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245B1 - 냉매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냉매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245B1
KR100921245B1 KR1020080009804A KR20080009804A KR100921245B1 KR 100921245 B1 KR100921245 B1 KR 100921245B1 KR 1020080009804 A KR1020080009804 A KR 1020080009804A KR 20080009804 A KR20080009804 A KR 20080009804A KR 100921245 B1 KR100921245 B1 KR 10092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oling tower
refrigerants
flammable
vacuum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798A (ko
Inventor
김열환
김치헌
Original Assignee
케이알티(주)
김치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알티(주), 김치헌 filed Critical 케이알티(주)
Priority to KR102008000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2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2Collecting refrigerant from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4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with several tanks to collect or charge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2Inflammable refrige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냉매 처리 장치와 비교할 때 하나의 장치에서 여러 종류의 냉매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고, 혼합 냉매 중의 가연성 냉매를 분리 처리하여 폭발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냉매 흡입 과정에서 냉매 이 외의 기체, 예컨대 공기 등이 함께 흡입되는 경우에도 이를 분리 처리하여 최종 처리되는 냉매의 순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 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오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냉매 회수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매 회수 장치는, 흡입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냉매를 기화시키기 위한 진공 탱크; 상기 진공 탱크로부터 유입되는 기체 냉매 중 가연성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 상기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로부터 유입되는 기체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쿨링 타워; 상기 쿨링 타워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09804
냉매, 회수, 재생, 냉장고, 기화, 액화

Description

냉매 회수 장치{FACILITIES FOR EXRTACTING REFRIGERANT}
본 발명은 냉매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재활용센터에 수집되는 냉장고나 에어컨의 냉매를 회수 및 분리하여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고도의 경제화 사회로 되어가면서, 산업 폐기물이나 전자, 가전제품 폐기물도 늘어나고 있다. 이 중에서 폐기된 냉장고는 철, 비철금속, 플라스틱, 냉매 등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있는 복합폐기물로 그 처리방법이 문제이며, 냉매로서 많이 이용되는 CFC는 지구 온난화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냉장고의 재활용은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하여 재활용 설비가 이용된다.
특히, Chloro Fluoro Carbon의 약자로서 일반적으로 프레온이라 불리는 냉매 CFC는 발포제, 전자산업의 세정제 등으로서 산업체 및 생활에 크게 기여해왔다. 하지만 CFC 계인 R-12뿐만 아니라 R-22, R-134a 등은 대기중으로 확산 될 시에는 성층권에서 자외선에 의해 오존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의 양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에도 악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각종 냉매 가스를 규제하기 위한 국제 환경 협약에 따라 폐기된 냉장고나 에어컨에 포함된 냉매 를 처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한편, 이에 대한 대체 냉매인 R-600a은 친환경적이지만 인화성이 있으며, R-12, R-600a, R-134a 등은 냉장고에 많이 사용되고, R-22는 에어컨에 많이 사용된다.
냉장고 재활용 설비는 폐기처리된 냉장고를 재활용하는 설비 시스템으로, 전처리 과정에서는 파쇄, 분쇄가 불가능한 부품들을 분리해 내고, 압축기에 포함되어 있는 냉매 및 오일을 분리해낸다. 그 다음에 파쇄, 분쇄 과정에서 파쇄기와 분쇄기를 이용하여 냉장고를 잘게 부순다.
냉장고 압축기에 쓰이는 냉매는 다양한 종류이며, 이에 따라 각 냉장고별로 다양한 종류의 냉매가 사용된다. 냉장고 생산시에는, 예를 들면 색상이 다른 스티커 등으로 해당 냉장고에 포함되어 있는 냉매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기되어 있으나, 냉장고의 오랜 사용에 따른 훼손 및 기타 다른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재활용 센터로 입고되는 냉장고의 대부분은 냉장고에 포함된 냉매의 종류를 구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런데, 기존의 냉매 처리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서 여러 종류의 냉매를 동시에 처리할 수 없으므로 제품에, 예컨대 냉장고에 포함된 냉매를 구별하기 힘든 경우에는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함되는 냉매가 구별 가능한 경우에도 서로 다른 냉매의 종류에 따라 냉매 처리 장치를 따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연성 냉매가 흡입된 경우에 분리 처리할 수 없어,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냉매 흡입 과정에서 냉매 이 외의 기체, 예컨대 공기 등이 함께 흡입되는 경우에 이를 분리할 수 없어 최종 처리된 냉매의 순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매 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오일을 재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에서 여러 종류의 냉매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냉매 회수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하고자 하는 냉매의 종류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처리 가능한 냉매 회수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되는 가연성 냉매를 분리 처리하여 폭발을 예방할 수 있는 냉매 회수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 흡입 과정에서 냉매 이 외의 기체, 예컨대 공기 등이 함께 흡입되는 경우에도 이를 분리 처리하여 최종 처리되는 냉매의 순도를 높일 수 있는 냉매 회수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 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오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냉매 회수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냉매 회수 장치는, 흡입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냉매를 기화시키기 위한 진공 탱크; 상기 진공 탱크로부터 유입되는 기체 냉매 중 가연성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 상기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로부터 유입되는 기체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쿨링 타워; 상기 쿨링 타워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냉매 회수 방법은, 서로 다른 종류의 냉매를 기화시켜 흡입하는 단계; 기화된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냉매 중 가연성 냉매를 액화하여 분리하는 단계; 상기 가연성 냉매를 제외한 냉매를 액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화된 냉매를 저장 탱크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에서 여러 종류의 냉매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냉매의 종류에 따라 냉매 처리 장치를 따로 설치하는 것에 따른 작업 공간, 설치 비용 및 운전 비용 등을 낮출 수 있으며, 처리 냉매의 종류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입되는 가연성 냉매를 분리 처리하여 폭발을 예방할 수 있고, 냉매 이 외의 기체가 흡입되는 경우에도 이를 분리 처리하여 최종 처리되는 냉매의 순도를 높일 수 있고, 냉매 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오일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매 회수 장치의 전체적인 계통도를 나타낸 것으로,
R-12 혹은 R-134a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흡입기(171), R-22를 흡입하기 위한 제2 흡입기(172), R-600a를 흡입하기 위한 제3 흡입기(173), 가연성 냉매를 배출 처리하기 위한 배출기(174), 제1 흡입기(171) 및 제2 흡입기(172)와 파이프로 연결되어, 흡입되는 냉매를 기화시키기 위한 진공 탱크(111), 제3 흡입기(173) 및 배출기(174)와 파이프로 연결되고, 진공 탱크(111)와 연결되는 파이프를 통하여 유입되는 기체 냉매 중 R-600a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와 연결되는 파이프를 통하여 유입되는 기체 냉매 중 일부를 액화시키기 위한 제1 쿨링 타워(113), 액체 냉매가 서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제1 쿨링 타워(113)와 제2 파이프(182)로 연결되고, 제1 쿨링 타워(113)와 연결되는 제1 파이프(181)로부터 유입되는 기체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제2 쿨링 타워(114), 제2 쿨링 타워(114)와 연결되는 파이프를 통하여 유입되는 기체 냉매를 저장하고, 내부의 기체 냉매를 진공 탱크(111)로 보낼 수 있도록 파이프로 연결되는 저장 탱크(115) 및 제2 냉각 타워의 공기 등의 외기를 배출하기 위한 카본 배출기(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매 회수 장치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제1 흡입기(171) 및 제2 흡입기(172)를 통하여 진공 탱크(111)로 여러 종류의 냉매가 유입되는데, 진공 탱크(111)를 대기압보다 낮은 기압으로 만들어서 냉매를 기화시킨다.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 제1 쿨링 타워(113) 및 제2 쿨링 타워(114)의 온도와 압력이 서로 다른데, 이는 냉매의 종류에 따라 기체 냉매가 액화되는 온도와 압력이 서로 다르므로 각각의 타워(112, 113, 114)에서 차례대로 기체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혼합 기체 냉매는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 제1 냉각 쿨링(113) 및 제2 쿨링 타워(114)를 거치면서 냉매의 종류에 따라 각각 액화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매 회수 장치의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 밸브(131), 제2 밸브(132), 제3 밸브(133), 제4 밸브(134) 및 제5 밸브(135)를 열고, 전원을 켜면 진공 탱크(111)의 제1 진공 센서(141)가 진공 탱크(111)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이 -10 ㎏/㎠ 이상이면 제1 펌프(161)가 작동하여 진공 탱크(111)의 내부 압력을 하강시킨다. 진공 탱크(111)의 내부 압력이 -20 ㎏/㎠ 이하로 내려가면 제2 진공 센서(142)가 이를 감지하여 제1 펌프(16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제1 솔레노이드 밸브(121)를 열고 제1 흡입기(171)를 이용하여 냉매를 흡입하는데, 일반적으로 공기, 가스, 오일 및 기타 불순물이 함께 흡입된다. 이때, 흡입되는 냉매는 냉장고에 주로 사용되는 R-12, R-134a, R-600a 등이며, 에어컨에 주 로 사용되는 냉매 R-22 등은 제1 솔레노이드 벨브(121)를 닫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122)를 연 상태에서 제2 흡입기(172)를 이용하여 흡입한다. 이와 같이 흡입된 냉매 혼합물은 진공 탱크(111)에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재활용센터에서는 폐 냉장고나 폐 에어컨의 처리 과정이 다르므로 따로 분류하여 각각의 라인에서 처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냉장고 냉매 흡입을 위한 제1 흡입기(171)와 에어컨 냉매 흡입을 위한 제2 흡입기(172)를 따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입기(171, 172)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하여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기화된 상태로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로 이송되는 냉매는 액화 과정을 거치는데, 혼합된 냉매 기체 중 R-600a만 액화된다. 이를 위한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 내부의 온도와 압력 조건은 각각, -2℃ 내지 2℃, 3 내지 6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 4 내지 5 ㎏/㎠이며, 제1 온도 센서(151)가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1 냉각 수단(154)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 내에 액화된 R-600a가 많아지면 제1 수위 감지 센서(191)는 액화 R-600a의 수위를 감지하며, 이에 따라 제3 솔레노이드 밸브(123)와 제5 솔레노이드 밸브(125)가 열리고, 제3 펌프(163)가 가동된다. 이때, 제4 솔레노이드 밸브(124)는 닫히게 되며, 액화된 R-600a는 배출기(174)로 배출된다.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로부터 R-600a가 배출됨에 따라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 내부 R-600a의 수위는 낮아지고, 제2 수위 감지 센 서(192)가 이를 감지하면 제3 솔레노이드 밸브(123)와 제5 솔레노이드 밸브(125)는 닫히고, 제3 펌프(163)의 가동은 중단된다.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에서 액화되지 않고 남은 기체 냉매는 제1 쿨링 타워(113)로 이송되고 R-12가 액화된다. 이를 위한 제1 쿨링 타워(113) 내부의 조건은 온도 -5℃ 내지 -3℃, 압력 6 내지 9 ㎏/㎠이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4℃, 압력 7 내지 8 ㎏/㎠이며, 제2 온도 센서(152)가 제1 쿨링 타워(113)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2 냉각 수단(155)을 작동시킴으로써 R-12를 액화시키기 위한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
제1 쿨링 타워(113)에서 액화되지 않고 남은 기체 냉매는 제1 파이프(181)를 통하여 제2 쿨링 타워(114)로 이송되고 R-134a와 R-22가 액화된다. 이를 위한 제2 쿨링 타워(114) 내부의 조건은 온도 -7℃ 내지 -5℃, 압력 6 내지 9 ㎏/㎠이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6℃, 압력 7 내지 8 ㎏/㎠이며, 제3 온도 센서가 제2 쿨링 타워(114)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3 냉각 수단(156)을 작동시킴으로써 R-134a와 R-22를 액화시키기 위한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
한편, 제2 쿨링 타워(114)의 내부에서 비중이 낮은 공기가 가장 윗부분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공기를 외부로 분리 배출함으로써 액화 냉매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압력 센서(195)가 제2 쿨링 타워(114)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8 솔레노이드 밸브(128)를 개방하여 카본 배출기(175)를 통하여 대기로 배출할 수 있으며, 카본 배출기(175)는 배출되는 공기 중에 혼합되어 있을 수 있는 냉매를 정화시킨다. 압력 센서(195)는 7 내지 9 ㎏/㎠에서 제8 솔레노이드 밸브(128)를 개 방하며, 개방되는 압력에서 2 ㎏/㎠ 정도 하강하면 제8 솔레노이드 밸브(128)를 폐쇄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8 솔레노이드 밸브(128) 개방 압력은 8 ㎏/㎠, 폐쇄를 위한 하강 압력은 0.5 ㎏/㎠ 이다.
제3 수위 감지 센서(193)가 액화된 R-134a와 R-22의 수위를 감지하면, 제6 솔레노이드 밸브(126)가 열리고, 제2 펌프(162)가 작동한다. 액화된 R-134a와 R-22는 제2 펌프(162)에 의해 저장 탱크(115)로 이송되어 저장되는데, 제1 쿨링 타워(113)의 하부와 제2 쿨링 타워(114)의 하부는 제2 파이프(182)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쿨링 타워(113)의 액화된 R-12도 함께 이송되어 저장된다. 또한, 냉매의 수위가 낮아지면, 제4 수위 감지 센서(194)가 이를 감지하여 제6 솔레노이드 밸브(126)는 닫히고, 제2 펌프(162)는 작동을 중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매 회수 장치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저장 탱크(115)의 압력을 5 내지 7 ㎏/㎠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전체 시스템의 원할한 냉매 유동에 유리하며, 바람직하게는 6 ㎏/㎠ 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저장 탱크(115)의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 냉매 및 외기로 인하여 과도한 압력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이를 적정한 수준으로 제어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7 솔레노이드 밸브(127)를 소정 시간 동안 개방하여 저장 탱크(115)의 기체 냉매 및 외기를 진공 탱크(111)로 이송함으로써 저장 탱크(115)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이송된 기체 냉매는 액화 과정을 다시 거치므로 재정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진공 탱크(111)로의 냉매 흡입 시에 냉매와 함께 흡입된 오일과 기타 불순물은 진공 탱크의 하면에 정체되어 쌓이는데, 제6 밸브(136)를 열어서 진공 탱크(111) 하부에 고인 오일을 배출할 수 있다. 이 오일은 배출되어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재생용 윤활유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3 흡입구(173)는 R-600a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R-600a를 포함하는 것이 확실한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제5 솔레노이드 밸브(125)를 닫은 상태에서, 제3 솔레노이드 밸브(123)와 제4 솔레노이드 밸브(124)를 열고, 제3 펌프(163)를 가동시킴으로써 R-600a을 제3 흡입구(173)로 흡입한다. 이렇게 흡입된 R-600a는 다른 처리 과정 없이 파이프를 통하여 배출기(174)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R-600a는 가연성이므로 배출기에 레귤레이터와 점화기를 달아서 연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냉매 R-12, R-134a, R-22, R-600a에 한정하였으나, 냉매에 따라 각기 다를 수 있는 액화 조건에 따라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112)나 제1 쿨링 타워(113), 제2 쿨링 타워(114)의 온도 및 압력을 조정한다면 기타 다른 냉매의 처리도 가능하다.
또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을 적용하여 모든 운전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쿨링 타워(114)와 제2 쿨링 타워(113)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단일 쿨링 타워를 이용하여 냉매를 액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일 쿨링 타워 내부의 온도나 압력 조건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매 회수 장치의 기타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매 회수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1: 진공 탱크 112: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
113: 제1 쿨링 타워 114: 제2 쿨링 타워
115: 저장 탱크
121: 제1 솔레노이드 밸브 122: 제2 솔레노이드 밸브
123: 제3 솔레노이드 밸브 124: 제4 솔레노이드 밸브
125: 제5 솔레노이드 밸브 126: 제6 솔레노이드 밸브
127: 제7 솔레노이드 밸브 128: 제8 솔레노이드 밸브 131: 제1 밸브 132: 제2 밸브
133: 제3 밸브 134: 제4 밸브
135: 제5 밸브 136: 제6 밸브
141: 제1 진공 센서 142: 제2 진공 센서
151: 제1 온도 센서 152: 제2 온도 센서
153: 제3 온도 센서 154: 제1 냉각 수단
155: 제2 냉각 수단 156: 제3 냉각 수단
161: 제1 펌프 162: 제2 펌프
163: 제3 펌프
171: 제1 흡입기 172: 제2 흡입기
173: 제3 흡입기 174: 배출기
175: 카본 배출기
181: 제1 파이프 182: 제2 파이프
191: 제1 수위 감지 센서 192: 제2 수위 감지 센서
193: 제3 수위 감지 센서 194: 제4 수위 감지 센서
195: 압력 센서

Claims (16)

  1. 흡입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냉매를 기화시키기 위한 진공 탱크;
    상기 진공 탱크로부터 유입되는 기체 냉매 중 가연성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
    상기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로부터 유입되는 기체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쿨링 타워;
    상기 쿨링 타워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
    를 포함하는 냉매 회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흡입하는 냉매가 가연성 냉매인 것이 명백한 경우에는 상기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에 저장하지 않고, 직접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가연성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기와 상기 흡입기를 통해 흡입되는 상기 가연성 냉매를 배출하는 배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냉매는, 불연성 냉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가연성 냉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타워는 서로 다른 온도 및 냉각 조건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냉각탑이 연달아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냉매는 R-60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와 상기 진공 탱크는 유체 역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 탱크 내의 기체를 상기 진공 탱크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타워는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하는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탱크는 냉매와 함께 흡입되는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오일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탱크는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는 내부 액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 감지 센서와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및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쿨링 타워는 내부 액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 감지 센서,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 및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가스 냉각 타워의 내부 압력은 3 내지 6 ㎏/㎠, 내부 온도는 -2℃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타워의 내부 압력은 6 내지 9 ㎏/㎠, 내부 온도는 -7℃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수 장치의 각 구성요소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장치.
  14. 서로 다른 종류의 냉매를 기화시켜 흡입하는 단계;
    기화된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냉매 중 가연성 냉매를 액화하여 분리하는 단계;
    상기 가연성 냉매를 제외한 냉매를 액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화된 냉매를 저장 탱크로 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냉매 회수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흡입하는 냉매가 가연성 냉매인 것이 명백한 경우에는 상기 가연성 냉매를 액화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매 회수 방법.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냉매의 액화 압력은 3 내지 6 ㎏/㎠, 온도는 -2℃ 내지 2℃이 고, 상기 가연성 냉매를 제외한 냉매의 액화 압력은 6 내지 9 ㎏/㎠, 온도는 -7℃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방법.
KR1020080009804A 2008-01-30 2008-01-30 냉매 회수 장치 KR10092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804A KR100921245B1 (ko) 2008-01-30 2008-01-30 냉매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804A KR100921245B1 (ko) 2008-01-30 2008-01-30 냉매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798A KR20090083798A (ko) 2009-08-04
KR100921245B1 true KR100921245B1 (ko) 2009-10-09

Family

ID=4120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804A KR100921245B1 (ko) 2008-01-30 2008-01-30 냉매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2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855A (ja) * 1993-11-18 1995-06-02 Hitachi Bill Shisetsu Eng Kk 冷媒吸着剤の再生方法、および同再生装置
KR200319512Y1 (ko) 2003-03-31 2003-07-18 김종성 냉매회수, 세척, 진공, 충전 혹은 보충을 자동으로 일괄처리장치
KR100564869B1 (ko) 1998-06-11 2006-03-2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냉매 회수 장치, 냉매 회수 방법,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냉동 장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 또는 냉매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855A (ja) * 1993-11-18 1995-06-02 Hitachi Bill Shisetsu Eng Kk 冷媒吸着剤の再生方法、および同再生装置
KR100564869B1 (ko) 1998-06-11 2006-03-2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냉매 회수 장치, 냉매 회수 방법, 냉매 회수 장치를 갖춘냉동 장치, 냉매 회로내의 냉매의 제어 방법 또는 냉매회수 장치의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KR200319512Y1 (ko) 2003-03-31 2003-07-18 김종성 냉매회수, 세척, 진공, 충전 혹은 보충을 자동으로 일괄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798A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2732B (zh) 具有制冷剂回收功能的空调系统
KR101639798B1 (ko) 냉동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CN107952754B (zh) 一种换热器除油设备
KR100921245B1 (ko) 냉매 회수 장치
US6202424B1 (en) System for compressing contaminated gas
CN102226551B (zh) 使用碳氢化合物制冷剂的空调系统
JPH08505935A (ja) 冷凍機及びヒートポンプから油を洗い落とす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50119711A (ko) 폐냉매 재사용 정제 시스템
CN104791222B (zh) 冷冻油回收装置及方法
CN103949139B (zh) 一种压缩空气净化装置及压缩空气净化冷冻干燥装置
CN104089492B (zh) 封闭矿热炉煤气干法净化与回收系统
CN109224752B (zh) 一种脱脂油回收装置和控制方法
RU2396132C2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конденсации для систем повтор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CN204665810U (zh) 一种油汽回收装置
US6755029B2 (en) Ammonia separator and neutralizer
US20040177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neutralizing ammonia
JP4699196B2 (ja) 可燃性冷媒処理装置
KR20160006293A (ko) 엔진의 유증기 회수 시스템
CN206973967U (zh) 一种制冷剂回收机
CN102901288A (zh) 一种制冷设备中cfc的回收方法
CN104005782A (zh) 一种矿用气动制冷装置安全保护系统
CN104896875A (zh) 一种油汽回收装置及其自动保温控制方法
CN104524804B (zh) 一种工业尾气液化分离回收系统
KR200286664Y1 (ko) 프레온 가스 회수 재생기
KR101582496B1 (ko) 컴프레서 오일 퓸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