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389B1 -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389B1
KR100564389B1 KR1020020061330A KR20020061330A KR100564389B1 KR 100564389 B1 KR100564389 B1 KR 100564389B1 KR 1020020061330 A KR1020020061330 A KR 1020020061330A KR 20020061330 A KR20020061330 A KR 20020061330A KR 100564389 B1 KR100564389 B1 KR 10056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back
media clip
playback position
outpu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019A (ko
Inventor
이병호
장지영
안형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큐브
Priority to KR102002006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38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16Seeking data on the record carrier for preparing an access to a specific address

Landscapes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재생위치 지정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어명령 수신부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장치전반을 제어하되, 매체 클립의 전체 재생시간을 n 으로 나누어 전체 재생구간을 블럭단위로 구획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대응하는 재생시간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출력된 재생시간에 대응되는 해당 매체 클립의 물리적인 저장위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읽기 제어부와; 상기 출력된 물리적인 저장위치 신호에 따라 해당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매체 구동부와; 상기 출력된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데이타를 음향 출력부 또는/및 화상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재생 제어부와; 상기 복호화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출력하되,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블럭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체 클립의 현재 재생위치를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눈으로 확인하며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매체(Media), 클립(Clip), 탐색(Seek)

Description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Multimedia clip displaying unit which is easy to appoint displaying position of the multimedia clip and has not pointing device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블럭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블럭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블럭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블럭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제어명령 입력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수신부 120 : 제어부
130 : 읽기 제어부 140 : 매체 구동부
150 : 재생 제어부 160 : 음향 출력부
170 : 화상 출력부 200 : 제어명령 입력부
210 : 재생버튼 220a : 앞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
220b : 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
230a, 230b, 230c, 230d : 재생위치 지정버튼
240 : 휠버튼 300 : 스피커
400 :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가지지 않고 리모콘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지정하는 매체 재생 장치에 관련된다.
매체 재생 장치는 CD, DVD, HDD, 플래쉬 메모리, 네트웍 상의 파일 또는 데이타 서버 등의 각종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나 음악 파일과 같은 매체(멀티미디어) 클립(Clip)의 임의의 위치에 짧은 시간내에 접근할 수 있는 임의의 접근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매체 클립을 재생시 클립의 특정 위치로 이동(또는 탐색 : Seek)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그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를 입력받아야 한다.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진 장치 예컨데, 컴퓨터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클립 의 전체 재생시간을 막대 형태로 나타낸 탐색바(Seekbar)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 위의 한 점을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해 클릭하여 재생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VCR을 일체로 가지는 TV 장치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의 경우 매체 클립(Clip)을 재생시 클립의 특정 위치로 이동(또는 탐색 : Seek)하기 위해서는 리모콘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야 하는데, 이 경우엔 사용자가 원하는 매체 재생위치로 위치를 이동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에서의 매체 재생위치 지정방법은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어왔다.
첫째는 리모콘의 특정 버튼을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뒤로 이동하는 버튼으로 지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예컨데, 리모콘에 4개의 버튼을 각각 매체 클립의 현재 재생위치에서 10초 앞, 10초 뒤, 5분 앞, 5분 뒤로 이동하는 버튼으로 지정하여, 상기 버튼이 눌러질 경우 해당 버튼에 설정된 시간만큼 재생위치를 이동하는 방법이다.
둘째는 리모콘에 앞으로/재생/뒤로 버튼을 두어서 '앞으로 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매체 클립 재생 방향으로 이동하고, '뒤로 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매체 클립 재생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 '재생 버튼'을 눌러 매체 클립을 재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에서 의 매체 재생위치 지정방법에서는 매체 클립의 현재 재생위치가 어디이고, 사용자 자신이 이동시키는 재생위치가 매체 클립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 사용자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방법을 근간으로 해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에서도 사용자가 매체 클립의 현재 재생위치를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눈으로 확인하며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매체 클립의 현재 재생위치를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눈으로 확인하며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는 재생위치 지정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어명령 수신부와;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장치전반을 제어하되, 해당 매체 클립의 전체 재생시간을 n 으로 나누어 전체 재생구간을 블럭단위로 구획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대응하는 재생시간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재생시간에 대응되는 해당 매체 클립의 물리적인 저장위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읽기 제어부와; 상기 읽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물리 적인 저장위치 신호에 따라 해당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매체 구동부와; 상기 매체 구동부에서 출력된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수신하고, 이 수신된 데이타를 음향 출력부 또는/및 화상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재생 제어부와; 상기 재생 제어부를 통해 복호화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재생 제어부를 통해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되,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블럭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는 재생위치 지정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이 입력된 제어명령을 상기 매체 재생 장치의 제어명령 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는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해당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대응하는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상기 표시블럭을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는 제어명령 수신부(110)와, 제어부(120)와, 읽기 제어부(130)와, 매체 구동부(140)와, 재생 제어부(150)와, 음향 출력부(160)와, 화상 출력부(170) 및 제어명령 입력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110)는 재생위치 지정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즉, 이 제어명령 수신부(110)는 리모콘 등의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제어명령은 매체의 활성화 명령, 매체의 비활성화 명령, 매체 클립의 재생 명령, 재생위치 지정명령 등 매체와 매체에 저장된 매체 클립을 제어하는 각종 명령을 포괄한다.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170)가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을 수신시 제어명령 입력부(200)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통신한다. 예컨데,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200)가 RF 리모콘일 경우 RF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IR 리모콘일 경우 IR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통신한다. 상기한 통신 프로토콜은 당업계에서 이미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장치전반을 제어하되, 해당 매체 클립의 전체 재생시간을 n 으로 나누어 전체 재생구간을 블럭단위로 구획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대응하는 재생시간을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매체 클립의 현재 재생위치를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눈으로 확인하며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인 표시블럭(탐색바 : Seekbar)을 구비하는데, 이 표시블럭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20)는 재생될 매체 클립의 전체 재생시간을 판독해 이를 n 으로 나누어 전체 재생구간을 n 블럭을 가진 블럭단위로 구획하고, 이 블럭단위로 구획된 표시블럭을 TV 브라운관 또는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따라 이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대응하는 재생시간을 매체 클립의 전체 재생시간으로부터 구해 이를 상기 읽기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읽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재생시간에 대응되는 해당 매체 클립의 물리적인 저장위치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대응하는 재생시간은 이 읽기 제어부(130)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읽기 제어부(130)는 이 재생시간에 대응되는 재생될 매체 클립의 물리적 저장위치를 검출하여 이를 매체 구동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20)에서 전달된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매체 클립상에서 물리적 저장위치 찾기 위해서는 매체 클립의 부호화 방식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CBR MPEG 파일인 경우 전체 매체 클립의 길이를 시간 길이로 나누어 전달된 지정 시간을 곱하는 방식으로 위치를 찾을 수 있고, AVI 파일인 경우 파일 뒷부분의 인덱스 정크(Index Chunk)에서 탐색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매체 클립의 부호화 방식에 따른 위치 탐색방법은 당업계에서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 다.
상기 매체 구동부(140)는 상기 읽기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된 물리적인 저장위치 신호에 따라 해당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즉, 상기 읽기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된 재생시간에 대응되는 재생될 매체 클립의 물리적인 저장위치를 이 매체 구동부(140)가 수신하고, 상기 매체 구동부(140)는 이 물리적인 저장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매체 클립의 저장위치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상기 재생 제어부(150)는 상기 매체 구동부(140)에서 출력된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20)를 통해 수신하고, 이 수신된 데이타를 음향 출력부(160) 또는/및 화상 출력부(170)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즉, 매체에 저장되는 각 클립들은 그 사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저장시 부호화되어 저장된다. 상기 재생 제어부(150)는 상기 매체 구동부(140)에서 출력된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에 저장된 부호화된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20)를 통해 수신하고, 이 수신된 부호화된 데이타를 음향 출력부(160) 또는/및 화상 출력부(170)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련된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당업계에서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음향 출력부(160)는 상기 재생 제어부(150)를 통해 복호화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한다. 즉, 이 음향 출력부(160)는 상기 재생 제어부(150)를 통해 복호화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프커(300)를 구동제어한 다.
상기 화상 출력부(170)는 상기 재생 제어부(150)를 통해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출력하되,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블럭을 출력한다. 즉, 이 화상 출력부(170)는 상기 재생 제어부(150)를 통해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구동제어하는데, 이 때 사용자가 매체 클립의 현재 재생위치를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눈으로 확인하며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인 표시블럭을 화면의 소정 위치에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구동제어한다. 상기 표시블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출력되는 주 영상 프레임(Frame)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200)는 재생위치 지정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이 입력된 제어명령을 상기 매체 재생 장치의 제어명령 수신부(110)로 출력한다. 즉, 이 제어명령 입력부(200)는 매체의 활성화 명령, 매체의 비활성화 명령, 매체 클립의 재생 명령, 재생위치 지정명령 등 매체와 매체에 저장된 매체 클립을 제어하는 각종 명령을 포괄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IR 또는 RF 리모콘 등의 입력장치로, 입력된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110)로 출력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는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가 해당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대응하는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상기 표시블럭을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 출력부(170)를 제 어하는 것에 그 기술적 요지가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의 재생위치 지정동작을 알아본다.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된 재생위치 지정명령을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화상 출력부(170)를 통해 표시되는 재생될 매체클립의 전체 재생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블럭상에서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상기 수신된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대응하는 재생시간을 읽기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이를 수신한 상기 읽기 제어부(130)는 수신된 재생시간에 대응되는 해당 매체 클립의 물리적인 저장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매체 구동부(140)로 출력하고, 매체구동부(140)는 이 물리적인 저장위치 신호에 따라 해당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이 데이타는 상기 제어부(120)를 통해 상기 재생 제어부(150)로 전송되고, 재생 제어부(150)에서 음향 출력부(160) 또는/및 화상 출력부(170)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복호화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160) 또는/및 화상 출력부(170)로 출력함으로써 스피커(300)를 통해서는 지정된 재생위치의 음향데이타가,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서는 지정된 재생위치의 화상데이타가 출력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블럭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는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200)가 도 6 에 도시한 것과 같은 앞/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a, 220b)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20)가 재생될 매체 클립의 총 재생길이를 n 등분한 각 상대위치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블럭을 상기 화상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앞/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a, 220b)이 선택됨에 따라 현재 포커스중인 상대위치영역으로부터 인접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서 삼각형은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을 나타낸다. 즉, 앞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a)이 눌려질 경우에는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포커스를 이동하고 도면에 표시된 삼각형 역시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b)이 눌려질 경우에는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에서 왼쪽 방향으로 포커스를 이동하고 도면에 표시된 삼각형 역시 왼쪽으로 이동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재생위치를 이동한 후의 재생동작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생키(210)을 누르거나,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220a, 220b)이 눌려져 재생위치를 이동한 후 소정 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을 경우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앞/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10a, 210b)이 눌려져 있는 동안 소정 속도로 현재 포커스중인 상대위치영역으로부터 인접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앞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a)이 눌려진 동안에는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차례로 포커스를 이동하고 도면 에 표시된 삼각형 역시 오른쪽으로 차례로 이동된다. 반대로 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b)이 눌려진 동안에는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에서 왼쪽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차례로 포커스를 이동하고 도면에 표시된 삼각형 역시 왼쪽으로 차례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앞/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10a, 210b)이 눌려져 있는 동안 소정의 가속도를 가지고 현재 포커스중인 상대위치영역으로부터 인접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는 앞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a)이 눌려진 동안에는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점점 속도를 일정하게 증가시키면서 차례로 포커스를 이동하고 도면에 표시된 삼각형 역시 오른쪽으로 차례로 이동된다. 반대로 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b)이 눌려진 동안에는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에서 왼쪽 방향으로 점점 속도를 일정하게 증가시키면서 차례로 포커스를 이동하고 도면에 표시된 삼각형 역시 왼쪽으로 차례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앞/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10a, 210b)이 눌러지는 횟수 만큼 현재 포커스중인 상대위치영역으로부터 인접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는 앞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a)이 눌려지는 횟수만큼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차례로 그 횟수만큼 포커스를 이동하고 도면에 표시된 삼각형 역시 오른쪽으로 차례로 이동된다. 반대로 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b)이 눌려지는 횟수만큼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에서 왼쪽 방 향으로 차례로 그 횟수만큼 포커스를 이동하고 도면에 표시된 삼각형 역시 왼쪽으로 차례로 이동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블럭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는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200)가 도 6 에 도시한 것과 같이 n 개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30a, 230b, 230c, 230d)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20)가 재생될 매체 클립의 총 재생길이를 n 등분한 각 상대위치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블럭을 상기 화상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n 등분된 각 상대위치영역을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230a, 230b, 230c, 230d) 각각에 대응시켜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230a, 230b, 230c, 230d)이 선택됨에 따라 해당 선택된 재생위치 지정버튼(230a, 230b, 230c, 230d)에 대응하는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즉, 이 경우는 재생위치 지정버튼(230a)이 눌려질 경우에는 표시블럭의 가장 왼쪽의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가 이동되고, 재생위치 지정버튼(230b)이 눌려질 경우에는 표시블럭의 가장 왼쪽으로부터 두번째의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가 이동되고, 재생위치 지정버튼(230c)이 눌려질 경우에는 표시블럭의 가장 왼쪽으로부터 세번째의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가 이동되고, 재생위치 지정버튼(230d)이 눌려질 경우에는 표시블럭의 가장 왼쪽으로부터 4번째의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위의 경우는 4 개의 재생위치 지정버튼을 가질 경우의 예지만, 만약 n 개의 재생위치 지정버튼을 가진다면 n 번째의 재생위치 지정버튼이 눌려질 경우 표시블럭의 가장 왼쪽으로부터 n번째의 상 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가 이동되게 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재생위치를 이동한 후의 재생동작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생키(210)을 누르거나,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230a, 230b, 230c, 230d)이 눌려져 재생위치를 이동한 후 소정 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을 경우 이루어지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블럭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는 도 3 실시예에 따른 재생위치 지정을 여러번 반복할 수 있도록 하여 좀더 세밀한 재생위치 지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는 상기 제어부(120)가 도 3 실시예에서 선택된 재생위치 지정버튼에 대응하는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이동시 해당 상대위치영역의 재생길이를 n 등분한 각 하위 상대위치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블럭을 상기 화상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n 등분된 각 하위 상대위치영역을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230a, 230b, 230c, 230d) 각각에 대응시켜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해당 선택된 재생위치 지정버튼에 대응하는 하위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적어도 1 회 이상 반복하도록 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재생 지정위치 선택은 도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재생위치를 이동한 후의 재생동작 역시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생키(210)을 누르거나,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230a, 230b, 230c, 230d)이 눌려져 재생위치를 이동한 후 소정 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을 경우 이루어지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블럭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는 상기 제어부(120)가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각 상대위치영역을 상기 화상 출력부(170)를 통해 표시블럭으로 출력시, 각 상대위치영역이 서로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는 각 상대위치영역을 서로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200)의 각 재생위치 지정버튼의 색상 역시 상이하게 하여 같은 색의 재생위치 지정버튼과 상대위치영역을 서로 매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 상대위치영역을 상이한 색상으로 구현시의 색상배열은 다양하게 배열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재생 장치에서의 제어명령 입력부(200)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20a, 220b)을 구비한 IR 또는 RF 리모콘일 수 있으며, n 개의 재생위치 지정버튼(230a, 230b, 230c, 230d)을 구비한 IR 또는 RF 리모콘일 수도 있고, 이 둘을 모두 구비 한 IR 또는 RF 리모콘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200)는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앞/뒤 방향으로 재생위치를 이동하는 휠버튼(240)으로 구성하여 휠 회전에 의한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도 있다. 즉, 이 휠버튼(240)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휠버튼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차례로 포커스를 이동하고,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현재 포커스 중인 상대위치영역에서 왼쪽 방향으로 차례로 포커스를 이동한다.
이 때, 휠이 회전되면 단위 시간동안 휠이 회전한 회전 거리와 회전 방향이 적절한 방식으로, 예컨데 휠마우스의 엔코딩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엔코딩되어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110)로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처리된다. 이러한 휠버튼을 이용한 신호 처리는 휠마우스에서의 휠 인식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따라서, 위와같이 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는 사용자가 매체 클립의 현재 재생위치를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눈으로 확인하며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한정된 리모콘 버튼을 이용해 다 단계로 미세한 매체 클립 재생위치 선택이 가능하고, 휠버튼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미세한 매체 클립 재생위치 선택이 가능 한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재생위치 지정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되, 앞/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명령 입력부와;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재생위치 지정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어명령 수신부와;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장치 전반을 제어하되, 재생될 매체 클립의 총 재생길이를 n 등분한 각 상대위치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블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앞/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이 눌려져 있는 동안 소정의 가속도를 가지고 현재 포커스중인 상대위치영역으로부터 인접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에 의해 상기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대응하는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재생시간에 대응되는 해당 매체 클립의 물리적인 저장위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읽기 제어부와;
    상기 읽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물리적인 저장위치 신호에 따라 해당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매체 구동부와;
    상기 매체 구동부에서 출력된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수신하고, 이 수신된 데이타를 음향 출력부 또는/및 화상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재생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재생 제어부를 통해 복호화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재생 제어부를 통해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되,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블럭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7. 삭제
  8. 재생위치 지정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되, n 개의 재생위치 지정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명령 입력부와;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재생위치 지정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어명령 수신부와;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장치 전반을 제어하되, 재생될 매체 클립의 총 재생길이를 n 등분한 각 상대위치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블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n 등분된 각 상대위치영역을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 각각에 대응시켜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해당 선택된 재생위치 지정버튼에 대응하는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이동하도록 제어함에 의해 상기 재생위치 지정명령에 대응하는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재생시간에 대응되는 해당 매체 클립의 물리적인 저장위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읽기 제어부와;
    상기 읽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물리적인 저장위치 신호에 따라 해당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매체 구동부와;
    상기 매체 구동부에서 출력된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수신하고, 이 수신된 데이타를 음향 출력부 또는/및 화상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재생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재생 제어부를 통해 복호화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재생 제어부를 통해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되,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블럭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선택된 재생위치 지정버튼에 대응하는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이동시 해당 상대위치영역의 재생길이를 n 등분한 각 하위 상대위치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블럭을 상기 화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n 등분된 각 하위 상대위치영역을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 각각에 대응시켜 상기 재생위치 지정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해당 선택된 재생위치 지정버튼에 대응하는 하위 상대위치영역으로 포커스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적어도 1 회 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앞/뒤 방향의 재생위치 지정버튼이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앞/뒤 방향으로 재생위치를 이동하는 휠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020061330A 2002-10-08 2002-10-08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KR100564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330A KR100564389B1 (ko) 2002-10-08 2002-10-08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330A KR100564389B1 (ko) 2002-10-08 2002-10-08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019A KR20040032019A (ko) 2004-04-14
KR100564389B1 true KR100564389B1 (ko) 2006-03-27

Family

ID=3733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330A KR100564389B1 (ko) 2002-10-08 2002-10-08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3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532A (en) * 1992-05-15 1994-12-06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Communications architectur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services
US5517257A (en) * 1995-03-28 1996-05-14 Microsoft Corporation Video contro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video movie
KR19990012794U (ko) * 1997-09-13 1999-04-15 전주범 텔레비디오의 비디오카메라 영상녹화제어장치
KR20000022385A (ko) * 1996-07-01 2000-04-25 스티인캄프 얀 비디오 스트림에 색인을 위해 가입자 비디오 스크린에 슬라이더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배달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7736A (ko) * 2001-03-30 2003-0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트리밍 비디오 북마크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532A (en) * 1992-05-15 1994-12-06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Communications architectur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services
US5517257A (en) * 1995-03-28 1996-05-14 Microsoft Corporation Video contro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video movie
KR20000022385A (ko) * 1996-07-01 2000-04-25 스티인캄프 얀 비디오 스트림에 색인을 위해 가입자 비디오 스크린에 슬라이더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배달 시스템 및 방법
KR19990012794U (ko) * 1997-09-13 1999-04-15 전주범 텔레비디오의 비디오카메라 영상녹화제어장치
KR20030007736A (ko) * 2001-03-30 2003-0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트리밍 비디오 북마크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019A (ko)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7816B2 (en) System for selecting video tracks during playback of a media production
KR980004419A (ko) 디브이디(dvd) 재생기의 복수 영상각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7087573A (ja) 複数個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表示される画面で、ボタン間にフォーカシングを移動させる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情報記録媒体
WO2010122644A1 (ja) 画像表示システム
US20040102955A1 (en) DVD driver for language study and method of processing audio streams thereof
KR100564389B1 (ko) 매체 클립의 재생위치 지정이 용이한 포인팅 디바이스를가지지 않은 매체 재생 장치
JP4172031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357242B1 (ko) 디지탈데이터 맵핑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반복재생방법
JP3403870B2 (ja) メニューストリーム作成装置
KR19980082247A (ko) 씨디-롬(cd-rom)과 디브디-롬(dvd-rom)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 멀티 세션 디스크의 재생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20050066249A (ko) 디지털 기록장치에서의 녹화 품질 설정방법
US7826719B2 (en)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cord medium, record medium containing information, and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a record medium
JP2004147202A (ja) Dvd記録再生装置
EP1471532A1 (en) Modulated output of digital audio signals
KR20070076035A (ko) 디지탈 방송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33525B1 (ko)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JP4340205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02074912A (ja) プログラム再生装置
KR101106640B1 (ko) 광디스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5346772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3800202B2 (ja) 再生装置
JP3922384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MXPA06007088A (es) Metodo para grabar informacion en un medio de grabacion, medio de grabacion que contiene la informacion, y metodo y dispositivo para leer informacion en un medio de grabacion.
JPH10144060A (ja) 再生装置
JP2002269919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