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242B1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242B1
KR100560242B1 KR1020030019210A KR20030019210A KR100560242B1 KR 100560242 B1 KR100560242 B1 KR 100560242B1 KR 1020030019210 A KR1020030019210 A KR 1020030019210A KR 20030019210 A KR20030019210 A KR 20030019210A KR 100560242 B1 KR100560242 B1 KR 100560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tate
switching
image
operation signal
deter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720A (ko
Inventor
후지와라슈이치
사카키바라다케후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05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all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using two or more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1Multi-purpose receivers, e.g. for auxiliar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41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n array of liquid crystal cells
    • H04N2005/745Control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따라 광학상을 형성 표시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이 화상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어 수단(5)은 화상 형성 수단에서 형성된 광학상의 표시 상태를 전환 제어하기 위한 표시 상태 전환 제어부(510, 511)와, 광학상의 표시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신호 수신부(506)와, 수신된 조작 신호를 감시하여, 최종적으로 전환되는 표시 상태를 판정하는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를 구비하고, 이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의 판정에 기초하여, 표시 상태 전환 제어부(510, 511)가 전환 제어를 실행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면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의 하면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계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계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 광학 장치가 설치된 광학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 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선택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선택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 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재 설정 정보 화면을 표시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로젝터 2 : 광학 유닛
5 : 제어 기판 506, 606 : 조작 신호 수신부
509, 609 :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 510 :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
511 :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 G2, G3 : 선택 화면
G4 : 현재 설정 정보 화면
본 발명은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따라 광학상을 형성하여 표시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이 화상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로젝터, 컴퓨터용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분야에 있어서는, 화상 신호의 형식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각종 신호 형식에 대응한 입력 단자가 복수 설치되며, 다용도(멀티 유즈 ; multi use) 대응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용도 대응화가 도모된 화상 표시 장치에는, 예컨대 RGB 신호 입력계, 컴포지트(composite ; 복합) 신호 입력계, 컴포넌트(component ; 분리) 신호 입력계가 설치되어 있다.
RGB 신호 입력계는, 컴퓨터의 화상 표시용으로서의 신호 입력계이며, 이 RGB(Red, Green, Blue) 신호 입력계에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화상 표시함으로써, 예컨대 프로젝터라면, 투사면상에 컴퓨터의 화상을 표시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멀티 프리젠테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컴포지트 신호 입력계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 전미 텔레비전 방식 위원회) 형식 등의 텔레비전, 비디오의 종래 형식의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계이며, 이 컴포지트 신호 입력계에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화상 표시함으로써, 텔레비전, 비디오 등의 화상을 화상 표시 장치상에 표시시킬 수 있고, 대화면의 프로젝터를 홈시어터(home theater) 용도로서 이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 신호 입력계는, 하이비전 화상을 표시하거나, DVD(Digital Versatile Disk)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고화질 신호 입력계이며, 컴포지트 신호 입력계와 같이 홈시어터 용도로 이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1대의 화상 표시 장치에 복수의 신호 입력계를 설치함으로써, 각종 용도로 화상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복수의 신호 입력계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신호 입력계의 전환(switching)을 실행하는 경우, 종래에는 본체 조작부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설치되는 전환 스위치를 복수회 조작하여, RGB 신호, 컴포지트 신호, 컴포넌트 신호의 순서로 순차 전환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는 각 신호 입력계에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따라 화질이 다르기 때문에, 각 신호 입력계와 그 용도에 따라, 상이한 컬러 모드 설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컬러 모드 설정으로는, 예컨대 일반 용도, 회의 용도, 프리젠테이션 용도, 시어터 용도 등이 있고, 설정의 전환도 신호 입력계의 전환과 같이, 이러한 용도를 전환 스위치를 복수회 눌러 순차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실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전환 조작을 1회 실행하면, 실제로 화상 표시 장치내에서 입력계나 컬러 모드의 전환이 실행되고, 이것이 종료되면 처음으로 다음 전환 조작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어, 전환 실행 중에는 전환 스위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며, 전환 조작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즉, 신호 입력계의 전환인 경우, RGB 신호 입력계로부터 컴포넌트 신호 입력계로의 전환을 실행하고자 한다면, 우선 1회째의 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내의 제어부는 선별기(selector)를 제어하여 RGB 신호 입력계로부터 컴포지트 신호 입력계로의 전환을 실행하며, 화면상에 컴포지트 신호 화상을 표시한다. 제어부는 이 상태로 되어 처음으로 전환 스위치의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2회째의 전환 스위치의 조작은, 컴포지트 신호 화상이 표시되어 처음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컬러 모드 설정의 전환에 있어서도,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부가 각 컬러 모드에 따른 조견표(look-up table)의 전환을 실제로 실행한 후, 다음 전환 조작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환 조작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상태를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화상 표시 장치의 제어부가 실제로 표시 상태의 전환을 실행하고, 그 사이, 제어부는 조작자의 전환 조작을 수신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전환 조작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환 조작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전환하는 표시 상태가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 어떤 전환 조작 상황으로 되어 있는지 조작자가 알 수 없으며, 표시 상태의 전환 조작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상태를 고속으로 또한 판단하기 쉽게 전환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따라 광학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이 화상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으로 형성된 광학상의 표시 상태를 전환 제어하는 표시 상태 전환 제어부와, 상기 광학상의 표시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신호 수신부와, 수신된 조작 신호를 감시하여, 최종적으로 전환되는 표시 상태를 판정하는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를 구비하고, 이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의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상태 전환 제어부가 전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환 제어되는 표시 상태로는, 신호 입력계의 전환 설정이나, 용도에 따른 컬러 모드의 전환 설정이 고려된다.
또한, 조작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조작 신호로는, 화상 표시 장치에 수반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신호나, 화상 표시 장치에 설치되는 조작 신호가 고려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의 판정을 기다려, 표시 상태 전환 제어부에 의한 전환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작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표시 상태의 전환 제어가 실행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최종적인 표시 상태를 지정하고 나서 표시 상태의 전환을 실행하여, 고속으로 표시 상태의 전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는, 제 1 회째의 조작 신호가 조작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것으로 판정하면, 전환 가능한 표시 상태 일람 화상을 제시하여, 전환하는 표시 상태의 선택을 재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는 표시 상태 일람을 확인하면서, 전환하고자 하는 표시 상태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판단이 용이한 상태에서 표시 상태의 전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는 표시 상태 일람 화상 제시 후, 일정 시간 조작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전환되는 표시 상태를 판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가 이와 같이 판정함으로써, 조작자가 예컨대 화면상에 나타난 선택지(選擇肢)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표시 상태의 전환 제어가 실행되므로, 표시 상태의 전환 조작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는 특정 조작 신호가 수신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변경되는 표시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 고려된다.
여기서, 특정한 조작 신호란,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조작 스위치 중 특정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송신되는 조작 신호이며, 예컨대 엔터 키(Enter key) 등의 스위치가 고려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가 명시적으로 특정 조작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표시 상태의 전환이 실행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의도하는 표시 상태로 확실히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조작 신호 수신부가 표시 상태 전환 제어부의 전환 제어 중에도 조작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는, 이 조작 신호 수신부로의 조작 신호의 입력이 일정 시간 없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최 종적으로 전환되는 표시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신호 수신부로의 조작 신호의 입력이 연속적, 즉 주기적으로 표시 상태 설정을 변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환 제어가 실행되지 않는다. 조작자가 최종적으로 표시 상태 설정을 결정한 후, 일정 시간 조작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가 판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고속의 전환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는 조작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전환 조작 정보에 관한 화상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가 화면상에서 전환 제어 중에 조작한 표시 상태를 확인하면서, 전환 조작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판단이 용이한 상태에서 전환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 표시 장치가 복수의 화상 기기로부터 화상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표시 상태는 이들 복수의 입력 단자의 접속 설정 상태, 또는 γ 보정, 색 보정을 포함하는 컬러 모드 설정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설정의 전환이나 컬러 모드 설정의 전환에 있어서, 선택지도 대부분, 전환 제어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적절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 제 1 실시예
(1) 프로젝터의 주요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1)를 상방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로젝터(1)를 하방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장 케이스(2)를 구비한다. 이 외장 케이스(2)는, 프로젝터(1)의 본체 부분을 수납하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으로,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2)를 구비하고, 이들 케이스(21, 22)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의 상면, 측면, 전면 및 배면을 각각 구성하는 상면부(21A), 측면부(21B), 전면부(21C) 및 배면부(2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케이스(22)도,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의 하면, 측면, 전면 및 배면을 각각 구성하는 하면부(22A), 측면부(22B), 전면부(22C) 및 배면부(2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의 외장 케이스(2)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1) 및 하부 케이스(22)의 측면부(21B, 22B)간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직방체의 측면 부분(210)이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전면부(21C, 22C)간의 접속으로 전면 부분(220)이 구성되고, 배면부(21D, 22D)간의 접속으로 배면 부분(230)이 구성되고, 상면부(21A)에 의해 상면 부분(240)이 구성되고, 하면부(22A) 에 의해 하면 부분(250)이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 부분(240)에 있어서, 그 전방측에는 조작 패널(23)이 설치되고, 이 조작 패널(23)의 근방에는 음성 출력용 스피커 구멍(240A)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우측의 측면 부분(210)에는 2개의 측면부(21B, 22B)에 걸쳐 개구(2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장 케이스(2)내에는 후술하는 메인 기판(51)과, 인터페이스 기판(52)이 설치되어 있고, 개구(211)에 장착되는 인터페이스 패널(53)을 거쳐, 메인 기판(51)에 설치된 접속부(51B)와, 인터페이스 기판(52)에 설치된 접속부(52A)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접속부(51B, 52A)에 있어서, 프로젝터(1)에는 외부의 전자 기기 등이 접속된다.
전면 부분(220)에 있어서, 전방에서 볼 때 우측에서 상기 조작 패널(23)의 근방에는 2개의 전면부(21C, 22C)를 걸쳐 원형상의 개구(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21)에 대응하도록, 외장 케이스(2) 내부에는, 투사 렌즈(46)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 개구(221)로부터 투사 렌즈(46)의 선단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이 노출 부분의 일부인 레버(46A)를 거쳐, 투사 렌즈(46)의 포커스 조작을 수동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면 부분(220)에 있어서, 상기 개구(221)의 반대측 위치에는 배기구(2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구(222)에는 안전 커버(22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 부분(230)에 있어서, 배면에서 본 우측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231)가 형성되어, 이 개구(231)로부터 입력(inlet) 커넥 터(24)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하면 부분(250)에 있어서, 하방에서 볼 때 우단측의 중앙 위치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25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51)에는, 이 개구(251)를 피복하는 램프 커버(25)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램프 커버(25)를 제거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광원 램프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하면 부분(250)에 있어서, 하방에서 볼 때 좌측에서 배면측인 코너부에는 한층 내측으로 오목한 직사각형면(2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직사각형면(252)에는, 외부에서 냉각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252A)가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형면(252)에는, 이 직사각형면(252)을 피복하는 흡기구 커버(2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흡기구 커버(26)에는 흡기구(252A)에 대응하는 개구(26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6A)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필터가 설치되어 있어서 내부로의 먼지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한, 하면 부분(250)에 있어서, 후방측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프로젝터(1)의 레그부를 구성하는 후방 레그(2R)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면부(22A)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좌우 코너부에는, 마찬가지로 프로젝터(1)의 레그부를 구성하는 전방 레그(2F)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프로젝터(1)는 후방 레그(2R) 및 2개 전방 레그(2F)에 의해 3점에서 지지되어 있다.
2개의 전방 레그(2F)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프로젝터(1)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경사(자세)를 조정하여, 투사 화상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하면 부분(250)과 전면 부분(220)에 걸쳐 직방체 형상의 오목부(2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53)에는 상기 오목부(253)의 하측 및 전방측을 덮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 부재(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27)에 의해, 오목부(253)에는 프로젝터(1)의 원격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러(리모콘)가 수납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는 프로젝터(1)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프로젝터(1)의 상부 케이스(21)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제어 기판(5)을 제거한 도면이다.
외장 케이스(2)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 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원 유닛(3)과, 이 전원 유닛(3)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평면도에서 대략 L자 형상인 광학계로서의 광학 유닛(4)과, 이 유닛(3, 4)의 상방 및 우측에 배치되는 제어부로서의 제어 기판(5)을 구비한다. 이들 각 장치(3 내지 5)에 의해 프로젝터(1)의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전원 유닛(3)은 전원(31)과, 이 전원(31)의 하방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램프 구동 회로(ballast ; 밸러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31)은 상기 입력 커넥터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전원 케이블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상기 램프 구동 회로나 제어 기판(5) 등에 공급한다.
상기 램프 구동 회로는, 광학 유닛(4)을 구성하는 도 3 및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 램프에 전원(31)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광원 램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램프 구동 회로는, 예컨대 기판에 배선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전원(31) 및 상기 램프 구동 회로는 대략 평행하게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점유 공간은 프로젝터(1)의 배면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전원(31) 및 상기 램프 구동 회로는 좌우측이 개구된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실드 부재(31A)에 의해 주위가 피복되어 있다.
실드 부재(31A)는 냉각 공기를 유도하는 덕트로서의 기능에 부가하여, 전원(31)이나 상기 램프 구동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자(電磁) 노이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제어 수단이 되는 제어 기판(5)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3, 4)의 상측을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CPU나 접속부(51B) 등을 포함하는 메인 기판(51)과, 이 메인 기판(51)의 하방에 배치되어 접속부(52A)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기판(52)을 구비한다.
이 제어 기판(5)에서는, 접속부(51B, 52A)를 거쳐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라, 메인 기판(51)의 CPU 등이, 후술하는 광학 장치를 구성하는 액정 패널의 제어를 실행한다.
메인 기판(51)은 금속제의 실드 부재(51A)에 의해 주위가 피복되어 있다. 메인 기판(51)은, 도 3에서는 알기 어렵지만, 광학 유닛(4)을 구성하는 상부 라이트 가이드(472)의 상단 부분(472A)(도 4)에 접합되어 있다.
(2) 광학 유닛의 상세한 구성
여기서, 도 5는 화상 형성 수단이 되는 광학 유닛(4)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광학 유닛(4)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학 유닛(4)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411)를 구성하는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화상 정보에 대응한 광학상을 형성하고, 이 광학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유닛이며, 인티그레이터(integrator) 조명 광학계(41)와, 색 분리 광학계(42)와, 릴레이 광학계(43)와, 광학 장치(44)와, 투사 렌즈(46)와, 이 광학 부품(41 내지 44, 46)을 수납하는 합성 수지제의 라이트 가이드(47)(도 5)를 구비한다.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는, 광학 장치(44)를 구성하는 3장의 액정 패널(441)[적색, 녹색, 청색의 색광마다 각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로 함]의 화상 형성 영역을 거의 균일하게 조명하기 위한 광학계이며, 광원 장치(411)와, 제 1 렌즈 어레이(412)와, 제 2 렌즈 어레이(413)와, 편광 변환 소자(414)와, 중첩 렌즈(415)를 구비한다.
광원 장치(411)는 방사 광원으로서의 광원 램프(416)와, 리플렉터(417)를 구비하고,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된 방사상의 광선을 리플렉터(417)에서 반사하여 평행 광선으로 하며, 이 평행 광선을 외부로 사출한다. 광원 램프(416)에는 고압 수은 램프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고압 수은 램프 이외에, 메탈할라이드(metal halide) 램프나 할로겐 램프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417)에는 포물면 거울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포물면 거울 대신에 타원 리플렉터로부터 출사된 광을 평행화하기 위한 오목 렌즈 및 타원면 거울을 조합한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 1 렌즈 어레이(412)는, 광축 방향에서 볼 때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윤곽을 갖는 소형 렌즈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갖고 있다. 각 소형 렌즈는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되는 광속을 복수의 부분 광속으로 분할하고 있다. 각 소형 렌즈의 윤곽 형상은 액정 패널(441)의 화상 형성 영역의 형상과 거의 유사한 형태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액정 패널(441)의 화상 형성 영역의 애스펙트비(aspect ratio ; 가로와 세로의 치수 비율)가 4 : 3이면, 각 소형 렌즈의 애스펙트비도 4 : 3으로 설정한다.
제 2 렌즈 어레이(413)는 제 1 렌즈 어레이(412)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소형 렌즈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제 2 렌즈 어레이(413)는 중첩 렌즈(415)와 함께 제 1 렌즈 어레이(412)의 각 소형 렌즈의 상을 액정 패널(441)상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편광 변환 소자(414)는 제 2 렌즈 어레이(413)와 중첩 렌즈(415)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편광 변환 소자(414)는 제 2 렌즈 어레이(413)로부터의 광을 1종류의 편광 광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로써 광학 장치(44)에서의 광의 이용 효율이 향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 변환 소자(414)에 의해 1종류의 편광 광으로 변환된 각 부분광은, 중첩 렌즈(415)에 의해 최종적으로 광학 장치(44)의 액정 패널(441)상에 거의 중첩된다. 편광 광을 변조하는 타입의 액정 패널(441)을 사용한 프로젝터(1) 에서는 1종류의 편광 광밖에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임의의 편광 광을 발하는 광원 램프(416)로부터의 광속의 대략 절반이 이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편광 변환 소자(414)를 사용함으로써,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모두 1종류의 편광 광으로 변환하여, 광학 장치(44)에서의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편광 변환 소자(414)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6-304739 호 공보에 소개되어 있다.
색 분리 광학계(42)는 2장의 다이크로익(dichroic) 미러(421, 422)와 반사 미러(423)를 구비하며, 다이크로익 미러(421, 422)에 의해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로부터 사출된 복수의 부분 광속을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 색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릴레이 광학계(43)는 입사측 렌즈(431)와, 릴레이 렌즈(433)와, 반사 미러(432, 434)를 구비하고, 색 분리 광학계(42)에서 분리된 색광인 적색광을 액정 패널(441R)까지 유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 색 분리 광학계(42)의 다이크로익 미러(421)에서는,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로부터 사출된 광속 중, 적색광 성분과 녹색광 성분은 투과하고, 청색광 성분은 반사된다. 다이크로익 미러(421)에 의해 반사된 청색광은 반사 미러(423)에서 반사되어, 필드 렌즈(418)를 통해 청색용 액정 패널(441B)에 도달한다. 이 필드 렌즈(418)는 제 2 렌즈 어레이(413)로부터 사출된 각 부분 광속을 그 중심축[주광선(主光線)]에 대하여 평행한 광속으로 변환한다. 다른 액정 패널(441G, 441R)의 광 입사측에 설치된 필드 렌즈(418)도 마찬가지다.
또한, 다이크로익 미러(421)를 투과한 적색광과 녹색광 중에서, 녹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22)에 의해 반사되고, 필드 렌즈(418)를 통해 녹색용 액정 패널(441G)에 도달한다. 한편, 적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22)를 투과하여 릴레이 광학계(43)를 통해, 또한 필드 렌즈(418)를 통과하여, 적색광용 액정 패널(441R)에 도달한다.
또한, 적색광에 릴레이 광학계(43)가 사용되고 있는 것은, 적색광의 광로의 길이가 다른 색광의 광로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광의 발산 등에 의한 광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입사측 렌즈(431)에 입사된 부분 광속을 그대로 필드 렌즈(418)에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릴레이 광학계(43)에는 3개의 색광 중의 적색광을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청색광을 통과시키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광학 장치(44)는 입사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색 분리 광학계(42)에서 분리된 각 색광이 입사되는 3개의 입사측 편광판(442)과, 각 입사측 편광판(442)의 후단에 배치되는 광 변조 장치로서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과,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후단에 배치되는 사출측 편광판(443)과, 색 합성 광학계로서의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을 구비한다.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은, 예컨대 다결정 폴리실리콘 TFT를 스위칭 소자로서 사용한 것이다.
광학 장치(44)에 있어서, 색 분리 광학계(42)에서 분리된 각 색광은, 이들 3 장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 입사측 편광판(442) 및 사출측 편광판(443)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되어 광학상을 형성한다.
입사측 편광판(442)은 색 분리 광학계(42)에서 분리된 각 색광 중 일정 방향의 편광 광만 투과시키고, 그 밖의 광속을 흡수하는 것으로, 사파이어 유리 등의 기판에 편광막이 부착된 것이다. 또한,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편광막을 필드 렌즈(418)에 부착할 수도 있다.
사출측 편광판(443)도 입사측 편광판(442)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고, 액정 패널[441(441R, 441G, 441B)]로부터 사출된 광속 중 소정 방향의 편광 광만 투과시키고, 그 밖의 광속을 흡수하는 것이다. 또한,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편광막을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들 입사측 편광판(442) 및 사출측 편광판(443)은 서로의 편광축의 방향이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은 사출측 편광판(443)으로부터 사출되고 각 색광마다 변조된 광학상을 합성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에는, 적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과 청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이, 4개의 직각 프리즘의 계면을 따라 대략 X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이들 유전체 다층막에 의해 3개의 색광이 합성된다.
이상 설명한 액정 패널(441), 사출측 편광판(443) 및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은 일체적으로 유닛화된 광학 장치 본체(45)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광학 장치 본체(4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광학 장치 본체(45)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과, 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상면에 고정된 합성 수지제의 고정판(447)과,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광속 입사 단부면에 장착되고 사출측 편광판(443)을 유지하는 금속제의 유지판(446)과, 이 유지판(446)의 광속 입사측에 장착된 투명 수지제의 4개의 핀 부재(445)에 의해 유지되는 액정 패널[441(441R, 441G, 441B)]을 구비한다.
유지판(446)과 액정 패널(441)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공극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공극 부분에 냉각 공기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광학 장치 본체(45)는 고정판(447)에 형성된 4개의 아암부(447A)의 원형 구멍(447B)을 거쳐 하부 라이트 가이드(471)에 나사 고정된다.
투사 렌즈(46)는 광학 장치(44)의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에서 합성된 컬러 화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것이다.
라이트 가이드(47)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광학 부품(412 내지 415, 418, 421 내지 423, 431 내지 434, 442)이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 하부 라이트 가이드(471)와, 하부 라이트 가이드(471)의 상측 개구를 밀폐하는 커버 형상의 상부 라이트 가이드(47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대략 L자 형상인 하부 라이트 가이드(471)의 일단측에는 광원 장치(411)가 수용되어 있다. 타단측에는 하부 라이트 가이드(471)에 형성된 헤드부(473)를 거쳐 투사 렌즈(46)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라이트 가이드(471)에 수납된 광학 장치 본체(45)는 2개의 스프링 부재(50)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하부 라이트 가이드(471)에 나사 고정된다. 이 2개의 스프링 부재(50)는 필드 렌즈(418) 및 입사측 편광판(442)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3) 제어 기판의 상세한 구성
제어 기판(5)은 상술한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의 광학 유닛(4)을 구성하는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구동 제어를 실행하는 부분이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전환용 선별기(selector)(501), LUT(Look Up Table) 전환용 선별기(502), A/D 변환부(503), 컬러 모드 설정 전환부(504), 드라이버 IC(505), 조작 신호 수신부(506), 본체측 스위치(507), 신호 수광기(508),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 및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컬러 모드 설정 변환부(504), 조작 신호 수신부(506),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 및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는 제어 기판(5)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스 유닛(MPU ; micro process unit)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구성되고, 통상은 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MPU상에 호출되어 동작한다.
단자 전환용 선별기(501)는 입력 화상 신호를 전환하는 부분으로, 본 예에서는 전술한 메인 기판(51) 또는 인터페이스 기판(52)에 설치되는 RGB 신호 입력 단자(PC1, PC2), 세퍼레이트(separate ; 개별) 신호 입력 단자(S-Video), 및 컴포지트 신호 입력 단자(Video)를 전환한다.
LUT 전환용 선별기(502)는, 소정의 컬러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된 LUT를 전환하는 부분이며, 본 예에서는, 컬러 모드로서, sRGB 모드가 LUT1에, 일반 모드가 LUT2에, 미팅 모드가 LUT3에, 프리젠테이션 모드가 LUT4에, 시어터 모드가 LUT5에 그리고 게임 모드가 LUT6에 설정되어 있다.
각 LUT1 내지 LUT6은 제어 기판(5)상에 설치되는 6개의 EEPROM 내에 저장되어 있고, LUT 전환용 선별기(502)는 MPU와 이 6개의 EEPROM의 접속을 전환한다.
A/D 변환부(503)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부분이며, 컴포지트 신호 입력 단자(Video)나, 세퍼레이트 신호 입력 단자(S-Video)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MPU에 출력한다.
컬러 모드 설정 전환부(504)는, 본체측 스위치(507)나 리모트 컨트롤러(512)에 설치되는 컬러 모드 설정 스위치를 조작자가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컬러 모드 설정 전환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본 예에 있어서의 컬러 모드 설정은, 우선 화상의 윤곽을 변화시키는 선명도 선택을 실행하고, 화상 처리의 테이블 보간법(Interpolation)에 있어서의 삼차원 LUT의 설정을 선택하며, 마지막으로 환경 보정, 대비·색 온도, 다이나믹 γ 특성 등의 설정을 기록한 일차원 LUT의 선택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그리고, 상술한 LUT1 내지 LUT6의 전환은 삼차원 LUT의 선택을 의미하여, 이 삼차원 LUT을 선택함으로써 용도에 따른 컬러 모드 설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버 IC(505)는 액정 패널(441)을 구동하는 회로로서 구성되고, 데이터 측 구동 회로부 및 주사측 구동 회로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드라이버 IC(505)는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 따라 제어 기판(5)상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조작 신호 수신부(506)는 본체측 스위치(507) 및 신호 수광부(508)에서 검출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며, 이 조작 신호 수신부(506)에서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기판(MPU)은 프로젝터(1)의 각종 설정을 실행한다. 또한, 이 조작 신호 수신부(506)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나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에 의한 설정 전환 중에는, 본체측 스위치(507)나 리모트 컨트롤러(512)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설정 전환의 실행을 확실하게 또한 오류 없이 실행하기 위해서이다.
본체측 스위치(507)는 프로젝터(1)의 조작 패널(23) 부분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군으로 구성되고 프로젝터(1)의 각종 기능 설정을 조작하는 부분이며, 구체적으로는, 음량 조정 스위치, 트래킹, 동기 조정 등의 화상 조정 스위치 외에, 접속 전환 스위치,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스위치도 포함된다.
신호 수광부(508)는 리모트 컨트롤러(512)로부터 송신된 적외선 신호를 수광하는 부분으로, 도 1에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프로젝터(1)의 전면 부분(220)에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512)에는, 본체측 스위치(507)와 동일한 형태의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고, 음량 조정 스위치, 화상 조정 스위치, 메뉴 전환 스위치, 접속 전환 스위치,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스위치 이외에 확정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가 어느 스위치를 조작하면, 적외선 신호가 리모트 컨트롤러(512)로부터 송신되고, 신호 수광부(508)에서 수신되어, 조작 신호 수신부(506)로 출력된다.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조작 신호 수신부(506)에서 수신된 조작 신호를 감시하여, 조작자가 최종적으로 프로젝터(1)의 설정을 어떻게 할지를 판정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지만, 이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조작자가 본체측 스위치(507)나 리모트 컨트롤러(512)의 접속 전환 스위치를 누르면, 접속 전환 가능한 입력 단자의 일람 화면을 액정 패널(441)상에 출력하여 동일 화면을 표시하고, 조작자에게 어느 입력 단자의 화상을 표시시킬지의 선택을 재촉한다.
또한,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조작자가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스위치를 선택하면, 상술한 LUT1 내지 LUT6에 저장된 용도별 컬러 모드 일람을 화면상에 표시하여, 조작자에게 어느 컬러 모드를 표시시킬지의 선택을 재촉한다.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상기 화면을 표시한 후에, 일정 시간 본체측 스위치(507) 및 리모트 컨트롤러(512)로부터 조작 신호가 없는 경우, 그 때 표시되어 있는 선택지 일람 중에서 선택용 커서가 초점을 맞추고 있는 선택지를 최종적으로 선택된 설정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전환 상태 판정부(509)는 선택된 판정하는 설정에 관한 정보를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 또는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로 출력한다.
또한,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조작자가 리모트 컨트롤러(512)에 설치된 확정 스위치(엔터 키)를 눌러, 확정된 취지의 조작 신호를 출력한 경우도, 그 때의 선택용 커서가 초점을 맞추고 있는 선택지를 최종적으로 선택된 설정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확정된 설정에 관한 정보를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 또는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에 출력한다.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는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에서 최종적으로 판정된 접속 설정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단자 전환용 선별기(501)에 출력하고, 단자 전환용 선별기(501)의 동작 제어를 실행하여 접속 설정 전환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는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에서 최종적으로 판정된 컬러 모드 설정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정제하여, LUT 전환용 선별기(502)로 출력하고, LUT 전환용 선별기(502)의 동작을 제어하여 컬러 모드 설정 전환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4) 접속 설정 전환 및 컬러 모드 설정 전환의 순서
다음으로, 접속 설정 전환 및 컬러 모드 설정 전환의 순서에 대하여, 도 9에 도시되는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4-1) 프로젝터(1)를 기동하면(처리 S1), 제어 기판(5)에 설치된 MPU는, EEPROM에 기록된 초기 설정값을 호출하여(처리 S2), 프로젝터(1)의 화상 투사를 개시한다(처리 S3). 또한, 호출되는 초기 설정값은, 전회 사용시의 접속 설정 및 컬러 모드 설정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다.
(4-2) 화상 투사 중,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조작 신호 수신부(506)에 입력되는 본체측 스위치(507), 리모트 컨트롤러(512)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감시 한다(처리 S4). 전환 조작에 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는, 현재의 설정에 의한 화상 표시를 계속한다.
(4-3) 조작자가 리모트 컨트롤러(512)의 접속 설정 전환 스위치 또는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여, 그 조작 신호가 조작 신호 수신부(506)에서 수신되면,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접속 설정이나 컬러 모드 설정의 일람으로 구성되는 선택 화면을 액정 패널(441)상에 표시시킨다(처리 S5). 본 예에서는, 접속 설정 전환 선택 화면인 경우,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현재의 접속 설정에 기초하는 디폴트 화면(G1)상에 선택 화면(G2)을 표시한다. 또한,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선택 화면인 경우,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선택 화면(G3)을 표시한다. 도 10에 있어서, 커서가 되는 버튼의 참/거짓(True/False)의 변경은, 리모트 컨트롤러(512)의 접속 설정 전환 스위치를 누르면, PC1이 참값이었던 것이 PC2가 참값으로 되어 PC2가 선택되고, 더 누르면, S-Video, Video와 참값이 이동하고, 또한 PC1로 복귀하는 주기적인 변경이며, 참값으로 되어 있는 버튼이 그 때의 선택 접속 설정으로 된다. 도 11에 있어서의 컬러 모드 설정 선택 화면(G3)의 선택 방법도 동일하다.
(4-4) 선택 화면(G2, G3)의 표시 중,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조작 신호 수신부(506)를 감시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12)로부터 확정 조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처리 S6). 또한, 표시 중,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제어 기판(5)상에 설치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조작 신호 수신부(506)에 조작 신호가 미입력된 상태가 얼마만큼 경과했는지를 판정한다(처리 S7).
(4-5) 조작자가 확정 스위치를 조작하여, 접속 설정이나 컬러 모드 설정을 명시적으로 확정한 경우, 또는 조작 신호의 입력이 일정 시간 지나지 않아, 현재의 설정이 선택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그 때 선택 화면(G2) 또는 선택 화면(G3)상에서 참값으로 되어 있는 버튼에 따른 접속 설정 또는 컬러 모드 설정을 취득하여, 선택 화면을 소거하는 동시에(처리 S8), 취득된 설정 정보를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 또는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에 출력한다.
(4-6)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 또는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는,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로부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선별기(501, 502)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기(501, 502)에 의한 전환 조작을 실행시킨다(처리 S9).
(4-7) 선별기(501, 502)에 의한 전환이 실행되면, 새로운 설정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의 표시를 개시한다(처리 S3). 한편, 그 후 프로젝터(1)의 전원 스위치를 눌러 전원이 차단되면(처리 S10), MPU는 그 때의 접속 설정 및 컬러 모드 설정을 EEPROM상에 저장하고(처리 S11) 종료한다.
(5) 제 1 실시예의 효과
이상과 같은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5-1)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의 판정을 기다려,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 또는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에 의한 전환 제어를 실행하도 록 구성됨으로써, 조작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표시 상태의 전환 제어가 실행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최종적인 표시 상태를 선택 화면(G2, G3)상에 지정하고 나서 표시 상태의 전환을 실행하여, 고속으로 접속 설정 및 컬러 모드 설정의 전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5-2)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가 접속 설정 또는 컬러 모드 설정에 있어서, 선택 화면(G2, G3)을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접속 설정의 일람이나 컬러 모드 설정의 일람을 보면서 설정 선택을 할 수 있어, 판단이 용이한 상태에서 전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5-3)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가 일정 시간 조작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 그 때 선택된 설정을 최종적인 설정이라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화면(G2, G3)상에 제시된 선택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확정, 전환 실행이 실시되어, 전환 조작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5-4) 조작 신호 수신부(506)가 리모트 컨트롤러(512)의 확정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가 그 때의 선택된 설정을 최종적인 설정이라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명시적으로 확정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전환 조작이 실시되어, 조작자가 의도하는 설정으로 확실하게 전환할 수 있다.
2.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 및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509)는 현재 표시 중인 화면(G1)상에 설정 일람을 나타내는 선택 화면(G2, G3)을 표시하고, 이로써 조작자의 선택을 재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하여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5)의 기본적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조작 신호 수신부(606)가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 또는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의 전환 제어 상태에 관계없이, 조작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609)는, 본체측 스위치(507)나 리모트 컨트롤러(512)로부터 조작 신호 수신부(606)에 조작 신호가 수신된 것을 판별하여도, 즉시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나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에 설정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조작 신호가 일정 시간 입력되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하여, 처음으로 그 때의 설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609)는, 리모트 컨트롤러(512)의 조작 신호에 따른 접속 설정 정보 또는 컬러 모드 설정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구체적인 상이점은, 설정 전환 조작의 순서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하 그 절차를 도 13에 도시되는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프로젝터를 기동하면(처리 S21), 초기 설정값의 호출을 실행하고(처리 S22), 이 설정값에 기초하여 화상 투사를 개시한다(처리 S23).
(2) 화상 투사 중,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609)는 조작 신호 수신부(606)에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감시한다(처리 S24).
(3) 조작자가 리모트 컨트롤러(512) 등의 접속 설정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고, 그 조작 신호가 조작 신호 수신부(606)에서 수신되면,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609)는, 도 14에 도시되는 현재 설정 정보 화면(G4)을 현재 표시중인 화면(G1)상에 표시한다(처리 S25).
(4) 조작자가 현재 설정 정보 화면(G4)을 보면서, 또한 접속 설정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면, 화면(G4)중의 접속 설정이 PC1 → PC2 → S-Video → Video의 순으로 주기적으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609)는, 리모트 컨트롤러(512)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인식하고 있는 한,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에 설정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처리 S26). 또한, 컬러 모드 설정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5)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609)는, 일정 시간 조작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면(처리 S27), 현재 설정 정보에 표시된 설정 정보를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나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에 출력한다(처리 S28).
(6) 접속 설정 전환 제어부(510) 또는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제어부(511)는,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609)로부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선별기(501, 502)에 전환을 실행시킨다(처리 S28).
(7) 이하, 전환 후의 화상 표시와 전원 차단시(처리 S29)의 설정값의 기록 보존(처리 S30)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예의 (5-1), (5-3)에 개시하는 효과에 부가하여, 이하의 효과가 있다.
종래의 접속 설정 전환과 같은 전환 방법에도 불구하고, 종래보다도 고속으로 설정의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접속 설정 전환인 경우, 접속 설정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면, PC1→전환을 위한 흑색 화면 표시 → PC2 → 전환을 위한 흑색 화면 표시 → S-Video의 형태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반하여,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PC1 → PC2 → S-Video → 전환을 위한 흑색 화면 표시의 형태로, 전환 조작이 1회밖에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전환 조작의 대폭적인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설정 전환 스위치나 컬러 모드 설정 전환 스위치의 조작 중에, 화면(G1)상에 현재 설정 정보 화면(G4)을 표시하여 현재의 조작 상태를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판단하기 용이한 상태에서 전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개시하는 변형도 포함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1)의 접속 설정 또는 컬러 모드 설정의 전환으로서 본 발명을 채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직시형 디스플레이에 본 발명을 채용할 수도 있고, 전기 광학 장치도 액정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즈마 소자, 유기 EL 소자, 마이크로 미러를 사용한 디바이스 등 각종의 것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접속 설정 및 컬러 모드 설정에만 본 발명을 채용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의 선택지로부터 설정을 선택하고 전환 조작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면, 그 이외의 설정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609)의 판정은,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실행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실시예와 같이, 조작자가 확정 스위치를 조작하여도,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609)의 판정이 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적인 구조 및 순서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환 표시 상태 제어부의 판정을 기다려, 표시 상태 전환 제어부에 의한 전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작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표시 상태의 전환 제어가 실행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최종적인 표시 상태를 지정하고 나서 표시 상태의 전환을 실행하여 고속으로 표시 상태의 전환 조작을 수행할 있다.

Claims (8)

  1.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따라 광학상을 형성 표시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이 화상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서 형성된 광학상의 표시 상태를 전환 제어하는 표시 상태 전환 제어부와,
    상기 광학상의 표시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신호 수신부와,
    수신된 조작 신호를 감시하여, 최종적으로 전환되는 표시 상태를 판정하는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의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상태 전환 제어부가 전환 제어를 실행하며, 상기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는 상기 조작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전환 조작 정보에 관한 화상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는, 제 1 회째의 조작 신호가 상기 조작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되었다고 판정하면, 전환 가능한 표시 상태 일람 화상을 제시하여, 전환하는 표시 상태의 선택을 재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는, 표시 상태 일람 화상 제시 후, 일정 시간 조작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전환되는 표시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는, 특정 조작 신호가 수신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전환되는 표시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 수신부는 상기 표시 상태 전환 제어부의 전환 제어 중에 조작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환 표시 상태 판정부는 상기 조작 신호 수신부로의 조작 신호의 입력 이 일정 시간 없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전환되는 표시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화상 기기로부터 화상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상태는 이들 복수의 입력 단자의 접속 설정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상태는 γ 보정, 색 보정을 포함하는 컬러 모드 설정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30019210A 2002-03-28 2003-03-27 화상 표시 장치 KR100560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92798 2002-03-28
JP2002092798A JP2003288065A (ja) 2002-03-28 2002-03-28 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720A KR20030078720A (ko) 2003-10-08
KR100560242B1 true KR100560242B1 (ko) 2006-03-10

Family

ID=2780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210A KR100560242B1 (ko) 2002-03-28 2003-03-27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19855B2 (ko)
EP (1) EP1349389B1 (ko)
JP (1) JP2003288065A (ko)
KR (1) KR100560242B1 (ko)
CN (1) CN100424748C (ko)
TW (1) TW5745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2876A (ja) * 2002-06-07 2004-01-15 Toshiba Corp 投射型表示装置
JP2004328658A (ja) * 2003-04-28 2004-11-18 Toshiba Corp 映像表示装置およびこの映像表示装置のセットアップ方法
JP4293519B2 (ja) * 2003-04-28 2009-07-08 興和株式会社 ケーブル延長装置
US7042523B2 (en) * 2003-06-30 2006-05-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deo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ogarithmic conversion
JP4259486B2 (ja) * 2005-03-08 2009-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ソースの探索支援方法、当該探索支援方法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プロジェクタ
CN101567994B (zh) * 2005-03-08 2011-10-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源的搜索支援方法以及使用其的图像显示装置
JP4301262B2 (ja) * 2006-08-08 2009-07-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US8718336B2 (en) * 2007-03-30 2014-05-06 Fujifilm Corporation Image correction apparatus, image correction method, skin diagnosi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5310007B2 (ja) * 2008-10-16 2013-10-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表示装置、出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0103897A (ja) * 2008-10-27 2010-05-06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JP2012070292A (ja) * 2010-09-27 2012-04-05 Sony Corp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11106B2 (ja) * 2013-01-11 2015-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JP6992265B2 (ja) * 2017-03-23 2022-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966787B1 (ko) * 2018-06-28 2019-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892A (en) * 1984-03-05 1986-12-02 Rca Corporation Television system with menu like function control selection
EP0844788A2 (en) * 1996-11-22 1998-05-27 Webtv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elevision display controls using a web browser
US20010052946A1 (en) * 2000-01-11 2001-12-20 Masahiko Sato Selection method of devices connected with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realizing such sele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2258B2 (ja) * 1990-03-02 1998-11-11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921265B2 (ja) * 1992-06-08 1999-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662464A (ja) 1992-08-10 1994-03-04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5557342A (en) * 1993-07-06 1996-09-17 Hitachi, Ltd. Video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having different scanning frequencies and a multi-screen display system using the video display apparatus
CN1113302C (zh) 1993-07-30 2003-07-02 佳能株式会社 通过通信线路控制设备的控制器和方法
JPH07311639A (ja) 1994-05-16 1995-11-28 Toshiba Corp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
JP3976812B2 (ja) 1995-03-09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偏光照明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US5917552A (en) * 1996-03-29 1999-06-29 Pixelvision Technology, Inc. Video signal interface system utilizing deductive control
JPH10174057A (ja) * 1996-12-06 1998-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記録装置、映像出力装置、映像表示・記録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記録システムの信号処理方法
JPH1079915A (ja) * 1996-09-02 1998-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記録再生装置
JP3683660B2 (ja) * 1996-10-16 2005-08-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投射型カラー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223644B1 (ko) * 1997-01-14 1999-10-15 윤종용 개인용 컴퓨터 모니터 겸용 멀티시스템 텔레비젼 수상기
US6384868B1 (en) * 1997-07-09 2002-05-07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video switching processing apparatus
ID27676A (id) * 1997-09-11 2001-04-19 Sony Corp Peralatan elektronik
US6393194B1 (en) * 1997-10-16 2002-05-21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signal in magnetic tape at video quality selectable from prescribed different qualities
DK0947955T3 (da) * 1998-04-03 2001-12-17 Da Vinci Systems Inc Fremgangsmåder og apparatur til frembringelse af kundespecifikke gammakurver for farvekorrektionsudstyr
JP4329134B2 (ja) 1998-07-24 2009-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入力装置
US6462786B1 (en) * 1998-12-15 2002-10-08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blending image input layers
JP2000341614A (ja) 1999-05-28 2000-12-08 Nikon Gijutsu Kobo:Kk 画像蓄積装置、テレビ受像機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鑑賞システム
JP2000338925A (ja) 1999-05-28 2000-12-08 Alps Electric Co Ltd 映像表示装置
US6473135B1 (en) * 2000-02-16 2002-10-29 Sony Corporation Signal input selector for television set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US6999131B2 (en) * 2000-02-23 2006-02-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output apparatus and output video changeover control method
JP4541482B2 (ja) * 2000-02-29 2010-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1285751A (ja) 2000-03-30 2001-10-12 Nikon Corp 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のインターフェイスモジュール
JP2002044559A (ja) * 2000-07-31 2002-02-08 Sony Corp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KR100370080B1 (ko) 2000-08-11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osd 메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JP4605987B2 (ja) * 2000-08-28 2011-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892A (en) * 1984-03-05 1986-12-02 Rca Corporation Television system with menu like function control selection
EP0844788A2 (en) * 1996-11-22 1998-05-27 Webtv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elevision display controls using a web browser
US20010052946A1 (en) * 2000-01-11 2001-12-20 Masahiko Sato Selection method of devices connected with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realizing such sel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88065A (ja) 2003-10-10
TW200401940A (en) 2004-02-01
EP1349389A3 (en) 2004-07-14
EP1349389A2 (en) 2003-10-01
US7119855B2 (en) 2006-10-10
CN100424748C (zh) 2008-10-08
KR20030078720A (ko) 2003-10-08
CN1448912A (zh) 2003-10-15
EP1349389B1 (en) 2013-05-15
TW574591B (en) 2004-02-01
US20040027486A1 (en)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242B1 (ko) 화상 표시 장치
US11323672B2 (en) Control method for projector and projector
US20100188585A1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8167441B2 (en)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JP3891051B2 (ja) 画像表示装置、この省電力モード切替方法、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
US9632400B2 (en) Projector having an exterior enclosure and a receiver disposed in a swelling portion of the exterior enclosure
US6345897B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US7370980B2 (en)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JP5217194B2 (ja) プロジェクタ
US6820984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JP2011128257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3467561B2 (ja) 投写型表示装置
US20080297734A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f-beams thereof
JP2008089836A (ja) プロジェクタ
US20030218601A1 (en) Image display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JP4151320B2 (ja) プロジェクタ、この制御方法、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
KR100958584B1 (ko) 프로젝터 겸용 비디오 카메라
JPH10111533A (ja) 投写型表示装置
JP3801074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383117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6012046A (ja) プロジェクター
JP5573360B2 (ja) 画像記憶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6778819B2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3772848B2 (ja) プロジェクタ
JP2004157356A (ja) 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