삭기의 타이어 및 보호링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측 림(1)이 다수의 보울트(2)에 끼워지도록 차축(3)에 내측 타이어(4)가 삽입되고, 상기 내측 타이어(4)의 외측면에 보호링(5)을 밀착시킨 상태로 외측 림(6)이 다수의 보울트(2)에 끼워지도록 상기 차축(3)에 외측 타이어(7)가 삽입되며, 상기 보울트(2)에 와셔(8)를 매개로 각각의 너트(9)가 체결됨으로써 휠 굴삭기의 더블타이어(10)가 조립되고, 상기 보호링(5)이 고무재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면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내측 림(1)에 압착된 상태로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 밸브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링(5)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홈(5a)이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림(1)과 외측 림(6)의 결합면에 서로의 조립을 위해 다수의 조립홀(11)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더블타이어의 조립후 타이어 측면 강성을 증대시켜 휠 굴삭기의 작업시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휠 굴삭기의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타이어 사이의 보호링이 마모됨으로써 생겨나는 타이어와 보호링 간의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더블타이어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휠 굴삭기, 더블타이어, 보호링

Description

더블타이어 조립체 및 그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DOUBLE TIRE ASSEMBLY AND A PROTECT RING THEREOF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더블타이어에 조립되는 보호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조립체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B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내측 림 2 : 보울트
3 : 차축 3a : 허브 플랜지
4 : 내측 타이어 5 : 보호링
5a : 홈 6 : 외측 림
7 : 외측 타이어 8 : 와셔
9 : 너트 10 : 더블타이어 조립체
11 : 조립홀 12 : 허브 너트
13 : 관통홀
본 발명은 휠 굴삭기의 더블타이어 조립체와 그 더블타이의 보호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블타이어의 조립후 타이어 측면 강성을 증대시켜 휠 굴삭기의 작업시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타이어 사이의 보호링이 마모됨으로써 생겨나는 타이어와 보호링 간의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더블타이어 조립체와 그 더블타이의 보호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 굴삭기에 적용되는 더블타이어의 경우 내측 타이어와 외측 타이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 상기 타이어 사이의 공간에 자갈, 돌, 진흙 등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고, 상기 이물질 중 돌 등이 타이어의 회전에 의해 밖으로 튀어나가면서 사고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된 더블타이어의 내측 타이어와 외측 타이어 사이에 그 틈새를 막아줄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갖는 링이 조립되는 바, 상기 링은 안티스톤 인서트(Antistone insert)라고도 불리우는 것이다.
즉, 상기 휠 굴삭기의 더블타이어가 조립되는 종래의 구조는 내측 림이 다수의 스터드보울트에 끼워지도록 차축에 내측 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내측 타이어의 외측면에 상기 안티스톤 인서트를 밀착시킨 상태로 외측 림이 다수의 스터드 보 울트에 끼워지도록 상기 차축에 외측 타이어를 삽입시킨 후, 상기 스터드 보울트에 각각 휠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더블타이어를 조립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휠 굴삭기의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더블타이어에 조립된 안티스톤 인서트의 측면이 마모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타이어와 안티스톤 인서트 간의 틈이 벌어지는 문제가 생기게 되며, 상기 타이어와 안티스톤 인서트 간의 벌어진 틈새를 통해 타이어의 측면 강성이 저하됨은 물론 휠 굴삭기의 작업시 작업 안정성이 저하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더블타이어의 조립후 타이어 측면 강성을 증대시켜 휠 굴삭기의 작업시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타이어 사이의 보호링이 마모됨으로써 생겨나는 타이어와 보호링 간의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더블타이어 조립체와 그 더블타이의 보호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1쌍으로 이루어지는 내ㆍ외측 타이어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내ㆍ외측 타이어가 정상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들 타이어 사이의 틈새를 탄력지지하도록 탄성재질로 된 환형의 원반형 더블타이어의 보호링에 있어서,
상기 보호링은 상기 내ㆍ외측 타이어의 장착용 림의 외주둘레와 접하는 크기의 내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경부는 가장자리에 어느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 성된 경사측벽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내경부의 경사측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다. 또한 보호링은 측벽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통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조립체는 차축과, 상기 차축의 양단에 차축방향으로 장착되는 한쌍의 내ㆍ외측 림과, 상기 림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장착되는 한쌍의 내ㆍ외측 타이어와, 상기 내ㆍ외측 타이어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재질로 된 원판형상의 보호링으로 이루어진 더블타이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보호링은 상기 림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크기의 내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경부의 가장자리에는 어느 한쪽의 차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측벽이 구비됨과 아울러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링의 외경부는 상기 타이어들이 정상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내ㆍ외측 타이어 사이의 틈새를 탄력지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림이 차축에 조립되기 전에 상기 내ㆍ외측 림을 체결하는 보조조립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조조립수단은 상기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조립구멍과, 상기 대향하는 1쌍의 조립구멍마다 관통하여 상기 내ㆍ외측 림을 고정하는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된다.
상기 차축의 허브 플랜지에는 상기 보조조립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보조조립수단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조립수단과 동일한 갯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휠 굴삭기의 더블타이어 조립체 및 더블타이의 보호링 구조를 통해 내측 타이어와 외측 타이어 사이에 조립되는 보호링을 보다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상기 보호링이 고무 재질로 성형됨으로써 더블타이어 사이의 틈새를 보다 효율적으로 막아줄 수 있으며, 더블타이어의 조립후 타이어 측면 강성을 증대시켜 휠 굴삭기의 작업시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휠 굴삭기의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타이어 사이의 보호링이 마모됨으로써 생겨나는 타이어와 보호링 간의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더블타이어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장착용 휠 굴삭기의 타이어 및 보호링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더블타이어에 조립되는 보호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장착용 휠 굴삭기의 타이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장착용 휠 굴삭기의 타이어 및 보호링의 조립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조립체(10)는 차축(3)의 양단에 차축방향으로 장착되는 한쌍의 내ㆍ외측 림(1,6)과, 상기 림(1,6)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장착되는 한쌍의 내ㆍ외측 타이어(4,7)와, 상기 내ㆍ외측 타이어(4,7)사이에 끼워지는 탄성재질로 된 원판형상의 보호링(5)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보호링(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1,6)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크기의 내경부(5b)가 형성되고, 상기 내경부(5b)의 가장자리에는 어느 한쪽의 차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측벽(5c)이 구비됨과 아울러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홈(5a)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링(5)의 외경부는 상기 타이어(4,7)들이 정상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내ㆍ외측 타이어(4,7) 사이의 틈새를 탄력지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더블타이어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링(5)를 내ㆍ외측 림(1,6) 사이에 배치하여 내경부(5b)를 어느 한쪽 림(여기서는 편의상 외측림에 보호링을 장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의 외주에 끼워서 장착한다. 그리고나서 1쌍의 내ㆍ외측 림(1,6)을 차축(3)에 조립하기전에 보조조립수단으로 미리 조립한다. 즉, 상기 림(1,6)의 원주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조립구멍(11)중 대향하는 1쌍의 조립구멍(11)마다 보울트(2)를 관통하여 너트(9)로 체결하여 상기 내ㆍ외측 림(1,6)을 그 사이에 보호링(5)을 끼운 상태로 서로 고정한다. 그리고 보호링(5)의 홈(5a)은 타이어의 공기압 밸브를 간섭없이 통과시킨다.
이렇게 조립된 림 조립체의 각 림(1,6)의 외주면에 타이어(4,7)을 끼워 장착함으로써 더블타이어 조립체(10)를 조립한다. 이렇게 조립된 더블타이어 조립체(10)의 림(1,6)을 차축(3)에 끼우되, 1쌍의 림(1,6)을 체결한 보울트(2)가 차축(3) 의 허브플랜지(3a)에 구비된 관통구멍(13)안으로 삽입되게 하여 간섭되지 않게 한다.
이 상태에서 보호링(5)은 고무재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1쌍의 내ㆍ외측 타이어(4,7)들이 정상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내ㆍ외측 타이어(4,7) 사이의 틈새를 탄력지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어 타이어틈새를 긴밀하게 밀봉하게 되므로 운행중 도로의 작은 돌맹이 등과 같은 이물질이 타이어들의 틈새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간편하게 각 부품들을 조립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내측 타이어(4)와 외측 타이어(7)의 틈새에 탄성체의 보호링(5)이 압착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타이어들 사이로 작은 이물질이 침입하여 타이어측면 사이에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조립체와 보호링에 의하면, 내측 타이어와 외측 타이어 사이에 조립되는 보호링을 보다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상기 보호링이 고무 재질로 성형됨으로써 더블타이어 사이의 틈새를 막아줌으로써 그 틈새안으로 작은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으며, 더블타이어의 조립후 타이어 측면 강성을 증대시켜 휠 굴삭기의 작업시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휠 굴삭기의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타이어 사이의 보호링이 마모됨으로써 생겨나는 타이어와 보호링 간의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더블타이어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쌍으로 이루어지는 내ㆍ외측 타이어(4,7)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내ㆍ외측 타이어(4,7)가 정상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들 타이어 사이의 틈새를 탄력지지하도록 탄성재질로 된 환형의 원반형 더블타이의 보호링에 있어서,
상기 보호링(5)은 상기 내ㆍ외측 타이어(4,7)의 장착용 림(1,6)의 외주둘레와 접하는 크기의 내경부(5b)를 구비하고, 상기 내경부(5b)는 가장자리에 어느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측벽(5c)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내경부(5b)의 경사측벽(5c)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홈(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링(5)은 측벽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통공(5d)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차축(3)과, 상기 차축(3)의 양단에 차축방향으로 장착되는 한쌍의 내ㆍ외측 림(1,6)과, 상기 림(1,6)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장착되는 한쌍의 내ㆍ외측 타이어(4,7)와, 상기 내ㆍ외측 타이어(4,7)사이에 끼워지는 탄성재질로 된 원판형상의 보호링(5)으로 이루어진 더블타이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보호링(5)은 상기 림(1,6)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크기의 내경부(5b)가 형성되고, 상기 내경부(5b)의 가장자리에는 어느 한쪽의 차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 성된 경사측벽(5c)이 구비됨과 아울러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홈(5a)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링(5)의 외경부는 상기 타이어(4,7)들이 정상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내ㆍ외측 타이어(4,7) 사이의 틈새를 탄력지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조립체.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림(1,6)이 차축(3)에 조립되기 전에 상기 내ㆍ외측 림(1,6)을 체결하는 보조조립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조립체.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조립수단은 상기 림(1,6)의 원주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조립구멍(11)과, 상기 대향하는 1쌍의 조립구멍(11)마다 관통하여 상기 내ㆍ외측 림(1,6)을 고정하는 보울트(2)와 너트(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조립체.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3)의 허브 플랜지(3a)에는 상기 보조조립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보조조립수단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조립수단과 동일한 갯수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조립체.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링(5)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통공(5d)이 일 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조립체.
KR1020040107442A 2004-12-16 2004-12-16 더블타이어 조립체 및 그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KR10057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442A KR100570850B1 (ko) 2004-12-16 2004-12-16 더블타이어 조립체 및 그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442A KR100570850B1 (ko) 2004-12-16 2004-12-16 더블타이어 조립체 및 그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850B1 true KR100570850B1 (ko) 2006-04-12

Family

ID=3718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442A KR100570850B1 (ko) 2004-12-16 2004-12-16 더블타이어 조립체 및 그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8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17B1 (ko) * 2012-11-27 2014-06-03 최지현 농경기용 듀얼 휠 연결장치
KR101532178B1 (ko) * 2014-10-16 2015-06-29 이진석 복륜 구조용 타이어휠, 복륜 구조 차량
CN107782483A (zh) * 2017-11-01 2018-03-09 广州华工机动车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于全时四驱车制动力台式检测的辅助装置
KR101926466B1 (ko) 2018-07-12 2018-12-10 디아이특수장비 주식회사 굴삭기용 더블 타이어 장착 휠 조립체
CN110154645A (zh) * 2019-05-31 2019-08-23 贵州詹阳动力重工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双轮胎转向桥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17B1 (ko) * 2012-11-27 2014-06-03 최지현 농경기용 듀얼 휠 연결장치
KR101532178B1 (ko) * 2014-10-16 2015-06-29 이진석 복륜 구조용 타이어휠, 복륜 구조 차량
CN107782483A (zh) * 2017-11-01 2018-03-09 广州华工机动车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于全时四驱车制动力台式检测的辅助装置
KR101926466B1 (ko) 2018-07-12 2018-12-10 디아이특수장비 주식회사 굴삭기용 더블 타이어 장착 휠 조립체
CN110154645A (zh) * 2019-05-31 2019-08-23 贵州詹阳动力重工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双轮胎转向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5271A (en) Tire sidewall protector shield assembly
JP5170369B2 (ja) 密封装置
JP2683273B2 (ja) 履帯型車両の遊動輪アセンブリ
JP4639651B2 (ja) 密封装置
JP2017223257A (ja) 密封構造
KR20150091115A (ko) 차량 타이어의 측벽용 보호기 쉴드, 및 상기 보호기 쉴드가 통합된 차량용 휠 조립체
US6273428B1 (en) Annular seal assembly, in particular for the drive shaft of a vehicle
KR100570850B1 (ko) 더블타이어 조립체 및 그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EP2318220A1 (en) Runflat
US8925604B2 (en) Take-apart vehicle wheel assembly, seal for use in such a wheel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wheel assembly
JPH06286419A (ja) タイヤ
WO1979000425A1 (en) Tire sidewall protector for multi-piece rim wheels
US4243234A (en) Seal and seal assembly
EP3173318B1 (en) Crawler device
JP6806744B2 (ja) 車両用ホイール及び車両
JP2013072463A (ja) 車輪用軸受装置
JP6886320B2 (ja) 車輪用軸受装置
US2951523A (en) Pressureless tires
US4081013A (en) Traction shoe seal
JPH07205853A (ja) 単突起駆動型スプロケット
USRE31314E (en) Brake drum seal with dual elastomeric legs
WO2014021327A1 (ja) ロックリング用シール材、及びそれを用いた多片リム
CN214356334U (zh) 一种用于工程或农机履带式机械上的尼龙轮
CN219256943U (zh) 一种防磨损的汽车轮毂
AU2018100608A4 (en) Device & Method for Attenuating Sound associated with a 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