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869B1 - 냉매 회수 장치, 냉매 회수 방법,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냉동 장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 또는 냉매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냉매 회수 장치, 냉매 회수 방법,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냉동 장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 또는 냉매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869B1
KR100564869B1 KR1020007001361A KR20007001361A KR100564869B1 KR 100564869 B1 KR100564869 B1 KR 100564869B1 KR 1020007001361 A KR1020007001361 A KR 1020007001361A KR 20007001361 A KR20007001361 A KR 20007001361A KR 100564869 B1 KR100564869 B1 KR 100564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solid adsorbent
recovery
circuit
refrigeran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761A (ko
Inventor
다께마사가즈오
시미즈다까유끼
유자와지로
이노우에가쯔히꼬
요시다후꾸지
이꾸미요네조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163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517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63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473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456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745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45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706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455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65447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2Collecting refrigerant from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3Control issues for charging or collecting refrigerant to or from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6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characterised by charging or discharg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25B2500/222Detecting refrigerant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로부터 냉매를 용이하게 저비용으로 회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냉매 회수 장치(6A)는 냉매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관로(7)와, 이 관로(7)의 선단에 설치한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17)와,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A)를 구비하고, 냉매 회로에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17)를 부착하여 냉매 회로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여 냉매를 고체 흡착제(9)에 흡착·회수한다.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 고체 흡착제, 냉매 회로, 냉매 회수 장치

Description

냉매 회수 장치, 냉매 회수 방법,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 냉동 장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 또는 냉매 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REFRIGERANT COLLECTING DEVICE, REFRIGERANT COLLECTING METHOD, REFRIGERATOR HAVING REFRIGERANT COLLECT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REFRIGERANT IN REFRIGERANT CIRCUIT OR REGENERATION DEVICE AND REGENERATION METHOD FOR REFRIGERANT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냉매 회수 장치, 냉매 회수 방법,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 냉동 장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 또는 냉매 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동기 등의 냉동 장치의 냉매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오존층을 파괴할 위험성이 있는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R-12)이나 공비 혼합 냉매의 R-12와 1, 1-디플루오로에탄(R-152a)으로 이루어진 R-500이나 오존층을 파괴할 위험성은 적지만 지구 온난화 효과가 높은 염소기의 함유량을 감소시킨 대체 냉매로서, 예를 들어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HCFC-22), 염소기를 함유하지 않은 냉매, 예를 들어 디플루오로메탄(HFC-32, R-32), 트리플루오로메탄(HFC-23, R-23), 펜타플루오로에탄 (HFC-125, R-125), 1, 1, 1, 2-테트라플루오로에탄(HFC-134a, R-134a), 1, 1, 1-트 리플루오로에탄(HFC-143a, R-143a), 염소기와 수소를 함유하지 않은 플루오로 카아본계 냉매(FC계 냉매)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나 프로판, 부탄, 펜탄 등의 가연성이 있는 탄화 수소류나 헬륨, 암모니아, 공기 등이 있다.
이들 냉매를 사용한 가정용 냉장고, 공기 조절 장치나 산업용 냉동 기기가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로 그 냉매 회로로부터 냉매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했을 때는 냉매 회수기를 이용하여 냉매를 흡인하여 냉매 회로의 외부로 배출하고, 이를 액화하여 봄베 등에 수용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명이 다 된 가정용 냉장고 등을 냉매 회수기가 있는 장소에 다수 수집하여 처리하기에는 편리하지만, 먼 지역에 있는 냉장고 등의 냉동 장치의 경우나 산업용 냉동 기기, 특히 의학 기기와 같은 특수 냉매를 밀봉한 기기에서는 수집 자체에 곤란이 따르는 동시에, 크고 무거운 냉매 회수기를 멀리까지 운반하는 일도 힘들고 시간이 걸리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를 수용한 봄베 및 우레탄 폼 등으로부터 회수된 발포제(냉매와 같은 프레온 등이 발포제로서 사용되고 있음)를 수용한 용기 등에 연결하여 냉매와 발포제를 회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냉매 회수 장치나, 수명이 다 된 가정용 냉장고나 산업용 냉동 기기 등의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에 존재하는 상기 프레온계 냉매, 탄화 수소류나 헬륨, 암모니아, 공기 등의 각종 냉매를 용이하게 저비용으로 회수할 수 있는, 소형이고 휴대 가능한 냉매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그 냉매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로부터 상기 각종 냉매를 용이하게 저 비용으로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그와 같은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 냉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냉매 회로의 냉매를 흡착한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갖춘 냉매 회수 장치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로부터 냉매가 누설되어 악영향을 미칠 위험이 발생한 경우, 특히 냉매가 프로판, 부탄, 펜탄 등의 가연성 탄화 수소류나 암모니아 등의 자연 냉매인 경우는 바로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냉매 회수 장치에 회수하여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매 회로에 접속하여 냉매를 회수하는 냉매 회수 장치로서, 냉매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관로와, 이 관로의 선단에 설치한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와,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구비하고, 냉매 회로에 상기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를 부착하여 냉매 회로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여 냉매를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착·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상기 냉매 회수 본체가 흡착 가능한 냉매의 종류에 따라서 색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다른 냉매를 각각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각각 다른 냉매 회수 본체에 수용한 두 개 이상의 냉매 회수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다른 냉매를 각각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복수의 고체 흡착제를 하나의 냉매 회수 본체에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상기 고체 흡착제가 분말형, 입자형, 섬유형 혹은 성형한 형상의 활성탄, 가스 흡착 수지, 점토, 활성 알루미나, 분자 체, 보온 차콜, 백토, 실리카 겔 또는 이들 두가지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상기 냉매 회수 본체가 공냉 및/또는 수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동 장치는 상기 어느 한 부분에 기재된 냉매 회수 장치를 미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는 또한 냉매를 흡착한 상기 냉매 회수 본체 혹은 냉매 회수 장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상기 냉매 회수 본체에 일단부를 연결하여 탈착한 냉매를 배출하는 관로와, 이 관로의 도중에 설치된 냉각 장치와, 상기 관로의 타단부에 연결된 냉매 수용 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의 재생 방법은 냉매를 흡착한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500 ℃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흡착된 냉매를 탈착한 후 탈착한 냉매를 냉각하여 액화하고, 액화한 냉매를 냉매 수용 용기에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동 장치는 냉매 회로에 접속한 관로와, 이 관로에 설치한 개폐 밸브와, 상기 관로에 접속되는 동시에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갖춘 냉매 회수 장치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냉동 장치내 및/또는 상기 냉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 등의 공간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냉매 회로로부터 누설된 냉매를 검지한 경우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매 회로와 상기 냉매 회수 장치를 연통시켜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동 장치는 또한 냉매가 암모니아, 프로판, 부탄 등의 탄화 수소류 등의 자연 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냉매가 지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의 냉동 장치는 경보 램프 및/또는 경보 버저를 갖추고, 상기 센서가 냉매 회로로부터 누설된 냉매를 검지한 경우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경보 램프 및/또는 경보 버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밀폐 용기내에 고체 흡착제를 수납하는 동시에 이 밀폐 용기 내부를 진공 흡인된 상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상기 밀폐 용기가 선단에 체결 구멍 형성 기능 을 구비한 밸브가 설치된 관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매 회수 방법은 밀폐 용기내에 고체 흡착제를 수납하는 동시에, 이 밀폐 용기 내부를 진공 흡인된 상태로 한 냉매 회수 장치를 냉매 회로에 접속하여 이 냉매 회로의 냉매를 흡착하여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냉매 회로에 접속한 관로와, 상기 관로에 접속되어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흡착·탈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와, 고체 흡착제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관로에는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 회로내의 냉매는 불화 탄화 수소계 냉매 및/또는 탄화 수소계 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또 상기 냉매 회로내의 냉매는 혼합 냉매이고, 상기 고체 흡착제는 혼합 냉매 중 소정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체 흡착제는 초미립자를 코팅 등에 의해 퇴적시켜 선택 흡착성을 부여함으로써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냉매 회로내의 압축기의 토출 냉매의 열을 이용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냉매 회로내의 증발기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 센서가 상기 증발기의 냉동 능력 부족을 검지한 경우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로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전체량을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은 냉매를 흡착·탈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냉매 회로에 접속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흡착·탈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와 냉매 회로 사이에 개폐 밸브를 설치하고, 이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매의 일부를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냉매를 흡착한 고체 흡착제를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냉매를 탈착하여 냉매를 냉매 회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또 상기 냉매는 혼합 냉매이고, 그 중 적어도 한 종류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냉매는 가연성 냉매와 불연성 냉매로 이루어진 혼합 냉매로서, 상기 가연성 냉매를 상기 고체 흡착제에 선택적으로 흡착시켜 이 혼합 냉매를 불연성 영역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R23, R116 및 R508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용기내에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냉매 회로에 접속하여 냉매를 회수하는 것으로서, 냉매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관로와, 이 관로에 설치한 개폐 밸브와, R23, R116 및 R508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구비하고, 냉매 회로에 상기 관로를 접속하여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매를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냉장고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시킨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매 회로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매 회로에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4는 도1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매 회로에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매 회로에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6은 도1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매 회로에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7은 활성탄의 냉매 흡착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실험 장치의 단면 설명도이고, 도8은 밀폐 용기의 내부 용적을 약 100ml 내지 1000ml까지 변경시키고(횡축), (활성탄/냉매) 중량 비율을 0.75, 1, 2 및 3으로 변경했을 때의 밀폐 용기내의 기상부의 압력(바아)을 종축에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9는 밀폐 용기의 내부 용적을 약 100ml 내지 1000ml까지 변경시키고(횡축), (활성탄/냉매) 중량 비율을 0.75, 1, 2 및 3으로 변경했을 때의 활성탄의 흡착량(g/g)(종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10은 밀폐 용기의 내부 용적을 약 100ml 내지 1000ml까지 변경시키고(횡축), (활성탄/냉매) 중량 비율을 0.75, 1, 2 및 3으로 변경했을 때의 밀폐 용기의 기상부에 흡착되지 않고 잔류한 냉매의 비율(%)(종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1은 밀폐 용기의 내부 용적을 100 ml로 하고, (활성탄/냉매) 중량 비율을 0.75, 1, 2 및 3으로 변경했을 때(횡축)의 밀폐 용기내의 기상부의 압력(바아), 활성탄의 흡착량(g/g), 밀폐 용기의 기상부에 흡착되지 않고 잔류한 냉매의 비율(%)을 각각 종축에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2는 냉장고의 냉매 회로에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13a는 도12에 도시한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의 일 구체예인 튜브 패싱 밸브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13b는 이 튜브 패싱 밸브를 관로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설명도이고, 도14는 도12에 도시한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의 다른 예인 피어스 핀치 튜브 패싱 밸브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 냉동 장치로서의 냉장고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8은 다른 하나의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 냉장고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19는 도18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매 회로에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20은 냉매 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1은 냉매를 회수한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공지의 냉매 회수기에 연 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 냉동 장치의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 냉동 장치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24는 도23에 도시한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에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25는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양을 제어하는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26은 종래의 냉매 회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27은 도26에 도시한 냉매 회수 주머니를 공지의 냉매 회수기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은 냉장고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시킨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매 회로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압축기(2)를 탑재한 냉장고이다. 압축기(2)에는 응축기(3), 모세관(4) 및 증발기(5)가 차례로 접속되어 냉매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냉매 회로내의 압축기(2)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6A)가 연결되어 있다. 냉매 회수 장치(6A)는 냉매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관로(7)와, 이 관로(7)에 설치한 개폐 밸브(8)와,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매 회로의 압축기(2)에 냉매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파이프(11)의 끝에 관로(7)의 일단부가 연 결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는 압력계이다.
냉매 회수 장치(6A)는 구성이 간단하고, 소형이고 휴대 가능하며, 용이하게 운반 또는 설치하거나 할 수 있고, 취급과 조작이 간단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냉장고(1)의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예를 들어, 상기 프레온계 냉매, 탄화 수소류나 헬륨, 암모니아, 공기 등)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는 상기 개폐 밸브(8)를 개방하면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냉매는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되므로, 실질적으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를 냉매 회수 본체(10) 내로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체 흡착제(9)는 냉매 회로내에 존재하는 냉매에 따라서 그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매 회로내에 존재하는 냉매가 프레온계 냉매이면, 이 프레온계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 성능을 가진 고체 흡착제를 사용하고, 냉매 회로내에 존재하는 냉매가 탄화 수소류나 헬륨, 암모니아, 공기 등이면 각각의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 성능을 가진 고체 흡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는 고체 흡착제의 종류, 작은 구멍의 크기, 극성 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분말형, 입자형, 섬유형 혹은 성형한 형상의 활성탄, 가스 흡착 수지, 점토, 활성 알루미나, 분자 체, 보온 차콜, 백토, 실리카 겔 또는 이들 두가지 이상의 혼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중에서도 활성탄은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분말 활성탄이든 입상 활성탄이든 상관없으며, 야자나무 껍질, 석탄, 석유계 피치, 오일 카아본 등의 탄소질 재료를 원료로 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탄 중에서도 미분말 활성탄은 냉매의 흡착성이 우수한 등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분말 입자형 활성탄의 BET법에 의한 비표면적은 400 ㎡/g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 ㎡/g 이상이다.
프레온계 냉매이더라도 예를 들어 R23은 분자량 70, 비점 -82 ℃이고, R116 은 분자량 138, 비점 -78 ℃로 물성이 다르므로, 예를 들어 고체 흡착제로서 활성탄을 사용하는 경우, R23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활성탄의 작은 구멍의 직경은 작은 것을 선택하고, R116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활성탄의 작은 구멍의 직경은 큰 것을 선택한다.
또, R23을 61 %, R116을 39 % 함유하는 혼합 냉매 R-508을 흡착·회수하는 경우는 R-508을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활성탄으로서 상기 작은 구멍의 직경이 작은 활성탄과 상기 작은 구멍의 직경이 큰 활성탄의 소정 비율의 혼합물을 냉매 회수 본체(10) 내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세가지, 즉 A냉매, B냉매 및 C냉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혼합 냉매를 흡착·회수하는 경우는 A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A)를 냉매 회수 본체(10A)에 수용하고, B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B)를 냉매 회수 본체(10B)에 수용하고, C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C)를 냉매 회수 본체(10C)에 수용하고, 냉매 회수 본체 10A, 10B 및 10C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A냉매를 고체 흡착제(9A) 로, B냉매를 고체 흡착제(9B)로, C냉매를 고체 흡착제(9C)로 흡착하도록 하여 A냉매, B냉매 및 C냉매로 이루어진 혼합 냉매를 흡착·회수할 수 있다.
냉매 회수 본체 10A, 10B, 10C를 각각 색 구분해 두면, 그 색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냉매의 종류를 알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혼합 냉매를 흡착·회수할 때 조합하여 사용하는 냉매 회수 본체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
또, 냉매 회수 본체(이 경우는 도면 부호 10D)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하기 쉽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 회수 본체(10D)는 좌우의 단부에 플랜지부(18)를 구비하고 있고, 냉매 회수 본체(10D)를 관로(7)의 일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19)와 다른 관로(20)의 일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21) 사이에 개재시켜 볼트, 너트 등의 고정 기구(22)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도면 부호 23은 녹 등의 이물질 등을 여과하는 필터이고, 24는 다른 관로(20)에 설치한 개폐 밸브이다.
도4의 구성에 있어서, 냉장고(1)의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예를 들어, 상기 프레온계 냉매, 탄화 수소류나 헬륨, 암모니아, 공기 등)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는 개폐 밸브(24)는 폐쇄한 채로 상기 개폐 밸브(8)를 개방하면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냉매는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되므로, 실질적으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를 냉매 회수 본체(10D) 내로 회수할 수 있다.
냉매를 흡착한 냉매 회수 본체(10D) 내의 고체 흡착제(9)를 교환하거나 혹은 소각, 폐기하거나 혹은 재생하거나 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는 고정 기구(22)를 분리하여 냉매 회수 본체(10D)를 냉매 회수 장치(6C)로부터 취출하고, 취출한 냉매 회 수 본체(10D)로부터 필터(23)를 제거하면 고체 흡착제(9)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새로운 고체 흡착제(9) 혹은 재생한 고체 흡착제(9)를 냉매 회수 본체(10D) 내에 수용하여 상기 반대 순서로 용이하게 냉매 회수 장치(6C)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냉매를 고체 흡착제(9)에 흡착시킬 때는 발열한다. 그래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 회수 본체(이 경우는 도면 부호 10E)를 공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냉매 회수 본체(10E)는 그 외주에 대략 평행하게 다수의 얇은 휜(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조)(25)이 대략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외는 도4에 도시한 냉매 회수 본체(10D)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냉장고(1)의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예를 들어 상기 프레온계 냉매, 탄화 수소류나 헬륨, 암모니아, 공기 등)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는 개폐 밸브(24)는 폐쇄한 채로 상기 개폐 밸브(8)를 개방하면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냉매는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되어 발열하는데, 공냉에 통상 이용되는 송풍 팬 등을 사용하여 휜(25)이 배치된 냉매 회수 본체(10E)를 효율좋게 냉각하면 실질적으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를 냉매 회수 본체(10E) 내로 효율좋게 회수할 수 있다.
한편,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 회수 본체(이 경우는 도면 부호 10F)를 수냉할 수 있게 해도 좋다. 이 경우의 냉매 회수 본체(10F)는 그 외주에 냉각관(26)이 권취되어 있는 이외는 도4에 도시한 냉매 회수 본체(10D)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냉장고(1)의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는 개폐 밸브(24)는 폐쇄한 채로 상기 개폐 밸브(8)를 개방하면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냉매는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되어 발열하는데,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를 냉각관(26) 내로 흘려보냄으로써 냉매 회수 본체(10F)를 효율좋게 냉각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를 냉매 회수 본체(10F) 내로 효율좋게 회수할 수 있다.
또, 도4에 도시한 냉매 회수 본체(10D)를 수냉하기 위해 냉매를 고체 흡착제(9)에 흡착·회수중, 냉매 회수 본체(10D)의 전체 혹은 일부를 냉각용 수조 속에 침지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또한 상기 공냉과 수냉을 조합하여 냉각할 수도 있다.
도7은 활성탄의 냉매 흡착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실험 장치의 단면 설명도이다. 이 실험 장치(13)는 압력계(14), 냉매와 활성탄의 출입구(15)를 갖춘 내부 용적을 약 100ml 내지 1000ml까지 변경시킬 수 있는 밀폐 용기(1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온에 있어서 출입구(15)로부터 냉매와 활성탄을 소정의 중량 비율(활성탄/냉매=0.75, 1, 2 및 3)로 밀폐 용기(16) 내에 수용하여 활성탄의 냉매 흡착 성능을 시험했다. 냉매는 R134a를 사용했다.
도8은 밀폐 용기(16)의 내부 용적을 약 100ml 내지 1000ml까지 변경시키고(횡축), (활성탄/냉매) 중량 비율을 0.75, 1, 2 및 3으로 변경시켰을 때의 밀폐 용 기(16) 내의 기상부의 압력(바아)을 종축에 나타낸 그래프이다. 냉매 회로의 체적이 내부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것이다.
도9는 밀폐 용기(16)의 내부 용적을 약 100ml 내지 1000ml까지 변경시키고(횡축), (활성탄/냉매) 중량 비율을 0.75, 1, 2 및 3으로 변경시켰을 때의 활성탄의 흡착량(g/g)(종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활성탄/냉매) 중량 비율이 0.75인 경우, 밀폐 용기(16)의 내부 용적이 커지면 활성탄의 흡착량이 감소한다.
도10은 밀폐 용기(16)의 내부 용적을 약 100ml 내지 1000ml까지 변경시키고(횡축), (활성탄/냉매) 중량 비율을 0.75, 1, 2 및 3으로 변경시켰을 때의 밀폐 용기(16)의 기상부에 흡착되지 않고 잔류한 냉매의 비율(%)(종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밀폐 용기(16)의 내부 용적이 커지면 잔류량이 커진다.
도11은 밀폐 용기(16)의 내부 용적을 100 ml로 하고, (활성탄/냉매) 중량 비율을 0.75, 1, 2 및 3으로 변경시켰을 때(횡축)의 밀폐 용기(16) 내의 기상부의 압력(바아), 활성탄의 흡착량(g/g), 밀폐 용기(16)의 기상부에 흡착되지 않고 잔류한 냉매의 비율(%)을 각각 종축에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8 내지 도11로부터 (활성탄/냉매) 중량 비율 1 이상으로 냉매 R134a를 효율좋게 활성탄에 흡착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12는 냉장고의 냉매 회로에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2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6F)는 냉매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관로(7)와, 이 관로(7)의 선단에 설치한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17)와,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A)를 구비하고, 압축기(2)와 응축기(3)를 연결하는 냉매 회로의 적당한 관로(30)에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17)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는 압력계이다.
도13a는 도12에 도시한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17)의 일 구체예인 튜브 패싱 밸브(17A)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13b는 이 튜브 패싱 밸브(17A)를 관로(30)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설명도이다.
튜브 패싱 밸브(17A)는 관로(30)를 상하로부터 끼워 넣어 관로(30)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반원형 고정부(31)를 갖춘 하부(34)와, 반원형 고정부(32)를 갖춘 상부(33)로 이루어지고, 반원형 고정부(31)와 반원형 고정부(32)의 표면에는 고무 패킹(31A, 32A)이 각각 라이닝되어 있다. 상부(33)와 하부(34)의 양단부에는 나비형 나사(35)가 설치되어 있고, 관로(30)를 반원형 고정부(31)와 반원형 고정부(32)에 끼워 넣은 후, 이 나비형 나사(35)를 조여서 관로(30)를 단단히 고정한다.
상부(33)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볼록부(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36)의 베어링(39) 내에, 관로(30)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선단에 니들(37)을 장착한 밸브 축(38)이 기밀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도면 부호 40은 밸브 축(38)을 하방으로 밀어넣거나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이다.
베어링(39)의 하부의 내경은 밸브 축(38)의 하부의 외경보다 크게 하고, 베어링(39)의 하부와 밸브 축(38)의 하부 사이에 공극(41)을 형성한다. 그리고, 볼록부(36)의 일측면에 냉매 회수 본체(10A)의 관로(7)를 접속하여 상기 공극(41)으 로 통하게 하고 있다.
냉장고(1)의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는 튜브 패싱 밸브(17A)를 사용하여 관로(30)를 반원형 고정부(31)와 반원형 고정부(32)에 끼워 넣고 나비형 나사(35)를 조여서 관로(30)를 단단히 고정한 후, 핸들(40)을 돌려서 밸브 축(38)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에 장착한 니들(37)의 선단이 관로(30)의 관벽을 파괴하여 작은 구멍을 형성하도록 조작한다.
이 시점에서는 아직 냉매가 작은 구멍으로부터 나오지는 않지만, 핸들(40)을 반대로 돌려서 밸브 축(38)을 상방으로 조금 이동시키면 작은 구멍과 니들(37)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으로부터 냉매가 관로(30)의 외측으로 나와 상기 공극(41)을 거쳐서 관로(7)로 유입되고, 관로(7)로 유입된 냉매는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된다.
도14는 도12에 도시한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17)의 다른 예인 피어스 핀치 튜브 패싱 밸브(17B)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피어스 핀치 튜브 패싱 밸브(17B)의 선단은 관로(30)를 상하로부터 끼워 넣어 관로(30)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반원형 고정부(42)를 갖춘 상부(44)와, 반원형 고정부(43)를 갖춘 하부(45)로 이루어지고, 반원형 고정부(42)와 반원형 고정부(43)의 표면에는 고무 패킹이 각각 라이닝되어 있다. 상부(44)와 하부(45)에는 핸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관로(30)를 반원형 고정부(42)와 반원형 고정부(43)에 끼워 넣어 관로(30)를 단단히 고정한다.
상부(44)의 반원형 고정부(42)에는 관로(30)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니들(46)이 장착되어 있다. 작은 구멍으로부터 나온 냉매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통로(47)가 니들(46), 상부(44) 및 그에 이어지는 핸들의 내부에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출구는 관로(7)에 접속되어 있다.
냉장고(1)의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는 피어스 핀치 튜브 패싱 밸브(17B)를 사용하여 관로(30)를 반원형 고정부(42)와 반원형 고정부(43)에 끼워 넣고 핸들로 조여서 관로(30)를 단단히 고정하고, 니들(46)의 선단이 관로(30)의 관벽을 파괴하여 작은 구멍을 형성하도록 조작한다.
이 시점에서는 아직 냉매가 작은 구멍으로부터 나오지는 않지만, 핸들을 반대로 조작하여 니들(46)이 상방으로 조금 이동하도록 하면 작은 구멍과 니들(46)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으로부터 냉매가 관로(30)의 외측으로 나와 상기 통로(47)를 거쳐서 관로(7)로 유입되고, 관로(7)로 유입된 냉매는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된다.
도13a 및 도13b와 도14에 도시한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는 시판되고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관로(30)의 파이프 직경 1/2 인치, 3/8 인치 등에 따른 적당한 크기의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의 구체예로서는 일본에서는 후지 고끼 가부시끼가이샤가 만든 것, 튜브 패싱 밸브의 구체예로서는 ROBINAIR 가부시끼가이샤가 만든 형번 EA401A, 피어스 핀치 튜브 패싱 밸브의 구체예로서는 REFCO 가부시끼가이샤가 만든 형번 14210 스탠더드 등을 들 수 있다. 튜브 패싱 밸브(17A)와 피어스 핀치 튜브 패싱 밸브(17B)를 이용하면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개폐 밸브(8)가 불필요해지므로, 냉매 회수 장치의 구조를 한층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 냉동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 부호 1A는 압축기(2)를 탑재한 냉장고이고, 이 냉장고(1A)의 압축기(2)에 냉매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파이프(11)의 끝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6)가 연결되어 있다. 냉매 회수 장치(6)는 냉매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관로(7)와, 이 관로(7)에 설치한 개폐 밸브(8)와,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도시하지 않은 고체 흡착제(9)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냉장고(1A)는 냉매 회수 장치(6)가 미리 연결되어 있으므로, 냉장고(1A)의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라도 상기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가져갈 필요가 없고, 미리 설치되어 있는 개폐 밸브(8)를 개방하면 상기와 같이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되므로, 실질적으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를 냉매 회수 본체(10) 내로 효율좋게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 회수 본체(10)를 분리하여 회수하면, 냉장고(1A)의 냉매의 회수가 종료된다.
이 경우, 실수로 개폐 밸브(8)를 개방하면 냉매가 도시하지 않은 고체 흡착제(9)에 전부 흡착·회수되어 버리므로,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스톱퍼를 분리하지 않으면 개방되지 않도록 개폐 밸브(8)에 스톱퍼를 설치하거나, 그 뜻을 기재한 태그를 개폐 밸브(8)에 부착하거나, 고장 방지 및 비상 안전 기구를 설치하거나 하 여 사람에 의한 과실이나 기계적, 전기적 에러 등에 의해 개폐 밸브(8)의 개폐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6에 있어서,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51)는 세로 형태의 예이며,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예를 들어 분말 입자형 활성탄)를 용기(52) 내에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5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체 흡착제(9)는 통기성 부직포로 만든 주머니(54)에 쌓여져 보유 지지되어 있다. 도16의 원(A)에 통기성 부직포로 만든 주머니(54) 등의 일부를 확대하여 설명한다. 통기성 부직포로 만든 주머니(54)의 구멍(54A)의 개구부(d)를 공기, 냉매 등은 통과하지만 고체 흡착제(9)는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 크기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부직포로 만든 주머니(54) 속에 쌓여진 고체 흡착제(9)는 부직포로 만든 주머니(54)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고체 흡착제(9)를 부직포로 만든 주머니(54) 내에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용기(52)는 상부의 덮개(52A)와 본체(52B)로 구성되어 있고, 덮개(52A)와 본체(52B)는 접속 기구(55)로 밀폐하여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 기구(55)를 부착 또는 분리함으로써 덮개(52A)는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52A)를 개방하면 고체 흡착제(9)를 포장한 부직포로 만든 주머니(54)를 용기(52)로부터 교환 등의 목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6은 덮개(52A)의 중앙부에 접속한 밸브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7에 있어서,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51A)는 가로 형태의 예이며,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예를 들어 분말 입자형 활성탄)를 용기(62) 내에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53A)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62)는 좌우의 단부에 플랜지부(57)를 구비하고 있고, 플랜지부(58)와 다른 플랜지부(59)를 볼트 등의 고정 기구(60)로 고정하고 있다. 도면 부호 61은 필터이고, 56은 밸브이다. 냉매 회수 본체(53A) 내에 수용된 고체 흡착제(9)는 필터(61)에 의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보유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통기성 부직포로 만든 주머니나 필터는 고체 흡착제가 외부(냉매 회로)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 것이고, 고체 흡착제의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는 철망 등이라도 좋다. 또, 고체 흡착제를 고형화, 블록화하면 불필요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51, 51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매 회로에 접속하여 냉매를 회수하는 목적을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이 이외에 냉매를 수용한 봄베나 탱크, 우레탄 폼 등의 발포제(냉매와 같은 프레온 등이 발포제로서 사용되고 있음)를 회수하는 장치 등에 연결하여 냉매와 발포제를 회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냉매 회수 장치를 냉장고에 연결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19는 도18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매 회로에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8 및 도19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압축기(2)를 탑재한 냉장고이다. 압축기(2)에는 응축기(3), 모세관(4) 및 증발기(5)가 차례로 접속되어 냉동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냉매 회로내의 압축기(2)에 냉매 회수 장치(6)가 연결되어 있다. 냉매 회수 장치(6)는 냉매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관로(7)와, 이 관로(7)에 설치한 개폐 밸브(8)와,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매 회로의 압축기(2)에 냉매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파이프(11)의 끝에 관로(7)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는 압력계, 73은 냉매 회수 본체(10)의 타단부측에 접속한 관로, 74는 관로(73)에 설치한 개폐 밸브이다.
이 경우의 냉매 회수 장치(6)도 구성이 간단하고, 소형이고 휴대 가능하며, 용이하게 운반 또는 설치하거나 할 수 있고, 취급과 조작이 간단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냉장고(1)의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예를 들어 상기 프레온계 냉매, 탄화 수소류나 헬륨, 암모니아, 공기 등)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는 개폐 밸브(74)는 폐쇄한 채로 상기 개폐 밸브(8)를 개방하면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냉매는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되므로, 실질적으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를 냉매 회수 본체(10) 내로 회수할 수 있다.
도20은 이 경우의 냉매 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20에 있어서, 도면 부호 75는 전열 히터(h)를 갖춘 가열 장치이고, 냉매를 흡착한 고체 흡착제(9)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가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냉매 회수 본체(10)의 관로(7)의 단부는 폐색되고, 냉매 회수 본체(10)의 관로(73)가 가열 장치(75)의 외부까지 연장되고, 그 단부에 탈착한 냉매를 배출하 는 관로(76)가 연결되어 있다. 도면 부호 73A는 양자를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이 관로(76)의 도중에는 탈착한 냉매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77)가 설치되어 있고, 이 냉각 장치(77)를 거친 관로(76)의 단부는 냉매 수용 용기(78)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 부호 79는 개폐 밸브이다. 냉각 장치(77) 내에는 압축기(80), 코일형 증발기(81) 등으로 구성된 냉동 장치가 수납되어 있고, 이 코일형 증발기(81)는 냉각 장치(77) 내의 관로(76)에 권취되어 있고, 관로(76) 내의 냉매를 냉각하게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6)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 냉매를 흡착한 고체 흡착제(9)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를 가열 장치(75) 내에서 예를 들어 500 ℃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 흡착된 냉매는 탈착되어 관로(73)를 거쳐서 냉각 장치(77) 내의 관로(76)로 유입되어 냉각되어 액화된다. 액화된 냉매는 냉매 수용 용기(78)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냉매를 탈착하여 재생한 고체 흡착제(9)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는 냉각된 후 냉매 회수 장치(6)에 장착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당연한 일이지만, 냉매를 흡착한 고체 흡착제(9)를 냉매 회수 본체(10)로부터 취출하여 도시하지 않은 다른 밀폐 용기에 수용하여 가열 장치(75) 혹은 다른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냉매를 탈착하여 고체 흡착제(9)를 재생한 후, 재생한 고체 흡착제(9)를 냉매 회수 본체(10)에 재충전한 후, 이 냉매 회수 본체(10)를 냉매 회수 장치(6)에 장착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21은 냉매를 회수한 도16의 냉매 회수 장치(51)를 공지의 냉매 회 수기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 경우, 냉매 회수 장치(51)의 밀폐 용기(53) 내에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회수한 후(밀폐 용기(53) 내의 분말 입자형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고체 흡착제(9)에 그 최대 냉매 흡착량 혹은 그 이상의 양의 냉매를 흡착 등을 시켜서 회수한 경우, 혹은 고체 흡착제(9)에 그 최대 냉매 흡착량 이하의 냉매를 흡착시켜서 회수한 경우 등을 포함함), 냉매 회수 장치(51) 및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17)를 분리하고,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펌프(89), 봄베(90) 등을 구비한 공지의 냉매 회수기(91)의 진공 펌프(89)에 냉매 회수 장치(51)의 관로(7)의 일단부를 접속하고, 진공 펌프(89)를 작동하여 밀폐 용기(53) 내로 회수된 냉매를 흡인하여 고체 흡착제(9)로 흡착한 냉매를 탈착하고, 액화하여 봄베(90)에 수용하여 회수한다.
이 때, 도시하지 않은 가열 수단에 의해 냉매 회수 장치(51)의 고체 흡착제(분말 입자형 활성탄)(9)를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냉매를 탈착되기 쉽게 하여 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냉매를 봄베(90)에 회수한 후, 냉매 회수 장치(51)의 밀폐 용기(53)의 내부는 진공 흡인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그대로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면 이 냉매 회수 장치(51)를 다음 냉매 회수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도26 및 도27은 종래의 냉매 회수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209는 냉매 회수 주머니(206)에 관로(7)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기구이고, 210은 개폐 밸브이다.
그리고,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회수하는 경우 압축기(2)에 냉매 회수 주머니(206)를 연결하고 개폐 밸브(210)를 개방하면, 냉매는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냉매 회수 주머니(206) 내로 유입되고, 실질적으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를 냉매 회수 주머니(206) 내로 회수한다. 냉매 회수 주머니(206) 내로 냉매를 회수한 후, 냉매 회수 주머니(206)를 분리하여 진공 펌프, 봄베 등을 구비한 후술하는 공지의 냉매 회수기에 이 냉매 회수 주머니(206)를 접속하고, 상기 냉매 회수기의 진공 펌프를 작동하여 냉매를 흡인하여 냉매 회수 주머니(206)의 외측으로 배출하고, 그것을 액화하여 봄베에 수용하여 회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냉매 회수 주머니(206) 내에 냉매를 수용하면 크게 팽창하여 용적이 커져서 취급하기 곤란해지는 결점이 있고, 또한 반복하여 냉매 회수 주머니(206)를 사용하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 수명이 다 된 가정용 냉장고 등을 냉매 회수기가 있는 장소에 다수 수집하여 처리하는 경우는 좋지만, 냉동 장치가 먼 지역에 있는 경우나 산업용 냉동 기기, 특히 의료 기기와 같은 특수 냉매를 밀봉한 기기에서는 수집 자체에 곤란이 따르는 동시에 크고 무거운 냉매 회수기를 멀리까지 운반하는 일은 힘들고, 또 크게 팽창하여 용적이 커진 냉매 회수 주머니(206)를 냉매 회수기가 있는 장소까지 가져가는 일도 힘들고 시간이 걸리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는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다음에,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냉동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 그 이외는 도2와 동일하다. 도22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압축기(2)를 탑재한 냉장고이다. 압축기(2)에는 응축기(3), 모세관(4) 및 증발기(5)가 차례로 접속되어 냉매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냉장고(1)의 압축기(2)에 냉매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파이프(11)의 끝에 냉매 회수 장치(6)의 관로(7)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는 압력계이고, 83은 경보 램프이다.
냉매 회수 장치(6)는 냉매 회로에 일단부가 접속된 관로(7)와, 이 관로(7)에 설치한 개폐 밸브(전자 밸브)(8)와,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냉장고(1)의 저장실 내 및/또는 냉장고(1)가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실내 등의 공간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냉매 회로로부터의 냉매의 누설을 검지하고, 이 센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 신호를 보내어 검지한 누설량, 누설 지속 시간, 누설 패턴 등이 미리 결정된 기준값 등을 초과한 경우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개폐 밸브(8)로 보내어 개폐 밸브(8)를 개방하는 동시에 경보 램프(83)를 점등하여 도시하지 않은 경보 버저를 작동시킨다.
개폐 밸브(8)가 개방되면 냉장고(1)의 냉매 회로내의 냉매(상기 프레온계 냉매, 탄화 수소류나 헬륨, 암모니아, 공기 등)는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도2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실질적으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가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되어 냉매 회수 본체(10) 내로 회수된다.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된 냉매는 불가역적으로 흡착되어 있어 자연적으로 탈착되지 않으므로, 누설에 의한 오존층의 파괴, 지구 온난화, 냉동 능력의 저하 등 이외에 악취, 폭발, 화재, 인체에의 악영향 등의 각종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냉매 회로로부터의 냉매의 누설을 검지한 경우, 개폐 밸브(8)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예를 제시했지만, 경보 램프(83)가 점등되었을 때 혹은 도시하지 않은 경보 버저가 없을 때, 수동으로 개폐 밸브(8)를 개방하도록 해도 좋다.
냉장고(1)의 냉매 회로내의 냉매에 착색 물질, 마킹 물질, 냄새를 발생하는 물질 등 지표가 되는 물질을 함유시켜 두면, 누설된 냉매가 냉장고(1)에 기인하는 것인지 혹은 다른 것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구별하여 센서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23은 또 하나의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장착한 냉동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24는 도23에 도시한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에 이 경우의 냉매 회수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 각 도면중 전술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이다.
즉, 도23 및 도24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압축기(2)를 탑재한 냉장고이다. 압축기(2)에는 응축기(3), 모세관(4) 및 증발기(5)가 차례로 접속되어 냉매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냉장고(1)의 압축기(2)에 냉매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파이프(11)의 끝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냉매의 제어 장치(6)의 관로(7)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는 압력계이다.
이 경우의 냉매 회수 장치(6)는 냉매 회로에 일단부가 접속된 관로(7)와, 이 관로(7)에 설치한 개폐 밸브(8)와,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와, 고체 흡착제(9)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9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경우의 냉매 회수 장치(6)를 사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양을 제어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어 냉장고(1)의 저장실 내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냉매 회로로부터의 냉매의 누설을 검지하고, 이 센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 신호를 보내어 검지한 누설량, 누설 지속 시간, 누설 패턴 등이 미리 결정된 기준값 등을 초과한 경우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개폐 밸브(8)로 보내어 개폐 밸브(8)를 개방한다.
개폐 밸브(8)가 개방되면 냉장고(1)의 냉매 회로내의 냉매(상기 HCFC계 냉매, HFC계 냉매, FC계 냉매, 탄화 수소계 냉매 및 이들 냉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냉매로 이루어진 혼합 냉매나 헬륨, 암모니아 등의 냉매)는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도24의 화살표(A)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실질적으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가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되어 냉매 회수 본체(10) 내로 회수된다.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된 냉매는 자연적으로 탈착되지 않으므로, 누설에 의한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센서를 설치하여 냉매의 누설을 검지하는 다른 예로서 냉매 회로내의 증발기(5)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이 온도 센서가 증발기(5)의 냉동 능력 부족을 검지한 경우 냉매의 누설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해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밸브(8)를 개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전체량을 고체 흡착제(9)에 흡착시킨다.
그리고, 누설 부위 등을 수리하는 등의 대책이 행해져서 위험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어 안전성이 확인된 후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보내어 개폐 밸브(8)를 개방하고, 가열 수단(93)에 의해 고체 흡착제(9)를 가열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된 냉매를 탈착하고, 도24의 화살표(B)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출시켜서 냉매 회로내로 복귀시켜 냉매를 재사용한다. 물론, 개폐 밸브(8)의 개폐 등은 수동으로 행하여도 좋다.
도25는 이 경우의 냉매 회수 장치(6)를 사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양을 제어하는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열 수단(93)은 고체 흡착제(9)를 가열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된 냉매를 탈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열원을 이용하는 가열 수단이라도 좋고, 또 냉매 회수 본체(10)의 외부로부터 고체 흡착제(9)를 가열하는 것이든 혹은 냉매 회수 본체(10)의 내부로부터 고체 흡착제(9)를 가열하는 것이든 상관없으며, 형식, 형상, 용량 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수단(93)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전열 히터를 사용하는 것,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는 것, 상기 냉매 회로의 압축기(2)의 토출 냉매의 열을 이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체 흡착제(9)는 냉매 회로내에 존재하는 냉매에 따라서 그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것이지만, 고체 흡착제에 선택 흡착성을 부여하는 다른 예로서 활성탄 등의 고체 흡착제의 표면에 초미립자를 코팅 등에 의해 퇴적시키는 예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초미립자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반도체 분야에서 박막 증착법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나노미터급이나 옹스트롬급 직경의 Ti, Ni, Al 등의 금속계 초미립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체 흡착제로서 활성탄 등의 고체 흡착제의 표면에 이와 같은 초미립자를 코팅 등에 의해 퇴적시켜 선택 흡착성을 부여한 인공 고체 흡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냉매 회로내의 냉매가 탄화 수소 등의 가연성 냉매와 HFC계 냉매 등의 불연성 냉매로 이루어진 혼합 냉매인 경우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양을 제어하는 다른 예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이 가연성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만을 냉매 회수 본체(10)에 수용해 두고, 냉장고(1)의 운전중에 혼합 냉매가 상기와 같이 누설된 것이 센서 등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는 상기와 같이 개폐 밸브(8)를 개방하여 혼합 냉매속의 가연성 냉매만을 고체 흡착제(9)에 흡착시키고, 그리고 가연성 냉매의 소정량이 흡착되어 냉매 회로내에 잔존하는 혼합 냉매속의 가연성 냉매의 혼합비가 적어져서 냉매 회로내에 잔존하는 혼합 냉매가 불연성 영역으로 된 시점에서 개폐 밸브(8)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운전을 계속 행할 수 있는 데다가, 개폐 밸브(8)를 폐쇄하여 냉장고(1)의 운전을 계속 행하여도 냉매 회로내에 잔존하는 혼합 냉매는 불연성이므로 안전성이 유지된다. 그리고, 수리 등이 완료되어 안전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보내거나 혹은 수동으로 개폐 밸브(8)를 개방하여 가열 수단(93)에 의해 고체 흡착제(9)를 가열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된 가연성 냉매를 탈착하여 냉매 회로내로 복귀시켜 사용한다.
냉매 회로내의 냉매가 이중 HFC계 냉매의 혼합 냉매인 경우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6)를 사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양을 제어하는 다른 예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냉매 회로내의 냉매가 R-125와 R-32로 이루어진 R-410이나 R-407 등의 혼합 냉매인 경우, 운전 급상승시는 R-410이나 R-407 등의 혼합 냉매에 의해 급상승되고, 운전이 정상 운전으로 진입한 단계에서 R-125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9)만을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10)에 혼합 냉매속의 R-125의 소정량을 흡착시키고 R-32의 혼합비를 높여서 운전한다.
R-32의 혼합비를 높인 냉매를 사용하여 운전함으로써 R-410이나 R-407 등의 혼합 냉매를 사용하여 운전한 경우에 비해 냉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운전 정지시 혹은 운전 급상승 전에 가열 수단(93)에 의해 고체 흡착제(9)를 가열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된 R-125를 탈착하여 냉매 회로내로 복귀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6)를 사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양을 제어하는 다른 예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6)의 개폐 밸브(8)를 개방한 상태이며, 또한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일부를 고체 흡착제(9)에 흡착시킨 상태에서 냉장고(1)의 운전을 시동하고, 시동후 가열 수단(93)에 의해 고체 흡착제(9)를 가열하여 고체 흡착제(9)에 흡착된 냉매를 탈착하여 냉매 회로내로 복귀시키고, 그리고 개폐 밸브(8)를 폐쇄하여 운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압축기(2)의 시동시의 부하를 경감 할 수 있으므로, 용량이 작은 모터를 장착한 압축기(2)를 사용해도 용량이 큰 모터를 장착한 압축기(2)를 사용한 경우와 대략 동일한 냉동 효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의 경감, 소형화, 정음화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냉매 회수 장치(6)를 냉매 회로에 직렬로 접속해도 좋다. 운전 정지중에는 냉매 회수 장치(6) 내에 일부 흡착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시동해도 부하가 경감된다. 시동후에 냉매 회수 장치(6)를 가열해 주면, 흡착되어 있던 냉매가 탈착되어 소정의 냉매 압력으로 운전할 수 있다.
이 때, 압축기(2)의 토출 냉매의 열을 이용하여 냉매 회수 장치(6)를 가열하도록 하여 사용하면 특별히 다른 열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또한 냉매 회로가 정상 상태가 되면 자연적으로 가열되게 되므로, 특별한 제어 회로 등도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 회수 장치의 관로의 선단에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를 설치했으므로, 예를 들어 냉장고의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상기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를 조작하여 냉매 회로의 적당한 부위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면,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냉매를 상기 고체 흡착제에 용이하게 흡착하여 저비용으로 회수할 수 있다. 이로써 개폐 밸브가 불필요해지므로, 냉매 회수 장치의 구조를 현저하게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의 냉매 회수 본체를 냉매의 종류에 따라서 색 구분해 두면, 그 색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냉매의 종류를 알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혼합 냉매를 흡착하여 회수할 때 조합하여 사용하는 냉매 회수 본체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
또, 다른 냉매를 각각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각각 다른 냉매 회수 본체에 수용한 두 개 이상의 냉매 회수 본체를 갖춘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사용하면, 냉매 회로내의 냉매가 다른 냉매의 혼합물이더라도 각각의 냉매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냉매를 각각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복수의 고체 흡착제를 하나의 냉매 회수 본체에 수용한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사용하면, 냉매 회로내의 냉매가 다른 냉매의 혼합물이더라도 한데 모아서 냉매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 고체 흡착제는 분말형, 입자형, 섬유형 혹은 성형한 형상의 활성탄, 가스 흡착 수지, 점토, 활성 알루미나, 분자 체, 보온 차콜, 백토, 실리카 겔 또는 이들 두가지 이상의 혼합물 등이므로, 안전성, 취급성, 냉매 흡착 성능 등이 우수하고, 입수도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또, 냉매의 흡착·회수시에는 발열을 수반하는데, 공냉 및/또는 수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사용하면 냉매의 흡착·회수시에 냉각하여 효율좋게 냉매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미리 갖춘 냉동 장치는 수명이 다 된 등의 이유 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회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라도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가져갈 필요가 없고, 설치되어 있는 개폐 밸브를 개방하거나 혹은 피어스 핀치 튜브 패싱 밸브를 조작하여 냉매 회로의 적당한 부위에 작은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흡인용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를 냉매 회수 본체내로 효율좋게 회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 냉동 장치는 냉동 장치내 및/또는 냉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 등의 공간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냉매 회로로부터 누설된 냉매를 검지한 경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매 회로와 상기 냉매 회수 장치를 연통시키고,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수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냉매가 누설되어 오존층 파괴, 지구 온난화, 냉동 능력의 저하 등, 악취, 폭발, 화재, 인체에의 악영향 등을 일으키기 전에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냉매가 프로판, 부탄, 펜탄 등의 가연성이 있는 탄화 수소류나 암모니아 등의 자연 냉매인 경우는 누설되면 위험이 크지만, 센서가 냉매 회로로부터 냉매의 누설을 검지하여 이 센서로부터 제어 장치로 신호를 보내어 검지한 누설량, 누설 지속 시간, 누설 패턴 등이 미리 결정된 기준값 등을 초과한 경우는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개폐 밸브로 보내어 개폐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바로 냉매 회로내의 모든 냉매를 냉매 회수 장치로 회수하여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내의 냉매에 지표 물질을 함유시켜 두면, 누설된 냉매가 이 냉동 장치에 기인하는 것인지 혹은 다른 것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구별하여 센서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센서가 냉매 회로로부터 누설된 냉매를 검지한 경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 램프나 경보 버저를 작동시키면 위험을 빨리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구성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양, 배합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냉매 회로로부터 냉매가 누설되어 악영향을 미칠 위험이 발생한 경우, 특히 냉매가 프로판, 부탄, 펜탄 등의 가연성 탄화 수소류, 가연성 HFC계 냉매나 암모니아 등의 자연 냉매인 경우는 바로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본체에 회수하여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위험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어 안전성이 확인된 후는 본체에 회수한 냉매를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탈착하여 냉매 회로내로 복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양이나 혼합 냉매의 혼합비 등을 제어하여 시동성, 에너지 절약 효과, 냉동 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냉매 회수 장치는 팽창 탱크나 언로더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불화 탄화 수소계 냉매 및/또는 탄화 수소계 냉매 등의 혼합 냉매 중 소정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고체 흡착제를 사용하면 냉매 회로내의 혼합 냉매의 양이나 혼합비를 제어하여 안전성, 시동성, 에너지 절약 효과, 냉동 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고체 흡착제의 표면에 초미립자를 코팅 등에 의해 퇴적시켜 냉매의 선택 흡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가열 수단이 냉매 회로의 압축기의 토출 냉매의 열을 이용하는 것이면 그 열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냉매 회로내의 증발기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 센서가 상기 증발기의 냉동 능력 부족을 검지한 경우,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전체량을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키도록 하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양, 배합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 시동성, 에너지 절약 효과, 냉동 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0)

  1. 냉매 회로에 접속하여 냉매를 회수하는 냉매 회수 장치로서,
    냉매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관로와, 이 관로의 선단에 설치한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와,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구비하고, 냉매 회로에 상기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를 부착하여 냉매 회로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여 냉매를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착·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수 본체는 흡착 가능한 냉매의 종류에 따라서 색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른 냉매를 각각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각각 다른 냉매 회수 본체에 수용한 두 개 이상의 냉매 회수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른 냉매를 각각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복수의 고체 흡착제를 하나의 냉매 회수 본체에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흡착제는 분말형, 입자형, 섬유형 혹은 성형한 형상의 활성탄, 가스 흡착 수지, 점토, 활성 알루미나, 분자 체, 보온 차콜, 백토, 실리카 겔 또는 이들 두가지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수 본체는 공냉 및/또는 수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냉매 회수 장치를 미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냉매 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 냉매를 흡착한 상기 냉매 회수 본체 혹은 냉매 회수 장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상기 냉매 회수 본체에 일단부를 연결하여 탈착한 냉매를 배출하는 관로와, 이 관로의 도중에 설치된 냉각 장치와, 상기 관로의 타단부에 연결된 냉매 수용 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냉매 회수 장치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냉매를 흡착한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500 ℃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흡착된 냉매를 탈착한 후 탈착한 냉매를 냉각하여 액화하고, 액화한 냉매를 냉매 수용 용기에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의 재생 방법.
  10. 냉매 회로에 접속한 관로와, 이 관로에 설치한 개폐 밸브와, 상기 관로에 접속되는 동시에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갖춘 냉매 회수 장치를 구비한 냉동 장치로서,
    상기 냉동 장치내 및/또는 상기 냉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 등의 공간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냉매 회로로부터 누설된 냉매를 검지한 경우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매 회로와 상기 냉매 회수 장치를 연통시켜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를 구비한 냉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냉매는 암모니아, 프로판, 부탄 등의 탄화 수소류 등의 자연 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냉매는 지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램프 및/또는 경보 버저를 갖추고, 상기 센서가 냉매 회로로부터 누설된 냉매를 검지한 경우는 상기 센서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경보 램프 및/또는 경보 버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14. 삭제
  15. 밀폐 용기내에 고체 흡착제를 수납하는 동시에 이 밀폐 용기 내부를 진공 흡인된 상태로 하며, 상기 밀폐 용기는 선단에 체결 구멍 형성 기능을 구비한 밸브가 설치된 관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냉매 회로에 접속한 관로와, 상기 관로에 접속되어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흡착·탈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와, 고체 흡착제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냉매 회로내의 증발기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 센서가 상기 증발기의 냉동 능력 부족을 검지한 경우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로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전체량을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냉매를 흡착·탈착할 수 있는 고체 흡착제를 수용한 냉매 회수 본체를 냉매 회로에 접속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를 흡착·탈착하여 냉매 회로내의 냉매량을 제어하는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냉매는 혼합 냉매이고, 그 중 적어도 한 종류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키며,
    상기 냉매는 가연성 냉매와 불연성 냉매로 이루어진 혼합 냉매로서, 상기 가연성 냉매를 상기 고체 흡착제에 선택적으로 흡착시켜 이 혼합 냉매를 불연성 영역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
  29. 삭제
  30. 삭제
KR1020007001361A 1998-06-11 1999-06-11 냉매 회수 장치, 냉매 회수 방법,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냉동 장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 또는 냉매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KR100564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378998 1998-06-11
JP98-163795 1998-06-11
JP98-163790 1998-06-11
JP98-163789 1998-06-11
JP10163795A JPH11351711A (ja) 1998-06-11 1998-06-11 冷媒回収装置を備えた冷凍装置
JP10163790A JPH11347337A (ja) 1998-06-11 1998-06-11 冷媒回収装置の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10245601A JP2000074511A (ja) 1998-08-31 1998-08-31 冷凍回路中の冷媒の制御装置および冷凍回路中の冷媒の制御方法
JP10245595A JP2000070652A (ja) 1998-08-31 1998-08-31 冷媒回収装置、冷媒回収方法および冷媒回収システム
JP98-245601 1998-08-31
JP10245589A JP2000065447A (ja) 1998-06-11 1998-08-31 冷媒回収装置、冷媒回収方法および冷媒回収装置を備えた冷凍装置
JP98-245589 1998-08-31
JP98-245595 1998-08-31
PCT/JP1999/003133 WO1999064799A1 (fr) 1998-06-11 1999-06-11 Dispositif collecteur de fluide frigorigene, procede de collecte de liquide frigorigene, refrigerateur muni de ce dispositif, procede de regulation de liquide frigorigene dans un circuit de liquide frigorigene ou bien dispositif et procede de regeneration pour dispositif collecteur de liquide frigorige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761A KR20010022761A (ko) 2001-03-26
KR100564869B1 true KR100564869B1 (ko) 2006-03-28

Family

ID=2755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361A KR100564869B1 (ko) 1998-06-11 1999-06-11 냉매 회수 장치, 냉매 회수 방법,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냉동 장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 또는 냉매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49962B1 (ko)
EP (1) EP1014015A4 (ko)
KR (1) KR100564869B1 (ko)
CN (1) CN1153032C (ko)
WO (1) WO19990647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245B1 (ko) 2008-01-30 2009-10-09 케이알티(주) 냉매 회수 장치
KR101999394B1 (ko) 2018-12-06 2019-10-01 (주)범석엔지니어링 냉매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매 재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54063T3 (es) * 1999-03-31 2006-06-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arato purgador para instalar un acondicionante de aire.
JP3149871B2 (ja) * 1999-07-05 2001-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置換用気体の回収トラップ容器及び空気調和機の施工方法
US7293419B1 (en) * 2004-05-27 2007-11-13 Snap-On Incorporated Refrigerant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8297063B2 (en) * 2008-08-12 2012-10-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servicing a refrigeration system
WO2011066833A1 (en) * 2009-12-01 2011-06-09 Agramkow Fluid Systems A/S A method and equipment for servicing cooling systems in vehicles
DE102011116863A1 (de) * 2011-10-25 2013-04-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Sicherung einer Vorrichtung für einen thermodynamischen Kreisprozess und abgesicherte Vorrichtung für einen thermodynamischen Kreisprozess
CN103170213A (zh) * 2011-12-22 2013-06-26 湖南万容科技股份有限公司 废旧冰箱保温层氟里昂浓缩冷凝回收方法及设备
CN103115459A (zh) * 2013-03-04 2013-05-22 海信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自动补充冷媒装置
CN104930769B (zh) * 2015-06-04 2017-1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媒排放装置
US10178937B2 (en) * 2015-07-31 2019-01-15 Illinois Tool Works Inc. Warewasher with heat recovery system
KR101594119B1 (ko) 2015-09-25 2016-02-12 (주)범석엔지니어링 냉매회수, 정제, 공급장치 및 방법
CN106678442A (zh) * 2016-12-21 2017-05-17 佛山市顺德区鼎联智能科技有限公司 管道刺穿阀
KR101958700B1 (ko) * 2017-08-08 2019-03-15 (주)엘에스비 3d 프린터용 냉각 기능을 포함하는 베이스
JP7142686B2 (ja) * 2017-09-27 2022-09-27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Hvac&rシステムのためのエミッションキャニスタシステム
CN108120189A (zh) * 2017-11-13 2018-06-05 舒沿钦 一种吸附式制冷剂回收装置
DE102017126952A1 (de) * 2017-11-16 2019-05-16 Vaillant Gmbh Leckageerkennung mittels Adsorber
DE102018109646A1 (de) * 2018-04-23 2019-10-24 Vaillant Gmbh Fluidsorption
CN111189250B (zh) * 2018-11-15 2021-05-2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制冷设备
CN111189251B (zh) * 2018-11-15 2021-12-21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
EP3693078A1 (de) * 2019-02-06 2020-08-12 Vaillant GmbH Füllstandssensor
DE102019118977A1 (de) * 2019-02-06 2020-08-20 Vaillant Gmbh Adsorberkühlung
EP3693687B1 (de) * 2019-02-06 2024-03-06 Vaillant GmbH Adsorberkühlung
DE102019121766A1 (de) * 2019-02-06 2020-08-06 Vaillant Gmbh Füllstandssensor
DE102019118984A1 (de) * 2019-02-06 2020-10-08 Vaillant Gmbh Diffusionssperre mittels Schutzschichten
GB2586035A (en) * 2019-07-30 2021-02-03 Mexichem Fluor Sa De Cv Method
JP7157353B1 (ja) 2021-03-31 2022-10-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3932504B (zh) * 2021-12-21 2022-03-01 中国飞机强度研究所 一种飞机测试充注系统及充注方法
CN115890987B (zh) * 2022-12-19 2023-09-05 苏州可米可酷食品有限公司 一种智能柔性模具及其应用生产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855A (ja) * 1993-11-18 1995-06-02 Hitachi Bill Shisetsu Eng Kk 冷媒吸着剤の再生方法、および同再生装置
JPH09119721A (ja) * 1995-10-27 1997-05-0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108B2 (ko) * 1972-02-29 1978-02-03
IT1201525B (it) * 1982-06-29 1989-02-02 Eurodomestici Ind Riunite Perfezionamenti nei o relativi ai circuiti refrigeranti a compressore
US5071768A (en) * 1985-06-14 1991-12-10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igerant testing in a closed system
DE3740029A1 (de) * 1987-11-26 1989-06-08 Licenti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sorgung eines kaeltemittelsystems
US4996848A (en) * 1989-09-28 1991-03-0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refrigerants from home refrigeration systems
US5025633A (en) * 1990-07-31 1991-06-25 Furmanek Daniel J CFC recycling system
US5165247A (en) * 1991-02-11 1992-11-24 Rocky Research Refrigerant recycling system
US5245839A (en) * 1992-08-03 1993-09-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dsorption-type refrigerant recovery apparatus
US5275013A (en) * 1992-09-24 1994-01-04 Price Leslie D Reusable tube piercing tool for refrigerant recovery
JP3486852B2 (ja) * 1993-10-25 2004-01-1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冷媒による大気汚染の防止を集中管理する方法、および同装置
JPH07120112A (ja) * 1993-10-27 1995-05-12 Hitachi Bill Shisetsu Eng Kk 冷媒の吸着タンク、および、吸着タンクの吸着性能判定方法
US5540254A (en) * 1994-09-01 1996-07-30 Mcgowan; Willie J. Apparatus for use in servicing and installing refrigeration systems without freon leakage
GB9426194D0 (en) * 1994-12-23 1995-02-22 Halozone Technologies Inc Containment tank system
US5544492A (en) * 1995-06-05 1996-08-13 Spx Corporation Refrigerant handling system and method with air purge and multiple refrigerant capabilities
US5699678A (en) * 1996-04-17 1997-12-23 Trigiani; Phil Charging device
US5645104A (en) * 1996-10-07 1997-07-08 Baumgartner; A. C. Line evacuation device
US5915402A (en) * 1998-09-21 1999-06-29 Mitchell, Ii; William G. Refrigeration isolation valv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855A (ja) * 1993-11-18 1995-06-02 Hitachi Bill Shisetsu Eng Kk 冷媒吸着剤の再生方法、および同再生装置
JPH09119721A (ja) * 1995-10-27 1997-05-0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245B1 (ko) 2008-01-30 2009-10-09 케이알티(주) 냉매 회수 장치
KR101999394B1 (ko) 2018-12-06 2019-10-01 (주)범석엔지니어링 냉매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매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4015A4 (en) 2001-03-14
EP1014015A1 (en) 2000-06-28
WO1999064799A1 (fr) 1999-12-16
US6449962B1 (en) 2002-09-17
CN1153032C (zh) 2004-06-09
CN1272915A (zh) 2000-11-08
KR20010022761A (ko) 200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869B1 (ko) 냉매 회수 장치, 냉매 회수 방법,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냉동 장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 또는 냉매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WO2017122517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熱サイクルシステム
US9097445B2 (en) System using unutilized heat for cooling and/or power generation
JP2008537090A (ja) ヒートポンプ
CN102203526A (zh) 冷却循环装置
KR100519150B1 (ko) 냉동 사이클장치
JP4169875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5247046B2 (ja) ガソリンベーパ凝縮容器
JP2004125200A (ja) 冷媒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媒回収方法
JP3435164B2 (ja) 空知調和機
JP2000146372A (ja) 冷媒回収装置
JP2000065447A (ja) 冷媒回収装置、冷媒回収方法および冷媒回収装置を備えた冷凍装置
JP3280295B2 (ja) 分離型空気調和機の水分除去システム及び水分除去方法
JP2009257620A (ja) 冷媒回収装置
JPH10238909A (ja) 冷媒を高効率で回収する方法、および同装置、並びに吸着タンク
JP2000070652A (ja) 冷媒回収装置、冷媒回収方法および冷媒回収システム
JPH11347337A (ja) 冷媒回収装置の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H02157573A (ja) 冷媒回収装置
JPH05248735A (ja) 圧縮式冷凍機
JP2000074511A (ja) 冷凍回路中の冷媒の制御装置および冷凍回路中の冷媒の制御方法
JP3601442B2 (ja) 冷凍装置
WO2000029796A1 (en) Heat transfer device
JPH11351711A (ja) 冷媒回収装置を備えた冷凍装置
JPH074787A (ja) アキュムレータ
JPH04302967A (ja) 冷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