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927B1 - 방음장치 - Google Patents

방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927B1
KR100569927B1 KR1019990003315A KR19990003315A KR100569927B1 KR 100569927 B1 KR100569927 B1 KR 100569927B1 KR 1019990003315 A KR1019990003315 A KR 1019990003315A KR 19990003315 A KR19990003315 A KR 19990003315A KR 100569927 B1 KR100569927 B1 KR 100569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ranch
tip
sound source
sourc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356A (ko
Inventor
시마히로시
와타나베토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1999007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1Free-standing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 본체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음장치이다. 이 방음장치는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분기벽과 반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2분기벽에서 측면이 V자인 본체부를 형성하고, 제 1분기벽 선단에 반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선단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2분기벽 선단에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2선단벽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2선단 사이의 간격을 제 1및 제 2분기벽 사이 간격의 55∼88%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음장치{SOUND ARRESTER}
도 1은 종래예를 도시하는 간략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간략측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간략측면도.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간략측면도.
도 5는 개구율과 직벽대비 소음저감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제 1및 제 2분기벽의 선단사이 간격과 소음저감효과를 일으키는 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제 3분기벽형상을 바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간략측면도.
도 8은 제 2실시예와 제 7실시예의 직벽대비 감음량을 주파수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도 8그래프에 있어서 측정계산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도로, 철도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마련 한 방음벽 본체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음벽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음장치로서는 도 1에 도시하는 것이 알려 져 있다. 이것은 직벽인 방음벽 본체(100)의 상부에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분기벽(101)과 반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2분기벽(102)을 마련한 것으로서, 방음벽 본체(100)와 제 1및 제 2분기벽(101)(102)에서 측면이 Y자모양을 이루는 것이다. 이 Y자모양 방음벽은 동일높이의 직벽과 비교하여 대폭적인 소음저감효과가 있었다.
종래 Y자모양 방음벽에 대해 이러한 차음특성향상 및 소형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도로에서 방음벽 본체의 상부에서는 0.25m정도 이상 도로측으로 돌출되면 안된다는 상공점유에 관한 규칙도 있기 때문에 차음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콤팩트화할 필요성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차음특성을 향상시키고 소형경량화를 목적으로한 방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분기벽과 반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2분기벽에서 측면이 V자모양인 본체부를 형성하고, 제 1분기벽 선단에 반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선단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2분기벽 선단에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2선단벽을 형성하고, 제 1및 제 2선단벽 사이의 간격을 제 1및 제 2분기벽 사이 간격의 55∼88%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및 제 2선단벽 사이의 간격을 제 1및 제 2분기벽 사이 간격의 55∼88%로 했기 때문에 소음저감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형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었다. 또 제 1및 제 2분기벽 사이의 간격을 0.25m이상으로 하는 것이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내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 제 3분기벽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는 2개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내에 있어서 음원측으로부터 들어온 음이 감쇠되어 보다 더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예에서는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분기벽(2)과 반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2분기벽에서 측면이 V자모양 본체부(1)를 형성하고, 이 본체부(1)는 방음벽 본체(4) 상부에 설치하고 있다. 제 1분기벽(2) 선단에 반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선단벽(2A)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2분기벽(3) 선단에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2선단벽(3A)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및 제 2선단벽(2A)(3A) 사이의 간격(d)을 제 1및 제 2분기벽(2)(3)사이 간격(D)의 55∼88%로 하고 있다. V자모양 본체부(1)의 제1 및 제2 분기벽(2)(3)이 형성하는 각도를 90°로 하고, 제1 및 제2 분기벽(2)(3)과 제1 및 제2 선단벽(2A)(3A)이 형성하는 각도도 90°로 했다. 또 제 1및 제 2분기벽(2)(3)의 선단에서 제 1및 제 2선단벽(2A)(3A) 선단까지의 수평방향에 대한 간격은 D/6로 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로방음벽에 구성하고 있다. 제 1및 제 2분기벽(2)(3) 사이의 간격(D)은 0.25m이상으로 했다. 또한 방음벽 전체높이는 3m로 했다.
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방음장치의 제1 공간(5)을 형성하는 각 벽면에는 흡음재를 부착할 수 있다. 흡음재로서는 록월, 유리벽, 세라믹, 발포콘크리트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음원측 예를들면 고속도로 등 차량통행에 의해 생기는 소음은 최로로 제 1분기벽(2)에 의해 차폐되고, 제 1분기벽(2) 선단을 회절한 소음은 선단에서 회절효과에 의해 감음됨과 동시에 제1 선단벽(2A)에 의해 차폐된다. 제 1분기벽(2) 및 제 1선단벽(2A)의 선단을 회절한 소음은 이들 선단에서 회절효과에 의해 감음됨과 동시에 제 2선단벽(3A) 및 제 2분기벽(3) 사이로 들어가 차폐된다. 제 2선단벽(3A)을 회절한 소음은 감쇠된 상태에서 반음원측으로 나간다.
도 3에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방음장치에 더하여 음원측으로 뻗어 위쪽으로 뻗는 제 3분기벽(6)을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본체부(1)는 방음벽 본체(4)의 바로 위가 아니라 반음원측으로 벗어나 엇갈린 상부에 마련되고, 제 3분기벽(6)은 방음벽 본체(4) 상단에서 음원측으로 대략 수평하게 뻗는 부분(6A)과, 이 부분(6A) 선단에서 수직으로 올라간 부분(6B)으로 되어있다. 이 제 3분기벽(6)과 제 1분기벽(2) 사이에는 제2 공간(7)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도시하는 방음장치는 음원측에 대해 방음벽 본체 반대면에서 0.25m 돌출하고 있다. 또 방음장치전체 폭은 0.55m했다.
도 4에 도시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제 3분기벽(6)을 마련하고 있다. 음원측으로 상공에서의 돌출량은 0.20m로 하고, 방음장치전체 폭은 0.40m로 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도 제1 및 제2 공간(5)(7)내벽에 흡음재를 부착할 수 있다.
높이 3m의 비교예인 직벽과 상단높이를 같게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실시예를 필드에 설치하고, 소음저감효과를 구했다. 벽의 시공연장은 20m이다. 7.5m떨어진 위치에 지상 0.5에 아래쪽에 설치한 스피커에서 도로교통소음과 같은 주파수특성의 잡음을 울리게 한 경우의 직벽대비의 소음저감량을 표 1에 도시한다.
평 가 점 소음저감량〔dB〕
벽으로부터의 거리 높 이 도 2 도 3
5m 0m 2.0 1.6
5m 1.2m 3.7 2.6
5m 3.5m 1.6 1.1
5m 5m 0.7 0.2
10m 0m 2.7 1.8
10m 1.2m 2.5 2.2
10m 3.5m 1.5 1.6
10m 5m 0.7 0.8
표 1의 데이터를 얻기위한 음원으로서, 일본음향학회에서 제안하고 있는 속도구분이 없는 예측계산용 대표스팩틀, 즉 다음의 표 2에 나타내는 「A특성 스팩틀」에서 나타내는 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했다. 이 대표스팩틀에 대해서는 일본음향학회의 학회지 제 50권 제 3호(1994년)의 제 238페이지에 기술되어있다.
주파수 〔Hz〕 도로교통소음의 A특성 스팩틀〔dB〕
125 -16.2
160 -13.3
200 -10.9
250 - 8.7
315 - 6.7
400 - 4.9
500 - 3.5
630 - 2.3
800 - 1.4
1000 - 1.0
1250 - 0.9
1600 - 1.2
2000 - 1.8
2500 - 2.8
3150 - 4.2
4000 - 6.0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간격 D/d 즉 개구율 비율에 의해 동일 높이의 직벽에 비해 감음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 가에 대해 측정한 그래프로서, 도로의 경우 500Hz과 1KHz이 중심주파수가 되므로 각각의 주파수 평균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 개구율이 0.55∼0.88% 범위내에 있어서 직벽대비로 3dB이상의 감음효과를 볼 수 있었다.
도 6은 간격(D)의 넓이 차에 의해 가장 소음저감효과가 큰 주파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로서, 이 그래프에서 간격(D)은 적어도 0.25m이상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도 7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제 3분기벽(6) 형상을 음원측으로 부풀린 측면이 원호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경관도 좋아지게 된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도 7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직벽대비 음압레벨 저감량의 주파수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주파수특성 계산의 조건은 도 9에 도시한다. 음원 및 평가점을 지표면위에 설정한 경우에 벽 높이방향의 공진에 의해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이와같은 배치로 했다. 도 9에 있어서 점선은 완전흡음조건을 나타낸다. 폭 375mm의 5각형 유닛(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500Hz부근 및 1KHz부근에서는 5dB이상의 저감을 얻을 수 있었지만 230Hz 및 720Hz에서 공명에 의한 악화를 볼 수 있었다(도 8의 부호 X). 이와같은 악화는 1/4파장 및 3/4파장의 반공명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개선되었다. 이 반공명관은 제 3분기벽(6)과 제 1분기벽(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7)이 그 기능을 하고 있다. 도 8에 있어 부호 X로 나타내는 특성이 도 2의 실시예이고, 부호 Y로 나타내는 특성이 도 7실시예이며, 제 3분기벽(6)을 마련한 것은 200Hz보다 위의 주파수에서는 악화되지 않고 양호한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반공명관의 메카니즘에 대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제1 공간(5)에 있어서 공명에서 230Hz, 720Hz으로 악화하므로, 제1 공간(5)으로 음이 들어오기 전 단계 즉 도 7실시예에 있어 제2 공간(7)인 곳에서 그 주파수 음압레벨을 낮춰 둔 다는 것이다. 제2 공간(7)의 깊이가 주파수의 1/4파장 내지는 3/4파장 길이를 갖는 것으로, 제2 공간(7)으로 들어온 음이 바닥에서 반사하여 제2 공간(7)으로부터 나올 때 위상이 1/4파장일 때 π, 3/4일 때 3π 어긋나므로 제2 공간(7)출구 근처에서 서로 없애 그 주파수 음압레벨을 낮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은 차음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소형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분기벽과 반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2분기벽에서 측면이 V자모양인 본체부를 형성하고,
    제 1분기벽 선단에 반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선단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2분기벽 선단에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2선단벽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2선단벽 사이의 간격을 제 1 및 제 2분기벽사이 간격의 55∼88%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본체 상부에 설치하는 방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분기벽 사이의 간격을 0.25m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장치.
  3. 제 1항의 방음장치에서, 음원측으로 경사하여 위쪽으로 뻗는 제 3분기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분기벽의 높이는 적어도 제 1분기벽 까지의 높이를 갖고, 제 1분기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반공명관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분기벽은 음원측으로 부푼 측면이 원호모양으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장치.
KR1019990003315A 1998-02-05 1999-02-02 방음장치 KR100569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955298 1998-02-05
JP98-39552 1998-02-05
JP98-223087 1998-08-06
JP22308798A JP3638084B2 (ja) 1998-02-05 1998-08-06 防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356A KR19990072356A (ko) 1999-09-27
KR100569927B1 true KR100569927B1 (ko) 2006-04-10

Family

ID=2637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315A KR100569927B1 (ko) 1998-02-05 1999-02-02 방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06858A (ko)
EP (1) EP0935026B1 (ko)
JP (1) JP3638084B2 (ko)
KR (1) KR100569927B1 (ko)
DE (1) DE6993315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6989A1 (de) * 1999-02-19 2000-09-14 Roehm Gmbh Lärmschutzwandsegment
JP3736790B2 (ja) * 2000-04-21 2006-01-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アクティブ遮音壁
WO2002038869A1 (fr) * 2000-11-08 2002-05-16 Masao Suzuki Paroi d'insonorisation roulee
DE10312783A1 (de) * 2003-03-21 2004-09-30 Röhm GmbH & Co. KG Lärmschutzwandsystem aus einem Sockel und einem transparenten Aufsatz
US7104720B2 (en) * 2003-11-19 2006-09-12 Cyro Industries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US7380636B2 (en) * 2004-05-20 2008-06-03 Hiroshi Yano Noise reducing equipment
JP4798991B2 (ja) * 2004-12-09 2011-10-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音装置
US7782462B2 (en) * 2006-11-27 2010-08-24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Sono-photonic gas sensor
US20120125711A1 (en) * 2010-11-24 2012-05-24 Stahr Richard E Sound absorbing panel and system
AT513236B1 (de) * 2012-05-22 2014-07-15 Gerfried Dipl Ing Cebrat Strom-erzeugendes schallweiches Aufsatzelement für Lärmschutzwände
CN106320200A (zh) * 2015-06-29 2017-01-11 宜兴市昊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隔声屏
US10767325B2 (en) 2018-01-05 2020-09-08 Superior Transparent Noise Barriers LLC Impact absorbing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DE102021125882A1 (de) 2021-10-06 2023-04-06 Akustikbüro Krämer & Stegmaier Gmbh Lärmschutzeinrichtung mit hochabsorbierenden Schallschutzelementen als Kombination von Absorbern und Betonresonatorkörper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5275B2 (ja) * 1994-07-20 1999-03-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音壁
AUPM948994A0 (en) * 1994-11-17 1994-12-08 S.C.I. Operations Pty. Ltd. Acoustic barrier
JPH09151427A (ja) * 1995-09-29 1997-06-10 Bridgestone Corp 防音壁
US6019189A (en) * 1997-02-19 2000-02-01 Bridgestone Corporation Noise barrier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5026A1 (en) 1999-08-11
DE69933154D1 (de) 2006-10-26
DE69933154T2 (de) 2007-09-13
JP3638084B2 (ja) 2005-04-13
KR19990072356A (ko) 1999-09-27
JPH11286910A (ja) 1999-10-19
EP0935026B1 (en) 2006-09-13
US6006858A (en) 199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927B1 (ko) 방음장치
US4244439A (en) Sound-absorbing structure
JP4213070B2 (ja) 鉄道用防音装置
JP2865275B2 (ja) 防音壁
US20060251267A1 (en) Active sound reduction apparatus and active noise insulation wall having same
US20050258000A1 (en) Noise reducing equipment
EP0765968B1 (en) Soundproof wall
US7380636B2 (en) Noise reducing equipment
JP3523826B2 (ja) 防音装置
US6019189A (en) Noise barrier wall
JPH07502088A (ja) ノイズ・バリア
JP2835024B2 (ja) 防音壁
JP3583607B2 (ja) 防音壁
KR100408156B1 (ko) 광대역 소리저감을 위한 방음장치 구조
JP2004232357A (ja) 防音壁
JP2001131926A (ja) 高架走行路の防音装置
KR910001951B1 (ko) 소리음파의 간섭과 회절원리를 이용한 방음장치
KR100405865B1 (ko) 소음 감쇄를 위한 차음벽
KR200239164Y1 (ko) 케이제이 2형 방음벽 패널
JP2000008333A (ja) 上方に放射される交通騒音の低減構造
KR200201088Y1 (ko) 소음 감쇄를 위한 차음벽
KR200169753Y1 (ko) 방음벽용 흡음판넬
KR100405864B1 (ko) 소음 감쇄를 위한 차음벽
JPH09287114A (ja) 防音装置
JP2004183205A (ja) 防音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